KR20130018682A -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682A
KR20130018682A KR1020127023387A KR20127023387A KR20130018682A KR 20130018682 A KR20130018682 A KR 20130018682A KR 1020127023387 A KR1020127023387 A KR 1020127023387A KR 20127023387 A KR20127023387 A KR 20127023387A KR 20130018682 A KR20130018682 A KR 20130018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locking
channel
key
lock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867B1 (ko
Inventor
마티아스 하베케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1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1/00Devices preventing keys from being removed from the lock ; Devices preventing falling or pushing out of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로킹 실린더 하우징(26)은 제1 텀블러(18)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로킹 채널(34) 및 제2 텀블러(2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로킹 채널(36)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반경 방향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1 텀블러(18)의 폭(a)은 반경 방향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로킹 채널(36)의 개방 폭(b)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제1 텀블러(18)는 제2 로킹 채널(34) 안으로 들어갈 수 없으므로, 희망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 장치(24)로부터 키(10)가 비의도적으로 뽑히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잠금 장치{LOCKING SYSTEM}
본 발명은 잠금 장치, 특히 자동차의 이그니션록을 위한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 장치에 의해서는 록이 전용 키를 이용해 개방될 수 있다.
DE 10 2005 042 68 A1호에 공지된 자동차의 이그니션록을 위한 잠금 장치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키가 이용되며, 상기 키는 외측 전체에서 인코딩 채널 또는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며, 회전할 수 있도록 로킹 실린더 하우징 안에 수용된 로킹 실린더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텀블러가 로킹 실린더 하우징의 로킹 채널 안에 더 이상 수용되어 있지 않은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로킹 실린더가 자동차의 엔진 점화를 위해 로킹 실린더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자동차 엔진의 시동을 위해 일반적으로 키가 약 90° 회전된다. 안전상의 이유로, 엔진이 꺼진 경우에만 키를 잠금 장치로부터 뽑을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키의 원하지 않은 위치에서 잠금 장치로부터 키가 뽑히는 것을 억제하는, 특히 자동차의 이그니션록을 위한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1항의 특징들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HD40136/AH:GR
특히 자동차의 이그니션록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는 로킹 실린더 하우징 및 상기 로킹 실린더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어 상기 로킹 실린더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로킹 실린더를 갖는다. 또한, 로킹 실린더 안에 키가 삽입됨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텀블러와, 로킹 실린더 안에 키가 삽입됨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텀블러가 제공되며, 상기 제2 텀블러는 상기 제1 텀블러와 다른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킹 실린더 하우징은 제1 텀블러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로킹 채널과, 제2 텀블러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로킹 채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반경 방향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1 텀블러 폭은 반경 방향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제2 로킹 채널의 개방 폭보다 더 크다.
상기 제1 텀블러의 폭이 제2 로킹 채널의 폭보다 더 크기 때문에, 제1 텀블러는 제2 로킹 채널에 의해 수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키를 약 90°회전한 후 상기 제1 텀블러는 제2 로킹 채널에 의해 수용되며 그와 동시에 제2 텀블러는 제1 로킹 채널에 의해 수용되므로, 상기 키가 상기 위치에서 잠금 장치로부터 뽑힐 가능성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이그니션록의 경우에는 엔진이 작동하는 중에 키가 이그니션록을 위해 이용되는 잠금 장치로부터 뽑힐 가능성이 특히 억제될 수 있다. 그 대신에, 키가 다시 뽑힐 수 있게 되기 전에, 키가 다시 0°의 위치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180°의 위치로 회전되어야 하는 것이 보장된다. 그 사이에 있는 각도 위치들에서 제1 텀블러에 키의 인코딩 스트립 또는 인코딩 채널이 접촉하기 때문에 키가 차단되므로, 상기 키가 로킹 실린더로부터 축방향으로 당겨져 뽑힐 수 없다. 그러므로 키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서 잠금 장치로부터 뽑힐 가능성이 억제된다.
특히 제1 텀블러의 폭에 대한 제2 로킹 채널의 개방 폭의 비(R)에 대하여 0.5 ≤ R < 1.0, 특히 0.6 ≤ R ≤ 0.99, 바람직하게는 0.7 ≤ R ≤ 0.95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 R ≤ 0.90이 적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로킹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로킹 채널 밖에 제공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한 로킹 실린더 하우징의 내면에 제1 텀블러가 충분히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제1 텀블러는 상기 로킹 채널에 걸리지 않는다. 특히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에서 제1 텀블러의 연장부가 원주방향으로 충분히 크게 선택될 수 있으므로, 라운딩된 에지 및/또는 삽입 경사부의 경우에도 제2 로킹 채널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제1 텀블러가 제2 로킹 채널에 걸리지 않을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제2 로킹 채널 안으로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텀블러와 제1 로킹 채널 사이에는 틈새 끼워맞춤, 특히 H7/h6, H7/f6 또는 F8/h6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제2 텀블러와 제2 로킹 채널 사이에는 틈새 끼워맞춤, 특히 H7/h6, H7/f6 또는 F8/h6이 형성된다. 각각의 텀블러가 관련 로킹 채널에서 행하는 반경 방향 이동이 상기 틈새 끼워맞춤을 통해 용이해지므로, 상기 텀블러가 각각의 로킹 채널 안에서 비의도적으로 걸릴 수 없다. 그와 동시에 상기 틈새 끼워맞춤에도 불구하고 제1 텀블러가 넓으므로, 제1 텀블러가 허용오차와 관련한 최대 유극에서도 제2 로킹 채널 안으로 들어갈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
제1 텀블러는 키의 인코딩 채널 안에서의 안내를 위한 노즈를 가지며 제2 텀블러는 키의 인코딩 스트립에서의 안내를 위한 리세스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제1 텀블러는 키의 인코딩 스트립에서의 안내를 위한 리세스를 가지며 제2 텀블러는 키의 인코딩 채널 안에서의 안내를 위한 노즈를 갖는다. 제1 텀블러 및 제2 텀블러의 경우 키와 운동학적으로 다른 텅앤그루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응하는 절도 공구를 이용한 잠금 장치의 승인되지 않은 개방, 즉 로킹 실린더 하우징에 대한 로킹 실린더의 상대적 회전이 어려워진다. 또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코딩 채널이 키의 넓은 외측에 그리고 인코딩 스트립이 키의 좁은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키의 크기는 비교적 작게 선택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이용된 텀블러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다른 위치의 폭 넓은 변형을 가능하도록 만든다. 동시에 상기 키는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키가 반대편에서도 동일하게 형성된 콘투어를 갖는 가역 키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장치는 가역 키의 수용을 위해 매칭될 수 있다.
특히 제1 로킹 채널은 제2 로킹 채널에 대하여 각도(α)만큼 원주 방향으로 옵셋되어 있으며, 각도(α)는 45°≤α≤ 155°, 특히 60°≤α≤ 140°, 바람직하게는 75°≤α≤125°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α= 90°± 5°이다. 상기 각도(α)를 계산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 2개의 가상선 사이에 있는 각도가 이용되며, 상기 가상선은 각각의 로킹 채널의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로킹 실린더의 회전축을 지나간다.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키에서, 제1 로킹 채널 및 제2 로킹 채널을 서로 약 90°정도 원주 방향으로 옵셋시킬 수 있으므로, 제1 로킹 채널과 제2 로킹 채널 사이 벽 두께를 가능한 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키가 4개 이상의 외측을 가질 수 있으므로, 그에 상응하는 복수의 외측에 인코딩 스트립 및/또는 인코딩 채널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로킹 실린더 하우징을 위해 2개 이상의 로킹 채널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가 육각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3개의 로킹 채널이 120° 및/또는 60°의 각도(α)만큼 서로 옵셋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제1 텀블러 및 2개 이상의 제2 텀블러가 축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후속 텀블러들의 이동 방향의 변경 때문에 절도 공구를 이용한 잠금 장치의 승인되지 않은 개방이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제1 텀블러들 또는 제2 텀블러들에 할당되는 인코딩 스트립 또는 인코딩 채널은 축방향으로 다음 텀블러까지 상응하는 크기의 경로를 갖는다. 할당된 텀블러들의 축간 거리 확장은 텀블러의 위치가 분명히 변경되어 반경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만들므로 각 텀블러가 인코딩 스트립에 또는 인코딩 채널 안에 걸리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후속하는 제1의 텀블러들 및 후속하는 제2 텀블러들의 개방 위치가 분명히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잠금 장치의 승인받지 못한 개방을 어렵게 하는 개방 위치들의 상이한 조합 가능성이 이에 상응하는 수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로킹 채널 및/또는 제2 로킹 채널은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한 숄더를 가지며, 특히 하나 이상의 숄더가 상이한 반경 방향 연장부를 갖는 상이한 텀블러의 높이에서 제공되어 있다. 상기 숄더를 통해 특정 텀블러의 가능한 최대 삽입 깊이가 관련 로킹 채널 내에서 감소될 수 있으며, 최대 삽입 깊이의 감소는, 특히 텀블러가 다른 경우 다를 수 있다. 그 때문에 절도 공구를 이용한 잠금 장치의 승인없는 개방이 어려워지는데, 텀블러의 실제 삽입 깊이는 관련 로킹 채널 안에서 숄더의 구성을 모르면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하나 이상의 텀블러가 상기 숄더를 특히 부분적으로만 수용하기 위한,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있는 홈을 가지며, 텀블러가 다르면 2개 이상의 홈의 연장부 길이가 다르다. 상기 로킹 채널의 숄더와 상호 작용하는 홈을 통해 마찬가지로 텀블러의 최대 삽입 깊이는 로킹 채널 안에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절도 공구를 이용한 잠금 장치의 승인없는 개방이 어려워진다. 특히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스트립으로서 상기 숄더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숄더는 특히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연장부를 갖는다. 이 경우 가능한 최대 삽입 깊이의 변경은 텀블러에 제공된 홈의 형상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로킹 채널 및/또는 제2 로킹 채널이 관련 텀블러를 위한 삽입 개구를 갖는다. 그 때문에 각각의 텀블러는 더 쉽게 로킹 채널 안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잠금 장치의 돌발적인 차단 또는 걸림이 억제된다. 특히 그와 동시에 상기 삽입 개구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텀블러는 상기 제1 텀블러가 제2 로킹 채널 안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없는 폭을 갖도록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텀블러 및/또는 상기 제2 텀블러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초기 응력이 가해진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로킹 실린더에 지지될 수 있다. 특히 텀블러로부터 떨어져 있는 숄더에 의해 스프링 힘이 텀블러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를 통해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작용하는 스프링 힘이 각 텀블러에 가해질 수 있으므로, 텀블러는 키를 뽑은 경우 자동으로 로킹 채널 안에 삽입되어 로킹 실린더의 회전을 억제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텀블러를 위해 및/또는 상기 제2 텀블러를 위해 반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편에 상응하는 할당된 각각 하나의 로킹 채널이 제공된다. 할당된 하나의 로킹 채널로부터 각각의 텀블러가 너무 넓게 당겨지면, 상기 텀블러는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로킹 채널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상기 로킹 실린더의 회전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절도 공구를 이용한 잠금 장치의 승인받지 못한 개방이 어려워진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참고하에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2개의 텀블러를 포함하는 키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잠금 장치의 로킹 실린더 하우징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위치에서 도 2의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위치에서 도 4의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키(1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에지(12)에 인코딩 스트립(14)을 형성한다. 키(10)는 제1 텀블러(18) 및 제2 텀블러(20)의 충분히 큰 삽입 개구(16)에 삽입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인코딩 스트립(14)은 각각의 텀블러(18, 20)의 상응하는 리세스(22)에 의해 수용된다. 상응하는 인코딩 스트립(14)의 콘투어를 통해 상기 텀블러(18, 20)는 반경 방향으로 잠금 장치(24)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텀블러(18)의 이동 방향은 제2 텀블러(20)의 이동 방향과 다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24)의 로킹 실린더 하우징(26) 안에 로킹 실린더(28)가 회전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로킹 실린더(28)는 키(10)를 위한 삽입 개구(30) 맞은 편에서 작동 단부(32)를 가지며, 상기 작동 단부는 회전 운동시 작동을 개시하고, 예를 들어 록의 걸쇠부를 이동하게 하거나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시킨다. 로킹 실린더(28)에서 교대되는 순서로 복수의 제1 텀블러(18) 및 복수의 제2 텀블러(20)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로킹 실린더(28)의 상응하는 슬롯 안에 수용된다. 상기 텀블러(18, 20)는 차단 상태에서, 즉 로킹 실린더(28)가 로킹 실린더 하우징(2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으면, 로킹 실린더 하우징(26)을 통해 로킹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로킹 실린더 하우징(26)은 반경 방향 반대편에서 각각의 경우 제1 텀블러(18)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로킹 채널(34)을 가지며 또한 반경 방향 반대편에서 각각의 경우 제2 텀블러(2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로킹 채널(36)을 갖는다. 상기 제1 로킹 채널(34) 및 제2 로킹 채널(36)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약 90°정도 원주방향으로 옵셋되어 있다. 제1 로킹 채널(34)의 제1 개방 폭(a)은 제2 로킹 채널(36)의 제2 개방 폭(b)보다 더 크다. 각 텀블러(18, 20)와 관련 로킹 채널(34, 36) 사이에 틈새 끼워맞춤이 제공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반경 방향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관련 텀블러(18, 20)의 폭(a, b)에 로킹 채널(34, 36)의 개방 폭(a, b)이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채널(34, 36)은 각각의 경우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한 숄더(38)를 가지며, 상기 숄더는 텀블러(18, 20)의 상응하는 홈(40) 안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스캐닝 보호로서 텀블러(18, 20)의 실제 최대 침투 깊이가 감춰질 수 있다. 그 외에도 텀블러(18, 20)는 스프링(42)을 이용해 반경 방향으로 초기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시작 위치, 즉 0°의 위치인 경우 잠금 장치(24) 내에 키(10)가 전부 삽입된 상태에서 텀블러(18, 20)는, 텀블러(18, 20) 중 어느 것도 로킹 채널(34, 36) 안에 더 이상 삽입될 수 없도록,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위치에서 키(10)는 로킹 실린더(28)와 함께 로킹 실린더 하우징(26)에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잠금 장치(24)의 위치의 경우, 키(10)와 로킹 실린더(28)가 도 4에 도시된 잠금 장치(24)의 위치에 비해 약 90°정도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상기 위치에서 제2 텀블러(20)는 제1 로킹 채널(34) 안으로 미끄러지는데, 제2 텀블러(20)의 폭(b)이 제1 로킹 채널(34)의 개방 폭(a)보다 작기 때문이다. 그러나 텀블러(18)의 폭(a)이 크기 때문에 상기 위치에서 텀블러(18)가 작은 개방 폭(b)을 갖는 제2 로킹 채널(36) 안으로 이동할 수 없다. 제1 텀블러(18)가 제2 로킹 채널(36) 안에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제1 텀블러(18)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키(10)는 로킹 실린더(28)로부터 뽑힐 수 없다. 리세스(22) 안에서 안내되는 인코딩 스트립(14)은 이 경우 제1 텀블러(18)에서 차단될 것이다.

Claims (10)

  1. 특히 자동차의 이그니션록을 위한 잠금 장치로서,
    로킹 실린더 하우징(26)과,
    로킹 실린더 하우징(26)에 수용된, 로킹 실린더 하우징(2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로킹 실린더(28)와,
    로킹 실린더(28) 안으로 키(10)가 삽입됨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텀블러(18)와,
    로킹 실린더(28) 안으로 키(10)가 삽입됨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텀블러(20)를 구비한, 잠금 장치이며, 이때 제2 텀블러(20)는 제1 텀블러(18)와 다른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로킹 실린더 하우징(26)은 제1 텀블러(18)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로킹 채널(34) 및 제2 텀블러(2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로킹 채널(36)을 가지는, 잠금 장치에 있어서,
    반경 방향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1 텀블러(18)의 폭(a)이 반경 방향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로킹 채널(36)의 개방 폭(b)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텀블러(18)의 폭(a)에 대한 제2 로킹 채널(36)의 개방 폭(b)의 비(R)에 대하여 0.5 ≤ R < 1.0, 특히 0.6 ≤ R ≤ 0.99, 바람직하게는 0.7 ≤ R ≤ 0.95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 R ≤ 0.90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텀블러(18)와 제1 로킹 채널(34) 사이에는 틈새 끼워맞춤, 특히 H7/h6, H7/f6 또는 F8/h6가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제2 텀블러(20)와 제2 로킹 채널(36) 사이에는 틈새 끼워맞춤, 특히 H7/h6, H7/f6 또는 F8/h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텀블러(18)는 키(10)의 인코딩 채널 안에서의 안내를 위한 노즈를 가지며 제2 텀블러(20)는 키(10)의 인코딩 스트립(14)에서의 안내를 위한 리세스(22)를 가지거나, 제1 텀블러(18)는 키(10)의 인코딩 스트립(14)에서의 안내를 위한 리세스(22)를 가지며 제2 텀블러(20)는 키(10)의 인코딩 채널 안에서의 안내를 위한 노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킹 채널(34)은 제2 로킹 채널(36)에 대하여 각도(α)만큼 원주 방향으로 옵셋되어 있으며, 각도(α)는 45°≤α≤ 155°, 특히 60°≤α≤ 140°, 바람직하게는 75°≤α≤125°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α= 90°±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제1 텀블러(18) 및 2개 이상의 제2 텀블러(20)는 축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킹 채널(34) 및/또는 제2 로킹 채널(36)은 반경 방향 안쪽을 향한 숄더(38)를 가지며, 특히, 하나 이상의 숄더(38)는 상이한 반경 방향 연장부를 갖는 상이한 텀블러(18, 20)의 높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텀블러(18, 20)는 상기 숄더(38)를 특히 부분적으로만 수용하기 위한,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있는 홈(40)을 가지며, 상이한 텀블러(18, 20)의 2개 이상의 홈(40)의 연장부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킹 채널(34) 및/또는 제2 로킹 채널(36)은 관련 텀블러(18, 20)를 위한 삽입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텀블러(18) 및/또는 제2 텀블러(20)는 스프링 부재(42)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초기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KR1020127023387A 2010-03-09 2011-03-03 잠금 장치 KR101735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0778 2010-03-09
DE102010010778.6 2010-03-09
DE102010017129.8 2010-05-28
DE201010017129 DE102010017129A1 (de) 2010-03-09 2010-05-28 Schließsystem
PCT/EP2011/053208 WO2011110473A1 (de) 2010-03-09 2011-03-03 SCHLIEß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682A true KR20130018682A (ko) 2013-02-25
KR101735867B1 KR101735867B1 (ko) 2017-05-15

Family

ID=4450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387A KR101735867B1 (ko) 2010-03-09 2011-03-03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44927B1 (ko)
KR (1) KR101735867B1 (ko)
CN (1) CN102791541B (ko)
DE (1) DE102010017129A1 (ko)
WO (1) WO2011110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130046A1 (it) 2013-03-06 2014-09-07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JP6042460B2 (ja) * 2015-01-07 2016-1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キーシリン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49824A (fr) 1946-01-24 1947-07-31 Ebosa Sa Serrure de sûreté.
DE897215C (de) 1951-07-17 1953-11-19 Zeiss Ikon Ag Zylinderschloss mit Plaettchenzuhaltungen
US3035433A (en) * 1959-10-30 1962-05-22 Eagle Lock Corp Lock mechanism
DE3310511C2 (de) * 1983-03-23 1986-08-2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Schließzylinder für eine Schließeinrichtung
DE3669338D1 (de) * 1986-11-12 1990-04-12 Oswald Knauer Schloss.
US5235832A (en) * 1991-01-23 1993-08-17 The Eastern Company Locks and switch locks having substitutable plug-type operator assemblies
JP4391718B2 (ja) 2002-01-22 2009-12-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錠
DE102005004268B4 (de) 2005-01-29 2006-10-12 Monika Traub Nahtloser Patchwork-Verbund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4549904B2 (ja) * 2005-03-15 2010-09-22 株式会社ユーシン シリンダ錠及びシリンダ錠の取付構造。
DE102005042618A1 (de) * 2005-09-07 2007-03-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vorrichtung mit einem Schließzylinder und mit einem Schlü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867B1 (ko) 2017-05-15
DE102010017129A1 (de) 2011-09-15
EP2544927B1 (de) 2014-11-26
CN102791541B (zh) 2016-05-11
CN102791541A (zh) 2012-11-21
EP2544927A1 (de) 2013-01-16
WO2011110473A1 (de)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4935B2 (ja) シリンダ錠装置及び係合解除機構
US8302435B2 (en) Pin locking device
US8826707B2 (en) Locking device comprising a key and a locking cylinder
KR101473123B1 (ko) 잠금 장치
CA2681671C (en) Hierarchical cylinder lock system
AU2021269400B2 (en) Rekeyable lock cylinder with enhanced torque resistance
US20160145896A1 (en) Locking System, Key and Key Blank
JP2004529282A (ja) 特に自動車用のシリンダブロック
JP5014914B2 (ja) シリンダ錠装置
JP2007536449A (ja) 前面取り付け式錠組立体
JP2008255726A (ja) シリンダ錠装置
US10995521B2 (en) Linear lock
US8726706B2 (en) Locking device
JP5177588B2 (ja) プレートタンブラーを備える盗難防止ロック
US20070051146A1 (en) Key and lock system providing security against fraudulent copying
EP0195293B1 (en) A disc type cylinder lock
US20160348397A1 (en) Key cylinder device
KR20130018682A (ko) 잠금 장치
AU2009201742B2 (en) Padlock having a preloaded locking member
JP3990224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IL239734A (en) A key with a movable element inside the key blade
JP7278265B2 (ja) ロック装置
US9745776B2 (en) Key cylinder device
JP2009133073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3872283B1 (en) Security system and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