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240A -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240A
KR20130018240A KR1020127023926A KR20127023926A KR20130018240A KR 20130018240 A KR20130018240 A KR 20130018240A KR 1020127023926 A KR1020127023926 A KR 1020127023926A KR 20127023926 A KR20127023926 A KR 20127023926A KR 20130018240 A KR20130018240 A KR 20130018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alcohol
pol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064B1 (ko
Inventor
히사노리 카치
마코토 마츠자와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성분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5 - 20 질량%, 하기 성분 (A)를 40 - 90 질량%, 하기 성분 (B)를 5 - 50 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상기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성분 (A) :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및 트리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스테르 화합물; 성분 (B) : 융점이 70 - 130℃인 탄화수소 왁스; 성분 (C) :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성분 (D) :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 성분 (E) : 다이머 디리놀산 유도체]. 본 발명에 의하면 바셀린과 비슷한 정도의 수분폐색성을 실현하고, 또한 피부에의 발람성이 우수하며,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VASELINE-LIKE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본 발명은 바셀린과 비슷한 정도의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또한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고, 피부 친화성이 양호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0년 03 25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0-07013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바셀린은 원유의 진공증류 잔유를 용제탈랍하여 얻어지는 연고상의 물질을 정제하여 얻을 수 있고, 주성분은 C24 - C43의 탄화수소로 비정질의 물질이다. 정제 정도가 높은 것으로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사용할 수 있는 백색 바셀린이 시판되고 있다.
스킨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나 피부외용 의약품 등에는 바셀린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은 피부에 촉촉함과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분의 유지기능과 수분증산의 억제기능(이하, "수분폐색성"이라 함)이다.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과 같은 피부 트러블은 피부의 건조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고, 대처로서 바셀린 등을 도포하여 피부로부터의 수분증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이들 피부 트러블이 개선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수분폐색성이 큰 화장료 또는 외용제로서 바셀린이 배합된 것이 시판되고 있다.
유제에 따른 수분폐색성은 유제의 극성에 의존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어, 극성이 낮은 바셀린은 수분폐색성이 크고, 극성이 높은 에스테르유는 수분폐색성이 작다.
그러나, 바셀린은 부드러운 발림성은 좋지만, 일반적으로 피부와 친숙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도포 후에도 피부 상에서 겉돌고, 바셀린을 포함하는 비극성유가 주성분인 크림 등을 도포한 손은 끈적거림이 계속 유지되어 의복이 더러워지는 등의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일이 적지 않았다.
한편으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이나 트리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은 알맞은 점도를 가지며, 안료분산성이 우수한 유제로서 메이크업 화장료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통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분폐색성에서는 바셀린에 미치지 못하며, 피부가 거칠어짐의 개선효과는 작은 것들이었다.
또한, 폴리에틸렌왁스, 파라핀왁스, 세레신, 오조케라이트라는 탄화수소계의 왁스류는 액상유와 함께 가열하여 상용한 후에 냉각하면, 액상유를 왁스 내에 가둔 고형의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립스틱 등의 유성의 고형 화장료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왁스류는 결정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할 때에 무슨 일이 있어도 단단한 감촉이 되어, 바셀린 모양의 매끄러운 발림성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왁스류의 배합량을 저감시킨 경우에는, 액상유가 시간과 함께 배어나와 버려 상품가치가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에스테르유와 특정의 에스테르 화합물, 수용성 무기염을 배합한 수분폐색성이 양호한 유중수형 유화 피부 외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특정의 에스테르 화합물(베헨산/에이코산이산) 글리세릴)은 유중수형 유화물의 형태가 아니라, 유상만으로는 수분폐색성은 높지만 단단한 조성물이 되기 때문에,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배합한 피부 외용제의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보존안정성은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은 사정에 의하여, 바셀린과 비슷한 정도의 수분폐색성을 실현하고, 또한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1 : 특개2003-212747
본 발명의 목적은 바셀린과 비슷한 정도의 수분폐색성을 실현하고, 또한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그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I)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및 트리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스테르 화합물, II) 융점이 70 - 130℃인 탄화수소 왁스, III)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 그리고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특정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바셀린과 비슷한 정도의 수분폐색성을 실현하고, 또한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특징을 가지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1) 하기 성분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5 - 20 질량%, 하기 성분 (A)를 40 - 90 질량%, 하기 성분 (B)를 5 - 50 질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A)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및 트리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스테르 화합물;
(B) 융점이 70 - 130℃인 탄화수소 왁스;
(C)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D)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5가 이상의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
(E)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
(2) 상기 성분 (B)가 폴리에틸렌왁스, 파라핀왁스, 세레신 및 오조케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탄화수소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3) 상기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이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펜타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4) 상기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이 디펜타에리스리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5) 상기 성분 (C)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및 상기 성분 (D)의 에스테르화에 사용되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평균중합도가 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6) 상기 성분 (D)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의 수산기가가 5 - 70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7) 상기 성분 (E)의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가 다이머디리놀산 및 수첨 다이머디리놀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산과 알코올과의 에스테르이고, 상기 알코올이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C4 - C22의 1가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8) 상기 알코올이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9)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본 발명에 의하면, 바셀린과 비슷한 정도의 수분폐색성을 실현하고, 또한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없으며, 각종 화장료의 원료가 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그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은, 하기 성분 (C), (D) 및 (E)로부터 서ㅌ낵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5 - 20 질량%, 하기 성분 (A)를 40 - 90 질량%, 하기 성분 (B)를 5 - 50 질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및 트리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스테르 화합물.
(B) 융점이 70 - 130℃인 탄화수소 왁스;
(C)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D)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5가 이상의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
(E)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은, 성분 (A)로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및 트리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한다.
성분 (A)의 배합량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의 질량에 대하여 40 - 90 질량%이고, 50 - 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9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9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 90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친화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은, 성분 (B)로서 융점이 70 - 130℃인 탄화수소 왁스를 함유한다. 융점이 70 - 130℃인 것에 의하여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며,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융점이 70 - 130℃인 탄화수소 왁스로는 폴리에틸렌왁스, 파라핀왁스, 세레신 및 오조케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수소 왁스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성분 (B)의 배합량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의 질량에 대하여 5 - 50 질량%이고, 5 - 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2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배합암으로써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친화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은 성분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성분 (C)는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다. 이것들을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친화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은 분자 내에 수산기를 1개 가지는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물이다. 예를 들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은 피마자종자유를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리시놀산을 수소첨가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은 상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을 중합반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반응은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분자 중의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와 다른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분자 중의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하는 반응, 즉 분자간 에스테르화 반응이다. 에스테르화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평균중합도는 3 - 20이고, 5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1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평균중합도가 상기 범위라면,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친화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반응 중에 반응생성물의 산가를 측정함으로써 평균중합도를 상기 범위로 할 수 있다. 즉,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반응 중에 반응생성물을 샘플링하여 그 산가를 측정함으로써 평균중합도를 산출하고, 원하는 평균중합도가 된 시점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정지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성분 (D)는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이다. 이것들을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친화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는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으로는 상기와 같은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되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평균중합도는 3 - 20이고, 5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1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은 가수가 5 -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의 탄소수는 5 - 20이 바람직하고, 5 -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펜타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펜타에리스리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5가 이상의 알코올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의 수산기가는 5 - 70mgKOH/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60mgKOH/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50mgKOH/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 - 50mgKOH/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가가 5 - 70mgKOH/g인 것에 의하여,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친화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가를 가지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는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과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사용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성분 (D)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성분 (E)는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이다.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친화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다이머디리놀산 및 수첨 다이머디리놀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머디리놀산이라는 것은 리놀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불포화지방산을 분자간 중합반응에 의해 삼중화시켜 얻어지는 공지의 이염기산이다.
수첨 다이머디리놀산은 상기 다이머디리놀산을 환원(수소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다이머디리놀산 및 수첨 다이머디리놀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과 에스테르결합시키는 알코올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C4 - C22의 일가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4 - C22의 일가 알코올은 포화여도 좋고, 불포화여도 좋고, 직쇄여도 좋고, 분기쇄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에스테르결합시키는 알코올로는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C4 - C22의 일가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을 필수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과 C4 - C2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직쇄 또는 분기쇄의 일가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과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및 세틸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이머디리놀산 또는 수첨 다이머디리놀산 1분자 당 에스테르 결합하는 알코올의 전량을 몰비로 1이라 할 때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의 전량은, 몰비로 0.05 - 0.9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0.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 0.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E)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성분 (C), (D) 및 (E)는 어느 1종만을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어느 1종만을 사용하는 경우, 성분 (E) 또는 (D)를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성분 (E) 또는 (D)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성분 (D)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성분 (C), (D) 및 (E)를 합한 배합량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의 질량에 대하여 5 - 20 질량%이고, 5 - 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2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수분폐색성을 가지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친화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은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더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이나 화장료 용도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물, 본 발명의 성분 (A) - (D) 이외의 유성성분,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계면활성제, 비이온성계면활성제, 분말성분, 보습제,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무기 수용성 고분자, 자외선 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아미노산, 유기아민, 합성수지 에멀젼, pH 조정제, 비타민류,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조제, 방부제, 염류,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당하게 배합할 수 있다.
물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고, 이온교환수, 증류수, 과실이나 야채 유래의 물, 탈염해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필수성분인 유성성분 이외의 유성성분으로는 탄화수소유, 합성 에스테르유, 동식물유, 실리콘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인지질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중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의 상온에서의 상태는 액상, 반고형, 고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어, 경질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폴리데센, 수첨폴리데센, 폴리이소부텐, 수첨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스쿠알렌, α-올레핀올리고머, 프리스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는 예를 들어, 헥산산2-펜틸노닐, 헥산산2-헥실데실, 헥산산2-헵틸운데실, 헥산산2-옥틸도데실, 헥산산이소스테아릴, 옥탄산2-부틸옥틸, 옥탄산이소트리데실, 옥탄산2-펜틸노닐, 옥탄산2-헥실데실, 옥탄산 2-헵틸운데실, 옥탄산2-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데칸산2-프로필헵틸, 데칸산2-부틸옥틸, 데칸산이소트리데실, 데칸산2-펜틸노닐, 데칸산2-헥실데실, 데칸산2-헵틸운데실, 데칸산2-옥틸도데실, 데칸산이소스테아릴, 라우린산2-프로필헵틸, 라우린산이소노닐, 라우린산2-부틸옥틸, 라우린산이소트리데실, 라우린산이소트리데실, 리우린산2-펜틸노닐, 라우린산2-헥실데실, 라우린산2-헵틸운데실, 라우린산2-옥틸도데실, 라우린산이소트리데실,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2-에틸헥실, 미리스틴산이소노닐, 미리스틴산2-프로필헵틸, 미리스틴산2-부틸옥틸,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2-펜틸노닐,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미리스틴산2-헵틸운데실, 미리스틴산2-옥틸도데실,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부틸, 팔미틴산2-에틸헥실, 팔미틴산이소노닐, 팔미틴산2-프로필헵틸, 팔미틴산2-부틸옥틸, 팔미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2-펜틸노닐, 팔미틴산2-헥실데실, 팔미틴산2-헵틸운데실, 팔미틴산2-옥틸도데실,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린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이소부틸, 스테아린산2-에틸헥실, 스테아린산이소노닐, 스테아린산2-프로필헵틸, 스테아린산2-부틸옥틸, 스테아린산이소트리데실, 스테아린산2-펜틸노닐, 스테아린산2-헥실데실, 스테아린산2-헵틸운데실, 스테아린산2-옥틸도데실, 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 베헨산이소프로필, 베헨산이소부틸, 베헨산2-에틸헥실, 베헨산이소노닐, 베헨산2-프로필헵틸, 베헨산2-부틸옥틸, 베헨산이소트리데실, 베헨산2-펜틸노닐, 베헨산2-헥실데실, 베헨산2-헵틸운데실, 베헨산2-옥틸도데실, 베헨산이소스테아릴, 2-에틸헥산산도데실, 2-에틸헥산산미리스틸, 2-에틸헥산산팔미틸,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2-에틸헥산산2-프로필헵틸, 2-에틸헥산산2-부틸옥틸, 2-에틸헥산산이소트리데실, 2-에틸헥산산2-펜틸노닐, 2-에틸헥산산2-헥실데실, 2-에틸헥산산2-헵틸운데실, 2-에틸헥산산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도데실, 이소노난산미리스틸, 이소노난산팔미틸, 이소노난산스테아릴, 이소노난산베헤닐, 이소노난산2-부틸옥틸,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난산2-펜틸노닐, 이소노난산2-헥실데실, 이소노난산2-헵틸운데실, 이소노난산2-옥틸도데실, 이소노난산이소스테아릴, 이소데칸산데실, 이소데칸산운데실, 이소데칸산도데실, 이소데칸산미리스틸, 이소대칸산팔미틸, 이소대칸산스테아릴, 이소데칸산2-프로필헵틸, 이소데칸산2-부틸옥틸, 이소데칸산이소트리데실, 이소데칸산2-펜틸노닐, 이소데칸산2-헥실데실, 이소데칸산2-헵틸운데실, 이소데칸산2-옥틸도데실, 이소데칸산이소스테아릴, 이소트리데칸산헵틸, 이소트리데칸산옥틸, 이소트리데칸산노닐, 이소트리데칸산데실, 이소트리데칸산운데실, 이소트리데칸산도데실, 이소트리데칸산미리스틸, 이소트리데칸산팔미틸, 이소트리데칸산스테아릴, 이소트리데칸산이소프로필, 이소트리데칸산이소부틸, 이소트리데칸산2-에틸헥실, 이소트리데칸산2-프로필헵틸, 이소트리데칸산2-부틸옥틸, 이소트리데칸산이소트리데실, 이소트리데칸산2-펜틸노닐, 이소트리데칸산2-헥실데실, 이소트리데칸산2-헵틸운데실, 이소트리데칸산2-옥틸도데실, 이소트리데칸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부틸, 이소스테아린산펜틸, 이소스테아린산헥실, 이소스테아린산헵틸, 이소스테아린산옥틸, 이소스테아린산노닐, 이소스테아린산데실, 이소스테아린산운데실, 이소스테아린산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미리스틸, 이소스테아린산팔미틸, 이소스테아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이소부틸, 이소스테아린산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린산2-프로필헵틸, 이소스테아린산2-부틸옥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트리데실, 이소스테아린산2-펜틸노닐, 이소스테아린산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린산2-헵틸운데실, 이소스테아린산2-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 올레인산프로필, 올레인산부틸, 올레인산펜틸, 올레인산헥실, 올레인산헵틸, 올레인산옥틸, 올레인산노닐, 올레인산데실, 올레인산운데실, 올레인산도데실, 올레인산미리스틸, 올레인산팔미틸, 올레인산스테아릴, 올레인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이소부틸, 올레인산2-에틸헥실, 올레인산2-프로필헵틸, 올레인산2-부틸옥틸, 올레인산이소트리데실, 올레인산2-펜틸노닐, 올레인산2-헥실데실, 올레인산2-헵틸운데실, 올레인산2-옥틸도데실, 올레인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데실,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유산옥틸도데실, 초산라놀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피토스테릴, 올레인산피토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딘산)디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등의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알킬글리콜, 디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이소스테아린산/세바스산)디트리메틸올프로판올리고에스테르, 트리에틸헥산산에리스리틸, 이소스테아린산트레할로오스에스테르즈, 펜타이소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피마자유 지방산메틸에스테르, 라놀린산 지방산이소프로필, 아세트글리세라이드,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2-에틸헥산산·스테아린산)글리세린올리고에스테르, (2-헥실데칸산·세바스산)디글리세릴올리고에스테르,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라우린산헥실, 라우린산에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팔미틴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2-에틸헥실,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린, 초산에틸, 초산부틸, 쿠엔산트리에틸, 트리(베헨산/이소스테아린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베헨산/에이코산이산)폴리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동식물 유지로는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동백나무유, 거북이유, 마카데미아넛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밍크유, 올리브유, 채유, 난황유, 콩기름, 퍼식유, 소맥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유, 포도씨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녹차유, 비자나무유, 미강유, 시나기리유, 일본 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달맞이꽃유, 카카오지, 야자유, 우지, 양지, 마지, 팜핵유, 돈유, 우골지, 목랍핵유, 우각지, 목랍, 경화야자유, 경화팜유, 경화우지, 경화유, 경화피마자유, 밀랍, 칸데리라 왁스, 면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고래 왁스, 몬탄 왁스, 쌀겨 왁스, 케이폭 왁스,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형 라놀린, 경질 라놀린, 호호바 왁스, 쉘락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사슬상 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히드로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알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베헤닌)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직쇄 알콜;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지쇄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인지질로는 대두 인지질, 수첨 대두 인지질, 채종 인지질, 수첨 채종 인지질, 난황 인지질, 수첨 난황 인지질 등의 레시틴류를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비누용 소지, 라우린산 나트륨, 라우린산 칼륨, 팔미틴산 나트륨 등의 지방산 비누;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의 고급알킬 황산에스테르염;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산,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 아미드설폰산염; 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의 인산 에스테르염; 디-2-에틸헥실설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숙신산나트륨 등의 설포숙신산염;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선형 도데실벤젠설폰산 등의 알킬벤젠설폰산염;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모노나느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염; 경화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린 황산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황산에스테르염; 로토유 등의 황산화유,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본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지방산 에스테르설폰산염, 이급알코올 황산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알킬피리디늄염; 알킬사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키놀리늄염, 디알킬몰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유도체, 알킬알코올지방산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유기변성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유기변성 점토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의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POE-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리에이트 등의 POE-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리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리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류;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POE-모노올리에이트,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이트, 디스테아린산에틸렌글리콜 등의 POE-지방산에스테르류;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의 POE-알킬에테르류; 플루로닉 등의 플루로닉형류;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의 POE·POP-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POE·테트라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POE-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에스테르, POE-경화피마자유 말레인산 등의 POE-피마자유 유도체나 POE-경화피마자유 유도체; POE-소르비트밀랍 등의 POE-밀랍·라놀린유도체;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코카미드DEA), 라우린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카놀아미드;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아미드, 수크로오스지방산에스테르, POE-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세스키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 디카프릴산폴리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폴리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디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디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메틸폴리실록산·세틸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변성 실리콘; 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키올리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리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 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글리세린, 세스키올레인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α,α'-올레인산피로글루타민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축합 리시놀레인산디글리세릴, 축합 리시놀레인산테트라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류;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분말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은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연성황산칼슘, (소석고), 인산칼슘, 비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금속비누(미리스틴산아연, 팔미틴산칼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의 무기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틸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및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유기분말;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백색안료;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의 무기적색계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저차산화티탄 등의 무기흑색계안료; 망고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계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청색계안료; 산화티탄 코팅된 마이카, 산화티탄 코팅된 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 코팅된 탈크, 착색산화티탄 코팅된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스, 어린박 등의 펄안료; 알루미늄파우더, 구리 파우더 등의 금속분말안료; 적색201호, 적색202호, 적색204호, 적색205호, 적색220호, 적색226호, 적색228호, 적색405호, 등색203호, 등색204호, 황색205호, 황색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안료, 적색3호, 적색104호, 적색106호, 적색227호, 적색230호, 적색401호, 적색505호, 등색205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2호, 황색203호, 녹색3호 및 청색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안료;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일반의 화장품에 적용가능한 분말이라면 좋으며, 상기의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유산나트륨, 요소,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본산염,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 부가물(여기에서, EO는 에틸렌옥시드를 의미하고, PO는 프로필렌옥시드를 의미한다), 체스트넛로즈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메리로트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갈락탄,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해조류 콜로이드(갈조류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의 식물계 고분자; 잔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플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공중합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벤트나이트, 규산AlMg(비검),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및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 안식향산(이하, PABA라 칭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오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라딘,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보닐리덴)-3-펜탄-2-온, 및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 1,3,5-트리아딘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이온 봉쇄제로는 예를 들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사나트륨염,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쿠엔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쿠엔산, 아스코르빈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초산3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루콜, 2,3-부틸렌글루콜, 펜타메틸렌글루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1,2,6-헥산트리올 등의 3가 알코올; 펜타에리스리톨 등의 4가 알코올; 자일리톨 등의 5가 알코올; 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6가 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중합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루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의 2가 알콜알킬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이텔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2가 알코올에테르에스테르; 헥실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바틸알콜 등의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 소르비톨, 말티톨, 말트트리오스, 만니톨, 수크로오스, 에리트리톨, 글루코스, 프룩토스, 전분 분해당, 말토오스, 자일리톨, 전분 분해당 환원알코올 등의 당 알코올; 글리솔리드,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E-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스리톨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는 예를 들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의 삼탄당; D-에리트로스, D-에리트롤로오스, D-트레오스, 에리스리톨 등의 사탄당; L-아라비노스, D-자일로스, L-릭소오스, D-아라비노스, D-리보오스, D-리불로오스, D-자일룰로오스, L-자일룰로오스 등의 오탄당; D-글루코스, D-탈로스, D-프시코오스, D-갈락토오스, D-프룩토오스, L-갈락토오스, L-만노오스, D-타가토오스 등의 육탄당; 알도헵토오스, 헵툴로오스 등의 칠탄당; 옥툴로스 등의 팔탄당; 2-데옥시-D-리보오스, 6-데옥시-L-갈락토스, 6-데옥시-L-만노오스 등의 데옥시당;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의 아미노당;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트론산, L-이즈론산 등의 우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를 들어, 수크로오스당, 겐티아노스, 움벨리페로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리크노오스류, α,α-트레할로오스, 라피노오스, 리크노오스류, 움빌리신, 스타키오스베바스코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황산, 갈락탄, 델마탄황산, 글리코겐, 헤파란황산, 히알루론산,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콩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닌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어, 쓰레오닌, 시스테인 등의 중성 아미노산, 히드록시리신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몰포닐,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에멀젼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수지 에멀젼, 폴리아크릴산에틸 에먼젼, 아크릴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 에멀젼, 폴리아세트산비닐수지 에멀젼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아르기닌, 유산-유산나트륨, 쿠엔산-쿠엔산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이들의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조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 쿠엔산, 아스코르빈산, 말레인산, 마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세팔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염류로는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등의 강산과 강염기의 중화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들을 들 수 있다.
향류로는 예를 들어, 장미유, 쟈스민유, 라벤더유 등의 실물성 향료, 리모넨, 시트럴, 리나롤, 오이게놀 등의 합성향료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아란토인 등의 소염제; 태반 추출물, 호이초 추출물 등의 미백제; 황백, 황련, 자초근, 작약, 자작나무, 세이지, 비파,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 은목단,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등의 추출물;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유년혈액 추출물 등의 부활제; 노닐산바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틴크, 이크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촉진제; 유황, 티안톨 등의 항지루제;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얻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상기 성분 (A)와 (B)와,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필요하다면 상기 외의 성분의 혼합물을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교반하여 균일하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성분을 각각 독립하여 또는 여러 종류를 미리 혼합한 것을 가온하여 용해한 후에 혼합하고, 그 후 혼련할 수도 있다. 또한, 가온 온도로는 80 -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은 화장료, 의약품외품, 의약품 등의 원료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은 그대로 화장료, 의약품외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화장료의 원료 중 하나로서 사용할 경우, 상기 화장료 중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의 함유량은 화장료의 질량에 대하여 0.1 - 95 질량%이고, 0.5 - 90 질량%가 바람직하며, 1 - 8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5 - 5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품, 의약품외품이나 의약품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배합하고, 목적으로 하는 제품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본 발명의 필수성분인 유성성분 이외의 유성성분,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분말성분, 보습제,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무기 수용성 고분자, 자외선 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아미노산, 유기아민, 합성수지 에멀젼, pH 조정제, 비타민류,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조제, 방부제, 염류,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하고, 목적으로 하는 제형에 따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성분으로는 상기한 것들과 동일한 것들이나, 유성성분으로서의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를 얻기 위한 제조방법으로는 특수한 수단이나 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일례를 들자면, 유화형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상과 수상을 각각 60 - 80℃로 가온한 상태에서, 유상에 수상을 천천히 첨가하여 예비 유화를 수행하고, 호모믹서로 유화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 여과, 냉각을 행한다. 유상으로는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외에 예를 들어, 유성성분, 함량 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상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수에 보습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립스틱 등의 고형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액상유, 왁스 등의 유성성분, 안료 등의 분체를 80 - 120℃에서 가열 용해한 후, 적당한 3개의 롤러 등으로 균질하게 하고, 금형 등에 흘려넣어 냉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형태로는 오일용해 타입; O/W형, W/O형, W/O/W형, O/W/O형 등의 유화 타입; 가용화 타입; 고형 타입 등의 원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화장료의 종류로는 클렌징오일, 유액, 크림, 미용액, 에몰리언트크림, 립케어 스틱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화장 베이스, 립스틱, 파운데이션, 아이섀도우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헤어 왁스, 헤어 스프레이, 헤어 컨디셔너 등의 헤어케어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교시하고,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는 「%(질량)」을 의미한다.
합성예 1 - 3 ( 폴리 12- 히드록시스테아린산 )
(합성예 1)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및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플라스크에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카와켄 파인케미칼(주) 제품, 상품명: 히드록시스테아린산) 500g을 넣고, 촉매로서 염화주석 0.5g을 첨가하여 질소기류하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200℃의 온도에서 15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촉매를 분리하고 나서 활성탄을 사용하여 탈색한 후, 감압하에서 수증기 취입에 따른 탈취를 수행하였다. 얻어진 중합물의 산가를 측정한 바, 산가는 33mgKOH/g이었고, 산가에 의해 평균분자량이 1700으로 계산되었고, 평균분자량으로부터 평균중합도는 6으로 계산된 합성예 1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을 얻었다(수량 430g).
(합성예 2)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및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플라스크에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HP(오구라고세이(주) 제품, 상품명: 히드로산HP) 500g을 넣고, 촉매로서 전체 첨가량의 0.1%의 염화주석을 첨가하여, 질소기류하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200℃의 온도에서 15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촉매를 분리하고 나서 활성탄을 사용하여 탈색한 후, 감압하에서 수증기 취입에 따른 탈취를 수행하였다. 얻어진 중합물의 산가를 측정한 바, 산가는 20mgKOH/g이었고, 산가에 의해 평균분자량이 2820으로 계산되었고, 평균분자량으로부터 평균중합도는 10으로 계산된 합성예 2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을 얻었다(수량 410g).
(합성예 3)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및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플라스크에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오구라고세이(주) 제품, 상품명: 히드로산HP) 500g을 넣고, 촉매로서 전체 첨가량의 0.1%의 염화주석을 첨가하여, 질소기류하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200℃의 온도에서 20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촉매를 분리하고 나서 활성탄을 사용하여 탈색한 후, 감압하에서 수증기 취입에 따른 탈취를 수행하였다. 얻어진 중합물의 산가를 측정한 바, 산가는 14mgKOH/g이었고, 산가에 의해 평균분자량이 4008로 계산되었고, 평균분자량으로부터 평균중합도는 14으로 계산된 합성예 3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을 얻었다(수량 400g).
(합성예 4)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및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386g(0.227mol) 및 디펜타에리스리톨(코에이퍼스톱(주) 제품, 상품명: 「디·펜타리트」) 14g(0.055mol)을 넣고, 촉매로서 염화주석 0.4g 첨가하여, 질소기류하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210℃의 온도에서 생성물의 산가가 1mgKOH/g 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촉매를 분리하고 나서 활성백토를 사용하여 탈색한 후, 감압하에서 수증기 취입에 따른 탈취를 수행하고, 합성예 4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 340g을 얻었다(산가 0.5mgKOH/g, 수산기가 35mgKOH/g).
(합성예 5)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및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2에서 얻어진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386g(0.137mol) 및 디펜타에리스리톨(코에이퍼스톱(주) 제품, 상품명: 「디·펜타리트」) 14g(0.055mol)을 넣고, 촉매로서 염화주석 0.4g 첨가하여, 질소기류하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210℃의 온도에서 생성물의 산가가 1mgKOH/g 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촉매를 분리하고 나서 활성백토를 사용하여 탈색한 후, 감압하에서 수증기 취입에 따른 탈취를 수행하고, 합성예 5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 340g을 얻었다(산가 0.8mgKOH/g, 수산기가 45mgKOH/g).
(합성예 6)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및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플라스크에 합성예 3에서 얻어진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386g(0.096mol) 및 디펜타에리스리톨(코에이퍼스톱(주) 제품, 상품명: 「디·펜타리트」) 14g(0.055mol)을 넣고, 촉매로서 염화주석 0.4g 첨가하여, 질소기류하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210℃의 온도에서 생성물의 산가가 1mgKOH/g 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촉매를 분리하고 나서 활성백토를 사용하여 탈색한 후, 감압하에서 수증기 취입에 따른 탈취를 수행하고, 합성예 6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 340g을 얻었다(산가 0.9mgKOH/g, 수산기가 50mgKOH/g).
합성예7 , 8 (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
(합성예 7) 다이머디리놀산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및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플라스크에 다이머디리놀산(유니케어사 제품 PRIPOL1006) 172g(0.3mol), 피토스테롤(타마세이카가쿠사 제품) 79g(0.2mol), 헵탄 50g, 파라톨루엔술폰산 0.5g을 넣고, 질소기류하에서 100 - 110℃로 가열하고,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8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이소스테아릴알코올(SASOL사 제품 ISOFOL18E) 108g(0.4mol)을 더 넣어서 10시간 반응시켰다. 냉각 후, 헵탄으로 희석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미반응 카르본산을 수세 제거하였다. 용제를 감압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합성예 7의 다이머리놀산 유도체(다이머리놀산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 320g(수율 90%)을 얻었다. 합성예 7의 다이머리놀산 유도체에서 다이머리놀산 1분자 당 에스테르축합하는 알코올 전량에 대한 피토스테롤의 몰비는 0.33이 된다.
(합성예 8) 다이머리놀산 콜레스테릴스테아릴세틸
교반기, 온도계, 질소가스 취입관 및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1L의 4구 플라스크에 다이머디리놀산(유니케어사 제품 PRIPOL1006) 172g(0.3mol), 콜레스테롤 79g(0.2mol), 헵탄 50g, 파라톨루엔술폰산 0.5g을 넣고, 질소기류하에서 100 - 110℃로 가열하고,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8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스테아릴알코올 54g(0.2mol)을 더 넣어서 10시간 반응시켰다. 냉각 후, 헵탄으로 희석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미반응 카르본산을 수세 제거하였다. 용제를 감압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합성예 8의 다이머리놀산 유도체(다이머리놀산 콜레스테릴스테아릴세틸) 270g(수율 90%)을 얻었다. 합성예 8의 다이머리놀산 유도체에서 다이머리놀산 1분자 당 에스테르축합하는 알코올 전량에 대한 피토스테롤의 몰비는 0.33이 된다.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실시예 1 - 28, 비교예 1 - 35)
[샘플 제조방법]
표 1 - 10에 나타낸 배합으로 각 성분을 무게를 재어 넣고, 110℃에서 가온용해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한 후, 교반을 계속하면서 실온으로 냉각하여 실시예1 - 28, 비교예 1 - 35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얻었다.
[수분폐색성의 평가]
수분폐색성의 평가에는 아이·에스사 제품인 「SKICON200」을 사용하여 샘플 도포 전후의 각층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SKICON200」은 각층에 고주파의 전압을 걸어 각층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각층의 수분량이 많을 때 쯤에 전기전도도가 높게 측정되는 것이다. 즉, 수분폐색성이 높은 샘플을 도포하면, 수분의 증산이 억제되어 피부의 수분량이 증가하고, 전기전도도가 샘플 도포 전보다도 높게 측정된다.
10명의 모니터의 전완 내측에 2cm × 2cm의 면적으로 마크를 하고, 샘플 도포 전의 각층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각 샘플 20μL를 펴발라 2시간 방치하고, 그 후 헥산에 담근 면봉을 사용하여 샘플을 닦아내었다. 즉시 「SKICON200」로 각층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샘플의 도포 전의 전기전도도를 100%로 했을 때, 샘플의 도포 후의 전기전도도가 400% 이상(2점), 200 - 400%(1점), 200% 미만(0점)으로 하여, 10명의 합계 스코어에 따라 하기와 같이 평가하고, ◎, ○를 합격으로 하였다.
◎ : 18점 이상
○ : 14 - 17점
△ : 10 - 13점
× : 6 - 9점
×× : 5점 이하
[피부에의 발림성의 평가]
10명의 모니터에게 각 샘플을 피부에 도포하게 하고, 피부에의 발림성을 관능평가하였다. 비교샘플로서 바셀린(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노무코트W」)을 사용하여, 이보다도 피부에의 발림성이 좋음(2점), 피부에의 발림성이 동일함(1점), 피부에의 발림성이 나쁨(0점)으로 평가하여 10명의 합계 스코어에 따라 하기와 같이 평가를 수행하고, ◎, ○를 합격으로 하였다.
◎ : 18점 이상
○ : 14 - 17점
△ : 10 - 13점
× : 6 - 9점
×× : 5점 이하
[끈적거림의 평가]
10명의 모니터에게 각 샘플을 피부에 도포하게 하고, 끈적거림을 관능평가하였다. 비교샘플로서 바셀린(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노무코트W」)을 사용하여, 이보다도 끈적거림이 적음(2점), 끈적거림이 동일함(1점), 끈적거림(0점)으로 평가하여 10명의 합계 스코어에 따라 하기와 같이 평가를 수행하고, ◎, ○를 합격으로 하였다.
◎ : 18점 이상
○ : 14 - 17점
△ : 10 - 13점
× : 6 - 9점
×× : 5점 이하
[피부 친화성의 평가]
10명의 모니터에게 각 샘플을 피부에 도포하게 하고, 피부 친화성을 관능평가하였다. 비교샘플로서 바셀린(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노무코트W」)을 사용하여, 이보다도 피부 친화성이 좋음(2점), 피부 친화성이 동일함(1점), 피부 친화성이 나쁨(0점)으로 평가하여 10명의 합계 스코어에 따라 하기와 같이 평가를 수행하고, ◎, ○를 합격으로 하였다.
◎ : 18점 이상
○ : 14 - 17점
△ : 10 - 13점
× : 6 - 9점
×× : 5점 이하
Figure pct00001
*1 : "코스몰222"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3 : "세레신810N" (닛코리카사 제품)
*4 : "파라핀155F" (니혼세이로우사 제품)
Figure pct00002
*1 : "코스몰222"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3 : "세레신810N" (닛코리카사 제품)
*4 : "파라핀155F" (니혼세이로우사 제품)
Figure pct00003
*1 : "코스몰222"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3 : "세레신810N" (닛코리카사 제품)
*4 : "파라핀155F" (니혼세이로우사 제품)
Figure pct00004
*1 : "코스몰43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3 : "세레신810N" (닛코리카사 제품)
*4 : "파라핀155F" (니혼세이로우사 제품)
Figure pct00005
*1 : "코스몰43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3 : "세레신810N" (닛코리카사 제품)
*4 : "파라핀155F" (니혼세이로우사 제품)
Figure pct00006
*1 : "코스몰43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3 : "세레신810N" (닛코리카사 제품)
*4 : "파라핀155F" (니혼세이로우사 제품)
Figure pct00007
*1 : "코스몰222"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3 : "노무코트W"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Figure pct00008
*1 : "코스몰222"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Figure pct00009
*1 : "코스몰43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Figure pct00010
*1 : "코스몰43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PERFORMALENE PL"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표 1 -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은, 수분폐색성 및 피부에의 발림성은 바셀린(비교예 1)과 동등하면서, 끈적거림이 적고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명백하였다. 비교예 1 - 35는 본 발명의 구성성분의 일부가 결여되어 있는 것이나, 이것들은 수분폐색성, 피부에의 발림성, 끈적거림, 피부 친화성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이 아니었다.
에몰리언트크림 ( 실시예 29 - 32, 비교예 36)
표 11에 나타낸 배합으로 성분 (A)를 80℃에서 가열용해하고, 디스퍼를 사용하여 2000rpm으로 교반하면서 80℃로 가열용해한 성분 (B)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교반을 계속하면서 50℃까지 냉각하고, 성분 (C)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고, 실온까지 냉각하고 탈포하여 에몰리언트크림을 얻었다.
[수분폐색성의 평가]
10명의 모니터에게 각 시료를 피부에 도포하도록 하고, 피부에의 발림성, 끈적거림, 피부 친화성을 평가하였다. 양호(2점), 보통(1점), 불량(0점)으로 평가하여 10명의 합계 스코어에 따라 하기와 같이 평가를 수행하고, ◎, ○를 합격으로 하였다.
◎ : 18점 이상
○ : 14 - 17점
△ : 10 - 13점
× : 6 - 9점
×× : 5점 이하
Figure pct00011
*1 : "노무코트W"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정제 올리브오일" (요코제키유시사 제품)
*3 : "T.I.O"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4 : "코스몰168AR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5 : "사라코스PG-180"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6 : "사라코스DG-180"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7 : "포엠S-100" (리켄비타민사 제품)
*8 : "Carbopol 940" (루브리졸사 제품)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사용한 에몰리언트크림은 수분폐색성 및 피부에의 발림성은 바셀린과 동등하면서, 끈적거림이 적고,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것이라는 것이 명확해졌다.
립케어 스틱 ( 실시예 33 - 36, 비교예 37)
표 12에 나타낸 배합으로 각 성분을 무게를 재어 넣고, 110℃에서 가온용해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한 후, 금형에 흘려넣어 냉각하여 립케어 스틱을 얻었다.
[수분폐색성의 평가]
10명의 모니터에게 각 시료를 피부에 도포하도록 하고, 입술에의 발림성, 끈적거림, 친화성을 평가하였다. 양호(2점), 보통(1점), 불량(0점)으로 평가하여 10명의 합계 스코어에 따라 하기와 같이 평가를 수행하고, ◎, ○를 합격으로 하였다.
◎ : 18점 이상
○ : 14 - 17점
△ : 10 - 13점
× : 6 - 9점
×× : 5점 이하
Figure pct00012
*1 : "노무코트W"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사라코스DP-518N"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3 : "코스몰168AR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사용한 립케어 스틱은 수분폐색성 및 입술에의 발림성은 바셀린과 동등 이상이면서, 끈적거림은 적고 친화성이 우수한 것이라는 것이 명확해졌다.
W/O 유화형 리퀴드파운데이션 ( 실시예 37)
표 13에 나타낸 배합으로 성분 (A)를 80℃에서 가열용해하고, 디스퍼를 사용하여 2000rpm으로 교반하면서 80℃로 가열용해한 성분 (B)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교반을 계속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탈포하여 W/O 유화형 리퀴드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얻어진 W/O 유화형 리퀴드파운데이션은 수분폐색성이 우수하고,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고,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Figure pct00013
*1 : "ABIL EM-90" (에보닉사 제품)
*2 : "KF-6017" (신에쓰카가쿠공업사 제품)
립스틱 ( 실시예 38)
표 14에 나타낸 배합으로 모든 성분을 90℃로 가온용해하고, 3개의 롤러에서 균질화시킨 후, 금형에 흘려넣고어 0℃의 항온조에 20분간 넣어 굳혀 립스틱을 얻었다. 얻어진 립스틱은 수분폐색성이 우수하고, 입술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고, 친화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Figure pct00014
*1 : "사라코스DP-518"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코스몰168AR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실시예 39 (O/W 유액)
표 15에 나타낸 O/W 유액을 하기 제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법)
성분 (A)를 80℃로 가온하고, 탁상 디스퍼 믹서에서 2000rpm으로 교반하여 분산시키면서, 80℃로 가온용해한 성분 (B)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80℃로 가온용해한 성분 (C)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하였다. 성분 (D)를 넣고 균일하게 교반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얻어진 O/W 유액은 수분폐색성이 우수하고,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고,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Figure pct00015
*1 : "사라코스PGMS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 "사라코스DGMSV"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3 : "코스몰168M"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4 : "PEMULEN TR-1" (닛코케미칼즈사 제품)
*5 : "메토로스65SH-4000" (신에쓰카가쿠공업사 제품)
실시예 40 (화장베이스)
표 16에 나타낸 화장 베이스를 하기 제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법)
성분 (A)를 70℃, 탁상 디스퍼 믹서에서 2000rpm으로 교반하여 분산시키면서, 70℃로 가온용해한 성분 (B)를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였다. 얻어진 화장 베이스는 수분폐색성이 우수하고,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끈적거림이 적고,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Figure pct00016
*1 : "KF-6017" (신에쓰카가쿠공업사 제품)
*2 : "노무코트SG" (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바셀린과 비슷한 정도의 수분폐색성을 실현하고, 또한 피부에의 발림성이 우수하며,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 적으며, 각종 화장료의 원료가 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그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성분 (C), (D) 및 (E)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5 - 20 질량%, 성분 (A)를 40 - 90 질량%, 성분 (B)를 5 - 50 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A)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및 트리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스테르 화합물;
    (B) 융점이 70 - 130℃인 탄화수소 왁스;
    (C)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D) 평균중합도가 3 - 20인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과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
    (E)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가 폴리에틸렌왁스, 파라핀왁스, 세레신 및 오조케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탄화수소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이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펜타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5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이 디펜타에리스리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및 상기 성분 (D)의 에스테르화에 사용되는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의 평균중합도가 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유도체의 수산기가가 5 - 70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머디리놀산 유도체가 다이머디리놀산 및 수첨 다이머디리놀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이고, 상기 알코올이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C4 - C22의 1가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이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27023926A 2010-03-25 2011-03-17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KR101877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0136 2010-03-25
JP2010070136 2010-03-25
PCT/JP2011/056380 WO2011118497A1 (ja) 2010-03-25 2011-03-17 ワセリン様組成物、及び化粧料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966A Division KR20170046813A (ko) 2010-03-25 2011-03-17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240A true KR20130018240A (ko) 2013-02-20
KR101877064B1 KR101877064B1 (ko) 2018-07-10

Family

ID=446730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926A KR101877064B1 (ko) 2010-03-25 2011-03-17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KR1020177010966A KR20170046813A (ko) 2010-03-25 2011-03-17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966A KR20170046813A (ko) 2010-03-25 2011-03-17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05808A1 (ko)
EP (1) EP2550954B1 (ko)
JP (1) JP5859428B2 (ko)
KR (2) KR101877064B1 (ko)
CN (1) CN102821743B (ko)
WO (1) WO2011118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122B1 (ko) 2016-07-19 2017-04-06 주식회사 효성엘비데크 강합성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3271B2 (en) * 2015-08-17 2019-11-12 Zhejia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filament module and LED light bulb
EP2778217B1 (en) * 2011-11-07 2020-07-01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Composition for cleansing agent and cleansing agent
KR101452769B1 (ko) 2012-09-25 2014-10-21 지준홍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갖는 자일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502099A (ja) * 2016-12-16 2020-01-23 アーアーコー アーベー(パブリーク)Aak Ab(Publ) ペトロラタム代替調合物
TWI823851B (zh) * 2017-05-30 2023-12-01 日商花王股份有限公司 油中水型乳化組成物
US20200129390A1 (en) * 2017-05-30 2020-04-30 Kao Corporation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
CA3203712A1 (en) * 2021-01-05 2022-07-14 Emmanuel Paul Jos Marie Everaert Natural oil-based petrolatu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40082140A1 (en) * 2021-01-05 2024-03-14 Cargill, Incorporated Natural oil-based petrolatum and method of making same
EP4274547A1 (en) * 2021-01-05 2023-11-15 Cargill, Incorporated Natural oil-based petrolatu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40009109A1 (en) * 2021-01-05 2024-01-11 Cargill, Incorporated Natural oil-based petrolatum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23060376A1 (en) * 2021-10-11 2023-04-20 L'oreal Petrolatum substitut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969A (en) * 1973-07-13 1976-05-18 Shiseeido Co., Ltd. Cosmetic stick comprising water-in-oil emulsion
JP2000204032A (ja) * 1999-01-13 2000-07-25 Ajinomoto Co Inc 化粧料、皮膚外用剤
JP4124392B2 (ja) * 1999-12-02 2008-07-23 株式会社資生堂 口紅用組成物
JP3826057B2 (ja) * 2001-11-27 2006-09-27 日本精化株式会社 ラノリン類似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2003212747A (ja) 2002-01-15 2003-07-30 Nisshin Oillio Ltd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JP2003286128A (ja) * 2002-03-28 2003-10-07 Tokiwa Corp 鉛筆型化粧品
JP2004250416A (ja) * 2003-02-17 2004-09-09 Takashi Yokota 透明性基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WO2006080389A1 (ja) * 2005-01-28 2006-08-03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エステル化反応生成物及び化粧料
JP4799012B2 (ja) * 2005-03-10 2011-10-19 株式会社 資生堂 油性固型化粧料
US7824663B2 (en) * 2005-03-10 2010-11-02 Kokyu Alcohol Kogyo Co., Ltd. Lip gloss composition
JP4896566B2 (ja) * 2006-03-31 2012-03-14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化粧料
US7993631B2 (en) * 2006-04-14 2011-08-09 Kokyu Alcohol Kogyo Co., Ltd. Oil base and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same
JP2010070136A (ja) 2008-09-19 2010-04-0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122B1 (ko) 2016-07-19 2017-04-06 주식회사 효성엘비데크 강합성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0954A4 (en) 2015-08-05
CN102821743A (zh) 2012-12-12
KR101877064B1 (ko) 2018-07-10
JP5859428B2 (ja) 2016-02-10
WO2011118497A1 (ja) 2011-09-29
EP2550954A1 (en) 2013-01-30
KR20170046813A (ko) 2017-05-02
JPWO2011118497A1 (ja) 2013-07-04
US20130005808A1 (en) 2013-01-03
EP2550954B1 (en) 2020-03-04
CN102821743B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8240A (ko) 바셀린 모양의 조성물 및 화장료
KR101259529B1 (ko) 액상 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2402508B1 (ko) 고형 분말 화장료
US7956181B2 (en) Trehalose fatty acid ester composition
WO2003059315A1 (fr) Preparation d'une emulsion a phase continue huileuse a usage cutane externe
JP5230975B2 (ja) アルキレンオキシド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20090943A (ko) 화장료 조성물, 화장료,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이층 분리형 화장료
KR101939428B1 (ko) 화장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JP4188249B2 (ja) 微粒子分散剤及び該分散剤を含有する化粧料、塗料、インキ、記憶材料及び潤滑剤
JP4188248B2 (ja) 微粒子分散剤及び該分散剤を含有する化粧料、塗料、インキ、記憶材料及び潤滑剤
JP5554985B2 (ja) 化粧料用組成物、化粧料及び当該化粧料の製造方法
JP5842280B2 (ja) トレハロース脂肪酸エステル組成物
JP5121527B2 (ja) 皮膚外用剤
JP5260103B2 (ja) 皮膚外用剤
JP2005272454A (ja) 皮膚外用剤
JP7316907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10100555A (ja) ゲル状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9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1

Effective date: 201805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