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249A - 활성 물질 및 폴리알킬렌옥시드 비닐에스테르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활성 물질 및 폴리알킬렌옥시드 비닐에스테르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249A
KR20130016249A KR1020127026051A KR20127026051A KR20130016249A KR 20130016249 A KR20130016249 A KR 20130016249A KR 1020127026051 A KR1020127026051 A KR 1020127026051A KR 20127026051 A KR20127026051 A KR 20127026051A KR 20130016249 A KR20130016249 A KR 20130016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roup
polymeric additive
active substanc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라 엘. 브래셔
마이클 디. 카프라코타
소니아 패터슨
무라트 메르토글루
마크 놀테
스테판 벡텔
크리스틴 클랍파크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3001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2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61,3,5-Triazines, not hydrogenated and not substituted at the ring nitrogen atoms
    • A01N43/681,3,5-Triazines, not hydrogenated and not substituted at the ring nitrogen atoms with two or three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01N43/70Diamino—1,3,5—triazines with only one oxygen, sulfur or halogen atom or only one cyano, thiocyano (—SCN), cyanato (—OCN) or azido (—N3)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ring carbon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0Derivatives containing the group >N—CO—N aryl or >N—CS—N—ary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 및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화학식 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10개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R1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카르보닐 기, 히드록실 기, 에테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2는 C1-C10 탄화수소 기이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또한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A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이다.

Description

활성 물질 및 폴리알킬렌옥시드 비닐에스테르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AN ACTIVE SUBSTANCE AND A POLYALKYLENEOXIDE VINYLESTER GRAFT POLYM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활성 물질 및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조성물 중 활성 물질의 성능 및/또는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다수의 응용에 유용하다. 유용한 조성물의 한 구체적인 예는 활성 물질로 살충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이다. 일부 경우에, 농약 조성물은 살충 활성 성분을 물로 희석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농약 조성물은 식물에 적용됨으로써 상기 살충 활성 성분을 전달한다.
특히 살충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성능 및 안정성이 일반적으로 문제가 된다. 더 나아가서, 적용 이전 저장 및 온도 순환은 일반적으로 조성물 중 활성 물질의 안정성과 관련된 문제를 악화시키므로, 그러한 조성물 중 활성 물질의 저장 및 냉동/해동 안정성을 개선하여 활성 물질과 조성물 사이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계속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활성 물질의 안정성과 관련된 문제는 다수의 활성 물질의 경우 오스트발트 성장(Ostwald ripening)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오스트발트 성장은 조성물 중 일부 활성 물질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현상이다. 다수의 활성 물질이 오스트발트 성장을 나타내지 않지만, 오스트발트 성장은 조성물이 연속적 수성 층 및 상기 연속적 수성 층을 통해 운반성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일부의 상황 하에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스트발트 성장은, 큰 입자들이 작은 입자들보다 에너지 면에서 더 유리하기 때문에, 작은 입자들이 큰 입자들 중에 포함되는 메카니즘을 통해 진행된다. 오스트발트 성장으로 인한 입자 크기 성장은 일반적으로 조성물 중 활성 물질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데, 그 이유는 큰 입자들이 일반적으로 조성물로부터 더 쉽게 침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오스트발트 성장은 일반적으로 활성 물질을 연속적 수성 층 내로 용해시킴으로써 촉진되는데, 이는 활성 물질의 수용해도가 낮은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물질의 높은 수용해도는 오스트발트 성장이 가능한 활성 물질에 대한 오스트발트 성장의 발생률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그리고 다수의 살충 활성 성분이 오스트발트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수의 수성-기재 농약 조성물은 100 ppm 미만의 비교적 낮은 수용해도를 갖는 살충 활성 성분을 사용한다.
오스트발트 성장이 가능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여,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첨가제의 예는 폴록사머 및 모르웨트(Morwet)? D425 및 근간에 개발된 아트록스(Atlox)? 4913과 같은 산업 벤치마크를 포함한다. 모르웨트? D425는 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이고, 아트록스? 4913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 단위의 골격 및 메톡시 기로 보호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측쇄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아트록스? 4913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조성물에 포함된 활성 물질의 성능을 증가시키고/거나 안정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아트록스? 4913만큼 또는 그를 능가하게 기능하는 신규의 첨가제를 개발하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신규의 첨가제에 의한 오스트발트 성장 억제를 개선하는 것은, 조성물에 포함된 것들의 충분한 안정성이 여전히 수득될 수 있도록 하면서, 조성물에 더욱 수용성인 활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높은 안정성 외에도, 특히 살충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활성 물질의 높은 성능이 일반적으로 문제가 된다. 일반적으로, 높은 성능 뿐만 아니라 높은 안정성이 동시에 수득되어야 한다.
발명의 개요 및 이점
본 발명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 및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는
1) 하기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 및
2) 하기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하기 화학식 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10개를 포함한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카르보닐 기, 히드록실 기, 에테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2는 C1-C10 탄화수소 기이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A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 기이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활성 물질 및 중합체성 첨가제를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성능 및 안정성을 나타낸다. 사실, 상기 조성물의 성능 및 안정성은 벤치마크 첨가제 모르웨트? D425 또는 아트록스? 4913이 사용될 경우 수득되는 성능 및 안성성에 필적할 만하며, 어떤 상황 하에서는 더 나은 결과가 수득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 및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활성 물질은 전형적으로, 생물학적 활성 물질, 즉 생물에 나쁜 영향 또는 유익한 영향을 갖는 것들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하듯이, 활성 물질은 또한 연속적 수성 층을 통하여 운반이 가능한 임의의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오스트발트 성장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활성 물질은 생물학적 활성 물질 또는 연속적 수성 층을 통하여 운반성 물질에 국한되지 않음이 잘 인식되어야 한다. 활성 물질은 액체 또는 고체 입자 형태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활성 물질은 수용성, 수불용성, 부분적 수용성, 오일-용해성, 오일-불용성 및 그의 조합일 수 있다. 부분적 수용성인 활성 물질의 예는 -15℃ 내지 54℃의 온도에서 500 ppm 이하의 낮은 수용해도를 갖는 활성 물질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활성 물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이 잘 인식되어야 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활성 물질은 부분적으로 수용성인 살충 활성 성분의 고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활성 물질은 오일-용해성 이며 수불용성인 액체 살충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이 살충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그 조성물을 식물에 적용함으로써 식물을 처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진균 및/또는 원치 않는 식물의 성장 및/또는 원치 않는 곤충 또는 진드기의 공격을 방제하기 위한 및/또는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정 해충, 그의 서식지 또는 특정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 토양 및/또는 원치 않는 식물 및/또는 유용한 식물 및/또는 그의 서식지에 작용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활성 성분은 살충 활성 성분(살충제라고도 함)이다. 살충제라는 용어는 살진균제, 살곤충제, 살선충제, 제초제, 독성완화제 및/또는 성장 조절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살충제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살충제는 살진균제, 살곤충제, 제초제 및 성장 조절제이다. 특히 바람직한 살충제는 살진균제이다. 상기 언급된 부류 중 2종 이상의 살충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예를 들어 문헌 [Pesticide Manual, 14th Ed. (2006),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London]에서 찾아볼 수 있는 그러한 살충제에 익숙하다.
적합한 살충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스트로빌루린
- 아족시스트로빈,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리벤카르브, 트리플록시스트로빈, 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및 2-(2-(3-(2,6-디클로로페닐)-1-메틸알릴리덴아미녹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아세트아미드;
B) 카르복스아미드
- 카르복사닐리드: 베날락실, 베날락실-M, 베노다닐, 빅사펜, 보스칼리드, 카르복신, 펜푸람, 펜헥사미드, 플루톨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메트피르, 이소피라잠, 이소티아닐, 키랄락실, 메프로닐,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페녹삼), 오푸라세, 옥사딕실, 옥시카르복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테클로프탈람, 티플루자미드, 티아디닐, 2-아미노-4-메틸티아졸-5-카르복사닐리드, N-(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및 N-(2-(1,3,3-트리메틸부틸)페닐)-1,3-디메틸-5-플루오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 카르복실 모르폴리드: 디메토모르프, 플루모르프, 피리모르프;
- 벤조산 아미드: 플루메토버, 플루오피콜리드, 플루오피람, 족사미드;
- 기타 카르복스아미드: 카르프로파미드, 디시클로메트, 만디프로아미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실티오팜 및 N-(6-메톡시피리딘-3-일)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아미드;
C) 아졸
- 트리아졸: 아자코나졸, 비테르타놀, 브로무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에폭시코나졸, 펜부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헥사코나졸, 이미벤코나졸, 이프코나졸, 메트코나졸, 미클로부타닐,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펜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티코나졸, 우니코나졸;
- 이미다졸: 시아조파미드, 이마잘릴, 페푸라조에이트, 프로클로라즈, 트리플루미졸;
- 벤즈이미다졸: 베노밀, 카르벤다짐, 푸베리다졸, 티아벤다졸;
- 기타: 에타복삼, 에트리디아졸, 히멕사졸 및 2-(4-클로로-페닐)-N-[4-(3,4-디메톡시페닐)이속사졸-5-일]-2-프로프-2-이닐옥시아세트아미드;
D)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 피리딘: 플루아지남, 피리페녹스,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이속사졸리딘-3-일]피리딘, 3-[5-(4-메틸페닐)-2,3-디메틸이속사졸리딘-3-일]피리딘;
- 피리미딘: 부피리메이트, 시프로디닐, 디플루메토림, 페나리몰, 페림존, 메파니피림, 니트라피린, 누아리몰, 피리메타닐;
- 피페라진: 트리포린;
- 피롤: 펜피클로닐, 플루디옥소닐;
- 모르폴린: 알디모르프, 도데모르프, 도데모르프-아세테이트, 펜프로피모르프, 트리데모르프;
- 피페리딘: 펜프로피딘;
- 디카르복스이미드: 플루오로이미드,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 비방향족 5-원 헤테로사이클: 파목사돈, 페나미돈, 플루티아닐, 옥틸리논, 프로베나졸, 5-아미노-2-이소프로필-3-옥소-4-오르토-톨릴-2,3-디히드로-피라졸-1-카르보티오산 S-알릴 에스테르;
- 기타: 아시벤졸라르-S-메틸, 아메톡트라딘, 아미술브롬, 아닐라진, 블라스티시딘-S, 캅타폴, 캅탄, 키노메티오나트, 다조메트, 데바카르브, 디클로메진, 디펜조쿼트, 디펜조쿼트-메틸술페이트, 페녹사닐, 폴페트 (Folpet), 옥솔린산, 피페랄린, 프로퀴나지드, 피로퀼론, 퀴녹시펜, 트리아족시드, 트리시클라졸, 2-부톡시-6-요오도-3-프로필크로멘-4-온, 5-클로로-1-(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2-메틸-1H-벤조이미다졸 및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E) 카르바메이트
- 티오- 및 디티오카르바메이트: 페르밤, 만코젭, 마넵, 메탐, 메타술포카르브, 메티람, 프로피넵, 티람, 지넵, 지람;
- 카르바메이트: 벤티아발리카르브, 디에토펜카르브, 이프로발리카르브, 프로파모카르브, 프로파모카르브 히드로클로리드, 발리페날레이트 및 N-(1-(1-(4-시아노페닐)에탄술포닐)부트-2-일) 카르밤산-(4-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F) 기타 활성 물질
- 구아니딘: 구아니딘, 도딘, 도딘 유리 염기, 구아자틴, 구아자틴-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 항생물질: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수화물, 스트렙토마이신, 폴리옥신, 발리다마이신 A;
- 니트로페닐 유도체: 비나파크릴, 디클로란, 디노부톤, 디노캅, 니트로탈-이소프로필, 테크나젠,
- 유기금속 화합물: 펜틴 염, 예컨대 펜틴-아세테이트, 펜틴 클로라이드 또는 펜틴 히드록시드;
- 황-함유 헤테로시클릴 화합물: 디티아논, 이소프로티올란;
- 유기인 화합물: 에디펜포스, 포세틸, 포세틸-알루미늄, 이프로벤포스, 아인산 및 그의 염, 피라조포스, 톨클로포스-메틸;
- 유기염소 화합물: 클로로탈로닐,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로로펜, 플루술파미드, 헥사클로로벤젠, 펜시쿠론, 펜타클로르페놀 및 그의 염, 프탈리드, 퀸토젠, 티오파네이트-메틸, 톨릴플루아니드, N-(4-클로로-2-니트로-페닐)-N-에틸-4-메틸-벤젠술폰아미드;
- 무기 활성 물질: 보르도 (Bordeaux) 혼합물, 아세트산 구리, 수산화 구리, 옥시염화 구리, 염기성 황산 구리, 황;
- 항진균 생물방제제, 식물 생활성물질: 암펠로미세스 퀴스콸리스(Ampelomyces quisqualis)(예, 독일 인트라켐 비오 게엠베하 엔 코. 카게(Intrachem Bio GmbH & Co. KG)의 제품인 AQ 10?),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Aspergillus flavus(예, 스위스 신젠타(Syngenta)의 제품인 아플라가드(AFLAGUARD)?),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룰란스(Aureobasidium pullulans)(예, 독일 비오-펌(bio-ferm) 게엠베하의 제품인 보텍터(BOTECTOR)?), 바실루스 푸밀리우스(Bacillus pumilius)(예, 미국 파. 아그라케스트 인크.(Fa. AgraQuest Inc.)의 제품인 랩소디(RHAPSODY)?, 세레나데(SERENADE)? 맥스(MAX) 및 세레나데? 아소(ASO)),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변종 아밀로리케파시엔(Bacillus subtilis var. amyloliquefaciens) FZB24(예, 미국 노보자임 바이올로지칼즈 인크.(Novozyme Biologicals, Inc.)의 제품인 태그로(TAEGRO)?), 칸디다 올레오필라(Candida oleophila) I-82(예, 미국 에코겐 인크.(Ecogen Inc.)의 제품인 아스파이어(ASPIRE)?), 칸디다 사이토아나(Candida saitoana)(예, 미국 마이크로 플로 캄파니(Micro Flo Company)(바스프 에스이(BASF SE)) 및 아리스타(Arysta)의 제품인 바이오큐어(BIOCURE)? (라이소자임과의 혼합물) 및 바이오코트(BIOCOAT)?), 키토산(예, 뉴질랜드 보트리젠(BotriZen)의 제품인 아무르젠(ARMOUR-ZEN)), 글리오클라디움 카테눌라툼(Gliocladium catenulatum)이라고도 하는 클로노스타키스 로제아 에프. 카테눌라타(Clonostachys rosea f. catenulata))(예, 핀란드 버데라(Verdera)의 제품인 단리물 J1446: 프리스탑(PRESTOP)?), 코니오티리움 미니탄스(Coniothyrium minitans)(예, 독일 프로피타(Prophyta)의 제품인 콘탄스(CONTANS)?), 크리포넥트리아 파라지티카(Cryphonectria parasitica)(예, 프랑스 CNICM의 제품인 엔도티아 파라지티카(Endothia parasitica)), 크립토코쿠스 알비두스(Cryptococcus albidus)(예, 남아프리카의 앵커 바이오-테크놀로지스(Anchor Bio-Technologies)의 제품인 일드 플러스(YIELD PLUS)?),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예, 이탈리아 S.I.A.P.A.의 제품인 바이오폭스(BIOFOX)?, 프랑스 내추럴 플랜트 프로텍션(Natural Plant Protection)의 제품인 푸사클린(FUSACLEAN)?), 메취니코비아 프룩티콜라(Metschnikowia fructicola)(예, 이스라엘 아그로그린(Agrogreen)의 제품인 쉐머(SHEMER)?), 미크로도키움 디머룸(Microdochium dimerum)(예, 프랑스 아그록신(Agrauxine)의 제품인 안티보(ANTIBOT)?), 플레비옵시스 기간테아(Phlebiopsis gigantea)(예, 핀란드, 버데라의 제품인 로초프(ROTSOP)?), 슈도지마 플로쿨로사(Pseudozyma flocculosa)(예, 캐나다 플랜트 프러덕츠 코. 엘티디.(Plant Products Co. Ltd.의 제품인 스포로덱스(SPORODEX)?), 피티움 올리간드룸(Pythium oligandrum) DV74(예, 체코 공화국의 레메슬로(Remeslo) SSRO의 제품인 폴리베르숨(POLYVERSUM)?), 레이누트리아 사클리넨시스(Reynoutria sachlinensis)(예, 미국 마론 바이오이노베이션즈(Marrone BioInnovations)의 제품인 레갈리아(REGALIA)?), 탈라로미세스 플라부스(Talaromyces flavus) V117b(예, 독일 프로피타(Prophyta)의 제품인 프로투스(PROTUS)?), 트리코더마 아스페렐룸(Trichoderma asperellum) SKT-1(예, 일본 쿠미아이 케미칼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의 제품인 에코-호프(ECO-HOPE)?), 티. 아트로비리데(T. atroviride) LC52(예, 뉴질랜드 아그림 테크놀로지즈 엘티디(Agrimm Technologies Ltd)의 제품인 센티넬(SENTINEL)?), 티. 하르지아눔(T. harzianum) T-22(예, 미국 퍼마 바이오웍스 인크.(Firma BioWorks Inc.)의 제품인 플랜트쉴드(PLANTSHIELD)?), 티. 하르지아눔 TH 35(이스라엘 미콘트롤 엘티디.(Mycontrol Ltd.)의 제품인 루트 프로(ROOT PRO)?), 티. 하르지아눔 T-39(예, 이스라엘 미콘트롤 엘티디.의 제품인 트리코덱스(TRICHODEX)? 및 트리코더마(TRICHODERMA) 2000?), 티. 하르지아눔 및 티. 비리데(예, 뉴질랜드 아그림 테크놀로지즈 엘티디의 제품인 트리코펠(TRICHOPEL)), 티. 하르지아눔 ICC012 및 티. 비리데 ICC080(예, 이탈리아 이사그로 리체르카(Isagro Ricerca)의 제품인 레메디어(REMEDIER)? WP), 티. 폴리스포룸(T. polysporum) 및 티. 하르지아눔(예, 스웨덴 비납 바이오-이노베이션(BINAB Bio-Innovation AB)의 제품인 비납(BINAB)?), 티. 스트로마티쿰(T. stromaticum)(예, 브라질 C.E.P.L.A.C.의 제품인 트리코밥(TRICOVAB)?), 티. 비렌스(T. virens) GL-21(예, 미국 서티스 엘엘시(Certis LLC)의 제품인 소일가드(SOILGARD)?), 티. 비리데(예, 인도 에코센스 랩스 피비티. 엘티디.(Ecosense Labs. Pvt. Ltd.)의 제품인 트리코(TRIECO)?, 인도 티. 스테인즈 코. 엘티디.(T. Stanes & Co. Ltd.)의 제품인 바이오-큐어(BIO-CURE)? F), T. 비리데 TV1(예, 이탈리아 아그리비오텍 에스알엘(Agribiotec srl)의 제품인 T. 비리데 TV1), 울로클라디움 우데만시이(Ulocladium oudemansii) HRU3(예, 뉴질랜드 보트리-젠 엘티디.(Botry-Zen Ltd.)의 제품인 보트리-젠?);
- 기타: 비페닐, 브로노폴, 시플루펜아미드, 시목사닐, 디페닐아민, 메트라페논, 피리오페논, 밀디오마이신, 옥신-구리, 프로헥사디온-칼슘, 스피록사민, 테부플로퀸, 톨릴플루아니드, N-(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 아세트아미드, 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라닐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라닐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2-{1-[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티아졸-4-카르복실산 메틸-(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드, 2-{1-[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티아졸-4-카르복실산 메틸-(R)-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드, 메톡시아세트산 6-tert-부틸-8-플루오로-2,3-디메틸퀴놀린-4-일 에스테르 및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R)-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4-티아졸카르복스아미드.
G) 성장 조절제
- 아브시스산, 아미도클로르, 안시미돌, 6-벤질아미노푸린, 브라시놀리드, 부트랄린, 클로르메쿼트 (클로르메쿼트 클로라이드), 콜린 클로라이드, 시클라닐리드, 다미노지드, 디케굴락, 디메티핀, 2,6-디메틸푸리딘, 에테폰, 플루메트랄린, 플루르프리미돌, 플루티아세트, 포르클로르페누론, 기베렐산, 이나벤피드, 인돌-3-아세트산, 말레산 히드라지드, 메플루이디드, 메피쿼트 (메피쿼트 클로라이드), 나프탈렌아세트산, N-6-벤질아데닌, 파클로부트라졸, 프로헥사디온 (프로헥사디온-칼슘), 프로히드로자스몬, 티디아주론, 트리아펜테놀, 트리부틸 포스포로트리티오에이트, 2,3,5-트리요오도벤조산, 트리넥사팍-에틸 및 우니코나졸;
H) 제초제
- 아세트아미드: 아세토클로르, 알라클로르, 부타클로르, 디메타클로르, 디메텐아미드, 플루펜나세트, 메페나세트, 메톨라클로르, 메타자클로르, 나프로파미드, 나프로아닐리드, 페톡사미드, 프레틸라클로르, 프로파클로르, 테닐클로르;
- 아미노산 유도체: 빌라나포스,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술포세이트;
-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클로디나포프, 시할로포프-부틸, 페녹사프로프, 플루아지포프, 할록시포프, 메타미포프, 프로파퀴자포프, 퀴잘로포프, 퀴잘로포프-P-테푸릴;
- 비피리딜: 디쿼트, 파라쿼트;
- (티오)카르바메이트: 아술람, 부틸레이트, 카르베타미드, 데스메디팜, 디메피페레이트, 엡탐 (EPTC), 에스프로카르브, 몰리네이트, 오르벤카르브, 펜메디팜, 프로술포카르브, 피리부티카르브, 티오벤카르브, 트리알레이트;
- 시클로헥산디온: 부트록시딤, 클레토딤, 시클록시딤, 프로폭시딤, 세톡시딤, 테프랄록시딤, 트랄콕시딤;
- 디니트로아닐린: 벤플루랄린, 에탈플루랄린, 오리잘린, 펜디메탈린, 프로디아민, 트리플루랄린;
- 디페닐 에테르: 아시플루오르펜, 아클로니펜, 비페녹스, 디클로포프, 에톡시펜, 포메사펜, 락토펜, 옥시플루오르펜;
- 히드록시벤조니트릴: 보목시닐, 디클로베닐, 이옥시닐;
- 이미다졸린온: 이마자메타벤즈, 이마자목스, 이마자픽, 이마자피르, 이마자퀸, 이마제타피르;
- 페녹시 아세트산: 클로메프로프,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2,4-D), 2,4-DB, 디클로르프로프, MCPA, MCPA-티오에틸, MCPB, 메코프로프 (Mecoprop);
- 피라진: 클로리다존, 플루펜피르-에틸, 플루티아세트, 노르플루라존, 피리데이트;
- 피리딘: 아미노피랄리드, 클로피랄리드, 디플루페니칸, 디티오피르, 플루리돈, 플루록시피르, 피클로람, 피콜리나펜, 티아조피르;
- 술포닐 우레아: 아미도술푸론, 아짐술푸론, 벤술푸론, 클로리무론-에틸, 클로르술푸론, 시노술푸론, 시클로술파무론, 에톡시술푸론, 플라자술푸론, 플루세토술푸론, 플루피르술푸론, 포람술푸론, 할로술푸론, 이마조술푸론, 요오도술푸론, 메조술푸론, 메타조술푸론, 메트술푸론-메틸, 니코술푸론, 옥사술푸론, 프리미술푸론, 프로술푸론, 피라조술푸론, 림술푸론, 술포메투론, 술포술푸론, 티펜술푸론, 트리아술푸론, 트리베누론, 트리플록시술푸론, 트리풀루술푸론, 트리토술푸론, 1-((2-클로로-6-프로필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술포닐)-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
- 트리아진: 아메트린, 아트라진, 시아나진, 디메타메트린, 에티오진, 헥사지논, 메타미트론, 메트리부진, 프로메트린, 시마진, 터부틸아진, 터부트린, 트리아지플람;
- 우레아: 클로로톨루론, 다이무론, 디우론, 플루오메투론, 이소프로투론, 리누론, 메타벤즈티아주론, 테부티우론;
- 기타 아세토락테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비스피리박-소듐, 클로란술람-메틸, 디클로술람, 플로라술람, 플루카바존, 플루메트술람, 메토술람, 오르토-술파무론, 페녹스술람, 프로폭시카바존, 피리밤벤즈-프로필, 피리벤족심,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박-메틸, 피리미술판, 피리티오박, 피록사술폰, 피록스술람;
- 기타: 아미카바존, 아미노트리아졸, 아닐로포스, 베플루부타미드, 베나졸린, 벤카바존, 벤플루레세이트, 벤조페납, 벤타존, 벤조비시클론, 비시클로피론, 브로마실, 브로모부티드, 부타페나실, 부타미포스, 카펜스트롤, 카르펜트라존, 시니돈-에트릴, 클로르탈, 신메틸린, 클로마존, 쿠밀우론, 시프로술파미드, 디캄바, 디펜조쿼트, 디플루펜조피르,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 엔도탈, 에토푸메세이트, 에토벤자니드, 페녹사술폰, 펜트라자미드,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플루폭삼, 플루로클로리돈, 플루르타몬, 인다노판, 이속사벤, 이속사플루톨, 레나실, 프로파닐, 프로피자미드, 퀸클로락, 퀸메락, 메조트리온, 메틸아르손산, 나프탈람, 옥사디아르길, 옥사디아존, 옥사지클로메폰, 펜톡사존, 피녹사덴,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에틸, 피라술포톨, 피라족시펜, 피라졸리네이트, 퀴노클라민, 사플루페나실, 술코트리온, 술펜트라존, 터바실, 테푸릴트리온, 템보트리온, 티엔카바존, 토프라메존, (3-[2-클로로-4-플루오로-5-(3-메틸-2,6-디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3,6-디히드로-2H-피리미딘-1-일)페녹시]피리딘-2-일옥시)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6-아미노-5-클로로-2-시클로프로필피리미딘-4-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6-클로로-3-(2-시클로프로필-6-메틸페녹시)피리다진-4-올, 4-아미노-3-클로로-6-(4-클로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르복실산, 4-아미노-3-클로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피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및 4-아미노-3-클로로-6-(4-클로로-3-디메틸아미노-2-플루오로페닐)피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I) 살곤충제
- 유기(티오)포스페이트: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메틸,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클로르펜빈포스,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술포톤, 에티온,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틸파라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옥시데메톤-메틸, 파라옥손, 파라티온, 펜토에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포레이트,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티오포스, 술프로포스, 테트라클로빈포스, 터부포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 카르바메이트: 알라니카르브, 알디카르브, 벤디오카르브, 벤푸라카르브, 카르바릴, 카르보푸란, 카르보술판, 페녹시카르브, 푸라티오카르브, 메티오카르브, 메토밀, 옥사밀, 피리미카르브, 프로폭수르, 티오디카르브, 트리아자메이트;
- 피레트로이드: 알레트린, 비펜트린, 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시페노트린, 시퍼메트린, 알파-시퍼메트린, 베타-시퍼메트린, 제타-시퍼메트린, 델타메트린,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레레이트, 이미프로트린, 람다-시할로트린, 퍼메트린, 프랄레트린, 피레트린 I 및 II,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프로플루트린, 디메플루트린;
- 곤충 성장 조절제: a) 키틴 합성 억제제: 벤조일우레아: 클로르플루아주론, 시라마진,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디오페놀란, 헥시티아족스, 에톡사졸, 클로펜타진; b) 엑디손 길항제: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아자디라크틴; c) 유충 호르몬 유사체: 피리프록시펜, 메토프렌, 페녹시카르브; d) 지질 생합성 억제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매트;
- 니코틴계 수용체 작용제/길항제 화합물: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텐피람, 아세타미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1-(2-클로로티아졸-5-일메틸)-2-니트리미노-3,5-디메틸-[1,3,5]트리아지난;
- GABA 길항제 화합물: 엔도술판, 에티프롤, 피프로닐, 바닐리프롤, 피라플루프롤, 피리프롤, 5-아미노-1-(2,6-디클로로-4-메틸페닐)-4-술피나모일-1H-피라졸-3-카르보티오산 아미드;
- 마크로시클릭 락톤 살곤충제: 아바멕틴, 에마멕틴, 밀베멕틴, 레피멕틴, 스피노사드, 스피네토람;
- 미토콘드리아 전자 운반 억제제 (METI) I 살비제: 페나자퀸,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플루페네림;
- METI II 및 III 화합물: 아세퀴노실, 플루아시프림, 히드라메틸논;
- 언커플러 (uncoupler): 클로르페나피르;
- 산화성 포스포릴화 억제제: 시헥사틴, 디아펜티우론, 펜부타틴 옥시드, 프로파르가이트;
- 탈피 방해제 화합물: 크리오마진;
- 혼합 기능 산화효소 억제제: 피페로닐 부톡시드;
- 나트륨 채널 차단제: 인독사카르브, 메타플루미존;
- 기타: 벤클로티아즈, 비페나제이트, 카르타프, 플로니카미드, 피리달릴, 피메트로진, 황, 티오시클람, 플루벤디아미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시아지피르 (HGW86), 시에노피라펜, 플루피라조포스, 시플루메토펜, 아미도플루메트, 이미시아포스, 비스트리플루론 및 피리플루퀴나존.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살충제는 20℃에서 10 g/l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g/l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g/l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g/l 미만의 수용해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적합한 살충 활성 성분의 예는 아트라진,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일반적으로 상품명 디우론(Diuron)?으로 불림), 카르바릴, 테부코나졸, 클로로탈로닐, 옥시염화 구리, 카르벤다짐 및 메톨라클로르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살충제는 디페노코나졸, 메트라페논 및 디페노코나졸과 메트라페논의 혼합물이다.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든 활성 물질(들)의 총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60 중량% 이하, 또는, 10 내지 50 중량%, 또는, 20 내지 50 중량%이다. 이와 관련해서, 조성물은 최종 사용자 용도를 위해 의도되는 제제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활성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중합체성 첨가제와 관련된 유익은 전형적으로 많은 양의 활성 물질(들)을 갖는 조성물에서 현저하지만; 중합체성 첨가제와 관련된 유익은 또한 적은 양의 활성 물질(들)을 갖는 조성물에서도 구현된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하기 화학식 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10개를 포함한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카르보닐 기, 히드록실 기, 에테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2는 C1-C10 탄화수소 기이다. 존재하는 경우, R 및/또는 R1의 알킬 및/또는 아릴 기는 1가일 수 있음이 잘 인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C1 내지 C5 알킬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메틸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R은 수소 원자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수소 원자, 알킬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수소 원자이다. R2는 바람직하게는 C1-C5 탄화수소 기이다. R2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기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은 수소 원자, C1 내지 C5 알킬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은 수소 원자이며, R2는 메틸 기이다.
전형적으로, Z에 존재할 수 있는 화학식 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의 수는 10 내지 200, 또는 20 내지 100, 또는 30 내지 70, 또는 40 내지 60 단위이다. 전형적으로, 화학식 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는 중합체성 첨가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내지 75 중량%, 또는 55 중량% 내지 6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Z는 화학식 IV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각각의 R3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카르보닐 기, 히드록실 기, 에테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은 에스테르 기가 아니다. 존재하는 경우, Z에 존재할 수 있는 화학식 IV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의 수는 10 내지 200, 또는 20 내지 100, 또는 30 내지 70이다. 화학식 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및 존재하는 경우 화학식 IV는 Z 내에서 무작위로 또는 블럭별로 배치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Z는 20 몰% 단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 특히 0.5 몰% 이하의 화학식 VI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중합체성 첨가제에 존재하는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의 수는,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1 내지 30, 또는 1 내지 15, 또는 3 내지 10개이다.
중합체성 첨가제가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2개를 갖는 경우,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는 그의 구조로 인하여 "빗모양" 중합체라 불릴 수 있다. 중합체성 첨가제가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2개를 갖는 경우, 각 단위는 폴리에테르 골격을 따라 무작위로 또는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또한 하기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A는 2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 특히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 기이다. A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동일 또는 상이한 알킬렌옥시 기를 독립적으로 나타낸다. 적합한 알킬렌옥시 기의 예는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데센 옥시드 및 스티렌 옥시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A가 상이한 알킬렌옥시 기를 나타낼 경우, 상이한 알킬렌옥시 기는 폴리에테르 골격 내에 무작위로 또는 블럭별로 분포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A는 동일한 알킬렌옥시 기이고 A는 에틸렌 옥시드이다. 존재하는 경우, 중합체성 첨가제에 존재할 수 있는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의 수는 10 내지 150 또는 25 내지 80개이다.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의 수 및 존재하는 경우 화학식 III이 중합체성 첨가제에서 사슬 길이를 실질적으로 조절한다. 또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의 수, 뿐만 아니라 Z에 존재하는 단위의 수, 및 화학식 IV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의 수가 중합체성 첨가제의 수평균 분자량을 실질적으로 조절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성 첨가제는 5,000 내지 200,000 g/mol, 또는 15,000 내지 50,000 g/mol의 분자량 Mn을 갖는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히드록시 기로 종결되거나 하나의 또는 양쪽 말단의 OH 기 위에 알킬화될 수 있다. 적합한 알킬 라디칼은 분지를 갖거나 갖지 않는 C1- 내지 C22-알킬 라디칼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첨가제는 히드록시 기로 종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성 첨가제는
1)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여기서,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화학식 II(여기서, 각각의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C1-C5 탄화수소 기임)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10개를 포함함); 및
2)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여기서 A는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 기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성 첨가제는
1)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여기서, 각각의 R은 수소 원자이고; Z는 화학식 II(여기서, 각각의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메틸임)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10개를 포함함); 및
2)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여기서 A는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 기임)를 포함한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그라프트 중합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하다. 유리한 방법은 예를 들어 WO 2007/138053, 5면 14행부터 10면 25행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0.5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전형적으로 존재한다. 또는,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0, 또는 0.5 내지 5, 또는 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해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성 첨가제의 양은 활성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통상적으로 5 내지 1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중량%의 범위이다.
특정 이론에 구애되지 않고, 중합체성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특정 활성 물질(들)에 따라 조성물에 포함된 활성 물질의 성능을 증가시키고/거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다 특히,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는 활성 물질 주위를 감싸서 활성 물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에 더 상세히 논하는 바와 같이, 중합체성 첨가제는 연속적 수성 층을 통해 운반될 수 있는 임의의 활성 물질(들)을 안정화함으로써 오스트발트 성장을 초래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활성 물질 및 중합체성 첨가제 외에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습윤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조성물의 냉동/해동 안정성을 개선할 목적의 부동액; 소포제; 크산탄 검과 같은 침강 방지제; 살생물제; 및 상기 언급된 첨가제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습윤제, 계면활성제 및 유화제는 선택적임이 잘 인식되어야 한다. 적합한 습윤제의 예는 알콜 알콕실레이트,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들을 포함한다. 알콜 알콕실레이트의 예는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으로부터 시판되는 루텐솔(Lutensol)? XL 및 루텐솔? XP 제품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의 예는 바스프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시판되는 플루리올(Pluriol)? WSB 125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예는 악조노벨(AkzoNobel)로부터 시판되는 모르웨트? D425이다. 모르웨트? D425는 공지된 첨가제이지만, 그의 공지된 습윤 성질 때문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모르웨트? D425는 주로 습윤제로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이 습윤제를 더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습윤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습윤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더욱 전형적으로는 1 내지 5, 가장 전형적으로는 2 내지 4%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예는 칼슘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의 예는 전술한 것과 같은 알콜 알콕실레이트와 같은 비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부가의 성분이 조성물의 총 중량으로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더욱 전형적으로 1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활성 물질이 용매 성분으로 희석되어 조성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용매 성분은 물, 수-혼화성 액체, 오일, 오일-혼화성 액체,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트알데히드, 다른 공지의 담체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는, 오일 및 오일-혼화성 구성성분보다 많은 물 및 수-혼화성 구성성분이 존재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용매 성분은 연속적 수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될 경우, 용매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10 내지 75 중량%, 또는 10 내지 60 중량%, 또는 20 내지 50 중량%, 또는 3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활성 물질은 살충제이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농약 조성물이다. 상기 농약 조성물은 또한 농약 조성물에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보조제는 특정의 적용 형태 및 활성 물질에 각각 의존한다. 적합한 보조제의 예는 용매, 고체 담체, 분산제 또는 유화제 (예컨대 추가의 가용화제, 보호 콜로이드, 계면활성제 및 접착제), 유기 및 무기 증점제, 살균제, 부동액 또는 소포제이다.
농약 조성물을 위해 적합한 용매는 물, 중간 내지 높은 비점의 무기 오일 분획과 같은 유기 용매, 예컨대 케로센 또는 디젤 오일, 뿐만 아니라 석탄 타르 오일 및 식물 또는 동물 근원의 오일, 지방족, 시클릭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파라핀,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알킬화 나프탈렌 또는 그의 유도체,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시클로헥산올, 글리콜, 케톤, 예컨대 시클로헥산온 및 감마-부티로락톤, 지방산 디메틸아미드,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 및 강한 극성 용매, 예를 들어 N-메틸피롤리돈과 같은 아민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물을 포함한다. 농약 조성물의 물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중량%이다. 상기 조성물은 80 중량% 이하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을 위해 적합한 계면활성제(아주반트, 습윤제, 점착부여제, 분산제 또는 유화제)는 방향족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늄 염, 예컨대 리그닌술폰산 (노르웨이 보레가드(Borregard)의 보레스퍼스(Borresperse)? 유형), 페놀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미국 악조 노벨의 모르웨트? 유형),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 (독일 바스프의 네칼(Nekal)? 유형), 및 지방산,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라우릴에테르 술페이트, 지방 알콜 술페이트, 및 술페이트화 헥사-, 헵타- 및 옥타데칸올레이트, 술페이트화 지방 알콜 글리콜 에테르, 또한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과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에톡실화 이소옥틸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알킬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트리부틸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트리스테아릴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알콜, 알콜 및 지방 알콜/에틸렌 옥시드 축합물, 에톡실화 피마자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에톡실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탈,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파이트 폐액 및 단백질, 변성 단백질, 다당류 (예, 메틸셀룰로스), 소수성으로 개질된 전분, 폴리비닐 알콜(스위스 클래리언트(Clariant)의 모비올(Mowiol)? 유형), 폴리카르복실레이트 (독일 바스프의 소콜란(Sokolan)? 유형), 폴리알콕실레이트, 폴리비닐아민 (독일 바스프의 루파솔(Lupasol)? 유형),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의 공중합체이다.
농약 조성물을 위한 증점제(즉, 조성물에 조절된 유동성을 부여하는 화합물, 즉 정적인 조건 하에 높은 점도 및 요동 도중 낮은 점도)의 예는 다당류 및 유기 및 무기 클레이, 예컨대 크산탄 검(미국 씨피 켈코(CP Kelco)의 켈잔(Kelzan)?), 로도폴(Rhodopol)? 23 (프랑스의 로디아 (Rhodia)), 비검 (Veegum)? (미국 알티 반더빌트 (R.T. Vanderbilt)) 또는 애터클레이(Attaclay)?(미국 뉴저지주의 엥겔하드 코포레이션 (Engelhard Corp.))이다. 농약 조성물용 살균제가 조성물의 보존 및 안정화를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살균제의 예는 디클로로펜 및 벤질알콜 헤미포르말을 기재로 하는 것들(ICI의 제품인 프록셀(Proxel)? 또는 토르 케미(Thor Chemie)의 제품인 악티시드(Acticide)? 및 롬 앤드 하스(Rohm & Haas)의 제품인 캐톤(Kathon)?) 및 이소티아졸린온 유도체, 예컨대 알킬이소티아졸린온 및 벤즈이소티아졸린온(토르 케미의 제품인 액티시드? MBS)이다. 농약 조성물을 위해 적합한 부동액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우레아 및 글리세린이다. 농약 조성물을 위한 소포제의 예는 실리콘 에멀젼(예컨대 독일 바커(Wacker)의 실리콘(Silikon)? SRE 또는 프랑스 로디아의 로도르실 (Rhodorsil?)), 장쇄 알콜, 지방산, 지방산의 염, 플루오로유기 화합물 및 그의 혼합물이다.
활성 물질로 살충제를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은 농약 조성물을 위한 임의의 공지된 제제 유형, 예를 들어 용액, 에멀젼, 현탁액, 산분, 분말, 페이스트 및 과립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농약 조성물은 현탁액이다. 제제 형태는 특정의 의도된 목적에 의존하며; 각 경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정교하고 균일한 분포를 보장해야 한다.
제제 형태의 예는 수용성 또는 습윤성일 수 있는 현탁액(SC, OD, FS), 유화성 농축액 (EC), 에멀젼 (EW, EO, ES), 페이스트, 파스틸, 습윤성 분말 또는 산분 (WP, SP, SS, WS, DP, DS) 또는 과립(GR, FG, GG, MG), 또한 종자와 같은 식물 번식 물질의 처리를 위한 겔 제제(GF)이다. 통상적으로 제제 형태(예, SC, OD, FS, EC, WG, SG, WP, SP, SS, WS, GF)는 희석되어 사용된다. DP, DS, GR, FG, GG 및 MG와 같은 조성물 형태는 통상적으로 희석되지 않고 사용된다. 바람직한 제제 형태는 현탁액, 예를 들어 SC이다.
농약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 중량%의 살충제를 포함한다. 살충제는 9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NMR 스펙트럼에 따름)의 순도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농약 조성물은 분산액 (예, 에멀젼 또는 현탁액, 또는 유현탁액), 바람직하게는 현탁액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농약 조성물은 수성 분산액, 예컨대 수성 현탁액이다. 살충제는 고체, 액체 또는 용해된 것과 같은 임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살충제는 고체 형태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현탁된 고체 입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현탁된 살충제의 평균 입자 크기는 동적 광 산란에 의해 측정할 때 전형적으로 2.0 μm 미만이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5%이다.
액체 농약 조성물의 점도는 통상적으로 10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7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mPas 이하, 특히 400 mPas 이하이다 (식량 농업 기구(FAO) MT 192의 명세에 따라 측정).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메트라페논, 디페노코나졸, 및
1)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여기서,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알킬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화학식 II(여기서, 각각의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C1-C5 탄화수소 기임)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10개를 포함함); 및
2)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여기서 A는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 기임)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살충제, 및
1)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여기서,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알킬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화학식 II(여기서, 각각의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C1-C5 탄화수소 기임)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10개를 포함함); 및
2)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여기서 A는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 기임)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분산액(예, 에멀젼, 현탁액, 유현탁액)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활성 물질이 살충제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상기 살충제의 살충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첨가제의 양은 살충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0 중량%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활성 물질이 살충제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식물 상에서의 상기 살충제의 체류를 증진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오스트발트 성장
한 실시양태에서, 활성 물질은 고체 입자 형태이고, 존재하는 경우, 연속적 수성 층을 통해 운반되어 오스트발트 성장을 초래할 수 있다. 오스트발트 성장이 가능한 활성 물질을 이후 본원에서 "O.R. 물질"이라 한다. 한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O.R. 물질, 상기 O.R. 물질을 희석하기 위해 연속적 수성 층을 포함하는 용매 성분, 및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상기 특정 실시양태를 본원에서 이후 "현탁액 조성물"이라 칭하며,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오일 및 오일-혼화성 성분도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성물은 기술용어로 유현탁액이라 칭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인식되어야 한다. 그러나, 간단히 하기 위해, "현탁액 조성물"을 현탁액 또는 유현탁액이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O.R. 물질은 연속적 수성 층을 통해 운반가능한 임의의 물질을 포함하여, 현탁액 조성물에서 O.R. 물질의 오스트발트 성장을 초래할 수 있다. 오스트발트 성장은 유체에 분산된 입자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기 변화가 일어나는 열역학적으로 구동되는 자발적인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큰 입자는 작은 입자보다 에너지 면에서 유리하다. 그 결과, 표면 분자가 작은 입자로부터 탈착되고, 일반적으로 확산에 의해 유체를 통해 운반되고, 더 큰 입자 내로 포함된다. 큰 입자는 시간 경과에 따라 크기가 더 증가하므로, 유체로부터 침강하는 입자의 발생이 증가한다. 오스트발트 성장은 주어진 현탁액 조성물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따르는 입자 크기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쉽게 관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오스트발트 성장이 가능한 물질은 40℃에서 28일 동안 현탁액 조성물을 저장한 후, 또는 상기 현탁액 조성물의 -15℃ 내지 +5℃ 범위의 온도에서 7일 동안 냉동-해동 주기 후에 적어도 0.1 마이크로미터의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의 증가를 나타낸다. 온도가 증가하면 오스트발트 성장의 발생이 증가될 수 있음이 잘 인식되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현탁액 조성물 중 O.R. 물질은 연속적 수성 층에서 용해도를 갖는다. 그러나, O.R. 물질의 연속적 수성 층 중 용해도가 너무 높을 경우, O.R. 물질의 분자는 상기 연속적 수성 층을 통해 너무 빨리 이동할 것이다. 그 결과, 오스트발트 성장이 제어하기에는 너무 높을 수 있고, 중합체성 첨가제가 상기 현탁액 조성물에 포함된 경우에도 상기 O.R. 물질이 연속적 수성 층으로부터 침강될 수 있다. 따라서, O.R. 물질은 전형적으로 부분적으로 수용성이고, -15℃ 내지 54℃의 온도에서 연속적 수성 층 중 500 ppm 이하, 전형적으로 10 내지 100 ppm의 낮은 용해도를 갖는다. 일부 경우에, 연속적 수성 층 중 O.R. 물질의 용해도는 100 ppm 내지 500 ppm이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기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탁액 조성물의 하나의 특별한 장점은, 종전에 알려진 현탁액 조성물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경험되는 오스트발트 성장을 제한하면서, 연속적 수성 층에 100 ppm이 넘게 용해성인 O.R.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O.R. 물질은 전형적으로, 매스터사이저 (Mastersizer) 2000? 입자 크기 분석기로 측정할 때 1.5 내지 3.2 마이크로미터, 또는 1.5 내지 2.8 마이크로미터의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로 현탁액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O.R. 물질은 전형적으로 1.5 내지 2.2 마이크로미터의 초기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로 밀링된다. 전형적으로, O.R. 물질은 단일-방식인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단일-방식"이라는 용어는 입자 크기 분포 곡선(Y-축에는 부피 백분율, X-축에는 입자 크기) 위에서 하나의 분명하게 식별되는 최대값을 갖는 입자의 집합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재된 현탁액 조성물의 목적을 위해, "하나의 분명하게 식별되는 최대값"은 상기 입자 크기 분포 곡선 위에서 1.5 내지 3.2 마이크로미터에 전형적으로 위치한다. 뿐만 아니라, O.R. 물질 중 입자의 약 90%가 전형적으로 3.8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입자 크기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O.R. 물질은 전형적으로 10 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가 없다. O.R. 물질이 연속적 수성 층에서 용해도를 갖는다는 사실로 인하여, 상기 O.R.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현탁액 조성물 내에 용해될 수 있음이 잘 인식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O.R. 물질은 연속적 수성 층을 포함하는 현탁액 조성물에, 현탁액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60 중량% 이하, 또는 30 내지 55 중량%, 또는 4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탁액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최종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의도되는 제제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O.R.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O.R. 물질이 살충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살충제 성분일 경우, 상기 양으로 존재하는 O.R. 물질을 갖는 현탁액 조성물은, 추가의 물로 희석되어 수성-기재의 농약 조성물을 형성하고 이것이 나중에 최종 사용자에 의해 식물에 적용되는, 현탁 농축액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탁액 조성물은 전술한 것과 같은 중합체성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현탁액 조성물에 전형적으로 포함되는 O.R. 물질의 많은 양으로 인하여, 그리고 O.R. 물질의 비교적 수-불용성인 성질로 인하여, 중합체성 첨가제는 상기 현탁액 조성물의 연속적 수성 층 내에 O.R. 물질을 안정화할 목적으로 현탁액 조성물에 포함된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많은 양의 O.R. 물질을 갖는 현탁액 조성물에 전형적으로 포함되지만;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는 또한 적은 양의 O.R. 물질을 갖는 현탁액 조성물에서의 안정화를 위해서도 효과적이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이하에 상술하는 바 현탁성 시험을 통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산업 벤치마크 첨가제로서도 기능한다. 본 발명의 현탁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체성 첨가제는 또한 이하에 더욱 상세히 기재하는 바와 같이 현탁액 조성물 내 O.R. 물질의 오스트발트 성장을 억제하거나 제한하며, 그러한 오스트발트 성장의 억제는 일부 상황에서 산업 벤치마크 첨가제의 성능보다 더 효과적이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현탁액 조성물에서 O.R. 물질의 오스트발트 성장을 제한하기 충분한 양으로 상기 현탁액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O.R. 물질의 오스트발트 성장은 O.R.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 변화가 상기 현탁액 조성물을 40℃의 온도에서 28일 동안 저장 후, 또는 상기 현탁액 조성물의 -15℃ 내지 +5℃ 범위의 온도에서 7일 동안의 냉동-해동 주기 후, 1.2 마이크로미터 미만일 경우에 "제한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중합체성 첨가제는 상기 현탁액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든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이는 현탁액 조성물에서 O.R. 물질의 오스트발트 성장을 제한하기 충분한 양이다. 또는,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는 현탁액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0, 또는 0.5 내지 5.0, 또는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상기 현탁액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원에 기재된 중합체성 첨가제는 현탁액 조성물에 충분히 허용가능한 현탁가능 성질을 제공하고, 오스트발트 성장을 충분히 방지하여, 많은 경우에 추가의 침강방지제(존재할 수 있는 추가의 성분으로 위에 기재한)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현탁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특정 활성 물질에 따라, 상기 현탁액 조성물을 더 안정화하기 위해 현탁액 조성물에 침강방지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현탁액 조성물은 10.0 내지 60.0 중량%의 양의, 연속적 수성 층을 포함하는 용매 성분, 60.0 중량% 이하의 양의 O.R. 물질, 적어도 0.5%의 양의 중합체성 첨가제, 1.0 내지 20.0%의 양의 습윤제, 및 20.0 중량% 이하의 양의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양은 모두 현탁액 조성물의 총 중량으로 기준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현탁액 조성물은 30 내지 40 중량%의 양의, 연속적 수성 층을 포함하는 용매 성분, 40 내지 50 중량%의 양의 O.R. 물질, 1 내지 3%의 양의 중합체성 첨가제, 2 내지 4%의 양의 습윤제, 및 15 중량% 이하의 양의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양은 모두 현탁액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현탁액 조성물은 18 내지 72 중량%의 양의, 연속적 수성 층 및 오일을 포함하는 용매 성분, 5 내지 30 중량%의 양의 O.R. 물질, 5 내지 30 중량%의 양의 오일-용해성인 제2 활성 물질, 1 내지 5 중량%의 양의 중합체성 첨가제, 1 내지 5%의 양의 습윤제, 3 내지 7 중량%의 양의 유화제, 및 20 중량% 이하의 양의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양은 모두 현탁액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현탁액 조성물은 18 내지 72 중량%의 양의, 연속적 수성 층 및 오일을 포함하는 용매 성분, 15 내지 25 중량%의 양의 O.R. 물질, 15 내지 25 중량%의 양의 오일-용해성인 제2 활성 물질, 2 내지 4 중량%의 양의 중합체성 첨가제, 2 내지 3%의 양의 습윤제, 4 내지 6 중량%의 양의 유화제, 및 15 중량% 이하의 양의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양은 모두 현탁액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탁액 조성물에 특정 중합체성 첨가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다른 첨가제가 사용된 것에 비하여 현탄액 조성물 중 O.R. 물질을 이용할 때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된 오스트발트 성장이 관찰된다. 특정 이론에 구애되지 않고, 폴리에테르 골격이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로 하여금 활성 물질의 분자 및/또는 입자 주위를 감쌀 수 있게 하고, 그럼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라 활성 물질의 감소된 오스트발트 성장의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오스트발트 성장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성능은, 현탁액 조성물에 사용되도록 현재 허용가능한 것보다 높은 수용해도를 갖는 활성 물질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O.R.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의 변화는 상기 현탁액 조성물을 40℃의 온도에서 28일 동안 저장 후, 또는 상기 현탁액 조성물의 -15℃ 내지 +5℃ 범위의 온도에서 7일 동안의 냉동-해동 주기 후 전형적으로 2.0 미만, 더욱 전형적으로 1.2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다.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은 활성 물질 및 중합체성 첨가제를 용기 내에서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합의 단계는 용기 내에서 용매 성분을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합의 단계는 분쇄 매체를 활성 물질 및/또는 중합체성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와 용기 내에서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쇄 매체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합의 단계는 습윤제를 활성 물질 및/또는 중합체성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와 용기 내에서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조합의 단계는 분쇄 매체와 습윤제를 활성 물질 및/또는 중합체성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와 용기 내에서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전형적으로 에이거 (Eiger) 밀의 비드 쳄버이나, 상기 용기는 그렇지 않으면 유니온 프로세스 마찰기 시스템과 같은 마찰기의 혼합 용기일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전형적으로 밀링을 통해 활성 물질의 크기를 1.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까지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전형적으로 상기 활성 물질 및 중합체성 첨가제를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한 후에 수행된다. 활성 물질이 밀링 도중 분해되거나 용융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은 밀링 도중 전형적으로 냉각된다.
오스트발트 성장의 발생을 저지에 대하여 조성물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40℃의 온도에서 28일 동안 저장하거나 상기 조성물을 -15℃ 내지 +5℃의 온도에서 7일 동안 냉동-해동 주기 하에 둘 수 있으며, 그러한 조건 하에, 활성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 변화는 특정 상황 하에 조성물의 저장 또는 냉동-해동 주기 후 1.2 마이크로미터 미만일 수 있고, 이는 벤치마크 첨가제의 성능에 비하여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활성 물질의 오스트발트 성장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점은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이 우수한 안정성(예, 입자 크기, 점도에 있어서)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살충제의 살충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보조 효과는 조성물의 안정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얻어진다. 중합체성 첨가제는 매우 낮은 식물독성을 갖는데, 이는 야채 및 과일을 처리하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는 저비용으로 공업적 규모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는 잎 상에서의 살충제의 체류를 증가시킨다 (스프레이 체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의미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보면 안된다.
실시예
중합체성 첨가제 A의 제조
폴리에틸렌 글리콜(0.44 kg, Mn 6000)을 90℃에서 용융시키고, 트리프로필렌 글리콜에 용해된 0.6 g의 tert-부틸 퍼-2-에틸헥사노에이트를 첨가하였다. 7.75 몰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교반 하에 6 h 내에 첨가하고 (공급물 1), 또한 트리프로플렌 글리콜에 용해된 7 g의 ter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를 6.5 h 내에 첨가하며 (공급물 2), 공급물 1을 시작한지 3 h 후에 시작하여, 0.23 kg의 알콕실화 C10-알콜을 3.5 h 내에 (공급물 3), 90℃의 온도에서 일정한 유량으로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계량해 넣었다. 공급물 2 및 3을 종료하고 90℃에서 1 시간 동안 더 교반한 후, 트리프로필렌 글리콜에 용해된 6 g의 ter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를 90℃에서 3회 분량으로 첨가하고, 각 경우 2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약 88 중량%의 고체분을 확립하였다. 수득되는 그라프트 중합체(중합체성 첨가제 A)는 17-19의 K 값(23℃에서 염화 나트륨 수용액(3 중량%) 중 1 중량% 중합체), Mw 36,000, 및 Mn 20,000(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 PMMA 표준)을 가졌다.
조성물의 제조 (부분 I)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나열된 모든 양은 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 백분율이다.
<표 1A>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표 1B>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 용매 구성성분 A는 물이다.
- 용매 구성성분 B는 1,2-프로필렌 글리콜이다.
- 용매 구성성분 C는 미량의 아세트알데히드를 함유하는 트리프로필렌 글리콜이다.
- 습윤제 A는 바스프 코포레이션의 제품인 플루리올? WSB 125,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이다.
- 습윤제 B는 바스프 에스이의 제품인 루텐솔? XL 100, 에톡실화 C10-구에베 (Guerbet) 알콜이며, 에틸실화도는 약 10이다.
- 중합체성 첨가제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 중합체성 첨가제 B는 유니케마(Uniquema)의 제품인 아트록스(Atlox)? 4913,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및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를 기재로 하는 빗모양 중합체이다.
- 중합체성 첨가제 C는 바스프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시판되는 1차 히드록실 기로 종결되는 2-관능성 블럭 공중합체 계면활성제이다.
- 중합체성 첨가제 D는 악조 노벨의 제품인 모르웨트? D425, 알킬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축합물의 나트륨 염이다.
- 활성 물질 1은 아트라진(제초제)이다.
- 활성 물질 2는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DCMC라고도 알려진 제초제)이다.
- 활성 물질 3은 카르바릴(살곤충제)이다.
- 추가의 성분 A는 소포제이다.
- 추가의 성분 B는 침강방지제이다.
상기 조성물은 먼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적절한 양의 용매 구성성분 A의 무게를 달고, 상기 용매 구성성분 A를 용기에 가함으로써 제조된다. 다음, 중합체성 첨가제 및 습윤제의 적절한 양을 표 1에 기재된 값에 따라 측정하고 용기에 첨가한다. 그 후, 상기 중합체 첨가제 및 습윤제가 용매 구성성분 A에 분산될 때까지 용기의 내용물을 혼합한다.
이어서, 활성 물질을 용기에 첨가한 다음, 용기의 내용물이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한다. 다음, 추가의 성분, 용매 구성성분 B, 및 용매 구성성분 C를 용기에 첨가하고, 용기를 덮고, 용기의 내용물을 1시간 동안 혼합한다.
다음, 비드 쳄버를 포함하는 에이거 미니 50 비드 밀을 사용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밀링하여 조성물을 형성한다. 50/50 부피 분율의 물/프로필렌 글리콜 혼합물을 포함하는 냉매를 갖는 냉각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드 쳄버를 냉각한다. 용기의 내용물을 밀링하기 위해, 0.8 내지 1.0 mm의 평균 직경을 갖는 지르코늄 분쇄 매체가 비드 쳄버 내에 80 mL의 양으로 포함된다. 다음, 냉각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비드 쳄버를 5 내지 10℃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비드 밀의 전환 밸브를 그 후 재순환으로 설정한다. 다음 용기의 내용물을 비드 쳄버에 첨가하고, 비드 쳄버의 내용물 온도가 40℃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비드 밀을 이용하여 밀링을 재순환 방식으로 시작한다. 샘플의 부피 과중 입자 크기가 1.7 내지 2.0 마이크로미터로 측정되고 10 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입자가 없을 때까지, 비드 밀로부터 샘플을 주기적으로 취하여 입자 크기를 측정한다. 원하는 입자 크기가 수득되는 것은 조성물이 수득되었음을 의미하며, 비드 쳄버의 내용물(비드 제외)을 수거하여 시험한다.
냉동/해동 안정성의 시험
시험을 목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냉동/해동 주기를 실시하고 다음과 같이 상승된 온도의 조건 하에 저장하였다: 조성물의 냉동-해동 주기는 조성물의 시험 샘플을 -15℃에서 +5℃까지 반복적으로 온도 순환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각각의 냉동-해동 주기는 1 주간이며, -15℃에서 3.5일 저장한 다음 +5℃에서 3.5일 동안 저장한다. 최소 6번의 냉동/해동 주기를 완료한 후, 샘플의 물리적 성질을 평가하고 초기 측정값과 비교하여 조성물의 유용한 취급 및 최종 사용 성질에 나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영향을 결정한다.
상승된 온도 조건 하에 저장 시험
상승된 온도 조건 하에서의 저장은 상기 조성물의 샘플을, 조성물에 포함된 물질에 따라, 40℃ 또는 54℃의 주위 공기 온도로 유지된 오븐 안에 28일 동안 두고, 그 후 샘플의 물리적 성질을 평가하고 초기 측정값과 비교하여 조성물의 유용한 취급 및 최종 사용 성질에 나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영향을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카르바릴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54℃에서 저장 후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카르바릴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상승된 온도 조건 하에서의 저장은 상기 조성물을 40℃의 주위 공기 온도로 유지된 오븐 안에 28일 동안 두고, 그 후 샘플의 물리적 성질을 평가하고 초기 측정값과 비교하여 카르바릴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용한 취급 및 최종 사용 성질에 나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영향을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조성물의 입자 크기의 측정
조성물의 물리적 성질을 이하의 과정에 따라 측정하며, 물리적 성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의 제조 후 초기에, 냉동/해동 주기 후에, 및 상승된 온도의 조건 하에 저장 후에 측정되었다.
조성물의 샘플을 탈이온수에 분산시키고, 맬번 인스트루먼츠(Malvern Instruments, 매사추세츠주, 사우스보로우)로부터 시판되는 맬번 매스터사이저 (Malvern Mastersizer) 2000 입자 크기 분석기를 사용하여 입자 크기를 분석하였다. 적은 부피의 재순환기를 이용하여 분산시키고, 굴절률, 혼합 속도, 분석 시간 및 측정 횟수와 같은 샘플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특수하게 만들어진 표준 작업 과정(SOP)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구형의 가정을 기초로 하였고, 결과는 부피-과중 평균 직경(즉,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으로 보고한다. 결과는 0.02 내지 2000 μm의 획득 범위에 기초한 2회 수행의 평균이다.
전술한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각각에 대한 초기 입자 크기를 하기 표 3에 기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 냉동/해동 주기를 실시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각각의 입자 크기를 하기 표 3에 기재한다. 냉동/해동 주기 후 입자 크기의 변화는 각 조성물에서 나타나는 오스트발트 성장을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14
냉동/해동 주기 후 입자 크기의 증가에 대한 통계 분석은 JMP 8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통계 분석의 결과는 실시예와 비교 실시예 사이의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내었으므로, 실시예에 사용된 중합체성 첨가제가 비교 실시예에 사용된 첨가제만큼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를 상승된 온도 조건 하에 저장 후,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각각의 입자 크기를 하기 표 4에 기재한다. 상승된 온도 조건 하에 저장 후 입자 크기의 변화 역시 각각의 조성물 내에서 일어나는 오스트발트 성장을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15
상승된 온도의 조건 하에 저장 후 입자 크기의 증가에 대한 통계 분석이 또한 JMP 8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통계 분석의 결과는, 사용된 활성 물질이 아트라진인 경우, 실시예 1-11과 비교 실시예 1-21 사이의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내었으므로, 실시예에 사용된 중합체성 첨가제가 각각의 비교 실시예에 사용된 첨가제만큼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사용된 활성 물질이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일 경우, 상기 결과는 실시예 1-11이 비교 실시예 1-21보다 적은 평균 입자 크기 변화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11과 비교 실시예 1-21 사이의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내었으므로, 실시예에 사용된 중합체성 첨가제가 각각의 비교 실시예에 사용된 첨가제만큼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사용된 활성 물질이 카르바릴이고 증점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과는 실시예 1-11과 비교 실시예 1-21 사이의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내었으므로, 실시예에 사용된 중합체성 첨가제가 각각의 비교 실시예에 사용된 첨가제만큼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사용된 활성 물질이 카르바릴이고 증점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실시예 1-11과 비교 실시예 18 및 19 사이의 부피-과중 평균 입자 크기의 차이는, 비교 실시예 18 및 19의 첨가제 대신 실시예의 중합체성 첨가제가 사용된 경우 오스트발트 성장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최소화가 수득되었음을 나타낸다.
현탁성 시험
조성물의 현탁성을 시험하기 위해, 150 ml의 표준 경수(마그네슘 및 칼슘과 같은 경수 이온을 342 ppm의 양으로, 2:1의 칼슘 이온 대 마그네슘 이온 몰비로 함유하는)를 250 ml 들이 비커에 계량해 넣었다. 비커 내에 자석 교반기를 넣고, 비커를 교반 플레이트 위에 두었다. 교반 플레이트의 속도는 소용돌이가 교반 막대에 도달하지 않도록 설정하였다.
5.00±0.10 그램의 조성물을 칭량 접시 (weight-boat) 내에서 무게 달고, 비커 안에 넣었다. 타이머를 즉시 시작하고 2분으로 설정하며, 교반기 속도는 조성물의 샘플을 비커에 첨가한 후에 우수한 혼합을 보장하도록 조절하였다.
2분 동안 혼합한 후, 비커를 상기 교반 플레이트로부터 꺼냈다. 자석 교반기를 제거하고, 표준 경수로 채워진 물병을 이용하여 헹구었다. 비커의 내용물을 250 ml 들이 눈금 실린더 안에 붓고, 그 비커를 헹구어 헹굼액을 250 ml 들이 눈금 실린더로 첨가하였다. 표준 경수를 이용하여 실린더의 부피를 250 ml로 만들었다. 비커를 비우고 헹구는 단계를 1분 내에 수행하였다.
그 후 250 ml 들이 눈금 실린더를 봉하고, 주기당 2-3초로 15주기 동안 뒤집은 다음, 상온에서 30분 동안 그대로 두었다.
다음, 피펫을 이용하여 10-25초 내에 250 ml 들이 눈금 실린더로부터 225 ml의 현탁액을 빼내었는데, 항상 피펫의 팁을 그 250 ml 들이 눈금 실린더 내 액체 표면보다 단지 몇 mm 아래로 유지하며, 전체 실린더의 동요를 최소화하도록 주의하였다. 피펫을 사용하여 빼낸 액체를 폐기하였다.
건조한 증발 접시를 가장 근접한 0.05 그램까지 무게 달았다. 250 ml 들이 눈금 실린더에 남아있는 25 ml를 휘저어 그 안에 존재하는 입자를 현탁시키고, 250 ml 들이 눈금 실린더의 내용물을 증발 접시 안에 부었다. 250 ml 들이 눈금 실린더를 헹구고, 그 헹굼액을 증발 접시에 첨가하였다.
다음, 증발 접시를 건조 오븐에 넣고 밤새 건조시켰다. 증발 접시의 내용물이 마르면, 증발 접시를 오븐으로부터 꺼내고 21℃의 실온에서 5분간 두었다. 그 후 증발 접시를 무게 달았다.
이어서 조성물의 초기 샘플 중 고체의 질량에서 증발 접시 내 잔류물의 중량을 감하고, 그 결과값을 증발 접시 내 잔류물의 중량으로 나누어 (그리고 백분율을 얻으려면 100을 곱하여) 현탁성을 결정하였다. 초기에, 40℃에서 28일 동안 저장 후, 그리고 냉동/해동 주기 후, 현탁성을 결정하고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16
냉동/해동 주기 후 및 상승된 온도 조건 하의 저장 후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각각에 대한 현탁성 시험의 결과로, 실시예와 비교 실시예 사이의 현탁성 값 차이는, 비교 실시예의 첨가제 대신 실시예의 중합체성 첨가제가 사용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현탁성이 수득되었음을 보여준다.
습윤 스크린 분석
습윤 스크린 분석은 CIPAC 핸드북에서 습윤 체질 (Wet Sieving) MT 59.3 하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초기 시험은 에이거 미니 50 밀에서 조성물을 제조하자마자 수행되었다. 초기 시험이 만족스런 경우, 6주의 냉동/해동 주기를 수행한 샘플을 시험하였다.
습윤 스크린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50, 100 및 325 메쉬의 3 인치 체를 사용하였고, 시험을 위한 준비로 50℃의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체를 각각 무게 달았다.
25 그램의 조성물을 600 mL 들이 비커에 첨가하고, 비커를 수도물로 400 mL 표시선까지 채웠다. 600 mL 비커의 내용물을 자석 교반기로 5분 동안 최소의 소용돌이로 교반하였다.
쌓인 체를 수도물로 적신 다음, 조성물을 체들을 통해 부었다. 쌓여 있는 채로, 체들을 수도물로 헹구어 체를 통과할 수 있는 조성물은 모두 통과할 것을 보장하였다. 다음, 체들을 50℃의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키고, 체의 무게를 다시 달았다.
각 체에 남아있는 조성물의 백분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체와 잔류물의 중량 - 체의 중량 = 잔류물의 중량
% 잔류물 = (잔류물 중량 / 25 ) * 100
각각의 체에 남아있는 조성물의 백분율을 하기 표 6 (초기 결과), 표 7 (40℃ 또는 54℃의 상승된 온도 조건 하에 28일 동안 저장 후 결과), 및 표 8(냉동/해동 주기 후 결과)에 기재한다.
<표 6>
Figure pct00017
<표 7>
Figure pct00018
<표 8>
Figure pct00019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각각에 대한 습윤 스크린 시험의 결과는, 수행된 실시예의 조성물 뿐만 아니라 비교 실시예의 조성물도 단지 무시해도 될 양의 조성물이 남았음을 나타낸다.
조성물의 제조 (부분 II )
표 9에 실시예 22 및 비교 실시예 23(중합체성 첨가제 없음) 내지 26의 조성물을 나열한다. 표 9의 모든 데이터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g/l로 나타낸다. 실시예 22 내지 26의 조성물은 모든 성분을 혼합하고 그들을 자동 온도조절된 비드 밀 위에서 원하는 입자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밀링함으로써 제조되었다.
<표 9>
Figure pct00020
- 습윤제 C는 EO/PO/EO 블럭 공중합체(PO 블럭의 몰 질량 약 3200 g/mol, 분자 중 약 50 중량%의 PE).
- 습윤제 D는 알킬나프탈렌 술포네이트의 중합체성 나트륨 염이다.
- 중합체성 첨가제 E는 유니케마로부터 아트플러스(Atplus)? 245로 시판되는 C9-C11 알콜 에톡실레이트 프로폭실레이트(CAS Nr. 103818-93-5)이다.
- 중합체성 첨가제 F는 C13 알킬 알콜 알키크실레이트 에톡실레이트이다.
- 활성 물질 4는 디페노코나졸(살진균제, 20℃에서 수용해도 3.3 mg/L)이다.
- 활성 물질 5는 메트라페논(살진균제, 20℃에서 수용해도 0.49 mg/L)이다.
- 추가의 성분 C는 항균제이다.
- 추가의 성분 D는 크산탄 검이다.
- 추가의 성분 E는 알콕실화 C10-알콜(상기 중합체성 첨가제 A의 제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음)이다.
저장 후 입자 크기의 시험
조성물의 안정성은 하기 평균 입자 크기(동적 광 산란으로 측정된, 2 μm 미만의 크기를 갖는 입자의 백분율)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초기에, 및 40℃ 또는 50℃에서 각각 1주 저장 후에 측정되었다 (표 10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2의 안정성은 아주반트 없는 경우(실시예 23)의 안정성만큼 우수하였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24에 사용된 것과 같은 시판 아주반트는 현탁액의 안정성을 심히 감소시켰고, 입자 크기가 많이 증가하였다.
<표 10>
Figure pct00021
저장 후 점도 시험
조성물의 안정성은 초기에, 및 40℃ 또는 50℃에서 1주 저장 후에 각각 측정된, 식량 농업 기구 (FAO) MT 192의 명세에 따르는 mPa·s로 나타낸 점도 (분석) 값을 따라 평가되었다 (표 1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2의 안정성은 아주반트가 없는 경우(실시예 23)의 안정성만큼 우수했다. 비교를 위해, 실시예 24 및 25에서와 같은 시판 아주반트는 현탁액의 안정성을 심히 감소시켰고, 점도는 많이 증가하였다.
<표 11>
Figure pct00022
온실에서 살충 활성의 시험
살충 활성은 온실에서, 백분병이 감염된 포도에 대하여 시험되었다. 식물을 1.17, 4.69 또는 18.75 ppm 투여량의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 조성물로 처리하였다. 감염 후 21 및 28일(dpi) 후 병의 백분율을 평가하였다. 시험을 2회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11 및 표 12에 요약한다. 이들 데이터는 실시예 22(아주반트를 갖는)의 조성물이 아주반트 없는 실시예 23의 조성물보다 높은 살충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표 11>
Figure pct00023
<표 12>
Figure pct00024
농장에서의 살충 활성 시험
백분병으로 감염된 오이밭에서 살충 활성을 시험하였다. 식물을 1.17, 4.69 또는 18.75 ppm의 투여량으로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잎의 윗면 및 아래면 위에서 질병의 백분율을 적용 6일 후 평가하였다 (DAA). 시험을 2회 실시하고 결과를 표 13(6 DAA) 및 14(8 DAA)에 요약하였는데, 이는 실시예 22(아주반트를 가짐)의 조성물이 아주반트가 없는 실시예 23의 조성물에 비하여 높은 살충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표 13>
Figure pct00025
<표 14>
Figure pct00026
분명하게, 상기 기재에 비추어 본 발명의 다수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과 달리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식물 상에서의 활성 물질의 체류 증진 시험
300 g/l의 플룩사피록사드, 분산제, 소포제, 크산탄 검 증점제, 살균제 및 1,2-프로필렌 글리콜 부동액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SC 블렝크"이라 함). 임의로, 중합체성 첨가제 A를 첨가하였다. 수성 스프레이의 체류를 측정하기 위해, 진한 현탁액을 물과 형광 추적자(플루오레세인)로 희석하여 분무가능한 탱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탱크 혼합물을 노즐 세트(노즐 유형 편평한 날개 (공기 유도), ID 120 02, 레클러 (Lechler))를 이용하여 3.4 bar의 압력 및 분무 붐(1 m, 3 노즐; 노즐 거리 50 cm)으로 1.4 m/s의 속도를 가지고 200 l/ha의 비율로 적용하였다. 탱크 혼합물을 성장 단계 BBCH 12에 있는 밀(변종 멜론(Melon))에 적용하였다. 적용 후 식물의 잎을 수거하고 소정량의 세척 용액(0.1 mol/l NaOH)으로 세척하였다. 잎에 보유된 활성 물질의 양에 비례하는 형광 강도를 형광측정계로 측정하였다. 각 실험을 4회 반복하고 평균값을 표 15에 나타낸다. 데이터는 중합체성 첨가제가 없는 제제 또는 물에 비하여 중합체성 첨가제 A로 인하여 식물 상에서의 체류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표 15>
Figure pct00027

Claims (15)

  1. 활성 물질; 및
    1) 하기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 및
    2) 하기 화학식 I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첨가제
    를 포함하는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pct00028

    상기 식에서, 각각의 R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하기 화학식 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 적어도 10개를 포함한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29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은 수소 원자, 알킬 기, 아릴 기, 카르보닐 기, 히드록실 기, 에테르 기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2는 C1-C10 탄화수소 기이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30

    상기 식에서, A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 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위가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에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가 5,000 내지 200,000 g/mol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R이 수소 원자, 메틸 기, 또는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가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옥시 기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원자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가 메틸 기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물질이 살충제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첨가제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10. 활성 물질 및 중합체성 첨가제를 조합하여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활성 물질이 고체 입자 형태인 경우, 활성 물질 및/또는 중합체성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와 분쇄 매체를 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조성물이 특정 해충, 그의 서식지 또는 특정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 토양 및/또는 원치 않는 식물 및/또는 유용한 식물 및/또는 그의 서식지에 작용하도록 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및/또는 원치 않는 식물 성장 및/또는 원치 않는 곤충 또는 진드기의 공격을 방제하고/거나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방법.
  13. 활성 물질이 살충제인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조성물의, 상기 살충제의 살충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용도.
  14. 제13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첨가제의 양이 살충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0 중량%의 범위인 용도.
  15. 활성 물질이 살충제인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조성물의, 식물 상에서의 상기 살충제의 체류를 증진시키기 위한 용도.




KR1020127026051A 2010-03-08 2011-03-04 활성 물질 및 폴리알킬렌옥시드 비닐에스테르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016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163610P 2010-03-08 2010-03-08
US61/311,636 2010-03-08
EP10158356.5 2010-03-30
EP10158356 2010-03-30
PCT/EP2011/053261 WO2011110481A1 (en) 2010-03-08 2011-03-04 Composition comprising an active substance and a polyalkyleneoxide vinylester graft poly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249A true KR20130016249A (ko) 2013-02-14

Family

ID=4420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051A KR20130016249A (ko) 2010-03-08 2011-03-04 활성 물질 및 폴리알킬렌옥시드 비닐에스테르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544529B1 (ko)
JP (1) JP5940463B2 (ko)
KR (1) KR20130016249A (ko)
CN (1) CN102869248B (ko)
AU (1) AU2011226193B2 (ko)
CA (1) CA2791485A1 (ko)
EA (1) EA201290868A1 (ko)
ES (1) ES2536627T3 (ko)
PE (1) PE20130694A1 (ko)
PL (1) PL2544529T3 (ko)
WO (1) WO2011110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7678A1 (en) 2016-03-17 2017-09-21 Basf Se Reduced photodegradation by co-dissolving pyraclostrobin and uv absorber
RU2735252C2 (ru) * 2016-04-15 2020-10-29 Исихара Сангио Кайся, Лтд.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эффектов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фунгицида арилфенилкетона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EP3557992A1 (en) * 2016-12-23 2019-10-30 Basf Se Stabilization of particles coated with non-amphoteric, quaternizable and water-soluble polymers using a dispersing component
CN109757473B (zh) * 2019-02-25 2021-12-28 上海生农生化制品股份有限公司 一种结晶抑制组合物、应用及结晶抑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4739A1 (de) * 1998-04-02 1999-10-07 Basf Ag Verwendung von Polyalkylenoxid-haltigen Pfropfpolymerisaten als Solubilisatoren
DE10128531A1 (de) * 2001-06-13 2002-12-19 Basf Ag Verwendung von wasserlöslichen oder wasserdispergierbaren Polyetherblöcke enthaltenden Pfropfpolymerisaten als Beschichtungsmittel, Matrixbildner und/oder Verpackungsmaterial für Agrochemikalien
DE10343872A1 (de) * 2003-09-23 2005-04-21 Bayer Cropscience Ag Suspensionskonzentrate
DE102005053066A1 (de) * 2005-11-04 2007-05-10 Basf Ag Verwendung von Copolymeren als Solubilisatoren für in Wasser schwerlöslichen Verbindungen
WO2007065845A1 (de) * 2005-12-09 2007-06-14 Basf Se Copolymere auf basis von polyalkylenoxid-modifizierten n-vinyllactam-copolymeren
WO2007065846A2 (de) * 2005-12-09 2007-06-14 Basf Se Verwendung von polyvinyllactam-polyoxyalkylen-blockcopolymeren als solubilisatoren für in wasser schwerlösliche verbindungen
US8519060B2 (en) 2006-05-31 2013-08-27 Basf Se Amphiphilic graft polymers based on polyalkylene oxides and vinyl esters
MX2010006200A (es) * 2007-12-03 2010-12-06 Valent Usa Corp Formulaciones de tratamiento de semilla y metodos de uso.
WO2009103760A2 (en) * 2008-02-21 2009-08-27 Basf Se Coated inert gran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130694A1 (es) 2013-07-03
EA201290868A1 (ru) 2013-04-30
PL2544529T3 (pl) 2015-07-31
AU2011226193A1 (en) 2012-10-04
CN102869248B (zh) 2014-11-26
CN102869248A (zh) 2013-01-09
EP2544529A1 (en) 2013-01-16
EP2544529B1 (en) 2015-02-25
ES2536627T3 (es) 2015-05-27
AU2011226193B2 (en) 2015-01-29
JP5940463B2 (ja) 2016-06-29
CA2791485A1 (en) 2011-09-15
JP2013521319A (ja) 2013-06-10
WO2011110481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410A (ko) 살충제, 계면활성제 및 2-프로필헵틸아민의 알콕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JP5882298B2 (ja) 農薬活性を増強するためのコポリマーの使用
AU2013359373B2 (en) Solid agroformulations for preparing near micro-emulsion aqueous pesticides
KR20140032428A (ko) 농약 제제를 위한 분산제로서의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amps 삼원공중합체
KR20140031277A (ko) 디메틸술폭시드 및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보조제
JP6120871B2 (ja) 殺有害生物剤とポリアルコキシレートの融液から調製され、ポリカルボキシレートと複合化した液体アジュバントを含み得る固体農薬製剤
US9832990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ctive substance and a polyalkyleneoxide vinylester graft polymer
KR20130016249A (ko) 활성 물질 및 폴리알킬렌옥시드 비닐에스테르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031334A (ko) 농약 제제를 위한 분산제로서의 알콕실화 폴리알킬렌이민
MX2014010528A (es) Gránulos emulsionables que se pueden obtener mediante la mezcla de una emulsion plaguicida con un dispersante sólido y al extrusion de la pasta resultante.
KR20130030250A (ko) 용해된 살충제 및 현탁된 살충제, 알킬 락테이트 및 알콜을 포함하는 무수 조성물
MX2012010169A (es) Composicion que comprende una sustancia activa y un polimero injertado de vinilester de polialquilenoxido.
TW201340869A (zh) 藉由混合農藥乳液與固體分散劑並擠壓所產生之膏體而獲得之乳化顆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