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604A -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604A
KR20130014604A KR1020127033191A KR20127033191A KR20130014604A KR 20130014604 A KR20130014604 A KR 20130014604A KR 1020127033191 A KR1020127033191 A KR 1020127033191A KR 20127033191 A KR20127033191 A KR 20127033191A KR 20130014604 A KR20130014604 A KR 20130014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fender
unit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415B1 (ko
Inventor
코지 나카타니
미치토 카네코
시게키 사카키바라
슈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63B2059/025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pneumatic, e.g. infla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공기식 방현재에 압력 센서를 나중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들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음과 함께, 부적절한 압력 센서를 장착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공기식 방현재(3) 및 압력 센서(5)에 설치된 식별 태그(4)의 제1 식별 정보와, 압력 센서(5)가 갖는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그들을 대응시킴과 함께, 서로 식별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압력 센서(5)의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PNEUMATIC FEND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식 방현재에 압력 센서를 나중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들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음과 함께, 부적절한 압력 센서를 장착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선박의 접안시 또는 접현시에 있어서의 선체 및 안벽의 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공기식 방현재가 안벽의 벽면 또는 선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식 방현재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멱서리(straw-bag) 형상의 중공 구조체에 압축 공기를 봉입하여, 선박의 접안 또는 접현시의 충격을 공기압에 의해 완충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 때문에, 공기식 방현재에는 항상 적정한 공기압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공기식 방현재의 내부에 장착한 압력 센서에 의해 검지한 공기압을, 무선으로 외부에 상시 송신하여 수신 장치에 표시시키도록 한 내압 검지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주로 품질 관리 및 안전상의 관점에서, 개개의 공기식 방현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 시스템을 공기식 방현재의 본체에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을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이 공기식 방현재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 것에 의해, 개개의 공기식 방현재의 사양에 적합한 압력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공기압을 더욱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공기식 방현재의 제조시에 압력 센서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어쨌든, 기존의 공기식 방현재에 압력 센서를 나중에 장착하는 경우나, 압력 센서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부적절한 압력 센서를 장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일이 발생하면, 압력 센서의 동작 불량에 의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할 수 없어, 공기식 방현재의 과압축에 의한 선박의 손상이나, 과급기(過給氣)에 의한 공기식 방현재의 파열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공기식 방현재와 압력 센서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음과 함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의 실현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464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식 방현재에 압력 센서를 나중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들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음과 함께, 부적절한 압력 센서를 장착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제1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은, 제1 식별 정보가 기록된 식별 태그를 매설한 공기식 방현재와, 그 공기식 방현재의 공기압을 검지 및 송신하는 압력 센서를 대응시키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공기압을 검지하는 센서부와, 그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부와, 제2 식별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부를 가지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부가 판독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의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그들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가 검지한 공기압 정보를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시키고, 그들이 상이한 경우에는, 그 센서부 및/또는 송신부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제2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은, 제1 식별 정보가 기록된 식별 태그를 매설한 공기식 방현재와, 그 공기식 방현재의 공기압을 검지 및 송신하고, 또한 무선식의 기동 장치에 의해 기동되는 압력 센서를 대응시키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공기압을 검지하는 센서부와, 그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동 장치는,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부와, 제2 식별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부를 가지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부가 판독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의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그들이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압력 센서를 기동시키는 무선 신호를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공기식 방현재에 압력 센서를 나중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기식 방현재 및 압력 센서에 설치된 식별 태그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공기식 방현재와 압력 센서를 대응시키고, 또한 서로의 식별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압력 센서의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공기식 방현재와 압력 센서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음과 함께, 부적절한 압력 센서를 장착하여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압력 센서의 부품점수를 줄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발명에 있어서는, 센서부 및 송신부를 자동차용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시판품을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센서부에는, 공기식 방현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함으로써 공기식 방현재의 건전성을 양호한 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식별 태그로는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시판품을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발명의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공기식 방현재의 예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식 방현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2 발명의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압력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기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압력 센서의 장착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발명의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공기식 방현재의 예를 나타낸다.
이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이하, 간단히 '관리 시스템'이라고 한다)은, 안벽(1)에 계류삭(2)에 의해 계류된 공기식 방현재(3)에 매설된 식별 태그(4)와, 공기식 방현재(3)의 내부에 나중에 장착된 압력 센서(5)와, 그 압력 센서(5)로부터 전파(6)로 송신되는 공기압 검지 신호를 수신·표시하는 육상의 수신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식 방현재(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부재와 보강 부재를 적층하여 성형한 대략 멱서리 형상으로 중공 구조인 방현재 본체(8)를 갖고, 그 양단부에는 공기 밸브 등을 구비한 구금(口金)(9)이 장착되어 있다.
공기식 방현재(3)의 보강층 내 등에 매립된 식별 태그(4)에는, 개개의 공기식 방현재(3)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식별 태그(4)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가 사용되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원이 불필요하고 통신 성능 및 통신 품질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패시브형 RFID 태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식별 정보로는, 사이즈, 제조업자 및 제조 번호 등이 규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을 참조).
공기식 방현재(3)의 내부에 나중에 장착된 압력 센서(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압을 검지하는 센서부(10)와, 송신 안테나(11)를 통하여 수신 장치(7)로 전파(6)를 발신하는 송신부(12) 외에, 식별 태그(4)로부터 발신되는 제1 식별 정보를 갖는 식별 신호를 판독하는 리더부(13)와, 그들 센서부(10), 송신부(12) 및 리더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4)에는, 압력 센서(5)의 장착 대상이 되는 공기식 방현재(3)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를 기록한 메모리부(15)가 부속되어 있다. 그들 센서부(10)나 제어부(14) 등은, 내장된 전원(배터리)(16)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센서부(10)는, 공기압을 측정하거나 또는 압력차를 검출함으로써 공기압을 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리 시스템에 의해, 압력 센서(5)를 공기식 방현재(3)에 나중에 장착하는 경우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공기식 방현재(3)의 내부에 압력 센서(5)를 장착한다. 압력 센서(5)는 복수 대를 장착해도 되고, 그 장착 위치는 메인터넌스의 용이화 및 검지 정밀도 면에서 구금(9)의 배면 또는 그 근방 내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현재 본체(8)와 구금(9)의 끼워맞춤 부분으로부터의 거리(L)가 300~350mm가 되는 위치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압력 센서(5)의 전원(16)을 온으로 하여 각 부(部)를 기동시킨다. 전원(16)을 온으로 하는 수단으로는, 후술하는 무선식 기동 장치(17)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타이머나 공기식 방현재의 압력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기동된 제어부(14)는, 리더부(13)가 판독한 식별 태그(4)의 제1 식별 정보를 메모리부(15)의 제2 식별 정보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양자의 제조 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센서부(10) 및 송신부(12)를 잇따라 작동시켜, 센서부(10)가 검지한 공기압 정보를 갖는 신호를 송신부(12)로부터 수신 장치(7)로 송신한다. 그러나, 양자의 제조 번호가 상이한 경우에는, 센서부(10) 및/또는 송신부(12)를 정지시켜, 공기압 검지에 관한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공기식 방현재(3)에 압력 센서(5)를 나중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식별 태그(4)의 제1 식별 정보와, 압력 센서(5)가 갖는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므로, 공기식 방현재(3)와 압력 센서(5)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실수로 부적절한 압력 센서(5)를 장착한 경우에도, 압력 센서(5)의 기능을 정지시키고, 그것을 수신 장치(7)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의 손상이나 공기식 방현재(3)의 파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도 5는, 제2 발명의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압력 센서 및 기동 장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제1 발명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품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관리 시스템에서는, 압력 센서(5)는 기동 장치(17)에 의해 전원이 온이 된다. 압력 센서(5)는, 기동 장치(17)로부터의 기동 신호를 수신 안테나(18)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부(19)를 갖는 한편, 기동 장치(17)는, 발신 안테나(20)를 통하여 기동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부(21) 외에, 리더부(13), 제어부(14) 및 메모리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시스템에 의해, 압력 센서(5)를 공기식 방현재(3)에 나중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기식 방현재(3)의 내부에 압력 센서(5)를 장착한 후에, 기동 장치(17)에 의해 압력 센서(5)를 기동시킬 때에, 제어부(14)는 리더부(13)가 판독한 식별 태그(4)의 제1 식별 정보가 메모리부(15)의 제2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만, 압력 센서(5)의 전원(16)을 온으로 하는 기동 신호를 발신부(21)로부터 압력 센서(5)로 송신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제1 발명의 관리 시스템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데다, 압력 센서(5)의 부품점수를 줄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압력 센서(5)의 센서부(10) 및 송신부(12)에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83911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이하 'TPMS'라고 한다)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시판품인 TPMS를 사용함으로써 압력 센서(5)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5)의 센서부(10)에 온도 센서를 부가하고, 그 측정 신호도 송신부로부터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기식 방현재(3)의 건전성을 양호한 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1 안벽
2 계류삭
3 공기식 방현재
4 식별 태그
5 압력 센서
6 전파
7 수신 장치
8 방현재 본체
9 구금
10 센서부
11 송신 안테나
12 송신부
13 리더부
14 제어부
15 메모리부
16 전원
17 기동 장치
18 수신 안테나
19 수신부
20 발신 안테나
21 발신부

Claims (5)

  1. 제1 식별 정보가 기록된 식별 태그를 매설한 공기식 방현재와, 그 공기식 방현재의 공기압을 검지 및 송신하는 압력 센서를 대응시키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공기압을 검지하는 센서부와, 그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부와, 제2 식별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부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부가 판독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의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그들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가 검지한 공기압 정보를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시키고, 그들이 상이한 경우에는, 그 센서부 및/또는 송신부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2. 제1 식별 정보가 기록된 식별 태그를 매설한 공기식 방현재와, 그 공기식 방현재의 공기압을 검지 및 송신하고, 또한 무선식의 기동 장치에 의해 기동되는 압력 센서를 대응시키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공기압을 검지하는 센서부와, 그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동 장치는, 상기 식별 태그의 제1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부와, 제2 식별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부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부가 판독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의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그들이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압력 센서를 기동시키는 무선 신호를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송신부를 자동차용 타이어 공기압 감시 장치로 구성한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부가한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태그가 RFID 태그인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KR1020127033191A 2010-06-11 2011-04-19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KR101271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4105 2010-06-11
JP2010134105 2010-06-11
PCT/JP2011/059648 WO2011155265A1 (ja) 2010-06-11 2011-04-19 空気式防舷材の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604A true KR20130014604A (ko) 2013-02-07
KR101271415B1 KR101271415B1 (ko) 2013-06-05

Family

ID=4509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191A KR101271415B1 (ko) 2010-06-11 2011-04-19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19828B2 (ko)
EP (1) EP2581497B1 (ko)
JP (1) JP5077503B2 (ko)
KR (1) KR101271415B1 (ko)
CN (1) CN102906337B (ko)
AU (1) AU2011263097B2 (ko)
CA (1) CA2801411C (ko)
WO (1) WO2011155265A1 (ko)
ZA (1) ZA20120882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872B1 (ko) * 2018-11-13 2020-01-07 (주)화승엑스윌 인공지능형 공압식 방충재의 관리 시스템
WO2021132774A1 (ko) * 2019-12-27 2021-07-01 (주)화승엑스윌 인공지능형 공압식 방충재의 관리 시스템
KR20230016858A (ko) * 2021-07-27 2023-02-03 송용재 친환경 부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7471B1 (ja) * 2011-09-30 2012-11-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用のセンサ収納容器および空気式防舷材
JP5800151B2 (ja) * 2012-07-23 2015-10-28 横浜ゴム株式会社 船舶監視装置
JP6136556B2 (ja) * 2013-05-10 2017-05-31 横浜ゴム株式会社 縦型空気式防舷材
CN103466056A (zh) * 2013-09-16 2013-12-25 哈尔滨工程大学 气动调节水位的智能化碰垫
JP6255965B2 (ja) * 2013-09-30 2018-01-10 横浜ゴム株式会社 縦型空気式防舷材およびその監視方法
JP6291968B2 (ja) * 2014-03-31 2018-03-1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および空気式防舷材用口金具
EP3128082B1 (en) * 2014-03-31 2019-04-24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fender and pneumatic fender mouthpiece
US10239584B2 (en) * 2014-06-18 2019-03-26 Cargo Care Solutions B.V. Multi-layer hatch cover support pad
US10365176B2 (en) * 2015-12-02 2019-07-30 Christopher Scott Larsen Wireless measurement of inflatable pressure
ITUA20164381A1 (it) * 2016-06-15 2017-12-15 Calzavara Spa Briccola, sistema e procedimento e programma per elaboratore per sorvegliare briccole.
CN106005308B (zh) * 2016-06-21 2017-11-17 江苏科技大学 一种组合浮式护舷装置
CN106436652B (zh) * 2016-12-07 2018-06-29 江苏科技大学 一种码头三体气囊式橡胶防撞护舷
JP7031122B2 (ja) 2017-02-07 2022-03-0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6919303B2 (ja) * 2017-04-19 2021-08-1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外観形状検査システム
KR101882378B1 (ko) * 2018-05-17 2018-07-26 (주)화승엑스윌 공압식 방충재용 개폐밸브
JP2024062051A (ja) * 2022-10-24 2024-05-0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257A (en) * 1981-01-26 1982-09-28 Seaward International, Inc. Marine fender
JPS6046438A (ja) 1983-08-25 1985-03-1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の内圧検知装置
JP3439835B2 (ja) * 1994-08-03 2003-08-2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内圧自動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WO1999027339A1 (fr) * 1996-05-27 1999-06-03 The Yokohama Rubber Co., Ltd.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pression interne d'un pare-battage pneumatique
JPH09318478A (ja) 1996-05-27 1997-12-1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の内圧検知装置
US6283677B1 (en) * 1997-03-03 2001-09-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ailorable elastomeric composite pneumatic fender system for absorbing high energy impact
EP0945552B1 (en) 1997-10-22 2006-04-26 The Yokohama Rubber Co., Ltd. Fender and a management system therefor
WO1999020854A1 (fr) * 1997-10-22 1999-04-29 Soyu Co., Ltd. Mecanisme permettant de fixer provisoirement une plaque decorative
JP2005083025A (ja) 2003-09-05 2005-03-31 Honda Motor Co Ltd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を用いた施設の利用管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100100A (ja) * 2003-09-25 2005-04-14 Toyota Motor Corp 車輪情報処理装置および車輪情報処理方法
JP4770357B2 (ja) 2005-09-22 2011-09-1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
US7348878B2 (en) * 2005-09-29 2008-03-25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with permanent tire identification
CN2846493Y (zh) * 2005-12-22 2006-12-13 刘曾凡 浇铸刮覆式漂浮护舷
CN201420256Y (zh) * 2009-05-25 2010-03-10 青岛天盾橡胶有限公司 一种超大型漂浮护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872B1 (ko) * 2018-11-13 2020-01-07 (주)화승엑스윌 인공지능형 공압식 방충재의 관리 시스템
WO2021132774A1 (ko) * 2019-12-27 2021-07-01 (주)화승엑스윌 인공지능형 공압식 방충재의 관리 시스템
KR20230016858A (ko) * 2021-07-27 2023-02-03 송용재 친환경 부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1497B1 (en) 2014-05-21
US8519828B2 (en) 2013-08-27
JPWO2011155265A1 (ja) 2013-08-01
EP2581497A1 (en) 2013-04-17
CA2801411A1 (en) 2011-12-15
AU2011263097A1 (en) 2013-01-10
CN102906337A (zh) 2013-01-30
CN102906337B (zh) 2014-03-12
EP2581497A4 (en) 2013-10-09
AU2011263097B2 (en) 2014-04-17
JP5077503B2 (ja) 2012-11-21
CA2801411C (en) 2014-07-22
WO2011155265A1 (ja) 2011-12-15
KR101271415B1 (ko) 2013-06-05
US20130076536A1 (en) 2013-03-28
ZA201208826B (en)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415B1 (ko)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JP4585357B2 (ja) タイヤ情報転送装置、タイヤ情報転送方法および車両
US6888446B2 (en) Tire pressure monitoring auto location assembly
JP4189680B2 (ja) タイヤ圧力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パンク自動修理装置
AU2018201983B2 (en) Mounting patch for a tyre
KR100468956B1 (ko)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장치용 전송기
US69152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identification of tire air pressure sensor device
US20070069877A1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with permanent tire identification
US20090096599A1 (en)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of Vehicle Sensors
US20130103284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coolant level and the temperatur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70815B1 (ko)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CN102673324A (zh) 对车辆轮胎内的压力的调整
US20120235808A1 (e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ire information and tire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CN102555698A (zh) 基于tpms实现轮胎定位信息快速配置的系统及方法
JP5193495B2 (ja) タイヤ内圧情報計測装置
JP2004322828A (ja) リム装着送信機、タイヤ固有情報書込機、タイヤ固有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タイヤリム組立体
JP4260532B2 (ja) 車両搭載受信機およびこれを具えるタイヤ固有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5141553A (ja) タイヤセンサ装置及びタイヤ情報の伝達方法
JP4076291B2 (ja) スペアタイヤの空気圧監視装置
JP4082345B2 (ja) 車輪状態検出装置、車輪及び車体
WO2024089915A1 (ja) 空気式防舷材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1182748A (ja) マリンホース異常記録装置
JP2012236527A (ja) バルブid登録システム
JP2005319869A (ja)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