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224A -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224A
KR20130009224A KR1020110070160A KR20110070160A KR20130009224A KR 20130009224 A KR20130009224 A KR 20130009224A KR 1020110070160 A KR1020110070160 A KR 1020110070160A KR 20110070160 A KR20110070160 A KR 20110070160A KR 20130009224 A KR20130009224 A KR 2013000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structure unit
hanok
manufacturing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276B1 (ko
Inventor
임석호
지장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7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2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69Elements for special technical purposes, e.g. with a sanitar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2001/3577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prefabricating a building and moving it as a whole to the erection si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은 소정의 치수를 가지도록 설계된 단위 유닛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제작된 상기 단위 유닛모듈을 서로 조립하여 한옥을 완성하되, 상기 단위 유닛모듈은 한옥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도록 기둥과 보를 구비하는 구조체 유닛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어 한옥을 제작하는데 드는 시간 및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The Prefabcated Hano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fabcated Hanok}
본 발명은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유닛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공장에서 제작된 단위 유닛모듈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한옥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축조작업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아파트 공화국'이라고 부르는 외국인이 많다. 세계 10대 경제대국인데도 정체성 없이 아파트 일색인 한국의 주거문화를 꼬집은 말이다. 아파트는 현대적인 생활에 맞게 평면이 구성되어 바쁜 현대인들의 삶에 적합한 주택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러한 인식에 따라 아파트들이 계속해서 증가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거문화에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한국의 전통을 가지며 친환경적인 한옥에 대한 관심이 그것이다. 정부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한옥, 한식, 한지, 한복을 국가브랜드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와 같이 한국을 대표하는 것의 보급에 힘쓰고 있다.
이와 같은 한옥을 만드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주춧돌 위에 기둥, 보, 도리 등으로 기본골격을 형성한 후, 기둥 사이에 벽체 및 창호 등을 만들고, 보 및 도리의 상부에는 지붕을 씌운다.
한옥은 한국의 전통적인 외관을 가지며,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지어지므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반해 한옥은 가구식으로 현장에서 축조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고 모든 작업이 수작업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한옥은 한옥을 전문적으로 짓는 목수에 의해서만 공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가의 인건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 공사단가가 높고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옥은 제작 방법이 매우 까다롭고 한옥을 짓는 사람에 따라 그 품질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표준화하기 어려워, 한옥을 널리 보급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나무 등의 자재를 직접 가공하여 사용하다 보니 폐기물의 발생량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한옥을 현대화하고자 하는 방안이 점차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에서 한옥을 구성하는 단위 유닛모듈을 제작하고, 현장에서 단위 유닛모듈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한옥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량으로 한옥을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한옥을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 및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문가가 아니라도 제작할 수 있으며 한옥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은 소정의 치수를 가지도록 설계된 단위 유닛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제작된 상기 단위 유닛모듈을 서로 조립하여 한옥을 완성하되, 상기 단위 유닛모듈은 한옥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도록 기둥과 보를 구비하는 구조체 유닛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한다.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구조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구조체는 하측보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보강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구조체는 철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의 하부에는 상기 기둥을 기초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기초의 일측에는 앵커볼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은 공장에서 한옥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체 유닛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건축 현장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기초에 올리는 단계와,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과 상기 기초를 서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은 기둥, 보 및 장선을 서로 조립하여 형성한다.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구조체를 설치한다.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무진동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한다.
건축 현장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기초에 올리는 단계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상부에 밸런스 빔을 결합한 후 크레인으로 들어올린다.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과 상기 기초를 서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 또는 상기 기초에 앵커볼트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공장에서 단위 유닛모듈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공장에서 생산된 단위 유닛모듈을 서로 조립만 하면 대량으로 한옥을 제작할 수 있으며 한옥을 제작하는데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단위 유닛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하므로 한옥의 표준화가 가능하여 한옥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가 아니라도 한옥을 제작할 수 있으며 한옥 제작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 단위 유닛모듈을 일정 크기로 모듈화하여 제작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을 구성하는 단위 유닛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위 유닛모듈에서 구조체 유닛모듈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구조체 유닛모듈이 기초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을 구성하는 단위 유닛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에 적용되는 단위 유닛모듈(10)을 공장에서 모듈화하여 제작한 후 제작된 단위 유닛모듈(10)을 현장에서 서로 조립하여 완성한다.
단위 유닛모듈(10)은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단위 유닛모듈(10)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필요한 공간을 연속적으로 만들 수 있다. 공장에서 제작되는 단위 유닛모듈(10)을 현장에서 조립하기만 하면 한옥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한옥을 제작하는 시간 및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 유닛모듈(10)은 구조체 유닛모듈(100), 지붕틀 유닛모듈(200) 및 지붕 유닛모듈(300)을 구비하고, 이와 같이 공장에서 제작된 단위 유닛모듈(10)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 단시간 내에 조립식 한옥으로 탈바꿈한다.
단위 유닛모듈(1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단위 유닛모듈(10)은 한옥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체 유닛모듈(100)과,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붕의 뼈대를 형성하는 지붕틀 유닛모듈(200)과, 지붕틀 유닛모듈(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유닛모듈(300)을 구비한다.
구조체 유닛모듈(100)은 기둥(101), 보(102) 및 장선(103)을 구비하는 구조체이다. 이와 같은 구조체에 벽선(104)과 인방을 포함한 바닥(105)을 설치하고, 단열성능을 갖춘 벽체와 창호(106)를 설치하여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완성한다.
지붕틀 유닛모듈(200)은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대공(220)과, 대공(220)을 서로 연결하는 종도리(230)와, 프레임(210)과 대공(220)을 연결하며 프레임(210)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부재(240)를 구비한다.
지붕 유닛모듈(300)은 도리(310)와, 도리(310)에 안착되는 서까래(320)와, 서까래(3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열재(330)와, 단열재(330)를 덮는 지붕판 패널(340)을 구비한다.
한편 구조체 유닛모듈(100)과 지붕틀 유닛모듈(20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상부 모서리에는 제1삽입철물(111)이 구비된다.
지붕틀 유닛모듈(200)의 하부,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2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삽입철물(111)이 삽입되는 삽입홈(2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지붕틀 유닛모듈(200)과 지붕 유닛모듈(30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지붕틀 유닛모듈(200)의 경사부재(240)에는 지붕 유닛모듈(300)의 도리(310)가 안착되는 도리 안착홈(2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리 안착홈(241)에는 제2삽입철물(242)이 구비되고, 도리(310)에는 제2삽입철물(24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31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조체 유닛모듈(100), 지붕틀 유닛모듈(200) 및 지붕 유닛모듈(300)을 구비하는 단위 유닛모듈(10)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단위 유닛모듈(10)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기초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을 구성하는 단위 유닛모듈에서 구조체 유닛모듈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구조체 유닛모듈이 기초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하부에는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20)는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131)가 형성되는 플레이트(130)와,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타측에 구비되며 삽입돌기(131)가 삽입되는 삽입공(140)을 구비한다.
구조체 유닛모듈(100)에 이와 같이 결합부(120)가 구비됨으로써 일측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삽입돌기(131)를 타측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삽입공(140)에 삽입함으로써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쉽게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하부에는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비틀림이나 휨을 방지하는 보강구조체(1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강구조체(15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철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체 유닛모듈(100)에 이와 같이 보강구조체(150)를 설치하는 이유는 구조체 유닛모듈(100)은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되는데, 공장에서 제작된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릴 때 구조체 유닛모듈(100)이 강성이 없으면 구조체 유닛모듈(100)에 비틀림이나 휨이 발생하여 구조체 유닛모듈(100)이 손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보강구조체(150)는 하측보(102)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151)과, 상기 프레임(151)을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보강재(15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151)이 하측보(102)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하측보(102)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151)을 가로지르는 보강재(152)에 의해 프레임(151)이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구조체(150)가 하측보(102)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보강구조체(150)는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기둥(101) 하부에는 기둥(101)을 기초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160)이 구비된다. 그리고 기둥(101)을 기초(4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브라켓(160) 또는 기초(400)의 일측에는 앵커볼트(161)가 설치된다. 도 2에서는 브라켓(160)에 앵커볼트(161)가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기초(400)에 앵커볼트(161)가 매립되어 설치되고, 브라켓(160)에는 앵커볼트(161)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160)에는 앵커볼트(161)를 너트 등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62)를 구비한다. 따라서 개방부(162)를 통해 너트 등으로 앵커볼트(162)를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장에서 모듈화되어 제작되는 단위 유닛모듈(10)을 현장에서 조립하기만 하면 한옥을 쉽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한옥을 제작하는 시간 및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은 공장에서 한옥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제작하는 단계(S110)와,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S120)와, 건축 현장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기초(400)에 올리는 단계(S130)와,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과 상기 기초(400)를 서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제작하는 단계(S110)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은 공장에서 제작하며 기둥(101), 보(102) 및 장선(103)을 서로 조립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제작하는 단계(S110)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비틀림이나 휨을 방지하는 보강구조체(15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장에서 제작된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현장으로 운반할 때 구조체 유닛모듈(100)이 비틀리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체 유닛모듈(100)이 현장에서 설치되면 강성을 가질 수 있어 조립식 한옥의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무진동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한다.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공장에서 건축 현장으로 운반할 때 구조체 유닛모듈(100)이 지속적인 진동을 받게 되면 한옥의 구조체 역할을 하는 구조체 유닛모듈(100)이 응력을 받게 되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건축 현장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기초에 올리는 단계(S130)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상부에 밸런스 빔(Balance Beam)을 결합한 후 크레인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상부에는 보강구조체(150)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밸런스 빔을 구조체 유닛모듈(100)에 결합함으로써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릴 때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상부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릴 때 구조체 유닛모듈(100)의 상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릴 때 구조체 유닛모듈(1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과 상기 기초(400)를 서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S140) 이전에,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100) 또는 상기 기초에 앵커볼트(161)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기초(400) 위에 올려놓은 후 너트 등으로 앵커볼트(161)와 체결함으로써 구조체 유닛모듈(100)을 기초(400)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단위 유닛모듈 100: 구조체 유닛모듈
101: 기둥 120: 결합부
150: 보강구조체 160: 브라켓
200: 지붕틀 유닛모듈 300: 지붕 유닛모듈
400: 기초

Claims (13)

  1. 소정의 치수를 가지도록 설계된 단위 유닛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제작된 상기 단위 유닛모듈을 서로 조립하여 한옥을 완성하되,
    상기 단위 유닛모듈은 한옥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도록 기둥과 보를 구비하는 구조체 유닛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구조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체는 하측보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복수개의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체는 철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하부에는 상기 기둥을 기초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기초의 일측에는 앵커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
  8. 공장에서 한옥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체 유닛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건축 현장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기초에 올리는 단계와,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과 상기 기초를 서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은 기둥, 보 및 장선을 서로 조립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구조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무진동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건축 현장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을 기초에 올리는 단계에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의 상부에 밸런스 빔을 결합한 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과 상기 기초를 서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구조체 유닛모듈 또는 상기 기초에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KR1020110070160A 2011-07-15 2011-07-15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KR101278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160A KR101278276B1 (ko) 2011-07-15 2011-07-15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160A KR101278276B1 (ko) 2011-07-15 2011-07-15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24A true KR20130009224A (ko) 2013-01-23
KR101278276B1 KR101278276B1 (ko) 2013-06-24

Family

ID=4783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160A KR101278276B1 (ko) 2011-07-15 2011-07-15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57B1 (ko) * 2019-08-22 2020-05-20 류운형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KR20210009603A (ko) * 2019-07-17 2021-01-27 김종화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층 하이브리드 전통 목조 건축물의 골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627A (ko) * 2006-12-29 2008-07-03 마루이데아 주식회사 조립식 주택의 시공 방법
KR20090046140A (ko) * 2007-11-05 2009-05-11 황봉익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603A (ko) * 2019-07-17 2021-01-27 김종화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층 하이브리드 전통 목조 건축물의 골조
KR102113157B1 (ko) * 2019-08-22 2020-05-20 류운형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276B1 (ko)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52557A (ja) スチールハウスの構造形式および構築方法
JP5612254B2 (ja) 断熱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建物
KR101101788B1 (ko) 조립식 한옥
JP4583778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278276B1 (ko)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JP3128720U (ja) 木造躯体に取付ける木質部材を用いた耐震開口フレーム
KR101278277B1 (ko) 조립식 한옥 및 조립식 한옥의 제조방법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KR101209945B1 (ko) 조립식 한옥
JP2006045962A (ja) 建築物
JP3170692U (ja) 補強ユニットを備えたトラス式構造体
JP3241376U (ja) 住宅用断熱パネル及び管柱付住宅用断熱パネル
JP3227094U (ja) 畜舎等の建物構造
KR102093032B1 (ko) 철골구조와 목구조가 결합된 한식건축물 및 시공방법
JP4642378B2 (ja) 建物
JP2003239382A (ja) 集成材構法
JP2003232098A (ja) 延長庇を有する家屋
JPH03199550A (ja) 建築用水平耐力部材
KR100490486B1 (ko) 패널화 목조건축공법
JP3943438B2 (ja) 建物
JP4923113B2 (ja) 建物
JP2017150292A (ja) 垂木と横架材の両側留め接合金物
JPS60238546A (ja) 壁式工法によるユニツト建造物
JP2010059732A (ja) 建物
JP2018165457A (ja) 勾配屋根構造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