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470A -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470A
KR20130008470A KR1020120075409A KR20120075409A KR20130008470A KR 20130008470 A KR20130008470 A KR 20130008470A KR 1020120075409 A KR1020120075409 A KR 1020120075409A KR 20120075409 A KR20120075409 A KR 20120075409A KR 20130008470 A KR20130008470 A KR 20130008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layer
coat film
less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히코 오카베
다이시 엔도
타다시 아카마츠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과제]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그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드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하드코트 필름은 투명한 기재층과, 이 기재층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과, 이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을 갖고,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이 100nm 이하, 또한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200nm 이하이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면 좋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평균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이면 좋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헤이즈값이 2% 이하이면 좋다.

Description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HARD COAT FILM AND TOUCH PANEL}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모듈(LCD)은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다용되고 있고, 그 용도는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PDA), pc, 텔레비전 등의 정보용 표시 디바이스로서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모듈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지만, 밝은(고휘도화), 보기 쉬운(광시야각화), 에너지절약화, 초경량화, 대화면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모듈로서는 시인자의 조작 용이성, 신속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치패널이 탑재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패널이 탑재된 액정 표시 모듈은, 일반적으로는, 터치패널, 액정 표시 소자, 각종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가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이 순서로 중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로서는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극을 연장시키고, 손가락 등이 접촉했을 때에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검지하여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나(일본 특개 2011-76386호 공보 참조), 투광성 도전막의 양단에 동상, 동전위의 교류를 인가하고, 손가락이 접촉 또는 근접하여 캐패시터가 형성될 때에 흐르는 미약 전류를 검지하여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것 등이 존재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터치패널은, 시인자가 유리 기판을 강하게 밀었을 때나 낙하했을 때에, 이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되어 이들 파편이 비산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패널은, 유리 기판 등이 비산하면, 이들 파편이 시인자의 손가락 등을 찔러 시인자가 부상당할 위험이 있고, 또 이들 파편이 터치패널의 이면측에 중첩되는 액정 표시 소자 등을 파손시키는 원인이 될 우려도 있다고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 다른 방식의 터치패널에서도 동일하게 존재하고 있다.
일본 특개 2011-76386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그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드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발명은,
투명한 기재층과,
이 기재층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과,
이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을 갖고,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이 100nm 이하, 또한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200nm 이하인 하드코트 필름이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층, 하드코트층 및 점착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점착층에 의해, 예를 들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 등에 첩착함으로써, 이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이것들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층의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터치패널 등의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발생 방지 기능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내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소정의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다른 광학 부재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3차원 표시 장치에 사용되어도 된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 사용된 경우,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 본 경우의 무지개 모양을 억제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내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을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이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직사광선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광학적 균일성이 우수하여, 세밀한 영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평균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이면 좋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층의 평균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필름의 강도, 휨방지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 파손시 등에 발생하는 파편의 비산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헤이즈값이 2% 이하이면 좋다. 이와 같이, 헤이즈값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영상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87% 이상이면 좋다. 이와 같이, 가시광선 투과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가시광선을 충분히 투과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상기 점착층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첩착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유리 기판 파손시 등에 발생하는 파편의 비산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다른 발명은,
유리 기판과, 이 유리 기판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점착층에 의해 첩착되는 당해 하드코트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패널이다.
당해 터치패널은, 하드코트 필름이 기재층, 하드코트층 및 점착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점착층을 유리 기판의 이면에 첩착함으로써, 이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이것들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은, 하드코트 필름의 기재층의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발생 방지 기능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터치패널은 하드코트 필름의 내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소정의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다른 광학 부재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은 Ro=(Ny-Nx)×d에서 구해지는 값이며,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은 Rth=((Nx+Ny)/2-Nz)×d에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에서, Nx는 필름의 진상(進相)축(면방향과 평행한 축)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의 지상(遲相)축(면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진상축과 수직한 축)의 굴절률이고, Nz는 두께방향(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의 필름의 굴절률이며, d는 필름의 두께이다.
또한 「헤이즈값」은 JIS K7136에 준한 값이다. 「가시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에 준한 값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드코트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패널은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그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하드코트 필름(1)은 기재층(2)과, 하드코트층(3)과, 점착층(4)을 가지고 있다. 하드코트 필름(1)은, 터치패널을 탑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점착층(4)을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첩착시켜 이 유리 기판에 적층 된다.
기재층(2)은 광선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재층(2)을 구성하는 주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합성 수지는 우수한 광학적 투명성을 가지고 있어, 광선을 양호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재층(2)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기재층(2)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의 내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을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좋은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유리 기판 등의 파편의 비산 방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는 광탄성 계수가 작다. 그 결과,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리타데이션값을 작게 함과 아울러, 직사 광선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광학적 균일성이 우수하고, 세밀한 영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기재층(2)은 투명성 및 원하는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은 다른 임의 성분을 포함해도 되는데, 상기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임의 성분의 예로서는 자외선흡수제, 안정제, 윤활제, 가공조제, 가소제, 내충격 조제, 위상차 저감제, 광택제거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2)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어느 하나뿐이어도 되지만,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하면 좋다.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공지의 포스겐법 또는 용융법에 의해 제조된 직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카보네이트 성분과 디페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카보네이트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전구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페놀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5-디메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데칸,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도데칸,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티오디페놀,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896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으로 제조되고, 그 굴절률은 1.57 이상 1.59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분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분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로글루신, 트리멜리트산,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평03-1825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향족 디페놀류, 상기 분기제 및 포스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방향족 디페놀류 및 말단 정지제를, 이것들을 포함하는 반응혼합액이 난류가 되도록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반응혼합액의 점도가 상승한 시점에서, 알카리 수용액을 가함과 아울러 반응혼합액을 층류로서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 5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의 범위이다. 이것은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10중량% 미만에서는 신장 점도가 저하되어 압출 성형에서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며, 80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전단 점도가 높아져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기재층(2)을 형성하는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는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등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인 비결정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말한다.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다환식의 환상 올레핀과 단환식의 환상 올레핀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다환식의 환상 올레핀으로서는노르보르넨, 메틸노르보르넨, 디메틸노르보르넨, 에틸노르보르넨,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부틸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메틸디시클로펜타디엔, 디메틸디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메틸테트라시클로도데센, 디메틸시클로테트라도데센, 트리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시클로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환식의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시클로옥타디엔, 시클로옥타트리엔, 시클로도데카트리엔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의 광탄성 계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10-12/Pa 이하, 바람직하게는 9×10-12/Pa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10-12/Pa 이하이다.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의 광탄성 계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고온고습하에 노출된 경우의 위상차의 변화가 커져,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광학 필름(1)의 광탄성 계수가 상기 범위 이내이면, 고온고습하에 노출된 경우의 위상차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화면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세밀한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광탄성 계수」는 외력에 의한 굴절률의 변화가 생기기 쉬운 것을 나타내는 계수로 CR[/Pa]=Δn/σR에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에서, σR은 신장응력[Pa], Δn은 응력 부가시의 굴절률이며, Δn은 다음 식에 의해 정의된다.
Δn=n1-n2
(식 중, n1은 신장응력과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이며, n2는 신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이다.)
기재층(2)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골격을 갖는 수지이다. 아크릴계 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C1-6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층(2)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에 유래하는 골격을 갖는 수지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2)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다른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단위가 8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을 반응기에 장입하고, 내부온도를 서서히 올리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한 후, 반응생성물을 중합반응기에 옮기고, 고온 진공상태에서 중합반응을 행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기재층(2)의 두께(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상 3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상 12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필름의 강도, 휨방지성 등의 특성이 저하되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 파손시 등에 발생하는 파편의 비산 방지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또 액정 표시 장치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되기도 한다. 한편,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기재층의 평균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필름의 강도, 휨방지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 파손시 등에 발생하는 파편의 비산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기재층(2)으로서는, 통상, 산술평균 표면거칠기(Ra)가 0.02 이상 0.06 이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재층(2)에는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처리를 실시한 기재층(2)의 산술평균 표면거칠기(Ra)는 바람직하게는 0.07 이상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1 이하로 할 수 있다. 기재층(2)의 표면거칠기를 이러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필름 원재료 시트 제조 후의 처리에 있어서의 상처발생이 방지되어,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조된 필름 원재료 시트의 권취를 행할 때는, 필름의 폭방향의 양단을 엠보싱 가공(널링 처리)하여 블로킹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필름에 널링 처리를 행한 경우, 필름의 양단의 처리 개소는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그 부분은 재단·폐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필름의 권취 작업에서는, 상처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막에 의해 마스킹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기재층(2)의 산술평균 표면거칠기를 상기와 같은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널링 처리를 행하지 않고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간략화되어, 필름 폭방향의 양단 부분도 사용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필름의 고장을 생기게 하지 않고, 장척에 걸친 권취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2)이 적당한 표면거칠기를 가짐으로써, 권취 시의 상처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상기와 같은 마스킹도 불필요하게 된다.
기재층(2)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의 조각 원료 및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종래 공지의 혼합방법으로 혼합하고, 미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만들고 나서, 기재층(2)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옴니 믹서 등의 혼합기로 프리 블랜딩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혼련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압출 혼련에 사용하는 혼련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나 가압 니더 등의 종래 공지의 혼련기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2)의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 용융압출법, 캘린더법, 압축성형법 등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 용융압출법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리 압출 혼련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도 되고, 합성 수지와, 가소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각각 용매에 용해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한 후,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이나 용융압출법의 필름 성형 공정에 제공해도 된다. 또한 기재층(2)의 리타데이션값 및 하드코트 필름(1)의 리타데이션값을 일정하게 억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용융 수지를 폭방향으로 균일한 온도로 유지된 냉각 롤과 엔드리스 벨트로 원호 형상으로 사이에 끼워 넣고 냉각해도 된다.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염소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벤젠, 및 이것들의 혼합용매 등의 방향족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트산에틸, 디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드럼식 캐스팅 머신, 밴드식 캐스팅 머신, 스핀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용융압출법으로서는 T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융압출 시의 필름의 성형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3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300℃ 이하이다. T다이법으로 필름 성형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단축 압출기나 2축 압출기의 선단부에 T다이를 부착하고, 필름 형상으로 압출한 필름을 권취, 롤 형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권취 롤의 온도를 적당히 조정하여, 압출방향으로 연신을 가함으로써, 1축연신 공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압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하는 공정을 가함으로써, 차례차례 2축연신, 동시 2축연신 등의 공정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재층(2)에 헤이즈를 발생시키거나,또는 기재층(2)으로부터 블리드 아웃 혹은 휘발하지 않도록, 합성 수지와 수소결합 등에 의해 상호작용 가능한 작용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소제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피로멜리트산계 가소제, 다가 알코올계 가소제, 글리콜레이트계 가소제, 시트르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지방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카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3)은 기재층(2)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의 경도를 향상시킨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드코트층(3)은 수지만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그 속에 실리카 미립자, 중합개시제 등이 함유되어도 된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3)은,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도포 조성물을 기재층(2)의 일방의 면 위에 도포하고,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를 가교 반응 및/또는 중합반응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의 작용기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또는 방사선 중합성의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중합성 작용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 중합성 작용기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작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포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모노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은 이들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으로써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하드코트층(3)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으로서는 4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광중합의 개시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당해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유연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생산성을 높이면서, 유연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되고, 2작용 이상 6작용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작용 이상 3작용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경도와 연신률과의 밸런스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연신률로서는 2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상 7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연신률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하드코트층(3)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연신률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성형시에 깨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연신률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성형시 등의 깨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연신률」이란 JIS K5600에 준하여 측정한 값을 말한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상 8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상온하에서의 하드코트층(3)의 경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깨짐을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진다. 한편,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를 적합하게 가지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유지하여,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된다. 또한, 하드코트층(3)은 3작용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극성기를 갖는 분자 구조이어도 되고, 저극성의 분자 구조이어도 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극성기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 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글리세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실기 함유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이외에,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모노알킬아미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극성의 분자 구조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지환식 에스테르 또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지환식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75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시에 깨짐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를 적합하게 가지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유지하여,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질, 미힐러 케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 2-히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1-온 , 1-히드록시클로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 (2,6-디플루오로-3-(필-1-일)티타늄,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 2,4,6-트리메틸벤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하드코트층(3)의 연필경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H 이상이 바람직하고, 2H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H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하드코트층(3)의 연필경도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경도가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것 반해,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하드코트층(3)의 연필경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하드코트층(3)을 바람직한 경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드코트 필름(1)은 하드코트층(3)의 상처발생 방지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의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필경도」는 JIS K5400에 규정하는 시험방법의 8.4에 기재된 연필긁기에 근거하는 값을 말한다.
하드코트층(3) 두께(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5㎛ 이상 50㎛ 이하로 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3)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재층(2)의 일방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활성 에너지선 조사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기재층(2)의 일방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핀코팅법, 스프레이법, 슬라이드 코팅법, 디핑법, 바 코팅법, 롤 코터법, 스크린인쇄법 등, 여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하드코트층(3)의 제조시에는, 필요에 따라, 전처리로서 아르곤 가스나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의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개질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기재층(2)의 일방의 면에 언더코트층을 적층하고, 이 언더코트층을 통하여 하드코트층(3)을 적층해도 된다.
기재층(2)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된다. 점착층(4)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공지의 점착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4)은 이러한 공지의 점착성 수지에 더하여,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 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등의 점착 조제 등을 혼합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점착층(4)을 형성하는 점착성 수지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 이상 20 이하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시클로데칸(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점착력 및 점착 대상으로부터의 발포를 억제하는 점에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력이 약한 경우에는, 점착 대상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량의 가스 성분이 계면에 체류하여 기포가 되고, 점착성이나 외관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으로서는 다른 구성단위의 함유량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점착력을 유지하는 점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단위에 대하여 29.9질량% 이상 5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환식 모노머로서는 점착력 및 점착 대상으로부터의 발포를 억제하는 점에서,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식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으로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단위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5질량% 이상 6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지환식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접착성이 부족하여 점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지환식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점착 대상으로부터의 발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작용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나 각종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점착력이나 점착 대상으로부터의 발포를 억제하는 점에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작용기 함유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으로서는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 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작용기 함유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점착층(4)의 극성이 커져, 저극성 표면으로의 점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작용기 함유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점착층(4)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전단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라디칼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톨루엔이나 크실렌과 같은 탄화수소계나 아세트산에틸과 같은 에스테르계의 유기용매 중에 상기 단량체를 용해하여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과산화벤조일 등의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50~90℃ 정도에서, 3~20시간 정도 중합을 행함으로써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기용매 용액을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20만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만 이상 200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만 이상 150만 이하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폴리머 합성시의 중합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기포를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점착제로서 충분한 점착력을 얻기 위하여 통상 -1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20℃ 이하이다.
점착층(4)은 점착제 용액을 기재층(2)의 타방의 면측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기재층(2)에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4)은 점착제 용액을 미리 세퍼레이터의 편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둔 뒤, 기재층(2)과 첩합함으로써 기재층(2)에 적층할 수도 있다.
점착층(4)의 두께(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40㎛ 이하로 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의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은 100nm 이하로 되어 있고, 5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n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코트 필름(1)의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은 200nm 이하로 되어 있고, 10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n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이와 같이 면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을 작게 함으로써 투과광선의 변환작용을 억제하여, 다른 광학 부재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의 헤이즈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헤이즈값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헤이즈값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영상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의 가시광선 투과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7%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가시광선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없어, 시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가시광선을 충분히 투과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점착층(4)을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첩착시키고 이 유리 기판의 이면측에 적층됨으로써, 터치패널 파손시에 있어서의 파편 등의 비산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기재층(2), 하드코트층(3) 및 점착층(4)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층(4)에 의해, 예를 들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 등에 첩착함으로써, 이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이것들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기재층(2)의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3)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터치패널 등의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발생 방지 기능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내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소정의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다른 광학 부재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3차원 표시 장치에 사용되어도 좋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은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 사용된 경우,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 본 경우의 무지개 모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의 터치패널(11)은 유리 기판(12, 14)과, 전극층(13)과, 하드코트 필름(1)을 가지고 있다. 유리 기판(12)은 표면측의 대략 중앙 영역이 손끝에 의한 입력이 행해지는 입력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12)의 이면에는 점착층(4)이 첩착됨으로써 하드코트 필름(1)이 적층되어 있다. 전극층(13)은 투명 도전막이며,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연장되어 있다. 전극층(13)은 유리 기판(14)의 표면측에 적층되어 있다. 유리 기판(14)의 이면에는 점착층(4)이 첩착됨으로써 하드코트 필름(1)이 적층되어 있다. 터치패널(11)은 유리 기판(12)의 입력영역에 손가락 등이 접촉하기 전후에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터치패널(11)은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고, 터치 위치를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당해 터치패널(11)은 하드코트 필름(1)이 기재층(2), 하드코트층(3) 및 점착층(4)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층(4)을 유리 기판(12, 14)의 이면에 첩착함으로써, 유리 기판(12, 14)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이것들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11)은, 하드코트 필름(1)의 기재층(2)의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3)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를 입혀 방지 기능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터치패널(11)은 하드코트 필름(1)의 내면 리타데이션값(Ro) 및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소정의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다른 광학 부재의 광학적 기능을 저해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은 상기 태양 이외에, 여러 변경, 개량을 시행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하드코트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하드코트층 위에 다른 층(예를 들면, UV 흡수층, 대전방지층 및 반사방지층 등)이 적층 되어도 된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층과 하드코트층, 또는 기재층과 점착층이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이면 이외에도 여러 광학 부재에 첩착시킴으로써 이들 부재의 비산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표면측에 첩착되어도 되고, 또한 터치패널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첩착되어도 된다. 특히,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터치패널의 전극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유리 기판의 이면에 첩착 됨으로써, 터치패널의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 발생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어, 터치패널의 취급 용이성을 적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 여러 터치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터치패널 이외에, 입체영상 표시 장치 등, 여러 액정 표시 모듈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하드코트 필름은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그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하드코트 필름 2 기재층
3 하드코트층 4 점착층
11 터치패널 12 유리 기판
13 전극층 14 유리 기판

Claims (9)

  1. 투명한 기재층과,
    이 기재층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과,
    이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을 갖고,
    면내 리타데이션값(Ro)이 100nm 이하, 또한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값(Rth)이 200nm 이하인 하드코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평균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헤이즈값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8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9. 유리 기판과, 이 유리 기판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점착층에 의해 첩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코트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120075409A 2011-07-12 2012-07-11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 KR20130008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3791A JP2013020120A (ja) 2011-07-12 2011-07-12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JP-P-2011-153791 2011-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470A true KR20130008470A (ko) 2013-01-22

Family

ID=4763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409A KR20130008470A (ko) 2011-07-12 2012-07-11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020120A (ko)
KR (1) KR20130008470A (ko)
CN (1) CN102922805A (ko)
TW (1) TW2013070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4141866A1 (ja) * 2013-03-13 2017-02-16 Dic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保護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05829106B (zh) * 2013-12-26 2018-06-05 日本瑞翁株式会社 多层膜及其制造方法
JP2015225428A (ja) * 2014-05-27 2015-12-14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式情報入力画像表示装置
JP6512804B2 (ja) * 2014-12-05 2019-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用途
CN105867668B (zh) * 2015-01-23 2020-08-04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薄膜处理方法以及触控面板制作方法
KR101966634B1 (ko) * 2015-11-02 2019-04-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CN109799563A (zh) * 2017-11-16 2019-05-2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偏光板、圆偏光板及oled显示装置
US11970593B2 (en) * 2018-07-27 2024-04-30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Hard coat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WO2021029266A1 (ko) * 2019-08-09 2021-02-18
US20220371310A1 (en) * 2019-10-18 2022-11-24 Showa Denko K.K. Transparent conducting film laminat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8744B2 (en) * 2002-01-09 2006-05-02 Konica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having a stretched film on a side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employing the same
CN1306292C (zh) * 2002-01-17 2007-03-21 富士胶片株式会社 包括线性偏振薄膜和相延迟器的偏振片
JP2004004150A (ja) * 2002-05-13 2004-01-08 Sumitomo Chem Co Ltd 積層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313728B2 (ja) * 2009-03-12 2013-10-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0120A (ja) 2013-01-31
CN102922805A (zh) 2013-02-13
TW201307072A (zh) 201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8470A (ko)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
KR101386905B1 (ko)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
TWI494223B (zh) A hard coat film,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a touch panel
KR101426725B1 (ko) 하드 코트 필름,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KR101406805B1 (ko) 하드코트 필름,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KR101495138B1 (ko) 광학 시트,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KR20100015898A (ko) 표시 화면용 보호 필름 및 편광판
TW201307073A (zh) 硬塗層膜及觸控面板
WO2017164276A1 (ja) 押出樹脂板の製造方法及び押出樹脂板
JP2015132691A (ja) 樹脂積層板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8078090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WO2011108494A1 (ja) 導電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TW201423172A (zh) 積層體及其製造方法、相位差薄膜、偏光板及ips液晶面板
JP2019203931A (ja) 防眩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2017129868A (ja) 樹脂積層板及びタッチパネル
EP3170660B1 (en) Un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laminat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KR101625245B1 (ko) 모아레 및 분진이 없는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표시 장치
KR20190060569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