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138B1 - 광학 시트,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광학 시트,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138B1
KR101495138B1 KR20120132404A KR20120132404A KR101495138B1 KR 101495138 B1 KR101495138 B1 KR 101495138B1 KR 20120132404 A KR20120132404 A KR 20120132404A KR 20120132404 A KR20120132404 A KR 20120132404A KR 101495138 B1 KR101495138 B1 KR 10149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coat layer
optical sheet
layer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831A (ko
Inventor
타다시 아카마츠
다이시 엔도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58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e.g. wire grids, conductive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우수한 경도를 가짐과 아울러,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위상차의 변화를 막을 수 있는 광학 시트 및 이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투명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과, 이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1 하드 코트층과, 이 제 1 하드 코트층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2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3H 이상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보다도 낮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1㎛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4배 이상 20배 이하이다.

Description

광학 시트,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OPTICAL SHEET,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본 발명은 광학 시트, 이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 모듈(LCD)은 초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다용되고 있고, 그 용도는 휴대전화, 휴대정보 단말(PDA),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정보용 표시 디바이스로서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최근, 액정표시 모듈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지만, 밝은(고휘도화), 보기 쉬운(광시야각화), 성에너지화, 초경량화, 대화면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 모듈로서는 시인자의 조작 용이성, 신속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치패널이 탑재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패널이 탑재된 액정표시 모듈은, 일반적으로는, 터치패널, 액정표시 소자, 각종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가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이 순서로 중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로서는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이 존재하고 있다.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극을 연장시켜, 손가락 등이 접촉했을 때에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검지하여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나, 투명 도전막의 양단에 동 상, 동 전위의 교류를 인가하고, 손가락이 접촉 또는 근접하여 캐패시터가 형성될 때에 흐르는 미약 전류를 검지해서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것 등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패널에서는,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양호하게 투과시키는 한편, 외부광의 반사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터치패널의 최표면에 편광판을 배치하고, 또한 터치패널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한 쌍의 위상차 필름(1/4λ판)을 배치한 것도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위상차 필름의 상처 방지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상차 필름에 하드 코트층이 적층된 광학 시트도 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과 하드 코트층과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컬이 발생한 경우,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가 변화되어 원하는 복굴절을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오늘날에는 하드 코트층을 제 1 하드 코트층(내층) 및 제 2 하드 코트층(바깥층)의 2층 구조로 함으로써 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 2000-71392호 공보참조). 이 공보 소재의 하드 코트 필름은 제 1 하드 코트층으로서 라디칼 중합형 수지와 양이온 중합형 수지와의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경화 수지층을 기재층의 표면에 설치하고, 이 제 1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제 1 하드 코트층과 대략 동일 두께의 제 2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여, 내찰상성을 유지하면서 컬의 발생 방지 및 크랙의 발생 방지를 달성하려고 한 것이다.
또한 2층 구조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는 (2)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보다도 작고,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보다도 두터운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 2007-219013호 공보 참조). 이 공보 소재의 하드 코트 필름은 저수축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하드 코트층과 고경도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하드 코트층이 동일한 도공방법에 의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대략 절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1)의 하드 코트 필름은, 제 1 하드 코트층과 제 2 하드 코트층이 대략 동일 두께이기 때문에, 제 1 하드 코트층이 얇아, 하드 코트 필름의 표면이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이 하드 코트 필름은, 충분한 경도를 얻기 위해서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제 2 하드 코트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져, 컬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2)의 하드 코트 필름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보다도 얇지만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대략 절반 이상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하드 코트 필름의 표면이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컬의 발생을 적확하게 방지할 수 없다.
일본 특개 2000-71392호 공보 일본 특개 2007-219013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경도를 가짐과 아울러,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위상차의 변화를 막을 수 있는 광학 시트 및 이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발명은,
투명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과,
이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1 하드 코트층과,
이 제 1 하드 코트층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2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3H 이상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보다도 낮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1㎛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4배 이상 20배 이하인 광학 시트이다.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과 제 2 하드 코트층 사이에, 제 2 하드 코트층보다도 연필경도가 낮은 제 1 하드 코트층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과 제 2 하드 코트층과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 1 하드 코트층과 제 2 하드 코트층에 의하여,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특히, 당해 광학 시트는,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고,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에 대한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4배 이상 20배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비교적 높은 것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광학 시트는 컬의 발생에 기인하는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F 이상 2H 이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20㎛ 이상 100㎛ 이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컬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투명성 고분자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이면 좋다. 당해 광학 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같이 비교적 경도가 낮아, 컬을 발생하기 쉬운 수지를 위상차 필름의 주성분으로서 사용한 경우이어도, 컬의 발생을 방지하여, 이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직사 광선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이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광학적 투명성을 가져, 광선을 극히 양호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제조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에 열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열팽창이나 열수축을 방지할 수 있어,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포함되는 경우, 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양이온 중합성 수지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차 필름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접착력의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는,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으로서 양이온 중합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컬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이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함과 아울러,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면 좋다. 일반적으로,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며 , 또한 이 제 1 하드 코트층이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의 경화속도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그렇지만, 당해 광학 시트는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방지제의 농도를 작게 억제해도 충분한 양의 자외선 방지제를 제 1 하드 코트층에 함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광학 시트는, 제 1 하드 코트층에 충분한 양의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시킨 경우에도, 제 1 하드 코트층의 경화속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이 1/4 파장 필름 또는 1/2 파장 필름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터치패널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고굴절률층을 구비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측의 굴절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이 1.6 이상 2.3 이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당해 광학 시트의 고굴절률층측을 터치패널 등의 투명 도전층에 적층한 경우에, 고굴절률층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을 근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광학 시트는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이 1.6 이상 2.3 이하인 상기 광학 시트와, 이 광학 시트의 고굴절률층의 타방의 면에 적층되는 투명 도전층을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이다.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광학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광학 시트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여, 컬의 발생에 기인하는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광학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을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 예를 들면, ITO의 굴절률 2.1∼2.2(λ=520nm)에 근접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경우,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고굴절률층의 굴절률과 상기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의 차가 0.6 이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터치패널은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이다.
당해 터치패널은 당해 광학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광학 시트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여, 컬의 발생에 기인하는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은, 당해 광학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은, 고굴절률층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필경도」란 JIS K5600-5-4에 규정하는 시험방법 에 기재된 연필 긋기 값에 기초하는 값을 말한다. 또한 「두께」란 JIS K7130에 준하여 측정한 평균 두께를 말한다.
「자외선 방지제」란 자외선에 의한 광열화 방지 기능을 갖는 첨가제이며,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시트 및 이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은 당해 광학 시트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위상차의 변화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광학 시트와는 상이한 형태에 따른 광학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을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터치패널과는 다른 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을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과, 하드 코트층(3)을 가지고 있다.
(위상차 필름(2))
위상차 필름(2)은 광선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2)은 투명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여 함유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2)은 1/4 파장 필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2)의 주성분으로서 함유되는 투명성 고분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말레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위상차 필름(2)의 주성분으로서 함유되는 투명성 고분자로서는 광학특성, 경도 등의 점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은 투명성 및 원하는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은 다른 임의성분을 포함해도 되지만, 투명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임의 성분의 예로서는 자외선 흡수제,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가소제, 내충격 조제, 위상차 저감제, 광택 제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2)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2)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공지의 포스겐법 또는 용융법에 의해 제조된 직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카보네이트 성분과 디페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카보네이트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전구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 페놀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5-디메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데칸,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도데칸,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티오디페놀,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896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분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분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로글루신, 트리멜리트산,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평03-182524호 공보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향족 디페놀류, 상기 분기제 및 포스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방향족 디페놀류 및 말단 정지제를, 이것들을 포함하는 반응혼합액이 난류가 되도록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반응혼합액의 점도가 상승한 시점에서, 알카리 수용액을 첨가함과 아울러 반응혼합액을 층류로서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 5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된다. 이것은,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10중량% 미만에서는, 신장 점도가 저하되어 압출 성형에서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며, 80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용단 점도가 높아져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위상차 필름(2)을 형성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환상 올레핀(시클로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을 갖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상차 필름(2)에 사용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0P) 또는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0C)의 어느 것이어도 되는데,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는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등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인 비결정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말한다.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다환식의 환상 올레핀과 단환식의 환상 올레핀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다환식의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노르보르넨, 메틸노르보르넨, 디메틸노르보르넨, 에틸노르보르넨,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부틸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메틸디시클로펜타디엔, 디메틸디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메틸테트라시클로도데센, 디메틸시클로테트라도데센, 트리시클로펜타디엔, 테트라시클로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환식의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시클로옥타디엔, 시클로옥타트리엔, 시클로도데카트리엔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2)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골격을 갖는 수지이다. 아크릴계 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C1-6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의 연필경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하드 코트를 부여한 후의 경도를 보다 높게 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8B 이상 2B 이하이어도 상관없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의 연필경도가 상기 범위 정도이어도, 제 1 하드 코트층(4) 및 제 2 하드 코트층(5)에 의해, 일방의 면측의 연필경도를 2H 이상 6H 이하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의 두께의 상한값은 150㎛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위상차 필름(2)의 두께의 하한값은 3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가 특히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시의 라인 속도나 생산성이 저감되고, 또 당해 광학 시트(1)가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위상차 필름(2)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강도, 강성이 작아져, 휨 방지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20℃ 이상 180℃ 이하가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의 상한값은 160℃가 보다 바람직하고, 14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의 하한값은 140℃가 보다 바람직하고, 160℃가 더욱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필름으로 연신할 때에 연신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져 열성형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내열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위상차 필름(2)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막,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막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용제 캐스트법, 용융압출법, 캘린더법 등의 공지의 성막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이로부터 용액을 압출하는 캐스팅법이나 닥터 나이프법 등의 용제 캐스트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디옥소란,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유기용매를 들 수 있다. 용액 농도로서는,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용융압출법은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위상차 필름(2)은 이러한 용융압출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압출법에 의한 제조방법으로서는 조성물을 용액 블렌드법 또는 용융 블렌드법 등에 의해 작성하고 이것을 용융압출에 의해 필름으로 하는 방법이나, 조성물의 드라이 블렌드를 직접 용융압출에 의해 성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액 블렌드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성 고분자와 필요에 따라 가해지는 임의의 첨가제를 용해하는 용매에 각각 용해시키고, 균질하게 혼합한 후, 필요에 따라 여과(필터 여과 등)에 의해 이물을 제거하고, 또한, 이 투명성 고분자에 대한 불용성 용매(또는 빈용매) 속에 주입함으로써, 조성물을 회수하고, 또한, 건조시켜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을 얻는 방법(용액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블렌드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성 고분자와 필요에 따라 가해지는 임의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한 뒤, 용융 블렌드(용융혼련)함으로써 조성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액 블렌드법은 열이력이 적은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지만, 조성물에 대하여 대량의 용매를 사용하여, 조성물의 잔존 용매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용융 블렌드법은 용매의 문제가 없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투명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드라이 블렌드를 직접 용융압출에 의해 필름으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투명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V형 블렌더, 헨쉘믹서, 기계 장치 등의 예비 혼합 수단을 사용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필요에 따라 압출조립기나 브리케팅 머신 등에 의해 조립을 행하고, 벤트식 2축 압출기 등의 용융압출기로 용융혼련하고 플랫 다이(T다이)로부터 밀어냄으로써, 용융 성막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드라이 블렌드를 직접 용융 압출에 의해 성막하는 방법에서는, 각 성분의 일부를 예비 혼합한 후, 나머지의 성분과 독립적으로 용융압출기에 공급해도 된다.
용융압출기로서는 균일한 위상차 필름(2)을 얻기 위하여 논 벤트식 방식의 용융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료 중의 수분이나, 용융혼련 수지로부터 발생하는 휘발 가스를 탈기할 수 있는 벤트를 갖는 용융압출기를 사용해도 된다. 벤트에는, 발생하는 수분이나 휘발 가스를 효율적으로 용융압출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펌프가 바람직하게 설치된다. 또, 압출원료 중에 혼입한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을 용융압출기 다이부 앞의 영역에 설치하고, 이물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크린으로서는 철망, 스크린 체인저, 소결 금속 플레이트(디스크 필터 등) 등을 들 수 있다.
용융압출시의 수지 온도는,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를 Tg라고 할 때, Tg 이상이 바람직하고, Tg+50℃∼Tg+250℃가 보다 바람직하고, Tg+80℃∼Tg+200℃가 더욱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은 이것들의 성막과 동시에, 혹은 연속해서 연신을 행하여, 원하는 1/4 파장 필름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들 성막 방법에서 얻어진 필름을 별도 연신하여 1/4파장 필름으로 해도 된다.
위상차 필름(2)은, 조성물을 제막한 후, 1축 연신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축 연신 방법으로서는 텐터법에 의한 횡1축 연신, 롤 간에 의한 종1축 연신, 롤간 압연법 등의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통상 1.01∼5배의 범위에서 필름의 연신성이나 광학특성(예를 들면, 굴절률 분포, 면내 위상차값, 두께 방향 위상차값, Nz 계수) 등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 연신은 일단으로 행해도 되고, 다단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연신 시의 온도는 Tg-30℃∼Tg+50℃, 보다 바람직하게는 Tg-30℃∼Tg+30℃이다. 이 온도범위이면, 폴리머의 분자운동이 적당하여, 연신에 의한 배향의 완화가 일어나기 어려워, 배향 억제가 용하게 되어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3))
하드 코트층(3)은 제 1 하드 코트층(4)과 제 2 하드 코트층(5)을 가지고 있다. 하드 코트층(3)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1㎛ 이상 105㎛ 이하가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3)의 두께의 상한값은 82㎛가 보다 바람직하고, 63㎛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하드 코트층(3)의 두께의 하한값은 32㎛가 보다 바람직하고, 43㎛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3)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 발생 방지 작용이 그다지 촉진되지 않고, 또 광학 시트(1)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하드 코트층(3)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제 1 하드 코트층(4))
제 1 하드 코트층(4)은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다. 제 1 하드 코트층(4)은 수지만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자외선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하드 코트층(4)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나 반응성 규소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 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응성 규소 화합물로서는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으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시 등에 위상차 필름(2)에 열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열팽창이나 열수축을 방지할 수 있어,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수지, 양이온 중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자외선으로 중합, 가교 등의 반응에 의해 경화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가 사용된다.
상기 모노머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나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머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올리고머나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의 각종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3,4-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센카르복실레이트 등의 지환식 에폭시드류,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 등 글리시딜 에테르류,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등 비닐에테르류,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등 옥세탄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각종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의 폴리 티올계 올리고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노볼락계형 에폭시 수지 올리고머, 방향족 비닐에테르계 수지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제 1 하드 코트층(4)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 또는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사용되고, 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로서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 또는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가 사용됨으로써, 위상차 필름(2)과 제 1 하드 코트층(4)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접착력의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1)는,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하드 코트층(4)의 경화수축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및 올리고머는 요구되는 성능 등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경화수축이 낮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분자량 1000∼3000의 폴리메타크릴록시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들 수 있다. 또,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갖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8-120845호 공보에 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 수지도 사용된다.
제 1 하드 코트층(4)에 함유되는 중합개시제로서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이 라디칼 중합성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인 경우에는, 벤조페논계, 티옥산톤계, 벤조인계, 아세토페논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제 1 하드 코트층(4)에 함유되는 중합개시제로서는, 자외선 중합성 화합물이 양이온 중합성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인 경우에는, 메탈로센계, 방향족 술포늄계, 방향족 요오도늄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대하여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 6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중합도가 저하되어, 원하는 경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충분히 경화반응이 진행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은 도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화글리콜에테르류 등의 유기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필요에 따라 수 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용제는, 제 1 하드 코트층(4)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증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이러한 용제의 비점은 60℃ 이상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제의 20℃에 있어서의 포화 증기압은 0.1kPa 이상 20k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종류 및 함유량에 대해서는, 위상차 필름(2)의 주성분이나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 두께 등에 따라 적당하게 조정된다.
제 1 하드 코트층(4)은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면 좋다. 제 1 하드 코트층(4)에 함유되는 자외선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옥사디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분산성의 점에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옥사디논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의 블리드 아웃 등에 의한 자외선 흡수 기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자외선 흡수기로서는 벤조트리아졸기, 벤조페논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기, 트리아진기, 살리실레이트기, 벤질리덴말로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기, 벤조페논기, 트리아진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안정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제 1 하드 코트층(4)이 자외선 안정제를 함유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칼, 활성산소 등이 불활성화되어, 자외선 안정성, 내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은,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안정제를 병용하는 것에 의하면, 자외선에 대한 광열화 방지성 및 내후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질량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의 하한은 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의 내구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당해 광학 시트(1)은,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에 대한 자외선 방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이 자외선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이 주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 1 하드 코트층(4)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며,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이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의 경화속도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그렇지만,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방지제의 농도를 작게 억제해도 충분한 양의 자외선 방지제를 제 1 하드 코트층(4)에 함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에 충분한 양의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시킨 경우에도, 제 1 하드 코트층(4)의 경화속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이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위상차 필름(2)의 황변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연필경도는 제 2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보다도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연필경도로서는 제 2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보다도 낮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F 이상 2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의 연필경도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2) 및 제 1 하드 코트층(4)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의 연필경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는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4배 이상 20배 이하로 되어 있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의 상한은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18배가 보다 바람직하고, 16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의 하한은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6배가 보다 바람직하고, 8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컬 발생 방지 작용이 그다지 촉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일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의 상한값은 80㎛가 보다 바람직하고, 6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의 하한값은 30㎛가 보다 바람직하고, 40㎛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 발생 방지 작용이 그다지 촉진되지 않고, 또 당해 광학 시트(1)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GPa 이상 4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의 상한값으로서는 3.5GPa이 보다 바람직하고, 3GPa가 더욱 바람빅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의 하한값으로서는 1.5GPa이 보다 바람직하고, 2GPa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당해 광학 시트(1)를 원하는 경도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란 JIS K7113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은, 인장 탄성률에 두께의 3승을 곱한 값이 20kPa·mm2 이상 500kPa·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kPa·mm2 이상 400kPa·m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kPa·mm2 이상 300kPa·mm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에 두께의 3승을 곱한 값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의 강직성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광학 시트(1)를 롤 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에 두께의 3승을 곱한 값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이 변형되기 쉬워져, 위상차 필름(2)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질 우려가 있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이상 8㎛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의 상한값은 7㎛가 보다 바람직하고, 6㎛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의 하한값은 1㎛가 보다 바람직하고, 2㎛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두꺼워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적이 충분하게 증대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하드 코트층(5)과의 접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를 적합하게 유지하면서,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과 제 2 하드 코트층(5)과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의 상한값은 9㎛가 보다 바람직하고, 8㎛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의 하한값은 1㎛가 보다 바람직하고, 2㎛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두꺼워질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이 상기 하한 미만의 경우,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측의 표면적이 충분히 증대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하드 코트층(5)과의 접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산술평균 거칠기(Ra)」 및 「10점 평균 거칠기(Rz)」는 JIS B0601-2001에 준한 값이다.
제 1 하드 코트층(4)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시키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법, 슬라이드 코팅법, 디핑법, 바 코팅법, 롤 코터법, 스크린 인쇄법 등, 여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1 하드 코트층(4)의 제조 시에는, 필요에 따라, 전처리로서 아르곤 가스나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 있어서의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개질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에 언더코트층을 적층하고, 이 언더코트층을 통하여 제 1 하드 코트층(4)을 적층해도 된다.
(제 2 하드 코트층(5))
제 2 하드 코트층(5)은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다.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하드 코트층(5)은 수지만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그 속에 실리카 미립자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5)은,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도포 조성물을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일방의 면 위에 도포하고,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를 가교 반응 및/또는 중합반응 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의 작용기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또는 방사선 중합성의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중합성 작용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 중합성 작용기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작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포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모노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은 이들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으로써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제 2 하드 코트층(5)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으로서는, 4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광중합의 개시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유연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생산성을 높이면서, 유연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 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되지만, 2작용 이상 6작용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작용 이상 3작용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 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경도와 연신률과의 밸런스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상 8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상온하에서의 제 2 하드 코트층(5)의 경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갈라짐을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유지하여, 갈라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 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된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5)은 3작용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극성기를 갖는 분자구조이어도 되고 저극성의 분자구조이어도 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극성기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 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글리세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실기 함유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이외에,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모노알킬아미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극성의 분자구조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지환식 에스테르 또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지환식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75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시에 갈라짐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5)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유지하여, 갈라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질, 미힐러 케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필-1-일)티타늄,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로서는 3H 이상으로 되어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는 4H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H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당해 광학 시트(1)를 원하는 경도에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로서는 1㎛ 이상 10㎛ 이하로 되어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상한값은 8㎛가 보다 바람직하고, 6㎛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의 하한값은 2㎛가 보다 바람직하고, 3㎛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지 않고, 또한 당해 광학 시트(1)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당해 광학 시트(1)를 원하는 경도로 형성하기가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GPa 이상 6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의 상한값은 5.5GPa이 보다 바람직하고, 5GPa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의 하한값은 2GPa이 보다 바람직하고, 2.5GPa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당해 광학 시트(1)를 원하는 경도로 형성하기가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과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의 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 이상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과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과의 비의 상한은 35가 보다 바람직하고, 3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과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의 비의 하한은 1.7이 보다 바람직하고, 2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과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과의 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 2 하드 코트층(5)의 인장 탄성률과 제 1 하드 코트층(4)의 인장 탄성률과의 비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당해 광학 시트(1)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제 2 하드 코트층(5)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1 하드 코트층(4)과 동일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
당해 광학 시트(1)의 헤이즈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헤이즈값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공기 중에서의 필름의 헤이즈값(Ha)과 수중에서의 필름의 헤이즈값(Hw)의 차(Ha-Hw)로서 얻어지는 외부 헤이즈값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외부 헤이즈값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표면의 요철이 비교적 커져, 위상차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당해 광학 시트(1)의 가시광선 투과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7%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시광선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없어, 시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과 제 2 하드 코트층(5) 사이에, 제 2 하드 코트층(5)보다도 연필경도가 낮은 제 1 하드 코트층(4)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과 제 2 하드 코트층(5)과의 경도차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 1 하드 코트층(4)과 제 2 하드 코트층(5)에 의하여,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특히,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고, 또한 제 2 하드 코트층(5)의 두께에 대한 제 1 하드 코트층(4)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제 2 하드 코트층(5)의 연필경도가 비교적 높은 것에 기인하여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제 1 하드 코트층(4)에 보다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1 하드 코트층(4)에 의해, 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당해 광학 시트(1)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적합하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광학 시트(1)는, 제 2 하드 코트층(5)을 비교적 얇게 형성해도, 제 1 하드 코트층(4)이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과 연동하여,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컬의 발생이 방지되는 결과, 컬의 발생에 기인하여 위상차 필름(2)의 위상차가 변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와 같이 비교적 경도가 낮고, 컬을 발생하기 쉬운 수지를 위상차 필름(2)의 주성분으로서 사용한 경우이어도, 컬의 발생을 방지하여, 이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직사광선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이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광학적 투명성을 가져, 광선을 대단히 양호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이 1/4 파장 필름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터치패널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광학 시트(11)>
도 2의 광학 시트(11)는 위상차 필름(2)과, 하드 코트층(3)과, 고굴절률층(12)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2) 및 하드 코트층(3)은 도 1의 광학 시트(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고굴절률층(12))
고굴절률층(12)은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고굴절률층(12)의 주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에, 필요에 따라 가교제, 중합개시제, 중합촉진제, 용제, 점도조정제 등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고굴절률층(12)은 높은 굴절률을 갖는 초미립자를 바인더 수지에 첨가한 도료 조성물을 도공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초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ZnO, TiO2, CeO2, SnO2, ITO, Cs0 .33WO3, Al2O3, La2O3, ZrO2, Y2O3 등의 무기 재료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제 2 하드 코트층(5)의 형성 수지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고굴절률층(12)은, 이들 무기 재료를 초미립자화 하여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하고 용제에 희석한 뒤,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바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잉크젯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초미립자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nm 이상 10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초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상한값은 8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6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초미립자의 평균입경의 하한값은 5nm가 보다 바람직하고, 1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초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고굴절률층(12)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초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초미립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초미립자의 바인더에 대한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6 이상 2.3 이하가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의 상한값은 2.25가 보다 바람직하고, 2.2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의 하한값은 1.7이 보다 바람직하고, 1.75가 더욱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가 아닌 경우, 당해 광학 시트(11)의 고굴절률층(12)을 터치패널 등의 투명 도전층에 적층한 경우에,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의 차가 커져,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이 향상될 우려가 높아진다.
고굴절률층(12)의 연필경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F 이상 2H 이하가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12)의 연필경도의 상한값은 H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고굴절률층(12)의 연필경도의 하한값은 HB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고굴절률층(12)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nm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12)의 두께의 상한값은 7㎛가 보다 바람직하고, 5㎛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고굴절률층(12)의 두께의 하한값은 10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12)의 연필경도 및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컬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짐과 아울러, 당해 광학 시트(11)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고굴절률층(12)의 연필경도 및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측의 경도를 적합하게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고굴절률층(12)의 연필경도 및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측의 경도를 적합하게 높일 수 있고, 또한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광학 시트(11)의 초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1)는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고굴절률층(1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측의 굴절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11)의 헤이즈값, 외부 헤이즈값 및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해서는, 광학 시트(1)와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
<투명 도전성 적층체(21)>
도 3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광학 시트(11)와, 투명 도전층(22)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시트(11)는, 도 2의 광학 시트(1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투명 도전층(22))
투명 도전층(22)은 고굴절률층(12)의 타방의 면에 적층된다.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재료로서는, 투명성과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계 금속이나 유기 도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무기계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 은, 구리, 백금, 니켈, 산화주석, 산화인듐주석(ITO)을 들 수 있다. 유기 도전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퀴녹살린 등을 사용한 유기 도전성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광학특성, 외관 및 도전성이 양호한 ITO 또는 폴리티오펜계 재료가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재료를 고굴절률층(12) 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바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잉크젯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재료를 도포할 때에는, 고굴절률층(12)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리 고굴절률층(12) 위에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전처리를 시행해도 된다.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재료의 경화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 장치, 방사성 원소 등의 활성 에너지선원 등에 의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으로서는, 자외선의 파장 365nm에서의 적산 광량으로서 50mJ/cm2 이상 5000mJ/c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가 착색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조사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경화가 불충분학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22)은 스퍼터링법 등의 드라이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투명 도전층(22)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고굴절률층(12)과의 밀착성이나 초박형화의 관점에서 스퍼터링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퍼터링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투명 도전층(22)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Å 이상 2000Å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퍼터링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투명 도전층(22)의 두께의 상한값은 1000Å이 바람직하고, 500Å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퍼터링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투명 도전층(22)의 두께의 하한값은 70Å이 보다 바람직하고, 90Å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층(2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전성 및 투명성의 쌍방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광학 시트(11)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진 경우에도, 투명 도전층(22)을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하여, 투명 도전층(22)의 두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초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광학 시트(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광학 시트(11)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여, 컬의 발생에 기인하는 위상차 필름(2)의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광학 시트(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경우, 투명 도전층(22)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의 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6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의 차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투명 도전층(22)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터치패널(31)>
도 4의 터치패널(31)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서 형성되어 있다. 터치패널(31)은 액정 패널(도시 생략)의 표면측(시인자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터치패널(31)은 투명 도전성 적층체(21)와, 유리 기판(32)과, 점착층(33)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도 3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2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은 액정층과, 이 액정층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한 쌍의 편광판을 가지고 있다.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광학 시트(11)가 터치패널(31)의 표면측에 위치하고, 투명 도전층(22)이 터치패널(31)의 액정 패널측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위상차 필름(2)의 진상(進相)축 방향이 액정층의 표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편광판의 편광축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투명 도전성 적층체(21)는 점착층(33)을 통하여 유리 기판(32)에 적층되어 있다. 점착층(33)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공지의 점착성 수지를 사용한 점착층을 들 수 있다.
터치패널(31)의 화상 광투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층의 표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편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편광은 위상차 필름(2)을 투과하면 원편광으로 변환된다(또한, 위상차 필름(2)이 1/2 파장 필름인 경우에는 편광이 90°선광(旋光)됨). 이것에 의해, 선글라스(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액정 화면을 본 경우, 크로스 니콜을 회피하여,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당해 터치패널(31)은, 당해 광학 시트(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당해 광학 시트(11)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여, 컬의 발생에 기인하는 위상차 필름(2)의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31)은, 당해 광학 시트(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31)은,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투명 도전층(22)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터치패널(41)>
도 5의 터치패널(41)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로서 형성되어 있다. 터치패널(41)은 액정 패널(도시 생략)의 표면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터치패널(41)은 투명 도전성 적층체(21)과, 복수의 도트 스페이서(42)와, 주상 스페이서(43)와, 투명 도전막(44)과, 고굴절률층(45)과, 유리 기판(46)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21)은, 도 3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2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은 액정층과, 이 액정층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한 쌍의 편광판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도트 스페이서(42)는 투명 도전막(4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트 스페이서(42)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나 실리콘 등의 절연 수지를 들 수 있다. 주상 스페이서(43)는 투명 도전층(22)과 투명 도전막(44)과의 사이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주상 스페이서(43)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 등의 절연 수지를 들 수 있다. 주상 스페이서(43)는, 투명 도전층(22)의 이면측 주변부에 고정되고, 또한 투명 도전막(44)의 표면측 주변부에 고정되어 있다. 주상 스페이서(43)는, 투명 도전층(22)과 투명 도전막(44)을 이간시키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투명 도전막(44)은 고굴절률층(45)의 표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투명 도전막(44)의 형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 도전층(22)과 동일한 형성 재료를 들 수 있다. 투명 도전막(44)은 투명 도전층(22)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률층(45)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45)은 유리 기판(46)의 표면에 적층된다. 고굴절률층(45)의 형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굴절률층(12)과 동일한 형성 재료를 들 수 있다. 고굴절률층(45)의 적층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점착층(도시 생략)을 통하여 유리 기판의 표면에 적층된다. 이러한 점착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점착층과 동일한 점착층을 들 수 있다.
터치패널(41)의 화상 광투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층의 표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편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편광은 위상차 필름(2)을 투과하면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이것에 의해, 선글라스(편광 선글라스)를 통하여 액정 화면을 보았을 경우, 크로스 니콜을 회피하고,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당해 터치패널(41)은 당해 광학 시트(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당해 광학 시트(11)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여, 컬의 발생에 기인하는 위상차 필름(2)의 위상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41)은, 당해 광학 시트(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측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41)은, 고굴절률층(12)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22)의 굴절률을 근접시킴으로써, 투명 도전층(22)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시트, 이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은, 상기 태양 이외에, 여러 변경, 개량을 시행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해 광학 시트는 타방의 면측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점착층으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공지의 점착성 수지를 사용한 점착층을 들 수 있다. 점착층은 점착제 용액을 위상차 필름 또는 고굴절률층의 타방의 면측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은 점착제 용액을 미리 세퍼레이터의 편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놓은 후, 위상차 필름 또는 고굴절률층과 첩합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는, 제 2 하드 코트층 중에 ZnO, TiO2, CeO2, SnO2, ITO, Cs0.33WO3, Al2O3, La2O3, ZrO2, Y2O3 등의 초미립자를 분산 함유시켜 굴절률을 향상시켜도 된다. 당해 광학 시트는,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과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을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광학 시트는 투명 도전층을 제 2 하드 코트층 위에 배열 설치함으로써 투명 도전층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이 반드시 1/4 파장 필름으로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1/2 파장 필름, 3/4 파장 필름 등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1/4 파장 필름, 3/4 파장 필름은 원편광성을 이용하지만, 1/2 파장 필름은 편광의 90° 광학 활성을 이용한다. 편광 선글라스를 걸어서 크로스 니콜이 되는 경우, 1/2 파장 필름으로 90° 선광시켜 평행 니콜로 한다. 당해 광학 시트는, 제 2 하드 코트층 위에 다른 층(예를 들면, UV 흡수층, 대전방지층 및 반사방지층 등)이 적층되어도 된다.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과 제 1 하드 코트층과의 사이, 제 1 하드 코트층과 제 2 하드 코트층과의 사이, 또는 위상차 필름과 고굴절률층과의 사이에 중간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 측에도 제 1 하드 코트층 및 제 2 하드 코트층이 이 순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광학 시트는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 여러 터치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입체영상 표시 장치, 그 밖에 여러 액정표시 모듈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시트 및 이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은 당해 광학 시트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위상차의 변화를 막을 수 있어, 터치패널 외에 여러 액정 표시 모듈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광학 시트 2 위상차 필름
3 하드 코트층 4 제 1 하드 코트층
5 제 2 하드 코트층 11 광학 시트
12 고굴절률층 21 투명 도전성 적층체
22 투명 도전층 31 터치패널
32 유리 기판 33 점착층
41 터치패널 42 도트 스페이서
43 주상 스페이서 44 투명 도전막
45 고굴절률층 46 유리 기판

Claims (13)

  1. 투명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과,
    이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1 하드 코트층과,
    이 제 1 하드 코트층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제 2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3H 이상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보다도 낮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20㎛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1㎛ 이상 10㎛ 이하이며,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제 2 하드 코트층의 두께의 4배 이상 20배 이하이고,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일방의 면측의 산술평균 거칠기(Ra)가 0.5㎛ 이상 8㎛ 이하이며,
    공기 중에서의 헤이즈값(Ha)과 수중에서의 헤이즈값(Hw)의 차(Ha-Hw)가 1.0% 이하인 광학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연필경도가 F 이상 2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성 고분자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의 주성분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양이온 중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드 코트층이 자외선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이 1/4 파장 필름 또는 1/2 파장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되는 고굴절률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이 1.6 이상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0. 제 9 항에 기재된 광학 시트와,
    이 광학 시트의 고굴절률층의 타방의 면에 적층되는 투명 도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층의 굴절률과 상기 투명 도전층의 굴절률의 차가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3. 삭제
KR20120132404A 2011-11-22 2012-11-21 광학 시트,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KR101495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5124A JP2013109219A (ja) 2011-11-22 2011-11-22 光学シート、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JP-P-2011-255124 2011-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831A KR20130056831A (ko) 2013-05-30
KR101495138B1 true KR101495138B1 (ko) 2015-02-24

Family

ID=4849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2404A KR101495138B1 (ko) 2011-11-22 2012-11-21 광학 시트,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09219A (ko)
KR (1) KR101495138B1 (ko)
CN (1) CN103135159B (ko)
TW (1) TWI5518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4880B2 (ja) * 2012-12-07 2016-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CN103605176A (zh) 2013-09-17 2014-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相位差膜及其制造方法和显示设备
CN106163812B (zh) * 2014-03-24 2018-11-09 理研科技株式会社 由硬涂层层合体形成的物品的制造方法,及由含有聚(甲基)丙烯酰亚胺系树脂层的硬涂层层合体形成的物品
CN105892731B (zh) * 2014-10-29 2019-05-28 祥达光学(厦门)有限公司 触控屏幕
JP2016177405A (ja) * 2015-03-19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20170253706A1 (en) * 2016-03-04 2017-09-07 Dongwoo Fine-Chem Co., Ltd. Hard Coating Film
CN107610813A (zh) * 2017-08-11 2018-01-19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双面导电膜及其制备方法
KR102271026B1 (ko) * 2017-09-04 2021-06-3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다층구조를 가지는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JP7243634B2 (ja) * 2017-11-28 2023-03-22 Agc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導光素子
WO2020036693A1 (en) 2018-08-14 2020-02-20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CN114041181A (zh) 2019-06-26 2022-02-11 应用材料公司 可折叠显示器的柔性多层覆盖透镜堆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436A (ja) 2000-07-19 2002-02-05 Fuji Photo Film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イルム及び機能性薄膜付きハードコートフイルム
KR20050083709A (ko) * 2002-12-20 2005-08-26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적층체, 터치패널 및 터치패널 부착액정표시장치
JP2007219013A (ja) * 2006-02-14 2007-08-30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4106B (en) * 1998-02-18 2004-0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Hard coat film
JP4155651B2 (ja) * 1998-02-18 2008-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3560532B2 (ja) * 2000-05-02 2004-09-0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ディスプレイ用帯電防止フィルム
TWI290328B (en) * 2002-05-23 2007-11-21 Nof Corp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and touch panel
KR101143281B1 (ko) * 2004-08-20 2012-05-0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투명 터치 패널
JP2008129130A (ja) * 2006-11-17 2008-06-05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6436A (ja) 2000-07-19 2002-02-05 Fuji Photo Film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イルム及び機能性薄膜付きハードコートフイルム
KR20050083709A (ko) * 2002-12-20 2005-08-26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적층체, 터치패널 및 터치패널 부착액정표시장치
JP2007219013A (ja) * 2006-02-14 2007-08-30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35159B (zh) 2015-11-25
CN103135159A (zh) 2013-06-05
KR20130056831A (ko) 2013-05-30
TWI551898B (zh) 2016-10-01
JP2013109219A (ja) 2013-06-06
TW201329542A (zh)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805B1 (ko) 하드코트 필름,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KR101426725B1 (ko) 하드 코트 필름,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KR101495138B1 (ko) 광학 시트,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패널
TWI494223B (zh) A hard coat film,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a touch panel
JP6797567B2 (ja) 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TW201307072A (zh) 硬塗層膜及觸控面板
TWI474036B (zh) Optical sheet and touch panel
KR20150099458A (ko) 전자 칠판
TW201736135A (zh) 硬塗膜及其應用
KR20210143822A (ko)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N111433640A (zh) 防眩膜、以及其制造方法及用途
JP2010055944A (ja) 導電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WO2011108494A1 (ja) 導電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KR101425114B1 (ko) 광학 필름, 광학 시트 및 액정 표시 모듈
CN113917576B (zh) 光学层叠体及其制造方法以及用途
CN111433641A (zh) 防眩膜、以及其制造方法及用途
KR1016683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