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905B1 -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905B1
KR101386905B1 KR1020120075443A KR20120075443A KR101386905B1 KR 101386905 B1 KR101386905 B1 KR 101386905B1 KR 1020120075443 A KR1020120075443 A KR 1020120075443A KR 20120075443 A KR20120075443 A KR 20120075443A KR 101386905 B1 KR101386905 B1 KR 10138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heet
retardation film
less
touch panel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474A (ko
Inventor
모토히코 오카베
다이시 엔도
타다시 아카마츠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과, 이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과, 이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을 가지고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광탄성 계수가 40×10-12/Pa 이하이면 좋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평균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이면 좋다. 당해 광학 시트는 헤이즈값이 2% 이하이면 좋다. 당해 광학 시트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87% 이상이면 좋다.

Description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OPTICAL SHEET AND TOUCH PANEL}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모듈(LCD)은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다용되고 있고, 그 용도는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PDA), pc, 텔레비전 등의 정보용 표시 디바이스로서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모듈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지만, 밝은(고휘도화), 보기 쉬운(광시야각화), 에너지절약화, 초경량화, 대화면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모듈로서는 시인자의 조작 용이성, 신속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치패널이 탑재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패널이 탑재된 액정 표시 모듈은, 일반적으로는, 터치패널, 액정 표시 소자, 각종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가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이 순서로 중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로서는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이 존재하고 있고, 예를 들면,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극을 연장시키고, 손가락 등이 접촉했을 때에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검지하여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나, 투광성 도전막의 양단에 동상, 동전위의 교류를 인가하고, 손가락이 접촉 또는 근접하여 캐패시터가 형성될 때에 흐르는 미약 전류를 검지하여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것 등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패널에서는, 외부 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터치패널의 최표면에 편광판 및 제 1 위상차 필름(1/4λ판)을 이 순서로 배치하고, 터치패널의 이면측에 제 2 위상차 필름(1/4λ판)을 배치하는 것도 존재하고 있다(일본 특개 2010-204480호 공보 참조).
그렇지만, 이러한 위상차 필름은, 제조시나 운반시 등에 표면 등이 상처입은 경우, 이러한 부분의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이 저하될 우려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저항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 다른 방식의 터치패널에서도 동일하게 존재하고 있다.
일본 특개 2010-204480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과,
이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과,
이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을 갖는 광학 시트이다.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하드코트층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발생 방지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터치패널 등에 사용되어, 터치패널 표면이 강하게 내리눌린 경우나 낙하한 경우에도, 상기 위상차 필름 및 이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광학 시트는 유리 기판의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광탄성 계수가 40×10-12/Pa 이하이면 좋다. 이와 같이, 위상차 필름의 광탄성 계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직사 광선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광학 시트는 배향에 의해 부여되는 복굴절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어, 세밀한 영상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평균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이면 좋다. 이와 같이, 위상차 필름의 평균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시트의 강도, 휨방지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헤이즈값이 2% 이하이면 좋다. 이와 같이, 헤이즈값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87% 이상이면 좋다. 이와 같이, 전체 광선 투과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선을 충분히 투과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Tg)가 120℃ 이상 180℃ 이하이면 좋다. 이와 같이, 위상차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열성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굴절성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상기 점착층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에 첩착되면 좋다. 이것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파손시 등에 발생하는 파편의 비산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다른 발명은,
유리 기판과 상기 점착층에 의해 이 유리 기판에 첩착되는 당해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터치패널이다.
당해 터치패널은 광학 시트의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하드코트층을 가지고 있으므로, 광학 시트의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발생 방지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은 광학 시트의 위상차 필름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터치패널은, 터치패널 표면이 강하게 내리눌린 경우나 낙하한 경우에도, 상기 위상차 필름 및 이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터치패널은 유리 기판의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탄성 계수」는 외력에 의한 굴절률 변화의 발생 용이성을 나타내는 계수이며, CR[/Pa]=Δn/σR에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에서, σR은 신장응력[Pa], Δn은 응력 부가시의 굴절률이며, Δn은 다음 식에 의해 정의된다.
Δn=n1-n2
(식 중, n1은 신장응력과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이며, n2는 신장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이다.)
또한 「평균 두께」는 JIS-K7130에 규정되는 5.1.2의 A-2법에 의해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헤이즈값」은 JIS K7136에 준한 값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JIS K7361에 준하여 니혼덴쇼쿠고교제의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된 투과율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패널에 의하면,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억제하여, 시인성 및 콘트라스트가 높은 영상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편광되어 있다. 차내 환경하에서는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 시인한 경우에 머리를 기울였을 때에 편광축이 모여 시인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차재용 액정 패널의 표면측에는 터치패널이 배열 설치되는 경우가 있고, 유리 비산 방지 필름으로서 PET가 사용되고 있다. 유리 비산 방지 필름으로서 PET가 사용된 경우, 편광축이 모여 시인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 의하면 모든 각도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을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터치패널과 상이한 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을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과, 하드코트층(3)과, 점착층(4)을 구비하고 있다.
위상차 필름(2)은 광선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2)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1/4λ 위상차 필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2)은 투명성 및 원하는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은 다른 임의성분을 포함해도 되지만,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임의 성분의 예로서는 자외선 흡수제,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가소제, 내충격 조제, 위상차 저감제, 광택제거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2)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2)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공지의 포스겐법 또는 용융법에 의해 제조된 직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카보네이트 성분과 디페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카보네이트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전구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페놀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5-디메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데칸,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도데칸, 4,4'-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티오디페놀,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직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896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분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며, 분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로글루신, 트리멜리트산,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2-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2-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메탄, 1,1,1-트리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에탄,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평03-1825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향족 디페놀류, 상기 분기제 및 포스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방향족 디페놀류 및 말단 정지제를, 이것들을 포함하는 반응혼합액이 난류가 되도록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반응혼합액의 점도가 상승한 시점에서, 알카리 수용액을 가함과 아울러 반응혼합액을 층류로서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 5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되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된다. 이것은 분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10중량% 미만에서는 신장 점도가 저하되어 압출 성형에서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며, 80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전단 점도가 높아져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위상차 필름(2)의 광탄성 계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0×10-12/Pa 이하가 바람직하고, 20×10-12/Pa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의 광탄성 계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응력에 의한 위상차의 편차가 커져, 광학 시트(1)의 제조시 등에 가해지는 장력 등에 의해 원하는 위상차가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고, 또 직사광선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가 커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위상차 필름(2)의 광탄성 계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위상차 필름(2)의 제조시 등의 위상차의 벗어남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직사광선이나 디스플레이의 발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광학 시트(1)는 배향에 의해 부여되는 복굴절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어, 세밀한 영상표시를 행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2)의 두께(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상 3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0㎛ 이상 2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의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어, 또 액정 표시 장치의 초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되기도 한다. 한편, 위상차 필름(2)의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필름의 강도, 휨방지성 등의 특성이 저하되고, 비산 방지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위상차 필름(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필름의 강도, 휨방지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20℃ 이상 180℃ 이하가 바람직하고, 130℃ 이상 17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40℃ 이상 16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필름으로 연신할 때에 연신 불균일이 일어나기 쉬워져 열성형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내열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열성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굴절성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2)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막,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막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용제 캐스트법, 용융압출법, 캘린더법 등의 공지의 성막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이로부터 용액을 압출하는 캐스팅법이나 닥터 나이프법 등의 용제 캐스트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디옥소란,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유기용매를 들 수 있다. 용액 농도로서는,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용융압출법은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위상차 필름(2)은 이러한 용융압출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압출법에 의한 제조방법으로서는 조성물을 용액 블렌드법 또는 용융 블렌드법 등에 의해 작성하고 이것을 용융 압출에 의해 필름으로 하는 방법이나, 조성물의 드라이 블렌드를 직접 용융압출에 의해 성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액 블렌드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필요에 따라 가해지는 임의의 첨가제를 용해하는 용매에 각각 용해시키고, 균질하게 혼합한 후, 필요에 따라 여과(필터 여과 등)에 의해 이물을 제거하고,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 대한 불용성 용매(또는 빈용매) 중에 주입함으로써, 조성물을 회수하고, 또한, 건조시켜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을 얻는 방법(용액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블렌드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필요에 따라 가해지는 임의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한 뒤, 용융 블렌드(용융 혼련)함으로써 조성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액 블렌드법은 열 이력의 적은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지만, 조성물에 대하여 대량의 용매를 사용하여, 조성물의 잔존 용매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용융 블렌드법은 용매의 문제가 없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드라이 블렌드를 직접 용융압출에 의해 필름으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V형 블렌더, 헨쉘 믹서, 메카노케미컬 장치 등의 예비혼합 수단을 사용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필요에 따라 압출 조립기나 브리켓팅 머신 등에 의해 조립을 행하고, 벤트식 2축 압출기 등의 용융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플랫 다이(T 다이)로부터 압출함으로써, 용융 성막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드라이 블렌드를 직접 용융 압출에 의해 성막하는 방법에서는, 각 성분의 일부를 예비 혼합한 후, 나머지 성분과 독립적으로 용융압출기에 공급해도 된다.
용융압출기로서는 균일한 위상차 필름(2)을 얻기 위하여 비벤트 방식의 용융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료 중의 수분이나, 용융혼련 수지로부터 발생하는 휘발 가스를 탈기할 수 있는 벤트를 갖는 용융압출기를 사용해도 된다. 벤트에는 발생하는 수분이나 휘발 가스를 효율적으로 용융압출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펌프가 바람직하게 설치된다. 또한 압출원료 중에 혼입된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을 용융압출기 다이부 앞의 영역에 설치하고, 이물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크린으로서는 철망, 스크린 체인저, 소결 금속 플레이트(디스크 필터 등) 등을 들 수 있다.
용융압출시의 수지 온도는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를 Tg로 할 때, Tg 이상이 바람직하고, Tg+50℃∼Tg+250℃가 보다 바람직하고, Tg+80℃∼Tg+200℃가 더욱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2)은 이것들의 성막과 동시에, 혹은 연속하여 연신을 행하고, 원하는 1/4λ 위상차 필름(2)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들 성막 방법에서 얻어진 필름을 별도 연신하여 1/4λ 위상차 필름(2)으로 해도 된다.
위상차 필름(2)은 조성물을 제막한 후,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축 연신 방법으로서는 텐터법에 의한 횡1축 연신, 롤 사이에 의한 종1축 연신, 롤간 압연법 등의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통상 1.01∼5배의 범위에서 필름의 연신성이나 광학 특성(예를 들면, 굴절률 분포, 면내 위상차값, 두께방향 위상차값, Nz 계수) 등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 연신은 일단으로 행해도 되고, 다단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연신시의 온도는 Tg-30℃∼Tg+50℃,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Tg+30℃이다. 이 온도범위이면, 폴리머의 분자운동이 적당하여, 연신에 의한 배향의 완화가 일어나기 어렵고, 배향 억제가 용이하게 되어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은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고, 당해 광학 시트(1)의 경도를 향상시킨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드코트층(3)은 수지만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그 속에 실리카 미립자, 중합개시제 등이 함유되어도 된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3)은,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도포 조성물을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 위에 도포하고,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를 가교 반응 및/또는 중합반응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의 작용기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또는 방사선 중합성의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중합성 작용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 중합성 작용기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 작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포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모노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은 이들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으로써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하드코트층(3)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으로서는 45질량% 이상 99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광중합의 개시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당해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유연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당해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생산성을 높이면서, 유연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되고, 2작용 이상 6작용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작용 이상 3작용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경도와 연신률과의 밸런스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연신률로서는 2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상 7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연신률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하드코트층(3)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연신률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성형시에 깨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연신률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성형시 등의 깨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연신률」이란 JIS K5600에 준하여 측정한 값을 말한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상 8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되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상온하에서의 하드코트층(3)의 경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깨짐을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진다. 한편,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를 적합하게 가지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유지하여,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작용기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작용이어도 다작용이어도 된다. 또한, 하드코트층(3)은 3작용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극성기를 갖는 분자 구조이어도 되고, 저극성의 분자 구조이어도 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극성기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 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글리세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실기 함유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이외에,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모노알킬아미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극성의 분자 구조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지환식 에스테르 또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지환식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75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시에 깨짐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하드코트층(3)을 형성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마모성 및 도막 경도를 적합하게 가지면서, 적당한 유연성을 유지하여,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질, 미힐러 케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 2-히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1-온 , 1-히드록시클로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 (2,6-디플루오로-3-(필-1-일)티타늄,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 2,4,6-트리메틸벤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하드코트층(3)의 연필경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H 이상이 바람직하고, 2H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H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하드코트층(3)의 연필경도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경도가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당해 광학 시트(1)는 하드코트층(3)의 연필경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하드코트층(3)을 바람직한 경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당해 광학 시트(1)는 하드코트층(3)의 상처발생 방지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당해 광학 시트(1)의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필경도」는 JIS K5400에 규정하는 시험방법의 8.4에 기재된 연필긁기값에 기초하는 값을 말한다.
하드코트층(3) 두께(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 이상 50㎛ 이하로 할 수 있다. 하드 코드층(3)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시켜, 활성 에너지선 조사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핀코팅법, 스프레이법, 슬라이드 코팅법, 디핑법, 바 코팅법, 롤 코터법, 스크린인쇄법 등, 여러 방법을 들 수 있다.
점착층(4)은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된다. 점착층(4)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공지의 점착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4)은 이러한 공지의 점착성 수지에 더하여,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 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등의 점착 조제 등을 혼합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점착층(4)을 형성하는 점착성 수지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 이상 20 이하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시클로데칸(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점착력 및 점착 대상으로부터의 발포를 억제하는 점에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력이 약한 경우에는, 점착 대상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량의 가스 성분이 계면에 체류하여 기포가 되고, 점착성이나 외관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으로서는 다른 구성단위의 함유량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점착력을 유지하는 점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단위에 대하여 29.9질량% 이상 5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환식 모노머로서는 점착력 및 점착 대상으로부터의 발포를 억제하는 점에서,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식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으로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단위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5질량% 이상 6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지환식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접착성이 부족하여 점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지환식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점착 대상으로부터의 발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작용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나 각종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점착력이나 점착 대상으로부터의 발포를 억제하는 점에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작용기 함유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으로서는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 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작용기 함유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점착층(4)의 극성이 커져, 저극성 표면으로의 점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작용기 함유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점착층(4)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전단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라디칼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톨루엔이나 크실렌과 같은 탄화수소계나 아세트산에틸과 같은 에스테르계의 유기용매 중에 상기 단량체를 용해하여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과산화벤조일 등의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50∼90℃ 정도에서, 3∼20시간 정도 중합을 행함으로써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기용매 용액을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20만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만 이상 200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만 이상 150만 이하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폴리머 합성시의 중합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기포를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로서는 점착제로서 충분한 점착력을 얻기 위하여 통상 -1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20℃ 이하이다.
점착층(4)은 점착제 용액을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측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위상차 필름(2)에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4)은 점착제 용액을 미리 세퍼레이터의 편면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둔 뒤, 위상차 필름(2)과 첩합함으로써 위상차 필름(2)에 적층할 수도 있다.
점착층(4)의 두께(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 40㎛ 이하로 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의 헤이즈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헤이즈값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되어,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공기 중에서의 필름의 헤이즈값(Ha)과 수중에서의 필름의 헤이즈값(Hw)의 차(Ha-Hw)로서 얻어지는 외부 헤이즈값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외부 헤이즈값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표면의 요철이 비교적 커져, 위상차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당해 광학 시트(1)의 전체 광선 투과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87%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광선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없어, 시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점착층(4)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에 첩착됨으로써,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파손시 등에 발생하는 파편의 비산 방지 기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당해 광학 시트(1)는, 점착층(4)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이면측에 첩착됨으로써, 터치패널 파손시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의 파편 등의 비산 방지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측에 하드코트층(3)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발생 방지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1)는 위상차 필름(2)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1)는 터치패널 등에 사용되고, 터치패널 표면이 강하게 내리눌린 경우나 낙하한 경우이어도, 위상차 필름(2) 및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4)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광학 시트(1)는 유리 기판의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터치패널(11)은 유리 기판(12, 14)과, 전극층(13)과, 광학 시트(1)를 가지고 있다. 유리 기판(12)은 표면측의 대략 중앙 영역이 손끝에 의한 입력이 행해지는 입력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12)의 이면에는 점착층(4)이 첩착됨으로써 광학 시트(1)가 적층되어 있다. 전극층(13)은 투명 도전막이며,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연장되어 있다. 전극층(13)은 유리 기판(14)의 표면측에 적층되어 있다. 터치패널(11)은 유리 기판(12)의 입력 영역에 손가락 등이 접촉하기 전후에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터치패널(11)은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고, 터치 위치를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터치패널(11)의 이면측에는 액정 패널(도시 생략)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터치패널(11)에는 당해 광학 시트(1)가 배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부터 나오는 직선 편광은 당해 광학 시트(1)에 의해 원 편광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시인자가 편광 선글라스로 터치패널(11)을 본 경우, 무지개 모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모든 각도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도 3의 터치패널(21)은 유리 기판(12, 14)과, 전극층(13)과, 편광판(22)과, 광학 시트(1)를 가지고 있다. 광학 시트(1)(제 1 광학 시트)는 편광판(12)의 이면측에 점착층(4)을 첩착시켜 편광판(12)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광학 시트(1)(제 2 광학 시트)는 점착층(4)을 유리 기판(14)의 이면측에 첩착시켜 유리 기판(14)에 적층 되어 있다.
터치패널(21)의 외부광 차단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광판(22)의 표면으로부터 입사되어 편광판(22)을 투과한 외부광은 제 1 광학 시트를 투과함으로써 원 편광으로 변환된다. 이 원 편광은 반사되어 제 1 광학 시트의 이면측에서 입사된다. 여기에서, 제 1 광학 시트는 이면측에서 입사되는 원 편광이 편광판(22)의 투과축방향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으로서 제 1 광학 시트의 표면측에서 출사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광학 시트의 표면측에서 출사된 직선 편광은 편광판(22)으로 차단된다. 즉, 편광판(22)의 표면으로부터 입사되어 편광판(22)을 투과한 외부광은 반사되어 다시 편광판(22)의 이면측에 입사되지만, 이 반사광은 편광판(22)으로 차단되게 되어, 터치패널(21)의 표면측으로부터는 출사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당해 터치패널(21)은 양호한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터치패널(21)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액정 패널(도시 생략)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 2 광학 시트 및 제 1 광학 시트를 투과하여 편광판(22)의 투과축방향의 직선 편광으로서 편광판(22)의 이면측에 입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터치패널(21)에 의하면, 터치패널(21)의 이면측에 배열 설치되는 액정 패널(도시 생략)의 표시를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다.
당해 터치패널(21)은 광학 시트(1)의 위상차 필름(2)의 일방의 면측에 하드코트층(3)을 가지고 있으므로, 광학 시트(1)의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상처발생 방지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21)은 광학 시트(1)의 위상차 필름(2)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터치패널(21)은 터치패널(21) 표면이 강하게 내리눌린 경우나 낙하한 경우에도, 상기 위상차 필름(2) 및 위상차 필름(2)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점착층(4)에 의해 터치패널(21)의 유리 기판(12, 14)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터치패널(21)은 유리 기판(12, 14)의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은 상기 태양 이외에, 여러 변경, 개량을 설비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해 광학 시트는 하드코트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당해 광학 시트는 하드코트층 위에 다른 층(예를 들면, UV 흡수층, 대전방지층 및 반사방지층 등)이 적층되어도 된다. 당해 광학 시트는 위상차 필름과 하드코트층, 또는 위상차 필름과 점착층이 다른 층을 통하여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광학 시트는 터치패널 이외에, 입체영상 표시 장치 등, 여러 액정 표시 모듈에 사용할 수 있다. 당해 광학 시트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 여러 터치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터치패널은 반드시 한 쌍의 당해 광학 시트(제 1 광학 시트 및 제 2 광학 시트)를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당해 광학 시트는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의 표면측에 첩착되어도 되고, 또 터치패널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첩착되어도 된다. 당해 광학 시트가 갖는 위상차 필름은 반드시 1/4λ 위상차 필름일 필요는 없고 1/2λ 위상차 필름, 3/4λ 위상차 필름 등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제조시나 운반시 등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터치패널은 광학적 기능이나 외관의 저하를 억제하여, 시인성 및 콘트라스트가 높은 영상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광학 시트 2 위상차 필름
3 하드코트층 4 점착층
11 터치패널 12 유리 기판
13 전극층 14 유리 기판
21 터치패널 22 편광판

Claims (8)

  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90질량% 이상 함유하는 위상차 필름과,
    이 위상차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과,
    이 위상차 필름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고, 점착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점착층에 의해 터치패널의 유리 기판에 접착되고, 비산 방지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광탄성 계수가 40×10-12/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평균 두께가 10㎛ 이상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헤이즈값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광선 투과율이 8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유리전이 온도(Tg)가 120℃ 이상 1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7. 삭제
  8. 유리 기판과, 상기 점착층에 의해 이 유리 기판에 첩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120075443A 2011-07-12 2012-07-11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 KR101386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4012A JP2013020135A (ja) 2011-07-12 2011-07-12 光学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JPJP-P-2011-154012 2011-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474A KR20130008474A (ko) 2013-01-22
KR101386905B1 true KR101386905B1 (ko) 2014-04-18

Family

ID=4764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443A KR101386905B1 (ko) 2011-07-12 2012-07-11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020135A (ko)
KR (1) KR101386905B1 (ko)
CN (1) CN102929030B (ko)
TW (1) TWI4740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8297B2 (ja) * 2013-04-24 2016-12-2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4215509A (ja) * 2013-04-26 2014-11-17 東洋紡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CN103605176A (zh) 2013-09-17 2014-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相位差膜及其制造方法和显示设备
JP6385094B2 (ja) * 2014-03-26 2018-09-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16177405A (ja) * 2015-03-19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17111267A (ja) 2015-12-16 2017-06-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車両用画像表示機能付きミ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24265B1 (ko) * 2015-12-28 2019-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방지필름
JP7044468B2 (ja) * 2016-02-05 2022-03-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2337696B1 (ko) * 2016-03-31 2021-12-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CN106738624B (zh) * 2017-01-16 2019-04-0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低应力纹工件的结构及其一体成型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766A (ja) 1998-07-07 2003-04-18 Sumitomo Chem Co Ltd タッチパネル用上部透明電極板およびそれを含む装置
JP2004177785A (ja) * 2002-11-28 2004-06-24 Nitto Denko Corp 粘着型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05389A (ko) * 2005-03-31 2008-01-11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판
KR20080012022A (ko) * 2006-08-02 2008-02-1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고해상 방현성 보상필름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8206B2 (en) * 2003-03-10 2007-04-24 Nitto Denko Corporation Glass crack preventio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854510B2 (ja) * 2004-09-02 2012-01-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ポリマー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1151555A (zh) * 2004-12-30 2008-03-26 3M创新有限公司 具有硬涂层的光学装置内部元件
US20100062189A1 (en) * 2006-11-17 2010-03-11 Takatoshi Yosomiya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EP2163922B1 (en) * 2007-06-19 2012-01-25 Teijin Chemicals, Ltd. Optical film
JP4575978B2 (ja) * 2008-10-31 2010-11-0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0204480A (ja) * 2009-03-04 2010-09-16 Hayashi Telempu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
CN201600666U (zh) * 2009-07-15 2010-10-06 洋华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的迭层组合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766A (ja) 1998-07-07 2003-04-18 Sumitomo Chem Co Ltd タッチパネル用上部透明電極板およびそれを含む装置
JP2004177785A (ja) * 2002-11-28 2004-06-24 Nitto Denko Corp 粘着型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05389A (ko) * 2005-03-31 2008-01-11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판
KR20080012022A (ko) * 2006-08-02 2008-02-1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고해상 방현성 보상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2148A (zh) 2013-03-16
CN102929030A (zh) 2013-02-13
CN102929030B (zh) 2015-09-09
JP2013020135A (ja) 2013-01-31
TWI474036B (zh) 2015-02-21
KR20130008474A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905B1 (ko) 광학 시트 및 터치패널
KR20130008470A (ko) 하드코트 필름 및 터치패널
KR102139854B1 (ko) 투명 수지 적층판
TWI494223B (zh) A hard coat film,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a touch panel
KR20100015898A (ko) 표시 화면용 보호 필름 및 편광판
TWI522689B (zh) Turn the front panel of the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117584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TWI551898B (zh) An optical sheet, a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a touch panel
WO2007026659A1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1307073A (zh) 硬塗層膜及觸控面板
TW201318864A (zh) 硬塗層膜、透明導電性層疊體和觸控面板
JP2015132691A (ja) 樹脂積層板及びタッチパネル
WO2011048987A1 (ja) 液晶表示装置用視野角向上フィルム、視野角向上機能付保護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WO2017164276A1 (ja) 押出樹脂板の製造方法及び押出樹脂板
CN101186714B (zh) 环状聚烯烃薄膜、偏振片以及采用该偏振片的液晶显示装置
JP6648054B2 (ja) タッチパネル
TW201921050A (zh) 上方用光擴散片及具備其之背光單元
WO2005050300A1 (ja) 液晶表示装置
US10054727B2 (en) Un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laminat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KR101766513B1 (ko) Tn 액정 패널의 전면판
JP2014215509A (ja) 粘着フィルム
JP2013195483A (ja) 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CN102649333A (zh) 下部电极基板用树脂板以及使用该树脂板制得的下部电极板和触摸面板
KR20160046844A (ko)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편광자 보호 필름
KR20190060569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