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984A -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 Google Patents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984A
KR20130007984A KR1020120074944A KR20120074944A KR20130007984A KR 20130007984 A KR20130007984 A KR 20130007984A KR 1020120074944 A KR1020120074944 A KR 1020120074944A KR 20120074944 A KR20120074944 A KR 20120074944A KR 20130007984 A KR20130007984 A KR 20130007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ing film
guide plate
light guide
plat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노리 가토
노리미츠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masking tape for pai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1)은, 도광판의 원판(2), 및 도광판의 원판(2)의 양면에 각각 접합된 마스킹 필름(3A 및 3B)을 구비한다. 도광판의 원판(2)에 대한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정상 접착 강도는 10 내지 120gf/25mm이다. 정상 접착 강도는 마스킹 필름(3A 및 3B)이 도광판의 원판(2)에 접합된 직후의 접착 강도이다. 원판(2)에 대한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가열 후 접착 강도는 120gf/25mm 이하이다. 가열 후 접착 강도는 마스킹 필름(3A 및 3B)이 접합되어 있는 도광판의 원판(2)을 70℃에서 40분 가열한 후의 접착 강도이다.

Description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MASKING FILM-ATTACHED ORIGINAL PLATE FOR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도광판의 원판 표면에 마스킹 필름이 접합된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상기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사용하여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사용하여 패턴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광판의 원판 표면에 부착된 손상 방지용 마스킹 필름을 구비하는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5-131783호 공보
그런데,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의 재고품 보관, 수송 또는 가공 중에, 종종 마스킹 필름의 단부(edge)가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자연 박리되어 마스킹 필름의 단부가 들뜨게 된다. 또한,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에 패턴이 형성된 후 패턴이 가열 건조될 때에, 또는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의 보관 또는 수송 중에,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이 고온에 노출될 수 있다. 그 후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고자 할 때, 종종 마스킹 필름이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킹 필름의 단부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스킹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은, 도광판의 원판, 및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표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표면에 대한 상기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ordinary adhesion strength)가 10 내지 120gf/25mm이며,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적어도 패턴 비형성면에 대한 상기 마스킹 필름의 가열 후 접착 강도(post-heating adhesion strength)가 120gf/25mm 이하이다(단, 상기 가열 후 접착 강도는 상기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70℃에서 40분 가열한 후의 접착 강도이다).
이와 같이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에 있어서 도광판의 원판의 표면에 대한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를 적어도 10gf/25mm로 특정함으로써,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의 재고품 보관, 수송 또는 가공 중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이 자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도광판의 원판 상에서 마스킹 필름의 단부가 들뜨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원판의 표면에 대한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를 120gf/25mm 이하로 한정함으로써, 마스킹 필름이 의도적으로 박리될 때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이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게 된다.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이 박리되고, 그 패턴 형성면에 용제 잉크에 의해 도트 패턴이 인쇄되는 경우, 상기 잉크를 건조시키기 위해,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은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비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과 함께 가열된다. 또한,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은 그의 보관 또는 수송 중에 종종 고온에 노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열 후 접착 강도가,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70℃에서 40분 가열한 후의 접착 강도로서 정의되고, 도광판의 원판의 적어도 패턴 비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의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20gf/25mm 이하이면,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이 고온으로 가열되거나 고온에 노출된 후에도, 마스킹 필름이 의도적으로 박리될 때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및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은, 재고품 보관, 수송 또는 가공 중에 도광판의 원판 상에서 마스킹 필름의 단부가 들뜨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이 의도적으로 박리될 때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도 있다.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은, 용제를 함유하는 잉크에 의해 패턴 형성면에 도트 패턴을 인쇄하고, 계속해서 도광판의 원판을 가열하여 잉크를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사용하면, 도광판의 원판을 가열하여 잉크를 건조시킨 후,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비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이 의도적으로 박리될 때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원판은 5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분 가열될 수 있다. 가열 후 접착 강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70℃에서 40분 가열한 후의 접착 강도로서 정의되기 때문에, 도광판의 원판을 5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분 가열한 후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이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박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사용함으로써, 재고품 보관, 수송 또는 가공 중에 도광판의 원판 상에서 마스킹 필름의 단부가 들뜨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이 의도적으로 박리될 때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이, 예컨대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이 고온에 노출된 후에 의도적으로 박리될 때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광판의 원판 상에서 마스킹 필름의 단부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 및 패턴 도광판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따라서 생산성 면에서 유리하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사용하여 패턴 도광판을 제조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사용하여 패턴 도광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마스킹 필름의 물성, 정상 접착 강도 및 가열 후 접착 강도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 및 가열 후 접착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마스킹 필름의 들뜬 단부의 정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 및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1)은, 도광판의 원판(2), 및 이 원판(2)의 한쪽 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B)을 구비한다.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은, 원판(2)의 다른쪽 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A)을 구비할 수도 있다.
원판(2)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PMMA),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스타이렌 공중합체, 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 등과 같은 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원판(2)의 두께는 예컨대 1 내지 4mm이다. 원판(2)의 한쪽 주면(主面)은, 용제를 함유하는 잉크(용제 잉크)에 의한 도트 패턴(후술)이 인쇄되는 인쇄면(패턴 형성면; 2a)일 수 있다. 원판(2)의 다른쪽 주면은, 도트 패턴이 인쇄되지 않는 비인쇄면(패턴 비형성면; 2b)일 수 있다.
마스킹 필름(3A, 3B)은 원판(2)의 인쇄면(2a) 및 비인쇄면(2b)이 손상되지 않도록 이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마스킹 필름(3A, 3B) 각각은, 폴리프로필렌(PP)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PE)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PO) 수지로 형성될 수 있는 기재와, 폴리올레핀(PO) 엘라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EV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점착층을 구비할 수 있다. 마스킹 필름(3A 및 3B) 각각의 두께는 예컨대 80 내지 90㎛이다.
이러한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의 제조에 있어서는, 우선 PMMA와 같은 원료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원판(2)이 제작될 수 있다. 그 후, 원판(2)의 양면에 각각 마스킹 필름(3A, 3B)이 시트 온도 40 내지 100℃에서 접합될 수 있다. 그 후, 마스킹 필름(3A, 3B)이 접합된 원판(2)을 제품 크기로 절단하여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이 얻어질 수 있다.
원판(2)에 대한 마스킹 필름(3B)의 정상 접착 강도는 10 내지 120gf/25mm이고, 10 내지 100gf/25mm일 수도 있다. 원판(2)에 대한 마스킹 필름(3A)의 정상 접착 강도는 10 내지 120gf/25mm일 수 있고, 10 내지 100gf/25mm일 수도 있다.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정상 접착 강도는, 마스킹 필름(3A 및 3B)이 원판(2)에 접합된 직후의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접착 강도이다. 원판(2)에 대한 마스킹 필름(3B)의 가열 후 접착 강도는 120gf/25mm 이하이고, 100gf/25mm 이하일 수도 있다. 원판(2)에 대한 마스킹 필름(3A)의 가열 후 접착 강도는 120gf/25mm 이하일 수 있고, 100gf/25mm 이하일 수도 있다.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가열 후 접착 강도는, 마스킹 필름(3A 및 3B)이 접합되어 있는 원판(2)을 70℃에서 40분 가열한 후의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접착 강도이다.
정상 접착 강도 및 가열 후 접착 강도는 둘 다 원판(2) 및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25mm 폭에 대한 접착 강도로서 표시된다. 가열 후 접착 강도가, 마스킹 필름(3A 및 3B)이 부착되어 있는 원판(2)을 70℃에서 40분 가열한 후의 접착 강도로서 정의되는 하나의 이유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상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은 용제 잉크에 의해 원판(2)의 인쇄면(2a)에 도트 패턴이 인쇄된 후에 용제 잉크를 건조시키기 위해 약 70℃에서 약 40분 가열되기 때문이다.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인장 강도는 10 내지 200MPa일 수 있다.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영률은 100 내지 1000N/mm2일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을 사용하여 패턴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패턴 도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도시 안됨)에 탑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턴 도광판은 백라이트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광원에 의해 액정 패널을 조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이 최종 제품의 외형이 되도록 기계가공되고, 단면(端面) 연마가 실시될 수 있다(스텝 S101). 예컨대 최종 제품이 40인치 타입 판인 경우는,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의 외형 치수는 500mm×900mm가 된다. 이 경우,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정상 접착 강도는 10gf/25mm 이상이며,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단부는 원판(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자연 박리되지 않는다. 환원하면, 마스킹 필름(3A 및 3B)에 들뜬 단부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도 6 참조). 따라서, 원판(2)의 인쇄면(2a) 및 비인쇄면(2b)의 단부가 적절히 보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2)의 인쇄면(2a)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A)이 박리될 수 있다(스텝 S102). 마스킹 필름(3A)의 정상 접착 강도가 120gf/25mm 이하이기 때문에, 원판(2)으로부터 마스킹 필름(3A)을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마스킹 필름(3A)이 깨끗이 박리되지 못함에 기인하여 인쇄면(2a)에 잔류하는 점착층의 스트리크(streak), 및 마스킹 필름(3A)의 수동 박리 중에 작업자에게 주어지는 부담 및 스트레스와 같은 문제가 실질적으로 없게 된다.
다음으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제 잉크에 의해 원판(2)의 인쇄면(반사면; 2a)에 도트 패턴(4)이 스크린 인쇄될 수 있다(스텝 S103). 그 후, 도트 패턴(4)이 인쇄된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을 50 내지 70℃의 건조로에서 20 내지 40분 가열하여 용제 잉크를 건조시킬 수 있다(스텝 S104).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층의 스트리크 생성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도트 패턴(4)에 바람직하지 않은 인쇄 변형이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또한,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이 5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분 가열될 수 있기 때문에, 용제 잉크를 단기간에 철저히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트 패턴(4)이 인쇄된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이 상온(20 내지 25℃)까지 냉각될 수 있다(스텝 S105). 이에 의해,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6)이 수득된다.
다음으로,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2)의 비인쇄면(2b)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B)이 박리될 수 있다(스텝 S106). 이렇게 하여 패턴 도광판(5)이 제조된다. 마스킹 필름(3B)의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20gf/25mm 이하일 수 있기 때문에, 원판(2)으로부터 마스킹 필름(3B)을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마스킹 필름(3B)이 깨끗이 박리되지 못함에 기인하여 비인쇄면(2b) 상에 점착층의 스트리크가 생성되는 일이 실질적으로 없게 된다. 따라서, 비인쇄면(2b)의 외관 손상을 방지하고, 비인쇄면(2b)에 분진 및 미립자가 접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패턴 도광판(5)의 성능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을 가열하여 용제 잉크를 건조시킨 후,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을 건조로로부터 꺼내 냉각한 후에 마스킹 필름(3B)을 박리한다. 그러나, 그 대신에 건조로로부터 꺼내진 직후의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으로부터 마스킹 필름(3B)을 박리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텝 S101은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스텝 S102는 원판(2)의 패턴 형성면(2a)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A)을 박리하는 공정이다. 스텝 S103 내지 S105는 원판(2)의 패턴 형성면(2a)에 패턴(4)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스텝 S106은 원판(2)의 패턴 비형성면(2b)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B)을 박리하는 공정이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원판(2)에 대한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정상 접착 강도가 10 내지 120gf/25mm이다. 따라서,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의 수송, 재고품 보관 및 가공 중에 원판(2) 상에서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단부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스킹 필름(3A 및 3B)이 의도적으로 박리될 때에 마스킹 필름(3A 및 3B)을 원판(2)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원판(2)에 대한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20gf/25mm 이하이기 때문에, 도트 패턴(4)이 인쇄된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6))이 가열된 후에도, 마스킹 필름(3B)이 원판(2)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박리될 때에 마스킹 필름(3B)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의 보관 또는 수송 중에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이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 마스킹 필름(3A 및 3B)이 원판(2)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6) 및 패턴 도광판(5)의 제조에 필요한 노동력이 최소화될 수 있고, 패턴 도광판(5)의 성능 감소가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원판(2)의 양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A 및 3B)의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20gf/25mm 이하이다. 그러나, 원판(2)의 인쇄면(2a)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A)은, 용제 잉크에 의한 도트 패턴의 인쇄를 위해 가열 전에 박리된다. 따라서, 원판(2)의 비인쇄면(2b)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3B)의 가열 후 접착 강도만이 120gf/25mm 이하로 한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제 잉크에 의해 원판(2)의 인쇄면(2a)에 도트 패턴(4)이 스크린 인쇄되지만, 패턴 형성 방법은 용제 잉크에 의한 스크린 인쇄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UV 경화 스크린 인쇄나 잉크 젯 인쇄, 또는 레이저 라이팅(laser writing) 등에 의해 원판(2)의 패턴 형성면(2a)에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의 열 처리가 불필요하다.
이하,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1) 실시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5의 마스킹 필름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의 마스킹 필름(필름 A, 도레이필름가공주식회사(Toray Advanced Film Co., Ltd.) 제품, "토레텍(TORETEC) 7232")에서는, 기재가 PO 수지로 형성되고, 점착층이 EVA로 형성되며, 두께가 90㎛이었다. 실시예 2의 마스킹 필름(필름 B, "디파렌(DIFAREN) K8520", 딕사(DIC Corp.) 제품)에서는, 기재가 PE 수지로 형성되고, 점착층이 PO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며, 두께가 80㎛이었다. 실시예 3의 마스킹 필름(필름 C, 트레디가사(Tredegar Corp.) 제품)에서는, 기재가 PO 수지로 형성되고, 점착층이 PO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며, 두께가 80㎛이었다. 실시예 4의 마스킹 필름(필름 D, 노바셀사(Novacel, Inc.) 제품)에서는, 기재 및 점착층의 재질이 분명하지 않고, 두께가 85㎛이었다. 실시예 5의 마스킹 필름(필름 E, 후타무라화학주식회사(Futamura Chemical Co., Ltd.) 제품, "SAF-020 M")에서는, 기재 및 점착층의 재질이 분명하지 않고, 두께가 30㎛이었다.
상기 마스킹 필름을 별도로 제작된 도광판의 원판 양면에 각각 접합하여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얻었다. 도광판의 원판에 사용된 재질은 스미토모화학주식회사(Sumitomo Chemical Co., Ltd.) 제품, "스미펙스(SUMIPEX) EXN"이었다.
그 후,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11)을 300mm×25mm의 치수로 절단하였다. 그 후,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1)을 오토그래프 AGS-50NX(시마즈사(Shimadzu Corp.) 제품)에 직립 위치로 고정시켰다. 도광판의 원판(12)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13)의 정상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300mm/분의 인장 속도로 50N 하중 셀을 사용하여 180도 방향으로 박리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JIS K6854-2에 준거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원판(12)의 일 단부를 클램프 부재(14)에 의해 클래핑하고, 마스킹 필름(13)을 상향으로 잡아당기는데, 이때 180도 방향으로 박리된 마스킹 필름(13)의 끝은 또 다른 클램프 부재(15)에 의해 클램핑한다.
또한, 각각의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1)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300mm×25mm의 치수로 절단하였다. 각각의 마스킹 필름 부착 원판(11)을 70℃의 항온조에서 40분 방치하고, 이어서 마스킹 필름(13)의 가열 후 접착 강도를 정상 접착 강도와 동일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각의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 및 가열 후 접착 강도의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의 마스킹 필름에서는, 접합 온도가 42℃이고, 정상 접착 강도가 30gf/25mm이며, 가열 후 접착 강도가 84gf/25mm이었다. 실시예 2의 마스킹 필름에서는, 접합 온도가 42℃이고, 정상 접착 강도가 10gf/25mm이며,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4gf/25mm이었다. 실시예 3의 마스킹 필름에서는, 접합 온도가 61℃이고, 정상 접착 강도가 26gf/25mm이며, 가열 후 접착 강도가 22gf/25mm이었다. 실시예 4의 마스킹 필름에서는, 접합 온도가 59℃이고, 정상 접착 강도가 44gf/25mm이며, 가열 후 접착 강도가 24gf/25mm이었다. 실시예 5의 마스킹 필름에서는, 접합 온도가 62℃이고, 정상 접착 강도가 14gf/25mm이며, 가열 후 접착 강도가 22gf/25mm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마스킹 필름의 기계적 특성으로서 각각의 마스킹 필름의 인장 강도 및 영률을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의 측정 방법은 JIS Z1702에 준거하였다. 영률의 측정 방법은 JIS K7127에 준거하였다.
각각의 마스킹 필름의 인장 강도 및 영률의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상기 마스킹 필름은 모두 인장 강도가 10 내지 200MPa이고, 영률이 100 내지 1000N/mm2이었다.
(2) 비교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교예 1 및 2의 마스킹 필름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의 마스킹 필름(필름 E, 세키스이화학공업사(Sekisui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6281KL")에서는, 기재가 PE 수지로 형성되고, 점착층이 EVA로 형성되며, 두께가 90㎛이었다. 비교예 2의 마스킹 필름(필름 G, 트레디가사 제품)에서는, 기재가 PO 수지로 형성되고, 점착층이 PO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며, 두께가 80㎛이었다.
이들 마스킹 필름을 사용해서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하게 하여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얻었다. 또한, 각각의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 및 가열 후 접착 강도를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마스킹 필름의 인장 장 강도 및 영률도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각의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 및 가열 후 접착 강도의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비교예 1의 마스킹 필름에서는, 접합 온도가 42℃이고, 정상 접착 강도가 16gf/25mm이며,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89gf/25mm이었다. 비교예 2의 마스킹 필름에서는, 접합 온도가 42℃이고, 정상 접착 강도가 5gf/25mm이며, 가열 후 접착 강도가 7gf/25mm이었다.
각각의 마스킹 필름의 인장 강도 및 영률의 측정 결과도 또한 도 4에 나타낸다. 상기 마스킹 필름은 모두 인장 강도가 10 내지 200MPa이고, 영률이 100 내지 1000N/mm2이었다.
(3) 평가
도 4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가 10 내지 120gf/25mm이며, 따라서 도광판 상에서 마스킹 필름의 단부 들뜸이 발생하지 않았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킹 필름(3)이 원판(2)의 한쪽 주면 전체에 접합되는 경우, 마스킹 필름(3)이 원판(2)에 완전히 접착(밀착)되어 있는 영역(밀착 영역; P)과 마스킹 필름(3)이 원판(2)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비밀착 영역; Q)이 보일 수 있다. 마스킹 필름(3)의 비밀착 영역(Q)은, 원판(2)과 마스킹 필름(3)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채로 원판(2)으로부터 마스킹 필름(3)이 들떠 있는 부위이고, 원판(2)의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비밀착 영역(Q)의 최대 길이(W)가 원판(2)의 단부로부터 5mm 이내이면, 마스킹 필름(3)은 들뜬 단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밀착 영역(Q)의 최대 길이(W)가 원판(2)의 단부로부터 5mm보다도 크면, 마스킹 필름(3)은 들뜬 단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스킹 필름의 들뜬 단부를 정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마스킹 필름이 도광판의 원판에 접합된 후, 회전하는 원판 톱을 사용하여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이 제품 크기로 절단된다. 이 동안에, 절단된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의 단부 부근에서 마스킹 필름이 종종 약간 박리되게 된다. 그러나, 박리된 부분의 길이가 도광판의 원판의 단부로부터 5mm 이내이기만 하면 특별한 문제는 없기 때문이다.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마스킹 필름의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20gf/25mm 이하이기 때문에,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가열한 후에도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에서는,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가 10 내지 120gf/25mm이기 때문에, 도광판의 원판 상에서 마스킹 필름의 단부가 들뜨지 않았다. 그러나, 마스킹 필름의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20gf/25mm보다도 크기 때문에,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기 어려웠다. 비교예 2에서의 마스킹 필름은 마스킹 필름의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20gf/25mm 이하이기 때문에,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가열한 후에도 도광판의 원판으로부터 박리하기 용이했다. 그러나,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가 10gf/25mm보다도 낮기 때문에, 도광판 상의 마스킹 필름에 단부 들뜸이 발생하였다.
이상에 의해, 도광판의 원판에 대한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를 10 내지 120gf/25mm로 하고, 도광판의 원판에 대한 마스킹 필름의 가열 후 접착 강도를 120gf/25mm로 하는 것의 유효성을 실증할 수 있었다.

Claims (5)

  1. 도광판의 원판, 및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표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
    을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표면에 대한 상기 마스킹 필름의 정상 접착 강도가 10 내지 120gf/25mm이며,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적어도 패턴 비형성면에 대한 상기 마스킹 필름의 가열 후 접착 강도가 120gf/25mm 이하인(단, 상기 가열 후 접착 강도는 상기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70℃에서 40분 가열한 후의 접착 강도이다),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2. 제 1 항에 기재된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및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은, 용제를 함유하는 잉크에 의해 패턴 형성면에 도트 패턴을 인쇄하고, 계속해서 도광판의 원판을 가열하여 상기 잉크를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원판을 5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분 가열하는, 편면 마스킹 필름 부착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기재된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도광판의 원판의 패턴 형성면에 접합된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120074944A 2011-07-11 2012-07-10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KR201300079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3191 2011-07-11
JPJP-P-2011-153191 2011-07-11
JPJP-P-2012-049657 2012-03-06
JP2012049657A JP2013038060A (ja) 2011-07-11 2012-03-06 マスキングフィルム貼合導光板原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984A true KR20130007984A (ko) 2013-01-21

Family

ID=4679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944A KR20130007984A (ko) 2011-07-11 2012-07-10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46316A1 (ko)
JP (1) JP2013038060A (ko)
KR (1) KR20130007984A (ko)
CN (1) CN102879854A (ko)
TW (1) TW2013079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257A1 (ko) * 2018-06-20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격자 도광판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회절 격자 도광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3356B (zh) * 2013-07-12 2015-03-04 苏州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节能led照明灯
CN103438362B (zh) * 2013-07-12 2015-03-04 斯迪克新型材料(江苏)有限公司 高可靠性led照明灯
TWI486651B (zh) * 2013-12-20 2015-06-01 Global Lighting Technologies 保護膜
CN106597586B (zh) * 2017-02-10 2019-06-28 中新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液晶电视扩散板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614A (ja) * 1995-08-31 1997-03-11 Rohm Co Ltd 面照明装置および面照明装置用導光板の製造方法
US5891530A (en) * 1996-04-19 1999-04-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AU2002233944A1 (en) * 2000-12-01 2002-06-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osslink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ons, and adhesive articles based thereon, useful in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JP4306318B2 (ja) * 2003-04-25 2009-07-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光拡散層の形成方法、光拡散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光拡散層形成用の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2005131783A (ja) 2003-10-07 2005-05-26 Sumitomo Chemical Co Ltd 透明樹脂製導光板の製造方法
TW200617124A (en) * 2004-06-01 2006-06-01 Nitto Denko Corp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ng film
JP2009059545A (ja) * 2007-08-30 2009-03-19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導光板の製造方法
KR100972845B1 (ko) * 2008-05-09 2010-07-28 주식회사 삼한일렉트로닉스 도광판, 도광판 제조용 잉크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도광판의 제조 방법
CN101892019A (zh) * 2009-05-20 2010-11-24 E.I.内穆尔杜邦公司 可剥离的多层结构表面保护膜及其制品
JP5738191B2 (ja) * 2009-09-15 2015-06-17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257A1 (ko) * 2018-06-20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격자 도광판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회절 격자 도광판의 제조방법
KR20190143075A (ko) *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격자 도광판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회절 격자 도광판의 제조방법
EP3730271A4 (en) * 2018-06-20 2021-04-14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 FOR DIFFRACTION NETWORK LIGHT GUID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FFRACTION NETWORK LIGHT GUIDING PLATE
US11348799B2 (en) 2018-06-20 2022-05-31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 for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79854A (zh) 2013-01-16
JP2013038060A (ja) 2013-02-21
EP2546316A1 (en) 2013-01-16
TW201307956A (zh) 201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7984A (ko)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JP5272122B2 (ja) 光学素子アレイシート、表示装置、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WO2018014548A1 (zh) 遮光胶带、应用该遮光胶带的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KR20160034800A (ko) 펠리클 프레임 및 펠리클
KR102254291B1 (ko) 유리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유리 필름 적층체,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2009063740A (ja) ペリクルフレーム
KR20190073283A (ko) 매엽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2198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JP2009126159A (ja) フィルム固定治具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1952583B1 (ko) 마스킹 필름을 이용한 임프린팅 도광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762288B1 (ko) 필름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0681B1 (ko) 세레이션부를 포함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WO2012165479A1 (ja) 保護フィルム付き導光板
JP5391238B2 (ja) ドットパターン印刷導光板
JP2007248594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6844010B2 (ja) 電鋳用原盤およびその電鋳用原盤を用いた電鋳モールドの製造方法
TWI820120B (zh) 玻璃薄膜-樹脂複合體
WO2018194074A1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30102A1 (ja) 導光体、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スティッキング防止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導光体の製造方法
JP2005099518A (ja) 液晶パネル固定用シート
WO2023017716A1 (ja) 長尺積層体
JP2011020200A (ja) 光学フィルム切断システム及び光学フィルム切断方法
JP6541986B2 (ja) 光学素子及び結像素子の製造方法
JP2008036962A (ja) 機能性部材用工程材料、および機能性部材の処理方法
KR101686530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