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530B1 -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530B1
KR101686530B1 KR1020140016798A KR20140016798A KR101686530B1 KR 101686530 B1 KR101686530 B1 KR 101686530B1 KR 1020140016798 A KR1020140016798 A KR 1020140016798A KR 20140016798 A KR20140016798 A KR 20140016798A KR 101686530 B1 KR101686530 B1 KR 10168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isplay device
engraved pattern
adhesive lay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455A (ko
Inventor
김의현
Original Assignee
김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현 filed Critical 김의현
Priority to KR102014001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5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에 음각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의 제2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시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2시트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를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시트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시트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점의 투명유리문 등에 음각 패턴을 새기고 조명을 가하는 표시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해진 조명이 음각 패턴에 의해 반사되면서 주위 관심을 유발시켜 광고효과가 생긴다.
기존의 표시장치에서는 유리에 직접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데, 유리에 직접 음각패턴을 형성하기 쉽지 않고 유리가 깨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 제조비용도 높아진다.
유리에 비해 음각패턴 형성 시 깨지는 문제가 감소하는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두껍고 무거운 문 자체에 음각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제조과정이 쉽지 않다.
또한, 기존 표시장치는 음각패턴을 다른 모양으로 변경하기 어려우며, 기존의 상점 유리문 등에는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27904 (2013. 11. 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각패턴 형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기존 설비에도 쉽게 적용가능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에 음각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의 제2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시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2시트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를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시트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시트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3시트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3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제2시트와 마주하는 상기 제3시트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시트의 제1면 상에 위치하는 보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각패턴은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1시트에 걸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시트는 아크릴 수지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MMA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시트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이며, 상기 제3시트는 PET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접착층은 감압점착소재이며, 상기 제2접착층은 경화형 접착소재일 수 있다.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보다 얇으며, 상기 제2시트의 두께는 상기 제1시트 두께의 2배 내지 20배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제2시트보다 상기 제1시트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음각패턴이 형성된 제1시트를 상기 제1시트보다 두꺼운 제2시트에 부착하여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의 제1면에 보강층 및 보강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시트의 제2면에 제3시트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층 및 보강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상기 제1시트에 걸쳐 음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시트를 상기 제2시트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시트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음각패턴 형성은, 상기 보강층 및 보강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이형 필름을 부착하고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시트를 상기 제2시트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3시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접착층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음각패턴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3시트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제2시트보다 상기 제1시트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각패턴 형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기존 설비에도 쉽게 적용가능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2시트와의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제1시트와 제2시트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음각패턴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제2시트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시트'란 일반적인 필름 또는 판(플레이트)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시트'는 그 재질 및 두께에 따라 필름 내지 판의 성질, 또는 그 사이의 성질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부', '상부면', '하부' 및 '하부면' 등의 표현은 도시된 도면의 상하부를 기준으로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길이나 두께가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광원부로 LED 모듈을 예시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OLED 등 다른 광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편의상 구성요소를 이격시켜 도시하였다.
표시장치(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며, 제1시트(100), 제2시트(200), 양 시트(100, 200) 사이에 위치하는 제3시트(300) 및 LED 모듈(400)을 포함한다.
제1시트(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MMA 일 수 있다. 제1시트(100)의 두께(d1)는 0.8mm 내지 3mm 일 수 있다. 제1시트(100)의 상부면에는 보강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층(110)은 제1시트(100)에 코팅을 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음각패턴(150) 형성 시 제1시트(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층(110)은 제1시트(100)에 비해 강도가 강한 물질로 이루어질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또는 실리콘 계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시트(200)는 표시장치(1)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체 역할을 하며, 유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시트(200)의 두께(d2)는 제1시트(100) 두께(d1)의 2 배 내지 20 배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시트(200)의 두께(d2)는, 5mm 내지 12mm 사이일 수 있다.
제3시트(300)는 제1시트(100)와 제2시트(200)의 연결역할을 하며, 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시트(300)의 하부면에는 제1접착층(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시트(300)의 상부면에는 제2접착층(3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접착층(310)은 제2시트(20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1접착층(310)은 감압점착(pressure sensitive adhesive)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일 수 있다. 제1접착층(310)에는 자기점착 기능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부착과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접착층(320)은 제1시트(100)와 제3시트(30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2접착층(320)은 UV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경화성 접착제 등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다.
LED 모듈(400)은 LED 기판(410)과 LED 기판(410) 상에 장착되어 있는 LED(420)를 포함한다. LED 모듈(400)은 표시장치(1)의 일 측변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1시트(100)에 빛을 공급하기 위해 LED 모듈(400)은 제1시트(100)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LED(410)는 백색 또는 RGB의 색상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을 위한 구성은 생략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 LED 모듈(400)은 표시장치(1)의 둘 이상 측변을 따라 연장되거나, 길게 연장되지 않고 산점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표시장치(1)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예시하였으나, 표시장치(1)는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표시장치(1)의 높이(L1)과 폭(L2)은 제한이 없으나, 각각 50cm 이하인 소형 표시장치부터, 높이(L1)와 폭(L2)이 각각 1m이상인 대형 표시장치일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거나, 특히 상점의 유리문 형상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표시장치(1)에서 음각패턴(150)은 제1시트(100)에 형성된 후 제1시트(100)가 제2시트(2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음각패턴(150) 형성이 용이하며, 음각패턴(150) 형성 공정에서 제2시트(200)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3과 같이 제1시트(100) 및 제3시트(300)는 제1접착층(310)에 의해 제2시트(20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제2시트(200)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즉, 기존 상점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문에 제1시트(100)와 제3시트(300)의 결합체를 부착하면 표시장치가 완성된다. 또한 음각패턴(150)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시트(100) 및 제3시트(300)를 교체하면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제1시트와 제3시트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음각패턴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제2시트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부면에 보강층(110)이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100)를 준비한다(S101). 보강층(110)은 코팅 등을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시트(300)를 준비하고(S102), 제1시트(100)와 제3시트(300)를 결합한다(S103). 이 단계에서는 먼저 제1시트(100)의 하부면 및/또는 제3시트(300)의 상부면에 제2접착층(320)을 형성하고 도 5와 같이 두 개의 시트(100, 300)를 합지하고 제2접착층(320)을 경화시킨다. 제1시트(100)는 판 형태로 제공되고, 제3시트(300)는 롤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시트(300)를 판 형상으로 재단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이후 음각패턴(150)을 형성한다(S104). 이 과정은 이형필름(500)을 보강층(110)의 상부에 추가로 형성한 후 수행된다. 이형필름(500)은 PET 또는 P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형필름(500)은 음각패턴(150) 형성 시 패턴의 안정성 확보에 도움을 준다.
음각패턴(150) 형성은 도 6과 같이 제1시트(100) 및 제3시트(300)가 합지되고 이형필름(500)을 부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음각패턴(150)은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음각패턴(150) 형성의 대상은 제1시트(100)이지만, 결합되어 있는 이형필름(500), 보강층(110)에도 형성된다.
음각패턴(150)의 형성 깊이는 제1시트(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작게 하며 열 발생에 의한 시트 변형을 막기 위해 가급적 빠르게 수행한다. 음각패턴(150) 형성 후에는 잉크 등을 이용하여 음각패턴(150)을 착색할 수 있다.
음각패턴(150) 형성은 CNC 조각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음각패턴(150) 형성 방법에 의해 음각패턴(150)은 보강층(110)과 제1시트(100)에 걸쳐 형성된다.
다음으로 LED 모듈(400)을 설치한다(S105). LED 모듈(400)은 제1시트(100)에 가깝도록 제1시트(100)의 일 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LED 모듈(400)은 제2시트(200)와의 결합 후에 설치될 수 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1시트(100)를 제2시트(200)에 부착한다(S106). 이 과정에서는 먼저 제3시트(300)의 하부면에 제1접착층(310)을 형성하고, 도 7과 같이 제1접착층(310)을 이용하여 제2시트(200)에 제3시트(300)를 부착한다. 제1접착층(310)의 두께는 0.01mm ~ 0.12mm일 수 있다. 제2시트(200)와의 부착 이후 이형필름(500)을 제거하는데, 이형필름(500)은 음각패턴(150)을 형성한 직후에 제거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접착층(310) 형성은 제1시트(100) 및 제3시트(300)의 결합 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제3시트(300)와 제1접착층(310)이 형성되어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표시장치(1)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보강층(110), 이형필름(500) 및 제3시트(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음각패턴(150) 형성이 수행되므로, 음각패턴(150) 형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시트(100)와 제3시트(300)의 결합체만을 기존 설비에 부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교체도 용이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보강층(110) 대신 보강필름(111)을 사용한다. 보강필름(111)은 PET로 이루어지 수 있으며, 제2시트(200)와의 결합 후에 제거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도 음각 패턴(150) 형성 시 이형필름(500)을 이용하나, 보강필름(111)의 성능에 따라 이형필름(500)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보강필름(111)은 최종 표시장치(1)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9와 같이 음각 패턴(150)은 제1시트(100)에만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제3시트(300)가 생략되었으며, 제1접착층(310)은 제1시트(100)와 제2시트(200)를 직접 부착시킨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재료비와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시트(300)의 미사용으로 인한 음각패턴(150) 형성 시 불안정은 제1시트(100) 및/또는 보강층(110)의 두께 또는 재질을 변경하거나, 이형필름(500)의 두께 또는 재질을 변경하여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에 음각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의 제2면과 마주하는 제2시트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를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시트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시트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3시트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3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제2시트와 마주하는 상기 제3시트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시트는 아크릴 수지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MMA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시트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이며,
    상기 제3시트는 PET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접착층은 감압점착소재이며,
    상기 제2접착층은 경화형 접착소재이며,
    상기 광원은 상기 제2시트보다 상기 제1시트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의 제1면 상에 위치하는 보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각패턴은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1시트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보다 얇으며,
    상기 제2시트의 두께는 상기 제1시트 두께의 2배 내지 20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16798A 2014-02-13 2014-02-1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8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798A KR101686530B1 (ko) 2014-02-13 2014-02-1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798A KR101686530B1 (ko) 2014-02-13 2014-02-1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455A KR20150095455A (ko) 2015-08-21
KR101686530B1 true KR101686530B1 (ko) 2016-12-16

Family

ID=5405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798A KR101686530B1 (ko) 2014-02-13 2014-02-1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5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63Y1 (ko) * 2002-06-21 2002-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광판을 사용하는 조명 광고용 패널
JP2003149448A (ja) 2001-11-12 2003-05-21 Nidec Copal Corp 導光板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2010170961A (ja) * 2009-01-26 2010-08-05 Sony Corp 光学部材および表示装置
JP2014026282A (ja) 2012-07-26 2014-02-06 Young Lighting Technology Inc 複合式導光板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86521T3 (es) 2010-04-21 2021-12-20 Flyvision Kft Equipos para visualización de soportes de información especialmente para fines publicitario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9448A (ja) 2001-11-12 2003-05-21 Nidec Copal Corp 導光板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KR200290763Y1 (ko) * 2002-06-21 2002-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광판을 사용하는 조명 광고용 패널
JP2010170961A (ja) * 2009-01-26 2010-08-05 Sony Corp 光学部材および表示装置
JP2014026282A (ja) 2012-07-26 2014-02-06 Young Lighting Technology Inc 複合式導光板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455A (ko)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7643A3 (de) Sicherheitsdoku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11066421A3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aling led light sources in a light module
KR101760701B1 (ko)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09054160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JPWO2013057850A1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加飾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720718A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film
CN104777658B (zh) 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101557307B1 (ko)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
JP5912985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185272B2 (ja) 表示装置用フィルム、表示装置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画像表示装置
TW201535180A (zh) 觸控面板及其貼合方法
KR20130117101A (ko)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86530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62288B1 (ko) 필름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550216B2 (ja) 表示装置
EP3382446A1 (en) Display device
KR20150009683A (ko) 가이드라인이 구비된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3212491U (ja) パネルカバーシート
CN110515240B (zh) 一种背光模组、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JP5492743B2 (ja) 樹脂製品の透光部形成方法、透光部を有する電気機器用の筐体の製造方法
KR20170090595A (ko) 4분할 배면테이프가 일체화된 필름 제작방법
TWI339669B (en) Alkali saponification method for cellulose acylate film, a surface saponified cellulose acylate film and an optical film utilizing the same
TWM482789U (zh) 觸控裝置、面板組合及功能膜
KR101522367B1 (ko) 테이프 제조 장치
CN204808809U (zh) 一种具有雕刻凹槽匀光板的广告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