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101A -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101A
KR20130117101A KR1020120039848A KR20120039848A KR20130117101A KR 20130117101 A KR20130117101 A KR 20130117101A KR 1020120039848 A KR1020120039848 A KR 1020120039848A KR 20120039848 A KR20120039848 A KR 20120039848A KR 20130117101 A KR20130117101 A KR 20130117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adhesive
film
print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3372B1 (ko
Inventor
정훈
배종우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37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이형필름, 상기 제1 이형필름 상에 형성된 제1 투명 접착층,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 상에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코팅하여 제2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 상에 제2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양면 접착 인쇄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층의 부착력을 개선하고 윈도우 패널(유리 등)의 파손 시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의 단차로 인한 기포 유입이나 공극 형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투-롤 공정(roll to roll process)을 통한 연속적인 공정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원가절감과 고수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DOUBLE-FACED ADHESIVE FILM FOR TSP WITH PRINT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필름 상에 투명 접착층을 액상 코팅방식으로 형성하여 인쇄층의 단차로 인한 기포 유입이나 공극 형성을 방지하고, 롤-투-롤 공정(roll to roll process)을 통해 원가절감 및 고수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전자 제품에 적용되는 대부분의 스크린 패널,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및 소형 타블릿 PC 등의 전자 제품에 적용되는 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크린 패널의 제조 공정도를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드(TSP ; Touch Screen Pad)와, 상기 터치스크린 패드(TSP) 상에 접착되어 터치스크린 패드(TSP)를 보호하는 윈도우 패널(WP ; Window Panel)을 포함한다.  그리고 윈도우 패널(WP)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화면(윈도우 창)의 명확한 구분과, 흑색에서 백색 등으로의 다양한 색 구현, 및 미려한 디자인 등을 위한 인쇄층(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패널(WP)과 터치스크린 패드(TSP)는 양면 접착테이프(A)를 통해 접착된다. 
이때, 최외각층을 구성하는 윈도우 패널(WP)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드(PET)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유리(glass)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A)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로 통용되는 투명 접착층(1)과, 이의 양면에 형성된 이형필름(2a)(2b)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2a)(2b)이 박리 제거된 후, 투명 접착층(1)을 통해 윈도우 패널(WP)과 터치스크린 패드(TSP)는 상호 접착된다.
그러나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인쇄층(4)은 윈도우 패널(WP)의 배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데, 이때 인쇄층(4)의 두께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단차(S)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단차(S)로 인하여, 투명 접착층(1)의 합지 과정에서 윈도우 패널(WP)과 투명 접착층(1)의 사이에 기포가 유입되고 공극(P)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기포 유입이나 공극(P)은 화면의 선명도를 저해하고, 빛 샘을 발생시켜 제품 불량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 패널(WP)의 배면에 별도의 도포층을 형성하여 상기 단차(S)를 메우는 기술이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5381호[선행 특허문헌 1]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9157호[선행 특허문헌 2]에는 위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때, 인쇄층(4)이 형성된 윈도우 패널(WP)을 상기 선행 특허문헌 1에서는 아이콘 시트라고 표현하고 있고, 상기 선행 특허문헌 2에서는 메인윈도우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문헌들을 포함하여, 위와 같이 윈도우 패널(WP)에 인쇄층(4)을 형성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윈도우 패널(WP)과 인쇄층(4)의 부착성이 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제품의 수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리의 경우에 그러하다.  일반적으로, 유리(예를 들어, 강화유리)는 PET 등의 플라스틱 필름보다 내마모성이나 내스래치성 등이 우수하여 터치스크린 패드(TSP)의 보호에 유리하다.  그러나 윈도우 패널(WP)로서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인쇄층(4)과의 부착성 문제는 더욱 심하다. 
또한, 윈도우 패널(WP)이 경질의 필름이나 유리로 구성되어, 취급 상 파손이 발생된 경우, 유리 등의 파편이 터치스크린 패드(TSP)로 비산되어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아울러, 종래 상기 인쇄층(4)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실크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연속적이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53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9157호
이에, 본 발명은 인쇄층의 부착력 문제를 해결하고 윈도우 패널(유리 등)의 파손 시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인쇄층의 단차로 인한 기포 유입이나 공극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고수율성의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투-롤 공정(roll to roll process)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되고 고수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이형필름, 상기 제1 이형필름 상에 형성된 제1 투명 접착층,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 상에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코팅하여 제2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 상에 제2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롤-투-롤 공정(roll-to-roll process)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이형필름,
상기 제1 이형필름 상에 형성된 제1 투명 접착층,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상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인쇄층;
상기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 상에 형성된 제2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은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상에 투명 접착제 코팅액이 코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은 1㎛ ~ 100㎛의 두께를 가지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접착 인쇄필름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층의 부착력을 개선하고 윈도우 패널(유리 등)의 파손 시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인쇄층의 단차로 인한 기포 유입이나 공극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롤-투-롤 공정(roll to roll process)을 통한 연속적인 공정으로 짧은 시간 내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원가절감과 고수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크린 패널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제조장치의 예시적인 형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2개의 부재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 필름, 예를 들어 윈도우 패널(WP)과 터치스크린 패드(TSP)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 필름으로서, 이 필름 자체에 인쇄층이 형성된 양면 접착 필름에 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양면 접착 인쇄필름이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이하, '제조방법'으로 약칭한다)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양면 접착 인쇄필름(100) 및 제조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제조장치의 예시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100A)을 제조하는 단계(제1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100A) 상에 인쇄층(40)을 형성하는 단계(제2단계), 상기 인쇄층(40) 상에 제2 투명 접착층(32)을 형성하는 단계(제3단계),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 상에 제2 이형필름(52)을 형성하는 단계(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인쇄층(40)을 형성하는 단계(제2단계) 및 제2 투명 접착층(32)을 형성하는 단계(제3단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롤-투-롤 공정(roll-to-roll process)을 이용한다.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제1 이형필름(51), 상기 제1 이형필름(51) 상에 형성된 제1 투명 접착층(31), 상기 제1 투명 접착층(31)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10), 상기 기재필름(10)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20, primer layer)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100A)을 제조한다.  이러한 베이스 필름(100A)의 제조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위와 같은 다층 구조를 갖게 할 수 있으면 좋다. 
상기 기재필름(10)은 투명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필름(10)은, 바람직하게는 롤-투-롤 공정(roll to roll process)에 적합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하면 좋다.  기재필름(10)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및 폴리올레핀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은,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 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 Polybutylenenaphthalate), 폴리에틸렌(PE ; polyet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 Tri-Acetyl-Cellulose),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ycloolefinpolymer)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기재필름(10)은 일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은 하드 코팅층(hard coating layer)으로서, 이는 인쇄층(40)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 좋다.  프라이머층(20)은 적어도 접착성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액을 기재필름(10) 상에 코팅하여 형성한다.  프라이머층(20)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접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20)은 인쇄 적성에 유리한 것이면 더욱 좋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머층(20)은 인쇄층(40)의 인쇄 시 잉크의 수용력이 양호하면 더욱 좋다.
상기 제1 투명 접착층(31)은 투명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 접착층(31)은 통상의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투명 접착층(31)은 기재필름(10) 상에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제1 이형필름(51) 상에 코팅된 후 기재필름(10)에 합지되어도 좋다.
상기 제1 이형필름(51)은 제품에 적용 시 박리 제거되며, 이는 제1 투명 접착층(31)을 보호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제1 이형필름(51)은 이형력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이형필름(51)은 예를 들어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코팅된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는 예를 들어 종이, 부직포 및 플라스틱 필름(예를 들어, PET 필름 등)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층은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베이스 필름(100A)을 제조한 다음, 상기 베이스 필름(100A) 상에 인쇄층(40)을 형성한다.(제2단계)  즉, 베이스 필름(100A)의 프라이머층(20) 상에 인쇄층(40)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층(20)의 자장자리에 적정 두께와 폭으로 인쇄층(40)을 형성한다.  인쇄층(40)의 형성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롤-투-롤 공정(roll-to-roll process)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인쇄층(40)의 두께와 폭은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시인성을 가지면 좋다.  인쇄층(40)은 제품의 사용 용도 및/또는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색과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흑색, 백색, 노란색, 파란색, 빨간색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위와 같이 인쇄층(40)을 형성한 다음, 제2 투명 접착층(32)을 형성한다.(제3단계)  이때,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은, 본 발명에 따라서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직접 코팅하는 방법으로 형성한다.  인쇄층(40)의 두께로 인하여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로 인해 기포의 유입이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게 위해 액상의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인쇄층(40)의 상측에서 직접 코팅하여 제2 투명 접착층(32)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은 프라이머층(20)의 상부 및 인쇄층(40)의 상부에 코팅 형성한다.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을 구성하는 투명 접착제는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상기 제1 투명 접착층(31)과 동일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접착제 코팅액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및 에폭시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의 형성은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제2 투명 접착층(32)은 예를 들어 콤마 나이프(Comma Knife) 코팅, 그라비아(Gravure) 코팅, 슬롯 다이(Slot Die) 코팅, 롤(Roll) 코팅, 스프레이(Spray) 코팅, 메이어 바(Meyer Bar) 코팅, 및 리버스(Reverser) 코팅 방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1회 이상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투명 접착층(32)은, 바람직하게는 롤-투-롤 공정(roll-to-roll process)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투명 접착제 코팅액은 열 경화형 및 UV 경화형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유기 용제형 및 비용제형 등을 포함한다.  투명 접착제 코팅액은 투명 접착제 이외에 용매를 더 포함하여, 코팅이 가능할 정도의 점도를 가지면 제한되지 않는다.  투명 접착제 코팅액은, 바람직하게는 롤-투-롤 공정이 용이하도록 1cps(센티 포이즈) ~ 10,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코팅액의 점도가 1cps 미만인 경우 롤-투-롤 공정의 적용 시 흘러내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10,000cps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성이나 표면 평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투명 접착제 코팅액은 2cps ~ 5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코팅을 통하여 제2 투명 접착층(3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 상에 제2 이형필름(52)을 적층 합지한다.(제4단계)  제2 이형필름(52)은 제1 이형필름(51)을 설명한 바와 같다.  제2 이형필름(52)은, 구체적으로 제품에 적용 시 박리 제거되며, 이는 제2 투명 접착층(32)을 보호할 수 있으면 좋다.  제2 이형필름(52)은 이형력을 가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 또한 예를 들어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코팅된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이, 부직포 및 플라스틱 필름(예를 들어, PET 필름 등)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층은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층(40)과 제2 투명 접착층(32)은 롤-투-롤 공정(roll-to-roll process)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롤-투-롤 공정은 다수의 롤러(roller)를 이용하는 것이면, 여기에 포함한다.  롤-투-롤 공정은, 구체적으로 다수의 롤러(R, 도 3 참조)를 통해 연속적으로 필름을 이송시키면서 코팅(인쇄)과 경화를 진행하는 것이면 좋다. 
도 3은 롤-투-롤 공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를 통해 적어도 인쇄층(40) 및/또는 제2 투명 접착층(32)을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치를 통해, 제2 투명 접착층(32)의 형성에 연속하여 제2 이형필름(52)을 적층 합지할 수 있다.
먼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장치는, 권출 롤러(Unwinding roller)가 설치된 권출부(210); 상기 권출부(210)의 후단에 설치되고, 액상의 조성물을 코팅(인쇄)하는 코팅부(220); 상기 코팅부(22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코팅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경화부(230); 및 상기 경화부(230)의 후단에 설치되고, 권취 롤러(Winding roller)가 설치된 권취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는 각 구성요소로의 연속적인 이송/공급을 위한 다수의 롤러(R)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부(230)는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열 경화부(231) 및 UV 경화부(232)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열 경화부(231) 및 UV 경화부(232)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열 경화부(231)에는 챔버(chamber)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이상의 열 공급수단(231a)이 설치되어 있다.  열 공급수단(231a)은 열풍 건조기나 직화 건조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V 경화부(232)에는 하나 이상의 UV 조사기(23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제2 이형필름(52) 등을 적층하기 위한 1개 이상의 라이네이터(250, Lamin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네이터(250)는, 예를 들어 경화부(230)와 권취부(24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라이네이터(250)는 다수의 압착 롤러를 포함하는 롤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260은 제2 이형필름(52) 등의 필름이 감겨져 공급하는 언와인딩 롤러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인쇄층(40)을 롤-투-롤 공정으로 형성함에 있어서, 위와 같은 구조의 장치가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때, 베이스 필름(100A)은 권출부(210)로부터 롤러(R)에 의해 가이딩되면서 연속적으로 코팅부(220)로 이송 공급된다.  그리고 코팅부(220)에서는 베이스 필름(100A)의 프라이머층(20) 상에 잉크를 인쇄 코팅한다. 
상기 잉크는 1종 이상의 색상 안료(또는 염료)를 포함하되, 1cps ~ 10,000cps 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때, 잉크의 점도가 1cps 미만인 경우 롤-투-롤 공정의 적용 시, 즉 롤러(R)를 따라 경화부(23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흘러내림이 발생할 수 있고 경화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그리고 10,000cps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성이나 표면 평활성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잉크는 2cps ~ 5,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의 코팅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콤마 나이프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및 슬롯 다이 코팅 등의 방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221은 인쇄층(40)의 형성을 위한 인쇄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쇄기(221)는 구체적으로 콤마 나이프 코팅기, 그라비아 코팅기,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기 및 슬롯 다이 코팅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잉크가 코팅(인쇄)된 후, 필름은 롤러(R)를 따라 연속적으로 경화부(230)로 이송 공급된다.  이때, 잉크의 조성에 따라, 예를 들어 열 경화형인 경우에는 열 경화부(231)에서, UV 경화형인 경우에는 UV 경화부(232)에서 경화된다.  그리고 경화된 제품은 권취부(240)에서 와인딩되어 회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을 롤-투-롤 공정으로 형성함에 있어서도 도 3에 보인 바와 같은 장치가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때, 권출부(210)에는 상기와 같이 인쇄된 필름, 즉 베이스 필름(100A) 상에 인쇄층(40)이 형성된 필름이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된 필름은 권출부(210)로부터 롤러(R)에 의해 가이딩되면서 연속적으로 코팅부(220)로 이송 공급된다.  코팅부(220)에서는 프라이머층(20) 및 인쇄층(40) 상에 액상의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코팅한다.  이때, 코팅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콤마 나이프 코팅,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및 슬롯 다이 코팅 등의 방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222는 제2 투명 접착층(32)의 형성을 위한 코팅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코팅기(222)는 구체적으로 콤마 나이프 코팅기, 그라비아 코팅기,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기 및 슬롯 다이 코팅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팅부(220)는 하나 이상의 인쇄기(221) 및/또는 하나 이상의 코팅기(222)를 포함하여, 공정에 따라 인쇄층(40)을 코팅하거나 제2 투명 접착층(32)을 코팅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투명 접착제 코팅액이 코팅된 후, 필름은 롤러(R)를 따라 연속적으로 경화부(230)로 공급된다.  이때, 코팅액의 조성에 따라, 예를 들어 열 경화형인 경우에는 열 경화부(231)에서, UV 경화형인 경우에는 UV 경화부(232)에서 투명 접착제 코팅액은 경화된다.  그리고 경화된 제품은 권취부(240)에서 와인딩된 후, 별도의 라인에서 제2 이형필름(52)이 적층 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합지 공정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부(230)와 권취부(240)의 사이에 설치된 라이네이터(250)를 통해, 제2 투명 접착층(32)의 형성에 연속하여 제2 이형필름(52)이 적층 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이형필름(52)은 언와인딩 롤러(260)로부터 라이네이터(250)에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제2 이형필름(52)이 합지된 제품은 소정 크기로 절단된 후, 제품화되어 보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를 2개 이상 연계한 라인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 중에서 적어도 제2단계 및 제3단계는 연속적인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부(220)와 경화부(230)를 하나의 세트(set)로 하고, 이러한 세트를 2개 연계하여, 인쇄층(40)을 형성한 다음, 이후 연속적으로 제2 투명 접착층(32)을 롤-투-롤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권출부(210)-제1 코팅부(220)-제1 경화부(230)-제2 코팅부(220)-제2 경화부(230)-라미네이터(250)-권취부(250)가 연속 설치된 라인을 구성하고, 상기 라인을 통해 인쇄층(40)과 제2 투명 접착층(32)의 형성은 물론 제2 이형필름(52)의 합지 공정을 롤-투-롤 공정으로 연속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필름(100A)을 제조함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필름(10) 상에 제1 투명 접착층(31)과 프라이머층(20)을 형성(코팅/경화)함에 있어서, 다수의 롤러(R)를 통해 코팅부(220)와 경화부(230)로 이송 공급하는 롤-투-롤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접착 인쇄필름(100)은 제1 이형필름(51), 상기 제1 이형필름(51) 상에 형성된 제1 투명 접착층(31), 상기 제1 투명 접착층(31)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10), 상기 기재필름(10)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20), 상기 프라이머층(20) 상에 형성된 인쇄층(40), 상기 인쇄층(40) 상에 형성된 제2 투명 접착층(32),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 상에 형성된 제2 이형필름(5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은 인쇄층(40) 상에 투명 접착제 코팅액이 코팅되어 형성된 코팅 경화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접착 인쇄필름(10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은 100㎛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프라이머층(20) 상의 위치된 부분이다.
종래의 양면 접착테이프(A, 도 1 참조)는 윈도우 패널(WP)에 합지되는 방법으로 접착됨에 따라 합지 시 인쇄층과의 단차 발생으로 인하여 기포가 유입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착층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종래의 OCA 투명 접착층(1, 도 1 참조)은 100㎛ 이상, 대부분의 경우 100 ~ 300㎛의 두께를 가지나, 본 발명의 제2 투명 접착층(32)은 액상 코팅방법으로 형성됨에 따라 인쇄층의 단차에 의한 기포유입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접착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의 두께 감소를 통한 가격 절감을 위해,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은 10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은 구체적으로 1㎛ ~ 100㎛의 두께를 갖게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제2 투명 접착층(32)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스크린 패널,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패드(TSP)와 접착 강도가 낮을 수 있고, 100㎛를 초과하는 경우 OCA 등의 투명 접착제의 사용량이 많아져 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합지 과정에서 투명 접착제가 기재 옆으로 흘러 나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제2 투명 접착층(32)은 1㎛ ~ 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접착 인쇄필름(100)은 각종 전자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적용분야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및 소형 타블릿 PC 등의 전자 제품을 구성하는 2개의 부재,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윈도우 패널(WP)과 터치스크린 패드(TSP)의 접착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층(40)의 부착력 문제를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패널(WP)에 인쇄층(4, 도 1 참조)을 형성한 종래의 경우, 윈도우 패널(WP)로서 유리를 사용한 경우에 특히 인쇄층(4)의 부착성이 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제품의 수율이 저하(불량 발생)되나, 본 발명은 인쇄층(40)을 기재필름(10)의 프라이머층(20) 상에 형성하여 양호하게 부착되게 하고, 윈도우 패널(WP)과는 제2 투명 접착층(32)을 통해 접착되어 우수한 부착력이 도모된다.  이에 따라, 인쇄층(40)의 부착력으로 인한 내구성 및 수율 저하(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패널(WP)의 파손이 발생된 경우, 유리 등의 파편이 터치스크린 패드(TSP)로 비산되는 것을 기재필름(10)이 차단하여 터치스크린 패드(TSP)를 보호한다.  이에 따라, 윈도우 패널(WP)의 파손에 따른 스크린 패널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아울러, 제2 투명 접착층(32)은 액상의 투명 접착제 코팅액이 인쇄층(40)의 상부에서 직접 코팅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단차로 인한 기포의 유입이나 공극 형성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기포 유입이나 공극으로 인한 화면 선명도 저하 및 빛 샘 발생 등의 제품 불량을 방지한다. 
또한, 다수의 롤러(R)를 통한 롤-투-롤 공정이 이용된 경우, 연속적인 공정이 가능하여 짧은 시간 내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인쇄층(40) 및 제2 투명 접착층(32)을 롤-투-롤 공정으로 형성한 경우에 그러하다.  이에 따라, 대량 생산을 통한 원가절감과 고수율성이 도모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투명 접착층(32)을 액상 코팅방식으로 형성함에 따라 100㎛ 이하의 얇은 두께로의 구현이 가능하여 저가격화가 도모된다.
10 : 기재 필름 20 : 프라이머층
31 : 제1 투명 접착층 32 : 제2 투명 접착층
40 : 인쇄층 51 : 제1 이형필름
52 : 제2 이형필름 100 : 양면 접착 인쇄필름
100A : 베이스 필름 210 : 권출부
220 : 코팅부 230 : 경화부
231 : 열 경화부 232 : UV 경화부
240 : 권취부 250 : 라미네이터
260 : 언와인딩 롤러 R : 롤러

Claims (10)

  1. 제1 이형필름, 상기 제1 이형필름 상에 형성된 제1 투명 접착층,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 상에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코팅하여 제2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 상에 제2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롤-투-롤 공정(roll-to-roll process)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베이스 필름을 롤러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프라이머층 상에 잉크를 인쇄한 다음, 경화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인쇄층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을 롤러(R)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 상에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코팅한 다음, 경화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이형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인쇄층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을 롤러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 상에 투명 접착제 코팅액을 코팅한 다음, 경화시킨 후, 상기 제2 이형필름을 제2 투명 접착층 상에 적층 합지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제 코팅액은 2 ~ 5,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제 코팅액은 열 경화형 또는 UV 경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의 제조방법.
  8. 제1 이형필름,
    상기 제1 이형필름 상에 형성된 제1 투명 접착층,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 상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인쇄층;
    상기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 상에 형성된 제2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은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상에 투명 접착제 코팅액이 코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은 1㎛ ~ 100㎛의 두께를 가지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은 1㎛ ~ 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착 인쇄필름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 인쇄필름.
KR1020120039848A 2012-04-17 2012-04-17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23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848A KR101423372B1 (ko) 2012-04-17 2012-04-17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848A KR101423372B1 (ko) 2012-04-17 2012-04-17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01A true KR20130117101A (ko) 2013-10-25
KR101423372B1 KR101423372B1 (ko) 2014-07-24

Family

ID=4963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848A KR101423372B1 (ko) 2012-04-17 2012-04-17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3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142B1 (ko) * 2013-11-28 2014-03-13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휴대기기의 윈도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134400A (ko) 2015-05-15 2016-11-23 인스콘테크(주) 터치센서용 윈도우 베젤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21149983A1 (ko) * 2020-01-21 2021-07-29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디스플레이패널용 시트
US11217778B2 (en) * 2017-01-02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transmitting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505B1 (ko) 2016-12-05 2022-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코 필름, 데코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 및 데코 필름의 제조방법
KR20180081915A (ko) * 2017-01-09 2018-07-18 김지웅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537A (ko) * 2008-03-28 2009-10-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갖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20100086533A (ko) * 2009-01-23 2010-08-02 남동식 터치스크린 패드의 제조방법
KR20100109645A (ko) * 2009-04-01 2010-10-11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KR20120139407A (ko) * 2011-06-17 2012-12-27 (주)코반케미칼 터치스크린용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터치스크린용 데코레이션 필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142B1 (ko) * 2013-11-28 2014-03-13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휴대기기의 윈도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134400A (ko) 2015-05-15 2016-11-23 인스콘테크(주) 터치센서용 윈도우 베젤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11217778B2 (en) * 2017-01-02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transmitting film
WO2021149983A1 (ko) * 2020-01-21 2021-07-29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디스플레이패널용 시트
US11720142B2 (en) 2020-01-21 2023-08-08 Sg Global Co., Ltd. Sheet for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372B1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372B1 (ko)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890534B2 (ja) 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離形フィルム付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てなる画像表示装置
JP6035599B2 (ja) 両面粘着フィルム
TWI396007B (zh) Imag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2126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US20130142981A1 (en) Screen protector
US9995956B2 (en) Integrated fully-sealed liquid cryatal screen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same
KR101279369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잉크 인쇄 방법
TW201335617A (zh) 顯示裝置用加飾膜及保護面板
EP2886331B1 (en) Laminate comprising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33882B1 (ko) 무기재 차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6185272B2 (ja) 表示装置用フィルム、表示装置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5245003B1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16461B2 (ja) タッチパネル用加飾カバー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493008A (zh) 静电电容型触摸面板
KR101733600B1 (ko) 인쇄용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4035493A (ja) カバーフィルム、カバ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2012224063A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カラーフィルタ用の画素付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035927B1 (ko) 스마트폰용 박막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34923B1 (ko) 백릿 기능이 있는 디지털글라스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9151B1 (ko) 에어프리 기능을 갖춘 엠보 패턴의 잉크젯 미디어 합성지 및 제조 방법
JP2015025107A (ja) 箔表示体シートの製造方法と箔表示体シート
KR20100108043A (ko) 비산방지필름, 이를 포함하는 장식용 유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5704453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カラーフィルタ用の画素付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2179832A (ja) 装飾透明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