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645A -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 Google Patents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645A
KR20100109645A KR1020090028003A KR20090028003A KR20100109645A KR 20100109645 A KR20100109645 A KR 20100109645A KR 1020090028003 A KR1020090028003 A KR 1020090028003A KR 20090028003 A KR20090028003 A KR 20090028003A KR 20100109645 A KR20100109645 A KR 20100109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panel
curing agent
printe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9645A/ko
Publication of KR2010010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일부에 하나 이상의 색채가 반사되는 색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인쇄된 윈도우글라스의 일부 또는 전체에 인쇄층으로 인해 발생된 단차를 상쇄하기 위한 경화제를 색이 인쇄된 두께보다 두껍게 도포하여 경화시킨 다음 패널과 윈도우글라스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법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윈도우글라스 모듈을 제공하여 윈도우글라스에 인쇄되는 인쇄층을 검정색이 아닌 흰색이나 다른 색을 이용하더라도 기포불량 등의 불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에 맞는 색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윈도우글라스, 패널, 경화제, 접착제, OCA

Description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BONDING METHOD OF WINDOW-GLASS AND PANEL AND WINDOW-GLASS MODULE}
본 발명은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거리를 걷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중간에, 혹은 운전을 하는 동안에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를 하거나 휴대폰, PMP, 내비게이션, MP3 및 MP4 등을 이용하여 영화나 DMB, 음악 등을 감상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들을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사용자가 기능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재 수행되고 있는 기능이 어떤 것인지를 LCD 등을 통해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확인시킨다.
또한, 최근에는 LCD에 터치패널을 추가로 장착한 터치스크린이 사용되어 외부에서 입력을 위한 키패드 등의 버튼을 없애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과 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의 경량화와 소형화가 더욱 가속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터치스크린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동 단말기의 내측에서부터 백 라이트 유닛, 액정패널, 터치패널 및 윈도우글라스(Window-Glass)의 순서로 배치된다. 이 중, 윈도우글라스 모듈(10)은 윈도우글라스와 액정패널이나 터치패널 등의 패널(14)이 결합된 것으로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윈도우글라스(12)는 액정패널이나 터치패널 등의 패널(14)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화유리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윈도우글라스(12)는 이동 단말기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단말기 디자인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내부의 패널(14)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래서 윈도우글라스(12)에서 패널(14)을 통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부분에는 검정색으로 인쇄를 하여 인쇄층(16)을 형성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인쇄층(16)은 일반적으로 검정색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는 패널(14)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된 빛이 윈도우글라스(12)를 통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의 내부의 부품들을 외부에서는 보이지 못하도록 한다.
하지만, 검정색으로 인쇄층(14)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한 번만 인쇄하여 인쇄층(16)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이 인쇄층(16)을 투과하기 때문에 여러 번 반복하여 검정색을 인쇄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된 빛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검정색으로 인쇄된 인쇄층(16)이 형성된 윈도우글라스(12)에 패널(14)을 접착하는 것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글라스(12)의 가장자리 에 검정색으로 인쇄된 인쇄층(16) 위로 패널(14)을 윈도우글라스(12)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등의 양면테이프(18)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데, 도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18)와 윈도우글라스(12) 사이(A)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검정색으로 인쇄층(16)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인쇄층(16)의 두께가 약 10~30㎛ 정도로 얇기 때문에 실제로 양면테이프(18)와 윈도우글라스(12)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가 거의 없거나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정도로 미세하므로 기포불량으로 취급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인쇄층(16)을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특히, 흰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검정색보다 빛을 차단하는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빛을 제대로 차단시키기 위해서는 검정색을 인쇄하는 회수보다 더 많이 인쇄하여 인쇄층(16)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야 한다.
일례로, 인쇄층(16)을 흰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빛을 정상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인쇄층(16)의 두께가 약 70~80㎛정도로 검정색으로 인쇄하는 경우보다 두껍게 형성되어야 정상적인 빛 차단효과가 나타난다.
더욱이 검정색이 아닌 색(특히, 밝은 색)으로 인쇄층(16)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색을 칠한 인쇄층(16)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색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색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인쇄층(16)을 통해 빛이 투과되기 때문이며, 본연의 색이 잘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을 해치게 된다. 그러므로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고, 이동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인쇄층(16)을 형성하는 색이 본연의 색을 내어야하는 이유로 동일한 색 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인쇄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에 인쇄층(16)이 형성된 윈도우글라스(12)에 양면테이프(18)를 이용하여 액정패널이나 터치패널과 같은 패널(14)을 접착시키는데, 상기와 같이 인쇄층(16)이 두껍게 형성된 경우에는 양면테이프(18)와 윈도우글라스(12)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A)이 커지게 된다. 이때, 공간(A)에 발생되는 기포가 이동 단말기의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될 정도로 커지는데, 이는 외관 디자인상 흠이 될 수 있고, 윈도우글라스(1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확인하는데 장애의 요인이 될 수 있는 등의 기포불량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인쇄층을 형성하여 인쇄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기포불량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은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글라스(Window-Glass)의 일부에 빛을 차단하기 위해 색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단계; 상기 인쇄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윈도우글라스의 나머지 또는 전체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경화제를 도포하는 경화제 도포단계; 상기 경화제 도포단계에서 도포된 경화제를 굳히는 경화제 경화단계; 및 상기 윈도우글라스에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패널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 도포단계에서 도포되는 경화제는 상기 인쇄단계에서 인쇄된 인쇄층의 두께 이상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화제 경화단계는 상기 경화제 도포단계에서 도포된 경화제를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단계는 상기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단계는 상기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을 OCA(Optically Clear Adhesive)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윈도우글라스 모듈은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글라스;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고, 상기 윈도우글라스 상측의 일부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색으로 인쇄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이 인쇄되지 않은 상기 윈도우글라스 상측의 나머지 또는 전체에 도포되는 경화제; 상기 인쇄층의 상측에 위치하여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패널; 및 상기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을 접착시키는 접착제; 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상기 인쇄층의 두께 이상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화제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UV(Ultra Violet) 경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는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윈도우글라스에 인쇄되는 인쇄층을 검정색이 아닌 흰색이나 다른 색을 이용하더라도 기포불량 등의 불량을 줄 일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에 맞는 색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윈도우글라스(Window-Glass) 모듈(100)은 윈도우글라스(110), 패널(120), 인쇄층(130), 경화제(140) 및 접착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윈도우글라스(110)는 빛을 투과할 수 있으며, 패널(120)이 외력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패널(120)은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패널이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패널일 수 있고, 또한, 그 이외에도 액정패널이나 터치패널이 아닌 다른 종류의 패널(120)일 수도 있다. 특히 패널(120)에 터치패널이 사용될 때,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이든,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이든 무관하다.
인쇄층(130)은 윈도우글라스(110) 상측의 일부에 형성되는데, 하나 이상의 색체를 반사시킬 수 있는 색, 즉, 모든 색을 흡수하는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인쇄된다. 그러므로 인쇄층(130)은 모든 색을 흡수하는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이 이용되어 인쇄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검정색으로 인쇄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회수로 인쇄를 하여 인쇄층(130)의 두께가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 검정색으로 윈도우글라스(110)에 인쇄할 때에는 2~3번 정도로 인쇄를 하였다면, 본 발명에서는 검정색이 아닌 색으로 인쇄를 하기 때문에 2~3번 보다 여러 번에 걸쳐 인쇄하여야 빛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검정색으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인쇄층(16)보다 본 발명에서의 인쇄층(130)은 두껍게 형성된다.
일례로, 인쇄층(130)에 인쇄되는 색이 흰색인 경우에 2~3번 정도로 인쇄한다면, 패널(120)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윈도우글라스 모듈(100)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의 외부에서 보면 윈도우글라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내부가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흰색의 경우에는 대략 6~7번을 동일하게 인쇄하여 인쇄층(130)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경화제(140)는 윈도우글라스(110)에 인쇄된 인쇄층(130)으로 인해 발생된 단차를 상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액화상태의 경화제(140)를 인쇄층(130)이 윈도우글라스(110)에 인쇄된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껍게 도포하여 인쇄층(130)으로 인해 생긴 단차를 상쇄시킨다. 즉, 경화되지 않은 액체상태의 경화제(140)를 인쇄층(130)이 인쇄되지 않은 윈도우글라스(110)의 일부인 중앙부분에 도포하는데, 인쇄층(130)이 윈도우글라스(110)의 가장자리에 인쇄됨에 따라 윈도우글라스(110)의 중 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에 단차가 생기기 때문에 단차를 없애기 위해 경화제(140)를 윈도우글라스(110)의 중앙부분에 도포한다.
물론, 패널(120)의 크기를 윈도우글라스(110)의 크기와 비교하였을 때, 패널(120)의 크기가 조금 작거나 윈도우글라스(110)의 크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윈도우글라스(110)의 중앙부분에만 경화되지 않은 경화제(140)를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인쇄층(130)의 일부나 전체에 경화제(140)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화되지 않은 경화제(140)를 윈도우글라스(110)에 도포할 때, 도포된 상부 표면이 가급적 매끄럽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경화제(140)가 경화된 다음, 패널(120)을 경화된 경화제(140)의 상부에 접착을 시키기 때문에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는 패널(120)과 접착되기 위해서는 도포된 경화제(140)의 상부 표면이 매끄러울수록 패널(120)이 경화제(140)에 도포된 윈도우글라스(110)와 패널(120)이 더욱 잘 접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화제(140)는 자외선이 조사되었을 때, 경화되는 UV(Ultra Violet) 경화제(14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되기 전의 경화제(140)를 윈도우글라스(110)에 도포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제(140)를 경화시킨 후에 패널(120)과 접착시키는 과정으로 넘어간다.
물론,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화제(140)는 빛의 투과성이 좋은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윈도우글라스(110)를 통해서 액정패널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접착제(150)는 윈도우글라스(110)에 경화된 경화제(140)와 패널(120) 사이에 서 경화제(140)와 패널(120)을 접착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면테이프가 사용된다. 즉, 윈도우글라스(110)에 상부 표면이 매끄럽게 도포된 경화제(140)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패널(120)과 접착을 시키는데, 이렇게 양면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패널(120)과 경화제(140)가 도포된 윈도우글라스(110)를 롤러를 이용하여 밀착시켜 접착시키면 된다.
이때, 접착제(150)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록 경화제(140)의 상부 표면이 다소 매끄럽지 않게 미세한 홈이 있는 상태로 도포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OCA나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제(150)가 경화제(140)의 위에 씌워지기 때문에 미세한 홈은 접착제(150)로 메워지기 때문에 패널(120)과 윈도우글라스(110)가 밀착되어 접착된 이후에는 패널(120)과 경화제(140) 사이에 미세한 홈이 남지 않게 된다.
또한, 경화제(140)와 마찬가지로 접착제(150)도 빛의 투과성이 좋은 재질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제(150)로 사용되는 것은 양면테이프가 아닌 액화 상태의 접착제(150)를 이용하여 경화제(140) 위에 도포한 다음, 패널(120)을 밀착하여 패널(120)을 윈도우글라스(110)에 밀착시켜 접착한 후에 접착제(150)를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윈도우글라스(110)와 패널(120)을 접착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3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2를 참조하고,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 다.
1. 인쇄층 형성단계<S301>
빛이 투과되는 윈도우글라스(110)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폭으로 색을 인쇄시킴으로써 인쇄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로, 본 단계에서 인쇄되는 색은 검정색이 아닌 회색, 흰색 등의 색이 도포된다.
즉, 검정색으로 인쇄하는 경우는 종래에 윈도우글라스(110)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모든 색을 흡수하는 검정색의 특성상 윈도우글라스(110)에 인쇄되는 인쇄층(130)의 두께가 얇게 인쇄되더라도 윈도우글라스(110)로 입사되는 빛을 정상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는 본 단계에서 검정색이 아닌 색이 인쇄되어 형성된 인쇄층(130)이 검정색으로 인쇄된 종래의 인쇄층(16)보다 두꺼워야지만 윈도우글라스(110)로 입사되는 빛을 정상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흰색으로 인쇄하는 경우에는 70~80㎛의 두께로 인쇄되어, 검정색으로 인쇄된 것에 비해 2~3배만큼 두껍게 형성된다.
2. 경화제 도포단계<S303>
단계 S301에서 검정색이 아닌 색으로 윈도우글라스(110)에 인쇄되면, 액화 상태의 경화제(140)를 윈도우글라스(110)에 도포되는데, 경화제(140)는 인쇄층(130)이 형성되지 않은 윈도우 글라스와 인쇄층(130)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도포된다.
이때, 도포되는 경화제(140)의 양은 단계 S307에서 패널(120)이 윈도우글라스(110)에 접착되었을 때, 인쇄층(130)으로 인해 생긴 단차로 인해서 중간에 기포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인쇄층(130)이 인쇄되지 않은 부분은 경화제(140)로 메워지도록 하면 되고, 물론, 경화제(140)를 많이 더 많이 사용하여 인쇄층(130)의 일부까지 덮을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3. 경화제 경화단계<S305>
단계 S303에서 액화 상태의 경화제(140)가 윈도우글라스(110)에 도포되면, 도포된 경화제(140)를 경화시켜야 하는데, 경화의 시간이 길어지면 제품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경화되는 것이 가능한 UV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UV 경화제를 이용하여 윈도우글라스(110)에 도포하면 자외선을 도포된 경화제(140)에 조사하여 경화제(140)를 경화시킨다.
4. 접착단계<S307>
단계 S305에서 경화제(140)가 완전히 경화되면, 패널(120)을 윈도우글라스(110)에 접착시키는데, 경화제(140)가 경화된 윈도우글라스(110)와 패널(120)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경화된 경화제(140)와 패널(120)의 사이에 양면테이프를 위치시켜 롤러 등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패널(120)과 윈도우글라스(110)를 접착함으로써, 윈도우글라스(110)와 패널(120)이 접착된다.
이때, 접착제(150)로 사용되는 것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가 사용되는 것 이 바람직한데, OCA는 주성분은 변성 아크릴레이트로, 450nm 부근의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선으로 상온에서 경화되는 특성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에 의해 제작된 윈도우글라스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에 의해 제작된 윈도우글라스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윈도우글라스 모듈
110: 윈도우글라스 120: 패널
130: 인쇄층 140: 경화제
150: 접착제

Claims (8)

  1.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글라스(Window-Glass)의 일부에 빛을 차단하기 위해 색을 여러 번 반복하여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단계;
    상기 인쇄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윈도우글라스의 나머지 또는 전체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경화제를 도포하는 경화제 도포단계;
    상기 경화제 도포단계에서 도포된 경화제를 굳히는 경화제 경화단계; 및
    상기 윈도우글라스에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패널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 도포단계에서 도포되는 경화제는 상기 인쇄단계에서 인쇄된 인쇄층의 두께 이상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 경화단계는 상기 경화제 도포단계에서 도포된 경화제를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단계는 상기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단계는 상기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을 OCA(Optically Clear Adhesive)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5.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글라스;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고, 상기 윈도우글라스 상측의 일부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색으로 인쇄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이 인쇄되지 않은 상기 윈도우글라스 상측의 나머지 또는 전체에 도포되는 경화제;
    상기 인쇄층의 상측에 위치하여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패널; 및
    상기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을 접착시키는 접착제; 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상기 인쇄층의 두께 이상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글라스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UV(Ultra Violet) 경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글라스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글라스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글라스 모듈.
KR1020090028003A 2009-04-01 2009-04-01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KR20100109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03A KR20100109645A (ko) 2009-04-01 2009-04-01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03A KR20100109645A (ko) 2009-04-01 2009-04-01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645A true KR20100109645A (ko) 2010-10-11

Family

ID=4313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003A KR20100109645A (ko) 2009-04-01 2009-04-01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96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372B1 (ko) * 2012-04-17 2014-07-24 율촌화학 주식회사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59348B1 (ko) * 2012-12-20 2014-11-10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
KR101467444B1 (ko) * 2014-04-15 2014-12-02 룩씨스 주식회사 Uv 패턴을 포함하는 카메라 글라스의 제조방법
US10133111B2 (en) 2011-10-18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3111B2 (en) 2011-10-18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71734B2 (en) 2011-10-18 2020-02-25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06076B2 (en) 2011-10-18 2021-08-31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23372B1 (ko) * 2012-04-17 2014-07-24 율촌화학 주식회사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59348B1 (ko) * 2012-12-20 2014-11-10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
KR101467444B1 (ko) * 2014-04-15 2014-12-02 룩씨스 주식회사 Uv 패턴을 포함하는 카메라 글라스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093B1 (ko) 화상 표시 장치
EP1973089B1 (en) Process for producing display and method of laminating
CN203360361U (zh) 一种显示装置及其光学胶带
US10429971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TW200630453A (en) Double-side adhesive bands for the production of LC-display with light-reflective and absorbent properties
JP2009192794A (ja) 表示装置
JPWO2009078195A1 (ja) 粘着シート及び表示装置
WO2007066590A1 (ja) 表示機器および表示機器の製造方法
TW201437039A (zh) 透明面材及使用其之顯示裝置
WO2012161078A1 (ja) タッチパネル用印刷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用カバーガラス、液晶表示パネル、多機能端末、及びタッチパネル用印刷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50059586A (ko) 아몰레드 모듈의 구조 및 조립 방법
KR20100109645A (ko)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TW200628581A (en) Double-side adhesive bands for the production of LCD with light-reflective and absorbent properties
WO2019189581A1 (ja)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23548Y1 (ko) 액정표시장치 보호필름
TW200717016A (en)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panel using the same
JP2013218052A (ja) 導光シートおよび加飾成形体
KR20170050707A (ko) 점착 레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4666122B2 (ja) 光学機能部材一体型表示装置
KR20100109644A (ko)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KR20170050719A (ko) 점착 레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89537A (ja) 液晶パネル固定用粘着テープ
CN110016300B (zh) 显示屏保护膜
CN107600519A (zh) 一种保护膜修补方法及贴膜方法
KR20130048591A (ko)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