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348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348B1
KR101459348B1 KR1020120149857A KR20120149857A KR101459348B1 KR 101459348 B1 KR101459348 B1 KR 101459348B1 KR 1020120149857 A KR1020120149857 A KR 1020120149857A KR 20120149857 A KR20120149857 A KR 20120149857A KR 101459348 B1 KR101459348 B1 KR 10145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ight
layer
sensor window
cov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256A (ko
Inventor
곽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14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3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면에 커버 글래스가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 단말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단말기 본체의 외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 및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장착되며, 단말기 본체의 색상과 동일 계통이 색상으로 표현되는 센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근접 센서의 투과창인 센서 윈도우를 통한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센서 윈도우를 흰색 계통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색상이 흰색과 같은 밝은 색을 갖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와 센서 윈도우의 색을 일치시킴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흰색의 단말기 색상과 동일한 흰색의 센서 윈도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의 투과창인 센서 윈도우를 통한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센서 윈도우를 흰색 계통으로 표현함으로써, 단말기 본체의 색상과 센서 윈도우의 색상을 일치시켜 심미감이 향상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중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장치로서 그것이 갖는 기능 및 편의성에 의해 사용이 비약적으로 늘어났으며 최근에는 일반적을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으로 사용하는 외에 휴대형 컴퓨터로도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람의 손과 같은 부분의 접근을 인식하는 근접 센서가 장착된다. 이러한 근접 센서는, 적외선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사람 또는 물체 등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종래의 근접 센서에는 근접 센서부 인쇄층, 적외선 반사 및 난반사 방지를 위한 블랙 띠 인쇄층이 적층되고 그 상부에 커버 글래스가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근접 센서가 장착되는 투과창 즉 센서 윈도우는 일반적으로 검정색으로 비춰진다.
그런데,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검정색으로 제조되는 경우 센서 윈도우가 검정색으로 비춰져도 상관 없지만, 예를 들면 흰색 계열을 갖는 스마트폰의 경우 센서 윈도우가 검정색으로 비춰지면 단말기의 색과 상이하여 심미적인 디자인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커버 글래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름층에 직접 인쇄로 화이트층을 인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경우 빛의 반사 및 난반사가 발생되어 적외선 송수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센서의 감지 정확성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센서부의 투과창인 센서 윈도우를 통한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센서 윈도우를 흰색 계통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색상이 흰색과 같은 밝은 색을 갖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와 센서 윈도우의 색을 일치시킴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가시광선 영역 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센서부의 감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면에 커버 글래스가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색상과 동일 계통이 색상으로 표현되는 센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센서부의 투과창인 센서 윈도우를 통한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센서 윈도우를 흰색 계통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색상이 흰색과 같은 밝은 색을 갖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와 센서 윈도우의 색을 일치시킴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커버 글래스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센서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센서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나노 크기의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흰색을 구현하는 나노 구조층; 및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센서부의 사이에 적층되며,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적외선 투과 조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센서부의 사이에 적층되며, 가시광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센서부의 사이에 적층되며, 상기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윈도우를 투과하는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근접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와, 상기 센서 윈도우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통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커버 글래스와 상기 센서 윈도우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한 상기 센서 윈도우를 결합시키는 광학용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센서 윈도우의 상면 외측 부분에 일면이 접착되고 타면은 상기 커버 글래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빛의 투과를 위한 에어 갭이 형성된 화이트 인쇄층의 하면에 접착되는 양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커버 글래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빛의 투과를 위한 에어 갭이 형성된 화이트 인쇄층의 하면에 상기 센서 윈도우의 상면 외측 부분이 접촉되도록, 일부분은 상기 센서 윈도우의 외측면에 접착되고 상기 일부분과 연결된 다른 일부분은 상기 화이트 인쇄층의 하면에 접착되는 단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면에 커버 글래스가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근접하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근접/조도 센서; 및 상기 근접/조도 센서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근접/조도 센서로 제공되는 빛의 투과 파장을 조절하며, 빛의 산란을 통해 흰색 계통의 색으로 표현되는 센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근접/조도 센서의 투과창인 센서 윈도우를 통한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센서 윈도우를 흰색 계통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색상이 흰색과 같은 밝은 색을 갖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와 센서 윈도우의 색을 일치시킴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근접/조도 센서의 상부에 위치되며, 나노 크기의 입자를 형성하여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흰색을 구현하는 나노 구조층;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근접/조도 센서의 사이에 적층되며,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적외선 투과 조절층; 및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근접/조도 센서의 사이에 적층되며, 가시광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근접/조도 센서의 사이에 적층되며, 상기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의 투과창인 센서 윈도우를 통한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센서 윈도우를 흰색 계통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색상이 흰색과 같은 밝은 색을 갖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와 센서 윈도우의 색을 일치시킴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시광선 영역 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센서부의 감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부분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부분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부분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부분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상단부에는 사람의 손 등의 접근을 감지함은 물론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부(110)가 장착된다. 센서부(110)와 커버 글래스(120) 사이에는 흰색 계통으로 표현(가시화)되는 센서 윈도우(140)가 개재됨으로써 가령 휴대용 단말기(100)의 단말기 본체(101)의 외관이 흰색 계통과 같이 밝은 색이어도 센서 윈도우(140)가 유사한 계통으로 비춰짐으로써 심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103)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터치센서(105)가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화이트 인쇄층(130) 및 커버 글래스(120)가 구비될 수 있다. 화이트 인쇄층(130)으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면의 색상이 흰색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10)가 장착되는 부분에는 화이트 인쇄층(130)에 홀(131)이 형성되고, 홀(131) 내에 흰색 계통으로 표현될 수 있는 센서 윈도우(1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서부(110)는, 근접 센서와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과 같은 신호 송수신에 의한 근접 감지 및 외부 환경의 조도 감지를 동시에 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근접 감지 및 조도 감지를 같이 실행하는 센서부(110)를 예를 들어 상술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접 센서로만 마련될 수 있고 아울러 다른 종류의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종래의 경우, 센서 윈도우가 검정색 계통으로 표현됨으로써 가령 휴대용 단말기의 색상이 밝은 색, 예를 들면 흰색인 경우 색상의 상이함으로 인해 심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센서 윈도우(140)는, 흰색으로 표현(가시화)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서 윈도우(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에 의해서 다층 구조를 갖는 하나의 필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소정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일반적인 필름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 글래스(120)와 센서부(110) 사이에 일체형을 갖는 센서 윈도우(140)가 개재됨으로써, 적외선 영역의 파장, 예를 들면 780 내지 1000nm의 파장을 갖는 빛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윈도우(14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 글래스(120)의 하면에 배치되며 나노 크기의 미세 입자를 형성하여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흰색을 구현하는 나노 구조층(141)과, 나노 구조층(141)의 하부에 적층되어 가시광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과,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의 하부에 적층되어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과,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의 하부에 적층되어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층(144)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나노 구조층(141)은, 도 3에서는 평평한 면을 갖는 것처럼 표현되었으나, 나노 크기로 확대하여 보면 상면이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나노 입자의 미세 입자를 형성하여 빛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나노 구조층(141)이 흰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커버 글래스(120) 바로 하부에 위치하는 나노 구조층(141)이 흰색으로 표현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센서 윈도우(140)는 전체적으로 흰색 계통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흰색 계통의 단말기 본체(101)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가짐으로써 색 차이로 인한 심미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나노 구조층(141)의 하면에 증착되는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은,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에 의해 센서 윈도우(140)를 통해 투과되는 가시광선의 파장을 조절하는 층이다. 예를 들면,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650nm(T%: 15%±5%)로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센서부(110)에 의해 정확한 조도 감지를 할 수 있다.
아울러,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의 하면에 증착되는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은, 센서 윈도우(140)를 통해 투과되는 적외선의 파장을 조절하는 층이다. 예를 들면,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에 의해 적외선의 투과율을 850nm(T%: 85%±5%)로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센서부(110)에 의한 적외선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람 또는 외부 물체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나노 구조층(141)의 하부에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 및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이 구비됨으로써 가시광선 및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센서부(110)의 감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센서부 (110)의 감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이 상측에 위치하고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이 하측에 위치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 위치로 적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반사 방지층(1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의 하면에 증착되는 층으로서,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 및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을 통과한 빛의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한 센서부(110)의 감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층(144)을 구비함으로써 외관상 반짝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윈도우(140)에 나노 구조층(141)을 이용하여 빛을 산란시킬 수 있어 센서 윈도우(140)가 흰색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흰색과 같은 밝은 색을 갖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와 센서 윈도우의 색을 일치시킴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142) 및 적외선 투과 조절층(143)에 의해 가시광선 및 적외선 영역의 빛 투과를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어 센서부(110)의 감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커버 글래스(220)와 센서 윈도우(240)가 이격되며, 그 사이에 접착성을 가지면서도 광학 특성을 가진 광학용 접착층(250)이 구비될 수 있다. 광학용 접착층(250)은 투명의 양면 테이프로서 광학 특성을 갖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로 적용될 수 있다.
광학용 접착층(250)은, 상단부는 화이트 인쇄층(230)의 홀(231)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에 비해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연장된 부분이 화이트 인쇄층(23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용 접착층(250)의 하부에 증착으로 일체화된 센서 윈도우(240)가 부착되고 그 하부에 센서부(2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광학용 접착층(250)이 구비됨으로써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광학용 접착층(250)의 접착을 이용하여 센서 윈도우(240) 및 센서부(21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들의 휴대용 단말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커버 글래스(320)와 센서 윈도우(340) 사이에 에어 갭(331)이 형성되고, 중공의 띠 형상을 갖는 양면 테이프(350)에 의해 화이트 인쇄층(330)에 센서 윈도우(3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양면 테이프(350)를 이용해서 센서 윈도우(3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분리까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센서 윈도우가 장착된 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센서 윈도우(440)는 에어 갭(431)이 형성된 화이트 인쇄층(430)의 하부에 부착되는데, 이 때 전술한 제3 실시예와는 달리 화이트 인쇄층(430)의 하면에 센서 윈도우(440)의 상면이 접촉될수 있도록 단면 테이프(450)에 의해 센서 윈도우(440)를 화이트 인쇄층(43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착 구조에 의해서, 커버 글래스(420) 및 센서 윈도우(440)의 이격된 느낌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화이트 인쇄층(430)에 대한 센서 윈도우(44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110 : 센서부
130 : 화이트 인쇄층
140 : 센서 윈도우
141 : 나노 구조층
142 :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
143 : 적외선 투과 조절층
144 : 반사 방지층

Claims (12)

  1. 상면에 커버 글래스가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장착되며,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흰색 계통의 색으로 표현되는 센서 윈도우;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커버 글래스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 글래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센서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나노 크기의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흰색 계통의 색을 구현하는 나노 구조층; 및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센서부의 사이에 적층되며,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적외선 투과 조절층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센서부의 사이에 적층되며, 가시광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센서부의 사이에 적층되며, 상기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윈도우를 투과하는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근접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와, 상기 센서 윈도우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통해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와 상기 센서 윈도우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한 상기 센서 윈도우를 결합시키는 광학용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상면에 커버 글래스가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색상과 동일 계통이 색상으로 표현되는 센서 윈도우; 및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센서 윈도우의 상면 외측 부분에 일면이 접착되고 타면은 상기 커버 글래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빛의 투과를 위한 에어 갭이 형성된 화이트 인쇄층의 하면에 접착되는 양면 테이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상면에 커버 글래스가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색상과 동일 계통이 색상으로 표현되는 센서 윈도우;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빛의 투과를 위한 에어 갭이 형성된 화이트 인쇄층의 하면에 상기 센서 윈도우의 상면 외측 부분이 접촉되도록, 일부분은 상기 센서 윈도우의 외측면에 접착되고 상기 일부분과 연결된 다른 일부분은 상기 화이트 인쇄층의 하면에 접착되는 단면 테이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상면에 커버 글래스가 결합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근접하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근접/조도 센서; 및
    상기 근접/조도 센서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근접/조도 센서로 제공되는 빛의 투과 파장을 조절하며, 빛의 산란을 통해 흰색 계통의 색으로 표현되는 센서 윈도우;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근접/조도 센서의 상부에 위치되며, 나노 크기의 입자를 형성하여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흰색 계통의 색을 구현하는 나노 구조층;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근접/조도 센서의 사이에 적층되며, 적외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적외선 투과 조절층; 및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근접/조도 센서의 사이에 적층되며, 가시광선 영역의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가시광선 투과 조절층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윈도우는,
    상기 나노 구조층과 상기 근접/조도 센서의 사이에 적층되며, 상기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149857A 2012-12-20 2012-12-20 휴대용 단말기 KR10145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857A KR101459348B1 (ko) 2012-12-20 2012-12-20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857A KR101459348B1 (ko) 2012-12-20 2012-12-20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256A KR20140080256A (ko) 2014-06-30
KR101459348B1 true KR101459348B1 (ko) 2014-11-10

Family

ID=5113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857A KR101459348B1 (ko) 2012-12-20 2012-12-20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175A (ko) * 2018-12-20 2020-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03262B2 (en) 2020-03-24 2023-10-3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13B1 (ko) * 2014-07-01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2416017B1 (ko) 2015-06-15 2022-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42596B1 (ko) 2015-06-26 2021-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5050B1 (ko) 2016-03-09 2022-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N114464083A (zh) * 2020-11-09 2022-05-10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278A (ko) * 2008-09-19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069436A (ko) * 2008-12-16 2010-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00109645A (ko) * 2009-04-01 2010-10-11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278A (ko) * 2008-09-19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069436A (ko) * 2008-12-16 2010-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00109645A (ko) * 2009-04-01 2010-10-11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윈도우글라스와 패널의 접착방법 및 윈도우글라스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175A (ko) * 2018-12-20 2020-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8843B1 (ko) 2018-12-2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03262B2 (en) 2020-03-24 2023-10-3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256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348B1 (ko) 휴대용 단말기
US9864116B2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infrared-transparent window coatings
US10229316B2 (en) Compound collimating system using apertures and collimators
US10094708B2 (en) Light sensor windows for electronic devices
US108459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jecting light into cover glass
TWI637328B (zh) 一種傳感器組件和終端
US10409337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prism sheet between a window member and a proximity sensor
CN106444998B (zh) 一种面板、传感器组件及移动终端
CN208654763U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6506746B (zh) 一种面板、传感器组件及移动终端
EP1837920A1 (en) Infrared-transmitting cover
CN107438852B (zh) 一种传感器装置及移动终端
WO2014050806A1 (ja) 赤外線受発光用光学物品及び赤外線受発光部
CN101971130A (zh) 光学指向装置及具有该光学指向装置的便携式电子装置
CN206341253U (zh) 一种接近传感器组件、盖板组件及终端
CN206490700U (zh) 传感器组件及终端
KR102604280B1 (ko) 반사방지 및 내스크래치 코팅층을 포함하는 곡면 유리 및 전자 장치
JP6361106B2 (ja) 透明導電膜付き基板、タッチパネル基板、タッチパネル一体型の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US10694607B1 (en) Electronic devices with light sensor waveguides
CN106774656B (zh) 传感器组件、盖板、移动终端及终端控制方法
KR20120140016A (ko) 적층형 구조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TW201409124A (zh) 整合式背光模組與使用其之顯示裝置
WO2017181385A1 (zh) 一种手持电子设备
CN206490701U (zh) 一种接近传感器、盖板组件及终端
CN107608122B (zh) 显示屏、功能组件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