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591A -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591A
KR20130048591A KR1020110113522A KR20110113522A KR20130048591A KR 20130048591 A KR20130048591 A KR 20130048591A KR 1020110113522 A KR1020110113522 A KR 1020110113522A KR 20110113522 A KR20110113522 A KR 20110113522A KR 20130048591 A KR20130048591 A KR 20130048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mobile terminal
transparent member
protective cov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송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유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유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아이엠유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102011011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8591A/ko
Publication of KR2013004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용이하게 탈착되면서 기포 발생 및 공기층에 의한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는,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강화투명부재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접착되는 투명재질의 비산방지필름과;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인쇄되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인쇄층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상기 인쇄층이 인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층의 형성에 의한 두께의 단차없이 전체에 평판하게 도포되어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에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제층의 최대두께는 상기 인쇄층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 PROTECTING COVER FOR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용이하게 탈착되면서 기포 발생 및 공기층에 의한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비약적인 정보화시대에 발맞추어 각종 휴대용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mobile phone), MP3플레이어(MPEG Audio Layer-3 play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노트북(notebook computer) 및 이들의 기능이 혼합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가 급속도로 보급 및 활용되고 있다.
이에 부응해서 스크래치(scratch) 등과 같은 외부의 크고 작은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protective fil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보호필름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시트(base sheet)에 점착층(adhesive layer)을 적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외면에 부착하는 스티커(sticker) 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서는 베이스시트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컬러를 착색하여 장식미를 향상시킨 보호필름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투명 합성수지재로 된 보호필름은 재질이 연질이라는 취약점에 의해 스크래치(scratch) 등과 같은 외부의 크고 작은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낮은 광투과율로 인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1069642호에 나타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이다.
도 1에 도시된 보호커버(1)는, 항균코팅층(21)을 구비한 강화유리필름(2)과, 접착층(3)과, 하드코팅층(41)을 구비한 합성수지재 투명필름(4)과, 인쇄층(5)과, 양면테이프층(6) 및 이형지층(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보호커버는, 이형지층을 제거한 후 상기 양면테이프층을 통해 보호커버가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결합된다.
이때, 종래의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인쇄층이 상기 투명필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휴대단말기 표시창의 투과성을 확보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대응되는 부위인 상기 인쇄층의 중심부 및 상기 양면테이프층의 중심부는 관통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면테이프층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부착하였을 때, 상기 투명필름의 중심부가 관통형성된 상기 양면테이프층 및 인쇄층의 두께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표시창과 접하지 못하고 이격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투명필름과 상기 휴대단말기 표시창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보호커버를 가압하면서 터치했을 때 밀폐된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층의 가압에 의해 상기 양면테이프의 테두리가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보호커버는 상기 양면테이프층이 일반적인 점착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양면테이프를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부착시킬 때,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보호커버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여 가압에 따른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보호커버의 하면과 휴대단말기의 표시창 사이에 기포 발생없이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는,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강화투명부재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접착되는 투명재질의 비산방지필름과;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인쇄되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인쇄층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상기 인쇄층이 인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층의 형성에 의한 두께의 단차없이 전체에 평판하게 도포되어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에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제층의 최대두께는 상기 인쇄층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UV코팅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UV코팅제는 자외선경화에 의해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에 결합시킨다.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평판하게 도포되는 UV코팅제와; 상기 UV코팅제를 상기 강화투명부재 또는 비산방지필름 중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결합시키는 광학투명접착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UV코팅제는 에폭시 아크릴산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하면 전체에 도포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실리콘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제층은 실리콘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인쇄층의 형성에 의해 단차가 발생한 것을 접착제층에 의해 없애기 때문에, 보호커버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여 가압에 따른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이 투명한 실리콘계 재질인 실리콘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져 비산방지필름의 하면 전체에 도포됨으로써, 보호커버의 하면과 휴대단말기의 표시창 사이에 기포 발생없이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는, 강화투명부재, 비산방지필름, 인쇄층, 접착제층, 점착제층 및 이형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화투명부재는 투명한 재질의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산방지필름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인쇄되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서 테두리에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중심부는 비어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강하게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상기 인쇄층이 인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층의 형성에 의한 두께의 단차없이 전체에 평판하게 도포되어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에 접착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접착제층의 최대두께는 상기 인쇄층의 두께보다 크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인쇄층의 자체 두께에 의해 상기 인쇄층의 상면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는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차공간에 상기 접착제층을 이루는 접착제가 충진되어 상기 접착제층의 상면 전체가 평판하게 도포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이 전체적으로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과 단차없이 접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제층이 중심부가 비게 형성된 상기 인쇄층의 중심부에도 충진되어, 상기 접착제층의 하부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 및 상기 인쇄층의 상면과 접하며, 상기 접착제층의 상부는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전체가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접착제층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코팅제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UV코팅제는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평판하게 도포되고, 자외선경화방식에 의해 경화되어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층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코팅제와 광학투명접착제(OCA)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UV코팅제는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평판하게 도포된다.
상기 광학투명접착제는 상기 UV코팅제를 상기 강화투명부재 또는 비산방지필름 중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쇄층이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UV코팅제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평판하게 도포되고, 상기 광학토명접착제는 상기 UV코팅제를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결합시킨다.
상기 접착제층에 사용되는 상기 UV코팅제는 에폭시 아크릴산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본 발명의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탈착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형지는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상면 및 상기 점착제층의 하면에 부착되어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부착하기 전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하면 전체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실리콘계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점착제층이 투명한 실리콘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보호커버를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부착시켰을 때 상기 점착제층과 표시창 사이에 기포 발생이 없이 전체적으로 점착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형지를 분리한 후, 상기 점착제층의 하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실리콘 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커버의 하면 전체에 도포되어 있는바,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창과의 사이에 기포 발생없이 순차적으로 전체가 밀착되게 된다.
그 후 상부에 위치한 이형지를 분리하여, 휴대단말기의 상면에 본 발명의 보호커버를 기포 발생없이 밀착되게 결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커버가 결합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상기 강화투명부재를 터치하면 상기 접착제층을 이루는 UV코팅제가 상기 인쇄층의 형성에 따른 두께 단차를 제거했기 때문에, 공기층에 따른 들뜸현상없이 터치동작에 따른 다음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 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비산방지필름 전체를 도포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부착될 때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 자체의 내부에 공기층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할 때 가압에 따른 공기의 이동에 의해 보호커버가 들떠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보호커버, 110 : 강화투명부재, 120 : 비산방지필름, 130 : 인쇄층, 140 : 접착제층, 150 : 점착제층, 160 : 이형지, 200 : 휴대단말기, 210 : 휴대단말기의 표시창,

Claims (7)

  1.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강화투명부재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접착되는 투명재질의 비산방지필름과;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인쇄되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인쇄층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층과;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휴대단말기의 표시창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상기 인쇄층이 인쇄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층의 형성에 의한 두께의 단차없이 전체에 평판하게 도포되어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에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제층의 최대두께는 상기 인쇄층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UV코팅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UV코팅제는 자외선경화에 의해 상기 비산방지필름을 상기 강화투명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강화투명부재의 하면 또는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상면에 평판하게 도포되는 UV코팅제와;
    상기 UV코팅제를 상기 강화투명부재 또는 비산방지필름 중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결합시키는 광학투명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UV코팅제는 에폭시 아크릴산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비산방지필름의 하면 전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한 실리콘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실리콘 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KR1020110113522A 2011-11-02 2011-11-02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KR20130048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22A KR20130048591A (ko) 2011-11-02 2011-11-02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22A KR20130048591A (ko) 2011-11-02 2011-11-02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91A true KR20130048591A (ko) 2013-05-10

Family

ID=4865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522A KR20130048591A (ko) 2011-11-02 2011-11-02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85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57A1 (ko) * 2015-07-30 2017-02-02 주식회사 엠피에이테크놀로지 휴대형 스마트 기기의 보호 케이싱
WO2018212590A1 (ko) * 2017-05-16 2018-11-22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KR20230168705A (ko) 2022-06-08 2023-12-15 (주)세경하이테크 데코 글래스 시트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보호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57A1 (ko) * 2015-07-30 2017-02-02 주식회사 엠피에이테크놀로지 휴대형 스마트 기기의 보호 케이싱
WO2018212590A1 (ko) * 2017-05-16 2018-11-22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KR20230168705A (ko) 2022-06-08 2023-12-15 (주)세경하이테크 데코 글래스 시트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보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591B2 (en) Tempered glass screen protector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23600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용 필터
KR101484452B1 (ko)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2376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보호용 강화유리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35439B1 (ko) 표시 장치
JP2007178758A (ja) 表示装置
KR20140076245A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시트
TW201335617A (zh) 顯示裝置用加飾膜及保護面板
KR101321341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용 필터
KR20100107652A (ko) 휴대용 정보단말기 보호필름
KR2018013847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KR20150042092A (ko) 윈도우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530520B1 (ko) 휴대기기 보호커버 및 그 제작방법
KR20140033898A (ko) 굴곡진 화면용 강화유리보호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9096A (ko)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40116832A (ko) 테두리가 곡면인 터치스크린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액정보호플레이트
KR20180037088A (ko) 탈부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1128031A (zh) 柔性显示盖板及其修复方法、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120051325A (ko) 휴대폰 보호필름
JP2018060081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保護カバー
KR20130048591A (ko) 휴대단말기용 탈착식 보호커버
JP2014213600A (ja) 飛散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パネル
JP3203955U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保護シート
KR101050250B1 (ko)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커버체
JP6801762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