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915A -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915A
KR20180081915A KR1020170002812A KR20170002812A KR20180081915A KR 20180081915 A KR20180081915 A KR 20180081915A KR 1020170002812 A KR1020170002812 A KR 1020170002812A KR 20170002812 A KR20170002812 A KR 20170002812A KR 20180081915 A KR20180081915 A KR 20180081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coration
attaching
decoration layer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웅
Original Assignee
김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웅 filed Critical 김지웅
Priority to KR102017000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915A/ko
Publication of KR2018008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은,일면에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며 단차지게 적층된 데코레이션층과,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일면에 접착력을 가지고, 다른 면은 상기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며, 일부가 제거되어 투시부를 형성하는 기재와,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단차진 부위 중 적어도 일부 및 부착대상물 사이에 위치하여 데코레이션층에 부착대상물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Decoration unit having visible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한 기재 일면에 단차진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고, 단차진 데코레이션층의 적어도 일부에는 부착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가 부착되도록 하여 부착부재와 데코레이션부 사이의 기포 발생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층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채움층을 차후에 제거함으로써 두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도록 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부재와 합지시에 채움층을 가압하여 데코레이션층에 균일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데코레이션층의 단차 자국 등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층 형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투명부재에 부착함으로써 종래에 투명부재에 직접적으로 데코레이션층을 형성시에 빈번하게 발생하던 불량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전화를 하는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 하여 플레이 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더 이상 음성통화 기기의 영역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고,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사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되는 표시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어 곡면을 가지는 표시부도 사용되고 있으며, 두께를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중이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809호에는 도 1과 같이 필름의 사용을 지양하여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되, 채움층(150)을 구비하여 표시창(152)의 투명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에 부착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부착부재가 요구되며 이로 인해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부착부재는 윈도우(110) 중앙 상측에서 일직선으로 깊게 함몰된 부위에 채워지게 되므로 "A"부위의 공기가 미처 빠져나가지 못하고 기포가 발생하여 불량율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9118호에는 도 3과 같이 단차진 윈도우 인쇄층(250) 내부에 보강인쇄층(260)이 채워지게 하여 기포 발생을 차단하고, 이후 접착층(280)을 이용하여 터치센서층(290)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공개특허는 글래스기판(210)에 윈도우인쇄층(250)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글래스기판(210)에 다수회의 인쇄를 실시함에 따라 불량율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굴곡진 글래스기판(210)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보강인쇄층(260)의 하단부는 터치패널의 두께를 증가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시블한 기재 일면에 단차진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고, 단차진 데코레이션층의 적어도 일부에는 부착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가 부착되도록 하여 부착부재와 데코레이션부 사이의 기포 발생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코레이션층의 변형 방지를 위해 형성하였던 채움층을 제거하여 두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도록 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부재와 합지시에 채움층을 가압하여 데코레이션층에 균일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데코레이션층의 단차 자국 등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코레이션층 형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투명부재에 부착함으로써 종래에 투명부재에 직접적으로 데코레이션층을 형성시에 빈번하게 발생하던 불량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은,일면에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며 단차지게 적층된 데코레이션층과,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일면에 접착력을 가지고, 다른 면은 상기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며, 일부가 제거되어 투시부를 형성하는 기재와,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단차진 부위 중 적어도 일부 및 부착대상물 사이에 위치하여 데코레이션층에 부착대상물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는, 가열시 용해되어 접착기능을 갖는 열융착부재가 채택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는, 양면에 접착기능을 가지며 일면에는 보호부재가 구비된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의 다른 면의 접착기능을 낮추거나 상실하도록 UV 경화형 소재, 열경화형 소재, PET, PC, PMMA, TPU 중에 어느 하나가 채택된 형성가능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레이션층은, 상기 기재의 일면에 굴곡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상기 패턴층의 외면에 굴곡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굴곡의 시인성을 높이는 증착층과, 상기 증착층의 외면에 색상, 무늬,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인쇄된 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층은 다수의 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면은 접착기능을 가지며, 타측면에는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는 기재를 준비하는 기재준비단계와, 상기 기재에 단차진 데코레이션층을 형성하는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와,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단차진 부위에 채움층을 채워 외력에 의한 데코레이션층의 변형이 방지되게 하는 채움층형성단계와, 상기 채움층 및 데코레이션층 일부를 제거하여 투시부를 형성하는 투시부형성단계와, 접착기능을 가지는 기재의 일면에 투명부재를 부착하는 투명부재부착단계와, 상기 투시부형성단계에서 제거된 채움층의 나머지 부위를 제거하여 데코레이션층을 노출시키는 채움층제거단계와,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적어도 일면 외면에 부착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재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에서,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단차는 투명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확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시부형성단계는, 상기 데코레이션층과 채움층 및 기재 각각의 일부를 동시에 제거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움층제거단계는, 남아있는 채움층의 외면에 부착된 보호부재에 인장력을 가하여 제거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부재부착단계는, 상기 데코레이션층에서 적어도 2개 층 이상을 부착부재로 차폐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한 기재 일면에 단차진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고, 단차진 데코레이션층의 적어도 일부에는 부착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가 부착되도록 하여 부착부재와 데코레이션부 사이의 기포 발생이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불량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데코레이션층의 변형 방지를 위해 형성하였던 채움층을 제거하여 두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투명부재와 합지시에 채움층을 가압하여 데코레이션층에 균일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데코레이션층의 단차 자국 등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데코레이션층 형성이 완료된 반제품을 투명부재에 부착함으로써 종래에 투명부재에 직접적으로 데코레이션층을 형성시에 빈번하게 발생하던 불량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809호에 개시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809호에 부착대상물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개요도.
도 3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9118호에 개시된 터치패널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일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서 일 구성인 기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에서 일단계인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에서 일단계인 채움층형성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에서 일단계인 투시부형성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며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에서 일단계인 투명부재부착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에서 일단계인 채움층제거단계 중 채움층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에서 일단계인 채움층제거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에서 일단계인 부착부재부착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일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유닛(100)은 자체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상/하측 외면은 부착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투명부재(110)와 부착대상물(120)이 각각 부착된다.
상기 투명부재(110)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보았을 때 부착대상물(120)이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소재로 변경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투명부재(110)는 데코레이션 유닛(100)이 플렉시블하게 구성됨에 따라 평판형태가 아닌 굴곡을 가진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부착대상물(120)은 다양한 대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와 같이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나 ITO 필름 등이 적용 가능하며, 도 5와 같이 스피커나 카메라 등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부착대상물(120)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따라 도 4와 같이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내부가 채워진 형태가 부착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테두리부만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맨 하측에는 기재(130)가 위치한다. 상기 기재(130)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 하면은 접착 기능을 가져 투명부재(110)와 부착되며, 상면에는 하면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접착 기능을 갖거나, 접착 기능을 상실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것은 상기 기재(130)의 상측에 위치하는 데코레이션층(140)을 형성시 기재(130)의 접착 능력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15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에서 일 구성인 기재(13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기재(13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기재(130)는 도 7의 상측 단면도와 같이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일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기재(130)는 하부에 접착 기능을 가지는 접착부재(132)가 위치하고, 상부에는 접착부재(132)의 접착 기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인쇄나 증착 등이 가능하도록 형성가능층(134)이 구비된다.
상기 접착부재(132)의 하면에는 이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필름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착부재(132)는 OCA가 적용 가능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기 형성가능층(134)은 UV 경화형 소재, 열경화형 소재, PET, PC, PMMA, TPU 중에 어느 하나의 소재가 채택되어 형성된다.
상기 기재(130)는 아래 그림과 같이 단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130)는 상온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여 플렉시블하나, 가열시 용해되어 접착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기재(130)의 상면에는 데코레이션층(140)이 구비된다. 상기 데코레이션층(140)은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투명부재(110)를 투시하여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데코레이션층(140)은 상기 기재(130)의 상면에 굴곡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142)과, 상기 패턴층(142)의 외면에 굴곡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굴곡의 시인성을 높이는 증착층(144)과, 상기 증착층(144)의 외면에 색상, 무늬,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인쇄된 인쇄층(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코레이션층(140)은 패턴층(142)과 증착층(144)이 형성되지 않고 인쇄층(146)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쇄층(146)은 다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레이션층(140)은 도면과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데코레이션층(140)은 내부 중앙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확장하여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것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부착부재(170)를 내부에 수용하여 부착시에 급격하게 수직한 형태를 지양하여 공기 배출이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기포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데코레이션층(140)의 내부에는 투시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투시부(150)는 투명부재(110)를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보았을때 데코레이션층(140)을 투과하여 볼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상측에는 전술한 부착대상물(120)이 위치하게 되며, 데코레이션층(140)의 일부(패턴층(142), 증착층(144), 인쇄층(146))를 포함하는 영역 내의 구성(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채움층(도 9의 도면부호 160 참조) 일부와 기재(130)를 동시에 제거하여 형성된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150)는 데코레이션층(140)의 치수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일부가 절단되어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투시부(150)에는 부착부재(170)가 부착되어 부착대상물(120)과 데코레이션층(140)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강제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데코레이션 유닛(100)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15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데코레이션 유닛(100)은 기재준비단계(S100)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기재준비단계(S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래면은 접착기능을 가지고 상면은 데코레이션층(140)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접착 기능이 현저히 낮거나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재준비단계(S100) 이후에는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S200)는 전술한 패턴층(142)과, 증착층(144) 및 인쇄층(146)을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완성된다.
즉,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15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제조방법에서 일단계인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S200)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기재(130)의 상면에 패턴층(142)과 증착층(144) 및 다수의 인쇄층(146)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층(140)을 형성함으로써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S200)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데코레이션층(140)은 도 8의 아래 사진과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S200)는 요구 조건에 따라 단층의 인쇄층(146)만 구비될 수도 있고, 패턴층(142)과 증착층(144)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S200) 중에 기재(130)의 하면이 접착 기능을 갖는 상태라면, 도 8의 아래 그림과 같이 보호부재(V)가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S200) 이후에는 채움층형성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채움층형성단계(S300)는 도 9와 같이 투시부(150)를 형성하기 위해 데코레이션층(140) 내부에 단차지게 비워진 부위에 채움층(160)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나중에 실시하게 될 투명부재부착단계(S500) 중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데코레이션층(140)이 변형되지 않도록 채움층(160)을 채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채움층형성단계(S300) 이후에는 투시부형성단계(S400)가 실시된다. 상기 투시부형성단계(S400)는 인쇄층(146), 채움층(160) 및 기재(130) 각각의 일부를 동시에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시부(150)를 통해 투시되지 않는 영역의 내측 치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인쇄층(146)의 일부가 제거하여 인쇄층(146)이 가장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투시부(15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투시부(150)가 형성되어질 부위에 해당하는 기재(130) 역시 제거된다.
상기 투시부형성단계(S400) 이후에는 투명부재부착단계(S500)가 실시된다. 상기 투명부재부착단계(S500)는 기재(130)의 하면에 투명부재(110)를 부착하는 과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130)의 하면은 접착기능을 갖고 있고, 공정의 편의를 위해 보호부재(V)가 부착된 상태이며, 이러한 보호부재(V)가 제거된 상태의 기재(130) 하면에 투명부재(110)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채움층(160)은 도 11과 같이 데코레이션층(140)의 상측 공간을 채운 상태를 유지하여 데코레이션층(140)의 뒤틀림 등의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부재부착단계(S500) 중에 채움층(160)의 상면에는 또 다른 보호부재(V)가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채움층(160)의 상면에 구비된 보호부재(V)는 채움층(160)과 단단히 접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투명부재(110) 부착을 위해 가압시 데코레이션층(140)의 뒤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투명부재부착단계(S500) 이후에는 채움층제거단계(S600)가 실시된다. 상기 채움층제거단계(S600)는 도 12에서 남아있는 채움층(160)을 보호부재(V)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과정으로, 상기 보호부재(V)는 남아있는 채움층(160)의 외면에 부착된 후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도 12와 같이 채움층(160)과 함께 데코레이션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되며, 도 13과 같이 데코레이션층(140)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 채움층제거단계(S600) 이후에는 부착부재부착단계(S700)가 실시된다. 상기 부착부재부착단계(S700)는 채움층(160)이 완전히 제거된 공간에 부착부재(170)를 채워넣고 부착부재(170)의 상면에는 부착대상물(120)이 부착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부착단계(S7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부착대상물(120)의 부착 방식에 따라 도 14와 같이 투명부재(110)의 상면까지 부착부재(170)가 완전히 채워지도록 진행할 수도 있고, 부착대상물(120)과 투명부재(110)가 이격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부착부재(17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부착부재부착단계(S700)에서 부착부재(170)는 단차지게 형성된 데코레이션층(140)의 적어도 2층 이상은 덮은 상태가 되도록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명부재(110)가 천공되지 않은 실시예를 채택하여 카메라나 디스플레이 등의 부착대상물(120)이 부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데코레이션 유닛(100)이 휴대폰의 뒷면을 형성하는 외장재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투명부재(110)의 일부를 관통시키고 부착대상물(120)로 스피커를 채택하여 투시부(150)를 통해 소리가 나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데코레이션층(140)에 패턴층(142)과 증착층(144)을 포함하지 않고 인쇄층(146)만 형성하고, 투시부형성단계(S400)에서 인쇄층(146)과 기재(130) 각각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데코레이션층(140)에 단차는 남겨두되 두께는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100. 데코레이션 유닛 110. 투명부재
120. 부착대상물 130. 기재
132. 접착부재 134. 형성가능층
140. 데코레이션층 142. 패턴층
144. 증착층 146. 인쇄층
150. 투시부 160. 채움층
170. 부착부재 S100. 기재준비단계
S200.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 S300. 채움층형성단계
S400. 투시부형성단계 S500. 투명부재부착단계
S600. 채움층제거단계 S700. 부착부재부착단계
V . 보호부재

Claims (10)

  1. 일면에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며 단차지게 적층된 데코레이션층과,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일면에 접착력을 가지고, 다른 면은 상기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며, 일부가 제거되어 투시부를 형성하는 기재와,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단차진 부위 중 적어도 일부 및 부착대상물 사이에 위치하여 데코레이션층에 부착대상물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가열시 용해되어 접착기능을 갖는 열융착부재가 채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양면에 접착기능을 가지며 일면에는 보호부재가 구비된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의 다른 면의 접착기능을 낮추거나 상실하도록 UV 경화형 소재, 열경화형 소재, PET, PC, PMMA, TPU 중에 어느 하나가 채택된 형성가능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션층은,
    상기 기재의 일면에 굴곡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상기 패턴층의 외면에 굴곡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굴곡의 시인성을 높이는 증착층과,
    상기 증착층의 외면에 색상, 무늬,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인쇄된 인쇄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다수의 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
  6.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면은 접착기능을 가지며, 타측면에는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는 기재를 준비하는 기재준비단계와,
    상기 기재에 단차진 데코레이션층을 형성하는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와,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단차진 부위에 채움층을 채워 외력에 의한 데코레이션층의 변형이 방지되게 하는 채움층형성단계와,
    상기 채움층 및 데코레이션층 일부를 제거하여 투시부를 형성하는 투시부형성단계와,
    접착기능을 가지는 기재의 일면에 투명부재를 부착하는 투명부재부착단계와,
    상기 투시부형성단계에서 제거된 채움층의 나머지 부위를 제거하여 데코레이션층을 노출시키는 채움층제거단계와,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적어도 일면 외면에 부착대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부재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션층형성단계에서,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단차는 투명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확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형성단계는,
    상기 데코레이션층과 채움층 및 기재 각각의 일부를 동시에 제거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층제거단계는,
    남아있는 채움층의 외면에 부착된 보호부재에 인장력을 가하여 채움층을 제거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부착단계는,
    상기 데코레이션층에서 적어도 2개 층 이상을 부착부재로 차폐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조방법.
KR1020170002812A 2017-01-09 2017-01-09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1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12A KR20180081915A (ko) 2017-01-09 2017-01-09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12A KR20180081915A (ko) 2017-01-09 2017-01-09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15A true KR20180081915A (ko) 2018-07-18

Family

ID=6304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812A KR20180081915A (ko) 2017-01-09 2017-01-09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9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3886A (zh) * 2018-08-15 2018-12-11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及其制备方法
KR20230052742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372B1 (ko) * 2012-04-17 2014-07-24 율촌화학 주식회사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92809B1 (ko) * 2014-03-28 2015-02-12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KR101512185B1 (ko) * 2014-08-19 2015-04-16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KR101545866B1 (ko) * 2014-12-19 2015-08-21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디스플레이보호용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KR101694097B1 (ko) * 2016-04-29 2017-01-06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곡면을 가진 물체에 데코레이션층을 형성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372B1 (ko) * 2012-04-17 2014-07-24 율촌화학 주식회사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92809B1 (ko) * 2014-03-28 2015-02-12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열융착부재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KR101512185B1 (ko) * 2014-08-19 2015-04-16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KR101545866B1 (ko) * 2014-12-19 2015-08-21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디스플레이보호용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KR101694097B1 (ko) * 2016-04-29 2017-01-06 덕산에스지 주식회사 곡면을 가진 물체에 데코레이션층을 형성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3886A (zh) * 2018-08-15 2018-12-11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及其制备方法
CN108983886B (zh) * 2018-08-15 2024-04-05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及其制备方法
KR20230052742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3260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28771B2 (ja) キーシート
CN104220389B (zh) 熔合的玻璃设备外壳
KR102373615B1 (ko)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윈도우 부재의 제조방법
US7759588B2 (en) Thin keypad assembly
US2008019190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Keypad Assembly And Such Assembly
JP2010113373A (ja) 保護パネル付き電子機器、及び、保護パネル
JP6165969B2 (ja) 接着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スクリーン用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KR101422827B1 (ko) 굴곡진 화면용 강화유리보호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TWI588566B (zh) 觸控面板結構及其製造方法
US11223712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ecorativ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TW200840700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s panel and structure thereof
KR20180081915A (ko)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JP6603913B2 (ja) 覗き見防止シート
JP2013221985A (ja) 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21002061A1 (ja) 静電入力装置
KR101017788B1 (ko) 휴대폰 외장용 전사시트
US11738541B2 (en) Decorating sheet and electrostatic input device
KR200384840Y1 (ko)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KR101928345B1 (ko)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KR102102751B1 (ko) 장식필름
KR20130043374A (ko) 터치 타입 휴대폰용 윈도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TWI355671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keyboard assembly an
US10649262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producing electronic apparatus, and substrate laminate
CN216084142U (zh) 盖板、显示模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