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463A - 재킷 히터 및 그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재킷 히터 및 그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463A
KR20130006463A KR1020127025951A KR20127025951A KR20130006463A KR 20130006463 A KR20130006463 A KR 20130006463A KR 1020127025951 A KR1020127025951 A KR 1020127025951A KR 20127025951 A KR20127025951 A KR 20127025951A KR 20130006463 A KR20130006463 A KR 20130006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fiber
jacket heater
metal foil
air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325B1 (ko
Inventor
겐지 이이다
다이사쿠 세키
아키라 사사키
요시유키 모토요시
미츠시 와다사코
게이이치 후쿠다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8Heating hoses; Heating coll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를 내장하는 재킷 히터로서, 와트 밀도 0.15 W/㎠ 이상의 발열체와, 발열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금속박과, 발열체 및 금속박을 포위하는 포위체를 구비하는 재킷 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킷 히터 및 그 장착 방법{JACKET HEATER AND METHOD FOR ATTACHING SAME}
본 발명은, 배관 등의 피가열체에 장착되는 재킷 히터 및 그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장치나 설비, 그것에 접속되는 배관 등의 피가열체를 보온 또는 가열하기 위해서 가요성을 갖는 재킷 히터로 배관을 포위하고 있다. 또한, 장치의 측면 등의 곡면을 보온 또는 가열하는 경우도, 동일한 재킷 히터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재킷 히터는 맨틀 히터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재킷 히터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맨틀 히터(10)가 알려져 있고, 본 출원인도 특허문헌 1에서 불소계 수지 시트로 이루어진 내층재(100)와 외층재(200) 사이에 무기 섬유제 시트(303)에 발열선(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한 발열체(300)와, 단열재(400)를 중첩시켜 적층형으로 구성한 맨틀 히터(10)를 제안하고 있다. 발열선은 전기 히터선으로서, 내층재(100) 및 외층재(200)의 외부로 통하는 전력선(306)이 접속되어 있어, 콘센트(307)를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급전된다. 그리고, 이 맨틀 히터(10)를 직선관(20)에 장착할 때에는 길이 방향의 양 주연부(103, 104)를 맞대어 단부면에 부설한 면 패스너(105, 106)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맨틀 히터(10)는, 가요성을 가지며, 나아가서는 발진(發塵)도 적기 때문에 클린룸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578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맨틀 히터(10)에서는, 내층재(100)가 불소계 수지제이기 때문에, 그 융점은 300℃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이며, 피가열체의 표면 온도의 설정을 250℃를 초과하는 고온으로 설정하면, 내층재가 열적으로 열화되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가열 온도에 대한 요구는 금후에도 높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발열체의 발열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발열체의 발열량이 높아짐에 따라, 내층재(100)를 두껍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유연성을 손상시키거나, 비용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맨틀 히터(재킷 히터)에서는, 배관 등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도록 서모스탯이나, 열전대, 온도 측정 저항체를 이용하여 발열체에 대한 통전을 제어하고 있지만, 예컨대, 발열체의 발열량이 작으면, 소정의 온도까지 승온하지 않거나 승온했다고 해도 시간이 걸리게 되는 것이 우려된다. 가열·승온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발열량이 큰 발열체를 사용하면 좋지만, 상기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발열량이 큰 발열체를 사용하여도 내층재 및 외층재와 같은 포위체(특히, 내층재)의 열적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재킷 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기의 재킷 히터를 제공한다.
(1) 발열체를 내장하는 재킷 히터로서,
와트 밀도 0.15 W/㎠ 이상의 발열체와,
발열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금속박과,
발열체 및 금속박을 포위하는 포위체를 구비하는 재킷 히터.
(2) 포위체가, 불소수지제 시트 또는 불소수지 코팅 처리를 행한 무기 섬유제 클로스인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재킷 히터.
(3) 발열체와 금속박 사이에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재킷 히터.
(4) 발열체에 있어서, 금속박이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단열재가 배치되는 것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재킷 히터.
(5) 발열체가 전열선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재킷 히터.
(6) 포위체의 금속박측의 면이 피가열체에 접하도록 장착되는 것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재킷 히터.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재킷 히터를 피가열체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으로서, 포위체의 금속박측의 면이 피가열체에 접하도록 장착하는 장착 방법.
본 발명의 재킷 히터에서는, 금속박이 개재됨으로써, 예컨대, 0.15 W/㎠ 이상의 발열량이 큰 발열체를 사용하여도 포위체(특히, 내층재)의 열적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에 의해 히터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균일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면형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 가열 효율도 높아진다. 또한, 와트 밀도를 높게 함으로써 히터의 설계에 있어서, 히터선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히터선간의 피치를 넓힐 수 있어, 제조상 성력화(省力化)할 수 있다. 또한, 포위체에 의해 발진도 억제되기 때문에, 클린룸 등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킷 히터의 일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절연 부재로서의 유리 클로스를 개재시킨 상태를 더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킷 히터의 다른 실시형태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있어서, 알루미늄박을 개재시킨 샘플 A와, 알루미늄박을 개재시키지 않은 샘플 B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종래의 재킷 히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킷 히터를 설명한다.
본 양태의 재킷 히터(10)는, 그 전체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포위체로서의 내층재(100)와 외층재(200) 사이에 지지체(무기 섬유제 시트)(303)에 발열선(전열선)(302)을 부착한 발열체(300)와 단열재(400)를 적층시킨 것이지만, 또한, 도 1에 단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체(300)와 내층재(100) 사이에 금속박(500)을 개재하여 구성되어 있다.
포위체인 내층재(100) 및 외층재(200)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CTFE),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등의 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진 불소수지제 시트, 혹은 상기한 불소계 수지의 섬유를 짠 불소수지 섬유제 클로스(직포), 유리 섬유나, 실리카 섬유,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등의 무기 섬유로 이루어진 무기 섬유제 클로스(직포), 이러한 무기 섬유제 클로스에 상기 불소계 수지를 코팅 처리한 불소수지 코팅 무기 섬유제 클로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내층재(100) 및 외층재(200)로서, 상기 불소계 수지 이외에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탈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틸펜텐 등의 내열성이기는 하지만, 불소계 수지보다는 융점이 낮은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포위체의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0.1∼8 ㎜가 적당하고, 0.1∼5 ㎜가 적합하며, 0.1∼2 ㎜가 더욱 적합하다.
발열체(300)는, 와트 밀도가 0.15 W/㎠ 이상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니크롬선이나 스테인리스선 등의 발열선(전열선)(302)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열선(302)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은, 전열선(302)에 유리 섬유나, 실리카 섬유,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등의 무기 섬유로 이루어진 무기 섬유제 슬리브를 피복하거나, 수지를 코팅하거나 하면 좋다. 또한, 전열선 대신에 카본제 발열체나 세라믹스제 발열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와트 밀도란, 전력 밀도라고도 불리며, 재킷 히터의 단위 표면적(㎠)당 전기 용량(W)으로 표현되는 히터의 표면 부하(W/㎠)의 정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와트 밀도의 수치가 크면, 히터의 표면 온도는 높아지게 되고, 반대로, 와트 밀도의 수치가 작으면, 히터의 표면 온도는 낮아진다. 또한, 와트 밀도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0.5 W/㎠ 이하이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0.15∼0.5 W/㎠이면 좋으며, 0.17∼0.5 W/㎠, 0.20∼0.5 W/㎠, 0.25∼0.5 W/㎠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열선(302)은, 지지체(303)에 원하는 패턴으로 재봉실(304)에 의해 꿰매어져도 좋다. 이러한 지지체(303)는 예컨대 유리 섬유나, 실리카 섬유,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등의 무기 섬유로 이루어진 무기 섬유제 클로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와트 밀도가 높은 전열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열선의 직경을 굵게 하고,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인접하는 전열선간의 간격(이하, 피치라고도 함)을, 종래보다도 넓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피치는, 균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종래 10∼35 ㎜ 정도이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40∼70 ㎜, 바람직하게는 45∼60 ㎜로 할 수도 있다.
단열재(400)는, 유리 섬유나 세라믹 섬유, 실리카 섬유 등을 집성하여, 니들 가공을 행한 무기 섬유 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콜로이달실리카나 알루미나졸, 규산소다 등의 무기질 바인더나, 전분 등의 유기질 바인더에 의해 매트형으로 성형하여도 좋다. 혹은, 아라미드나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 유기 수지제 다공질 성형체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열재의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5∼100 ㎜가 적당하고, 5∼50 ㎜가 적합하며, 8∼30 ㎜가 더욱 적합하다.
전술한 재료 이외에 단열재로서 에어로겔이 충전된 섬유체(에어로겔 섬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에어로겔 섬유체는 섬유 기재에 에어로겔이 충전되어 되는 단열재이다.
에어로겔 섬유체를 구성하는 섬유 기재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등의 유기 섬유, 카본 섬유, 유리 섬유,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섬유, 실리카 섬유, 멀라이트 섬유나 알루미나 섬유 등의 무기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기재를 이용할 수 있고, 내열성이 우수한 무기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기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섬유 기재로는 무기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로는 예컨대 무기 섬유를 초조기(抄造機)에 의해 초조하여 얻어지는 종이형의 것이나, 집면(集綿)한 무기 섬유를 니들 가공하여 매트형으로 성형한 블랭킷이나, 무기 섬유에 유기바인더를 첨가하여 매트형으로 성형한 펠트 등의 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섬유 기재로서, 무기 섬유가 랜덤하게 배향된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이 섬유 기재의 무기 섬유 사이에 에어로겔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섬유 기재를 구성하는 무기 섬유로는 예컨대 본 발명의 재킷 히터가 100℃ 미만과 같이 그다지 내열성이 요구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에어로겔 섬유체에 우수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PET 섬유 등의 유기 섬유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재킷 히터가 100℃∼250℃와 같이 어느 정도의 내열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염가의 유리 섬유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재킷 히터가 250℃를 초과하는 높은 내열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높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섬유, 실리카 섬유, 멀라이트 섬유나 알루미나 섬유 등의 세라믹스 섬유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에어로겔로는 예컨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에어로겔(무기 에어로겔) 또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에어로겔(유기 에어로겔)을 이용할 수 있고, 내열성이 우수한 무기 에어로겔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무기 에어로겔로는 예컨대 실리카 에어로겔이나 알루미나 에어로겔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실리카 에어로겔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겔 섬유체의 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겔 섬유체로는 무기 섬유의 부직포에 무기 에어로겔이 충전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세라믹스 섬유의 부직포에 실리카 에어로겔이 충전된 에어로겔 섬유체나, 유리 섬유 매트에 실리카 에어로겔이 충전된 에어로겔 섬유체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겔 섬유체로는 예컨대 아스펜 에어로겔 회사(Aspen Aerogels Inc.)로부터 「SPACELOFT2200」, 「SPACELOFT2250」, 「Pyrogel6650」, 「PyrogelXT」 등의 제품을 입수할 수 있다.
에어로겔 섬유체에 함유되는 에어로겔과 섬유 기재의 비율은 이 에어로겔 섬유체가 구비해야 할 특성(예컨대, 단열성, 내열성, 저발진성, 가요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겔 섬유체의 밀도는 예컨대 20∼500 ㎏/㎥의 범위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300 ㎏/㎥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겔 섬유체는, 섬유간의 공극을 메우는 에어로겔 내의 미세 구멍에 의해, 이 에어로겔 섬유체 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대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에어로겔 섬유체의 25℃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은 예컨대 0.024 W/m·K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20 W/m·K 이하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8 W/m·K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겔 섬유체의 80℃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은 예컨대 0.035 W/m·K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27 W/m·K 이하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5 W/m·K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겔 섬유체는 우수한 단열성을 갖기 때문에, 충분한 단열성을 유지하면서 박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로겔 섬유체의 두께는 예컨대 1∼50 ㎜의 범위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5 ㎜의 범위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단열재의 두께를 저감함으로써, 본 발명의 재킷 히터의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 이외에 재킷 히터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에 기여할 수도 있다.
금속박(500)으로는 열전도율이 높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염가이기 때문에 알루미늄박이 적합하지만, 구리나 스테인리스 등의 다른 금속이어도 좋다. 또한, 금속박(500)의 두께는, 너무 얇으면 파단될 우려가 있고, 너무 두꺼우면 가요성이 손상되어 비용 증가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20 ㎛∼5 ㎜가 적당하고, 30∼100 ㎛가 적합하며, 40∼70 ㎛가 더욱 적합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300)를 구성하는 전열선(302)과 금속박(500) 사이에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 부재(600)를 더 개재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절연 부재(600)의 재료로는 예컨대 유리 섬유나, 실리카 섬유,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등의 무기 섬유제 클로스가 적당하다. 이러한 절연 부재에 의해 전열선과 금속박 사이에는 전기적인 절연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박(500)과 절연 부재(600)를 일체로 접합시킨 것을, 절연 부재(600)가 발열체측이 되도록 발열체와 포위체 사이에 개재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섬유제 클로스의 표면에 알루미늄박을 열융착 가공한 것이나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접착 가공한 것, 알루미늄 전사 가공한 것 등의 알루미늄 가공 클로스를 무기 섬유제 클로스가 노출되는 측을 발열체측이 되도록 배치하면 좋다. 이러한 알루미늄 가공 클로스는 예컨대 니치아스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알루미늄 가공 클로스」를 사용할 수 있다.
발열체(300)를 구성하는, 상기와 같은 발열량이 큰 전열선(301)에서는, 표면 온도는 500℃ 가까이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내층재(100)의 전열선의 바로 아래 부분에 있어서는, 직접 열이 전달되어 버리면, 조기에 열화해 버릴 가능성이 있지만, 금속박(500)이 개재됨으로써, 금속박에 전달된 열이 금속박 내에서 균일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내층재(100)로 전열선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전열이 억제되어, 열적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내층재(100) 및 외층재(200)의 양 주연부(103, 104)는 봉합이나 열 용착 등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발열체(300), 단열재(400) 및 금속박(500)을 적층한 상태에서 내층재(100)와 외층재(200)에 의해 포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재킷 히터와 배관 등의 피가열체를 포함하는 단면 구조에 있어서는, 이 배관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 배관의 외표면, 본 발명의 재킷 히터의 포위체로서의 내층재, 금속박, 발열체, 단열재, 포위체로서의 외층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박과 발열체 사이에 절연 부재를 개재하여도 좋다.
상기한 재킷 히터(10)를 배관(20)에 피복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양 주연부(103, 104)의 간격을 넓혀 배관(20)에 장착시킨 후, 양 주연부(103, 104)를 접촉시켜, 예컨대, 단부면의 면 패스너(105, 106)를 통해 고정시킨다. 패스너(105, 106) 대신에 후크나 버클 등의 기구, 벨트류 등의 공지된 고정 수단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재킷 히터(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0)에 장착하는 원통형으로 하는 것 이외에, 곡선관이나 L자형 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전체를 만곡 혹은 L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피가열체가 네모난 케이스형인 경우에는, 상자형, 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킷 히터는 피가열체의 최고 표면 온도(최고 사용 온도)를 250℃ 초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피가열체의 최고 표면 온도는 200℃∼250℃여도 좋고, 이 경우, 승온 속도가 빠른 재킷 히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시험 샘플 제작)
실리카 섬유제 슬리브에 삽입한 니크롬선을, 지지체로서의 유리 클로스(두께 0.25 ㎜)의 표면에 재봉실로 꿰매어 발열체로 하였다. 이 발열체의 와트 밀도는 0.17 W/㎠였다. 그리고, 유리 클로스측에 두께 50 ㎛의 금속박으로서의 알루미늄박을 적층하고, 니크롬선측에 단열재로서의 유리 섬유제 매트(두께 16 ㎜)를 적층하여 적층체를 작성하였다. 계속해서, 이 적층체를 포위체로서의 불소수지(PTFE) 코팅 처리를 행한 유리 섬유제 클로스(두께 0.25 ㎜)로 포위하고, 단부를 접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샘플 A를 제작하였다. 또한, 유리 섬유제 클로스에 코팅한 PTFE의 융점은 327℃이다.
또한, 비교를 위해, 알루미늄박을 개재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샘플 B를 제작하였다.
(표면 온도 측정)
피가열체로서의 배관의 표면 온도가 250℃가 되도록 설정하고, 샘플 A, B의 니크롬선에 통전하며, 니크롬선 바로 아래의 배관에 접하는 불소수지(PTFE) 코팅 처리를 행한 유리 섬유제 클로스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지만, 알루미늄박을 개재시키지 않은 샘플 B에서는, 표면 온도가 약 300℃까지 승온한 데 비해, 알루미늄박을 개재시킨 샘플 A에서는 최고로 올라도 약 270℃이며, 본 발명에 따라 알루미늄박을 개재시키는 것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수정이나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0년 4월 6일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088006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0 : 재킷 히터(맨틀 히터)
100 : 내층재
200 : 외층재
300 : 발열체
400 : 단열재
500 : 금속박

Claims (7)

  1. 발열체를 내장하는 재킷 히터로서,
    와트 밀도 0.15 W/㎠ 이상의 발열체와,
    발열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금속박과,
    발열체 및 금속박을 포위하는 포위체
    를 구비하는 재킷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포위체가 불소수지제 시트 또는 불소수지 코팅 처리를 행한 무기 섬유제 클로스인 것인 재킷 히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열체와 금속박 사이에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인 재킷 히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에 있어서 금속박이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단열재가 배치되는 것인 재킷 히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체가 전열선을 포함하는 것인 재킷 히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위체의 금속박측의 면이 피가열체에 접하도록 장착되는 것인 재킷 히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킷 히터를 피가열체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으로서, 포위체의 금속박측의 면이 피가열체에 접하도록 장착하는 장착 방법.
KR1020127025951A 2010-04-06 2011-04-06 재킷 히터 및 그 장착 방법 KR101462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8006 2010-04-06
JP2010088006 2010-04-06
PCT/JP2011/058725 WO2011126051A1 (ja) 2010-04-06 2011-04-06 ジャケットヒータ及びその装着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63A true KR20130006463A (ko) 2013-01-16
KR101462325B1 KR101462325B1 (ko) 2014-11-14

Family

ID=4476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951A KR101462325B1 (ko) 2010-04-06 2011-04-06 재킷 히터 및 그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80649B2 (ko)
EP (1) EP2557894B1 (ko)
JP (1) JP5602219B2 (ko)
KR (1) KR101462325B1 (ko)
CN (1) CN102860123B (ko)
TW (1) TWI502148B (ko)
WO (1) WO201112605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360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티에스시 배관용 히터
US10165626B2 (en) 2014-11-25 2018-12-25 Tsc Inc. Pipe heater
US11198935B2 (en) 2015-10-16 2021-12-14 Kokusai Electric Corporation Heating part,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20124869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티에스시 열반사층을 이용한 배관용 히터자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8411A (zh) * 2011-11-25 2012-04-04 芜湖风雪橡胶有限公司 热转印机装置
KR101359743B1 (ko) 2012-09-21 2014-02-21 (주)씨에이유니트 아라미드 재질의 부직포를 이용한 배관용 히팅 커버의 제조 방법.
JP6134916B2 (ja) * 2013-06-10 2017-05-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ートヒータ
DE202013103243U1 (de) * 2013-07-19 2014-10-20 Rehau Ag + Co Medienleitung, insbesondere zum Transport einer Harnstoff-Wasser-Lösung
JP2015069931A (ja) * 2013-09-30 2015-04-13 ニチアス株式会社 ジャケットヒータ
JP6348696B2 (ja) 2013-09-30 2018-06-27 ニチアス株式会社 テープヒータ
CN104486854A (zh) * 2014-12-04 2015-04-01 沈阳工业大学 螺杆泵加热保温装置
GB2545233B (en) * 2015-12-09 2018-06-27 Dyson Technology Ltd Flexible heating plate for hair
WO2018021878A1 (ko) * 2016-07-28 2018-02-01 주식회사 비엠티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CN107018589A (zh) * 2017-03-30 2017-08-04 袁芳革 一种耐高温的发热线
CN107708233A (zh) * 2017-08-21 2018-02-16 李家俊 高效率柔性万能红外贴
KR102041157B1 (ko) * 2019-03-22 2019-11-06 주식회사 티에스시 고온용 배관구조를 위한 히터 자켓
JP2022527464A (ja) * 2019-03-28 2022-06-02 エムケーエス インストゥルメン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薄型ヒータ装置及び製造方法
DE102019127273A1 (de) * 2019-10-10 2021-04-15 Norma Germany Gmbh Beheizbare Fluidleitung mit interner und externer Heizeinrichtung
JP7093809B2 (ja) * 2020-06-11 2022-06-30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バンドヒータ
CN112637980B (zh) * 2020-12-21 2022-04-19 天津华能杨柳青热电有限责任公司 一种远红外线柔性电加热套
FR3139878A1 (fr) * 2022-09-19 2024-03-22 Plastic Omnium New Energies France Réservoir de gaz sous pression pour véhicu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5852A (en) * 1946-03-09 1949-10-25 Gordon B Tebo Strap-on heater
US2889445A (en) * 1955-03-28 1959-06-02 Herman B Wolf Electrically heated mat
US3614967A (en) * 1968-10-08 1971-10-26 Royston Lab Multilayered pipe coatings and coated pipe
GB1579729A (en) * 1976-09-30 1980-11-26 Micropore International Ltd Electrical heating units
JPH0189494U (ko) * 1987-12-07 1989-06-13
EP0343868B1 (en) * 1988-05-27 1994-06-22 Ceramaspeed Limited Radiant electric heaters
JPH05234666A (ja) * 1991-02-01 1993-09-10 Hitachi Cable Ltd 積層フレキシブルヒータ
US6111234A (en) * 1991-05-07 2000-08-29 Batliwalla; Neville S. Electrical device
JPH1116669A (ja) * 1997-06-19 1999-01-22 Kurabe Ind Co Ltd 発熱体
AU761809B2 (en) * 1999-02-26 2003-06-12 Sevex North America, Inc. Food transport container with integral heater
US6294770B1 (en) * 1999-07-13 2001-09-25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Reticulate heater
JP3752583B2 (ja) * 2001-03-30 2006-03-08 ニチアス株式会社 マントル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99135A1 (en) * 2002-11-25 2006-09-07 Ibiden Co., Ltd. Metal heater
JP2004303580A (ja) * 2003-03-31 2004-10-28 Nichias Corp テープヒーター
JP4418201B2 (ja) * 2003-09-30 2010-02-17 ニチアス株式会社 配管の断熱保温構造および断熱保温用具キット
CN100594747C (zh) * 2006-07-03 2010-03-17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防垢电加热管及其制备方法
RU2465624C2 (ru) * 2007-10-19 2012-10-27 Шелл Интернэшнл Рисерч Маатсхаппий Б.В. Регулируем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с переключаемыми ответвлениями
US20090321416A1 (en) * 2008-06-27 2009-12-31 Christos Sarigiannidis Enhanced energy delivery mechanism for bulk specialty gas supply systems
JP5129080B2 (ja) 2008-10-02 2013-01-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入出力制御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360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티에스시 배관용 히터
US10165626B2 (en) 2014-11-25 2018-12-25 Tsc Inc. Pipe heater
US11198935B2 (en) 2015-10-16 2021-12-14 Kokusai Electric Corporation Heating part,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20124869A (ko) * 2021-03-04 2022-09-14 주식회사 티에스시 열반사층을 이용한 배관용 히터자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62338A1 (en) 2013-03-14
CN102860123A (zh) 2013-01-02
EP2557894B1 (en) 2017-08-09
KR101462325B1 (ko) 2014-11-14
TWI502148B (zh) 2015-10-01
US9380649B2 (en) 2016-06-28
JP5602219B2 (ja) 2014-10-08
WO2011126051A1 (ja) 2011-10-13
CN102860123B (zh) 2015-02-18
EP2557894A4 (en) 2016-03-16
EP2557894A1 (en) 2013-02-13
TW201144647A (en) 2011-12-16
JPWO2011126051A1 (ja)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463A (ko) 재킷 히터 및 그 장착 방법
JP5133159B2 (ja) 面状ヒータ
JP5800832B2 (ja) ジャケットヒータ及びジャケットヒータを用いた加熱方法
TWI580302B (zh) Heating sets
JP2015152218A (ja) 流体加熱装置
JP2004303580A (ja) テープヒーター
KR102077903B1 (ko) 히터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가열체의 가열 방법
JP2015122180A (ja) 可撓性ヒータ
JP2014022247A (ja) セラミックヒーター
JP2010097809A (ja) 電熱ヒーター
KR101918825B1 (ko) 테이프 히터
JP2011228004A (ja) 発熱体ユニット及び加熱装置
KR20140090557A (ko) 면상 히터
EP4255106A1 (en) Hea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3002984A (ja) シート状ヒータ
JP2014007111A (ja) ヒータ及び伝熱部材
TW202113289A (zh) 調溫單元
JP2015152219A (ja) 流体加熱装置
JP2005226931A (ja) ヒートパイプ用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