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462U - 관절 인형의 몸통부 - Google Patents

관절 인형의 몸통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462U
KR20130006462U KR2020120003559U KR20120003559U KR20130006462U KR 20130006462 U KR20130006462 U KR 20130006462U KR 2020120003559 U KR2020120003559 U KR 2020120003559U KR 20120003559 U KR20120003559 U KR 20120003559U KR 20130006462 U KR20130006462 U KR 201300064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head
joint
lower body
d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226Y1 (ko
Inventor
김단
Original Assignee
김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단 filed Critical 김단
Priority to KR2020120003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2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관절 인형의 몸통부가 개시된다. 개시된 관절 인형의 몸통부는, 상부몸통, 하부몸통 및 엉덩이부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몸통, 상기 하부몸통 및 상기 엉덩이부는 조립 가능하게 분리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통의 목부에는 상기 목부와 상기 목부 상부에 조립된 머리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목 조인트가 구비되며, 상기 목 조인트는, 상기 머리부 내에 형성된 빈공간의 바닥부에 지지되게 구비된 머리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목부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되어 상기 목부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몸통부를 회동되게 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절 인형의 몸통부{TRUNK PART OF JOINTED DOLL}
본 고안은 관절 인형의 몸통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스럽고 유연한 움직임 및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관절 인형의 몸통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 인형이란, 인형의 관절 부위를 둥글게 만들어 인체구조와 유사하게 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 인형을 말하며, 현재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인형 매니아들에게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한편, 관절 인형은 되도록 인체와 흡사한 정교한 형태를 가지고, 인체의 움직임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동작을 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의 관절 인형은 두부 부분, 허리 부분, 골반 부분, 무릎 및 팔 부분 등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발전되었다.
이러한 관절 인형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6491호(2005.08.30)에는 인형의 각 관절 부위에 마찰 조인트가 구비된 완구(인형)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개특허의 완구의 관절 구성으로는 완구의 포즈를 다양하게 표현 할 수 없으며, 각 관절부위의 회동이 단순하여, 각 관절 부위를 억지 회동시키는 경우 완구를 파손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관절 인형(완구)의 몸통부의 경우에는 그 구조상 다양한 포즈를 취하기 위한 움직임이 어려웠고, 움직임이 수반되는 경우 견고한 구조를 구현하기는 더욱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연스럽고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 관절 인형의 몸통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절 인형의 몸통부는, 상부몸통, 하부몸통 및 엉덩이부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몸통, 상기 하부몸통 및 상기 엉덩이부는 조립 가능하게 분리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통의 목부에는 상기 목부와 상기 목부 상부에 조립된 머리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목 조인트가 구비되며,
상기 목 조인트는, 상기 머리부 내에 형성된 빈 공간의 바닥부에 지지되게 구비된 머리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목부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되어 상기 목부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몸통부를 회동되게 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통부가 3부분으로 회동 가능하게 분리되어 몸통부의 자연스런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연결부위가 견고하면서 라운드 타입으로 이루어져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부드러운 움직임(또는 회동)이 가능하여 인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 인형의 몸통부가 적용된 관절 인형의 전면 외관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 인형의 몸통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몸통의 상세도.
도 4는 도 3의 목 조인트의 상세도.
도 5는 도 1a의 머리부 및 목부의 상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상부몸통 요부 구성의 조립도.
도 7은 도 2의 하부몸통의 상세도.
도 8은 도 3의 몸통 조인트의 상세도.
도 9는 도 2의 몸통부의 요부 구성의 조립도.
도 10은 도 2의 엉덩이부의 상세도.
도 11은 도 2의 몸통부의 요부 구성의 조립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 인형의 몸통부가 적용된 관절 인형의 전면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관절 인형의 몸통부가 적용된 관절 인형(1)은, 머리부(10), 몸통부(20,30,40), 다리부(50,60) 및 팔부(70,80,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머리부(10), 몸통부(20,30,40), 다리부(50,60) 및 팔부(70,80,9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위에서 조립 가능하게 반으로 분리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몸통부(20,30,40)와 같이, 전면부(20a,30a,40a)와 후면부(20b,30b,40b)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몸통부(20,30,40)는 상부몸통(20), 하부몸통(30) 및 엉덩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50,60)는 상부다리(50) 및 하부다리(60)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팔부(70,80,90)는 어깨부(70), 손목부(80) 및 손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 인형의 몸통부의 분해 사시도로, 도 1a에서 몸통부(20,30,40) 구조만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관절 인형(1)의 몸통부(20,30,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몸통(20), 하부몸통(30) 및 엉덩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통(20), 하부몸통(30) 및 엉덩이부(40)는, 각각 조립 가능하게 전면부(20a,30a,40a)와 후면부(20b,30b,40b)로 각각 분리되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다리부(50,60) 및 팔부(70,80,90)도 몸통부(20,30,40)처럼 전면부 및 후면부로 각각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관절 인형의 몸통부는, 상기 전면부(20a,30a,40a)와 후면부(20b,30b,40b) 거의 대칭되게 구성되어 있어, 후면부(20b,30b,40b)를 상세 도시하여 후면부(20b,30b,40b)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통(20)의 목부(21)에는 목부(21)와 머리부(10)를 연결하는 동시에 머리부(10)와 몸통부(20,30,40)가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하는 목 조인트(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목 조인트(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0) 내에 형성된 빈공간(11)의 바닥부(12)에 지지되게 구비된 머리지지부(111)와, 이 머리지지부(111)에 연장되어 바닥부(12)와 목부(2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12)와, 이 제1연결부(112)에 연장되며 목부(21) 상단부에 지지되며 몸통부((20,30,40)를 회동되게 하는 볼부재(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머리지지부(111)는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머리부(10)의 바닥부(112)도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부재(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목부(21) 상단부에는 볼부재(113)가 안착되도록 안착부(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2)의 중앙에는 상기 볼부재(113)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라운드 형태의 안착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112)가 머리부(10)와 목부(21) 상부에 걸쳐 설치되도록 목부(21)의 상부와 머리부(10)의 바닥부(12)에는 제1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목부(21)의 상부와 머리부(10)의 하단부는 끼움 결합되며, 목부(21)의 상부에 머리부(10)의 하단부가 끼워질 때 목부(21)의 상부가 자연스런 회동이 이루어지되, 일정 위치에 지지되며 회동되도록 목부(21)의 상부 외주면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목부(21)의 상부 외주면의 일측에는 걸림턱(2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부(21)의 최 상단부에는 제1연결부(112)가 제1관통공(13)을 관통한 후 목부(21) 내로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제2관통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20,30,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슴에 해당되는 상부몸통(20)과, 이 상부몸통(20)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몸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몸통(20) 상부의 목부(21)가 상부몸통(2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통(30)은 상부몸통(20)의 하부를 바로 연결되게 구성되되 하부는 허리까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통(20)에 대하여 하부몸통(30)이 회동되기 위해 상부몸통(20)에 2점 고정되고, 하부몸통(30)에 회동 가능하게 몸통 조인트(120)가 장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기 몸통 조인트(120)는,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되게 구비되어 상부몸통(20)에 양단이 고정된 고정부(121)와, 이 고정부(121)에 수직으로 하부몸통(30)까지 연장된 제2연결부(122)와, 이 제2연결부(1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부몸통(20)에 대하여 하부몸통(30)이 일정 각도 회동되게 설치된 회동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121)는 플랫(flat)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12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21)의 양 단부에는 상부몸통(20)에 고정 체결되도록 체결홀(121a)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통(20)에는 체결홀(121a)을 통해 스크루가 체결되도록 체결보스(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결홀(121a)의 안쪽으로 고정부(121)에는 상부몸통(20)에 끼워지도록 끼움홀(121b)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통(20)에는 끼움홀(121b)에 삽입되도록 돌기(24)가 복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123)가 하부몸통(30)에 끼워져 삽입되도록 하부몸통(30)에는 삽입보스(32)가 구비되고, 회동부(123)가 삽입보스(32)에 삽입된 후, 하부몸통(30)이 상부몸통(20)에 대하여 회동된다.
이렇게 상기 회동부(123)가 삽입보스(32)에 삽입된 후 자연스럽게 하부몸통(30)이 회동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보스(32)의 상부 일부에는 몸통 조인트(120) 설치시 제2연결부(122)가 걸리지 않도록 커팅된 커팅부(32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122)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커팅부(32a)도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통(30)의 하단부 중앙에는 원형의 결합부(33)가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 원형의 결합부(33)는 하부몸통(30)과 결합되는 엉덩이부(40)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되, 하부몸통(30)이 회동될 수 있도록 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엉덩이부(40)의 상단부 중앙에는 원형의 결합부(33)와 결합이 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태의 결합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엉덩이부(40)의 하부 좌우는 다리부(50,6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4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각 도면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A'는 몸통부(20,30,40)의 전면부(20a,30a,40a)와 후면부(20b,30b,40b)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보스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관절 인형의 몸통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0)의 빈공간(11) 바닥부(12)와 상부몸통(20)의 목부(21) 상단부 내에 목 조인트(110)를 설치한다. 물론 이와 함께 또는 먼저 머리부(10)와 상부몸통(20)을 연결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몸통(20)의 목부(21)가 자연스러운 회동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목부(21)와 머리부(10)의 결합이 라운드 형태로 결합되는 동시에 걸림턱(21a)에 의해 결합되므로, 머리부(10)와 목부(21)가 과도하게 회동되지 않으며, 자연스런 회동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목조인트(110)의 머리지지부(111)가 바닥부(12)에 밀착 지지되고, 볼부재(113)기 목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상부몸통(20) 또는 머리부(10) 회동시 서로 분리될 염려가 없다.
그리고 상기 목 조인트(110)의 구조에 의해 상부몸통(20)은 상하 회동은 물론 좌우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통(20)의 하단부에 상부몸통(2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부몸통(20)에는 고정부(12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21)와 일체로 된 회동부(123)가 하부몸통(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몸통(20)에 대하여 하부몸통(30)에 좌우로 회동되며,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상부몸통(20)과 하부몸통(30)은 라운드 형태로 결합되므로 넓은 각도로 자연스런 회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상부몸통(20)의 안쪽도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몸통(20)의 안쪽에 결합되는 하부몸통(30)의 상단부도 상부몸통(20)의 안쪽에 대응되게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넓은 각도로 자연스런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통(30)의 하단부 중앙 하부로 돌출된 원형의 결합부(33)가 엉덩이부(40)의 상단부 중앙에 구비된 라운드 형태의 결합홈(42)에 결합되므로써, 하부몸통(30)과 엉덩이부(4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몸통(30)과 엉덩이부(4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결합홈(42)의 가장자리 전둘레에 돌출된 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하부몸통(30)과 엉덩이부(40)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회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인형
10. 머리부
20. 상부몸통
30. 하부몸통
40. 엉덩이부
110. 목 조인트
111. 머리지지부
112. 제1연결부
113. 볼부재
120. 몸통 조인트
121. 고정부
122. 제2연결부
123. 회동부

Claims (9)

  1. 상부몸통, 하부몸통 및 엉덩이부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몸통, 상기 하부몸통 및 상기 엉덩이부는 조립 가능하게 분리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통의 목부에는 상기 목부와 상기 목부 상부에 조립된 머리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목 조인트가 구비되며,
    상기 목 조인트는,
    상기 머리부 내에 형성된 빈공간의 바닥부에 지지되게 구비된 머리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목부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되어 상기 목부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몸통부를 회동되게 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의 바닥과 상기 머리부의 바닥부는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목부 상단부에는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볼부재가 안착되도록 라운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목부 상부에 걸쳐 설치되도록 상기 목부의 상부와 상기 머리부의 바닥부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 상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부는 끼움 결합되며,
    상기 목부 상부에 상기 머리부의 하단부가 끼워질 때, 상기 목부의 상부가 회동이 이루어지되, 일정 위치에 지지되며 회동되도록 상기 목부의 상부 외주면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목부의 상부 외주면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통에 대하여 상기 하부몸통이 회동되기 위해 상기 상부몸통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몸통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몸통 조인트는,
    상기 상부몸통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상기 하부몸통까지 연장된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통에 대하여 상기 하부몸통이 일정 각도 회동되게 설치된 회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플랫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양 단부에는 상부몸통에 고정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통에는 상기 체결홀을 통해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체결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안쪽으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상부몸통에 끼워지도록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통에는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도록 돌기가 복수개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하부몸통에 끼워져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몸통에는 삽입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보스의 상부 일부에는 상기 몸통 조인트 설치시 상기 제2연결부가 걸리지 않도록 커팅된 커팅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연결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는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통의 하단부 중앙에는 원형의 결합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몸통과 결합되는 엉덩이부와 회동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의 몸통부.
KR2020120003559U 2012-04-30 2012-04-30 관절 인형의 몸통부 KR200470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59U KR200470226Y1 (ko) 2012-04-30 2012-04-30 관절 인형의 몸통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59U KR200470226Y1 (ko) 2012-04-30 2012-04-30 관절 인형의 몸통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62U true KR20130006462U (ko) 2013-11-07
KR200470226Y1 KR200470226Y1 (ko) 2013-12-05

Family

ID=5075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559U KR200470226Y1 (ko) 2012-04-30 2012-04-30 관절 인형의 몸통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763A (ko) * 2015-02-10 2016-08-18 이용범 구체 관절 인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950A (en) * 1998-06-01 2000-07-18 C. J. Associates, Ltd. Toy figure with articulating joints
WO2001008775A1 (en) 1999-08-03 2001-02-08 Mattel, Inc. Improved doll fabrication
KR100992530B1 (ko) * 2008-04-25 2010-11-05 이재공 구체 관절 및 이를 이용한 구체 관절 인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763A (ko) * 2015-02-10 2016-08-18 이용범 구체 관절 인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226Y1 (ko)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2995B (zh) 人偶體的關節構造
JP5027903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WO2016056309A1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JP7391144B2 (ja) 人形体の肩関節構造
JP2013540531A (ja) 玩具組立セット
JP5027902B2 (ja) 人形体の腰部関節構造
JP5797244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2019030684A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200470226Y1 (ko) 관절 인형의 몸통부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JP6886684B2 (ja) 人形の首関節構造
JP2006158542A (ja) 人形の脚部構造及び該脚部構造を備える人形
KR101292202B1 (ko) 가동성 인형용 골격구조체
JP3153501U (ja) 人形玩具における股関節及び腰関節を含む腰部の被覆構造
JP6411429B2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101218628B1 (ko) 관절 인형
CN209865291U (zh) 人体娃娃
US1348216A (en) Jointed doll
KR200437902Y1 (ko) 종이 완구용 관절
JP6335484B2 (ja) 人形玩具の胴体上部構造及び人形玩具
JP2003505220A (ja) 実物のような捩れミドリフ部を有する人形
KR20120020727A (ko) 구체관절이 형성된 인형
JP3216193U (ja) ぬいぐるみに内蔵される骨組構造体セット
JPH0316714Y2 (ko)
KR200464497Y1 (ko) 관절 인형의 다리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