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628B1 - 관절 인형 - Google Patents

관절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628B1
KR101218628B1 KR1020120054695A KR20120054695A KR101218628B1 KR 101218628 B1 KR101218628 B1 KR 101218628B1 KR 1020120054695 A KR1020120054695 A KR 1020120054695A KR 20120054695 A KR20120054695 A KR 20120054695A KR 101218628 B1 KR101218628 B1 KR 10121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wrist
neck
leg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단
Original Assignee
김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단 filed Critical 김단
Priority to KR102012005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관절 인형이 개시된다. 개시된 관절 인형은, 머리부, 몸통부, 다리부 및 팔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는 상부몸통, 하부몸통 및 엉덩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부다리 및 하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팔부는 어깨부, 손목부 및 손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머리부, 상기 몸통부, 상기 다리부 및 상기 어깨부와 상기 손목부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이 조립 가능하게 분리되어 구비되며, 또한, 상기 상부몸통의 목부에는 상기 목부와 상기 목부 상부에 조립된 머리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목조인트가 구비되며, 상기 목조인트는, 상기 머리부 내에 형성된 빈공간의 바닥부에 지지되게 구비된 머리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목부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되어 상기 목부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몸통부를 회동되게 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절 인형{JOINTED DOLL}
본 발명은 관절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스럽고 유연한 움직임 및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관절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 인형이란, 인형의 관절 부위를 둥글게 만들어 인체구조와 유사하게 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 인형을 말하는데, 되도록 인체와 흡사하고 정교한 형태를 가지고, 인체의 움직임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동작을 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절 인형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6491호(2005.08.30)에는 인형의 각 관절 부위에 마찰 조인트가 구비된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관절 인형의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6971호(2005. 11. 01)에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한 다른 예의 등록특허에는, 양측에 각각의 인체부위를 이루는 연결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와, 이 고정부 중앙부분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절곡부와, 상기 고정부와 절곡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된 심재로 이루어진 관절부재로 구성되어 인형완구의 머리, 몸체, 팔, 다리의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절곡 가능한 부위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고정부보다 지름이 적은 원통형상의 절곡체와, 이 절곡체 외둘레로 적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 형태판으로 형성한 요철형상의 관절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형상의 관절부재의 경우, 인형완구의 연결부재들을 연결하고 절곡되는 관절부분에 요철형상의 관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형완구의 다양한 포즈를 손쉽게 취할 수 있으나, 인형이 사람과 같은 포즈를 다양하게 표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절 인형의 또 다른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39236호(2006.05.08)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또 다른 예의 공개특허에는, 완구의 목, 팔, 다리 등의 관절부분에 사용되는 관절장치에 있어서, 일측이나 타측에 하나 이상의 자력을 갖는 원통형상의 고정구가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구 일측에 자력에 의해 탈착 또는 고정되어 회동하는 조롱박형상의 회전구로 이루어진 자력을 이용한 완구의 관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완구의 관절장치는, 자력을 이용한 고정구를 연결부에 설치하고, 이 고정구의 자력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한 일측이 원구를 갖는 조롱박형상의 회동구를 결합함으로써, 완구의 팔과 다리 및 몸체를 이용한 다양한 움직임과 포즈를 표현할 수 있는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하는 볼조인트식 결합구조의 단점인 회동반경을 극대화하고 과도한 힘을 받더라도 결합부위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파손을 방지할 분만 아니라, 탈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완구의 관절장치로는, 사람과 같은 인형의 형태를 구현하기 어렵고, 자력으로 연결된 연결부 및 회전구에 의해 고정된 포즈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지만, 사람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관절 부위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각 관절부위를 동작시킬 수 없고, 자력과 그 구조상 때문에 동작 범위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관절 인형은 크게 몸통부, 다리부 및 팔부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중 몸통부의 경우에는 그 구조상 다양한 포즈를 취하기 위한 움직임이 어려웠고, 움직임이 수반되는 경우 견고한 구조를 구현하기는 더욱 어려웠다.
또한 관절 인형의 팔부의 경우에는 어깨 부위에서 단순히 상하로 움직이는 정도였으며, 사람과 같은 자연스런 포즈를 취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관절 인형의 다리부의 경우에도 움직임이 보통 엉덩이 부분에서 일정 각도로 벌려지는 정도의 움직임만 가능하여, 사용자가 과도하게 인형을 동작시키는 경우, 인형이 파손될 수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관절 인형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인형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체로 가벼워 직립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하고, 다양한 포즈가 가능하며, 안정된 직립이 가능하도록 한 관절 인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절 인형은, 머리부, 몸통부, 다리부 및 팔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는 상부몸통, 하부몸통 및 엉덩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부다리 및 하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팔부는 어깨부, 손목부 및 손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머리부, 상기 몸통부, 상기 다리부 및 상기 어깨부와 상기 손목부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이 조립 가능하게 분리되어 구비되며, 또한, 상기 상부몸통의 목부에는 상기 목부와 상기 목부 상부에 조립된 머리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목조인트가 구비되며,
상기 목조인트는, 상기 머리부 내에 형성된 빈공간의 바닥부에 지지되게 구비된 머리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목부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되어 상기 목부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몸통부를 회동되게 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목부 상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부는 끼움 결합되며, 상기 목부 상부에 상기 머리부의 하단부가 끼워질 때, 상기 목부의 상부가 회동이 이루어지되, 일정 위치에 지지되며 회동되도록 상기 목부의 상부 외주면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목부의 상부 외주면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의 상단부에는 팔부가 좌우 및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어깨 조인트가 설치되고, 상기 어깨부의 하단부와 상기 손목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손목부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팔꿈치 조인트가 설치되며, 상기 손목부의 하단부와 상기 손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손부가 전후 회동이 가능한 손목 조인트가 설치되되,
상기 팔꿈치 조인트는, 상기 어깨부 하단부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연장 구비된 제6연결부와; 상기 제6연결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목부에 설치되되, 상기 손목부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회동부;를 포함하여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통부가 3부분으로 회동 가능하게 분리되어 있어, 몸통부가 자연스럽고 유연한 회동(또는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다리부 및 팔부의 경우에도 각 관절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분리되어 있고, 각 분리된 관절 부위마다 적절한 조인트가 설치됨으로써 다리부 및 팔부도 자연스럽고 유연한 회동(또는 움직임 또는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리부의 일측에 웨이트가 설치되어 있어 안정된 직립이 가능하고, 인형에 중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인형의 각 연결 부위가 견고하면서 라운드 타입(또는 구면)으로 이루어져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부드러운 움직임(또는 회동)이 가능하여 예컨대, 엉덩이부의 매우 자연스런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인형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인형을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아도 됨으로써, 인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인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전면 외관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배면 사시도.
도 1c는 도 1a에서 인형의 전면부가 분해되어 인형의 내부 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 몸통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몸통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목 조인트의 상세도.
도 5는 도 1a의 머리부 및 목부의 상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상부몸통 요부 구성의 조립도.
도 7은 도 2의 하부몸통의 상세도.
도 8은 도 3의 몸통 조인트의 상세도.
도 9는 도 2의 몸통부의 요부 구성의 조립도.
도 10은 도 2의 엉덩이부의 상세도.
도 11은 도 2의 몸통부의 요부 구성의 조립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다리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엉덩이부의 상세도.
도 14는 도 12의 상부다리의 상세도.
도 15는 도 12의 다리 조인트의 상세 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상부다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18은 도 12의 하부다리의 상세도.
도 19는 도 12의 무릎 조인트의 상세도.
도 20 및 도 21은 도 12의 무릎 조인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다리부가 적용된 관절 인형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어깨부의 상세도.
도 27은 도 25의 어깨 조인트의 상세도.
도 28은 도 25의 어깨 조인트의 상세 조립도.
도 29는 도 25의 손목부의 상세도.
도 30은 도 25의 팔꿈치 조인트의 상세도.
도 31은 도 25의 팔꿈치 조인트의 상세 조립도.
도 32는 도 25의 손목 조인트 및 손부의 상세 분해도.
도 33은 도 25의 손목 조인트 및 손부의 상세 조립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팔부가 적용된 관절 인형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전면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c에는 도 1a에서 전면부가 분해되어 인형의 내부 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한 내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은, 머리부(10), 몸통부(20,30,40), 다리부(50,60) 및 팔부(70,80,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20,30,40)는 상부몸통(20), 하부몸통(30) 및 엉덩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50,60)는 상부다리(50) 및 하부다리(60)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팔부(70,80,90)는 어깨부(70), 손목부(80) 및 손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c 및 후술하는 도 2, 도 5, 도 12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0), 몸통부(20,30,40), 다리부(50,60) 및 손부(90)를 제외한 팔부(70,8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중앙이 조립 가능하게 반으로 분리된다.
즉,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인형(1)의 머리부(10), 몸통부(20,30,40), 다리부(50,60) 및 팔부(70,8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면부(20a,30a,40a,50a,60a,70a,80a)(머리부의 전면부는 미도시)와 후면부(10b,20b,30b,40b,50b,60b,70b,80b)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의 전면부(20a,30a,40a,50a,60a,70a,80a)와 후면부(10b,20b,30b,40b,50b,60b,70b,80b)의 내부는 거의 대칭되게 구성되어 있어, 후면부(10b,20b,30b,40b,50b,60b,70b,80b)의 내부를 상세 도시하여 후면부(10b,20b,30b,40b,50b,60b,70b,80b)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 중 몸통부(20,30,4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분해 사시도로, 도 1c에서 몸통부(20,30,40) 구성을 분해 도시한 것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몸통부(20,30,4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몸통(20)의 목부(21)에는 목부(21)와 머리부(10)를 연결하는 동시에 머리부(10)와 몸통부(20,30,40)가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하는 목 조인트(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목 조인트(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0) 내에 형성된 빈공간(11)의 바닥부(12)에 지지되게 구비된 머리지지부(111)와, 이 머리지지부(111)에 연장되어 바닥부(12)와 목부(2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12)와, 이 제1연결부(112)에 연장되며 목부(21) 상단부에 지지되며 몸통부(20,30,40)를 회동되게 하는 볼부재(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머리지지부(111)는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머리부(10)의 바닥부(112)도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부재(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목부(21) 상단부에는 볼부재(113)가 안착되도록 안착부(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2)의 중앙에는 상기 볼부재(113)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라운드 형태의 안착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112)가 머리부(10)와 목부(21) 상부에 걸쳐 설치되도록 목부(21)의 상부와 머리부(10)의 바닥부(12)에는 제1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목부(21)의 상부와 머리부(10)의 하단부는 끼움 결합되며, 목부(21)의 상부에 머리부(10)의 하단부가 끼워질 때 목부(21)의 상부가 자연스런 회동이 이루어지되, 일정 위치에 지지되며 회동되도록 목부(21)의 상부 외주면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목부(21)의 상부 외주면의 일측에는 걸림턱(2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부(21)의 최 상단부에는 제1연결부(112)가 제1관통공(13)을 관통한 후 목부(21) 내로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제2관통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20,30,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슴에 해당되는 상부몸통(20)과, 이 상부몸통(20)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몸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몸통(20) 상부의 목부(21)가 상부몸통(2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통(30)은 상부몸통(20)의 하부를 바로 연결되게 구성되되 하부는 허리까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도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통(20)에 대하여 하부몸통(30)이 회동되기 위해 상부몸통(20)에 2점 고정되고, 하부몸통(30)에 회동 가능하게 몸통 조인트(120)가 장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기 몸통 조인트(120)는,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되게 구비되어 상부몸통(20)에 양단이 고정된 고정부(121)와, 이 고정부(121)에 수직으로 하부몸통(30)까지 연장된 제2연결부(122)와, 이 제2연결부(1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부몸통(20)에 대하여 하부몸통(30)이 일정 각도 회동되게 설치된 제1회동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121)는 플랫(flat)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부(12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21)의 양 단부에는 상부몸통(20)에 고정 체결되도록 체결홀(121a)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통(20)에는 체결홀(121a)을 통해 스크루가 체결되도록 체결보스(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결홀(121a)의 안쪽으로 고정부(121)에는 상부몸통(20)에 끼워지도록 끼움홀(121b)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통(20)에는 끼움홀(121b)에 삽입되도록 돌기(24)가 복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부(123)가 하부몸통(30)에 끼워져 삽입되도록 하부몸통(30)에는 제1삽입보스(32)가 구비되고, 제1회동부(123)가 제1삽입보스(32)에 삽입된 후, 하부몸통(30)이 상부몸통(20)에 대하여 회동된다.
이렇게 상기 제1회동부(123)가 제1삽입보스(32)에 삽입된 후 자연스럽게 하부몸통(30)이 회동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보스(32)의 상부 일부에는 몸통 조인트(120) 설치시 제2연결부(122)가 걸리지 않도록 커팅된 커팅부(32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122)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커팅부(32a)도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통(30)의 하단부 중앙에는 원형의 결합부(33)가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 원형의 결합부(33)는 하부몸통(30)과 결합되는 엉덩이부(40)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며, 하부몸통(30)이 회동될 수 있도록 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엉덩이부(40)의 상단부 중앙에는 원형의 결합부(33)와 결합이 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태의 결합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엉덩이부(40)의 하부 좌우는 다리부(50,6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43)가 구비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다리부(40,50,6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다리부의 분해 사시도로, 도 1a에서 다리부만을 분해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도 12의 엉덩이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의 다리부(40,50,60)는, 엉덩이부(40)의 장착부(43)에 장착되는 상부다리(50)와, 이 상부다리(50)의 무릎 부위에서 연결되어 발까지 구비된 하부다리(60)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엉덩이부(40)의 하부 좌우 내측에는 상부다리(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4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엉덩이부(40)의 장착부(43)에 장착된 상부다리(50) 및 하부다리(60)는, 당연히 좌우에 구분되어 구비되되,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다리(50)의 상단부에는 상부다리(50)와 엉덩이부(40)를 연결하며 상부다리(50)가 전후는 물론이고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된 다리 조인트(210)가 구비되고, 상부다리(50)의 하단부와 하부다리(60)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릎 부위가 전후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된 무릎 조인트(230)가 구비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다리 조인트(210)는,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다리(5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원통형의 제1좌우회동부(211)와, 이 제1좌우회동부(211)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결부(212)와, 이 제3연결부(212)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부다리(50) 및 하부다리(60)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원판형의 제1전후회동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다리 조인트(210)에 의해 상부다리(50) 및 하부다리(60)가 좌우 및 전후 회동이 가능한 이유는, 원통형의 제1좌우회동부(211)와 제1전후회동부(213)가 제3연결부(2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교되게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정면에서 보면 상기 제1좌우회동부(211)가 조립되면 원형의 표면이 보이고, 제1전후회동부(213)가 조립되면 두께 부분이 보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리 조인트(210)의 제1좌우회동부(21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다리(50)의 상단부에는 원형의 장착부(52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장착부(52a)의 중앙에는 제1좌우회동부(21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결합보스(52)가 구비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좌우회동부(211)의 중심부에도 결합보스(5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결합돌기(211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전후회동부(213)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엉덩이부(40)에도 삽입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홈(44)은 엉덩이부(40)의 장착부(43)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 복수의 격벽(45) 사이에 형성되고, 이 격벽(45)에는 제3연결부(212)가 삽입되며 장착되도록 장착홈(4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릎 조인트(230)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다리(50) 하단부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부(231)와, 이 지지부(231)에 연장 구비된 제4연결부(232)와, 이 제4연결부(23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다리(60)에 설치되되 하부다리(60)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전후회동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31)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연결부(23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전후회동부(233)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측면 두께 부분이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된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연결부(232)를 기준으로 지지부(231)는 제4연결부(232)의 상단부에 눕힌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2전후회동부(233)는 제4연결부(232)의 하단부에 세워져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릎 조인트(2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도 14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다리(50) 및 하부다리(6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다리(50) 하단부에는 지지부(23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5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4연결부(232)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다리(50) 하단부에는 제1삽입홈(55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다리(60) 상단부에도 제4연결부(232) 및 제2전후회동부(233)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제2삽입홈(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후회동부(233)는 제2삽입홈(62)에 끼워지는 동시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제2삽입홈(62)의 좌우로 제2삽입홈(62)과 연통된 끼움홈(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63)에 끼워지도록 제2전후회동부(233)의 축방향으로 제2전후회동부(233)의 좌우면에는 끼움돌기(233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다리(50)의 일측에는 인형의 다리부(40,50,60)가 적절하게 직립이 유지될 수 있도록 웨이트(weight)(220)가 설치된다. 이 웨이트(220)는 상부다리(50) 및 하부다리(6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부다리(50) 및 하부다리(60)가 원통형이므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다리부가 적용된 관절 인형(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의 팔부(70,80,9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팔부의 분해 사시도로, 도 1a에서 팔부(70,80,90)만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팔부(70,80,90)는, 상단부가 어깨에 해당되어 상부몸통(20)의 상부 각 측부에 결합되는 어깨부(70)와, 이 어깨부(70)의 하단부가 팔꿈치에 해당되며 어깨부(7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손목부(80)와, 이 손목부(8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손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부(70)의 상단부에는 팔부(70,80,90)가 전후 및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어깨 조인트(310)가 설치되고, 어깨부(70)의 하단부와 손목부(80)의 상단부에는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팔꿈치 조인트(320)가 설치되며, 손목부(80)의 하단부와 손부(90)의 상단부에는 손부(90)의 전후 회동이 가능한 손목 조인트(330)가 설치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어깨 조인트(310)는, 어깨부(7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팔부(70,80,90)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원통형의 제2좌우회동부(314)와, 이 제2좌우회동부(314)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5연결부(313)와, 이 제5연결부(313)의 끝 단부에 구비되어 팔부(70,80,90)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원통형의 제3전후회동부(311,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어깨 조인트(310)에 의해 팔부(70,80,90)가 좌우 및 전후 회동이 가능한 이유는, 원통형의 상기 제2좌우회동부(314)와 제3전후회동부(311,312)가 제5연결부(3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교되게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좌우회동부(314)는 조립되면, 원형의 정면이 보이고, 상기 제3전후회동부(311,312)는 조립이 되면 두께 부분이 보이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깨 조인트(310)의 제2좌우회동부(314)가 설치될 수 있도록 어깨부(70)의 상단부에는 원형의 장착부(7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부(72a)의 중앙에는 제2삽입보스(72)가 구비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좌우회동부(314)의 중심부에도 제2삽입보스(7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삽입돌기(314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전후회동부(311,312)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몸통(20)에도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6 및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꿈치 조인트(320)는 어깨부(70) 하단부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321)와, 이 제1지지부(321)에 연장 구비된 제6연결부(322)와, 이 제6연결부(3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손목부(8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손목부(80)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회동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321)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연결부(322)와 제2회동부(323)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팔꿈치 조인트(320)가 어깨부(70)와 손목부(80)에 설치된 후, 정면에서 보면 제1지지부(321)는 두께 부분이 보이게 구비되고, 제2회동부(323)는 원형면이 보이게 구비된다.
이러한 팔꿈치 조인트(320)가 설치되도록 어깨부(70) 하단부에는 제1지지부(3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안착부(7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6연결부(322)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제1안착부(73)에는 삽입구(7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동부(323)가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손목부(80)의 상단부에는 결합부(82a)가 구비되어 있고, 이 결합부(82a)에는 결합홈(8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홈(82)에 제2회동부(3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회동부(323)에는 제2삽입돌기(323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깨부(70)의 하단부에는 손목부(80)의 상단부와 결합시 원활한 결합 및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면(7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목 조인트(330)는, 도 29,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부(80) 하단부와 손부(90) 상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손목부(80) 하단부에 형성된 제2안착부(83)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331)와, 이 제2지지부(331)에 연장되어 연결된 제7연결부(332)와, 이 제7연결부(33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손부(9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손부(90)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3회동부(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7연결부(332) 및 제3회동부(333)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손목부(80) 하단부와 손부(90) 상부에는 장착홈(84,91)이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3회동부(333)는 손부(90) 상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해 결합홀(333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91)에는 결합홀(333a)에 끼워지는 제2결합돌기(92)가 구비되고, 상기 손목부(80)의 하단부에는 손부(90)의 상단부와 결합시 원활한 결합 및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면(8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의 팔부(70,80,9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그리고 각 도면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A'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의 전면부(20a,30a,40a,50a,60a,70a,80a)와 후면부(20b,30b,40b,50b,60b,70b,80b)를 결합하기 위한 보스부재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0)의 빈공간(11) 바닥부(12)와 상부몸통(20)의 목부(21) 상단부 내에 목 조인트(110)를 설치한다. 이와 함께 또는 먼저 머리부(10)와 상부몸통(20)을 연결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몸통(20)의 목부(21)가 자연스러운 회동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목부(21)와 머리부(10)의 결합이 라운드 형태로 결합되는 동시에 걸림턱(21a)에 의해 결합되므로, 머리부(10)와 목부(21)가 과도하게 회동되지 않으며, 자연스런 회동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목조인트(110)의 머리지지부(111)가 바닥부(12)에 밀착 지지되고, 볼부재(113)기 목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상부몸통(20) 또는 머리부(10) 회동시 서로 분리될 염려가 없다.
그리고 상기 목조인트(110)의 구조에 의해 상부몸통(20)은 상하 회동은 물론 좌우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통(20)의 하단부에 상부몸통(2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부몸통(20)에는 고정부(12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121)와 일체로 된 제1회동부(123)가 하부몸통(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몸통(20)에 대하여 하부몸통(30)에 좌우로 회동되며,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상부몸통(20)과 하부몸통(30)은 라운드 형태로 결합되므로 넓은 각도로 자연스런 회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상부몸통(20)의 안쪽도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몸통(20)의 안쪽에 결합되는 하부몸통(30)의 상단부도 상부몸통(20)의 안쪽에 대응되게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넓은 각도로 자연스런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통(30)의 하단부 중앙 하부로 돌출된 원형의 결합부(33)가 엉덩이부(40)의 상단부 중앙에 구비된 라운드 형태의 결합홈(42)에 결합되므로써, 하부몸통(30)과 엉덩이부(4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몸통(30)과 엉덩이부(40)는 넓은 각도의 회전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결합홈(42)의 가장자리 전 둘레에 돌출된 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하부몸통(30)과 엉덩이부(40)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회동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의 다리부(50,60) 중 상부다리(50)의 상단부에는 전후는 물론이고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다리 조인트(2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리 조인트(210)의 제1좌우회동부(211)에 의해 상부다리(50)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고, 이 제1좌우회동부(211)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결부(212)의 끝 단부에 구비된 제1전후회동부(213)에 의해 상부다리(50)와 엉덩이부(40)가 전후로 회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인형이 상부다리(50)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2와 같이 인형이 앉을 수 있는 포즈를 포함한 다양한 포즈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의 다리부에는 상부다리(50)의 하단부와 하부다리(6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것은 물론이고, 무릎 부위가 전후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된 무릎 조인트(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무릎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도 23과 같이 매우 자연스런 동작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다리 조인트(210) 및 무릎 조인트(230)는 한 쪽이 회동하면, 한쪽은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 24와 같이, 매우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람과 같은 형태로 앉거나 무릎을 굽히는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1c,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다리(50)에 웨이트(220)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형의 다리부(40,50,60)의 직립이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부(70) 및 상부몸통(20)의 상단부에 어깨 조인트(310)가 설치됨에 따라 어깨 조인트(310)의 제2좌우회동부(314)에 의해 팔부(70,80,90)가 좌우로 회동되고, 제3전후회동부(311,312)에 의해 팔부(70,80,90)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전후회동부(311,312)의 경우 원판이 2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어 상부몸통(20)의 삽입홈(21)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부(70)의 하단부와 손목부(80)의 상단부에는 사람의 팔꿈치와 같이 회동될 수 있도록 팔꿈치 조인트(3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팔꿈치 조인트(320)의 제1지지부(321)는 어깨부(70) 하단부에 지지되며 설치되어 있고, 팔꿈치 조인트(320)의 제2회동부(323)는 손목부(8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목부(80)가 좌우로 회동되게 된다.
또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부(80)의 하단부와 손부(90)의 상단부에는 손목 조인트(330)가 설치되는데, 이 손목 조인트(330)는 손목부(80) 하단부의 안착부(83)에 제2지지부(331)가 지지되어 있고, 손부(90)의 상단부에 제3회동부(333)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부(90)의 좌우 회동이 자연스럽고 유연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깨부(70) 및 손목부(80)의 하단부에는 구면(75,85)이 형성되어 있어 손목부(80) 및 손부(90)의 회동 및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형(1)의 팔부(70,80,90)의 동작은 거의 사람의 팔과 같은 동작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어깨부(70)와 손목부(80)가 상기와 같은 작동이 가능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과 같이 자연스런 포즈도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인형 10. 머리부
20. 상부몸통 30. 하부몸통
40. 엉덩이부 43. 장착부
50. 상부다리 60. 하부다리
70. 어깨부 80. 손목부
90. 손부 110. 목조인트
111. 머리지지부 112. 제1연결부
113. 볼부재 120. 몸통 조인트
121. 고정부 122. 제2연결부
123. 제1회동부 210. 다리 조인트
211. 좌우회동부 212. 제1연결부
213. 제1전후회동부 230. 무릎 조인트
231. 지지부 232. 제2연결부
233. 제2전후회동부 310. 어깨 조인트
311,312. 전후회동부 313. 제1연결부
314. 좌우회동부 320. 팔꿈치 조인트
330. 손목 조인트

Claims (26)

  1. 머리부, 몸통부, 다리부 및 팔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는 상부몸통, 하부몸통 및 엉덩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부다리 및 하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팔부는 어깨부, 손목부 및 손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머리부, 상기 몸통부, 상기 다리부 및 상기 어깨부와 상기 손목부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이 조립 가능하게 분리되어 구비되며,
    또한, 상기 상부몸통의 목부에는 상기 목부와 상기 목부 상부에 조립된 머리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가 회동되도록 하는 목조인트가 구비되며,
    상기 목조인트는,
    상기 머리부 내에 형성된 빈공간의 바닥부에 지지되게 구비된 머리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에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와 상기 목부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되어 상기 목부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몸통부를 회동되게 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목부 상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부는 끼움 결합되며,
    상기 목부 상부에 상기 머리부의 하단부가 끼워질 때, 상기 목부의 상부가 회동이 이루어지되, 일정 위치에 지지되며 회동되도록 상기 목부의 상부 외주면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목부의 상부 외주면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통에 대하여 상기 하부몸통이 회동되기 위해 상기 상부몸통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몸통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몸통 조인트는,
    상기 상부몸통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상기 하부몸통까지 연장된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통에 대하여 상기 하부몸통이 일정 각도 회동되게 설치된 제1회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플랫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동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양 단부에는 상부몸통에 고정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통에는 상기 체결홀을 통해 스크루가 체결되도록 체결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안쪽으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상부몸통에 끼워지도록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통에는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도록 돌기가 복수개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제1회동부가 상기 하부몸통에 끼워져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몸통에는 제1삽입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보스의 상부 일부에는 상기 몸통 조인트 설치시 상기 제2연결부가 걸리지 않도록 커팅된 커팅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연결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는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통의 하단부 중앙에는 원형의 결합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몸통과 결합되는 엉덩이부와 회동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의 상단부에는 팔부가 좌우 및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어깨 조인트가 설치되고,
    상기 어깨부의 하단부와 상기 손목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손목부가 전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팔꿈치 조인트가 설치되며,
    상기 손목부의 하단부와 상기 손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손부가 전후 회동이 가능한 손목 조인트가 설치되되,
    상기 팔꿈치 조인트는,
    상기 어깨부 하단부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연장 구비된 제6연결부와;
    상기 제6연결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목부에 설치되되, 상기 손목부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회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연결부와 상기 제2회동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 하단부에는 상기 제1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6연결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안착부에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어깨부 하단부와 상기 손목부 상단부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2회동부가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제2회동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동부에는 제2삽입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조인트는,
    상기 손목부 하단부에 형성된 제2안착부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연장되어 연결된 제7연결부와;
    상기 제7연결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손부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3회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7연결부 및 상기 제3회동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손목부 하단부와 상기 손부 상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3회동부는 상기 손부 상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해 결합홀이 중앙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는 제2결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인형.
KR1020120054695A 2012-05-23 2012-05-23 관절 인형 KR10121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695A KR101218628B1 (ko) 2012-05-23 2012-05-23 관절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695A KR101218628B1 (ko) 2012-05-23 2012-05-23 관절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628B1 true KR101218628B1 (ko) 2013-01-04

Family

ID=4784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695A KR101218628B1 (ko) 2012-05-23 2012-05-23 관절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6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961A (ja) * 1995-09-20 1997-03-31 Marukoshi:Kk 人 形
US20020127949A1 (en) * 1998-06-01 2002-09-12 Lee James S.W. Toy figure with articulating joints
JP2003505219A (ja) * 1999-08-03 2003-02-12 マテ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良された人形組立体
JP2006122248A (ja) 2004-10-27 2006-05-18 Volks Inc 人形玩具の骨格構造及び当該連結構造を備えた骨格部材並びに当該骨格部材を外皮部材によって被覆した人形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961A (ja) * 1995-09-20 1997-03-31 Marukoshi:Kk 人 形
US20020127949A1 (en) * 1998-06-01 2002-09-12 Lee James S.W. Toy figure with articulating joints
JP2003505219A (ja) * 1999-08-03 2003-02-12 マテ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良された人形組立体
JP2006122248A (ja) 2004-10-27 2006-05-18 Volks Inc 人形玩具の骨格構造及び当該連結構造を備えた骨格部材並びに当該骨格部材を外皮部材によって被覆した人形玩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762B2 (en) Animation puppet
JP3136840U (ja) 可動玩具
JP5027903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2013540531A (ja) 玩具組立セット
JP5027902B2 (ja) 人形体の腰部関節構造
WO2016056309A1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JP2007050064A (ja) 可動玩具のジョイント、及び可動玩具
JP5797244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JP2019030684A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100992530B1 (ko) 구체 관절 및 이를 이용한 구체 관절 인형
KR101218628B1 (ko) 관절 인형
KR101292202B1 (ko) 가동성 인형용 골격구조체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KR200470226Y1 (ko) 관절 인형의 몸통부
WO2022130907A1 (ja) 人形体、股関節部、及び回動機構
KR200464497Y1 (ko) 관절 인형의 다리부
JP6411429B2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20120020727A (ko) 구체관절이 형성된 인형
JP7105105B2 (ja) 人形の関節構造及び人形
KR200470227Y1 (ko) 관절 인형의 팔부
JP2003505220A (ja) 実物のような捩れミドリフ部を有する人形
KR200437902Y1 (ko) 종이 완구용 관절
KR100526971B1 (ko)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KR200480996Y1 (ko) 구체관절인형
KR20200030247A (ko) 자석을 구비한 조인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