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196A -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 Google Patents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196A
KR20130005196A KR1020110066633A KR20110066633A KR20130005196A KR 20130005196 A KR20130005196 A KR 20130005196A KR 1020110066633 A KR1020110066633 A KR 1020110066633A KR 20110066633 A KR20110066633 A KR 20110066633A KR 20130005196 A KR20130005196 A KR 2013000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probe
connection
display panel
image display
integra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606B1 (ko
Inventor
손성우
이은중
이승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6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패널의 검사시 영상 표시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오토 프로브 블럭의 구조 변경을 통해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에 관한 것으로,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회로 필름; 상기 회로 필름과의 연장 선상에서 상기 영상 표시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패드부; 상기 접속 패드부를 평판화시키는 평탄 플레이트; 외형을 이루는 블럭 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평탄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접속 패드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회로 필름을 통해 상기 구동집적회로로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전송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AUTO-PROBE BLOCK OF SHORTING BAR TYPE AUTO-PROBE APPARATUS}
본 발명은 쇼팅바 타입의 오토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표시패널의 검사시 영상 표시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오토 프로브 블럭의 구조 변경을 통해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및 각종 정보기기의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영상 표시장치로 경량 박형의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영상 표시패널 즉, 액정 패널이나 유기 발광 표시패널 등은 별도의 구동 회로부나 전원 공급부 등과 조립되는 모듈 조립공정에 들어가기에 앞서 점등 검사과정을 통해 불량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러한 불량 검사는 오토 프로브 장치(Auto-Probe Apparatus) 등의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각 표시패널의 구동 및 화질 불량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오토 프로브 장치는 완성된 영상 표시패널에 미리 셋팅된 구동회로나 백 라이트 유닛 등을 임시로 연결시키고 영상 표시패널이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각 표시패널들의 불량 유무를 판별한다. 이러한 오토 프로브 장치는 영상 표시패널의 검사시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연결되는 연결 구조에 따라 크게 쇼팅바 타입의 오토 프로브 장치와 커넥터 타입의 오토 프로브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이는 검사 대상인 영상 표시패널의 종류나 각 영상 표시패널에 적용된 패드 타입에 따라 달리 이용된다.
커넥터 타입의 오토 프로브 장치는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집적회로를 구비하여 FPC 케이블(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과 커넥터를 통해 영상 표시패널에 연결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쇼팅바 타입의 오토 프로브 장치는 FPC 케이블과 프로브 블록(Probe Block)을 통해 별도의 구동신호 출력유닛과 영상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쇼팅바 타입의 오토 프로브 장치는 영상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접속되는 프로브 블럭이 니들 타입(Needle Type)으로 형성되어 소모성 부품으로 분류되었으며, 니들 타입으로 인해 해당 니들이나 영상 표시패널의 패드부의 손상률이 잦은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해, 니들 타입의 프로브 블럭을 매 영상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접속시키는 경우, 패드부에 접속되는 미세한 형태의 니들들이 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이 잦았고, 이로 인해 영상 표시패널의 패드부까지 손상되기도 하였다. 특히 니들의 손상시 프로브 블럭 또한 패기되어야 하는 소모품으로 분류되어 영상 표시패널 검사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였고, 검사 효율 또한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영상 표시패널의 검사시 영상 표시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오토 프로브 블럭의 구조 변경을 통해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은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회로 필름; 상기 회로 필름과의 연장 선상에서 상기 영상 표시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패드부; 상기 접속 패드부를 평판화시키는 평탄 플레이트; 외형을 이루는 블럭 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평탄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접속 패드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회로 필름을 통해 상기 구동집적회로로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전송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필름은 그 일 측에는 접속 패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타 측에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에 의해 신호 전송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필름와 일체로 형성된 접속 패드부에는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가 상기 영상 표시패널에 형성된 패드부의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영상 표시패널의 검사시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통해 구동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 필름과 상기 신호 전송 케이블에는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신호 입출력 범프 또는 신호 입출력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입력 범프 또는 신호 입력 단자들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출력 범프 또는 신호 출력 단자들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상기 접속 패드부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로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은 상기 신호 전송 케이블로부터의 입력 신호 패턴 대비 상기 접속 패드부로의 출력 신호 패턴의 수가 배 이상의 어느 한 수만큼 증가 되도록 분기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집적회로는 상기 회로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에 대응하는 쇼팅 라인이 그 내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입출력 범프 또는 입출력 단자가 상기 회로 필름의 신호 전송패턴들에 대응하여 접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탄 플레이트는 상기 접속 패드부 상에 구비되고, 상기 평탄 플레이트 상에는 오토 프로브 블럭의 외형을 이루는 상기의 블럭 바디부에 구성된 가압부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접속 패드부에 일정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은 구동 집적회로를 실장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됨과 아울러, 종래의 니들 타입이 아닌 필름 타입의 접속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영상 표시패널의 검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토 프로브 블럭이 소모품이 아닌 반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 표시패널의 검사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와 오토 프로브 블럭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패널과 오토 프로브 블럭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오토 프로브 블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오토 프로브 블럭이 조립된 형태의 사시도.
도 5는 2의 오토 프로브 블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다른 분해 사시도.
도 6은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회로 필름과 신호 전송 케이블이 구비된 오토 프로브 블럭의 배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회로 필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되지 않은 형태의 회로 필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구동 집적회로에 형성되는 패턴 형태를 예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2의 영상 표시패널과 오토 프로브 블럭의 접속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 및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와 오토 프로브 블럭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에는 영상 표시패널(20)의 패드부(30,31)들에 각각 대응되는 오토 프로브 블럭(PB)들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쇼팅바 타입의 오토 프로브 장치는 평판 형의 영상 표시패널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의 점등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액정 표시패널을 검사하는 경우만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에 영상 표시패널(20)이 로딩되면 영상 표시패널(20)의 각 패드부(30,31) 즉,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들과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부(30) 및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들과 연결되는 게이트 패드부(31)에는 각각 대응되는 오토 프로브 블럭(PB)들이 각각 접속된다. 이러한 각각의 오토 프로브 블럭(PB)들은 각 패드부(30,31)들에 게이트 구동신호나 데이터 구동신호 및 구동 전원 등을 공급함으로써 영상 표시패널(20)을 구동한다.
오토 프로브 블럭(PB)들은 영상 표시패널(20)의 각 패드부(30,31)에 각각 대응되는데, 각각의 오토 프로브 블럭(PB)에는 자체적으로 구동 집적회로가 각각 구비되어 해당 영상 표시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는 외부로부터 영상 표시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해 공급되는 제어신호들을 각각의 오토 프로브 블럭(PB)을 통해 영상 표시패널(20)로 공급하기만 했다. 이 경우, 구비된 각각의 오토 프로브 블럭(PB)들은 소모품이 되어 영상 표시패널(20)과의 접속부나 신호 전송 케이블 등에서 불량이 발생하면 폐기 처리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각각의 오토 프로브 블럭(PB)이 자체적으로 구동 집적회로를 구비하여 해당 영상 표시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경우, 영상 표시패널(20)과의 접속부 불량만 방지한다면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오토 프로브 블럭(PB)에 구비되는 구동 집적회로를 해당 영상 표시패널(20)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면 영상 표시패널(20)에 각각 대응되도록 오토 프로브 블럭(PB)들을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패널과 오토 프로브 블럭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오토 프로브 블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오토 프로브 블럭이 조립된 형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2의 오토 프로브 블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프로브 블럭은 영상 표시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회로 필름(6); 회로 필름(6)과의 연장 선상에서 영상 표시패널(20)과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패드부(8); 접속 패드부(8)를 평판화하기 위한 평탄 플레이트(4); 외형을 이루는 블럭 바디부(2)에 구비되어 평탄 플레이트(4)를 통해 접속 패드부(8)를 가압하는 가압부(5); 및 회로 필름(6)을 통해 구동집적회로로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전송 케이블(12)을 구비한다.
회로필름(6)에는 게이트 또는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되는데, 이러한 회로 필름(6)으로는 TCP(Tape Carrier Package) 필름 또는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이러한 회로 필름(6)의 배면에는 구동 집적회로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이 형성된다.
구동 집적회로가 각각 실장된 회로필름(6)은 그 일 측에는 접속 패드부(8)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타 측에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등에 의해 신호 전송 케이블(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 집적회로는 신호 전송 케이블(12)과 회로필름(6)에 형성된 신호 전송 패턴을 통해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제어신호들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구동 집적회로는 영상 표시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여 회로필름(6)에 형성된 신호 전송 패턴을 통해 접속 패드부(8)로 공급한다.
접속 패드부(8)는 영상 표시패널(20)에 형성된 어느 한 패드부(30,31)에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회로필름(6)과 일체로 형성된 접속 패드부(8)에는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가 영상 표시패널(20)에 형성된 패드부(30,31)의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영상 표시패널(2)의 검사시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통해 구동 신호들을 전송한다.
회로필름(6)의 타측으로 연결된 신호 전송 케이블(12)은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가요성 평판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이 될 수 있으며, 이방성 도전 필름(Antisotropic Conductive Film)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신호 전송 케이블(12)은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들을 구동 집적회로로 공급한다.
평탄 플레이트(4)는 회로 필름(6)의 일부 특히, 접속 패드부(8) 상에 구비되어 접속 패드부(8)가 평탄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평탄 플레이트(4) 상에는 오토 프로브 블럭의 외형을 이루는 블럭 바디부(2)에 구성된 가압부(5)가 위치하게 되어 접속 패드부(8)에 일정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한다. 여기서, 가압부(5)는 탄성 재질의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블럭 바디부(2)에 고정되며, 블럭 바디부(2)의 고정 형태 및 자체적인 탄성력으로 접속 패드부(8)에 일정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게 된다.
한편, 회로 필름(6)과 신호 전송 케이블(12)의 배면에는 회로 필름(6)과 신호 전송 케이블(12)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 바디부(1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배면 바디부(10)는 회로 필름(6)과 신호 전송 케이블(12)을 지지하면서 그 상부 외곽면이 블럭 바디부(2)의 배면 일부와 접촉되면서 별도의 체결 수단에 의해 블럭 바디부(2)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회로 필름과 신호 전송 케이블이 구비된 오토 프로브 블럭의 배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회로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되지 않은 형태의 회로 필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집적회로(D-IC)가 실장되는 회로 필름(6)과 신호 전송 케이블(12)에는 구동 집적회로(D-IC)의 신호 입출력 범프 또는 신호 입출력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구동 집적회로(D-IC)의 입력 범프 또는 신호 입력 단자들로 공급함과 아울러, 구동 집적회로(D-IC)의 출력 범프 또는 신호 출력 단자들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상기 접속 패드부(8)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로 공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회로 필름(6)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은 신호 전송 케이블(12)로부터의 입력 신호 패턴 대비 접속 패드부(8)로의 출력 신호 패턴의 수가 배 이상의 어느 한 수만큼 증가되도록 분기된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신호 전송 케이블(12)로부터의 입력 신호 패턴이 6라인 내지 36라인으로 형성된 경우, 그 출력 패턴은 960라인 내지 1836라인으로 형성되는 쇼팅 바 패드(Shorting Bar Pad) 형태로 형성되기도 한다. 이 경우, 각 오토 프로브 블럭(PB)에 구비되는 구동 집적회로(D-IC)를 해당 영상 표시패널(20)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되어 검사시 해당 영상 표시패널(20)에 각각 대응되도록 오토 프로브 블럭(PB)들을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 집적회로(D-IC)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필름(6)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에 대응하는 쇼팅 라인(Shorting Line)이 그 내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집적회로(D-IC)의 입출력 범프 또는 입출력 단자가 상기 회로 필름(6)의 신호 전송패턴들에 대응하여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도 2의 영상 표시패널과 오토 프로브 블럭의 접속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접속 패드부(8)는 영상 표시패널(20)에 형성된 어느 한 패드부(30,31)에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회로필름(6)과 일체로 형성된 접속 패드부(8)에는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가 영상 표시패널(20)에 형성된 패드부(30,31)의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영상 표시패널(2)의 검사시에는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통해 구동 신호들을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패드부(8)는 영상 표시패널(20)에 형성된 패드부(30,31)와 접속시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적기 때문에 회로필름(6)이나 데이터 집적회로(D-IC)가 교체되지 않은 이상 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토 프로브 블럭(PB)에는 자체적으로 구동 집적회로(D-IC)가 각각 구비되어 해당 영상 표시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공급하게 되어 오로 프로브 블럭 자체는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오토 프로브 블럭(PB)에 구비되는 구동 집적회로(D-ID)나 회로 필름(8)은 검사 과정의 영상 표시패널(20) 모델에 따라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영상 표시패널(20)에 각각 대응되도록 오토 프로브 블럭(PB)들을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PB)은 구동 집적회로(D-IC)를 실장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됨과 아울러, 종래의 니들 타입이 아닌 필름 타입의 접속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영상 표시패널(20)의 검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토 프로브 블럭(PB)이 소모품이 아닌 반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 표시패널(20)의 검사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영상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회로 필름;
    상기 회로 필름과의 연장 선상에서 상기 영상 표시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패드부;
    상기 접속 패드부를 평판화시키는 평탄 플레이트;
    외형을 이루는 블럭 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평탄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접속 패드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회로 필름을 통해 상기 구동집적회로로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전송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필름은
    그 일 측에는 접속 패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타 측에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에 의해 신호 전송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필름과 일체로 형성된 접속 패드부에는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가 상기 영상 표시패널에 형성된 패드부의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영상 표시패널의 검사시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통해 구동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필름과 상기 신호 전송 케이블에는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신호 입출력 범프 또는 신호 입출력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입력 범프 또는 신호 입력 단자들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출력 범프 또는 신호 출력 단자들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상기 접속 패드부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접속 범프 또는 복수의 접속 단자로 공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은
    상기 신호 전송 케이블로부터의 입력 신호 패턴 대비 상기 접속 패드부로의 출력 신호 패턴의 수가 배 이상의 어느 한 수만큼 증가 되도록 분기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집적회로는
    상기 회로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 전송패턴에 대응하는 쇼팅 라인이 그 내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입출력 범프 또는 입출력 단자가 상기 회로 필름의 신호 전송패턴들에 대응하여 접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플레이트는
    상기 접속 패드부 상에 구비되고, 상기 평탄 플레이트 상에는 오토 프로브 블럭의 외형을 이루는 상기의 블럭 바디부에 구성된 가압부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접속 패드부에 일정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KR1020110066633A 2011-07-05 2011-07-05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KR101830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633A KR101830606B1 (ko) 2011-07-05 2011-07-05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633A KR101830606B1 (ko) 2011-07-05 2011-07-05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96A true KR20130005196A (ko) 2013-01-15
KR101830606B1 KR101830606B1 (ko) 2018-04-05

Family

ID=4783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633A KR101830606B1 (ko) 2011-07-05 2011-07-05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6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25B1 (ko) * 2014-06-10 2015-01-23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패널 검사장치
CN113554961A (zh) * 2021-07-06 2021-10-2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216B1 (ko) 2019-06-20 2024-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결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그리고 패드 접속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2680B2 (ja) 1996-04-01 2002-08-1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表示パネル検査用コンタクトフィルム
KR101043818B1 (ko) * 2010-08-18 2011-06-22 주식회사 프로이천 액정패널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25B1 (ko) * 2014-06-10 2015-01-23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패널 검사장치
CN113554961A (zh) * 2021-07-06 2021-10-2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3554961B (zh) * 2021-07-06 2024-03-1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606B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972B2 (en) Display circuits
JP5074690B2 (ja) カッティング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原板及びこれをカッティングし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を含む表示装置
JP5441315B2 (ja) 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
KR20210055375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데이터 링크 라인 결함 검출 방법
KR20100089146A (ko) 표시 패널의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
CN111243986A (zh) 接合装置及接合方法
KR20110067513A (ko) 액정표시장치
KR101543020B1 (ko) 액정패널과 연결기판 간의 접속 상태를 테스트하는 방법 및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830606B1 (ko) 쇼팅바 타입 오토 프로브 장치의 오토 프로브 블럭
KR10158525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491161B1 (ko) 액정패널과 드라이버 ic 간의 접속상태를 테스트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7532266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KR10174686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검사방법
KR101084877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20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방법
KR2013006684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31042A (ko) 검사 패드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KR102023926B1 (ko) 평판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KR101289939B1 (ko) 배선 필름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검사장치
KR2011009571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02464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0198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5861A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장치
KR20040074425A (ko) 액정패널을 센터링하기 위한 지그
KR101311768B1 (ko) 프로브 유닛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