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913A - 통신 커넥터, 통신 하네스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커넥터, 통신 하네스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913A
KR20130004913A KR1020127024898A KR20127024898A KR20130004913A KR 20130004913 A KR20130004913 A KR 20130004913A KR 1020127024898 A KR1020127024898 A KR 1020127024898A KR 20127024898 A KR20127024898 A KR 20127024898A KR 20130004913 A KR20130004913 A KR 2013000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nnector
signal
lin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854B1 (ko
Inventor
마사노부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3000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41Flex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다양한 시스템 구성에 유연하게 대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장치를 통신선에 접속하는 통신 커넥터, 상기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하네스, 및 상기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신 커넥터(1)는, 통신선(100)과 접속되는 접속부(10)와, 상기 접속부(10)와 내부에서 접속되어 있고, 소정의 프로토콜을 해석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와, 통신선(100)의 물리층에서의 송수신을 실현하는 트랜시버를 내장한다.

Description

통신 커넥터, 통신 하네스 및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CONNECTORS, COMMUNICATION HARNESS,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 장치를 통신 커넥터를 통해 접속하여 구성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시스템 구성에 유연하게 대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커넥터, 상기 통신 커넥터를 이용한 통신 하네스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복수의 통신 장치를 접속하고, 각 통신 장치에 각각 기능을 할당하여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연휴(連携)하여 다양한 처리를 행하게 하는 시스템이 각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차량에 배치되는 차재 LAN(Local Area Network)의 분야에서는, ECU(전자 제어 장치; Electronic Control Unit)에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각 ECU에 각각 특화시킨 처리를 행하게 하여 서로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실현시키고 있다.
또한, 시스템 전체적으로 가능해져야 할 기능이 증가하고, 또 고도화하는 경향이 있어, 통신 장치간에 서로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수, 종류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시스템의 전체적인 비용 절감 및 소형화(공간 절약)가 요구되어, 부품수의 삭감, 각 부품의 소형화가 요구된다.
통신 장치간의 통신 프로토콜에는, IEEE1394를 비롯하여, 특히 차량 분야에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등록상표), FlexRay(등록상표) 등이 있다. 이들 프로토콜에 적합한 통신 신호의 송출, 검지를 위해, 통신 장치에는 각각이 접속하는 네트워크, 즉 통신 장치간에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프로토콜에 적합한 트랜시버가 구비된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는, 영상 데이터용의 IEEE1394에 적합한 트랜시버 및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CAN 트랜시버를 구비하고, 고속의 제어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는 FlexRay를 위한 트랜시버를 구비한다.
통신 장치간의 접속 관계, 각 통신 장치가 갖추는 기능이 고정되지 않고, 요구 또는 사양에 적절한 시스템 구성이 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차량의 분야에서는, 동일한 차종이라도 옵션의 유무 등에 따라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는 통신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등이 있다. 예컨대, 어떤 통신 장치는, 하나의 옵션이 있는 경우에 상기 옵션에 관한 기기와 접속하지만, 없는 경우에는 접속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때가 있다. 한편, 옵션의 유무에 따라서 각 통신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상이하게 하지 않고, 1종의 통신 장치로 다수의 옵션 구성에 적합할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옵션이 있는 경우에 맞춰,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옵션에 관한 기기와의 접속부(트랜시버)를 미리 구비해 놓을 필요가 있다. 특히, IEEE1394와 같이, 통신 장치간을 일대일로 접속하는 프로토콜에서는 「불필요한 추가물(useless addition)」, 즉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비되는 구성이 되는 경우가 있어, 다양한 옵션을 상정했을 때 낭비가 많아진다.
시스템의 소형화, 선줄임 등을 감안하여, 기기간을 접속하는 커넥터 내부에 회로 기판을 구비하여 인텔리젼스 기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회로 기판 내장형 커넥터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특히, 커넥터 하우징 내의 구조를, 내부에 회로 기판을 밀어 넣어서 고정할 때 회로 기판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4028439호 공보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 통신 장치의 포트(트랜시버)의 추가물의 구성은, 부품수 삭감, 시스템에서의 선줄임 및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도 회피되어야 한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서의 회로 기판 내장형 커넥터에서는, 복수의 통신 장치간에서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통신 기능을 내장하는 구성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가령,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응용하여, 커넥터에 내장하는 회로 기판에 트랜시버를 실장한 구성에 의해, 사용하지 않는 트랜시버를 통신 장치에 구비하는 낭비를 회피할 수는 있다. 그러나, 단순히 트랜시버를 내장하는 커넥터를 실현했다 하더라도, 커넥터 내의 트랜시버에, 그 트랜시버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 기능 및 입출력 단자 등의 구성은 통신 장치측에 필요로 되어, 장황한 구성의 회피가 불충분하다.
또,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행할지는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따라 상이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통신 장치측에 네트워크 컨트롤러 기능 및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도록 했을 때에는, 각 통신 장치를 공통화하여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각이 복수의 상이한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컨트롤러 기능을 갖는 장황한 구성이 된다.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버스형 접속뿐만 아니라, P2P 접속에서의 구성도 실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통신 장치에 통신선(통신 하네스)을 추가하여 접속할 수 있는 구성 등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양한 시스템 구성에 유연하게 대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장치를 통신선에 접속하는 통신 커넥터, 상기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하네스, 및 상기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제어 장치간의 통신의 분야에서 특히 요구되는 선줄임, 소형화 및 다양한 통신 구성에 대한 적합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커넥터, 상기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하네스, 및 상기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에 따른 통신 커넥터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다른 것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지시를 접수하고, 다른 것으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는 제1 통신부와, 통신선에 접속되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신호를 상기 통신선에 출력하고, 통신선에 출력되어 있는 통신 신호를 검지하여 제1 통신부에 출력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에 따른 통신 커넥터는, 제1 통신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접수한 지시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통신 신호를 작성하는 수단과, 작성한 통신 신호를 제2 통신부에 부여하는 수단과, 제2 통신부로부터 부여된 통신 신호를, 상기 소정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해석하여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에 따른 통신 커넥터는, 제2 통신부가 검지한 통신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에 따른 통신 커넥터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하나의 면에 상기 접속부를, 상기 하나의 면의 반대면에 상기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에 따른 통신 커넥터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플러그이고, 상기 출력 단자는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에 따른 통신 커넥터는, 제1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과, 상기 소정의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통신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에 따른 통신 하네스는, 전술한 어느 통신 커넥터의 하나 또는 복수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커넥터가 제2 통신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어느 통신 커넥터와, 상기 통신 커넥터가 제2 통신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통신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송신하는 데이터의 지시를 출력하고, 수신 신호의 통지를 접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신 커넥터의 제1 통신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어느 통신 커넥터와, 상기 통신 커넥터가 제2 통신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통신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송신하는 데이터의 지시를 출력하고, 수신 신호의 통지를 접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신선과 상이한 통신선에 접속되며,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와 접속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통신 커넥터의 제1 통신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며, 2개의 통신선 사이에서의 통신 신호의 중계 필요 여부의 판단 처리 및 중계처의 특정 처리를 행하는 중계 처리 회로를 내장하는 중계 통신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기 중계 통신 커넥터의 제1 접속부는, 상기 통신 장치에 구비된 리셉터클에 대응하는 플러그를 가지며, 제2 접속부는, 상기 통신 커넥터의 제1 통신부가 갖는 플러그에 대응하는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장치(외부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 소정의 프로토콜에 준한 구성부를 구비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지도 않고, 송신의 지시의 출력 및 수신을 접수함으로써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장치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물리층에서의 통신 신호의 통신선으로의 출력, 통신선에 송출되어 있는 신호의 검지를 행하는 송수신부(트랜시버)를 구비하지 않고, 또, 송수신부로의 신호의 출력, 송수신부가 수신한 신호의 소정의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해석을 행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처리는 통신 커넥터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통신 장치의 구성을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통신부에서의 통신선을 통한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에 맞춰, 통신 커넥터의 제1 통신부에서 상기 소정의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통신 신호를 작성하고, 제2 통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해석하고, 제1 통신부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외부 장치)에는,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고 데이터가 통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통신 커넥터에 접속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프로토콜 비의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통신부에서 검지된 통신 신호는 통신 장치에 전달되어 수신되고, 또 다른 장치에서 수신되도록 외부에 송신된다. 또한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단자가 통신 커넥터에 구비됨으로써, 출력 단자에 다른 통신 장치를 접속하여 용이하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커넥터는, 통신 장치와 접속하는 접속부가 구비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서 다른 장치(외부)와 접속되는 출력 단자가 구비된다. 통신 커넥터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컴팩트화함으로써, 통신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하고 다양한 시스템을 간이하게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커넥터의 통신 장치로의 접속부는 플러그이며, 통신 장치에 형성되는 리셉터클에 끼워 맞춰져 접속되고, 접속부와 반대면에 구비된 출력 단자는 리셉터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에 통신 커넥터를 접속부에 의해 끼워 맞춤으로써 접속하고, 다른 회로와도 컴팩트하게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는 구성에 의해, 통신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통신 시스템을 간이하게 다양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장치가 임의의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의 지시를 출력하고, 수신의 통지를 받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통신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는 통신선에서의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각 통신 장치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에 의존하지 않고, 신구 여러가지 프로토콜에 대응한 통신 장치를 혼재시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져, 다양한 시스템 구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선에 접속된 통신 커넥터와,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 다른 통신선에 접속되고, 상이한 통신선에 접속되어 있는 중계 처리 회로를 내장한 중계 통신 커넥터가 접속된다. 통신 커넥터의 제1 통신부의 접속부가, 중계 통신 커넥터의 제2 접속부와 접속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제1 접속부에서 통신 장치와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하다. 통신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선에, 중계 장치(GW : Gateway)와 접속하는 커넥터를 별도로 접속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커넥터와 통신 장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접속되는 중계 통신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상이한 통신선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중계 통신 커넥터는 통신 장치와 통신 커넥터의 사이에 접속되는 경우에, 통신 장치 및 통신 커넥터와,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끼워 맞춰 컴팩트하게 접속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을 간이하게 다양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우, 통신 커넥터에 의해 물리층 및 데이터 링크층에서의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커넥터에 접속되는 통신 장치에서는 이들 프로토콜에 의존하는 기능이 불필요해져,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출력, 및 수신된 데이터의 수취만으로, 통신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차재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차종, 사양, 목적지, 옵션의 유무 등에 따라서 다양한 접속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통신 장치(ECU)의 증감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각 ECU의 커넥터의 불필요한 추가물, 하네스의 낭비가 없어진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의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커넥터 및 ECU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2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3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4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4에서의 통신 커넥터를 이용하여 확장된 차재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통신 커넥터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약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커넥터를 차재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의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재 통신 시스템(102)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102)을 구성하는 통신 커넥터 및 ECU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 중 1이 통신 커넥터이고, 플러그를 포함하는 접속부(10)를 가지며, 2에 나타내는 ECU의 입출력부(20)가 설치된 리셉터클과 끼워 맞춰지도록 접속된다. 통신 커넥터(1)는, 도면 중 100으로 나타내는 통신선에 복수 접속되어 있고, 통신 하네스(101)를 구성한다.
ECU(2, 2,…)와 각 통신 커넥터(1, 1,…)를 접속함으로써, ECU(2, 2,…) 사이에서 연휴하여 차량 주행 제어, 차량의 보디계의 센서ㆍ액츄에이터 제어 등에 관한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차재 통신 시스템(102)이 구성된다.
통신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며, 하나의 면으로부터는 내부에서 접속되어 있는 통신선(100)이 노출되고, 상기 하나의 면과 대향하는 면으로부터는 ECU(2)에 접속되는 플러그 형상의 접속부(10)를 갖는다.
통신 커넥터(1)는, 접속부(10) 외에, 내부에 네트워크 컨트롤러(11)와, 트랜시버(12)를 구비한다.
접속부(10)는 후술하는 ECU(2)의 입출력부(20)와 접속하도록 형성된 플러그로 구성되며, 내부에 네트워크 컨트롤러(11)로부터의 신호선을 설치하고 있다.
네트워크 컨트롤러(11)는, 예컨대 MOST(등록상표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의 프로토콜을 해석하여 통신 제어를 행한다. 즉, 네트워크 컨트롤러(11)는, MOST 프로토콜에서의 데이터 링크층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컨트롤러(11)는, 후술하는 ECU(2)의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고 하며, 도면 중에서는 μC로 표기)(200)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해석하여 MOST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작성하여, 트랜시버(12)에 송신하도록 부여한다. 또 네트워크 컨트롤러(11)는, 트랜시버(1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MOST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해석하여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취출하여, 마이컴(200)에 전달한다.
네트워크 컨트롤러(11)는, 네트워크 컨트롤러 칩을 이용해도 좋고, ASIC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네트워크 컨트롤러(1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네트워크 컨트롤러(11)가 준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당연히 MOST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EEE1394, CAN(Controller Area Network), FlexRay(등록상표),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 다른 프로토콜이어도 좋다. 따라서, 통신선(100)은, MOST용 POF(Pipe Type Oil Filled) 케이블이어도 좋고, CAN용의 TP(Twisted Pair) 케이블이어도 좋고, IEEE1394용의 케이블이어도 좋다.
또, 네트워크 컨트롤러(11)는, ECU(2)의 입출력부(20)와의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이 특정한 프로토콜인 경우에, 상기 특정한 프로토콜과, 통신선(100)을 통한 통신 프로토콜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가져도 좋다. 프로토콜 변환 기능, 또는 통신 속도차를 흡수하기 위한 버퍼링 처리 기능을 가져도 좋다.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을 행하는 ECU에 통신 커넥터(1)를 접속함으로써, 프로토콜 또는 통신 속도가 상이한 ECU간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신구 프로토콜을 혼재시킨 차재 통신 시스템 등이 가능하다.
트랜시버(12)는, 네트워크 컨트롤러(11)로부터 부여되는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MOST 프로토콜에 따르는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선(100)에 송출한다. 또 트랜시버(12)는, 통신선(100)으로부터 신호를 검지하여 네트워크 컨트롤러(11)에 디지털 신호로서 전달한다. 즉 트랜시버(12)는, MOST 프로토콜에서의 물리층을 관리한다. 그 밖에 CAN 프로토콜에 준하는 경우의 트랜시버(12)는, 네트워크 컨트롤러(11)로부터 부여되는 CAN 신호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를 통신선(100)에 송출하고, 통신선(100)에서의 전위차를 검지하여 디지털 신호로서 네트워크 컨트롤러(11)에 전달한다.
ECU(2)는, 입출력부(20), 제어부(21) 및 메모리(22)를 갖는 마이컴(200)을 구비한다. ECU(2)는, 차량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 또는 액츄에이터 등의 각종 차재 기기의 제어를 행한다. ECU(2)는, 마이컴(200) 이외에 다른 구성부를 가져도 좋다.
입출력부(20)는, 마이컴(200)의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로서, 후술하는 제어부(21)와 다른 구성부 또는 외부 장치와의 신호의 전달을 행한다. 입출력부(20)는 버스 형상을 이루며,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2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메모리(22)에 기억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차재 기기의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1)는 내부 버스에 의해 입출력부(20)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1)는, 입출력부(20)를 통해 다른 구성부 또는 외부 장치, 예컨대 통신 커넥터(1)와 메시지(디지털 신호)의 전달을 행한다.
메모리(22)는,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이용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1)가 참조하는 프로그램 및 제어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와, 제어부(21)의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DRAM을 포함한다.
ECU(2)는, 다른 ECU(2)와 데이터를 통신선(100)을 통해 서로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ECU(2)에서 취득 또는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를 행하는 등, 연휴하여 동작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이 때, 통신 커넥터(1)가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컨트롤러(11) 및 트랜시버(12)를 구비함으로써, ECU(2)의 제어부(21)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메시지와 데이터를 통신 커넥터(1)에 부여하면, 통신 프로토콜이 어떤 것인지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ECU(2, 2,…)는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고, 마이컴(200)도 범용 인터페이스만를 이용하는 최소한의 구성이면 되므로,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사양에 적용할 수 있도록, 차재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ECU의 마이컴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할 수 있고, 전환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와 같은 마이컴은 고가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 1에서의 통신 커넥터(1)를 이용함으로써, 마이컴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므로, 최소한의 기능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커넥터(1)를 포함하는 통신선(100), 즉 통신 하네스(101)를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ECU(2, 2)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다양한 접속 구성의 차재 통신 시스템(102)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에서는, 통신선(100)에 3개 이상의 통신 커넥터(1, 1, 1)가 버스 접속되어 있는 통신 하네스(101)의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선(100)의 양단에만 각각 통신 커넥터(1)가 접속되는 2개의 통신 커넥터 및 1개의 통신선(100)을 포함하는 통신 하네스(101)이어도 좋다. 이에 따라, 버스 접속뿐만 아니라, 2개의 ECU(2, 2)간의 P2P 접속에도 적용할 수 있다. 차재 통신 시스템으로, 정보계, 즉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등의 송수신을 행하는 ECU(2, 2)간의 P2P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ECU(2)는, P2P 통신을 행하는 상대의 ECU(2)와의 통신 프로토콜이 IEEE1394인지, 또는 MOST인지에 상관없이,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서는, 통신 시스템을 확장하는 GW의 기능을 내장한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차재 통신 시스템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실시형태 2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10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형태 2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104)의 구성 중,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중 3은, 중계 기능을 갖춘 GW(Gateway) 커넥터이다. GW 커넥터(3)에는, 통신선(100)과 상이한 통신선(103)이 접속되어 있다. 통신선(103)에는, ECU(2)와 같은 ECU(4, 4,…)가 접속되어 있다. GW 커넥터(3)는, 통신 커넥터(1)와 ECU(2) 사이에 끼워지도록 접속되어 있다. GW 커넥터(3)는, 자신에게 직접 접속되는 ECU(2)를 포함하며, 통신 커넥터(1)를 통해 접속되는 통신선(100)에 접속된 ECU(2, 2,…)와, 자신에게 접속되는 통신선(103)에 접속된 ECU(4, 4,…)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한다.
GW 커넥터(3)는, 편평한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며, 하나의 면에는 ECU(2)의 입출력부(20)의 리셉터클에 대응하는 플러그형의 접속부(30)를 구비한다.
GW 커넥터(3)는, 접속부(30) 외에, GW(31)와, 접속부(32)를 구비한다.
접속부(30)는, ECU(2)의 입출력부(20)와 접속하도록 형성된 플러그로 구성되며, 내부에 GW(31)로부터의 신호선을 설치하고 있다.
접속부(32)는, 통신선(103)과 접속되며, 네트워크 컨트롤러(11) 및 트랜시버(12)의 기능을 갖고 있고, 통신선(103)에 송신된 신호를 검지하여, 통신선(103)에서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신호를 해석하고,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취출하여, GW(31)에 전달한다.
GW(31)는 중계 처리를 행하는 회로이며, 통신 커넥터(1)의 접속부(10)에 끼워 맞춰지는 것이 가능한 리셉터클을 갖고 있다. GW(31)는, 통신 커넥터(1)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와, 통신선(103)으로부터 접속부(32)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각각 접수한다. GW(31)는, 신호의 내용을 식별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상이한 통신선(100) 및 통신선(103) 사이에서의 중계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GW(31)는, 중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이한 통신선(100)(또는 103)에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통신 커넥터(1)(또는 접속부(32))에 디지털 신호를 부여한다. GW(31)는 내부에 ROM(Read Only Memory)를 구비하여, 중계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의 식별 정보와 필요 여부의 대응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기억해 두고, 중계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실시형태 2의 구성에 의해, ECU(2)와 같은 케이스를 갖는 중계 장치를 별도 통신선을 통해 접속하지 않더라도, GW 커넥터(3)를 사이에 끼워 통신 커넥터(1)를 ECU(2)에 접속하는 간이한 작업으로,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상이한 통신선(100, 103)간의 데이터의 중계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접속부(32)가 네트워크 컨트롤러(11) 및 트랜시버(12)의 기능을 가지며, 통신 커넥터(1)라도 접속부(10)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메시지는 MOST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해석된 후의 정보이다. 따라서, GW(31)는 통신선(100) 및 통신선(103)에서의 프로토콜이 어떤 것인지에 상관없이 중계 처리를 행할 수 있어, 범용적이다. 단, GW(31)에서 통신선(103)의 프로토콜을 해석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11)의 기능을 가지며, 접속부(32)에서 트랜시버(12)의 기능만을 발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접속부(32)는, 통신선(103)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 즉 통신선(103)에 접속되는 통신 커넥터(1)가 하나 더, 접속부(32)에 대체하여 GW(31)에 접속되도록 하여 실현되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2에서는, 통신 커넥터(1)는 GW 커넥터(3)를 사이에 끼워 ECU(2)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 중계 기능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통신선(100)의 통신 신호를 분기시키는 버스바만이어도 좋다. 도 4는, 실시형태 3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10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형태 3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105)의 구성 중, 실시형태 1 또는 2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중 5는, 실시형태 3에서의 통신 커넥터이다. 통신 커넥터(5)는, 실시형태 1에서의 통신 커넥터(1)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접속부(50)를 구비하는 것 외에, 내부에 네트워크 컨트롤러(51)와, 트랜시버(52)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컨트롤러(51) 및 트랜시버(52) 각각의 기능에 관해서는, 실시형태 1의 통신 커넥터(1)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에서의 통신 커넥터(5)는, 통신선(100)으로부터 분기되는 신호선을 내부에 가지며, 통신선(100)에 송출되는 통신 신호를 분기 출력하는 출력 단자(53)를 구비한다. 출력 단자(53)는, 접속부(50)와 병설된 플러그이다. 접속부(50)와 출력 단자(53)에서 함께 후술하는 버스바(6) 또는 ECU(2)의 입출력부(20)의 리셉터클에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중 6은, 통신선(103)이 접속되어 있는 버스바이다. 버스바(6)는, 통신 커넥터(5)와 ECU(2) 사이에 끼워지게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스바(6)는, 통신 커넥터(5) 및 ECU(2)에 접속된 경우에, 통신 커넥터(5)의 접속부(50)와 ECU(2)의 입출력부(20) 사이를 접속하고, 통신 커넥터(5)의 출력 단자(53)와 통신선(103)을 접속하도록 신호선 또는 통신선이 기판 상에 실장되어 있다. 기판 상에 실장되는 구성뿐만 아니라, 접속부(50)와 입출력부(20) 사이를 접속하고, 출력 단자(53)와 통신선(103)을 접속하는 단자군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3과 같은 구성에 의해, 통신선(100)에 송신되는 통신 신호를 분기하고, 통신선(100)과 통신선(103)을 하나의 네트워크로서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통신 하네스에, 사용 여부가 불명확한 확장용의 커넥터를 미리 구비해 두지 않더라도 용이한 작업에 의해, 시스템의 확장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3에서의 통신 커넥터(5)는, 버스바(6)를 통해 ECU(2)와 접속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커넥터(5)가 직접적으로 ECU(2)와 접속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ECU(2)의 마이컴(200)의 기능에 의해, 통신선(100)에서의 신호를, 프로토콜을 해석하지 않더라도 검지하도록 하여, 통신 커넥터(5) 내부에서 고장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마이컴(200)은, 통신선(100)에 신호가 검지됨에도 불구하고, 통신 커넥터(5)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메시지의 디지털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 커넥터(5)에서 이상이 발생했다는 등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4)
도 5는, 실시형태 4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형태 3에서의 차재 통신 시스템(105)의 구성 중, 실시형태 1 또는 2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중 7은, 실시형태 4에서의 통신 커넥터이다. 통신 커넥터(7)는, 실시형태 1에서의 통신 커넥터(1)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접속부(70)를 구비하는 것 외에, 내부에 네트워크 컨트롤러(71)와, 통신선(700)이 접속되어 있는 트랜시버(72)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컨트롤러(71) 및 트랜시버(72) 각각의 기능에 관해서는, 실시형태 1의 통신 커넥터(1)에서의 그것들과 동일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커넥터(7)에는, 접속부(70)가 구비되어 있는 면과 반대의 면에 접속부(73)를 더 구비한다. 접속부(73)는, 실시형태 3에서의 출력 단자(53)와 동일하게 통신선(700)에 송출되어 있는 통신 신호를 분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73)에, 또 다른 통신 커넥터(7)를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중 80은, 확장 회로이다. 확장 회로(80)는, 예컨대 종단 회로이며, 통신 커넥터(7)의 접속부(73)에 대응하는 플러그를 가져, 통신 커넥터(7)의 접속부(73)에 끼워 맞춰지도록 접속된다. 확장 회로(80)는, 종단 회로 외에, 통신선(700)에서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이어도 좋다. 확장 회로(80)를 접속하는 접속부(73)를 갖는 통신 커넥터(7)와 통신선(700)을 포함하는 통신 하네스(701)에 의해 버스 접속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하네스의 길이나 분기 상태에 따라서, 전기적인 신호 특성이 원하는 특성을 만족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개소에, 종단 회로나 필터 회로 등의 신호 특성을 개선하는 전기 회로인 확장 회로(80)를 접속부(73)에 접속하여 배치한다. 통신 하네스(701) 상에는 복수의 통신 커넥터(7)가 통신선(700)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통신 하네스(701)의 구성에 의해, 버스 접속에 있어서 다양한 물리적인 접속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 후에, 확장 회로(80)를 접속함으로써, 통신에서의 전기적인 신호 특성이 원하는 특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차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차재 옵션 장치의 추가에 따라 변화하는 통신 하네스의 형태에 대응하여, 필요한 개소에, 또는, 필요 최소한의 최적의 개소에 확장 회로(80)를 설치할 수 있어, 통신 하네스의 전기적인 신호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4에서의 통신 커넥터(7)가 접속된 통신선(700)을 포함하는 통신 하네스(701)를 구성해 놓음으로써, ECU(2, 2,…)를 접속하기만 하는 용이한 작업으로 확장이 가능한 차재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형태 4에서의 통신 커넥터(7)를 이용하여 확장된 차재 통신 시스템(9)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실시형태 4의 차재 통신 시스템의 일부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약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차재 통신 시스템(9)은, 통신선(700)에 접속된 2개의 통신 커넥터(7, 7)와, 2개의 통신 커넥터(7, 7) 각각에 접속되는 ECU(2)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선(700), 2개의 통신 커넥터(7, 7) 및 ECU(2, 2)이 표준 장비에 대응하는 시스템이라고 하기로 한다.
표준 장비에 대응하는 시스템에, 옵션에 따른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ECU(2)를 접속하여 확장해야 할 경우, 통신선(700)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커넥터(7)에, 통신 커넥터(7)를 더 접속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때 더 접속되는 통신 커넥터(7)는, 내부의 트랜시버(72) 및 접속부(73)에 의해 통신선(702)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선(702)에는 확장용의 플러그(82)를 갖는 확장 커넥터(81)가 접속되어 있다. 확장 커넥터(81)의 플러그(82)를, 표준 장비에 대응하는 시스템에서의 단부의 통신 커넥터(7)의 접속부(73)에 접속함으로써, 시스템의 확장이 실현된다. 확장 커넥터(81)는, 플러그(82)를 통해 접속되는 접속부(73)로부터 분기 출력되는 통신선(700)의 통신 신호를 통신선(702)에 송출한다. 이 때 통신 커넥터(7)로의 확장 커넥터(81)의 접속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82)를 삽입하도록 하여 통신 커넥터(7)에 접속하면 되어, 작업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하여 확장된 시스템에, 다른 옵션 또는 차종에 따른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ECU(2)를 더 접속하여 확장해야 할 경우, 통신선(702)을 통해 접속된 통신 커넥터(7)에, 통신 커넥터(1)를 더 접속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와 같이, 확장을 위해서는, 실시형태 1에 나타낸 확장용의 접속부를 갖지 않는 형태의 통신 커넥터(1)를 이용해도 좋다. 도 6에서는, 통신선(702)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 커넥터(7)에, 통신 커넥터(1)가 접속되어 있다. 차재 통신 시스템(9)을 구성하는 통신 커넥터(1)는, 확장용의 플러그(82)를 갖는 확장 커넥터(81)가 통신선(703)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확장 커넥터(81)의 플러그(82)를, 통신선(702)이 접속되어 있는 통신 커넥터(7)의 접속부(73)에 접속함으로써, 시스템이 더 확장되는 것이 실현되어, 도 6에 나타내는 차재 통신 시스템(9)이 구축된다.
통신 커넥터(1)에 접속되어 있는 확장 커넥터(81)는, 플러그(82)를 통해 접속되는 접속부(73)로부터 분기 출력되는 통신선(702)의 통신 신호를 더 분기하여 통신선(703)에 송출한다.
실시형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커넥터(1)(또는 5, 7)에 의해,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처리가 실현되기 때문에, ECU(2)는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을 채택한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고 공통된 구성으로 해결된다. ECU(2)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준한 네트워크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마이컴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저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롭게 ECU(2)를 추가하는 확장 작업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4의 표준 장비에 대응하는 시스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네트워크 컨트롤러, 트랜시버를 갖는 커넥터 및 하네스를 별도로 접속해 두지 않아도 되어, 낭비가 없다. 그리고, 차종, 사양, 목적지, 옵션의 유무 등에 따른 다양한 접속 구성에 유연하게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4에서는, 통신 커넥터(1)(또는 5, 7)에서의 접속부(10)(또는 50, 70, 73)는, 끼워 맞춰짐으로써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이 접촉하여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부(10)와 입출력부(20)은 물리적으로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내부에 설치된 신호선은 비접촉으로 근접 무선 전송에 의해 입출력(통신)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5, 7 : 통신 커넥터 10, 50, 70 : 접속부
11, 51, 71 : 네트워크 컨트롤러 12, 52, 72 : 트랜시버
73 : 접속부(출력 단자) 53 : 출력 단자
100, 700 : 통신선 101 : 통신 하네스
102, 104, 105, 9 : 차재 통신 시스템 103, 702, 703 : 통신선
2 : ECU
3 : GW 커넥터(중계 통신 커넥터)
30 : 접속부 31 : GW

Claims (10)

  1. 외부 장치와의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다른 것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지시를 접수하고, 다른 것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달하는 제1 통신부와,
    통신선에 접속되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신호를 상기 통신선에 출력하여, 통신선에 출력되어 있는 통신 신호를 검지하여 제1 통신부에 출력하는 제2 통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통신부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접수된 지시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통신 신호를 작성하는 수단과,
    작성된 통신 신호를 제2 통신부에 부여하는 수단과,
    제2 통신부로부터 부여된 통신 신호를, 상기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해석하여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통신부가 검지한 통신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하나의 면에 상기 접속부를, 상기 하나의 면의 반대면에 상기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플러그이고, 상기 출력 단자는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과, 상기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통신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커넥터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커넥터가 제2 통신부에서 접속되어 있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하네스.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커넥터와, 상기 통신 커넥터가 제2 통신부에서 접속되어 있는 통신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송신하는 데이터의 지시를 출력하고, 수신 신호의 통지를 접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신 커넥터의 제1 통신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커넥터와, 상기 통신 커넥터가 제2 통신부에서 접속되어 있는 통신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송신하는 데이터의 지시를 출력하고, 수신 신호의 통지를 접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신선과 상이한 통신선에 접속되며,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와 접속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통신 커넥터의 제1 통신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가지며, 2개의 통신선 사이에서의 통신 신호의 중계 필요 여부의 판단 처리 및 중계처의 특정 처리를 행하는 중계 처리 회로를 내장하는 중계 통신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통신 커넥터의 제1 접속부는, 상기 통신 장치에 구비된 리셉터클에 대응하는 플러그를 가지며,
    제2 접속부는, 상기 통신 커넥터의 제1 통신부가 갖는 플러그에 대응하는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27024898A 2010-02-26 2011-02-25 통신 커넥터, 통신 하네스 및 통신 시스템 KR101430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3126 2010-02-26
JP2010043126 2010-02-26
PCT/JP2011/054264 WO2011105545A1 (ja) 2010-02-26 2011-02-25 通信コネクタ、通信ハーネス及び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13A true KR20130004913A (ko) 2013-01-14
KR101430854B1 KR101430854B1 (ko) 2014-09-22

Family

ID=4450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898A KR101430854B1 (ko) 2010-02-26 2011-02-25 통신 커넥터, 통신 하네스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35454B2 (ko)
JP (1) JP5445667B2 (ko)
KR (1) KR101430854B1 (ko)
CN (1) CN102783093B (ko)
DE (1) DE112011100694T5 (ko)
WO (1) WO2011105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7499B2 (ja) * 2011-05-11 2016-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コネクタ
DE102011080169A1 (de) * 2011-08-01 2013-02-07 Robert Bosch Gmbh Kommunikationsanbindung für Sensorik in Fahrzeug-Regelsystemen
DE102015209996A1 (de) 2014-05-30 2015-12-17 Yazaki Corporation Fahrzeug-Kabelbaumstruktur und zusätzliches Verbindungselement
JP6380795B2 (ja) * 2014-10-15 2018-08-29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6460936B2 (ja) * 2015-07-29 2019-01-30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CN105975423B (zh) * 2016-04-01 2018-10-26 上海傲意信息科技有限公司 点对点信号级联传输装置及方法、便携电子设备
CA3039675C (en) 2016-10-07 2022-08-30 Phillips Connect Technologies Llc Smart trailer system
US10647369B2 (en) 2016-10-07 2020-05-12 Phillips Connect Technologies Llc Modular harness system
JP7094670B2 (ja) * 2017-07-03 202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設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JP6965767B2 (ja) * 2018-01-23 2021-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通信システム
WO2019199990A1 (en) * 2018-04-11 2019-10-17 Phillips Connect Technologies Llc Modular harness system
JP7070260B2 (ja) * 2018-09-10 2022-05-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分岐箱
JP6652612B2 (ja) * 2018-09-21 2020-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ハーネス構造
WO2020121390A1 (ja) * 2018-12-11 2020-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WO2020121389A1 (ja) * 2018-12-11 2020-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ハーネス、コネクタ及び通信中継方法
WO2020121388A1 (ja) * 2018-12-11 2020-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車載装置及び通信中継方法
WO2020121385A1 (ja) * 2018-12-11 2020-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ハーネス及び通信中継方法
CN111224748A (zh) * 2019-12-26 2020-06-02 北京启冠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有线网络传输数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439A (ja) 1990-05-22 199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軸受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H1032883A (ja) * 1996-07-16 1998-02-03 Alps Electric Co Ltd 車両用多重通信装置
JP3817855B2 (ja) 1997-08-29 2006-09-0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JP4028439B2 (ja) 2003-06-13 2007-12-2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路基板内蔵型コネクタ
CN1735090A (zh) * 2004-03-18 2006-02-15 上海电器科学研究所(集团)有限公司 现场总线设备通讯的通信适配器
JP4774684B2 (ja) 2004-06-02 2011-09-14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システム、暗号化/復号中継装置、及び通信制御装置
JP4771214B2 (ja) 2006-01-31 2011-09-14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107608B2 (ja) 2007-05-16 2012-12-26 矢崎総業株式会社 中継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
DE102012215765A1 (de) * 2012-09-05 2014-05-15 Robert Bosch Gmbh Gateway-Modul für ein Kommunikationssystem,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zwischen Teilnehmern eines Kommunikations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105545A1 (ja) 2013-06-20
US8935454B2 (en) 2015-01-13
US20120327978A1 (en) 2012-12-27
CN102783093B (zh) 2016-12-21
DE112011100694T5 (de) 2013-03-07
KR101430854B1 (ko) 2014-09-22
CN102783093A (zh) 2012-11-14
WO2011105545A1 (ja) 2011-09-01
JP5445667B2 (ja)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854B1 (ko) 통신 커넥터, 통신 하네스 및 통신 시스템
JP2006347258A (ja) 車載通信用アダプタおよび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
JP2007336267A (ja) 車載通信システム
US20120290753A1 (en) Connection method for bus controller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86242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s from a vehicle
JP2004142500A (ja) コネクタ装置
JP5532910B2 (ja) 光通信装置、通信ハーネス及び通信システム
US11801798B2 (en) Joint connector
JP5230738B2 (ja) 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を車両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JP6927412B2 (ja) ワイヤハーネス、コネクタ及び通信中継方法
JP2008099014A (ja) 車内通信方法、車内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車載型通信装置
WO2020122144A1 (ja) コネクタ、車載装置及び通信中継方法
JP5192353B2 (ja) 通信回路、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集約装置
JP4924373B2 (ja) 通信ユニット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6192970A (ja) 車載用通信接続装置および車載通信システム
JP2011218974A (ja) 車載情報収集装置
JP4954832B2 (ja) 車載用通信システム
US7575437B2 (en) Wiring harness with integrated two-way in-line connection capability
KR20180094417A (ko) 광통신을 이용한 캔 버스 간의 장거리 전송 장치
JP2006347257A (ja) 車載通信システム
KR20190106069A (ko) Can/lin 통합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내부 기기 간의 기능 시험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US11936495B2 (en) Wire harness and communication relay method
WO2020121387A1 (ja) 車載装置及び通信線接続体
JP2024024186A (ja) 制御システム
JP5046353B2 (ja) 車載通信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