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000U -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000U
KR20130004000U KR2020110011481U KR20110011481U KR20130004000U KR 20130004000 U KR20130004000 U KR 20130004000U KR 2020110011481 U KR2020110011481 U KR 2020110011481U KR 20110011481 U KR20110011481 U KR 20110011481U KR 20130004000 U KR20130004000 U KR 201300040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box
inner box
storage space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084Y1 (ko
Inventor
도재호
Original Assignee
도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재호 filed Critical 도재호
Priority to KR2020110011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8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06External stands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in display position, e.g. easels, covers forming a support for the containers in the display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상면에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210)이 형성되어 외부상자(100)에 수용되는 속상자(200)를 구비하되,
상기 속상자(200)는 상기 몸체 중간 부분을 꺾어 삼각형 형태로 세워지게 하여 상품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평상시에는 상품을 포장하는데 사용하다가 상품을 전시할 필요가 있을 때 속상자를 꺾어서 상품을 간편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Packing box with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시에는 상품을 포장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상품을 전시하고자 할 때에는 소비자에게 잘 보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과 같은 상품은 포장상자에서 상품을 빼내서 별도의 진열대에 진열을 하고 있다. 유리로 된 진열대나 개별 상품을 하나씩 세워둘 수 있는 지지대를 마련하여 상품을 진열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상품 진열은 포장상자에서 상품을 빼내서 진열하는 것이기 때문에 포장상자를 별도로 모아서 보관하고, 필요한 경우 해당 포장상자를 찾아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포장상자에서 상품을 꺼내지 않고 진열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자가 제안되었는바, 특허공개 제102010-0124002호(2010. 11. 26.) "포장용 상자"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 상자(100)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바디(1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20)의 개폐 시 커버(20)의 개폐동작에 따라 바디(10)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개구부(12)에서 경사지게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뉘어지는 거치대(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버(20)를 개방하면 거치대(50)가 세워지면서 상품이 세워져 노출되고, 커버가 닫히면 상기 거치대(50)가 수평 하게 뉘어져 상자 내부에 수납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대(50)는 커버(20)의 동작에 따라 거치대(50)를 당기거나 밀어주는 작동기구에 의해 세워지거나 뉘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기구를 통해 커버(20)를 열면 작동기구가 거치대(40)를 세우고, 반대로 커버(20)를 닫으면 상기 작동기구가 거치대(40)가 다시 원위치로 뉘어지게 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거치대(50)를 커버(20)의 동작과 연동시키는 구성임에 따라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거치대(50)를 세울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커버(20)를 열기만 하면 세워짐에 따라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는바, 평소에는 상자로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품을 포장하는 상자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경우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속상자의 형태를 변형시켜 상품을 잘 보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를 제안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상품을 포장하는데 사용하다가 상품을 전시할 필요가 있을 때 속상자를 꺾어서 상품을 간편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구성된 포장상자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포장용 상자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품과 속상자 및 외부상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속상자를 꺾어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 내지 8은 재단된 판지를 접어서 본 발명에 의한 속상자를 형성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속상자의 다른 실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상품을 포장하는 상자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경우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를 얻기 위해 몸체 상면에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외부상자에 수용되는 속상자를 구비하되, 상기 속상자는 상기 몸체 중간 부분을 꺾어 삼각형 형태로 세워지게 하여 상품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상자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는 몸체 상면에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210)이 형성되는 속상자(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속상자(200)는 몸체 중간 부분을 꺾어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뚜껑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상자(100)에 수용되어 상품을 포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속상자(200) 몸체 양쪽 끝단에는 지지판(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220)은 외부상자(100)에 속상자(200)가 수용될 때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채 수용됨으로써 마치 다리오 같은 역할을 하면서 속상자(200)를 지지한다. 따라서, 외부상자(100)의 깊이가 속상자(200)의 두께보다 깊은 경우 속상자(200)가 내부 바닥에서 떠 있는 상태로 수용되게 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210)은 바닥면(212)과 벽면(214)에 의해 상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수납공간(210)의 형태는 상품의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의 상품이라면 바닥면(212)을 사각 형태로 형성한 다음 상기 바닥면(212) 네 가장자리에 벽면(214)을 형성함으로써 육면체 형상의 수납공간(21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수납공간(210)의 벽면(214) 상단에는 수납공간(210)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평평한 면인 상면(216)이 형성된다. 상기 상면(216)은 외부상자(100)에 상기 속상자(200)가 수납되는 경우 속상자(200)가 외부상자(100)에 잘 맞게 끼이게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아래쪽이 보이지 않게 하여 깔끔한 외관을 형성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면(216)은 필요에 따라 채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210)을 가지는 속상자(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 중간 부분을 꺾어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상품을 디스플레이한다. 몸체 중간 부분이 꺾이면 수납공간(210)도 반 또는 일정한 비율로 나뉘어 경사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경사진 수납공간(210)에 상품을 안착시켜서 소비자가 눈으로 잘 볼 수 있도록 비스듬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상기 속상자(200)는 몸체의 일부가 절단됨으로써 꺾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수납공간(210)의 상면(216)과 벽면(214)은 일직선으로 꺾일 수 있게 절단되는 반면 바닥면(212)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바닥면(212)이 절단되지 않은 채 접히게 되어 몸체가 둘로 분리되지 않고 삼각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속상자(200)의 몸체가 꺾여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판(220)을 이용해 삼각형 형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속상자(200)의 몸체 양쪽 끝단에 형성된 지지판(220)을 속상자(200) 몸체를 꺾어 준 상태에서 서로 맞닿게 하여 체결함으로써 꺾여 있는 몸체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삼각형 행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판(220)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상자(100) 없이도 속상자(200) 단독으로 사용하여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해 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속상자(20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210)의 입구에 걸림돌기(215)를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15)는 수납공간(210)의 입구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에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품이 디스플레이 될 때 상품의 하단이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준다. 이를 통해 상품이 수납공간(210)에 경사지게 거치 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215)는 수납공간(210) 바닥면(21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수납공간(210)에 거치되는 상품이 수납공간(21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이러한 걸림돌기(215)는 상기 상면(216)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형성하여 부착하여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속상자(2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종이 판지나 얇은 플라스틱을 미리 재단하여 접어서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 각 부분을 미리 형성한 다음 이어 붙이거나 조립하여서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일반적으로 상자를 만들 때 한 장의 판지를 재단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바닥면(214) 네 방향 가장자리에 벽면(214)을 형성하는 판이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일측 벽면(214)에 상기 바닥면(214)에 대응되는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상면(216)을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216)의 위쪽과 아래쪽 끝단에는 지지판(210)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판(210)이 형성된 부분의 상면(216) 중 어느 한 곳에는 구멍이 천공된 방향으로 걸림돌기(215)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나머지 부분은 꺾이는 이러한 구성은 한 장의 판지를 재단된 대로 펀칭하여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단된 판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14)을 바닥면(214)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접어 수용공간(210)을 형성한 다음 일측 벽면(214)과 상면(216)이 연결되는 지점을 접어서 수용공간(210)이 상면(216) 아래쪽으로 접혀 포개지게 한다, 이를 통해 상면(216)이 자연스럽게 수용공간(210)의 입구를 형성하게 되고, 걸림돌기(215)가 수용공간(210)의 바닥면(212)과 수평한 방향을 돌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벽면(214)과 상면(216)으로 형성되는 부분 중 판지를 접어 속상자(200)로 형성되었을 때 몸체가 꺾이는 지점은 바닥면(212)을 제외하고 미리 절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재단된 판지를 접어 속상자(200)로 완성되었을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이는 지점을 따라 자연스럽게 절단 선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속상자(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폭이 넓은 상품을 디스플레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바, 이는 상품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외부상자,
200 : 속상자, 210 : 수납공간,
212 : 바닥면, 214 : 벽면,
215 : 걸림돌기, 220 : 지지판.

Claims (5)

  1. 몸체 상면에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210)이 형성되어 외부상자(100)에 수용되는 속상자(200)를 구비하되,
    상기 속상자(200)는 상기 몸체 중간 부분을 꺾어 삼각형 형태로 세워지게 하여 상품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간 부분이 절단되어 꺾이되, 수납공간(210) 바닥면(212)은 절단되지 않고 접힘으로써 삼각형태를 이루며 꺾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200)는 상기 몸체 양쪽 끝단에 지지판(220)이 형성되어 몸체의 중간 부분이 꺾인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220)이 서로 맞닿아 체결됨으로써 삼각형 행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10)의 입구에는 걸림돌기(215)가 형성되어 상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215)는 수납공간(210) 바닥면(21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KR2020110011481U 2011-12-23 2011-12-23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KR200470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81U KR200470084Y1 (ko) 2011-12-23 2011-12-23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81U KR200470084Y1 (ko) 2011-12-23 2011-12-23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00U true KR20130004000U (ko) 2013-07-03
KR200470084Y1 KR200470084Y1 (ko) 2013-11-26

Family

ID=5074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81U KR200470084Y1 (ko) 2011-12-23 2011-12-23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077A1 (ko) * 2013-12-11 2015-06-18 이호식 포장박스
CN109533556A (zh) * 2019-01-11 2019-03-29 广州市恒远彩印有限公司 抽拉升降盒及包装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285B1 (ko) * 2015-12-30 2017-09-11 주식회사 아이리버 전자 기기의 포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194A (ja) * 2005-02-12 2006-08-24 Seiyuu Systems:Kk 外装ケース
KR200460965Y1 (ko) * 2010-04-07 2012-06-18 도재호 핸드폰 포장용 속 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077A1 (ko) * 2013-12-11 2015-06-18 이호식 포장박스
CN109533556A (zh) * 2019-01-11 2019-03-29 广州市恒远彩印有限公司 抽拉升降盒及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084Y1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3757U (ja) 包装箱
EP3248896B1 (en) Packaging for the containment of objects, particularly bottles
KR200470084Y1 (ko)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CA3083766C (en) Packaging box
KR20140146321A (ko) 다용도 상자
JP5085486B2 (ja) 両開き式の収納箱
JP2008162649A (ja) 揺動開閉箱
JP2008239193A (ja) ボトムロック式紙箱の底部構造および可変式仕切一体型陳列用紙箱
JP3193465U (ja) 中仕切付きトレー
KR200410487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20170018730A (ko) 포장용 상자
JP3141988U (ja) ティッシュ収納箱
JP3201728U (ja) 保冷剤収容部付包装箱
JP2006290376A (ja) 景品収納部付き包装箱
JP6549391B2 (ja) 収納箱
JP6362422B2 (ja) 収納箱
KR200385178Y1 (ko) 여유수용공간을 갖는 포장박스
EP4056498A1 (en) Casing for containing products, in particular footwear
JP3243220U (ja) 包装展示兼用箱
JP2004210336A (ja) 包装箱
KR200410488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101707645B1 (ko) 튜브형 포장박스
JP6857020B2 (ja) 物品収容体
JP3175267U (ja) 包装用箱
JP3180222U (ja) 商品陳列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