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487Y1 - 상품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상품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487Y1
KR200410487Y1 KR2020050036001U KR20050036001U KR200410487Y1 KR 200410487 Y1 KR200410487 Y1 KR 200410487Y1 KR 2020050036001 U KR2020050036001 U KR 2020050036001U KR 20050036001 U KR20050036001 U KR 20050036001U KR 200410487 Y1 KR200410487 Y1 KR 200410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ver
storage unit
openin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재호
Original Assignee
도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재호 filed Critical 도재호
Priority to KR2020050036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4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품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수납부와 부속수납부가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상품 및 부속품 수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상자 내에 수납된 상품을 꺼내지 않고도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탁월한 상품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박스는, 개구부의 일 변에서 접히는 덮개를 가지는 상품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면상에 상품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채, 상기 개구부의 타 변에서 접히면서 개구부에 삽입되어 닫히거나 열리는 상품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품수납부를 먼저 닫고 덮개를 닫아 덮거나, 덮개를 먼저 닫은 후 상품수납부를 닫아 덮개 위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포장용 상자, 디스플레이, 거치

Description

상품 포장용 상자 {a packing box}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를 펼쳐 놓은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의 상품 포장용 상자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의 거치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품 포장용 상자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면부 20: 배면부
30: 측면부 40: 바닥부
50: 내측부 51: 걸림홈
52: 기저부 53: 부속품 수납홈
60: 안착면 61: 결합홈
70: 거치면 71: 지지날
72: 수납홈 73: 걸림턱
74: 경사 75: 삽입홈
80: 개구부
90: 덮개 91: 삽입날
a: 상품수납부 A: 포장용 상자
본 고안은 상품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수납부와 부속수납부가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상품 및 부속품 수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상자 내에 수납된 상품을 꺼내지 않고도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탁월한 상품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MP3플레이어와 같은 소형 기기를 포장함에 있어 대게는 판지를 접어 만든 포장상자를 이용하게 되는데, 기존 포장상자는 단순한 박스 형태이면서 그 내부에 트레이가 마련되어 있어 트레이 내부에 상품 및 부속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기존 포장상자의 경우 트레이 내부에 상품 및 부속품이 함께 수납되므로 상품과 부속품이 뒤섞이며 상품에 흠집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수납된 상품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자를 개봉하여 트레이에 담긴 상품을 꺼내어 포장상자 없이 상품만을 진열대에 올리게 되므로 소비자가 상품을 접하기 이전 영업장 관리자가 먼저 상품을 손을 댈 수밖에 없었던 바, 소비자는 이를 꺼려 디스플레이되었던 상품은 구매하지 않게 되어 해당 상품은 판매되지 못하고 재고로 전락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기존 포장상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품 포장용 상자가 제안된 바 있다.
즉 도 1의 상품 포장용 상자는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수납부와 부속품이 수납되는 부속수납부가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상품수납부는 덮개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인출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자 내에 수납된 상품을 꺼내지 않고도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품 포장용 상자의 경우, 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품수납부를 덮개 외부로 인출하고 독립적으로 거치하게 되면 덮개 하부에는 상품수납부가 위치하던 공간이 뚫린 채 그대로 남게 된다.
따라서 덮개는 하부에서 하중을 지탱받지 못하게 되므로 상품수납부의 거치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불안감을 조성하였고, 종국에는 하중으로 인하여 덮개에 변형이 초래되어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품수납부에 수납된 상품과는 별도로 상품 포장용 상자 내에 수납된 부속품들이 열린 뚫린 공간을 통해 유출됨으로써 망실 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품과 부속품을 분리 수납할 수 있어 수납 효과가 뛰어나고 상자 내에 담긴 상품을 꺼내지 않고도 특히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상품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는, 개구부의 일 변에서 접히는 덮개를 가지는 상품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면상에 상품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채, 상기 개구부의 타 변에서 접히면서 개구부에 삽입되어 닫히거나 열리는 상품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품수납부를 먼저 닫고 덮개를 닫아 덮거나, 덮개를 먼저 닫은 후 상품수납부를 닫아 덮개 위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품수납부의 측면으로는 걸림턱이 돌출되어져 상품수납부를 닫을때 개구부 측면 벽에 상기 걸림턱이 걸림으로써 일정 깊이 이상으로는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 바닥에는 상기 측면 벽으로부터 이어지고 부속품 수납홈이 형성된 기저부가 구비되어 부속품을 안정적으로 수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품수납부는 수납홈이 형성된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의 이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납홈으로 삽입된 상품을 지지하는 안착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면과 안착면을 연결하는 상품수납부의 하단은 경사를 이루면서 덮개를 먼저 닫은 후 상품수납부를 닫으면 상품수납부가 경사진 채 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의 단부에는 삽입날이 돌출되고, 상기 상품수납부의 개구부에 접히는 부분에는 상기 삽입날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가지면서, 상품수납부를 먼저 닫고 덮개를 닫거나 덮개를 먼저 닫고 상품수납부를 닫을 때 각기 삽입날을 삽입홈의 일 방향으로 끼워넣거나 반대 방향으로 끼워넣음으로써 덮개를 고정적으로 닫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를 펼쳐 놓은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의 상품 포장용 상자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의 거치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품 포장용 상자의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상품 포장용 상자(A)는 예로써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판지를 접어서 만드는 것으로, 판지의 전면부(10)를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면부(10) 일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면부(20)와 배면부(30)를 반 시계 방향으로 접고 하단 바닥부(40)를 접어 박스 형태의 상자를 만든다.
여기서, 바닥부(40)를 접는 방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그리고, 양 측면(20) 상부로 연장된 내측부(50)를 각기 상자 내측으로 접고 다시 한번 더 접어 상자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한 후, 부속품 수납홈(53)이 구비된 기저부(52)를 접어 바닥에 깔리도록 한다.
중앙부에 결합홈(61)이 마련된 안착면(60)을 역시 중앙부에 복수의 지지날(71)이 마련된 거치면(70) 하부로 접어 별개의 박스 형태를 형성하여 상품수납부(a)를 이루고, 지지날(71)을 하부로 접어 결합홈(61)에 끼워 넣음으로써 거치면(70)과 안착면(60)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품수납부(a)가 공간 높이를 유지하 게 되며, 거치면(70)의 지지날(71)이 있던 자리는 상품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홈(72)으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판지를 접게 되면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는 내용물을 넣고 빼기 위한 개구부(80)를 가지고, 개구부(80)의 일 변에는 덮개(90)가 부착되어 접히면서 개구부(80)를 열고 닫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개구부(80)의 타 변, 바람직하게는 반대편 변에는 상품수납부(a)가 접히면서 덮개(90)와 마찬가지로 개구부(80)를 열고 닫도록 되어있고, 이때 상품수납부(a)를 먼저 닫고 덮개(90)를 닫아 덮거나, 덮개(90)를 먼저 닫은 후 상품수납부(a)를 닫아 덮개(90) 위로 거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상품 포장용 상자는 측면부(20)의 높이와 전면부(10)의 높이가 동일함으로써 상품수납부(a)가 접히는 높이가 개구부(80)의 측면 벽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어 상품수납부(a)가 닫힐 때 개구부(80)에 삽입되어진다.
따라서 상품수납부(a)를 먼저 닫은 후 덮개(90)를 닫아 덮으면 덮개(90)는 상품수납부(a)와 측면 벽에 걸쳐서 덮게 되고, 상품수납부(a)를 연 상태에서 덮개(90)를 닫아 덮으면 덮개(90)는 측면 벽을 덮으면서 개구부(80)를 밀폐하게 된다.
이때 상품수납부(a)의 측면으로는 걸림턱(73)이 돌출되어져 상품수납부(a)를 닫을때 개구부(80)의 측면부(20)에 상기 걸림턱(73)이 걸림으로써 상품수납부(a)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는 삽입되지 않고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측면 벽에 이어진 내측부(50)에 걸림턱(73)에 대응되는 걸림홈 (51)이 구비되어 걸림턱(73)이 안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A)의 내측 바닥에는 측면 벽으로부터 이어진 기저부(52)가 바닥에 깔리게 되고, 이때 기저부(52)에는 부속품 수납부(53)가 형성되어 부속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장을 위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수의 배터리를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속품 수납부(53)에 각기 안착시킴으로써 박스의 유동에도 불구하고 배터리는 안정적으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거치면(70)과 안착면(60)을 연결하는 상품수납부(a)의 하단은 접혀지는 방법 등으로 경사(74)를 이루어, 덮개(90)를 먼저 닫은 후 상품수납부(a)를 닫으면 상품수납부(a)가 경사진 채 거치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A)에는 삽입날(91)과 이에 대응하는 삽입홈(75)이 구비되면서 덮개(90)를 고정적으로 닫게 된다.
삽입날(91)은 덮개(90)의 단부에서 접히도록 돌출된 예로써 판상의 부재이고, 삽입홈(75)은 상품수납부(a)의 개구부(80)에 접히는 부분에 삽입날(9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홈이다.
따라서 보통은 상품수납부(a)를 먼저 닫았을때 상품수납부(a)의 접히는 부분상에 노출된 삽입홈(75) 위로 삽입날(91)을 끼워넣어서 덮개(90)를 고정하게 되고, 반대로 상품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덮개(90)를 먼저 닫을 때에는 세워진 상품수납부(a)의 삽입홈(75)에 상기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날(91)을 끼워넣음으로써 덮 개(90)를 고정한 후 덮개(90)의 위로 상품수납부(a)를 거치시키면 도 6에서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이 덮개(90)의 위로 상품수납부(a)로 거치하였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포장용 상자의 측면 벽이 덮개(90) 및 상품수납부(a)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개구부(80)를 밀폐하게 되므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품 포장용 상자에 의하면, 상품과 부속품을 분리 수납할 수 있어 수납 효과가 뛰어나고 상자 내에 담긴 상품을 꺼내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를 하는 동안에 덮개가 측면 벽에 의하여 지지 되어 망실의 위험 없이 안정적이고 내용물의 분실 위험을 없앤 상품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개구부의 일 변에서 접히는 덮개를 가지는 상품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면상에 상품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채, 상기 개구부의 타 변에서 접히면서 개구부에 삽입되어 닫히거나 열리는 상품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품수납부를 먼저 닫고 덮개를 닫아 덮거나, 덮개를 먼저 닫은 후 상품수납부를 닫아 덮개 위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용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수납부의 측면으로는 걸림턱이 돌출되어져 상품수납부를 닫을 때 개구부 측면 벽에 상기 걸림턱이 걸림으로써 일정 깊이 이상으로는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용 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 바닥에는 상기 측면 벽으로부터 이어지고 부속품 수납홈이 형성된 기저부가 구비되어 부속품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용 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품수납부는 수납홈이 형성된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의 이면으로 일정 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납홈으로 삽입된 상품을 지지하는 안착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면과 안착면을 연결하는 상품수납부의 하단은 경사를 이루면서 덮개를 먼저 닫은 후 상품수납부를 닫으면 상품수납부가 경사진 채 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용 상자.
  5.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단부에는 삽입날이 돌출되고, 상기 상품수납부의 개구부에 접히는 부분에는 상기 삽입날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가지면서,
    상품수납부를 먼저 닫고 덮개를 닫거나 덮개를 먼저 닫고 상품수납부를 닫을때 각기 삽입날을 삽입홈의 일 방향으로 끼워넣거나 반대 방향으로 끼워넣음으로써 덮개를 고정적으로 닫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포장용 상자.
KR2020050036001U 2005-12-22 2005-12-22 상품 포장용 상자 KR200410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001U KR200410487Y1 (ko) 2005-12-22 2005-12-22 상품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001U KR200410487Y1 (ko) 2005-12-22 2005-12-22 상품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487Y1 true KR200410487Y1 (ko) 2006-03-07

Family

ID=4176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001U KR200410487Y1 (ko) 2005-12-22 2005-12-22 상품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4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962A (ko) * 2018-09-28 2020-04-08 (주)늘솜 디지털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전자매대
KR20210031102A (ko) * 2019-09-11 2021-03-19 (주)삼원피앤피(Pnp)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962A (ko) * 2018-09-28 2020-04-08 (주)늘솜 디지털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전자매대
KR102174450B1 (ko) * 2018-09-28 2020-11-04 정문성 디지털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전자매대
KR20210031102A (ko) * 2019-09-11 2021-03-19 (주)삼원피앤피(Pnp)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KR102280660B1 (ko) * 2019-09-11 2021-07-22 (주)삼원피앤피(Pnp)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CA3000057A1 (en) Pack for consumer goods
KR200410487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200452126Y1 (ko) 쿠키 포장상자
KR200398741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101994868B1 (ko) 포장상자
KR200470084Y1 (ko)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JP6773895B2 (ja) 容器、ブランク、モジュール式展示装置、及びモジュール式展示装置から展示装置を形成する方法
KR200410488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200491906Y1 (ko) 상자
KR101757152B1 (ko) 전시 기능을 갖는 포장용 상자
US20110100867A1 (en) Packaging and display device
JP2011031891A (ja) 梱包箱及び積載方法
CN218318310U (zh) 一种兼具陈列展示功能的盒子
JP6565773B2 (ja) 梱包箱
US20220371768A1 (en) Box with Interior Lift Mechanism
JP3042561B2 (ja) 包装箱
KR200476097Y1 (ko) 간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KR200442947Y1 (ko) 포장용 조립체
CN220054528U (zh) 一种抽屉式化妆品展示盒
JP3235976U (ja) 収納容器
JP2008100734A (ja) 陳列用包装箱
JP3214295U (ja) 商品展示用収容箱
KR200491731Y1 (ko) 포장 및 전시용 박스
CA2876843C (en) Packing box for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