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102A -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 Google Patents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102A
KR20210031102A KR1020190112615A KR20190112615A KR20210031102A KR 20210031102 A KR20210031102 A KR 20210031102A KR 1020190112615 A KR1020190112615 A KR 1020190112615A KR 20190112615 A KR20190112615 A KR 20190112615A KR 20210031102 A KR20210031102 A KR 2021003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box body
small package
boxe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660B1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삼원피앤피(Pnp)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피앤피(Pnp) filed Critical (주)삼원피앤피(Pnp)
Priority to KR102019011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6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개의 물품을 포장한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묶음 단위로 일괄 포장하여 소포장 상자들의 포장성능을 유지하면서 소포장 상자들의 일괄 인출을 용이하게 개선하고, 포장상자의 간단한 구조로부터 상자를 효율적으로 제조생산함을 제공하도록, 내측에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수납할 수 있게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기준으로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수납박스체와;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유출입 가능하고,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일괄 포장하되 소포장 상자를 부분적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묶음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묶음포장체는 상기 수납박스체 내 하면과 동일한 면적을 이루며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수납박스체 내 동일한 높이를 이루되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단에 수직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의 한쪽 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벽부와,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지지벽부의 상단에 수평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의 상면과 함께 상기 지지벽부의 반대편에 소포장 상자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Packing Box Assembly for Bundle Packing of Small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개의 물품을 포장한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묶음 단위로 일괄 포장하여 소포장 상자들의 포장성능을 유지하면서 소포장 상자들의 일괄 인출을 용이하게 개선하고, 포장상자의 간단한 구조로부터 상자를 효율적으로 제조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모든 상품들은 적정 사이즈 및 디자인 등에 맞춰 상품의 포장상태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상품을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기능에만 그치지 않고, 상품을 보호함은 물론 상품의 가치를 고취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더욱 세련되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포장상자는 재사용 가능하면서도 사용의 편의성이 고려되게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의 경우 내부에 상품을 포장한 상태로 매장에 전시하게 되며,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포장상자 그대로를 비닐봉투나 쇼핑백에 담아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는 구매한 상품을 비닐봉투나 쇼핑백으로부터 꺼낸 후 포장상자를 개봉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포장상자를 담을 때 사용되는 비닐봉투나 쇼핑백 등이 대부분 쓰레기로 처리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잘 썩지 않는 비닐봉투 등이 환경오염을 야기시킴은 물론, 포장박스의 근접부위를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금속재질의 클립을 사용하기 때문에 포장박스를 재활용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다는 등의 많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94256호(2008.01.07.)에는 판지를 전개상태 상자의 구조로 절단하고 상자의 모서리를 접고 연결부를 풀로 붙여 상품을 포장하도록 제공되는 것에 있어서, 사면 벽판과 배면판이 판지로 연속된 사각형 튜브의 열린 구부에 내용기를 서랍상태로 끼우고, 쇼핑백의 역할을 포함하도록 운반용 손잡이 끈을 구부 근처에 설치한 외용기와; 사면 외벽판과 내벽판과 밑판이 판지로 연속된 사각형 용기의 사각 공간에 하나 이상의 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품 지지체를 수용한 내용기를 외용기의 구부에 서랍상태로 조립하여 서랍상태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가 결합되는 외용기의 구부에서 연장되고 구부의 내측으로 접어겹쳐 겹쳐진 부분의 구부 강도를 높이는 구부겹침 판지들과; 상기 구부겹침 판지들 중 하나의 판지의 끝 스토퍼를 판지의 탄성으로 외용기에서 분리시켜 내용기를 열 때 스토퍼가 내용기의 내면벽에 잘 걸리도록 갭을 구비한 스토퍼와; 상기 내용기의 내벽에 구비되어 외용기의 스토퍼에 걸리는 내면턱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품의 보존 정리와 초기 품위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서랍형 포장박스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971682호(2010.07.15.)에는 일 면이 개방된 제1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판에 대해 상판, 하판 및 양 측판이 형성된 인너케이스와, 상기 상판에 형성된 2개의 상판홀에 양단의 플랜지가 삽입된 손잡이와,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방되어 상기 인너케이스를 슬라이드 형태로 수용하는 제2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이 폐쇄되고, 상기 상면에 손잡이가 돌출 가능한 손잡이홀이 형성된 외장케이스와, 상기 상판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의 플랜지가 내입되고 제1공간가 격리된 제3공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공간은 상판에서 연장된 연장판이 복수 개의 굽힘선에 의해 제1공간 측으로 굽혀져 형성되고, 상기 제3공간 내부에 양 측판의 측면에서 연장된 지지판이 형성되어 연장판의 내면과 중첩되게 구성됨에 따라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제조비용을 낮추고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슬라이드형 포장박스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소포장 상태인 물품을 수납상태로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와 외부가 구분된 상자를 용기형태로 제작하기 때문에 내외로 구분된 상자 구조를 서로 별도 제작해야만 하여 제작공정이 복잡하며, 재료비용 및 인건비 상승에 따른 제품의 생산단가가 증가하여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내외로 구분된 2개의 상자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물품의 포장상태에서 전체적인 무게를 가중하여 휴대성 및 포장상자로서의 기능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794256호 (2008.01.07.)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71682호 (2010.07.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이 포장된 소포장 상자를 일괄적으로 감싸 덮으면서 외부 상자와는 분리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므로 복수의 소포장 상자에 대한 묶음 단위의 포장성능 및 사용효율을 높이며, 제작공정이 간편하면서 재료비용 및 인건비를 최소화하고, 전체적인 상자무게를 낮춰 휴대성능을 높일 수 있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는 내측에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수납할 수 있게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기준으로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수납박스체와;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유출입 가능하고,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일괄 포장하되 소포장 상자를 부분적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묶음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묶음포장체는 상기 수납박스체 내 하면과 동일한 면적을 이루며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수납박스체 내 동일한 높이를 이루되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단에 수직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의 한쪽 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벽부와,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지지벽부의 상단에 수평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의 상면과 함께 상기 지지벽부의 반대편에 소포장 상자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박스체는, 한 쌍의 하면조립판 및 복수 개의 측벽판을 서로 접힘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납박스체의 측벽판에는 일단에 연장하여 상기 측벽판의 내면에 부착하는 접착부를 구성한다.
상기 수납박스체에는 상기 측벽판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하되 상기 수납공간을 향한 내측으로 접힘 형성하는 접힘연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납박스체에는 복수 개의 측벽판 중 하나의 상단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파지홈을 구성한다.
상기 묶음포장체에는 상기 커버부의 양쪽 단부에 연장하여 상기 수납박스체 상에 거치될 수 있게 형성하는 안착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에 의하면 외부 박스체 내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일괄 포장하면서 박스체를 개폐하는 판지 형태의 포장체를 구성하므로, 물품의 안전보관성 및 일괄 개봉성을 갖는 포장상자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하면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이 간편하면서 제작비용 및 인건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며, 상자 자체적인 무게를 낮춰 휴대성 및 포장상자로서의 기능성을 향샹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수납박스체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묶음포장체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묶음포장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내측에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수납할 수 있게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기준으로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수납박스체와;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유출입 가능하고,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일괄 포장하되 소포장 상자를 부분적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묶음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묶음포장체는 상기 수납박스체 내 하면과 동일한 면적을 이루며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수납박스체 내 동일한 높이를 이루되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단에 수직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의 한쪽 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벽부와,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지지벽부의 상단에 수평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의 상면과 함께 상기 지지벽부의 반대편에 소포장 상자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박스체(10)와, 묶음포장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박스체(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복수의 소포장 상자(B) 즉 개개의 물품이 단위 포장된 상자를 수납할 수 있게 맞춤형 면적을 갖는 수납공간(S)을 구비한다.
상기 수납박스체(1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S)을 향한 복수의 소포장 상자(B)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이 개방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수납공간(S)을 기준으로 일면(도면에서는 상면)이 개방된 개구부(19)를 형성한다.
상기 수납박스체(10)는 도 4에서처럼 판지형태의 구조체에서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상자형상의 외형을 이루게 조립 형성한다.
상기 수납박스체(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면조립판(11) 및 복수 개(4개)의 측벽판(13)을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하면조립판(11) 및 복수의 상기 측벽판(13)을 서로 접힘 연결하여 상자형상을 이룬다.
상기 수납박스체(10)에는 4개의 측벽판(13) 즉 전후 좌우 4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벽판(13)을 접힘 제작한 상태에서 일체의 외형을 유지하도록 부착하는 접착부(14)를 형성한다.
상기 접착부(14)는 복수의 측벽판(13) 중 최외곽에 배치한 측벽판(13)의 일단에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14)에 대면하는 상기 측벽판(13)의 내면에 부착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수납박스체(10)에는 상기 측벽판(13) 중 전후로 배치된 측벽판(13)의 상부에 사용자로부터 파지가능한 손잡이끈(5)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납박스체(10)에는 상기 측벽판(13)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하는 접힘연장부(15)를 구비한다.
상기 접힘연장부(15)는 상기 측벽판(13)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납공간(S)을 향한 내측으로 접힘 형성하므로, 상기 수납박스체(10) 내 손잡이끈 끝 매듭 부분을 숨기며 상기 묶음포장체(20)의 인/출입시 걸림 면 마찰로 인하여 헐거움 방지 등의 스토퍼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납박스체(10)에는 복수 개의 측벽판(13) 중 하나 즉 전방에 배치된 측벽판(13)의 상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파지홈(17)을 형성한다.
상기 파지홈(17)은 사용자의 손가락 진입이 용이하게 "U"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납박스체(10)에 파지홈(17)을 형성하게 되면, 수납박스체(10)와의 결합 상태인 묶음포장체(20)를 일부 노출시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성으로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묶음포장체(20)는 상기 수납박스체(10) 내 복수의 소포장 상자(B)를 하나의 묶음으로 일괄 포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묶음포장체(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소포장 상자(B)를 감싼 채 상기 수납박스체(10)의 개구부(19)에 대응하여 유출입 가능하며, 상기 수납박스체(10)의 개구부(19)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묶음포장체(2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납박스체(10) 내 소포장 상자(B)를 부분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하부지지부(21) 및 지지벽부(23), 커버부(25)를 구성한다.
상기 묶음포장체(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지부(21) 및 상기 지지벽부(23), 상기 커버부(25) 간에 상호 방향을 전환하여 접힘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하부지지부(21)는 상기 수납박스체(10) 내 하면과 동일한 면적을 이루며 복수의 소포장 상자(B)의 하부에 면 접촉하여 지지한다.
상기 지지벽부(23)는 상기 수납박스체(10) 내 동일한 높이 즉 상기 수납박스체(10) 내 측 벽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게 형성한다.
상기 지지벽부(23)는 상기 하부지지부(21)의 일단에 수직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B)의 후방 한쪽 측면을 접촉 지지하게 형성한다.
상기 묶음포장체(2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부(21)와 상기 지지벽부(23)의 상호 굽어진 경계부분에 지지보강부(2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보강부(27)는 "L" 형상으로 덧대어 부착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묶음포장체(20)에 지지보강부(27)를 구성하게 되면, 수납박스체(10)로부터 분리 과정에서 소포장 상자(B)와의 접촉 지지상태인 본래 직각 형태에서의 형상변형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25)는 상기 수납박스체(10)의 개구부(19)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25)는 상기 지지벽부(23)의 상단에 수평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25)는 소포장 상자(B)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수납박스체(10)의 개구부(19) 상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결속부(25a)를 구비한다. 즉, 상기 커버부(25)는 복수의 소포장 상자(B)의 상면과 함께 상기 지지벽부(23)의 반대편 즉 소포장 상자(B)의 전방에 대응하여 상기 결속부(25a)가 소포장 상자(B)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형성한다.
상기 묶음포장체(20)는 사용자가 소포장 상자(B)의 상부 즉 상기 수납박스체(10)의 파지홈(17)에 대응된 상기 커버부(25)의 결속부(25a)와 상기 지지벽부(23)를 파지하여 상기 수납박스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묶음포장체(20) 중 상기 커버부(25)에는 상기 결속부(25a)의 내면에 소포장 상자(B)와의 면 마찰을 가중할 수 있는 접촉패드(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므로, 사용자로부터 소포장 상자(B)의 파지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묶음포장체(20)에는 상기 커버부(25)의 양쪽 단부에 연장하여 상기 수납박스체(10) 상에 거치될 수 있게 형성하는 안착단부(26)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단부(26)는 상기 수납박스체(10)의 개구부(19) 상에 상기 커버부(25)의 결속시 안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에 의하면, 외부 박스체 내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일괄 포장하면서 박스체를 개폐하는 판지 형태의 포장체를 구성하므로, 물품의 안전보관성 및 일괄 개봉성을 갖는 포장상자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하면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이 간편하면서 제작비용 및 인건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며, 상자 자체적인 무게를 낮춰 휴대성 및 포장상자로서의 기능성을 향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수납박스체 11 : 하면조립판 13 : 측벽판
14 : 접착부 15 : 접힘연장부 17 : 파지홈
19 : 개구부 20 : 묶은포장체 21 : 하부지지부
23 : 지지벽부 25 : 커버부 25a : 결속부
26 : 안착단부 27 : 지지보상부 B : 소포장 상자

Claims (5)

  1. 내측에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수납할 수 있게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기준으로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수납박스체와;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유출입 가능하고,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일괄 포장하되 소포장 상자를 부분적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묶음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묶음포장체는 상기 수납박스체 내 하면과 동일한 면적을 이루며 복수의 소포장 상자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수납박스체 내 동일한 높이를 이루되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단에 수직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의 한쪽 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벽부와, 상기 수납박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지지벽부의 상단에 수평 직각방향으로 접힘 연장하여 복수의 소포장 상자의 상면과 함께 상기 지지벽부의 반대편에 소포장 상자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체는, 한 쌍의 하면조립판 및 복수 개의 측벽판을 서로 접힘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납박스체의 측벽판에는 일단에 연장하여 상기 측벽판의 내면에 부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체에는 상기 측벽판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하되 상기 수납공간을 향한 내측으로 접힘 형성하는 접힘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체에는 복수 개의 측벽판 중 하나의 상단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파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묶음포장체에는 상기 커버부의 양쪽 단부에 연장하여 상기 수납박스체 상에 거치될 수 있게 형성하는 안착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KR1020190112615A 2019-09-11 2019-09-11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KR10228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15A KR102280660B1 (ko) 2019-09-11 2019-09-11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15A KR102280660B1 (ko) 2019-09-11 2019-09-11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102A true KR20210031102A (ko) 2021-03-19
KR102280660B1 KR102280660B1 (ko) 2021-07-22

Family

ID=7526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15A KR102280660B1 (ko) 2019-09-11 2019-09-11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6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252U (ja) * 2000-05-15 2000-11-14 株式会社栗原園 包装袋
KR200301159Y1 (ko) * 2002-10-08 2003-01-15 한국담배인삼공사 담배갑 보호케이스
KR200410487Y1 (ko) * 2005-12-22 2006-03-07 도재호 상품 포장용 상자
KR100794256B1 (ko) 2006-09-16 2008-01-1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서랍형 포장박스
KR20090003846U (ko) * 2007-10-22 2009-04-27 (주) 동남사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KR100971682B1 (ko) 2008-02-05 2010-07-22 (주) 대림칼라 슬라이드형 포장박스
KR20160000032U (ko) * 2014-06-26 2016-01-06 (주)참존박스 종이판재로 제작되어 박스형태가 유지되는 치킨 포장용 쇼핑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252B2 (ja) * 1991-04-03 2000-08-07 三井化学株式会社 共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252U (ja) * 2000-05-15 2000-11-14 株式会社栗原園 包装袋
KR200301159Y1 (ko) * 2002-10-08 2003-01-15 한국담배인삼공사 담배갑 보호케이스
KR200410487Y1 (ko) * 2005-12-22 2006-03-07 도재호 상품 포장용 상자
KR100794256B1 (ko) 2006-09-16 2008-01-1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서랍형 포장박스
KR20090003846U (ko) * 2007-10-22 2009-04-27 (주) 동남사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KR100971682B1 (ko) 2008-02-05 2010-07-22 (주) 대림칼라 슬라이드형 포장박스
KR20160000032U (ko) * 2014-06-26 2016-01-06 (주)참존박스 종이판재로 제작되어 박스형태가 유지되는 치킨 포장용 쇼핑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660B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496B2 (ja) 運搬用コンテナ
KR102280660B1 (ko)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KR100971682B1 (ko) 슬라이드형 포장박스
WO2019134357A1 (zh) 包装盒
KR101300468B1 (ko) 상품의 운반 및 전시용 포장케이스
KR20170011880A (ko) 포장용 박스
KR20130003541U (ko) 위생용품 수납박스
KR200407978Y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KR200498041Y1 (ko) 복수의 수납공간을 갖는 포장 박스
CN209814525U (zh) 一种双层粉饼包装盒
CN220411169U (zh) 包装盒
KR20230001418U (ko) 복수의 수납공간을 갖는 포장 박스
KR100825445B1 (ko) 일체형 포장용 종이 박스
CN210913581U (zh) 可展示包装盒
CN208217209U (zh) 一种环保易包装运输的展示盒
KR200486261Y1 (ko) 낱개의 제품을 세트로 포장하는 상자
JP6539064B2 (ja) 組立容器
JPS6318579Y2 (ko)
KR200470366Y1 (ko) 곡물용 포장
JPH086736Y2 (ja) カートンボックス
JPH0738120Y2 (ja) 包装箱の仕切りを設けた提げ手
JPH0215790Y2 (ko)
JPS5940263Y2 (ja) 展示兼用包装函
KR200366839Y1 (ko) 고무밴드(줄) 포장용 투명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