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846U -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846U
KR20090003846U KR2020070017002U KR20070017002U KR20090003846U KR 20090003846 U KR20090003846 U KR 20090003846U KR 2020070017002 U KR2020070017002 U KR 2020070017002U KR 20070017002 U KR20070017002 U KR 20070017002U KR 20090003846 U KR20090003846 U KR 200900038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opening flange
combined
shopping
shopp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491Y1 (ko
Inventor
민권식
Original Assignee
(주) 동남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남사 filed Critical (주) 동남사
Priority to KR2020070017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9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랍 식으로 결합 되는 수납부재와 운반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운반부재의 입구에는 취급수단과 개구플랜지가 구비되고, 개구플랜지와 개구플랜지에 대응되는 수납부재에는 암수로 결합되는 결속수단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물품의 포장이 간편하고, 손상을 방지하며, 운반시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불필요한 쇼핑백의 남용을 방지함으로써, 생활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다용도, 쇼핑백, 가방, 겸용, 포장, 박스, 상자

Description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THE COMBINED SHOPPING AND PACKING BOX}
본 고안은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는 유통시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시효과를 높임으로써, 소비자에게 해당 상품에 대한 광고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같은 인식 하에 개시된 형태의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92074호(2002. 10. 1., 이하 '종래기술1'라 함) "운반 겸용 진열용 포장상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상품을 거치하기 위한 사각형 구조의 바닥면과, 이 바닥면을 중심으로 양측에 돌출 구비된 좌/우측면, 그리고 좌/우측면 바깥으로 돌출되며, 상품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낮게 형성된 전/후면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유통 및 진열 과정을 간편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1은 사각형태의 박스로 이루어져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운반이나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판매점의 입장에서는 별도의 쇼핑백을 구비하여 필요로 하는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하므로 비치물품이 늘어나는 등에 대한 부담이 생기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포장된 구매물품 외에 쇼핑백과 같은 운반을 위한 물품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314380호(2003. 5. 13., 이하 '종래기술2'라 함) "가방 겸용 포장상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저판부와 제1측벽부, 제1상판부 및 제2상판부로 이루어진 가방벽부재와, 제1결합수단, 제2측벽부 및 내측측벽부로 형성된 상자벽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방벽부재의 제1측벽부에 손잡이부가 구성되어 파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종래기술2는 상품을 포장한 상태 그대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으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제조공정이 늘어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며, 원자재에 대한 비용이 늘어나면서 제조원가 또한 높아지므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특히, 종래기술2는 사용하고 난 뒤, 산기슭과 같은 곳에 버려졌을 때, 토양과 함께 부식되지 않는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각종 쓰레기 등과 함께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품에 대한 포장이 간편하고, 외관을 견고하게 제작하여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반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공정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제고하며, 원자재 비용을 줄임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추고 물품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인 무공해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생활쓰레기로 인한 자연환경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포장상자의 품질 향상을 통해 고품격의 선물세트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의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는 서랍 식으로 결합되는 수납부재와 운반부재로 이루어지며, 운반부재에는 취급수단과 개구플랜지가 구비되고, 개구플랜지와 그에 대응되는 수납부재에는 암수로 결합되는 결속수단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운반부재의 입구에는 이중으로 형성된 커버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본 고안의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에 의하면, 서랍 식으로 결합되는 수납부재와 운반부재를 채택함으로써, 물품의 포장이 간편하고, 외관을 견고하므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운반부재에 취급수단을 채택함으로써, 물품의 운반시 편의성을 도모하며, 불필요한 쇼핑백의 남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제고하며, 원자재 비용을 줄여 제조원가를 낮춤으로써, 물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인 무공해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생활쓰레기로 인한 자연환경의 파괴를 방지하며, 포장상자의 외형적 미감을 높임으로써, 고급 선물세트의 품격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서랍 식으로 결합되는 수납부재(10)와 운반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각상자 형태가 제조나 사용하는데 있어서 좋다.
수납부재(10)는 자체 내에 소정의 수납공간(11)을 형성하는 것으로, 수납물품의 재질 또는 형상적 특징에 따라 적절한 공간 분할을 위한 수단 등이 구비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특히, 그 측면의 벽은 단일구조로 이루어진 형태 또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자 자체의 견고함을 보장할 수 있는 이중구조가 좋다.
운반부재(20)에는 취급수단(22) 및 개구플랜지(23)를 구비하되, 그 입구(21) 측에 마련하여 수납부재(10)의 장착이 용이하게 하고, 휴대시에는 수납부재(10)와 운반부재(20)의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취급수단(22)은 운반이나 휴대를 위한 손잡이 형태로써, 끈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절편(切片)을 운반부재(20)의 입구(21) 쪽에 설치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취급수단(22)은 운반부재(20)의 적정 부위에 구멍을 내고, 소정의 매듭이나 다른 고정을 위한 수단 등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플랜지(23)는 운반부재(20)의 입구(21) 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소정 폭만큼 형성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단축면보다 장축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함으로써, 수납부재(10)의 탈·장착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은 개구플랜지(23)와 개구플랜지(23)에 대응되는 수납부재(10)에 결속수단(30)을 구비하여 수납부재(10)와 운반부재(20)의 장착상태를 확실하게 잡아주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결속수단(30)은 암수로 결합되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든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3에서처럼 소정형태의 삽입체와 그에 대응되는 구멍과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결속수단(30)은 암수 중 어느 한 곳에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이탈방지단(31)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탈방지단(31)은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소정형태의 삽입체 가장자리 중 측면 양 끝단에 쌍으로 형성된 돌출단 형태로 이루어져, 결속수단(30)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운반부재(20)는 입구(21)에 이중으로 형성된 커버플레이트(24)가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커버플레이트(24)는 운반부재(20)의 입구(21) 사면에서 연장된 일종의 플랜지 형태로써, 운반부재(20)의 입구(21) 안쪽으로 접혀 이중구조를 형성함으로 운반부재(20)의 입구(21)를 견고하게 보강하는 한편, 도 3에서처럼 수납부재(10)의 탈·장착시 취급수단(22)의 매듭 등과의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 간의 작동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에서 도시한 수납부재(10)의 수납공간(11) 내에 소정의 상품을 담은 뒤, 서랍을 닫는 것처럼 운반부재(20)의 입구(21)에 수납부재(10)의 일단을 맞댄 상태에서 밀어 넣어 결합하는 것으로, 해당 물품에 대한 포장이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발휘된다.
이때, 운반부재(20)의 개구플랜지(23)는 소정의 각도만큼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운반부재(20)의 입구(21)를 다소 넓혀 수납부재(10)의 장착 중에 유발될 수 있는 간섭 등으로 인한 장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커버플레이트(24)의 경우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 재(10)의 탈·장착시 취급수단(22)의 분리를 막기 위한 매듭 등으로 인한 작동 간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또는, 운반부재(20) 내에서 수납부재(10)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수납공간(11)에 담긴 물품이 바닥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커버플레이트(24)는 운반부재(20)의 입구(21)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수납부재(10)와의 잦은 마찰에 따른 내구성을 제고함은 물론, 운반부재(20)의 외형적인 형체의 견고성을 보강함으로써, 포장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등의 기술적인 특징을 발휘한다.
이후, 운반부재(20)의 개구플랜지(23)와 이에 대응되는 수납부재(10)에 형성된 결속수단(30)을 체결하여 수납부재(10)와 운반부재(20)의 결속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탈방지단(31)은 결속수단(30)의 체결상태가 의도하지 않은 힘에 의해 해지되지 않도록 암수 상호 간의 구속을 튼튼하게 함으로써, 수납부재(10)와 운반부재(20)의 결속을 더욱 단단히 한다.
도 2에서처럼 결속된 본 고안의 수납부재(10) 및 운반부재(20)는 끈이나 합성수지재 절편(切片)으로 이루어진 취급수단(22)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나 취급자가 손쉽게 운반 또는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운반이나 휴대시 편의성을 도모하며, 불필요한 쇼핑백의 남용 또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골판지와 같은 친환경 무공해 소재를 원자재로 채택하여 설령 자연환경에 버려진다 할지라도 퇴비(堆肥)와 같이 부식성이 좋으므로 자연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특정 실시형태를 대표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또는 변경 실시될 수 있는 것 또한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의 분해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의 사용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의 결합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수납부재 11 : 수납공간
20 : 운반부재 21 : 입구
22 : 취급수단 23 : 개구플랜지
24 : 커버플레이트 30 : 결속수단
31 : 이탈방지단

Claims (4)

  1. 서랍 식으로 결합되는 수납부재(10)와 운반부재(20)로 이루어지며, 운반부재(20)에는 취급수단(22) 및 개구플랜지(23)가 구비되고, 개구플랜지(23)와 개구플랜지(23)에 대응되는 수납부재(10)에는 암수로 결합되는 결속수단(30)이 구비된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수단(22)은 손잡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20)는 입구(21)에 이중으로 형성된 커버플레이트(2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30)은 암수 중 어느 한 곳에 이탈방지단(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KR2020070017002U 2007-10-22 2007-10-22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KR200447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02U KR200447491Y1 (ko) 2007-10-22 2007-10-22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02U KR200447491Y1 (ko) 2007-10-22 2007-10-22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46U true KR20090003846U (ko) 2009-04-27
KR200447491Y1 KR200447491Y1 (ko) 2010-01-26

Family

ID=4128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002U KR200447491Y1 (ko) 2007-10-22 2007-10-22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000B1 (ko) * 2012-11-14 2015-02-04 옥윤선 포장박스 겸용 쇼핑백
KR20210031102A (ko) * 2019-09-11 2021-03-19 (주)삼원피앤피(Pnp)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US11459143B2 (en) * 2020-07-28 2022-10-04 Christopher M. Darmon Integrated, portable and hybrid package and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422U (ja) * 1992-12-25 1994-07-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輸送兼用収納箱
JP2004307060A (ja) 2002-12-04 2004-11-04 Shinji Yamazaki 収納容器
KR200432462Y1 (ko) * 2006-09-16 2006-12-04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서랍형 포장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000B1 (ko) * 2012-11-14 2015-02-04 옥윤선 포장박스 겸용 쇼핑백
KR20210031102A (ko) * 2019-09-11 2021-03-19 (주)삼원피앤피(Pnp) 소포장 상자 묶음 포장용 수납상자
US11459143B2 (en) * 2020-07-28 2022-10-04 Christopher M. Darmon Integrated, portable and hybrid package and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491Y1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340B1 (ko)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KR200447491Y1 (ko)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KR200445296Y1 (ko) 서랍형 포장박스
KR200481085Y1 (ko) 내부 지지대를 구비한 다단 적재형 포장용 상자
JP5864225B2 (ja) ロール製品用ケース
JP3115322U (ja) 通い箱
KR101096667B1 (ko) 상품 케이스 일체형 쇼핑백
KR200450029Y1 (ko) 포장용 상자
KR20110014300A (ko) 원가 절감형 날개 조정형 조립 박스
KR200262355Y1 (ko) 딸기용기
KR101465840B1 (ko)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CN213949122U (zh) 一种瓶子
KR200359459Y1 (ko)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JP2000191024A (ja) 底部用包装材
KR101037623B1 (ko) 상품 포장 및 운반용 꾸러미
JP3124271U (ja) 搬送容器の防塵手掛け
CN216375753U (zh) 一种自由套叠组合的茶点包装
KR101016482B1 (ko) 치약 포장용 박스
WO2013041116A1 (en) System comprising a transport box and/or sales box for footwear and a bag
KR20110000034U (ko) 포장박스
KR200389098Y1 (ko) 다단으로 적층되는 운반상자용 바구니
KR200419932Y1 (ko) 접이식 분리수거함
KR970004141Y1 (ko) 절첩식 운반용기
JP2008143571A (ja) 食品包装用容器
KR20230173902A (ko)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