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699A -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699A
KR20130002699A KR1020110063819A KR20110063819A KR20130002699A KR 20130002699 A KR20130002699 A KR 20130002699A KR 1020110063819 A KR1020110063819 A KR 1020110063819A KR 20110063819 A KR20110063819 A KR 20110063819A KR 20130002699 A KR20130002699 A KR 20130002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average luminance
luminance value
image
brightnes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807B1 (ko
Inventor
박수진
찬드라 비젤완 디팍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807B1/ko
Priority to US13/180,870 priority patent/US8730353B2/en
Priority to JP2011170991A priority patent/JP6005915B2/ja
Priority to JP2011175218A priority patent/JP6141587B2/ja
Publication of KR2013000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Image Inpu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와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디지털 사진에 대해, 피사체가 주로 존재하는 영역과 배경화면이 존재하는 영역을 구분하고, 각 영역 별로 평균 휘도값을 구한 다음, 피사체의 평균 휘도값과 배경화면의 평균 휘도값의 차이를 구하고, 이 차이가 소정 범위 내이면 피사체의 휘도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고, 이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여 노출을 제어함으로써 피사체를 더 강조할 수 있는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A METHOD OF ADAPTIVE AUTO EXPOSURE CONTOL BASED UPON ADAPTIVE REGION'S WEIGH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노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사체와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디지털 사진에 대해, 피사체가 주로 존재하는 영역과 배경화면이 존재하는 영역을 구분하고, 각 영역 별로 평균 휘도값을 구한 다음, 피사체의 평균 휘도값과 배경화면의 평균 휘도값의 차이를 구하고, 이 차이가 소정 범위 내이면 피사체의 휘도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고, 이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여 노출을 제어함으로써 피사체를 더 강조할 수 있는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좋지 않은 사진을 만드는 주요 문제들 중 하나는 빛에 대한 부적절한 노출이다. 최근의 카메라에 통합된 최신 특징들 예컨대,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문제점이 발생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을 조절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거의 대부분 최적화되지 못하고, 부정확한 노출을 갖는 이미지가 촬영된다. 이것은 특히 휴대폰 등의 핸드셋 장치에 대해 그러한데, 핸드셋 장치에서는 몇가지 요소, 예컨대, 조악한 광학 장치, 플래쉬의 부재, 고난도 광 조절 장치의 부재 등 때문에 노출이 좋지 않은 사진을 촬영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어느 정도의 노출이 정확한 노출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일반적인 사항들을 요약하고, 가장 중요한 영역을 재생하는데 있어서, 상황에 따라 또는 인지적 기준에 따라, 그레이 또는 휘도의 레벨 등과 관련하여 가능한 영역 중 중심값 등으로 최적의 노출을 정의하는 것은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 장면의 동적 영역이 인지적으로 "높다면", 전체적으로 관련 세부 사항을 획득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마련이다.
많은 자동 노출(AE)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지만, 대부분은 정확도 또는 복잡도에 있어서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광센서를 사용하여 더 높은 정확성과 속도로 노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 피드백으로 노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복잡도를 낮춘 노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이미지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피사체 영역과 배경화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각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 영역의 평균 휘도값과 상기 배경화면 영역의 평균 휘도값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 휘도값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평균 휘도값 차이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를 상기 피사체 영역의 평균 휘도값에 적용하여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기반으로 자동 노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광 조건, 저 조명 조건, 하이 콘트라스트 조건 등 임의의 조명 조건에서 최적 자동 노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영역과 배경화면 영역의 영역 구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 참조 곡선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미지의 자동 노출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은 이미지의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피사체와 배경화면 사이의 휘도차가 너무 크면, 피사체의 노출 과잉 또는 노출 부족이 발생한다.
역광 조건에서, 전체 이미지의 평균 휘도를 기반으로 노출을 제어하면 피사체의 노출 부족을 야기할 수 있다. 이것은 피사체와 배경화면 간의 휘도 차가 크기 때문에, 평균 휘도가 배경화면의 휘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광의 강도에 따라 피사체의 휘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촬영되는 대부분의 이미지에 있어서, 배경화면 영역은 이미지의 상부에 위치하고, 피사체는 이미지의 중심 및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미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영역, 즉 피사체 영역(R1)과 배경화면 영역(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영역 구분은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촬영되는 이미지들을 기반으로 경험적으로 산출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의 폭을 W, 높이를 H라 할 때, 피사체 영역(R1)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1/4W, 폭 W를 갖는 제1 직사각형(11)과, 높이 1/2H, 폭 2/3W를 갖는 제2 직사각형(12)이 합쳐진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경화면 영역(R2)은 R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피사체 영역(R1)과 배경화면 영역(R2)의 구분은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사진의 종류나 적용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출 제어는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 영역(R1)의 평균 휘도값과 배경화면 영역(R2)의 평균 휘도값의 차이에 따라,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이 다르게 결정된다.
피사체 영역(R1)과 배경화면 영역(R2)의 평균 휘도 값의 차이(LD:Luminance Difference)는 다음 (식 1)로부터 구할 수 있다.
LD = L(R2)-L(R1) ... (식 1)
여기서 L(R2)는 R2 영역의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이고, L(R1)은 R1 영역의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이다.
LD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이 결정될 수 있다. LD가 소정 범위, 예컨대 -127<LD<127 이내이면, 피사체 영역과 배경화면 영역 간에 휘도차가 그리 크지 않은 경우이다. 이 경우에, 도 2에 피사체를 더 강조하기 위해 피사체 영역(R1)의 평균 휘도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피사체 영역(R1)의 평균 휘도값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휘도값 차이(LD)에 반비례하는 0과 1 사이의 값일 수 있다. 피사체 영역(R1)에 0과 1 사이의 값을 곱하면, 전체 이미지의 평균값이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노출 제어 시에 더 많은 노출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 영역의 휘도를 강조할 수 있는 가중치에 대한 참조 곡선을 나타낸다.
가중치(w)를 사용하여 전체 이미지의 평균 휘도값(Iavg)을 아래 (식 2)로 구할 수 있다.
Iavg = (L(R2) + L(R1)*w)/2 ... (식 2)
휘도값 차이(LD)가 -127에 가까울수록, 피사체의 휘도가 더 높다는 뜻이므로, 가중치를 1에 가깝게 부여하여 원래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기준으로 노출을 수행하도록 하고, 휘도값 차이(LD)가 +127에 가까울 수록, 배경화면의 휘도가 더 높다는 뜻이므로, 가중치를 0에 가깝게 부여하여 노출이 더 많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휘도값 차이(LD)가 위 범위 밖이면 피사체 영역이 훨씬 더 휘도가 높거나, 또는 배경화면 영역이 훨씬 더 휘도가 높은 경우이다. 이런 경우는 휘도가 훨씬 높은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값 차이(LD)가 LD≤-127이면, 피사체 영역(R1)의 평균 휘도값을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휘도값 차이(LD)가 127≤LD이면 배경화면 영역(R2)의 평균 휘도값을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미지의 자동 노출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101)에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또는 카메라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들이다. 단계(S102)에서 카메라의 이미지 보정 과정, 예컨대 렌즈 쉐이딩 보상, 블랙 레벨 조정, 센서 선형성 체크 및 보간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카메라의 이미지 보정 과정이 완료된 이미지의 RGB 값이 노출 보정 알고리즘으로 입력된다.
단계(S103)에서 RGB 값을 YCbCr값으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Y값을 추출한다.
단계(S104)에서 도 1의 각 영역 R1,R2에 대해 평균 휘도값을 계산하고, 단계(S105)에서 평균 휘도값의 차이(LD)를 계산한다.
단계(S106)에서, 휘도 차이값(LD)이 -127<LD<127이면, 단계(S107)에서 도 2에 도시된 가중치에 대한 참조 곡선을 사용하여 R1의 평균 휘도값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108)에서 가중치를 부여한 값으로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계산한다. 즉,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은 다음 (식 2)에 의해 결정된다.
AL(Average Luminance) = (L(R2) + L(R1) * w)/2
여기서, L(R2)는 영역 R2의 평균 휘도값이고, L(R1)의 평균 휘도값이고, w는 도 2의 전달 함수 곡선으로부터 산출된 L(R1)의 평균 휘도값에 따른 가중치값이다.
단계(S109)에서 산출된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여 자동 노출 제어를 수행한다.
단계(S110)에서, 휘도 차이값(LD)이 LD<-127이면, 단계(S111)에서, 피사체 영역(R1)의 평균 휘도값을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으로 결정하고, 단계(S109)에서 산출된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여 자동 노출 제어를 수행한다.
휘도 차이값(LD)이 LD>127이면, 단계(S112)에서 배경화면 영역(R2)의 평균 휘도값을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으로 결정하고, 단계(S109)에서 산출된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여 자동 노출 제어를 수행한다.

11 : 피사체 영역의 제1 직사각형
12 : 피사체 영역의 제2 직사각형

Claims (5)

  1. 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피사체 영역과 배경화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각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 영역의 평균 휘도값과 상기 배경화면 영역의 평균 휘도값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 휘도값 차이가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평균 휘도값 차이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를 상기 피사체 영역의 평균 휘도값에 적용하여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을 기반으로 자동 노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범위는 -127보다 크고 127 보다 작은 범위인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휘도값 차이가 -127 이하이면, 상기 피사체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상기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휘도값의 차이가 127 이상이면, 상기 배경화면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상기 이미지 전체의 평균 휘도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RGB값을 YCbCr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Y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영역별 Y값의 산술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KR1020110063819A 2011-06-29 2011-06-29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KR10181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819A KR101812807B1 (ko) 2011-06-29 2011-06-29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US13/180,870 US8730353B2 (en) 2011-06-29 2011-07-12 Method of controlling adaptive auto exposure based on adaptive region weight
JP2011170991A JP6005915B2 (ja) 2011-06-29 2011-08-04 適応型自動露出制御方法
JP2011175218A JP6141587B2 (ja) 2011-06-29 2011-08-10 レンズシェーディング補正ファクタの算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819A KR101812807B1 (ko) 2011-06-29 2011-06-29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99A true KR20130002699A (ko) 2013-01-08
KR101812807B1 KR101812807B1 (ko) 2017-12-27

Family

ID=4739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819A KR101812807B1 (ko) 2011-06-29 2011-06-29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0353B2 (ko)
JP (2) JP6005915B2 (ko)
KR (1) KR1018128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0186A (ja) * 2014-06-26 2017-07-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背景ピクセルに基づく露出測定
US9986171B2 (en) 2014-09-30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exposure settings using a pixel array
US10645282B2 (en) 2016-03-11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panorama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025285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7508B2 (ja) * 2011-12-22 2016-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露光制御装置、撮像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露光制御方法
JP6046905B2 (ja) * 2012-04-02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露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320593B (zh) * 2014-11-19 2016-02-24 湖南国科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数码摄像装置自动曝光控制方法
CN107330867B (zh) 2017-06-16 2020-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合成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7241558B (zh) * 2017-06-16 2019-07-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曝光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WO2019082539A1 (ja) 2017-10-24 2019-05-02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819155B (zh) * 2017-11-20 2021-01-05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自动曝光控制方法与使用其的电子装置
CN108174088A (zh) * 2017-12-26 2018-06-15 上海展扬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亮度调节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200354B (zh) * 2018-03-06 2020-09-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及装置、成像设备、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8805831B (zh) * 2018-05-26 2021-10-29 杭州电子科技大学 深海环境下的图像增强方法
EP3847799B1 (en) 2018-09-07 2024-01-10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uto exposure of image sensors based upon entropy variance
US11412154B2 (en) 2018-09-07 2022-08-0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uto exposure of spatially-multiplexed-exposure high-dynamic-range image sensor metric and adjustment
CN110072050B (zh) * 2019-03-28 2021-03-30 苏州科达科技股份有限公司 曝光参数的自适应调整方法、装置及一种拍摄设备
CN110099222B (zh) * 2019-05-17 2021-05-07 睿魔智能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拍摄设备的曝光调整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WO2023146149A1 (ko) * 2022-01-27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156556A (ko) * 2022-05-06 202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하우징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WO2024005333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7429A (ja) * 1988-02-26 1989-08-31 Fuji Photo Film Co Ltd 測光装置
US5831676A (en) * 1992-08-19 1998-11-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device using plural control parameters for exposure control
JPH0951410A (ja) * 1995-05-26 1997-02-18 Minolta Co Ltd フィルム画像読取装置
US6825884B1 (en) * 1998-12-03 2004-11-30 Olympus Corporation Imaging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wide dynamic range image
JP3478769B2 (ja) * 1999-11-05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1235319A (ja) * 2000-02-22 2001-08-31 Sumitomo Chem Co Ltd シェーディング補正装置及び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及び表面検査装置
JP4104435B2 (ja) * 2002-11-26 2008-06-18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557219B1 (ko) * 2004-07-06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노출 보정 방법 및 보정 장치
KR100615277B1 (ko) * 2004-08-18 2006-08-25 엠텍비젼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에서의 렌즈 셰이딩 현상 보정 방법 및 장치
US7651466B2 (en) * 2005-04-13 2010-01-26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Pulse contou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assessment of a cardiovascular parameter
JP4571038B2 (ja) * 2005-07-27 2010-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
US20070024721A1 (en) * 2005-07-29 2007-02-01 Rogers Sean S Compensating for improperly exposed areas in digital images
JP4639271B2 (ja) * 2005-12-27 2011-02-23 三星電子株式会社 カメラ
JP4345757B2 (ja) * 2006-02-22 2009-10-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の色の補正
WO2007129444A1 (ja) * 2006-04-14 2007-11-15 Nikon Corporation 画像の歪曲補正方法、歪曲補正プログラム、及び光学装置
JP5127317B2 (ja) * 2007-06-25 2013-01-23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メラ
JP4994158B2 (ja) * 2007-08-28 2012-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
KR100992367B1 (ko) * 2008-12-01 2010-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노출 제어 방법
US8749662B2 (en) * 2009-04-16 2014-06-10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ens shading image corre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0186A (ja) * 2014-06-26 2017-07-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背景ピクセルに基づく露出測定
US9986171B2 (en) 2014-09-30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exposure settings using a pixel array
US10645282B2 (en) 2016-03-11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panorama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025285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807B1 (ko) 2017-12-27
JP2013013041A (ja) 2013-01-17
JP6005915B2 (ja) 2016-10-12
US20130002941A1 (en) 2013-01-03
JP6141587B2 (ja) 2017-06-07
US8730353B2 (en) 2014-05-20
JP2013013043A (ja)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2699A (ko)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US10412296B2 (en) Camera using preview image to select exposure
US7742637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aking an image, an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an image
US794032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images having optimized quality under night scene conditions
US7843493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8386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tone correctio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05918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US8964106B2 (en) Exposure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having the same
JP499987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49055B2 (ja) 撮像装置
JP201704607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912426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7311895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335964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713083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45918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における減光フィルタの制御方法
JP201818107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231599B2 (ja) 撮像装置
JP2007288245A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5914827B (zh) 一种昼夜切换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30370725A1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JP2007243556A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701136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撮像装置
JP2013197937A (ja) 撮像装置、露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300348A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