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434A -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434A
KR20130000434A KR1020107027983A KR20107027983A KR20130000434A KR 20130000434 A KR20130000434 A KR 20130000434A KR 1020107027983 A KR1020107027983 A KR 1020107027983A KR 20107027983 A KR20107027983 A KR 20107027983A KR 20130000434 A KR20130000434 A KR 2013000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 area
image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554B1 (ko
Inventor
신야 츠치다
신야 오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0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ant on signal of two data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76Supplementary capacities in pixels having special driving circuits and electrodes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common electrode or ground; Use of additional capacitively coupled compensatio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입체 표시 장치(1)의 구동 주파수를 올리지 않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한다.
입체 표시 장치(1)의 구동 방법은, 표시부(20)에 있어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제1 표시 영역의 복수의 행과 상이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1 단계와,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2 단계와, 제2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있어서,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3 단계와,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한다.

Description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 영상의 표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입체 영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각종의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입체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시차(視差)에 대응한 한쪽 눈용의 영상 신호 및 다른 쪽 눈용의 영상 신호를 표시 장치에 교대로 표시하고, 전자 셔터가 부착된 안경부의 셔터를 전환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서는, 입체 영상의 한 화면의 영상 신호는, 한쪽 눈용(우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설정된 제1 프레임의 영상 신호와 다른 쪽 눈용(좌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설정된 제2 프레임의 영상 신호로 분리된다. 그리고, 화소부에 다음의 고쳐쓰기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앞의 화상의 휘도가 유지되는 홀드형의 표시 방법에 의해, 제1 프레임의 영상 신호와 제2 프레임의 영상 신호가 교대로 표시부에 표시된다. 시청자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동기하여 좌우 셔터의 개폐를 행하는 안경부를 통해 한 화면분의 입체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설정된 제1 프레임의 영상 신호가 표시될 때에는, 안경부의 좌안 셔터가 닫혀, 시청자는 우안용의 영상 신호를 인식하며,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설정된 제2 프레임의 영상 신호가 표시될 때는, 안경부의 우안 셔터가 닫혀, 시청자는 좌안용의 영상 신호를 인식한다. 이에 의해, 시청자는 입체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입체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부에 있어서 영상 신호가 주사되는 주사선을 홀수 행(홀수 라인)의 군으로 이루어지는 홀수 블록, 짝수 행(짝수 라인)의 군으로 이루어지는 짝수 블록으로 2분할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설정된 제1 프레임의 영상 신호는 짝수 블록에,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설정된 제2 프레임의 영상 신호는 홀수 블록에 표시하며, 짝수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는 우안으로 인식하고, 홀수 블록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는 좌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안경부의 구동 동작과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동기하여 제어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소63-46410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즉, 상기한 입체 표시 장치에서는, 1 프레임 내에서 좌우안용의 영상을 나누어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영상 신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주사의 구동 주파수가, 입체 표시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높아짐과 더불어, 예를 들면, 우안 셔터가 닫혀 있을 때에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등의 불필요한 시간에서의 발광에 의해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 좌우안용의 영상 신호를 표시할 때에, 좌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시청자에게 혼합되어 인식되지 않도록 영상 표시와 흑표시를 전환하여 입체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구동 주파수를 더욱 높게 하거나,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일괄적으로 비표시로 하거나 할 필요가 있었지만,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입체 표시 장치에서는, 플리커를 저감하기 위해 주사선 단위로 안경부 좌우의 셔터의 개폐를 행하게 된다. 그 때문에, 표시부로의 영상 신호의 표시는 주사선 단위로 행해지며, 1 프레임분의 영상 신호를 전면 일괄 표시, 또는, 전면 일괄 비표시로 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에서의 발광에 의해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구동 주파수를 올리지 않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은, 우안용의 화상과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육안 확인 가능하게 하는 안경을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행과 상이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에 의하면, 구동 주파수를 올리지 않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입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일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안경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입체 표시 장치의 통상 시(평면 표시)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표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입체 표시 장치의 입체 표시 시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표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입체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휘도 동등 시의 표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b)는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c)는 종래 기술인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한 표시 영상을 나타낸다.
도 11은, 수직 해상도 동등 시의 표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b)는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c)는 종래 기술인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한 표시 영상을 나타낸다.
도 12는, 스캔 동등 시의 표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b)는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c)는 종래 기술인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한 표시 영상을 나타낸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일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입체 표시 장치의 통상 시(평면 표시)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입체 표시 장치의 입체 표시 시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입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일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일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우안용의 화상과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육안 확인 가능하게 하는 안경을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행과 상이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표시부를 행(라인) 단위로 2개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한쪽의 표시 영역에서의 표시 시에, 다른 쪽의 표시 영역을 비표시로 하여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므로, 종래의 입체 표시의 구동 방법에 비해, 구동 주파수를 예를 들면 1/4로 저감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삭감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각각,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시킨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 중 어느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기입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당해 화상에 대해 표시를 행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시킨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 중 다른 어느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기입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당해 화상에 대해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 및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제1 표시 영역 또는 제2 표시 영역에 대응시켜 당해 화상에 대해 기입 및 표시를 행하므로, 안경부의 셔터에 동기시켜 좌우 눈에 대응한 영상 신호를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각각,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제2 표시 영역에 대응시켜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의 4개의 단계와, 당해 4개의 단계에 이어지는 다음의 상기 제1 내지 제4의 4개의 단계의 합계 8개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실행하는 제1 기간, 상기 제3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실행하는 제2 기간, 상기 다음의 제1 단계 및 상기 다음의 제2 단계를 실행하는 제3 기간, 내지, 상기 다음의 제3 단계 및 상기 다음의 제4 단계를 실행하는 제4 기간 중 어느 하나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의 화상의 제1 그룹, 상기 우안용의 화상의 제2 그룹, 상기 좌안용의 화상의 제1 그룹,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의 제2 그룹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기간에 어느 한 그룹을 각각 대응시켜 기입하고, 당해 화상에 대해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종래의 입체 표시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수직 해상도를 확보하면서, 구동 주파수를 올리지 않고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일단으로부터 세어서 홀수번째의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세어서 짝수번째의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표시부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상측 반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하측 반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부는, 유기 EL 소자를 갖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표시부가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지므로 표시부가 LCD로 이루어지는 입체 표시 장치에 비해 재빠르게 구동할 수 있어, 구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는, 우안용의 화상과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육안 확인 가능하게 하는 안경을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치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행과 상이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와는 상이한 복수의 표시 화소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와 화상 비표시 상태를 전환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데이터 기입을 행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표시부를 행(라인) 단위로 2개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한쪽의 표시 영역에서의 표시 시에, 다른 쪽의 표시 영역을 비표시로 하여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므로, 종래의 입체 표시의 구동 방법에 비해, 구동 주파수를 저감하면서, 소비 전력을 삭감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일단으로부터 세어서 홀수번째의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세어서 짝수번째의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상측 반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하측 반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부는, 유기 EL 소자를 갖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표시부가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지므로 표시부가 LCD로 이루어지는 입체 표시 장치에 비해 재빠르게 구동할 수 있어, 구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소에 행마다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부와, 상기 표시 화소의 각각에 화상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선 구동부와, 상기 표시 화소에 구동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함과 더불어, 구동 전류 또는 전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화상 표시 상태와 화상 비표시 상태를 전환하는 전원 공급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전원 공급 전환부에 의해, 표시 화소에 구동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함과 더불어, 화상 표시 상태와 화상 비표시 상태를 일괄적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1 프레임분의 화상 정보를 전면 일괄 표시, 또는, 전면 일괄 비표시로 함으로써 여분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는, 상기 주사선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속하는 상기 표시 화소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제1 주사선 구동부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속하는 상기 표시 화소를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전환하는 제1 전원 공급 전환부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속하는 상기 표시 화소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주사선 구동부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속하는 상기 표시 화소를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전원 공급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주사선 구동부 및 전원 공급 전환부가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있으므로, 표시부를 2 블록으로 분할한 경우에, 블록마다 1 프레임분의 영상 신호를 전면 일괄 표시, 또는, 전면 일괄 비표시로 함으로써 여분의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를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을 통해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는, 우안용의 화상과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화상 표시 수단과, 우안용의 화상 및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육안 확인 가능하게 하는 안경을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표시부에 있어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제1 표시 영역의 복수의 행과 상이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1 단계와,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2 단계와, 제2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3 단계와,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입체 표시의 구동 방법에 비해, 구동 주파수를 예를 들면 1/4로 저감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삭감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대해, 유기 EL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을 예로 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시스템(1)은, 표시 장치(11)와, 영상 신호 출력부(12)와, 안경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시스템(1)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체 표시 장치, 표시 장치(1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수단에 상당한다.
영상 신호 출력부(12)는, 영상 신호를 표시 장치(11)에 출력함과 더불어, 동기 신호를 안경부(13)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영상 신호는,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동기 신호는, 표시 장치(11)에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인지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인지를 안경부(13)에 전달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는, 영상 표시부(20)와, 신호 입력부(21)와, 신호 처리부(22)와, 제어 회로(23)와, 신호 송신부(24)와, 스캔 신호 전송부(25)와, 신호선 구동 회로(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영상 표시부(20), 스캔 신호 전송부(25), 신호선 구동 회로(26)가,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부, 주사선 구동부, 데이터선 구동부에 상당한다. 또, 제어 회로(23), 스캔 신호 전송부(25), 신호선 구동 회로(26)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부에 상당한다.
영상 표시부(20)는, 화소부(17)를 복수 구비한 행(라인)을 복수 구비하며, 영상 신호 출력부(12)로부터 표시 장치(11)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각 화소부(17)에는, 뒤에 설명하는 구동 소자(17b)를 구동시키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선 Hy(y=1, 2, …, y-1, y)와, 화상 데이터를 각 화소부(17)에 공급하는 데이터선 Vx(x=1, 2, …, x-1, x)가 접속되어 있다. 또, 영상 표시부(20)는, 게이트선 Hy의 홀수 라인에 접속된 복수의 화소부(17)에 의해 구성된 홀수 블록과, 게이트선 Hy의 짝수 라인에 접속된 복수의 화소부(17)에 의해 구성된 짝수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홀수 블록 및 짝수 블록이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에 상당한다. 또한,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은, 홀수 블록 및 짝수 블록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1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상측 반분, 제2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하측 반분으로 해도 된다.
도 3은 영상 표시부(20), 제어 회로(23), 스캔 신호 전송부(25) 및 신호선 구동 회로(26)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부(17)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17a)와 발광 소자(17a)로의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소자(17b)와, 원하는 라인의 화소부(17)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소자(17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 소자(17c)의 동작에 의해 선택된 화소부(17)에서는, 상기한 영상 신호에 따라, 게이트선 Hy에 입력된 신호에 의해 구동 소자(17b)가 구동되고, 데이터선 Vx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발광 소자(17a)에 전류가 공급되어, 발광 소자(17a)가 발광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입력부(21)는,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와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미분리의 영상 신호를, 표시 장치(11)의 외부에 설치된 영상 신호 출력부(12)로부터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22)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22)는, 상기한 미분리의 영상 신호로부터 우안용 및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분리하여, 우안용 및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제어 회로(23)에 출력한다. 또, 우안용 및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의 전환 타이밍을 나타내는 영상 동기 신호를 신호 송신부(24)에 공급한다.
제어 회로(23)는, 신호 처리부(22)로부터 입력된 우안용 및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스캔 신호 전송부(25)를 구동하기 위한 주사 신호를 생성하여, 스캔 신호 전송부(25)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캔 신호 전송부(25)에, 한 화면(1 프레임)에 있어서의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20)의 홀수 블록의 선두 라인에 상당하는 게이트선 H1로부터 홀수 블록의 최종 라인에 상당하는 게이트선 Hy-1로 1 라인 간격으로 주사시키고,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에 후속되는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20)의 짝수 블록의 선두 라인에 상당하는 게이트선 H2로부터 짝수 블록의 최종 라인에 상당하는 게이트선 Hy로 1 라인 간격으로 주사시키기 위한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또, 제어 회로(23)는, 신호 처리부(22)로부터 입력된 우안용 및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신호선 구동 회로(26)에 공급한다.
신호 송신부(24)는, 신호 처리부(22)로부터 공급된 영상 동기 신호를, 안경부(13)에 송신한다.
스캔 신호 전송부(25)는, 시프트 레지스터 등의 전환 스위치를 갖는 구성이며, 제어 회로(23)로부터 공급된 주사 신호를, 게이트선 Hy를 통해 영상 표시부(20)에 설치된 화소부(17)에 공급하고, 구동 소자(17b)를 구동하여, 화상 데이터에 따라 발광 소자(17a)를 발광시킨다.
여기에서, 스캔 신호 전송부(2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사선 구동 회로(25a)와, 제2 주사선 구동 회로(25b)와,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와,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주사선 구동 회로(25a) 및 제2 주사선 구동 회로(25b)는, 각각, 게이트선 Hy의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의 구동을 행한다. 제1 주사선 구동 회로(25a) 및 제2 주사선 구동 회로(25b)는, 제어 회로(23)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신호에 의거하여, 화소부(17)의 구동 소자(17b)를 구동한다. 또,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와,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전원 공급 전환부 및 제2 전원 공급 전환부에 상당하며, 게이트선 Hy의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을 통해 일괄적으로 각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구동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장치(11)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한다.
신호선 구동 회로(26)는, 스캔 신호 전송부(25)에 의해 주사되는 게이트선 Hy가 접속된 각 화소부(17)에서 표시되어야 할 영상 신호를, 데이터선 Vx를 통해 각 화소부(17)에 공급한다. 이 때, 한 화면(1 프레임)에 있어서의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20)의 홀수 블록의 선두 라인에 상당하는 게이트선 H1로부터 홀수 블록의 최종 라인에 상당하는 게이트선 Hy-1에 공급한다. 또,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에 후속되는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20)의 짝수 블록의 선두 라인에 상당하는 게이트선 H2로부터 짝수 블록의 최종 라인에 상당하는 게이트선 Hy에 공급한다.
다음에, 안경부(13)에 대해 설명한다.
안경부(1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안 셔터(13a)와 좌안 셔터(13b)를 갖고 있다.
도 4는, 안경부(13)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부(13)는, 이미터(30)와, 신호 수신부(35)와, 셔터 전환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미터(30)는, 안경 동기 제어부(31)와, 신호 송신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미터(30)는, 안경부(13)에 설치되지 않아도, 외부에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되며, 표시 장치(11)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유선 접속되지 않아도, 예를 들면 적외선 등에 의해,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안경 동기 제어부(31)는, 표시 장치(11)로부터 출력된 영상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 출력부(12)로부터 출력된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안경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안경 제어 신호는, 각 프레임의 영상 동기 신호가 개시된 후 소정의 기간은, 우안 셔터(13a) 또는 좌안 셔터(13b) 중 어느 하나를 개구하고, 소정 기간 경과 후는 개구하고 있었던 우안 셔터(13a) 또는 좌안 셔터(13b)를 폐구(閉口)하는 제어 신호이다. 이에 의해, 우안 셔터(13a) 및 좌안 셔터(13b)의 개폐를 전환할 때에, 셔터의 쌍방을 닫힘 상태로 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그 후, 안경 동기 제어부(31)는, 영상 동기 신호와 안경 제어 신호를 신호 송신부(32)에 출력한다.
신호 송신부(32)는, 수신한 영상 동기 신호와 안경 제어 신호를 또한 신호 수신부(35)에 공급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이미터(30)가 안경부(13)의 외부에 부착되는 구성이면, 적외선 통신 방식에 의해, 신호 송신부(32)로부터 안경부(13)의 신호 수신부(35)에 이들 신호가 송신된다.
신호 수신부(35)는, 영상 동기 신호와 안경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셔터 전환부(36)에 이들 신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셔터 전환부(36)는, 영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안경 제어 신호에 의해 안경부(13)의 우안 셔터(13a) 및 좌안 셔터(13b)의 개폐를 제어한다. 안경부(13)의 셔터의 개폐는, 예를 들면 액정 구동 방식이며, 이 경우, 인가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셔터의 개폐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시청자는 우안용의 영상 신호를 우안으로, 좌안용의 영상 신호를 좌안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셔터는 액정 구동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구동 방식의 셔터여도 된다.
다음에, 표시 장치(11)의 구동 동작에 대해 타이밍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통상 시(평면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1)의 1 프레임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 도 6은, 통상 시(평면 표시)의 표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7은, 입체 표시 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1)의 1 프레임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 도 8은, 입체 표시 시의 표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영상 표시부(20)의 주사선이 768 라인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 및 도 8에서는, 해칭으로 나타낸 부분이, 시청자가 볼 수 있는 영상 신호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표시에서는,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로부터,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대해 항상 H 레벨의 구동 신호(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1)는, 홀수 블록 및 짝수 블록 모두 화상 표시 상태가 된다. 또한, 선택 소자(17c)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는, L 레벨일 때에 화상 표시 상태가 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제1 주사선 구동 회로(25a)에 의해, 각 홀수 라인(H1, H3, …, H767)에 순서대로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되고, 동시에 신호선 구동 회로(26)로부터 각 화소부(17)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어서, 제2 주사선 구동 회로(25b)에 의해, 동일하게 각 짝수 라인(H2, H4, …, H768)에 순서대로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되고, 동시에 신호선 구동 회로(26)로부터 각 화소부(17)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영상 표시부(20)에 1 프레임분의 2D 화상이 표시된다.
도 6은, 상기한 주사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영상 표시부의 1열분의 화소부에 대해,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의 표시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의 세로축은, 화면 수직 방향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도면에서 상부 반분은 복수의 짝수 라인을 모아 표시한 짝수 블록, 하부 반분은 복수의 홀수 라인을 모아 표시한 홀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즉, 영상 표시부(20)의 홀수 블록으로부터 짝수 블록으로 연속하여, 각각 영상 표시부(20)의 상측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부(17)로부터 하측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부(17)로 순서대로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고, 대응하는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평면 표시에서는, 짝수 블록 및 홀수 블록마다 영상 신호를 표시하지 않아도, 데이터선 H1로부터 H768까지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 교대로 영상 신호를 표시해도 된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 표시에서는, 1 프레임의 좌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가 표시되고 우안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는 기간에는,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로부터,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대해 각각 L 레벨 및 H 레벨의 구동 신호(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1)는, 홀수 블록이 화상 비표시 상태, 짝수 블록이 화상 표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기간에, 제1 주사선 구동 회로(25a)에 의해, 각 홀수 라인(H1, H3, …, H767)에 순서대로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이어서, 1 프레임의 우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가 표시되고 좌안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는 기간에는,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로부터,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대해 각각 H 레벨 및 L 레벨의 구동 신호(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1)는, 홀수 블록이 화상 표시 상태, 짝수 블록이 화상 비표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기간에, 제2 주사선 구동 회로(25b)에 의해, 각 짝수 라인(H2, H4, …, H768)에 순서대로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요컨대, 제어 회로(23)에 의한 제어에 의해, 홀수 블록에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 시에, 짝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이 행해지고, 짝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짝수 블록에 좌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함과 더불어, 홀수 블록을 영상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하며, 짝수 블록에 좌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 시에, 홀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이 행해지고, 홀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홀수 블록에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함과 더불어, 짝수 블록을 영상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하여, 이것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영상 표시부(20)에 1 프레임분의 3D 화상이 표시된다.
도 8은, 상기한 주사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 표시부(20)의 홀수 블록으로부터 짝수 블록으로 연속하여, 각각 영상 표시부(20)의 상측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부(17)로부터 하측의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부(17)로 순서대로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도 8에 나타낸 서브 프레임 1-A의 기간에서, 홀수 블록은 화상 비표시 상태이므로, 영상 표시부(20)의 화소부(17)에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고 있지만, 홀수 블록에서는 영상 신호는 영상 표시부(20)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 짝수 블록은 화상 표시 상태이므로, 앞 프레임에서 짝수 블록의 화소부(17)에 기입된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영상 신호로서 표시된다.
또, 도 8에 나타낸 서브 프레임 1-A에 이어지는 서브 프레임 1-B의 기간에서, 짝수 블록은 화상 비표시 상태이므로, 영상 표시부(20)의 화소부(17)에 다음의 서브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고 있지만, 짝수 블록에서는 영상 신호는 영상 표시부(20)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 홀수 블록은 화상 표시 상태이므로, 상기 프레임에서 홀수 블록의 화소부(17)에 기입된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영상 신호로서 표시된다.
또, 도 8에 나타낸 서브 프레임 1-B에 이어지는 서브 프레임 2-A의 기간에서는, 좌안용·우안용 어느 화상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 2-A의 기간에서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서 표시하고, 서브 프레임 2-B의 기간에서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서 표시하는 쪽이, 플리커 방지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 방법에 의해, 입체 표시의 경우여도 영상 신호의 구동 주파수를 올리지 않고, 도 6에서 나타낸 평면 표시의 경우와 동일한 구동 주파수로 영상 신호를 주사할 수 있다.
도 9에, 상기한 구동 타이밍으로 영상 표시 시스템(1)이 동작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영상 신호 출력부(12)로부터 출력된 1 프레임의 우안용의 영상 신호는, 표시 장치(11)의 신호 입력부(21)에서 수신된다(단계 S10). 이 영상 신호에는, 우안용 및 좌안용의 영상의 전환 타이밍을 나타내는 영상 동기 신호와,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3D 신호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입체 영상이 아닌 경우에는, 영상 신호에 3D 신호는 부가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영상 신호를 수신한 신호 입력부(21)로부터 신호 처리부(22)에, 영상 신호가 공급된다.
신호 처리부(22)는, 공급된 영상 신호를 해석하여(단계 S11), 영상 신호로부터 영상 동기 신호, 3D 신호를 분리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에 3D 신호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단계 S12), 영상 신호를 입체 표시 또는 평면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회로(23)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영상 신호에 3D 신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22)는, 또한, 영상 신호로부터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와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분리하고 있다.
또, 영상 신호에 3D 신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22)는, 영상 동기 신호를, 신호 처리부(22)로부터 신호 송신부(24)를 통해 안경부(13)로 출력한다. 그리고, 영상 동기 신호를 수신한 안경부(13)에서는, 셔터 안경 동작이 행해진다(단계 S13).
또, 3D 신호가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단계 S14), 영상 표시부(20)의 홀수 블록을 일괄적으로 비표시 상태, 짝수 블록을 일괄적으로 표시 상태로 하는 제어가 행해진다(단계 S15). 요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23)에 의해 스캔 신호 전송부(25)의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로부터 홀수 라인의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L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되고,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로부터 짝수 라인의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되며, 짝수 블록의 화소부(17)에 기입된 좌안용의 영상 신호가 영상 표시부(20)에 표시됨과 더불어, 홀수 블록의 화소부(17)에 다음에 표시되는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진다(단계 S17).
또, 3D 신호가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가 아닌, 요컨대,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단계 S14), 영상 표시부(20)의 짝수 블록을 일괄적으로 비표시 상태, 홀수 블록을 일괄적으로 표시 상태로 하는 제어가 행해진다(단계 S16). 요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23)에 의해 스캔 신호 전송부(25)의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로부터 짝수 라인의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L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되고,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로부터 홀수 라인의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되며, 홀수 블록의 화소부(17)에 기입된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영상 표시부(20)에 표시됨과 더불어, 짝수 블록의 화소부(17)에 다음에 표시되는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진다(단계 S17).
또한, 영상 신호에 3D 신호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요컨대, 영상 신호가 2D 영상이기 위해서는, 안경부(13)의 셔터 안경 동작은 비동작이 된다(단계 S18).
상기한 표시 장치(11)의 구동 방법에서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의 경우와 비교하여, 영상 신호의 휘도는 동등하게 표시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구동 방법과,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의한 구동 방법 및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의한 구동 방법에 의한 표시 영상의 효과의 차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표시 영상의 휘도가 동등해지도록 각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하였을 때의 표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도면 (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상기 도면 (b)는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상기 도면 (c)는 종래 기술인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한 표시 영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세로축은 화면 수직 방향을 나타내고, 가로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도면 (a)∼(c)에서 굵은 테두리로 나타낸 영역은, 안경부(13)의 좌안 셔터(13b)가 개방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a)에서는, 표시 영상의 상부 반분이 홀수 블록, 하부 반분이 짝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도면 (a) 및 상기 도면 (c)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낸 해칭 부분은,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낸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는, 투과 휘도는, 수직 50%×듀티 100%=50%이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는,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마다 영상 신호가 표시되므로, 시청자가 인식하는 화면 수직 방향의 휘도는 전체 화면에 영상 신호가 표시된 경우의 50%(상기한 「수직 50%」)가 된다. 또, 좌안 셔터 또는 우안 셔터의 개구 시간은, 1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안 또는 우안용의 영상 신호의 스캔 시간(1 프레임의 1/2의 시간)을 듀티 100%로 하면, 1회의 개구에 대해 듀티 100%가 된다. 따라서, 투과 휘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50%로 표시된다.
또, 도 10(b)에 나타낸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는, 우안 셔터(13a) 또는 좌안 셔터(13b)의 개구 시간은, 1회의 개구에 대해 듀티 50%가 되므로, 투과 휘도는 50%로 표시된다.
또, 도 10(c)에 나타낸 종래 기술인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는, 투과 휘도는 흑 50%×듀티 100%=50%로 표시된다. 요컨대, 좌안용의 영상 신호 및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스캔되는 동안에, 흑신호가 표시되는 기간이 설정되어 있으므로(상기한 「흑 50%」), 이 흑신호 표시 시간에도 우안 셔터 또는 좌안 셔터를 개구해 두는 것이 가능하며, 1회의 개구에 대해 듀티 100%로 표시된다. 따라서, 투과 휘도는 50%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각 구동 방법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의 구동 주파수(스캔 주파수)의 차이에 대해 설명한다. 인간의 좌우 눈의 시차에 의해 입체 영상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한쪽 눈 1 프레임의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는 대체로 60Hz 이상일 필요가 있다. 도 10(a)에 나타낸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 한쪽 눈 1 프레임의 영상 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60Hz로 하면, 영상 신호의 구동 주파수(스캔 주파수)는 60Hz이다.
여기에서,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는, 영상 표시부(20)의 홀수 블록 및 짝수 블록마다의 영상 신호의 기입이나 일괄 표시를 행하지 않으므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주파수를 240Hz로 함으로써 도 10(a)와 동등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종래 기술인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도 영상 표시부(20)의 홀수 블록 및 짝수 블록마다의 영상 신호의 기입이나 일괄 표시를 행하지 않으므로,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안용 및 좌안용의 영상 신호의 구동 주파수를 240Hz로 함으로써 도 10(a)와 동등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및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의한 구동 방법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신호와 휘도가 동등한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비해 4배의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1/4의 구동 주파수로 종래와 동등한 휘도의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으로서, 표시 영상의 수직 해상도가 동등해지도록 구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표시 영상의 수직 해상도가 동등해지도록 각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하였을 때의 표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도면 (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상기 도면 (b)는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상기 도면(c)는 종래 기술인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한 표시 영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a)에서는, 표시 영상의 상부 반분이 홀수 블록, 하부 반분이 짝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도면 (a) 및 상기 도면 (c)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낸 해칭 부분은,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도면 (b) 및 상기 도면 (c)는, 상기한 휘도 동등 시의 구동 방법의 경우의 도 10(b) 및 도 10(c)의 영상 표시와 동일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는,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마다의 영상 신호의 스캔이나 일괄 표시가 행해지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해 도 11(b) 및 도 11(c)에 나타낸 경우와 동일한 수직 해상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0(a)에 나타낸 구동 주파수의 2배인 120Hz로 영상 신호의 스캔을 행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제어 회로(23)에 의한 제어에 의해, 짝수 블록에 좌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 시에, 홀수 블록의 화소부(17)로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이 행해지고, 홀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홀수 블록에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함과 더불어, 짝수 블록을 영상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하는 기간과, 홀수 블록에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 시에, 짝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이 행해지고, 짝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짝수 블록에 좌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함과 더불어, 홀수 블록을 영상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하는 기간과, 짝수 블록에 좌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 시에, 홀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이 행해지고, 홀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홀수 블록에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함과 더불어, 짝수 블록을 영상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하는 기간과, 홀수 블록에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 시에, 짝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이 행해지고, 짝수 블록의 화소부(17)로의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짝수 블록에 좌안용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함과 더불어, 홀수 블록을 영상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하는 기간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영상 표시부(20)에 1 프레임분의 3D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및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의한 구동 방법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신호와 수직 해상도가 동등한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비해 2배의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1/2의 구동 주파수로 종래와 동등한 수직 해상도의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으로서, 표시 영상의 구동 주파수가 동등해지도록 구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2는, 표시 영상의 구동 주파수(스캔 주파수)가 동등해지도록 각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하였을 때의 표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도면 (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상기 도면 (b)는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상기 도면 (c)는 종래 기술인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한 표시 영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2(a)는, 상기한 휘도 동등 시의 구동 방법의 경우의 도 10(a)의 영상 표시와 동일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한쪽 눈 1 프레임의 프레임 주파수 및 영상 신호의 구동 주파수는 60Hz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a)에서는, 표시 영상의 상부 반분이 홀수 블록, 하부 반분이 짝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도면 (a) 및 상기 도면 (c)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낸 해칭 부분은,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서는, 영상 표시부(20)의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마다의 영상 신호의 스캔이나 일괄 표시가 행해지므로,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및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의한 구동 방법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과 동일한 스캔 주파수 60Hz에 의해 영상 신호의 스캔을 행하면,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눈 1 프레임의 프레임 주파수는 각각 30Hz 및 15Hz가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인 좌우 영상 분할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 및 흑삽입을 설정한 좌우 영상 분할에 의한 구동 방법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신호에 비해 프레임 주파수가 낮으므로, 1 프레임의 영상 신호의 표시에 따른 시간이 길어져, 시청자는 좌우 눈의 시차에 의한 입체 영상을 인식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의 구동 주파수로,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전원 공급 전환부 및 제2 전원 공급 전환부로서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를 설정하고,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로부터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의 게이트선 Hy를 통해 일괄적으로 각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구동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장치(11)를 홀수 라인 또는 짝수 라인 단위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구동 소자(17b)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도시 생략)를 ON 또는 OFF로 제어함으로써, 표시 장치(11)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일괄적으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선택 소자(17c),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소부(17) 및 표시 장치(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 영역을 홀수 블록, 제2 표시 영역을 짝수 블록으로 하였지만, 제1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상부 반분, 제2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하부 반분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가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은, 영상 표시부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기 위해, 제3 주사선 구동 회로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가 스캔 신호 전송부(25)에 설치되는 대신에, 제어 회로(23)에 제1 제어부(23a) 및 제2 제어부(23b)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도 13은, 표시 장치(11)에 설치된 영상 표시부(20), 스캔 신호 전송부(25), 신호선 구동 회로(26) 및 제어 회로(23)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회로(23)는,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어부(23a) 및 제2 제어부(23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 제어부(23a) 및 제2 제어부(23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전원 공급 전환부 및 제2 전원 공급 전환부에 상당하며, 게이트선 Hy의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을 통해 일괄적으로 각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구동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장치(11)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한다.
도 14는 통상 시(평면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1)의 1 프레임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 도 15는 입체 표시 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1)의 1 프레임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영상 표시부(20)의 주사선이 768 라인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표시에서는, 제1 제어부(23a) 및 제2 제어부(23b)로부터,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대해 항상 H 레벨의 구동 신호(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1)는, 홀수 블록 및 짝수 블록 모두 화상 표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주사선 구동 회로(25a)에 의해, 각 홀수 라인(H1, H3, …, H767)에 순서대로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되고, 동시에 신호선 구동 회로(26)로부터 각 화소부(17)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어서, 제2 주사선 구동 회로(25b)에 의해, 동일하게 각 짝수 라인(H2, H4, …, H768)에 순서대로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되고, 동시에 신호선 구동 회로(26)로부터 각 화소부(17)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도 6과 동일하게, 영상 표시부(20)에 1 프레임분의 2D 화상이 표시된다.
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 표시에서는, 1 프레임의 좌안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는 기간에는, 제1 제어부(23a) 및 제2 제어부(23b)로부터,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대해 각각 L 레벨 및 H 레벨의 구동 신호(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1)는, 홀수 블록이 화상 비표시 상태, 짝수 블록이 화상 표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기간에, 제1 주사선 구동 회로(25a)에 의해, 각 홀수 라인(H1, H3, …, H767)에 순서대로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1 프레임의 좌안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에는, 기입되어 있는 좌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는 표시되지 않으며, 전체 프레임의 우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가 표시된다.
이어서, 1 프레임의 우안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는 기간에는, 제1 제어부(23a) 및 제2 제어부(23b)로부터, 화소부(17)의 선택 소자(17c)에 대해 각각 H 레벨 및 L 레벨의 구동 신호(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1)는, 홀수 블록이 화상 표시 상태, 짝수 블록이 화상 비표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기간에, 제2 주사선 구동 회로(25b)에 의해, 각 짝수 라인(H2, H2, …, H768)에 순서대로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1 프레임의 좌안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에는, 기입되어 있는 좌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는 표시되지 않으며, 전체 프레임의 우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도 8과 동일하게, 영상 표시부(20)에 1 프레임분의 3D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영상 표시 시스템과 동일하게, 구동 주파수를 저감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구동 소자(17b)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도시 생략)를 ON 또는 OFF로 제어함으로써, 표시 장치(11)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일괄적으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선택 소자(17c), 제3 주사선 구동 회로(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25d)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소부(17) 및 표시 장치(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 영역을 홀수 블록, 제2 표시 영역을 짝수 블록으로 하였지만, 제1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상부 반분, 제2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하부 반분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변형예가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은, 영상 표시부에 구비된 화소부가 유기 EL 소자를 갖는 대신에 액정 소자를 갖는 점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의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1)는, 영상 표시부(120)와, 신호 입력부(121)와, 신호 처리부(122)와, 제어 회로(123)와, 신호 송신부(124)와, 주사선 구동 회로(125)와, 신호선 구동 회로(1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영상 표시부(120), 제어 회로(23), 주사선 구동 회로(125), 신호선 구동 회로(126)가,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부, 표시 제어부, 주사선 구동부, 데이터선 구동부에 상당한다. 또, 신호 입력부(121), 신호 처리부(122), 제어 회로(123), 신호 송신부(124), 주사선 구동 회로(125), 신호선 구동 회로(126)는,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신호 입력부(21), 신호 처리부(22), 제어 회로(23), 신호 송신부(24), 스캔 신호 전송부(25), 신호선 구동 회로(26)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 표시부(120)는, 화소부(117)를 복수 구비한 행(라인)을 복수 구비하고, 영상 신호 출력부(112)로부터 표시 장치(111)에 입력된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각 화소부(117)에는, 구동 소자(117d, 117e)를 구동시키는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선 Hy(y=1, 2, …, y-1, y), Hz(z=1, 2, …, z-1, z)와, 영상 신호를 각 화소부(117)에 공급하는 데이터선 Vx(x=1, 2, …, x-1, x)가 접속되어 있다. 또, 영상 표시부(120)는, 게이트선 Hy의 홀수 라인에 접속된 복수의 화소부(17)에 의해 구성된 홀수 블록과, 게이트선 Hy의 짝수 라인에 접속된 복수의 화소부(17)에 의해 구성된 짝수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7은 영상 표시부(120), 제어 회로(123), 주사선 구동 회로(125) 및 신호선 구동 회로(126)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부(117)는, 예를 들면, 액정 전극(117a)과, 콘덴서(117b)와, 원하는 라인의 화소부(117)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소자(117c)와, 액정 전극(117a)으로의 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소자(117d, 117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 소자(117c)의 동작에 의해 선택된 화소부(117)에서는, 상기한 영상 신호에 따라 게이트선 Hy, Hz에 입력된 신호에 의해 구동 소자(117d, 117e)가 구동되고, 데이터선 Vx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액정 전극(117a)에 전압이 공급되어 액정이 구동되며, 콘덴서(117b)에는 전압에 따른 전하가 축적되어 영상 표시가 유지된다.
또, 주사선 구동 회로(125)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사선 구동 회로(125a)와, 제2 주사선 구동 회로(125b)와, 제3 주사선 구동 회로(125c)와, 제4 주사선 구동 회로(125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주사선 구동 회로(125a) 및 제2 주사선 구동 회로(125b)는, 각각, 게이트선 Hy, Hz의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의 구동을 행한다. 제1 주사선 구동 회로(125a) 및 제2 주사선 구동 회로(125b)는, 제어 회로(123)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신호에 의거하여, 화소부(117)의 구동 소자(117d, 117e)를 구동한다. 또, 제3 주사선 구동 회로(125c)와, 제4 주사선 구동 회로(125d)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전원 공급 전환부 및 제2 전원 공급 전환부에 상당하며, 게이트선 Hy, Hz의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을 통해 일괄적으로 각 화소부(117)의 선택 소자(117c)에 구동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장치(111)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액정 패널 디스플레이를 표시 장치로서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이어도,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유기 EL 패널 디스플레이를 표시 장치로서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과 동일한 구동 방법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구동 주파수를 저감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구동 소자(117d, 117e)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도시 생략)를 ON 또는 OFF로 제어함으로써, 표시 장치(111)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일괄적으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선택 소자(117c), 제3 주사선 구동 회로(1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125d)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소부(117) 및 표시 장치(1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 영역을 홀수 블록, 제2 표시 영역을 짝수 블록으로 하였지만, 제1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상부 반분, 제2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하부 반분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가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은, 표시 장치(111)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기 위해, 제3 주사선 구동 회로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가 주사선 구동 회로(125)에 설치되는 대신에, 제어 회로(123)에 제1 제어부(123a) 및 제2 제어부(123b)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도 18은, 표시 장치(111)에 설치된 영상 표시부(120), 주사선 구동 회로(125), 신호선 구동 회로(126) 및 제어 회로(123)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회로(123)는,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23a) 및 제2 제어부(123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 제어부(123a) 및 제2 제어부(123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전원 공급 전환부 및 제2 전원 공급 전환부에 상당하며, 게이트선 Hy, Hz의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을 통해 일괄적으로 각 화소부(117)의 선택 소자(117c)에 구동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장치(111)를 홀수 라인 또는 짝수 라인 단위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액정 패널을 표시 장치로서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이어도,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유기 EL 패널 디스플레이를 표시 장치로서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과 동일한 구동 방법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구동 주파수를 저감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하여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구동 소자(117d, 117e)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도시 생략)를 ON 또는 OFF로 제어함으로써, 표시 장치(111)를 홀수 블록 또는 짝수 블록 단위로 일괄적으로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선택 소자(117c), 제3 주사선 구동 회로(125c)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125d)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소부(117) 및 표시 장치(1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 영역을 홀수 블록, 제2 표시 영역을 짝수 블록으로 하였지만, 제1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상부 반분, 제2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하부 반분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변형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 영역을 홀수 블록, 제2 표시 영역을 짝수 블록으로 하였지만, 제1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상부 반분, 제2 표시 영역을 영상 표시부의 하부 반분으로 해도 된다. 또, 영상 표시부를 더욱 많은 표시 영역으로 분할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전원 공급 전환부 및 제2 전원 공급 전환부로서, 제3 주사선 구동 회로 및 제4 주사선 구동 회로, 또는,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를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을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화소부의 구동 소자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도시 생략)를 일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영상 표시부를 홀수 라인 또는 짝수 라인마다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선 구동 회로로서 제1 주사선 구동 회로 및 제2 주사선 구동 회로의 2개를 설치하였지만, 주사선 구동 회로는 1개여도 되며, 이 경우 인터레이스 스캔 방식에 의해,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에 교대로 영상 신호를 표시하여,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유기 EL 패널 디스플레이 및 액정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을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디스플레이를 표시 장치로 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방식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이용해도 된다.
또, 안경부의 셔터는, 액정 구동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구동 방식의 셔터여도 된다.
또, 안경부의 이미터는, 안경부의 본체의 외부에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이미터가 표시 장치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외부에 부착된 이미터는, 안경부에 유선 접속되지 않아도, 예를 들면 적외선 등에 의해, 이미터와 안경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당업자가 생각해낸 각종 변형을 본 실시 형태에 실시한 것이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구축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는, 입체 영상의 표시에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에 이용 가능하며, 특히, 홀드형 구동의 유기 EL 패널 디스플레이에 유용하다.
1 : 영상 표시 시스템(입체 표시 장치)
11, 111 : 표시 장치(화상 표시 수단)
13 : 안경부(안경)
17, 117 : 화소부(표시 화소)
20, 120 : 영상 표시부(표시부)
23, 123 : 제어 회로(표시 제어부)
23a, 123a : 제1 제어부(제1 전원 공급 전환부)
23b, 123b : 제2 제어부(제2 전원 공급 전환부)
25, 125 : 주사선 구동 회로(주사선 구동부, 표시 제어부)
25a, 125a : 제1 주사선 구동 회로(제1 주사선 구동부)
25b, 125b : 제2 주사선 구동 회로(제2 주사선 구동부)
25c, 125c : 제3 주사선 구동 회로(제1 전원 공급 전환부)
25d, 125d : 제4 주사선 구동 회로(제2 전원 공급 전환부)
26, 126 : 신호선 구동 회로(데이터선 구동부, 표시 제어부)

Claims (12)

  1. 우안용의 화상과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육안 확인 가능하게 하는 안경을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행과 상이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각각,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시킨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 중 어느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기입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당해 화상에 대해 표시를 행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시킨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 중 다른 어느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기입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당해 화상에 대해 표시를 행하는,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각각,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제2 표시 영역에 대응시켜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의 4개의 단계와, 당해 4개의 단계에 이어지는 다음의 상기 제1 내지 제4의 4개의 단계의 합계 8개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실행하는 제1 기간, 상기 제3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실행하는 제2 기간, 상기 다음의 제1 단계 및 상기 다음의 제2 단계를 실행하는 제3 기간, 내지, 상기 다음의 제3 단계 및 상기 다음의 제4 단계를 실행하는 제4 기간 중 어느 하나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의 화상의 제1 그룹, 상기 우안용의 화상의 제2 그룹, 상기 좌안용의 화상의 제1 그룹,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의 제2 그룹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기간에 어느 한 그룹을 각각 대응시켜 기입하고, 당해 화상에 대해 표시를 행하는,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일단으로부터 세어서 홀수번째의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세어서 짝수번째의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표시부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상측 반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하측 반분에 위치하는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 EL 소자를 갖는,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7. 우안용의 화상과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우안용의 화상 및 상기 좌안용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육안 확인 가능하게 하는 안경을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배치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행과 상이한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와는 상이한 복수의 표시 화소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화상 표시 상태와 화상 비표시 상태를 전환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을 행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의 화상 표시 상태 시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데이터 기입을 행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의 화상 데이터 기입 완료 후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화상 표시 상태로 함과 더불어,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화상 비표시 상태로 하는, 입체 표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일단으로부터 세어서 홀수번째의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세어서 짝수번째의 복수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표시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상측 반분에 위치하는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어느 한쪽은, 상기 표시부의 하측 반분에 위치하는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표시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유기 EL 소자를 갖는, 입체 표시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소에 행마다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부와,
    상기 표시 화소의 각각에 화상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선 구동부와,
    상기 표시 화소에 구동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함과 더불어, 구동 전류 또는 전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화상 표시 상태와 화상 비표시 상태를 전환하는 전원 공급 전환부를 포함하는, 입체 표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속하는 상기 표시 화소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제1 주사선 구동부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속하는 상기 표시 화소를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전환하는 제1 전원 공급 전환부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속하는 상기 표시 화소에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주사선 구동부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속하는 상기 표시 화소를 화상 표시 상태 또는 화상 비표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전원 공급 전환부를 포함하는, 입체 표시 장치.
KR1020107027983A 2010-03-31 2010-03-31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 KR101570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2342 WO2011121654A1 (ja) 2010-03-31 2010-03-31 立体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立体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34A true KR20130000434A (ko) 2013-01-03
KR101570554B1 KR101570554B1 (ko) 2015-11-27

Family

ID=4471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983A KR101570554B1 (ko) 2010-03-31 2010-03-31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1139B2 (ko)
JP (1) JP5367063B2 (ko)
KR (1) KR101570554B1 (ko)
CN (1) CN102282860B (ko)
WO (1) WO20111216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320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생체 센서를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0877B2 (ja) 2010-03-31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WO2013021418A1 (ja) 2011-08-09 2013-0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5930654B2 (ja) * 2011-10-17 2016-06-08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KR101940728B1 (ko) * 2011-11-18 2019-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28846B1 (ko) * 2011-12-06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13088483A1 (ja) * 2011-12-16 2013-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130095040A (ko) * 2012-02-17 2013-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JP2013195884A (ja) * 2012-03-22 2013-09-3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030401B2 (en) * 2012-04-19 2015-05-1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JP5942668B2 (ja) * 2012-07-25 2016-06-2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駆動回路、および表示駆動方法
CN102981339B (zh) * 2012-12-10 2016-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2982741A (zh) * 2012-12-10 2013-03-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2981338A (zh) * 2012-12-10 2013-03-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50052997A (ko) * 2013-11-07 2015-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3985350B (zh) 2014-04-29 2016-09-07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像素电路、显示面板、显示装置和驱动方法
JP6575117B2 (ja) * 2015-04-06 2019-09-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175616A1 (en) 2014-07-31 2017-06-07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program
US10643528B2 (en) * 2018-01-23 2020-05-05 Valve Corporation Rolling burst illumination for a display
US20230290322A1 (en) * 2022-03-10 2023-09-14 Rockwell Collins, Inc. Methodology for image synchronization to video imag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2943A (en) 1986-02-17 1988-09-20 Sharp Kabushiki Kaisha Virtual stereographic display system
JPS6346410A (ja) 1986-08-13 1988-02-27 Sharp Corp 擬似立体表示システム
JP3784967B2 (ja) 1998-07-21 2006-06-14 日本放送協会 立体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03122303A (ja) * 2001-10-16 2003-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20030080146A (ko) 2002-04-04 2003-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시브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장치의 스캔 방법
JP4985184B2 (ja) * 2007-07-26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JP5012729B2 (ja) * 2008-08-08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モジュール、半導体集積回路、画素アレイ部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CN102713725B (zh) * 2010-01-12 2015-09-09 株式会社尼康 显示装置及显示方法
KR101147426B1 (ko) * 2010-10-27 2012-05-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2103400A (ja) * 2010-11-09 2012-05-31 Sony Corp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装置の表示方法
US8988336B2 (en) * 2010-12-16 2015-03-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al-orientation autostereoscopic backlight and display
JP5309117B2 (ja) * 2010-12-17 2013-10-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立体表示装置
CN103024407B (zh) * 2011-09-22 2014-12-31 乐金显示有限公司 立体图像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CN103364978B (zh) * 2012-03-28 2016-04-20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驱动芯片的驱动方法以及立体显示装置的显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320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생체 센서를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121654A1 (ja) 2013-07-04
US20110261034A1 (en) 2011-10-27
CN102282860B (zh) 2015-06-17
KR101570554B1 (ko) 2015-11-27
US8711139B2 (en) 2014-04-29
JP5367063B2 (ja) 2013-12-11
CN102282860A (zh) 2011-12-14
WO2011121654A1 (ja)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554B1 (ko)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
KR101362771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US9330617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TWI693583B (zh)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RU2487379C1 (ru) Устройство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US9418580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short gate lin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5172958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1906402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99863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US8179356B2 (en)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serting gray image
US201303425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US8803864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KR102266064B1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976205B2 (en)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a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928555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시스템
JP5782874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842632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117554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10216174A1 (en)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JP5703768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30014194A (ko) 입체영상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2013064824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195885A (ja) 立体表示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