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260A -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 Google Patents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260A
KR20120140260A KR1020127030294A KR20127030294A KR20120140260A KR 20120140260 A KR20120140260 A KR 20120140260A KR 1020127030294 A KR1020127030294 A KR 1020127030294A KR 20127030294 A KR20127030294 A KR 20127030294A KR 20120140260 A KR20120140260 A KR 20120140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amber
patient
vessel
nor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507B1 (ko
Inventor
퍼 지젤 듀페슬랜드
로데릭 피터 하프너
콜린 데이빗 쉘드레이크
Original Assignee
옵티노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노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옵티노즈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14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0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 A61M15/0008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rotating by air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6Inhalation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8Activated by ex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5Filters
    • A61M16/1055Filters 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5Filters
    • A61M16/106Filters in a path
    • A61M16/1065Filters in a path in the expiratory p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7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influenc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경비 투여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챔버를 포함하는 용기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수용 유닛; 상기 용기 챔버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기 위한 노스피스를 구비한 노스피스 유닛; 상기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시키고,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상기 물질을 투여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가 사용시에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마우스피스 유닛; 및 상기 용기로부터의 물질을 비말 동반시의 날숨에 있어서 습기의 영향을 경감하기 위한 습기 경감 수단으로서, 상기 용기 챔버와 상기 마우스피스 사이의 유체 연결을 통상적으로 폐쇄하는 압력 감지 밸브와, 상기 용기 챔버의 온도 조절기 상류에 의해, 예컨대 교체가능한 용기 포함 부재내에 상기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상기 습기 경감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NASAL DELIVERY DEVICES}
본 발명은 물질, 특히 분말 물질과 같은 입자성 물질을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하기 위한 경비 투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질의 단일 투여량을 각각 포함하는 캡슐(capsules), 블리스터(blisters) 및 유리병(vials)과 같은 복수의 용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멀티도즈 장치(multi-dose devices)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경비 투여 시스템은 국부성 질병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지만, 비강의 상부로의 물질 투여, 특히 후관 영역(olfactory region) 및 부비강 개구(sinus ostia)로의 목표된 투여에는 적합하지 않다.
아스트라제네카 에이비(AstraZeneca AB)에 의해 개발된 경비 투여에 적합한 터보할러(turbohaler)(RTM)는 성공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입자의 대부분은 비강의 내측 영역에 부착된다. 또한, 비강은 코 흡입시에 보다 좁아지므로, 비도(nasal airway)의 후부 영역, 특히 좁고 막힌 코에서의 부착 효율을 보다 감소시킨다. 또한, 이전의 연구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작은 입자들이 폐로 흡입되는 상당한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질, 특히 분말 물질과 같은 입자성 물질을 환자의 비강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특히 국부 투여 및 코 대 뇌(N2B) 투여용의 입자성 코 분말 투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강의 특정 영역으로의 일반적이고/거나 목표된 투여시에 코점막으로 최적의 투여를 성취하기 위해, 적당한 입자 크기, 크기 분포, 표면 특성 및 제형(formulation)을 갖는 활성 약품 물질을 함유한 캡슐 또는 블리스터를 이용하는 단일도즈 또는 이중도즈 장치와 같은 멀티도즈 장치를 이용하는 양방향성 경비 투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양방향성 경비 투여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전 출원된 국제 특허 공개 번호 제 WO-A-00/51672 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개별적인 투여 채널, 즉 약품 물질 및 공기용의 중앙 채널, 그리고 비강내의 입자의 부착 패턴을 수정하고 최적화시키는 외측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비강의 선택된 영역, 특히 전측막 영역으로 투여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경비 투여 장치로서,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챔버를 포함하는 용기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수용 유닛; 상기 용기 챔버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기 위한 노스피스를 구비한 노스피스 유닛; 상기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시키고,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상기 물질을 투여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가 사용시에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마우스피스 유닛; 및 상기 용기로부터의 물질을 비말 동반시의 날숨에 있어서 습기의 영향을 경감하기 위한 습기 경감 수단으로서, 상기 용기 챔버와 상기 마우스피스 사이의 유체 연결을 통상적으로 폐쇄하는 압력 감지 밸브와, 상기 용기 챔버의 온도 조절기 상류에 의해, 예컨대 교체가능한 용기 포함 부재내에 상기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상기 습기 경감 수단;을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경비 투여 장치로서,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챔버를 포함하는 용기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수용 유닛; 상기 용기 챔버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기 위한 노스피스를 구비한 노스피스 유닛;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시키고,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상기 물질을 투여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가 사용시에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마우스피스 유닛; 및 상기 용기 챔버의 하류에서의 응축을 감소시키기 위한 습기 저감 요소;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를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경비 투여 장치로서,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챔버를 포함하는 용기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수용 유닛; 상기 용기 챔버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기 위한 노스피스를 구비한 노스피스 유닛; 및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시키고,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상기 물질을 투여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가 사용시에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마우스피스 유닛;을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를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경비 투여 장치로서,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복수의 물질 포함 용기를 이송하는 캐리어;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기 위한 노스피스를 구비한 노스피스 유닛; 사용시에 환자가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마우스피스 유닛; 및 각각의 작동시에, 상기 복수의 물질 포함 용기를 개방하도록 작동가능하고, 연속적인 날숨 사이클에서 상기 개방된 물질 포함 용기 중 각각의 하나에 상기 마우스피스를 유체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밸브 유닛을 구비한 액추에이팅 기구;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를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용기 챔버내에서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물질 포함 용기의 배치 단계; 상기 용기의 출구와 연통하는 노스피스를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는 단계; 상기 용기 챔버를 통해 공기 유동을 전달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하며,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그리고 환자의 비강내로 물질을 투여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환자가 날숨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챔버의 하류에서 응축을 저감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날숨된 공기 유동 상류로부터 습기를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용기 챔버내에서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물질 포함 용기의 배치 단계; 상기 용기의 출구와 연통하는 노스피스를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는 단계; 및 상기 용기 챔버를 통해 공기 유동을 전달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하며,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그리고 환자의 비강내로 물질을 투여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환자가 날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서만 설명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비 투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비 투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경비 투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경비 투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비 투여 장치를 도시한다. 투여 장치는 하우징(15)과, 캡슐(C)을 수용하기 위한 캡슐 수용 유닛(16)과, 환자의 비강으로 끼워맞춰지는 노스피스 유닛(nosepiece unit)(17)과, 환자가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 유닛(19)과, 캡슐 수용 유닛(16)에 의해 수용된 바와 같은 캡슐(C)를 천공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작동하기 위한 투여 장치를 준비하도록 작동가능한 캡슐 천공 기구(20)를 포함한다.
하우징(15)은,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5)의 상단부에 있고 노스피스 유닛(17)를 수용하는 제 1 노스피스 개구(21)와;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5)의 측벽내에 있고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캡슐 천공 기구(20)의 액추에이터 버튼(81)을 연장하는 제 2 측벽 개구(22)를 구비한다.
캡슐 수용 유닛(16)은 본 실시예에서 캡슐(C)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15)내의 노스피스 개구(21)의 반대측에 배치된 길고 직립한 챔버, 즉 캡슐 수용 부재(23)를 포함하며,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노스피스 유닛(17)의 캡슐 포함 부재(49)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 수용 부재(23)는 공기 유동을 공급하기 위한 입구(24) 및 출구(25)를 구비하며, 이 출구(25)는, 캡슐 수용 부재(23)의 상측의 하류 단부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캡슐 포함 부재(49)가 캡슐 수용 부재(23)내에 밀봉 끼워맞춤되도록 노스피스 유닛(17)의 캡슐 포함 부재(49)를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캡슐 수용 유닛(16)은, 캡슐 수용 부재(23)의 입구(24)와 유체 연통하고, 예컨대 사전결정된 압력이 그의 상류로 전개될 때까지 캡슐 수용 부재(23)를 통과한 공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 밸브(2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감지 밸브(26)는 캡슐 수용 부재(23)에 대해 입구(24)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감지 밸브(26)는 사전결정된 압력이 탄성 요소(29)의 가압력을 극복하도록 피봇(28) 둘레에 힌지가능하고, 통상적으로 탄성 요소(20)(본원에서의 스프링)에 의해 폐쇄된 밀봉 위치로 가압되는 플랩 부재(flap member)(27)를 포함한다.
노스피스 유닛(17)는 하우징(15)의 노스피스 개구(21)내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 주 본체 부재(45)와, 환자의 비공(nostril)에 끼워맞추기 위한 주 본체 부재(45)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노스피스(47)와, 주 본체 부재(45)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캡슐(C)을 포함하는 캡슐 포함 부재(49)를 포함하며, 이들의 내용물은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C)은 분말 물질 및 전형적으로 약학 물질과 같은 입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종래의 젤라틴 캡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47)는 예컨대 액밀성 밀봉을 제공하도록 환자의 비강내로 삽입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의 외측 섹션(53)을 가지고, 환자의 비강으로 물질을 투여하는 내측 채널(55)(본원에서는 원추형 섹션)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의 비공과 액밀성 밀봉을 제공할 때의 노스피스(47)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전 출원된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WO-A-00/51672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자의 비도를 통해 양방향성 투여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47)는 밀봉 끼워맞춤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서 비강으로의 투여를 처리하지만, 반드시 양방향성 투여일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47)는 캡슐(C)의 일부분과 같은 임의의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한 트랩 요소(57)(전형적으로는 천공형 또는 메쉬형 요소)를 구비하며, 이는 노스피스(47)를 통과하고 환자의 비강내로 통과시키는 사전결정된 크기 이상이다.
캡슐 포함 부재(49)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기다란 유동 통로(63)로서, 공기 유동이 유동 통로(63)를 통해 투여될 때 유동 통로(63)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유동 통로(63)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캡슐(C)이 배향되는 기다란 유동 통로(63)와; 유동 통로(63)의 하나의 하류 단부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개구(65)로서, 유동 통로(63)를 통해 투여되는 바와 같이 공기 유동을 제한하고 유동 통로(63)를 통한 공기 유동의 투여 전에 캡슐(C)의 하나의 하단부를 위한 안착부로서 역할을 하는 입구 개구(65)를 구비한다.
캡슐 포함 부재(49)는, 본 실시예에서, 캡슐(C)이 축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 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벽내에 복수의 제 1 및 제 2 천공 개구(71, 73)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측 개구(71)는, 캡슐(C)이 유동 통로(63)의 입구 개구(65)내에 안착될 때 그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은 물질의 투여량의 높이 이상의 위치에 천공되도록 위치된다. 이로써, 캡슐(C)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은 물질의 투여량은 공기 유동이 유동 통로(63)를 통해 투여될 때까지 유동 통로(63)내로 방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 유닛(17)은 투여 장치의 각각의 작동 후에 교체되는 교체가능한 유닛으로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 유닛(17)은 기밀성 팩킹, 예컨대 알루미늄 포일 패키지내에 팩킹될 수 있다.
변형례로서, 캡슐 포함 부재(49)만이 예컨대 각각의 작동 후에 교체가능할 수 있으며, 노스피스(47)는 캡슐 포함 부재(49)의 다른 하류 단부로 밀봉 끼워맞춤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 포함 부재(49)는 기밀성 팩킹, 예컨대 알루미늄 포일 패키지내에 팩킹될 수 있다.
다른 변형례로서, 노스피스 유닛(17)은 교체가능한 유닛일 수 있는바, 캡슐 포함 부재(49)는 투여 장치의 작동 후에 캡슐(C)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노스피스(47)로부터 분리가능하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 캡슐(C)은 기밀성 팩킹, 예컨대 알루미늄 포일 패키지내에 팩킹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 유닛(19)는, 환자의 입술내에 파지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캡슐 수용 유닛(16)을 통해 비말 동반하는 공기 유동을 투여하기 위한 마우스피스(77)와; 마우스피스(77) 및 캡슐 수용 유닛(16)의 압력 감지 밸브(26)를 유체식으로 연결하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다란 관형 섹션인 공기 챔버(7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챔버(78)는 캡슐 수용 유닛(16)의 캡슐 수용 부재(23)보다 큰 체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캡슐 수용 부재(23)의 적어도 2배의 체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챔버(78)는 본원에서 적어도 그의 상단부에 날숨시의 공기 유동을 냉각시키기 위한 응축기로서 형성된 온도 조절기(79)를 내장한다. 본 구성의 경우, 숨을 내쉰 공기 유동은 날숨시에 냉각되고, 또한 공기 챔버(78)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이 보다 냉각된 공기의 사전결정된 체적은 압력 감지 밸브(26)의 해제 전에 이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조절기(79)는 미로 형상의 구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에에 있어서, 온도 조절기(79)는 미생물 필터로서 기능할 수도 있는 필터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조절기(79)는 투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그내에 수집된 바와 같은 응축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챔버(78)는 예컨대 세척 또는 교체를 위해 분리가능하다.
본 구성은 캡슐(C)로부터 물질을 투여할 시에 투여 장치의 신뢰성 있는 작동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캡슐(C)로의 직접적으로 습윤한 날숨된 공기의 마련이 때때로 캡슐(C)의 요구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이 물질의 적절한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립하게 되었다. 보다 냉각된 공기의 체적을 제공하고, 보다 냉각된 공기의 체적이 한번에 초기에 투여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캡슐(C)의 요구된 회전이 반복하게 된다.
캡슐 천공 기구(20)는, 본 실시예에서 예컨대 액추에이터 버튼(81)에 의해 지지되고 그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천공 요소(83, 85)를 작동하기 위해 하우징(15)내의 측벽 개구(22)를 통해 연장되는 액추에이터 버튼(81)을 포함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축 위치로부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위치까지 액추에이터 버튼(81)을 누를 때에, 천공 요소(83, 85)가 캡슐(C)을 천공하기 위한 캡슐 포함 부재(49)의 측벽내에 천공 개구(71, 73)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 천공 기구(20)는 수축 위치를 향해 외측으로 액추에이터 버튼(81)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탄성 요소(87)를 구비하여, 캡슐(C)을 천공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버튼(81)을 누른 후에 액추에이터 버튼(81)이 수축 위치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요소(87)는 액추에이터 버튼(81)의 전체 부분으로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투여 장치의 작동을 후술한다.
우선, 투여 장치를 손으로 잡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내에 삽입된 상태로, 예컨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포함 부재(49)내에 포함된 상태로 캡슐(C)을 하기 위해 캡슐 천공 기구(20)의 액추에이터 버튼(81)을 누른다.
액추에이터 버튼(81)을 누름으로써, 캡슐(C)은 그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천공 요소(83, 85)에 의해 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측 천공 요소(83)는 캡슐(C)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은 물질의 높이 바로 위의 위치에서 캡슐(C)을 천공하는 역할을 하고[캡슐(C)만이 부분적으로 충전됨], 제 2 상측 천공 요소(85)는 캡슐(C)의 상측 말단부를 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 후, 액추에이터 버튼(81)이 해제되어, 액추에이터 버튼(81)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요소(87)의 가압 하에서 수축 위치까지 복귀되도록 한다. 이로써, 투여 장치를 사용할 준비가 된다.
그 다음,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노스피스(53)를 비공 중 하나에 삽입하고, 그의 입술내에 마우스피스(77)를 파지하여 마우스피스(77)를 통해 숨을 내쉬기 시작한다. 초기에, 이러한 날숨은 압력 감지 밸브(26)에 의해 방해되어, 캡슐 포함 부재(49)를 통한 그리고 캡슐(C) 위로의 공기 유동의 투여를 방지시킨다.
환자가 사전결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 감지 밸브(26)의 압력 상류를 전개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숨을 내쉴 때, 압력 감지 밸브(26)가 개방되어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수용 부재(49)를 통해 단숨에 공기의 갑작스런 유동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공기의 파열은 캡슐 포함 부재(49)의 입구 개구(65)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안착부로부터 캡슐(C)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고 캡슐(C)의 회전을 개시하며, 이러한 회전은 캡슐(C)내로부터 물질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속적으로 숨을 내쉬는 경우, 캡슐(C)은 회전을 계속한다.
회전 후에,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감지 밸브(26)는 폐쇄된 밀봉 위치로 복귀되고, 현재의 빈 캡슐(C)은 휴지 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투여 장치의 작동은 새로운 캡슐(C)로 교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전체의 노스피스 유닛(17)이 교체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캡슐 포함 부재(49) 또는 캡슐(C)만이 교체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비 투여 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투여 장치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투여 장치와 매우 유사하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회피하기 위해 차이점만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투여 장치는, 노스피스(53)가 캡슐 포함 부재(49)의 종방향 축 둘에에 중심설정된 본 실시예에서의 동심형의 환형 채널인 제 1 및 제 2 채널(55a, 55b)을 구비하며, 제 1 내측 채널(55a)은 캡슐 포함 부재(49)의 하단부에 유체식으로 연결되어 캡슐(C)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은 물질이 그를 통해 투여되고 제 2 외측 채널(55b)이 공기 챔버(78)의 상류에 있는 마우스피스(77)까지 덕트 채널(91)에 의해 유체식으로 연결된다.
본 구성의 경우, 집중된 파우더 에어로졸이 내측 채널(55a)의 출구 단부로부터 투여되고, 마우스피스(77)로부터 투여되는 바와 같이 동축 공기 유동에 의해 비말 동반된다. 본 구성은 비도의 특정 영역, 특히 후관 영역과 같은 후방 영역을 목표로 할 때 특히 유용하다. 비말 동반된 공기 유동이 캡슐(C) 위로 통과되지 않기 때문에, 비말 동반된 공기 유동의 습도는 중요하지 않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경비 투여 장치를 도시한다.
투여 장치는 중앙 지지 스핀들(105)과; 복수의 물질 포함 캡슐(C)을 이송하고 지지 스핀들(105) 둘레에 하우징(101)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본 실시에에서 하우징(10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109)[캡슐(C)의 내용물은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도록 함]와; 환자가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 유닛(121)과;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한쌍의 캡슐(C)을 천공하여 작동을 위해 투여 장치를 준비하도록 동시에 작동가능한 캡슐 천공 기구(1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C)은 분말 물질 및 전형적으로 약학 물질과 같은 입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종래의 젤라틴 캡슐이다.
캐리어(109)는 본 실시예에서 환형 요소인 본체 부재(131)와; 캡슐(C)을 각각 포함하고 캐리어(109)가 연속적으로 새로운 위치로 지시됨에 따라 새로운 쌍의 캡슐 포함 부재(133)가 캡슐 천공 기구(123)로 지시되도록 지지 스핀들(105) 둘레에 인접한 한 쌍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캡슐 포함 부재(1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 포함 부재(133) 각각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 형상인 길다란 유동 통로(139)를 규정하는 관형 요소(137)[캡슐(C)은 공기 유동이 그를 통해 전달될 때에 유동 통로(139)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유동 통로(139)를 따라 배향됨]와; 관형 요소(137)의 대향하는 하단부 및 상단부를 밀봉하는 제 1 및 제 2 밀봉 부재(141, 1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 포함 부재(133) 각각은 그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캡슐(C)을 천공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의 측벽에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및 제 2 천공 개구(143, 14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측 개구(143)는 캡슐(C)이 그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은 물질의 투여량의 높이 이상의 위치에서 천공되도록 위치된다. 이로써, 캡슐(C)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은 물질의 투여량은 공기 유동이 유동 통로(139)를 통해 전달될 때까지 유동 통로(139)내로 해제되지 않는다.
노스피스 유닛(119)은, 예컨대 노스피스 유닛(119)이 집어 넣어지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비작동 위치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1)에 이동가능하게 선회식으로 결합된 본체 부재(145)와; 환자의 비도에 끼워맞추기 위해 본체 부재(145)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노스피스(14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부재(145)는 캡슐 포함 부재(133)의 인접한 쌍의 유동 통로(139)를 노스피스 유닛(119)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노스피스(147)에 유체식으로 연결하는 유동 채널(149)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부재(145)는 노스피스 유닛(119)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캡슐 포함 부재(133)의 인접한 쌍의 상측 밀봉 부재(142)를 절단하는데 적합한 제 1 및 제 2 커터(15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부재(145)는 노스피스 유닛(119)이 작동 위치로부터든 또는 작동 위치로든 어느 쪽으로 선회될 때 전방으로 지향된 경사진 표면을 제공하는 다이아몬드형 단면을 갖는 캐치 부재(155)를 구비하며, 이는 얼마간 캡슐 천공 기구(123)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또한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에 있는 노스피스 유닛(119)을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147)는 예컨대 액밀성 밀봉을 제공하도록 환자의 비도내로 삽입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의 외측 섹션(157)을 가지고, 물질을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하는 내측 채널(159)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의 비도에 액밀성 밀봉을 제공할 때의 노스피스(147)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전 출원된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WO-A-00/51672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자의 비도를 통해 양방향성 투여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47)는 밀봉 끼워맞춤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서 비강으로의 투여를 처리하지만, 반드시 양방향성 투여일 필요는 없다.
마우스피스 유닛(121)은, 예컨대 노스피스 유닛(119)이 집어 넣어지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비작동 위치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1)에 이동가능하게 선회식으로 결합된 본체 부재(165)와; 환자의 입술내에 파지되는 바와 같이 본체 부재(165)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환자가 비말 동반하는 공기 유동을 전달하도록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167)와; 마우스피스(167)를 연속적인 날숨 사이클에서 개방된 캡슐 포함 부재(133)의 인접한 쌍 중 각각의 쌍에 연결하도록 유체식으로 작동가능한 밸브 유닛(16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유닛(169)은 마우스피스(167)내에서 전개되는 바와 같이 압력을 감지하도록 작동가능한 압력 센서와; 2개의 유동 채널을 구비하고, 예컨대 마우스피스(167)를 우선 한 쌍의 캡슐 포함 부재(133) 중 하나에 연결하고 주위 압력으로의 복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첫 번째 날숨 사이클 후에 한 쌍의 캡슐 포함 부재(133) 중 다른 하나로 연결되도록 유체식으로 전환가능한 전기기계식 밸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부재(165)는 마우스피스 유닛(121)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캡슐 포함 부재(133)의 인접한 쌍의 하측 밀봉 부재(141)를 절단하기에 적합한 제 1 및 제 2 커터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부재(165)는 마우스피스 유닛(121)이 작동 위치로부터든 또는 작동 위치로든 어느 쪽으로 선회될 때 전방으로 지향된 경사진 표면을 제공하는 다이아몬드형 단면을 갖는 캐치 부재(175)를 구비하며, 이는 얼마간 캡슐 천공 기구(123)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또한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에 있는 노스피스 유닛(121)을 고정한다.
캡슐 천공 기구(123)는 대향되고 연이은 관계로 배치되고 비작동의 집어 넣어진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까지의 마우스피스 유닛(121) 및 노스피스 유닛(119)의 운동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및 제 2 천공 유닛(181)을 포함한다.
천공 유닛(181) 각각은, 액추에이터 버튼(182)과; 액추에이터 버튼(182)에 의해 지지되고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축 위치로부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위치까지 액추에이터 버튼(182)을 누를 때, 캡슐(C)을 천공하도록 각각의 캡슐 포함 부재(133)의 측벽내에 천공 개구(143, 144) 중 각각의 하나를 통해 천공 요소(183, 185)가 구동되도록 그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천공 요소(183, 18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 천공 유닛(181) 각각은 수축 위치를 향해 내측으로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182)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탄성 요소(187)를 구비하며, 캡슐(C)을 천공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버튼(182)을 누른 후에, 액추에이터 버튼(182)은 수축 위치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버튼(182) 각각은 V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그의 후방면내에 제 1 및 제 2 리세스(189, 191)를 구비하며, 이는 예컨대 작동 위치에서 동일한 래치를 하도록 노스피스(119) 및 마우스피스(121)의 본체 부재(145, 165) 상에 캐치(155, 175)의 각각의 하나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투여 장치의 작동을 후술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예컨대 캡슐 천공 기구(123)에서 캡슐 포함 부재(133)의 다음 쌍을 제공하도록 캐리어(109)에 지시한다.
그 다음,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하우징(101)에 대해 동일하게 선회함으로써 노스피스 유닛(119)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을 각각의 작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노스피스 유닛(119) 및 마우스피스(121)를 각각의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때, 노스피스 유닛(119)의 본체 부재(145) 상의 캐치 부재(155)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의 본체 부재(165) 상의 캐치 부재(17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버튼(182)을 외측으로 가압하고 캡슐 포함 부재(133)내에 포함된 바와 같이 캡슐(C)을 천공하도록 천공 유닛(181)의 대향하는 액추에이터 버튼(182)의 각각의 단부 사이에 결합한다.
액추에이터 버튼(182)을 누름으로써, 캡슐(C)은 천공 요소(183, 185)가 캡슐 포함 부재(133)의 관형 요소(137)의 측벽내의 천공 개구(143, 144)를 통해 연장된 상태로, 그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천공 요소(183, 185)에 의해 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측 천공 요소(183)는 캡슐(C)에 의해 포함된 바와 같이 물질의 높이 바로 위의 위치에서 캡슐(C)을 천공하는 역할을 하고[캡슐(C)만이 부분적으로 충전됨], 제 1 상측 천공 요소(185)는 캡슐(C)의 상측 말단부를 천공하는 역할을 한다.
노스피스 유닛(119)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을 각각의 작동 위치로 더욱 이동시키자마자, 노스피스 유닛(119)의 본체 부재(145) 상의 캐치 부재(155)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의 본체 부재(165) 상의 캐치 부재(175)는, 액추에이터 버튼(182)이 가압 요소(187)의 가압 하에서 수축 위치로 복귀된 상태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유닛(181)의 대향하는 액추에이터 버튼(182)의 후방면내의 각각의 리세스(189, 191)내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노스피스 유닛(119)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이 작동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한, 노스피스 유닛(119)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을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노스피스 유닛(119)의 본체 부재(145) 상의 커터(151)는 캡슐 포함 부재(133)의 상측 밀봉 부재(142)를 파열시키는 역할을 하고, 마우스피스 유닛(121)의 본체 부재(165) 상의 커터(171)는 캡슐 포함 부재(133)의 하측 밀봉 부재(141)를 파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노스피스(147)를 비공 중 하나내로 삽입하고, 입술로 마우스피스(167)를 파지하며, 마우스피스(167)를 통해 숨을 내쉰다.
첫 번째 날숨 사이클에 있어서, 밸브 유닛(169)은 예컨대 한 쌍의 캡슐 포함 부재(133) 중 하나를 통해 날숨된 공기 유동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이 공기 유동은 캡슐(C)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고 캡슐(C)의 회전을 야기시키며, 이 회전은 캡슐(C)내로부터 물질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속된 날숨으로, 캡슐(C)은 회전을 계속한다.
날숨 후에, 새로운 빈 캡슐(C)이 휴지 위치로 복귀하고, 마우스피스(167)내의 임의의 압력의 부재에 의해 검지된 바와 같이, 밸브 유닛(169)은 마우스피스(167)가 한 쌍의 캡슐 포함 부재(133) 중 다른 하나에 유체식으로 연결되어, 후속의 날숨에 의해 전개된 바와 같은 공기 유동이 한 쌍의 캡슐 포함 부재(133)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지향된다.
하나의 작동 모드에 있어서, 노스피스(147)는 환자의 비공 중 다른 하나내에 삽입되고, 환자는 입술로 마우스피스(167)를 파지하고,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67)를 통해 숨을 내쉰다.
후속하는 두 번째 날숨 사이클에 있어서, 밸브 유닛(169)은 예컨대 한 쌍의 캡슐 포함 부재(133)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날숨된 공기 유동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이 공기 유동은 캡슐(C)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고 캡슐(C)의 회전을 야기시키며, 이 회전은 캡슐(C)내로부터 물질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속된 날숨으로, 캡슐(C)은 회전을 계속한다.
이러한 작동 모드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정반대의 물질이 환자의 각각의 비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날숨 후에, 새로운 빈 캡슐(C)이 휴지 위치로 복귀한다.
한 쌍의 캡슐 포함 부재(133)내의 캡슐(C)이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고, 이들 물질이 모두 하나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다른 작동 모드에 있어서, 노스피스(147)는 환자의 다른 비공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투여 장치의 사용 후에, 노스피스 유닛(119)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에 대해 동일하게 선회함으로써 각각의 집어 넣어진 비작동 위치로 복귀된다.
노스피스 유닛(119)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을 각각의 비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때, 노스피스 유닛(119)의 본체 부재(145) 상의 캐치 부재(155) 및 마우스피스 유닛(121)의 본체 부재(165) 상의 캐치 부재(175)는 천공 요소(181)의 대향하는 액추에이터 버튼(182)의 후방면내의 리세스(189, 191)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된다.
그 다음, 투여 장치의 작동은 캡슐(C)의 다음 쌍을 위해 반복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경비 투여 장치를 도시한다.
투여 장치는, 중앙 지지 스핀들(205)과; 복수의 물질 포함 블리스터(B)를 이송하고[캡슐(B)의 내용물은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도록 함] 지지 스핀들(205) 둘레에 하우징(201)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본 실시에에서 하우징(20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209)와; 환자로의 계면을 제공하는 계면 조립체(211)와;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 바와 같이 작동 위치에서 계면 조립체(21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래치 기구(2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리스터(B)는 분말 물질 및 전형적으로 약학 물질과 같은 입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종래의 블리스터이다.
캐리어(209)는 본 실시예에서 환형 요소인 본체 부재(131)와; 캐리어(209)가 연속적으로 새로운 위치로 지시됨에 따라 새로운 쌍의 블리스터(B)가 계면 조립체(211)의 작동 위치로 지시되도록 지지 스핀들(205) 둘레에 인접한 한 쌍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블리스터(B)를 포함한다.
계면 조립체(211)는, 예컨대 계면 조립체(211)가 집어 넣어지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비작동 위치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201)에 이동가능하게 선회식으로 결합된 본체 부재(235)와; 환자의 입술에 파지된 바와 같이 본체 부재(235)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노스피스(247)를 구비하고 환자가 비말 동반하는 공기 유동을 전달하기 위해 숨을 내쉬는 노스피스 유닛(219)과; 연속적인 날숨 사이클에서 마우스피스(249)를 개방된 블리스터(B)의 인접한 쌍 중 각각의 하나에 유체식으로 연결하도록 작동가능한 밸브 유닛(25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부재(235)는 계면 조립체(211)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블리스터(B)의 인접한 쌍을 마우스피스(249)에 유체식으로 연결하는 유동 채널(259)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부재(235)는 계면 조립체(211)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블리스터(B)의 인접한 쌍의 밀봉 부재를 절단하기에 적합한 제 1 및 제 2 커터(26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부재(235)는 계면 조립체(211)가 작동 위치로부터 든 또는 작동 위치로 든 어느 쪽으로 선회될 때 전방으로 지향된 경사진 표면을 제공하는 다이아몬드형 단면을 갖는 캐치 부재(265)를 구비하며, 이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에 있는 계면 조립체(21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247)는 예컨대 액밀성 밀봉을 제공하도록 환자의 비강내로 삽입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의 외측 섹션(267)을 가지고, 환자의 비강으로 물질을 투여하는 내측 채널(269)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의 비공과 액밀성 밀봉을 제공할 때의 노스피스(247)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전 출원된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WO-A-00/51672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자의 비도를 통해 양방향성 투여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노스피스(247)는 밀봉 끼워맞춤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서 비강으로의 투여를 처리하지만, 반드시 양방향성 투여일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유닛(251)은 마우스피스(167)내에서 전개되는 바와 같이 압력을 감지하도록 작동가능한 압력 센서와; 2개의 유동 채널을 구비하고, 예컨대 마우스피스(249)를 우선 한 쌍의 한 쌍의 블리스터(B) 중 하나에 연결하고 주위 압력으로의 복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첫 번째 날숨 사이클 후에 한 쌍의 블리스터(B) 중 다른 하나로 연결되도록 유체식으로 전환가능한 전기기계식 밸브를 포함한다.
래치 기구(223)는 대향되고 연이은 관계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래치 요소(281)를 포함하며, 각각은 래치 본체(282)와, 래치 본체(282)를 전방으로 래치 위치까지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탄성 요소(28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래치 본체(282) 각각은 V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그의 후방면내에 리세스(289)를 구비하며, 이는 계면 조립체(211)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계면 조립체(211)의 본체 부재(235) 상의 캐치(265)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투여 장치의 작동을 후술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예컨대 계면 조립체(211)의 작동 위치에서 다음 쌍의 블리스터(B)를 제공하도록 캐리어(209)에 지시한다.
그 다음,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하우징(201)에 대해 동일하게 선회함으로써 작동 위치로 계면 조립체(211)를 이동시킨다.
계면 조립체(211)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때, 계면 조립체(211)의 본체 부재(235) 상의 캐치 부재(265)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본체(282)를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래치 유닛(281)의 래치 본체(282)의 각각의 단부 사이에서 결합한다.
계면 조립체(211)를 작동 위치로 더욱 이동시키자마자, 계면 조립체(211)의 본체 부재(235) 상의 캐치 부재(265), 래치 본체(282)가 가압 요소(287)의 가압 하에서 수축 위치로 복귀된 상태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유닛(281)의 대향하는 래치 본체(282)의 후방면내의 각각의 리세스(189, 191)내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계면 조립체(211)가 작동 위치에서 래치된다.
또한, 계면 조립체(211)를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계면 조립체(211)의 본체 부재(235) 상의 커터(261)는 블리스터(B)의 인접한 쌍의 밀봉 부재를 파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노스피스(247)를 비공 중 하나내로 삽입하고, 입술로 마우스피스(249)를 파지하며, 마우스피스(249)를 통해 숨을 내쉰다.
첫 번째 날숨 사이클에 있어서, 밸브 유닛(251)은 예컨대 한 쌍의 블리스터(B) 중 하나를 통해 날숨된 공기 유동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이 공기 유동은 블리스터(B)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날숨 후에, 블리스터(B)가 비워지고, 마우스피스(249)내에 임의의 압력의 부재에 의해 검지된 바와 같이, 밸브 유닛(251)은 한 쌍의 블리스터(B)의 다른 하나에 유체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후속의 날숨에 의해 전개된 바와 같은 공기 유동이 한 쌍의 블리스터(B)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지향된다.
하나의 작동 모드에 있어서, 노스피스(247)는 환자의 비공 중 다른 하나내에 삽입되고, 환자는 입술로 마우스피스(249)를 파지하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249)를 통해 숨을 내쉰다.
후속하는 두 번째 날숨 사이클에 있어서, 밸브 유닛(251)은 예컨대 한 쌍의 블리스터(B)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날숨된 공기 유동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 모드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정반대의 물질이 환자의 각각의 비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날숨 후에, 블리스터(B)가 비워진다.
블리스터(B)가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고, 이들 물질이 모두 하나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다른 작동 모드에 있어서, 노스피스(247)는 환자의 다른 비공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투여 장치의 사용 후에, 계면 조립체(211)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1)에 대해 동일하게 선회함으로써 각각의 집어 넣어진 비작동 위치로 복귀된다.
계면 조립체(211)를 각각의 비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때, 계면 조립체(211)의 본체 부재(235) 상의 캐치 부재(265)는 래치 유닛(281)의 대향하는 래치 본체(282)의 후방면내의 리세스(289)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된다.
그 다음, 투여 장치의 작동은 블리스터(B)의 다음 쌍을 위해 반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기술되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일 변형례에 있어서, 투여 장치는 캡슐 수용 유닛(16)의 캡슐 수용 챔버(23)내에 연속적으로 지시되는 복수의 캡슐 포함 부재(49)를 구비하는 회전가능한 카트리지를 구비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Claims (44)

  1.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경비 투여 장치(nasal delivery device)에 있어서,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챔버를 포함하는 용기 수용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용기 수용 유닛;
    상기 용기 챔버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기 위한 노스피스를 구비한 노스피스 유닛;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시키고,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상기 물질을 투여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환자가 사용시에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마우스피스 유닛; 및
    상기 용기 챔버에서 또는 그 하류에서의 응축을 감소시키기 위한 습기 저감 요소;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저감 요소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에 유체식으로 연결하는 공기 챔버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챔버는 기다란 관형 섹션을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챔버는 상기 용기 챔버보다 큰 체적을 갖는 경비 투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챔버는 상기 용기 챔버의 적어도 2배의 체적을 갖는 경비 투여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챔버는 날숨시에 공기 유동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를 내장하는 경비 투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는 날숨된 공기 유동을 냉각하도록 작동되는 경비 투여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는 상기 공기 챔버의 적어도 상류 단부에 위치되는 경비 투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는 상기 공기 챔버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채우는 경비 투여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는 미로 형상의 응축기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저감 요소는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고, 사전결정된 압력이 압력 감지 밸브의 상류로 전개될 때까지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상기 압력 감지 밸브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밸브는 통상적으로 폐쇄된 밀봉 위치로 가압되는 플랩 부재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부재는 피봇 둘레를 힌지가능하고, 상기 압력 감지 밸브는 통상적으로 상기 플랩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로 가압하는 탄성 요소를 구비하는 경비 투여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밸브는 상기 용기 챔버로 상기 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비 투여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용 유닛은 상기 압력 감지 밸브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스피스 유닛은 분리가능한 경비 투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스피스 유닛은 상기 용기를 포함하는 용기 포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사용시에 상기 용기 챔버내에 끼워맞춰지는 경비 투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함 부재는 유동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는 공기 유동이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해 전달될 때 상기 유동 통로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경비 투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함 부재는 상기 유동 통로의 하나의 상류 단부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 개구는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해 투여될 때 공기 유동을 제한하는 경비 투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는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해 공기 유동의 전달 전에 상기 용기 챔버의 하단부를 위한 안착부를 제공하는 경비 투여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포함하고, 사용시에 상기 용기 챔버내에 끼워맞춰지는 교체가능한 용기 포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함 부재는 유동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챔버는 공기 유동이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해 전달될 때 상기 유동 통로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경비 투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함 부재는 상기 유동 통로의 하나의 상류 단부와 유체 연통하는 입구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 개구는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해 전달될 때 공기 유동을 제한하는 경비 투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는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한 공기 유동의 전달 전에 상기 용기의 하단부를 위한 안착부를 제공하는 경비 투여 장치.
  25.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스피스 유닛은 교체가능한 경비 투여 장치.
  26.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함 부재는 상기 노스피스와는 독립적으로 교체가능하고, 재사용가능한 경비 투여 장치.
  27.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챔버는 교체가능하고, 상기 노스피스 및 상기 용기 포함 부재는 재사용가능한 경비 투여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챔버내에 수용될 때 용기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용기 개방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개방 기구는 상기 용기를 개방하도록 상기 용기를 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 요소를 구비하는 경비 투여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개방 기구를 그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용기를 천공하기 위한 복수의 천공 요소를 구비하는 경비 투여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부분적으로만 채워지고, 상기 용기 개방 기구는 제 1 및 제 2 천공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천공 요소 중 하나는 상기 용기가 채워지는 레벨 이상의 높이에서 상기 용기를 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천공 요소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용기의 상측 영역을 천공하도록 구성되는 경비 투여 장치.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캡슐인 경비 투여 장치.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입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성 물질은 분말 물질을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35.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경비 투여 장치에 있어서,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복수의 물질 포함 용기를 이송하는 캐리어;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기 위한 노스피스를 구비한 노스피스 유닛;
    사용시에 환자가 숨을 내쉬는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마우스피스 유닛; 및
    각각의 작동시에, 상기 복수의 물질 포함 용기를 개방하도록 작동가능하고, 연속적인 날숨 사이클에서 상기 개방된 물질 포함 용기 중 각각의 하나에 상기 마우스피스를 유체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밸브 유닛을 구비한 액추에이팅 기구;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팅 기구는 상기 물질 포함 부재 중 2개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경비 투여 장치.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스피스 유닛은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며, 작동 위치에서, 상기 노스피스는 상기 물질 포함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 연통하는 경비 투여 장치.
  38. 제 35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 유닛은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며, 작동 위치에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물질 포함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 연통하는 경비 투여 장치.
  39. 제 37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스피스 유닛 및 상기 마우스피스 유닛은 상기 본체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액추에이터 조립체내에 함께 제공되는 경비 투여 장치.
  40. 제 35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포함 용기는 블리스터를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41. 제 35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포함 용기는 캡슐을 포함하는 경비 투여 장치.
  42.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 챔버내에서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물질 포함 용기의 배치 단계;
    상기 용기의 출구와 연통하는 노스피스를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는 단계;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환자가 날숨함으로써, 상기 용기 챔버를 통해 공기 유동을 전달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하며,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그리고 환자의 비강내로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챔버의 하류에서 응축을 저감하도록 상기 용기 챔버의 날숨된 공기 유동 상류로부터 습기를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43. 환자의 비강에 물질을 투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 챔버내에서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 포함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용기 챔버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물질 포함 용기의 배치 단계;
    상기 용기의 출구와 연통하는 노스피스를 환자의 비강에 끼워맞추는 단계; 및
    상기 용기 챔버의 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환자가 날숨함으로써, 상기 용기 챔버를 통해 공기 유동을 전달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물질을 비말 동반하며, 상기 노스피스를 통해 그리고 환자의 비강내로 물질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44. 첨부된 도면인 도 1a 내지 도 4f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경비 투여 장치.
KR1020127030294A 2004-09-15 2005-09-15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KR101446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20513.4 2004-09-15
GB0420513A GB0420513D0 (en) 2004-09-15 2004-09-15 Powder delivery devices
PCT/GB2005/003549 WO2006030210A2 (en) 2004-09-15 2005-09-15 Nasal delivery devic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546A Division KR101324023B1 (ko) 2004-09-15 2005-09-15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260A true KR20120140260A (ko) 2012-12-28
KR101446507B1 KR101446507B1 (ko) 2014-10-06

Family

ID=333066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546A KR101324023B1 (ko) 2004-09-15 2005-09-15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KR1020127030294A KR101446507B1 (ko) 2004-09-15 2005-09-15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546A KR101324023B1 (ko) 2004-09-15 2005-09-15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5) US20080289629A1 (ko)
EP (3) EP2462972B1 (ko)
JP (5) JP5032323B2 (ko)
KR (2) KR101324023B1 (ko)
CN (2) CN101056666B (ko)
AU (1) AU2005283922A1 (ko)
BR (1) BRPI0515289B8 (ko)
CA (3) CA2580217C (ko)
DK (2) DK1799290T3 (ko)
ES (2) ES2546934T3 (ko)
GB (4) GB0420513D0 (ko)
IL (1) IL181940A0 (ko)
IN (1) IN2014DN10605A (ko)
MX (2) MX2007003052A (ko)
NO (1) NO337577B1 (ko)
PL (2) PL1799290T3 (ko)
RU (1) RU2428217C2 (ko)
SG (1) SG155889A1 (ko)
WO (1) WO20060302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1672A1 (en) * 1999-03-03 2000-09-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114272D0 (en) 2001-06-12 2001-08-01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121568D0 (en) 2001-09-06 2001-10-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ZA200306564B (en) * 2001-02-26 2004-10-15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09494D0 (en) * 2002-04-25 2002-06-05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15270D0 (en) 2002-07-02 2002-08-14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15904D0 (en) * 2002-07-09 2002-08-21 Team Holdings Uk Lt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GB0311570D0 (en) 2003-05-20 2003-06-25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GB0319119D0 (en) * 2003-08-14 2003-09-17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320171D0 (en) 2003-08-28 2003-10-01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420513D0 (en) 2004-09-15 2004-10-2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0503738D0 (en) * 2005-02-23 2005-03-3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US10478574B2 (en) 2006-01-19 2019-11-19 Optinose As Nasal administration
WO2007093784A1 (en) * 2006-02-14 2007-08-23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GB0602980D0 (en) * 2006-02-14 2006-03-29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GB0604319D0 (en) * 2006-03-03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livery
GB0604444D0 (en) * 2006-03-06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605799D0 (en) * 2006-03-23 2006-05-03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DE102006016904A1 (de) * 2006-04-11 2007-10-2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Inhalator
EP1844805A1 (de) * 2006-04-13 2007-10-1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KG Inhalator
GB2437488A (en) * 2006-04-25 2007-10-31 Optinose As Pharmaceutical oily formulation for nasal or buccal administration
GB2438834A (en) * 2006-06-08 2007-12-12 Optinose As Intranasal protein administration
GB2440316A (en) 2006-07-25 2008-01-30 Optinose As Nasal inhaler with scrubber
GB0623732D0 (en) *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2477225B (en) * 2006-11-28 2012-04-0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GB2476731B (en) * 2006-11-28 2011-08-24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623728D0 (en) *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623731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
US8196576B2 (en) * 2007-02-28 2012-06-12 Microdose Therapeutx, Inc. Inhaler
GB2448193A (en) *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2448183A (en)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powder delivery device
GB0719299D0 (en) 2007-10-03 2007-11-1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CN101459908B (zh) * 2007-12-13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订阅方法、系统、服务器
GB2472327B (en) 2009-07-31 2013-03-13 Shin Nippon Biomedical Lab Ltd Intranasal granisetron and nasal applicator
DE102009037840B4 (de) * 2009-08-18 2012-08-16 Gamptec Gmbh Inhal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halation eines Wirkstoffs aus einer Kapsel
US8746244B2 (en) * 2009-10-02 2014-06-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GB201015371D0 (en) 2010-09-14 2010-10-27 Optinose As Nasal delivery
EP2670462B1 (en) * 2011-01-31 2017-11-22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US9949923B2 (en) 2011-03-15 2018-04-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WO2012154859A1 (en) 2011-05-09 2012-11-15 Impel Neuropharma Inc. Nozzles for nasal drug delivery
CN103889489B (zh) * 2011-07-13 2017-08-15 铸造有限责任公司 用于鼻咽粘膜靶的递送装置
MX358061B (es) 2012-02-24 2018-08-03 Optinose As Dispositivos de suministro nasal.
MX352029B (es) 2012-02-24 2017-11-07 Optinose As Dispositivos de suministro nasal.
US10179216B2 (en) 2012-02-24 2019-01-15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WO2013184951A2 (en) * 2012-06-06 2013-12-12 Aerodesigns, Inc. Aerosol dispenser with replaceable cartridge
CN104470569B (zh) * 2012-06-28 2018-04-27 美国政府(由卫生和人类服务部的部长所代表) 用于疫苗和其它治疗试剂的鼻干粉递送系统
EP2903608B1 (en) 2012-10-03 2019-08-28 Proponent Biotech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ropionic acid for use in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US9884157B2 (en) * 2013-03-15 2018-02-06 Microdose Therapeutx, Inc.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554229B2 (en) 2013-03-26 2023-01-17 OptiNose Inc. Nasal administration
USD761951S1 (en) 2013-05-23 2016-07-19 Optinose As Nosepiece unit
EP2868334B1 (de) 2013-11-05 2017-01-11 Benedict Gerber Nasendusche
CN103611207A (zh) * 2013-12-16 2014-03-05 梁卓 一种鼻炎烟熏治疗仪
CN103611213A (zh) * 2013-12-16 2014-03-05 梁卓 一种鼻炎烟熏装置
CN107106792B (zh) 2014-11-19 2020-08-18 奥普蒂诺斯公司 经鼻给药
US20170071505A1 (en) * 2015-09-16 2017-03-16 Methocholine Dry Powd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11213641B2 (en) 2016-09-14 2022-01-04 Healthy Humming, LLC Therapeutic device for treatment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sinuses, nasal cavities, ear, nose and throat
WO2018053079A1 (en) 2016-09-14 2018-03-22 Bogan Consulting Services, P.A. Therapeutic device for treatment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sinuses, nasal cavities, ear, nose and throat
US11305077B2 (en) 2016-09-14 2022-04-19 Healthy Humming, LLC Therapeutic device for treatment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sinuses, nasal cavities, ear, nose and throat
US11432993B2 (en) 2016-09-14 2022-09-06 Healthy Humming, LLC Therapeutic device for treatment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sinuses, nasal cavities, ear, nose and throat
GB201700727D0 (en) * 2017-01-16 2017-03-01 Teva Pharma Inhalers and airflow adaptors therefor
JP7157750B2 (ja) 2017-09-15 2022-10-20 株式会社新日本科学 薬剤保管用のノズル付きカートリッジとその噴射器、および鼻腔用粉状薬剤施薬装置
US11744967B2 (en) 2017-09-26 2023-09-05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Intranasal delivery devices
CN109821118A (zh) * 2017-11-23 2019-05-31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新型肺部药物输送系统
KR102138725B1 (ko) * 2018-04-19 2020-07-28 조민수 구강 및 비강 내에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분무 장치
KR102140739B1 (ko) * 2018-04-23 2020-08-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상기도 분무 장치
US11642281B2 (en) * 2018-10-02 2023-05-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medical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s and method of use
US20220296825A1 (en) 2018-10-04 2022-09-22 Optinose As Exhalation delivery system for and method of treating sinus disease
CN109939326B (zh) * 2019-04-18 2023-10-31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安贞医院 基于呼气压力的嗅觉训练装置
CN111514418B (zh) * 2019-06-12 2022-01-14 中南大学湘雅二医院 一种自吸式经鼻粉末材料给送装置
US11793951B2 (en) 2019-06-24 2023-10-24 De Motu Cordis Pty Ltd Automatic dispenser for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10828432B1 (en) 2019-06-24 2020-11-10 De Motu Cordis Pty Ltd Respiratory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11717621B2 (en) 2019-06-24 2023-08-08 De Motu Cordis Pty Ltd Automatic dispenser for respiratory delivery device
US11883582B2 (en) * 2019-10-17 2024-01-30 Astrazeneca Ab Inhaler
IL294485A (en) 2020-01-22 2022-09-01 Seelos Therapeutics Inc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nmda antagonists
FR3115996A1 (fr) * 2020-11-06 2022-05-13 Nemera La Verpilliere Système d’assistance à la distribution de produit
WO2022241214A1 (en) 2021-05-14 2022-11-17 Seelos Therapeutics, Inc. Methods of using nmda receptor antagonists
TW202310825A (zh) 2021-05-14 2023-03-16 美商西羅斯醫療公司 減少nmda受體拮抗劑之副作用
CN113546290A (zh) * 2021-08-19 2021-10-26 南京澳博工业智能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鼻腔给药装置
CN113616886B (zh) * 2021-08-19 2023-04-28 艾特申博(苏州)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鼻腔给药干粉递送装置
AU2022370099A1 (en) * 2021-10-19 2024-05-30 Travis COCHRAN Breath-powered nasal devices for treat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tbi), including concussion, and methods and methods
CN113941077A (zh) * 2021-12-21 2022-01-18 时新(上海)产品设计有限公司 高压空气胶囊及包含其的喷剂装置、喷剂组件

Family Cites Families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436A (en) 1898-06-07 Inhaler
US642748A (en) 1899-02-23 1900-02-06 Arthur Manners Inhaler.
US658436A (en) 1900-05-28 1900-09-25 Hans Hennerich Groth Insufflator.
US746749A (en) 1903-03-18 1903-12-15 George E Seidel Nasal medicator.
US794641A (en) 1905-03-06 1905-07-11 Alfred H Ramey Inhaler.
US902832A (en) 1907-09-20 1908-11-03 Edward F Philbrook Inhaler.
FR2224175B1 (ko) * 1973-04-04 1978-04-14 Isf Spa
IT982765B (it) * 1973-04-13 1974-10-21 Farmaceutici Italia Apparecchio inalatore
US3888252A (en) 1974-01-23 1975-06-10 Anthony J Side Powder inhaler
US3971377A (en) * 1974-06-10 1976-07-27 Alza Corporation Medicament dispensing process for inhalation therapy
US5038769A (en) * 1983-06-29 1991-08-13 Krauser Robert S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ilments
US4796614A (en) * 1987-02-26 1989-01-10 Trutek Research, Inc. Collapsible inhalation valve
DE3927170A1 (de) * 1989-08-17 1991-02-21 Boehringer Ingelheim Kg Inhalator
US5201308A (en) * 1990-02-14 1993-04-13 Newhouse Michael T Powder inhaler
WO1992003175A1 (en) * 1990-08-11 1992-03-05 Fisons Plc Inhalation device
JP2856909B2 (ja) * 1991-04-15 1999-02-10 レイラス・オサケユキデュア 吸入用粉末状薬剤の用量を計測する装置
JPH0614973B2 (ja) 1992-03-31 1994-03-02 テクノ・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蒸気吸入式治療器
NZ261795A (en) 1993-02-12 1997-06-24 Minnesota Mining & Mfg Aerosol delivery apparatus is connectable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as a conduit with a lume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nostril of a large animal
JP3372105B2 (ja) 1994-05-26 2003-01-27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EP1177807A3 (en) * 1994-10-28 2003-10-22 Aradigm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aerosolized mist of respiratory drug
ES2145421T3 (es) 1995-01-23 2000-07-01 Direct Haler A S Inhalador.
JPH08238318A (ja) * 1995-03-03 1996-09-17 Unisia Jecs Corp 鼻腔用投薬器
JP3308425B2 (ja) * 1995-03-10 2002-07-2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鼻腔用投薬器
JP3320261B2 (ja) 1995-06-01 2002-09-03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吸入式投薬器
JP3434396B2 (ja) * 1995-06-30 2003-08-04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鼻腔用投薬器
JP3315031B2 (ja) * 1995-11-27 2002-08-1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投薬器
US5797392C1 (en) 1996-01-22 2001-01-09 Direct Haler As Inhaler
US5797390A (en) * 1996-03-06 1998-08-25 Mcsoley; Thomas E. Nasal inhaler having a directed spray pattern
AUPN976496A0 (en) 1996-05-10 1996-05-30 Glaxo Wellcome Australia Ltd Unit dose dispensing device
FR2751553B1 (fr) * 1996-07-23 1999-06-11 Pedrali Franck Procede pour l'amelioration de la diffusion d'un produit bronchodilatateur en spray et appareils le mettant en oeuvre
DE19647947A1 (de) * 1996-11-20 1998-05-28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SE9700424D0 (sv) * 1997-02-07 1997-02-07 Astra Ab Powder inhaler
JP3011898B2 (ja) 1997-02-20 2000-02-21 フォルテ グロウ メディカル株式会社 吸引器
SE9701750D0 (sv) * 1997-05-12 1997-05-12 Astra Pharma Prod Inhal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0986413B1 (en) * 1997-05-27 2004-09-01 Direct-Haler A/S Inhaler for powdered medicaments
US6257233B1 (en) 1998-06-04 2001-07-10 Inhale Therapeutic Systems Dry powder dispers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ir use
GB9904906D0 (en) 1999-03-03 1999-04-28 Djupesland Per G Device
WO2000051672A1 (en) * 1999-03-03 2000-09-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114272D0 (en) 2001-06-12 2001-08-01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121568D0 (en) 2001-09-06 2001-10-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JP3678955B2 (ja) 1999-09-28 2005-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鼻腔用投薬器
GB0015309D0 (en) * 2000-06-21 2000-08-16 Djupesland Per G Apparatus
ZA200306564B (en) * 2001-02-26 2004-10-15 Optinose As Nasal devices.
US10124128B2 (en) * 2001-11-14 2018-11-13 Bgp Products Operations Gmbh Aerosolization apparatus with removable mouthpiece
GB0207422D0 (en) * 2002-03-28 2002-05-08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07817D0 (en) 2002-04-04 2002-05-15 Optinose As Nasal devices
SE0201213D0 (sv) * 2002-04-23 2002-04-23 Siemens Elema Ab Anaesthetic Filter Arrangement
GB0209494D0 (en) * 2002-04-25 2002-06-05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15270D0 (en) 2002-07-02 2002-08-14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215904D0 (en) * 2002-07-09 2002-08-21 Team Holdings Uk Lt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GB0300008D0 (en) 2003-01-02 2003-02-05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US20040173211A1 (en) * 2003-01-14 2004-09-0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Powder inhaler
ES2310722T3 (es) 2003-03-20 2009-01-16 Galephar M/F Sistema inhalador de polvo seco mejorado.
GB0311570D0 (en) 2003-05-20 2003-06-25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GB0319119D0 (en) 2003-08-14 2003-09-17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320171D0 (en) 2003-08-28 2003-10-01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DE10352277A1 (de) 2003-11-08 2005-06-02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ulverinhalator
USD530815S1 (en) 2004-03-19 2006-10-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420513D0 (en) 2004-09-15 2004-10-2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0503738D0 (en) 2005-02-23 2005-03-3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US10478574B2 (en) * 2006-01-19 2019-11-19 Optinose As Nasal administration
GB0602980D0 (en) 2006-02-14 2006-03-29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WO2007093784A1 (en) 2006-02-14 2007-08-23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GB0604319D0 (en) * 2006-03-03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livery
GB0604444D0 (en) 2006-03-06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605799D0 (en) 2006-03-23 2006-05-03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GB2437488A (en) * 2006-04-25 2007-10-31 Optinose As Pharmaceutical oily formulation for nasal or buccal administration
GB2438834A (en) 2006-06-08 2007-12-12 Optinose As Intranasal protein administration
GB2440316A (en) 2006-07-25 2008-01-30 Optinose As Nasal inhaler with scrubber
GB0623731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
GB0623728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623732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2448183A (en) *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powder delivery device
GB2448193A (en) *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719299D0 (en) 2007-10-03 2007-11-1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US20110318345A1 (en) 2008-09-15 2011-12-29 Optinose As Nasal delivery
GB201015371D0 (en) 2010-09-14 2010-10-27 Optinose As Nasal delivery
US9949923B2 (en) 2011-03-15 2018-04-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MX352029B (es) 2012-02-24 2017-11-07 Optinose As Dispositivos de suministro nasal.
MX358061B (es) 2012-02-24 2018-08-03 Optinose As Dispositivos de suministro nasal.
US10179216B2 (en) 2012-02-24 2019-01-15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US11554229B2 (en) 2013-03-26 2023-01-17 OptiNose Inc. Nasal administration
EP4062939A1 (en) 2013-03-26 2022-09-28 Optinose AS Nasal administration
USD761951S1 (en) 2013-05-23 2016-07-19 Optinose As Nosepiece unit
USD725769S1 (en) 2013-05-23 2015-03-31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USD723156S1 (en) 2013-05-23 2015-02-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CN107106792B (zh) 2014-11-19 2020-08-18 奥普蒂诺斯公司 经鼻给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2973A3 (en) 2013-12-11
ES2546934T3 (es) 2015-09-30
IL181940A0 (en) 2007-07-04
GB2418147A (en) 2006-03-22
US10398859B2 (en) 2019-09-03
CN102000374A (zh) 2011-04-06
CA2580217C (en) 2014-03-18
RU2428217C2 (ru) 2011-09-10
GB0420513D0 (en) 2004-10-20
CN101056666A (zh) 2007-10-17
PL2462972T3 (pl) 2014-10-31
EP2462973B1 (en) 2019-02-20
EP2462973A2 (en) 2012-06-13
SG155889A1 (en) 2009-10-29
BRPI0515289B1 (pt) 2017-10-10
GB2449382A (en) 2008-11-19
CA2904711C (en) 2018-10-02
US20080289629A1 (en) 2008-11-27
EP2462972A3 (en) 2013-08-28
CA2904711A1 (en) 2006-03-23
KR101446507B1 (ko) 2014-10-06
AU2005283922A1 (en) 2006-03-23
JP2019122808A (ja) 2019-07-25
US20160095989A1 (en) 2016-04-07
JP2016128002A (ja) 2016-07-14
NO337577B1 (no) 2016-05-09
EP2462972B1 (en) 2014-04-16
CA2839080A1 (en) 2006-03-23
CN101056666B (zh) 2011-08-03
NO20071661L (no) 2007-06-13
JP2012071156A (ja) 2012-04-12
ES2479719T3 (es) 2014-07-24
JP5788772B2 (ja) 2015-10-07
WO2006030210A3 (en) 2006-05-11
GB2418147B (en) 2008-03-05
GB0518853D0 (en) 2005-10-26
GB2429168A (en) 2007-02-21
US8590530B2 (en) 2013-11-26
DK2462972T3 (da) 2014-07-14
BRPI0515289A (pt) 2008-07-15
CA2839080C (en) 2016-04-19
GB2449382A8 (en) 2009-10-14
GB2429168B (en) 2009-07-22
MX2007003052A (es) 2007-05-16
PL1799290T3 (pl) 2016-05-31
KR20070085256A (ko) 2007-08-27
US9108015B2 (en) 2015-08-18
GB0623316D0 (en) 2007-01-03
GB2449382B (en) 2009-07-22
EP2462972A2 (en) 2012-06-13
JP5032323B2 (ja) 2012-09-26
IN2014DN10605A (ko) 2015-09-11
EP1799290A2 (en) 2007-06-27
MX341021B (es) 2016-08-04
RU2007114055A (ru) 2008-11-10
EP1799290B1 (en) 2015-08-12
JP5985542B2 (ja) 2016-09-06
US20130098362A1 (en) 2013-04-25
BRPI0515289B8 (pt) 2021-06-22
GB2449382B8 (en) 2009-10-14
JP2008513078A (ja) 2008-05-01
CN102000374B (zh) 2013-09-11
JP2014205070A (ja) 2014-10-30
DK1799290T3 (en) 2015-09-14
US20200023146A1 (en) 2020-01-23
KR101324023B1 (ko) 2013-11-01
JP6992215B2 (ja) 2022-01-13
WO2006030210A2 (en) 2006-03-23
CA2580217A1 (en) 2006-03-23
JP6718696B2 (ja) 2020-07-08
US20140041660A1 (en) 2014-02-13
GB0814450D0 (en)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507B1 (ko) 경비 투여 장치 및 비강으로의 물질 투여 방법
AU2017200564B2 (en) Nasal delivery devices
AU2012202778A1 (en) Nasal deliver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