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990A -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 Google Patents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990A
KR20120138990A KR1020110058484A KR20110058484A KR20120138990A KR 20120138990 A KR20120138990 A KR 20120138990A KR 1020110058484 A KR1020110058484 A KR 1020110058484A KR 20110058484 A KR20110058484 A KR 20110058484A KR 20120138990 A KR20120138990 A KR 2012013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artition wall
beverage
beverage cup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솔아
Original Assignee
윤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솔아 filed Critical 윤솔아
Priority to KR102011005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8990A/ko
Publication of KR2012013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22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blank, and provided with vertical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커피 등과 같은 다수의 음료컵 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구획 공간의 변형을 통하여 떡이나 케익, 샌드위치 등의 다양한 물품을 함께 보관 및 운반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음료컵이 보관되어지는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에 있어서, 내부에 음료컵 보관을 위한 사각형상의 수용공간(11)을 형성하고 있는 캐리어본체(10)와; 상기 캐리어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11)을 반으로 나누어 제1수용부(11a)와 제2수용부(11b)로 나누어 주는 중간격벽(20)과; 상기 중간격벽(20)의 중단에서 제1수용부(11a) 측으로 접힘 가공되어 제1수용부(11a)를 반으로 나누어 주는 구획벽(30)과; 상기 구획벽(30) 선단부에 돌출 구비된 체결돌부(32)와; 상기 체결돌부(32)와 대응되는 캐리어본체(10)에 형성된 체결홈(12)과; 상기 구획벽(3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 통공(31)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A BEVERAGE CUP CARRIER BOX STRUCTURE}
본 발명은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나 음료수 등이 담겨진 다수의 일회용 용기를 동시에 보관 및 테이크 아웃을 위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포장체 상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나 쥬스 등과 같은 음료를 테이크 아웃으로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로 가벼운 재질인 투명한 플라스틱 포장체 용기에 담아서 음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음료컵을 한 사람이 다수개 운반 및 이동코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음료컵 캐리어 포장상자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던 테이크 아웃용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는 단순히 음료컵만이 안착 보관되어지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음료와 함께 샌드위치나 떡, 케익 등은 따로 운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음료컵 캐리어 이용에 있어서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내부의 구조변경이 가능한 캐리어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음료컵과 함께 다른 물품을 함께 수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캐리어의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캐리어 포장체는, 다수의 음료컵이 보관되어지는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에 있어서, 내부에 음료컵 보관을 위한 사각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캐리어본체와; 상기 캐리어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을 반으로 나누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로 나누어 주는 중간격벽과; 상기 중간격벽의 중단에서 제1수용부 측으로 접힘 가공되어 제1수용부를 반으로 나누어 주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 선단부에 돌출 구비된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와 대응되는 캐리어본체에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구획벽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 통공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캐리어 포장체는, 커피 등과 같은 다수의 음료컵 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며 구획 공간의 변형을 통하여 떡이나 케익, 샌드위치 등의 다양한 물품을 함께 보관 및 운반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접힘가공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접힘가공전 배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접힘가공 과정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접힘가공 완성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접힘가공 완성 상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접힘가공 완성 상태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구획격막 설치 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구획격막 설치 상태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구획격막 설치 상태 평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포장체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음료컵 보관을 위한 사각형상의 수용공간(11)을 형성하고 있는 캐리어본체(10)와, 캐리어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11)을 반으로 나누어 제1수용부(11a)와 제2수용부(11b)로 나누어 주는 중간격벽(20)과, 중간격벽(20)의 중단에서 제1수용부(11a) 측으로 접힘 가공되어 제1수용부(11a)를 반으로 나누어 주는 구획벽(30)과, 구획벽(30) 선단부에 돌출 구비된 체결돌부(32)와, 체결돌부(32)와 대응되는 캐리어본체(10)에 형성된 체결홈(12)과, 구획벽(3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 통공(31)으로 구성되어지게 된다.
특히, 캐리어본체(10)에는 제2수용부(11b)를 둘러싸는 일측 모서리부에 절개부(13)를 형성하여 접힘 가공에 의해 제2수용부(11b)에 별도의 구획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구획격막(14)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절개부(13)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형태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획벽(30)은 2개가 겹쳐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는 본 발명 캐리어 포장체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캐리어 포장체는 종이를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형태로 제단 및 성형한 상태에서 캐리어본체(10)의 후면쪽에 구비되어져 있던 중간격벽(20) 및 구획벽(30) 부위를 앞쪽으로 밀어서 도 3과 같이 중간격벽(20)이 캐리어본체(10) 내부의 사각형상 수용공간(11)을 제1수용부(11a)와 제2수용부(11b)로 나뉘어지는 중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돌부(32)를 체결홈(12)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완성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접힘가공 완성 상태에서는 제1수용부(11a)와 제2수용부(11b)에 각각 2개씩 총 4개의 음료컵 용기를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수용부(11a)에 안착되는 2개의 음료컵 용기는 상호 구획벽(30)에 의해 다시한번 구획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보관 및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수용부(11a)측에만 음료컵 용기를 안착 보관시키고 제2수용부(11b)측에는 떡이나 샌드위치 또는 쿠키 등 다른 물품을 수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구획격막(14)을 추가적으로 펼쳐줌으로서 새로운 구획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때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본체(10)의 후면일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절개부(13)에 의해 구비된 구획격막(14)을 안쪽으로 펼쳐주게 되면 또 하나의 새로운 사각형태의 구획된 공간을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이 구획격막(14)에 의해 형성된 구획 공간에 떡 등을 수용시키게 되면 이동 중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보관상태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캐리어 포장체를 사용하게 되면 다수의 음료컵 용기를 안정적으로 수용. 보관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음료컵 용기 외에도 기타 다른 물품들이 함께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캐리어 포장체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캐리어본체 11 : 수용공간
11a: 제1수용부 11b: 제2수용부
12 : 체결홈 13 : 절개부
14 : 구획격막 20 : 중간격벽
30 : 구획벽 31 : 손잡이 통공
32 : 체결돌부

Claims (4)

  1. 다수의 음료컵이 보관되어지는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에 있어서,
    내부에 음료컵 보관을 위한 사각형상의 수용공간(11)을 형성하고 있는 캐리어본체(10)와;
    상기 캐리어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11)을 반으로 나누어 제1수용부(11a)와 제2수용부(11b)로 나누어 주는 중간격벽(20)과;
    상기 중간격벽(20)의 중단에서 제1수용부(11a) 측으로 접힘 가공되어 제1수용부(11a)를 반으로 나누어 주는 구획벽(30)과;
    상기 구획벽(30) 선단부에 돌출 구비된 체결돌부(32)와;
    상기 체결돌부(32)와 대응되는 캐리어본체(10)에 형성된 체결홈(12)과;
    상기 구획벽(3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 통공(31);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본체(10)에는 제2수용부(11b)를 둘러싸는 일측 모서리부에 절개부(13)를 형성하여 접힘 가공에 의해 제2수용부(11b)에 별도의 구획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구획격막(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3)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30)은 2개가 겹쳐진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KR1020110058484A 2011-06-16 2011-06-16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KR20120138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484A KR20120138990A (ko) 2011-06-16 2011-06-16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484A KR20120138990A (ko) 2011-06-16 2011-06-16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990A true KR20120138990A (ko) 2012-12-27

Family

ID=4790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484A KR20120138990A (ko) 2011-06-16 2011-06-16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89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792A (ko)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아라니아 캐리어 용 정육면체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792A (ko)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아라니아 캐리어 용 정육면체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9602A1 (en) Carrier
JP2010202262A (ja) 食品包装用トレー及び食品包装体
US5538136A (en) Egg-storer
KR20140095987A (ko) 분할형 음료용기
KR20120138990A (ko)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KR20110108076A (ko)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KR20100003634U (ko) 쿠키 포장상자
KR20100113314A (ko) 케이크용 받침대
KR101871391B1 (ko) 부피 축소가 가능한 케익 포장상자
KR20130022712A (ko) 음료컵 캐리어 기능이 구비된 포장상자
KR200420833Y1 (ko) 음식물 보관용 종이박스
KR101552574B1 (ko) 적층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JP2015215097A (ja) 収納補助具
JP3225163U (ja) 箱体
KR101278389B1 (ko)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KR20140103701A (ko) 아이스 버킷으로 이용 가능한 주류 용기 포장용 케이스
KR20190002641U (ko) 초밥용 포장용기
KR20080004051U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JP2000226069A (ja) 簡単に小分けできる食品用トレー
JP3210115U (ja) 発泡樹脂容器、包装容器及び包装済食品と発泡樹脂容器との組立体
JP3142226U (ja) 中皿付食品包装用簡易容器
KR20110027861A (ko) 치킨 포장용 상자
KR20090010685U (ko) 소스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된 종이 용기
RU109098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3110304U (ja) 組立用食物箱材及び組立食物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