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314A - 케이크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케이크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314A
KR20100113314A KR1020090031821A KR20090031821A KR20100113314A KR 20100113314 A KR20100113314 A KR 20100113314A KR 1020090031821 A KR1020090031821 A KR 1020090031821A KR 20090031821 A KR20090031821 A KR 20090031821A KR 20100113314 A KR20100113314 A KR 20100113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support plate
candles
firecracke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헌상
Original Assignee
안헌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헌상 filed Critical 안헌상
Priority to KR102009003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3314A/ko
Publication of KR2010011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크 구입에 따라 제공되는 여러 축하 용품들을 받침대에 모두 수용하여 케이크의 훼손을 방지하고,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및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케이크상자 내부에 케이크를 안착 구비하기 위한 받침대에 있어서, 내부를 중공 형성한 합성수지재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내부 공간에 다수의 이벤트 용품을 수용하기 위해 설치한 수용수단과; 상기 받침판 상면 모서리에 폭죽을 끼울 수 있게 형성한 복수의 폭죽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양초, 나이프, 성냥, 장식품 등과 같은 이벤트 용품들을 받침판 내부에 수용하므로, 용품들이 상자 내의 케이크에 묻게 되는 것을 차단하여 케이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폭죽을 받침판에 끼워 케이크상자 내부에 함께 수용하므로,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사고와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케이크, 받침대, 양초, 나이프, 성냥, 폭죽, 서랍.

Description

케이크용 받침대{Cake plate}
본 발명은 케이크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크 구입에 따라 제공되는 여러 축하 용품들을 받침대에 모두 수용하여 케이크의 훼손을 방지하고,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및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삶의 여유를 추구하려는 분위기가 사회적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파티행사나 이벤트 문화가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생일이나 결혼식 등 이벤트 행사 등에 사용되는 용품 중 케이크의 경우에는 축하 행사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케이크에는 구입시 초, 성냥, 나이프, 장식품, 폭죽 등과 같은 이벤트 용품이 함께 제공되는데, 이와 같은 용품들은 각종 행사의 축하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벤트 용품들은 케이크 판매시 별도의 축하용품 다수를 담을 별도의 봉투가 필요하여 추가적인 인건비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비자가 케이크를 구비하여 이동시 이 축하용품을 관리하는 것이 번거롭고 쉽지 않아 케이크를 판매하는 제과점에서도 마땅한 대책이 없는 실정에 있다.
즉, 이벤트 용품들은 케이크와 함께 상자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용품을 상자 내부에 수용하여 케이크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자에 적지 않은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용품들이 상자 내부에 이리저리 흩어져 케이크가 망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크의 크림 등이 상자 벽면에 묻게 되어 낭패를 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과 함께, 케이크가 훼손되어 행사장의 축하 분위기를 떨어뜨리고 주인공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다만, 폭죽의 경우 케이크와 함께 상자 내부에 수용하지는 않게 되나, 별도의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자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운반과정에서의 부주의로 인해 폭죽이 떨어지거나 얘기치 않게 폭죽이 폭발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통상 케이크를 안착하는 받침대 상면에는 케이크의 미끄러짐과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해 십자 반달형이나 그 외 다수의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구를 구비하게 되는데, 짖굳은 장난으로 인해 이 고정구가 신체 일부 특히 얼굴 부분에 찍히거나 긁혀져 부상을 입힐 수 있는 우려도 있었다.
도 1은 상기한 문제점 중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9033호로 공지된 "칼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크 받침대"에 대한 것으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각체의 형상을 갖는 받침대(10)를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받침대(10)의 측면(12)에 케이크 절단용 칼(20)을 일체로 형성하되, 받침대(10)의 측면(12)과 칼(20)에 절취편(14)이 연결되게 형성하며, 상기 절취편(14)에서 칼(20)을 절취시켜 사용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케이크 받침대는 여러 케이크 용품 중 칼 하나만이 받침대에 일체 형성됨으로써, 칼을 제외한 다른 용품들은 여전히 케이크에 묻게 될 우려가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칼은 받침대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받침대에 일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초, 성냥 등은 재질 특성상 받침대에 일체 성형할 수 없어, 케이크 상자 내부에 별도 수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케이크를 훼손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써, 도 2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0830호로 공지된 "나이프 수납형 케이크 받침대"에 대한 것으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소정 깊이의 골(11)이 형성된 받침판(10)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0)의 일측에 손잡이(20)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10)의 하부에 케이크 나이프(50)가 수납되는 나이프 수납부(30)를 형성하여, 케이크 나이프(50)를 받침판(10) 하부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케이크 받침대 역시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여러 케이크 용품 중 케이크 나이프 하나만을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여전히 다른 용품들이 케이크에 묻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들 모두는 폭죽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위험과 함께 폭죽의 분실 우려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것이다.
또, 상기한 종래 기술들 모두는 받침대 상면에 작은 크기의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신체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나, 고정돌기의 외주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 고, 그 크기 또한 매우 작아 정작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하는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크 구입에 따라 제공되는 여러 축하 용품들을 받침대에 모두 수용하여 케이크의 훼손을 방지하고,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및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크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구의 형상 변형을 통해 신체의 손상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케이크의 미끄러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이벤트 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포장지 또는 봉투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포장에 소요되는 인건비 등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고, 판매자 및 소비자가 이벤트 용품을 별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여러 축하 용품들을 더욱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케이크상자 내부에 케이크를 안착 구비하기 위한 받침대에 있어서, 내부를 중공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합성수지재의 받침판과; 상기 공간부 내부에 다수의 이벤트 용품을 수용하기 위해 설치한 수용수단과; 상기 받침판 상면 모서리에 폭죽을 억지 끼울 수 있게 형성한 복수의 폭죽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수단은 받침판의 공간부 내부에 서랍을 끼워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내부에는 다수의 칸막이를 이격 형성하여 양초와 나이프와 성냥과 장식품을 각각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함을 조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함 중 양초가 수용되는 수용함은 길이가 긴 양초와 짧은 양초를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조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수단이, 상기 받침판의 공간부 내부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격벽을 이격 형성하여 양초와 나이프와 성냥과 장식품을 각각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홀을 조성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 일측면 상단에는 수용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를 힌지 결합한다.
또한, 상기 수용홀 중 양초가 수용되는 수용홀은 길이가 긴 양초와 짧은 양초를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폭죽삽입홈은 폭죽의 평면 외형 형상과, 폭죽의 측면 외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폭죽을 억지 끼움 결합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 상면 중 케이크가 올려지는 안착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 상면 중앙에 고정구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는 반구형의 고정편을 십(+)자 형태로 교차 형성하여 받침판에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 저면 중앙에는 다른 받침판의 고정구가 끼워져 적층할 수 있도록 적층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은 함몰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 일측 상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인출손잡이를 부착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케이크와 함께 제공되는 양초, 나이프, 성냥과 같은 용품들을 받침판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용품들이 케이크의 외면에 묻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케이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크를 깨끗한 상태로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다수의 이벤트 용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별도의 포장지 또는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수용함 또는 수용홀 내부에 직접 수용하므로, 용품들 포장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용품들이 받침판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됨으로써 판매자 및 소비자가 용품들을 별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여러 이벤트 용품들을 더욱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케이크와 함께 제공되는 폭죽을 받침판에 끼워 케이크상자 내부에 함께 수용할 수 있으므로,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 폭죽의 분실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받침판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나 함몰 형성된 안착면, 그리고 안착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통해 케이크와 받침판 사이의 마찰력을 배가시켜 케이크를 받침판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고, 또한 고정구를 십자 형태 로 형성하여 신체 손상 위험을 예방하고, 케이크의 고정력을 한층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받침판 저면에 다른 받침판의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층홈을 형성하므로, 받침판에 케이크를 올리기 전에 여러 받침판들을 안정적으로 적층 구비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케이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케이크용 받침대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받침판(10)과, 수용수단과, 폭죽삽입홈(16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받침판(10)은 케이크를 중앙에 올려 놓기 위해 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를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내부를 중공되게 형성하여 공간부(100)를 조성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판(10)은 통상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원형이나 오각, 육각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수용수단은 상기 받침판(10) 내부의 공간부(100)에 양초와, 나이프와, 성냥과, 장식품 등과 같은 다수의 이벤트 용품을 수용하기 위해 받침판(10) 내부에 설치한다.
이러한, 수용수단으로는 받침판(10) 내부 공간부(100)에 별도로 구성된 서 랍(200)이 끼워져 구성되는 제1실시예의 별도형 케이크용 받침대(1)와, 받침판(10) 내부 공간부(100)에 다수의 격벽(150)이 일체 형성되어 구성되는 제2실시예의 일체형 케이크용 받침대(2)를 그 실시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의 형태는 별도형 케이크용 받침대(1) 형태로써, 받침판(10) 내부의 공간부(100)에 양초와, 나이프와, 성냥과, 장식품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서랍(200)이 끼워져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받침판(10) 일측면을 개구되게 형성하고, 상기 개구된 일측면에 공간부(100) 내부로 별도 구성된 서랍(200)이 끼워지며, 상기 서랍(200) 전면에 손잡이(부호 생략)를 구비하여, 용품들을 서랍(200) 내부에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서랍(200)은 그 내부에 다수의 칸막이(250)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성형하고, 상기 칸막이(250)를 통해 서랍(200) 내부에 다수의 수용함을 각각 구분 조성하게 되는데, 바람직한 예시로써 양초수용함(210), 나이프수용함(220), 성냥수용함(230), 장식품수용함(240)을 각각 조성하여 양초와, 나이프와, 성냥과, 장식품을 각각 구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초수용함(210)은 길이가 긴 양초와 짧은 양초를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칸막이(250)를 하나 더 형성하여 양측으로 두 개의 양초수용함(210)을 각각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250)는 서랍(200) 내부에 다수의 수용함을 조성하기 위해 성형하는 것으로, 제공되는 용품의 수에 따라 칸막이(250) 수를 조절하여 수용함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250)는 위와 같이 각각의 수용함을 조성하기 위해 서랍(200) 내부에 성형되는 것으로, 받침판(10) 내측 상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 특성상 받침판(10)의 강도를 보강하는 골조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한 수용수단의 제2실시예는 일체형 케이크용 받침대(2) 형태로써, 받침판(10) 내부의 공간부(100)에 다수의 격벽(150)을 일체 형성한 것으로써, 다수의 수용홀을 조성하여 구성된다.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받침판(10) 일측면을 개구되게 형성하고, 이 개구된 받침판(10) 내부 공간부(100)의 상하면 사이 일부에 수직으로 다수의 격벽(150)을 이격 형성하여 다수의 수용홀을 조성한다.
바람직한 예시로써, 공간부(100) 내부 일측 상하면 사이에 격벽(150)을 형성하여 양초의 수용이 가능한 양초수용홀(110)을 조성하고, 양초수용홀(110) 일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공간부(100) 내부 상하면 사이에 격벽(150)을 형성하여 나이프의 수용이 가능한 나이프수용홀(120)을 조성하다.
그리고, 상기 나이프수용홀(120) 일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공간부(100) 내부 상하면 사이에 격벽(150)을 형성하여 성냥의 수용이 가능한 성냥수용홀(130)을 조성하고, 상기 성냥수용홀(130) 일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공간부(100) 내부 상하면 사이에 격벽(150)을 형성하여 장식품의 수용이 가능한 장식품수용홀(140)을 조성한다.
여기서, 상기한 양초수용홀(110)은 길이가 긴 양초와 짧은 양초를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두 개의 양초수용홀(110)을 각각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50)은 위와 같이 각각의 수용홀을 조성하기 위해 공간부(100) 내에 이격 성형되는 것으로, 대략 1㎜ 내외의 얇은 두께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격벽(150)이 공간부(100) 내측 상하면 사이에 성형되는 구조 특성상 받침판(10)의 강도를 보강하는 골조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아울러, 도 7과 같이 상기한 각각의 수용홀이 형성된 받침판(10) 일측면 상단 테두리에는 양초수용홀(110)과, 나이프수용홀(120)과, 성냥수용홀(130)과, 장식품수용홀(140)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155)를 힌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155)는 각각의 수용홀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좌우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수용홀들을 모두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나, 양초수용홀(110)과, 나이프수용홀(120)과, 성냥수용홀(130)과, 장식품수용홀(140)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수용홀 상단에 덮개(155)를 개별적으로 힌지 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덮개(155)와 받침판(10)이 연결되는 힌지 부분은 덮개(155)나 받침판(10)의 두께보다 그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함으로써, 덮개(155)의 절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받침판(10) 상면 모서리 중 2개소에는 폭죽을 억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폭죽삽입홈(160)을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폭죽삽입홈(160)은 폭 죽을 세워서 끼울 수 있도록 폭죽의 평면 외형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폭죽을 뉘어서 끼울 수 있도록 폭죽의 측면 외형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즉, 폭죽의 평면 형상의 원통형의 형상인 경우 도 3 및 도 6과 같이 폭죽삽입홈(160) 역시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폭죽의 평면 형상이 오각 또는 육각과 같이 다면 형상인 경우 폭죽삽입홈(160) 역시 그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폭죽의 측면 외형 형상이 대략 깔때기 형상인 경우, 도 9와 같이 폭죽삽입홈(160) 역시 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기한 받침판(10)의 상면 중 케이크가 올려지게 되는 중앙의 안착면(170)에는 전체적으로 빼곡하게 요철부(175)를 형성하여, 안착면(170)에 올려진 케이크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 상면 중앙에는 케이크의 미끄럼짐을 방지하는 고정구(180)를 더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180)는 반구형의 고정편을 십(+)자 형태로 교차되게 형성하여 받침판(10)과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또한, 도 10과 같이 상기 받침판(10) 저면 중앙에는 다른 받침판(10)의 고정구(180)가 끼워져 적층될 수 있도록 적층홈(185)을 형성한다. 즉, 여러 개의 받침판(10)을 적층하는 경우 하부 받침판(10)의 고정구(180)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받침판(10)의 적층홈(185)에 끼워져 여러 개의 받침판(10)을 적층 가능한 것이다.
반면, 상기 받침판(10) 중앙에 고정구(180)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도 11과 같이 상기 안착면(170)이 받침판(10)의 테두리보다 낮아질 수 있도록 함몰 형성한다. 즉, 함몰 형성된 안착면(170)에 케이크가 올려지게 됨으로써, 고정구(180)를 성형하지 않고도 케이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기 받침판(10) 중 수용수단에 설치되는 일측 상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인출손잡이(190)를 부착하여 케이크상자 내부에 수용되는 받침판(10)을 쉽게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케이크용 받침대(1)(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받침판(10) 중앙에 조성된 안착면(170) 위에 케이크를 올려 놓는다. 이처럼 안착면(170)에 올려진 케이크는 안착면(170)에 무수한 요철부(175)가 성형되어 있어, 케이크가 요철부(175)에 걸려 받침판(10)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10) 상면에 고정구(180)가 형성된 경우에는 케이크의 저면이 고정구(180)에 삽입됨으로써, 케이크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받침판(10) 상면에 고정구(180)가 없는 경우라도 받침판(10) 중앙의 안착면(170)이 하부로 함몰 성형됨으로써, 케이크가 함몰 형성된 안착면(170) 위에 안치되고, 이로 인해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케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받침대 위에 케이크를 올린 후에는 받침판(10) 내부에 양초와, 나이 프와, 성냥을 각각 수용한다. 그 일례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별도형 케이크용 받침대(1)와 같이 받침판(10) 내부의 공간부(100)에 서랍(200)이 끼워지는 경우에는 서랍(200)을 개방하여 그 내부에 양초와, 나이프와, 성냥과, 장식품과 같은 다수의 이벤트 용품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용품 이 외에 다른 용품들 역시 함께 수용할 수 있다.
아울러, 칸막이(250)를 통해 상기 서랍(200)을 여러 개의 수용함으로 구분 조성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양초수용함(210) 내부에 양초의 길이별로 긴 양초와 짧은 양초를 각각 구분 수용하고, 나이프수용함(220) 내부에 케이크를 자를 수 있는 나이프를 수용하며, 성냥수용함(230) 내부에 성냥을 수용하고, 장식품수용함(240) 내부에 장식품을 수용한다.
또한 용품들을 수용하는 다른 일례로써,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일체형 케이크용 받침대(2)와 같이 격벽(150) 형성을 통해 받침판(10) 내부의 공간부(100)에 다수의 수용홀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양초수용홀(110) 내부에 양초의 길이별로 긴 양초와 짧은 양초를 각각 구분 수용하고, 나이프수용홀(120) 내부에 케이크를 자를 수 있는 나이프를 수용하며, 성냥수용홀(130) 내부에 성냥을 수용하고, 장식품수용홀(140) 내부에 케이크에 꽂아 장식할 수 있는 장식품을 수용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각각의 수용홀에 수용되는 양초, 나이프, 성냥, 장식품은 받침판(10)에서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그 용품들의 일부가 받침판(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경우에 따라 양초, 나이프, 성냥, 장식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홀 외부에 덮개(155)를 덮어 구비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받침판(10) 상면에 형성된 폭죽삽입홈(160)에 2개의 폭죽을 각각 억지끼움하여 삽입하고, 받침판(10) 일측 상면에 인출손잡이(190)를 부착한 후, 케이크가 올려진 받침판(10)을 케이크상자 안에 넣어 수용하게 된다.
한편, 케이크상자 내부에 수용된 케이크를 꺼내기 위해서는 인출손잡이(190)를 손으로 잡아 당겨 인출손잡이(190)가 부착된 받침판(10)을 케이크와 함께 외부로 인출한다. 그리고, 받침판(10)에 수용된 양초, 나이프, 성냥, 장식품, 그리고 폭죽을 각각 빼내어 축하 행사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케이크용 받침대(1)(2)는 케이크와 함께 제공되는 양초, 나이프, 성냥, 장식품과 같은 용품들을 받침판(10)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이 용품들을 케이크와 함께 케이크상자 내부에 수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용품들이 케이크의 외면, 특히 크림 등에 묻게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케이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크를 깨끗한 상태로 먹을 수 있어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다수의 이벤트 용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별도의 포장지 또는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수용함 또는 수용홀 내부에 이 이벤트 용품들을 직접 수용하므로, 용품들 포장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용품들이 받침판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됨으로써 판매자 및 소비자가 용품들을 별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여러 이벤트 용품들을 더욱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크용 받침대는 케이크와 함께 제공되는 폭죽을 받침 판(10)에 견고하게 끼워 케이크상자 내부에 함께 수용할 수 있으므로,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 폭죽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케이크용 받침대는 받침판(10) 중앙에 고정구(180)를 형성하거나 혹은 받침판(10) 중앙의 안착면(170)을 함몰 형성하여 케이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착면(170)에 형성된 요철부(175)를 통해 케이크와 받침판(10) 사이의 마찰력을 배가시켜 케이크를 받침판(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크용 받침대는 받침판(10)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180)를 십자 형태로 형성하여 케이크를 얼굴에 묻히는 장난을 하여도 신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케이크의 고정력을 한층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케이크용 받침대는 받침판(10) 저면에 다른 받침판(10)의 고정구(1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층홈(185)을 형성하므로, 받침판(10)에 케이크를 올리기 전에 여러 받침판(10)들을 안정적으로 적층 구비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케이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크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나이프 수납형 케이크 받침대의 상면 및 저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크용 받침대에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서랍에 칸막이가 형성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받침판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크용 받침대에서 수용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받침판 일측에 덮개가 형성된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도시한 받침판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받침판에 형성되는 폭죽삽입홈의 다른 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받침판에 고정구와 적층홈이 형성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받침판 중앙의 안착면이 함몰 형성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별도형 케이크용 받침대 2 : 일체형 케이크용 받침대
10 : 받침판 100 : 공간부
110 : 양초수용홀 120 : 나이프수용홀
130 : 성냥수용홀 140 : 장식품수용홀
150 : 격벽 155 : 덮개
160 : 폭죽삽입홈 170 : 안착면
175 : 요철부 180 : 고정구
185 : 적층홈 190 : 인출손잡이
200 : 서랍 210 : 양초수용함
220 : 나이프수용함 230 : 성냥수용함
240 : 장식품수용함 250 : 칸막이

Claims (13)

  1. 케이크상자 내부에 케이크를 안착 구비하기 위한 받침대에 있어서,
    내부를 중공하여 공간부(100)를 형성한 합성수지재의 받침판(10)과;
    상기 공간부(100) 내부에 다수의 이벤트 용품을 수용하기 위해 설치한 수용수단과;
    상기 받침판(10) 상면 모서리에 폭죽을 억지 끼울 수 있게 형성한 복수의 폭죽삽입홈(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받침판(10)의 공간부(100) 내부에 서랍(200)을 끼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200) 내부에는 다수의 칸막이(250)를 이격 형성하여 양초와 나이프와 성냥과 장식품을 각각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함을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 중 양초가 수용되는 수용함은 길이가 긴 양초와 짧은 양초를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이,
    상기 받침판(10)의 공간부(100) 내부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격벽(150)을 이격 형성하여 양초와 나이프와 성냥과 장식품을 각각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홀을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 일측면 상단에는 수용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155)를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 중 양초가 수용되는 수용홀은 길이가 긴 양초와 짧은 양초를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죽삽입홈(160)은 폭죽의 평면 외형 형상과, 폭죽의 측면 외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폭죽을 억지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9.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 상면 중 케이크가 올려지는 안착면(170)에는 요철부(17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 상면 중앙에 고정구(180)를 형성하되, 상 기 고정구(180)는 반구형의 고정편을 십(+)자 형태로 교차 형성하여 받침판(10)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 저면 중앙에는 다른 받침판(10)의 고정구(180)가 끼워져 적층할 수 있도록 적층홈(18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170)은 함몰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13.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 일측 상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인출손잡이(19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받침대.
KR1020090031821A 2009-04-13 2009-04-13 케이크용 받침대 KR20100113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21A KR20100113314A (ko) 2009-04-13 2009-04-13 케이크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21A KR20100113314A (ko) 2009-04-13 2009-04-13 케이크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14A true KR20100113314A (ko) 2010-10-21

Family

ID=4313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821A KR20100113314A (ko) 2009-04-13 2009-04-13 케이크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33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2494A (zh) * 2011-09-30 2012-05-09 常熟市红钻石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生日蛋糕盒
KR101299303B1 (ko) * 2011-08-02 2013-08-26 안헌상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KR200489273Y1 (ko) * 2018-10-23 2019-05-24 윤정호 케익 안전 포장체
KR200489957Y1 (ko) * 2018-03-08 2019-09-02 이정모 기능성 케이크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303B1 (ko) * 2011-08-02 2013-08-26 안헌상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CN102442494A (zh) * 2011-09-30 2012-05-09 常熟市红钻石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生日蛋糕盒
KR200489957Y1 (ko) * 2018-03-08 2019-09-02 이정모 기능성 케이크 용기
KR200489273Y1 (ko) * 2018-10-23 2019-05-24 윤정호 케익 안전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70580A1 (en) Gift package for sharable apple box
KR20100113314A (ko) 케이크용 받침대
WO2001089340A3 (en) Jewelry chest and box with slidable features
US20040112768A1 (en) Package for delicacies and method for packaging delicacies
WO2012016235A3 (en) Expandable soft-sided jewelry organizer with secured display compartments
US20060261023A1 (en) Display and storage apparatus
USD952456S1 (en) Fragile item distribution, storage and display container
KR101117844B1 (ko)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KR102003511B1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JP3160827U (ja) 包装箱
USD952457S1 (en) Fragile item distribution, storage and display container
US11344139B2 (en) Dessert display stand
KR101299303B1 (ko)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KR20130051593A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KR200326556Y1 (ko) 케익받침대의 수납함
US20040159560A1 (en) Jewelry chest
CN206473250U (zh) 多功能置物架
CN204822633U (zh) 一种新型鲜花饼包装盒
US2960219A (en) Divider for packing container and the like
CN205931669U (zh) 一种带蜡烛座的蛋糕盒
CN212149637U (zh) 包装盒底座及包装盒
US3851937A (en) Modular spice rack
JP3166536U (ja) 氷菓用ハンディカップ
AU2014100598A4 (en) Stackable Tray for Produce
CN219645031U (zh) 一种多功能组合式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