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303B1 -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Google Patents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9303B1 KR101299303B1 KR1020110077141A KR20110077141A KR101299303B1 KR 101299303 B1 KR101299303 B1 KR 101299303B1 KR 1020110077141 A KR1020110077141 A KR 1020110077141A KR 20110077141 A KR20110077141 A KR 20110077141A KR 101299303 B1 KR101299303 B1 KR 1012993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cake
- pedestal
- receiving member
- c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65D57/002—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 B65D57/003—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크 구입에 따라 제공되는 여러 축하 용품들을 받침대에 모두 수용하여 케이크의 훼손을 방지하고,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및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케이크 상자 내부에 케이크를 안착 구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내부를 중공하여 일체 형성한 합성수지재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끼움돌기와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끼울 수 있도록 설치한 후킹수단과; 상기 받침판 상면 모서리에 폭죽을 끼울 수 있게 형성한 복수의 폭죽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양초, 나이프, 성냥 등과 같은 행사 용품들을 받침판 내부에 모두 수용하므로, 용품들이 상자 내의 케이크에 묻게 되는 것을 차단하여 케이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폭죽을 받침판에 끼워 케이크상자 내부에 함께 수용하므로,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사고와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를 위해, 케이크 상자 내부에 케이크를 안착 구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내부를 중공하여 일체 형성한 합성수지재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끼움돌기와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끼울 수 있도록 설치한 후킹수단과; 상기 받침판 상면 모서리에 폭죽을 끼울 수 있게 형성한 복수의 폭죽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양초, 나이프, 성냥 등과 같은 행사 용품들을 받침판 내부에 모두 수용하므로, 용품들이 상자 내의 케이크에 묻게 되는 것을 차단하여 케이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폭죽을 받침판에 끼워 케이크상자 내부에 함께 수용하므로,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사고와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크 구입에 따라 제공되는 여러 행사 용품들을 받침대에 모두 수용하여 케이크의 훼손을 방지하고,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및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삶의 여유를 추구하려는 분위기가 사회적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파티행사나 이벤트 문화가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생일이나 결혼식 등 이벤트 행사 등에 사용되는 용품 중 케이크의 경우에는 축하 행사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케이크에는 구입시 양초, 성냥, 나이프, 장식품, 폭죽 등과 같은 이벤트 용품이 함께 제공되는데, 이와 같은 용품들은 각종 행사의 축하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벤트 용품들은 케이크 판매시 이벤트 용품들을 담을 별도의 봉투가 필요하여 추가적인 인건비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비자가 케이크를 구입하여 이동시, 이벤트 용품들은 케이크 상자 외측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혹은 케이크 상자 내부의 바닥에 단순 수용하게 됨으로써, 이벤트 용품을 관리하는 것이 번거롭고 쉽지 않은데, 이는 케이크를 판매하는 판매점에서도 마땅한 대책이 없는 실정에 있다.
즉, 이벤트 용품들을 케이크와 함께 상자 내부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용품을 상자 내부에 수용하여 케이크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자에 적지 않은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용품들이 상자 내부에 이리저리 흩어져 케이크가 망가지게 됨은 물론, 케이크의 크림 등이 상자 벽면에 묻게 되어 낭패를 당하게 된다. 따라서,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과 함께, 케이크가 훼손되어 행사장의 축하 분위기를 떨어뜨리고 주인공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다만, 폭죽의 경우 케이크와 함께 상자 내부에 수용하지는 않게 되나, 별도의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자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운반과정에서의 부주의로 인해 폭죽이 떨어져 분실되거나 얘기치 않게 폭죽이 폭발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통상 케이크를 안착하는 받침대 상면에는 케이크의 미끄러짐과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해 십자 반달형이나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구를 별도 결합하게 되는데, 기존의 고정구들은 대부분 그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어, 짖굳은 장난으로 인해 이 고정구가 신체 일부, 특히 얼굴 부분에 찍히거나 긁혀져 부상을 입힐 수 있는 우려도 있었다. 또, 고정구가 받침대 상면에 별도 장착됨으로써, 고정구의 결합력이 약한 경우 케이크를 견고하게 고정 및 지탱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받침대는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로 제조하게 됨으로써, 받침대 제조과정에서 상당한 수작업이 필요하여 받침대의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제품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수작업의 특성상 받침대 표면에 불가피하게 사람의 손이 닿을 수 밖에 없어, 대장균 등의 세균 감염우려와 함께 제품의 청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상기한 문제점 중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9033호로 공지된 "칼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크 받침대"에 대한 것으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각체의 형상을 갖는 받침대(10)를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받침대(10)의 측면(12)에 케이크 절단용 칼(20)을 일체로 형성하되, 받침대(10)의 측면(12)과 칼(20)에 절취편(14)이 연결되게 형성하며, 상기 절취편(14)에서 칼(20)을 절취시켜 사용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케이크 받침대는 여러 케이크 용품 중 칼 하나만이 받침대에 일체 형성됨으로써, 칼을 제외한 다른 용품들은 여전히 케이크에 묻게 될 우려가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칼은 받침대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받침대에 일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초, 성냥 등은 재질 특성상 받침대에 일체 성형할 수 없어, 케이크 상자 내부에 별도 수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케이크를 훼손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써, 도 2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0830호로 공지된 "나이프 수납형 케이크 받침대"에 대한 것으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소정 깊이의 골(11)이 형성된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손잡이(20)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케이크 나이프(50)가 수납되는 나이프 수납부(30)를 형성하여, 케이크 나이프(50)를 받침판 하부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케이크 받침대 역시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여러 케이크 용품 중 케이크 나이프 하나만을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여전히 다른 용품들이 케이크에 묻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들 모두는 폭죽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위험과 함께 폭죽의 분실 우려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것이다.
또, 상기한 종래 기술들 모두는 받침대 상면에 작은 크기의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신체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나, 고정돌기의 외주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크기 또한 매우 작아 정작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하는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크 구입에 따라 제공되는 여러 축하 용품들을 받침대에 모두 수용하여 케이크의 훼손을 방지하고,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및 폭죽 분실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크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구의 형상 변형을 통해 케이크의 미끄러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이벤트 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포장지 또는 봉투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포장에 소요되는 인건비 등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고, 판매자 및 소비자가 이벤트 용품을 별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여러 축하 용품들을 더욱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케이크 상자 내부에 케이크를 안착 구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내부를 중공하여 일체 형성한 합성수지재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끼움돌기와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끼울 수 있도록 설치한 후킹수단과; 상기 받침판 상면 모서리에 폭죽을 끼울 수 있게 형성한 복수의 폭죽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후킹수단은, 다수의 양초와 성냥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의 수용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 전면에 테더부를 형성하며, 받침판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끼워지도록 테더부 전면에 끼움홀을 형성하고, 적어도 일단이 쐐기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분리대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와 테더부 일측에 나이프를 사출하여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후킹수단은, 다수의 양초와 성냥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의 수용부재를 형성하고, 받침판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끼워져 받침판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부재 전면에 끼움홀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 상면의 테두리와 중간 부분에 다수의 격벽을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를 각각 조성하여 구성한다.
또, 상기 격벽 상단부는 파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 바닥면은 다수의 지지대를 이격시켜 일체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테더부 상단에는 수용부재손잡이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손잡이 하부에는 다른 수용부재의 수용부재손잡이가 적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수용부재손잡이홈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 상기 수용부재 전면 상단에는 수용부재손잡이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의 전면 중앙에는 다른 수용부재의 수용부재손잡이가 적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수용부재손잡이홈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 상기 받침판 후방 벽면에는 끼움돌기에 끼워진 수용부재의 단부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도록 처짐방지편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처짐방지편 상부에 위치한 받침판 상면에는 수용부재 단부가 처짐방지편에 올려지는 것을 확인하도록 점검홀을 형성하고, 상기 처짐방지편 상단에 위치한 받침판 후방 벽면에는 수용부재의 단부가 진입되도록 안내홀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후킹수단은, 다수의 양초가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양초수용홈을 연통 형성한 양초홀더와; 받침판 전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양초홀더 상면에 삽입홀을 형성한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후킹수단은, 다수의 양초가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양초수용홈을 구분 형성한 양초홀더와; 양초가 수용된 양초홀더를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양초수용홈과 이웃하는 다른 양초수용홈 사이 외측면에 형성한 절개홈과; 받침판 전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양초홀더 상면에 삽입홀을 형성한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후킹수단은, 복수의 성냥이 끼워질 수 있도록 성냥수용홈을 형성한 성냥홀더와; 받침판 전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성냥홀더 상면에 삽입홀을 형성한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 상기 후킹수단은 받침판 전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이프 단부 상면에 삽입홀을 갖는 클립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 저면 일부에는 끼움부에 끼워지는 나이프의 측면에 가이드되어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를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 후방 벽면에는 끼움부에 끼워진 나이프의 단부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도록 처짐방지편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처짐방지편 상부의 받침판에는 나이프 단부가 처짐방지편에 올려지는 것을 확인하도록 점검홀을 형성하고, 상기 처짐방지편 상단에 위치한 받침판 후방 벽면에는 나이프의 단부가 진입되도록 안내홀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 일측에는 양단이 쐐기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분리대에 의해 수용부재와 나이프 중 적어도 나이프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출하여 성형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 양측에는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함을 갖는 수용수단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수단은, 받침판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한 다수의 수용함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 상면 일측에 힌지 결합한 뚜껑과; 상기 뚜껑 일측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뚜껑의 힌지 결합시 걸림돌기가 억지끼움되도록 수용함 테두리 상면 일부에 형성한 걸림홈과; 상기 수용함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인출부를 통해 인출하도록 수용함 외측에 형성한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인출수단은 수용함 외측에 인출부를 개구 형성하고, 상기 인출부 상면에 복수의 탄성차단편을 하부로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차단편 하단은 수용함에 수용되는 양초와 성냥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으로 인출부 바닥면과 이격 형성되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탄성차단편 하단은 인출부 바닥면에 고정 형성하되, 양초와 성냥의 인출시 분리가 가능하도록 탄성차단편 하단을 쐐기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수단은, 받침판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한 다수의 수용함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 하단 일측에 힌지 결합하되, 중간 부분을 절곡 형성하여 수용함을 개방 및 폐쇄하는 덮개과; 상기 덮개 일측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덮개의 힌지 결합시 걸림돌기가 억지끼움되도록 수용함 테두리 상면 일부에 형성한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 상기 수용수단은, 받침판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한 다수의 수용함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 상단 내측 일면에 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한 복수의 탄성차단편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수단은, 양초와 성냥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한 다수의 수용함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 상단 내측 일면에 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한 복수의 탄성차단편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 상단 외측면에 형성한 복수의 고리편과; 상기 고리편의 단부를 끼워 각각의 수용함을 받침판 양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리편에 대응되게 받침판 양측에 형성한 고리홀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차단편 단부는 수용함에 수용되는 양초와 성냥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으로 수용함 내벽면과 이격 형성되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함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의 인출이 간편하도록 수용함의 외측 벽면 일부에 인출홈을 개방 형성하고, 상기 수용함의 바닥면 일단에 인출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 저면 일부에는 다른 받침판의 고정구가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적층함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 양측 상단 일부에 손잡이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의 전방 상단 일부에는 인출손잡이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 상기 받침판의 후방 벽면 하단부와 측방 벽면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파형의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 상면 중 케이크가 올려지는 안착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1원형밀림방지턱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안착면 중간에 제1원형밀림방지턱과 동심원 상으로 제2원형밀림방지턱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면 중앙에 고정구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는 복수의 반구형의 고정편 단부를 서로 직각으로 연결 형성하여 받침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 중앙에 고정구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는 복수의 고정편 측단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여 받침판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고정편 상부 일부를 내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구 상면을 폐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상면 중앙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볼록하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폭죽삽입부는 폭죽을 세워 삽입할 수 있도록 받침판 모서리에 복수의 폭죽삽입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폭죽삽입홀 내측면에 중앙을 향하여 다수의 탄성편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폭죽삽입홀 저면 둘레를 따라 중앙을 향하여 다수의 지지편을 절곡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폭죽삽입부는 폭죽을 뉘어 억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받침판 모서리에 복수의 폭죽삽입홈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케이크와 함께 제공되는 양초, 나이프, 성냥과 같은 용품들을 받침판에 수용함으로써, 용품들이 케이크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케이크가 훼손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케이크를 깨끗한 원상태로 관리 및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여러가지 행사 용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별도의 포장지 또는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크 받침대에 설치된 수용함 또는 수용부 내부에 직접 수용하거나 받침판에 끼워 구비하므로, 용품들 포장에 소요되는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받침판의 밑판이 형성되지 않고 받침판의 벽면 대부분을 파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받침판 제조에 필요한 합성수지 원료 및 재료를 크게 줄여 제품 원가 및 단가를 대폭적으로 줄이고 제품의 중량을 약 35% 이상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용품들이 받침판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됨으로써 판매자 및 소비자가 용품들을 별도 구매 및 관리할 필요가 없어 여러 이벤트 용품들을 더욱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케이크와 함께 제공되는 폭죽을 받침판에 끼워 케이크상자 내부에 함께 수용할 수 있으므로,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 폭죽의 분실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받침판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와, 제1,2원형밀림방지턱을 통해 케이크와 받침판 사이의 마찰력을 배가함으로써, 케이크의 밀림을 방지하여 케이크를 받침판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은 물론, 받침판의 휘어짐 또는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고, 또한 고정구가 여러 방향에서 케이크의 움직임을 제한하므로, 케이크의 고정력을 한층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받침판 저면에 적층함을 형성하여 다른 받침판 상면에 형성된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받침판에 케이크를 올리기 전에 여러 받침판들을 안정적으로 적층 구비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포장자재 절감과 케이크 포장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받침대는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로 제조하는 반면, 본 발명의 받침대는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받침대 제조를 자동화 및 기계화하여 받침대 제조작업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증진시킴은 물론 인건비 절감을 통해 제품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수작업을 배제하여 사람의 손이나 타액에서 옮겨오는 세균 감염우려를 차단함으로써, 제품의 청결도 및 위생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크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나이프 수납형 케이크 받침대의 상면 및 저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후킹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해 받침판에 수용부재와, 나이프를 함께 끼움 구비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의해 받침판에 수용부재와 나이프가 끼워진 저면도,
도 5는 도 3에 의한 수용부재와 나이프가 받침판에 사출 성형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후킹수단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해 받침판에 수용부재와, 나이프를 개별적으로 끼움 구비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의해 받침판에 수용부재와 나이프가 끼워진 저면도,
도 8은 도 6에 의한 수용부재와 나이프가 받침판에 사출 성형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받침판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후킹수단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해 받침판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를 구비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의해 받침판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가 끼워진 저면도,
도 12의 (a)(b)(c)는 도 11에 의해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가 받침판에 끼워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후킹수단 중 서로 다른 형상의 양초홀더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의한 나이프가 받침판에 사출 성형된 상태의 평면도,
도 16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에서 탄성차단편의 탄성작용에 의한 양초와 성냥의 인출 전후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7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에서 다른 형태의 탄성차단편의 탄성작용에 의한 양초와 성냥의 인출 전후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9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2실시예에서 양초와 성냥의 인출 전후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2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3실시예에서 탄성차단편의 탄성작용에 의한 양초와 성냥의 인출 전후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3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해 폭죽을 세워 구비하는 폭죽삽입홀의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해 폭죽을 뉘어 구비하는 폭죽삽입홈의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받침판들을 적층한 상태의 정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고정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나이프 수납형 케이크 받침대의 상면 및 저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후킹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해 받침판에 수용부재와, 나이프를 함께 끼움 구비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의해 받침판에 수용부재와 나이프가 끼워진 저면도,
도 5는 도 3에 의한 수용부재와 나이프가 받침판에 사출 성형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후킹수단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해 받침판에 수용부재와, 나이프를 개별적으로 끼움 구비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의해 받침판에 수용부재와 나이프가 끼워진 저면도,
도 8은 도 6에 의한 수용부재와 나이프가 받침판에 사출 성형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받침판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후킹수단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해 받침판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를 구비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의해 받침판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가 끼워진 저면도,
도 12의 (a)(b)(c)는 도 11에 의해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가 받침판에 끼워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후킹수단 중 서로 다른 형상의 양초홀더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의한 나이프가 받침판에 사출 성형된 상태의 평면도,
도 16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에서 탄성차단편의 탄성작용에 의한 양초와 성냥의 인출 전후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7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에서 다른 형태의 탄성차단편의 탄성작용에 의한 양초와 성냥의 인출 전후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9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2실시예에서 양초와 성냥의 인출 전후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2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3실시예에서 탄성차단편의 탄성작용에 의한 양초와 성냥의 인출 전후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3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수단의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해 폭죽을 세워 구비하는 폭죽삽입홀의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해 폭죽을 뉘어 구비하는 폭죽삽입홈의 형상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받침판들을 적층한 상태의 정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고정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받침판(100)과, 후킹수단과, 폭죽삽입부로 구성된다.
도 3, 도 6, 도 10, 도 14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받침판(100)은 케이크를 중앙 상면에 올려 놓기 위해 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를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내부를 중공(中孔)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판(100)은 통상 대략의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원형이나 오각, 육각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0)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나, 경우에 따라 반투명하거나,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100) 상면 중앙에는 케이크가 올려지는 안착면(200)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면(200) 테두리를 따라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1원형밀림방지턱(210)을 형성하여 안착면(200)에 올려진 케이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안착면(200) 중간에 제1원형밀림방지턱(210)과 동심원 상으로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2원형밀림방지턱(220)을 형성함으로써, 케이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받침판(100)의 구조를 보강하여 받침판(100)이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2원형밀림방지턱(210)(220)을 단면이 삼각 형상인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상기한 제1,2원형밀림방지턱(210)(220)의 단면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원형밀림방지턱(220) 위에는 케이크가 올려지게 되므로, 상기 제2원형밀림방지턱(220)은 제1원형밀림방지턱(210)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제1원형밀림방지턱(210)과 제2원형밀림방지턱(220)에 의해 안착면(200) 위에 복수의 동심원이 형성되는 바, 상기 동심원을 이루는 각각의 안착면(200)의 색상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받침판(100) 상면은 단면의 형상이 매우 완만한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받침판(100)에 올려지는 케이크의 수평면을 유지시킨다.
즉, 통상의 밀가루 등의 곡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케이크는 받침판(100)에 올려진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케이크 특성상 케이크 상면 중앙이 하부로 약간 주저앉아 케이크 상면 중앙이 미세하게 오목한 형태를 띄게 된다. 따라서, 받침판(100)의 상면을 미세하게 볼록하게 형성하면,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케이크 상면의 평형을 유지시켜 케이크 모양을 유지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아울러, 도 3 및 도 26, 도 27과 같이 상기 받침판(100) 상면의 안착면(200) 중앙에는 케이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정구(230)(230')를 더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230)의 일실시예로는 복수의 고정편(232) 측단부를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받침판(100)과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즉, 안착면(200) 상면 중앙에 2개의 고정편(232) 측단부를 서로 직각으로 연결 형성하여 고정구(230)를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ㄴ'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다른 받침판(100)에 형성된 적층함(180) 내에 상기 고정구(230)가 끼워져 받침판(100)들을 적층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230)를 구성하는 각각의 고정편(232) 상단 양측은 모따기 형성하여 다른 받침판(100)에 형성된 적층함(180)에 더욱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게 구성한다.
다만, 상기 고정구(230)는 상기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안착면(200) 상면 중앙에 3개 또는 4개의 반구형 고정편(232) 단부를 서로 직각으로 연결 형성하여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ㄷ' 또는 'ㅁ' 형태로 형성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되고, 이 외에도 상기한 고정구(230)의 형상을 모토로 상기 고정구(230) 주위에 추가적인 고정편을 더 형성하여 고정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7과 같이 다른 실시예의 고정구(230')는 복수의 고정편(232') 측단부를 서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받침판(100)과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즉, 안착면(200) 상면 중앙에 4개의 고정편(232') 측단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여 고정구(230')를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ㅁ'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232')의 상부 일부를 그 고정구(230')의 내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230')의 상면은 폐쇄 형성함으로써, 다른 받침판(100)에 형성된 적층함(180)이 경사진 고정편(232') 외측면에 안내되어 상기 고정구(230')더욱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23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구(230') 중앙 하부에 위치한 받침판(100) 부분은 개구 형성하여 고정구(230')의 사출 성형을 원활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100) 양측에는 받침판(100)을 잡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손잡이(190)를 각각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0) 전방 중앙에는 상기 받침판(100)을 케이스 상자 내에서 간편하게 인출하도록 상부를 향하여 인출손잡이(195)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인출손잡이(195)는 받침판(100)을 다른 받침판(100)과 적층하는 경우 상기 인출손잡이(195) 하부에 형성된 받침판(100) 하단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받침판(100) 전면 끝부분에 일치시켜 형성하지 않고, 그 끝부분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후술하는 후킹수단 중 도 3에 도시한 후킹수단의 경우 수용부재손잡이(650)가 받침판(100) 중앙에 형성되는 바, 별도로 인출손잡이(195)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수용부재손잡이(650)가 인출손잡이(195)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100)의 후방 벽면과 측방 벽면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그 하단부를 따라 굴곡진 파형의 형태를 연속되게 형성하여 받침판(100) 제조에 필요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계속해서, 후킹수단은 상기 받침판(100)에 양초, 성냥, 나이프(500)와 같은 다수의 행사용품들을 각각 구분하여 끼워 구비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54) 또는 끼움부(150)에 끼워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상기한 후킹수단 중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500)를 동시에 수용하여 받침판(100) 전면에 끼울 수 있는 후킹수단의 일실시예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수의 양초와 성냥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의 수용부재(600)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재(600) 상면의 테두리와 중간 부분에 다수의 격벽(620)을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을 구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용부(610)를 조성한다.
즉, 수용부재(600)의 상면 일측에 길이가 긴 양초를 끼울 수 있는 수용부(610)를 조성하고, 상기 수용부재(600) 상면 타측에 길이가 짧은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610)를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격벽(620) 중 성냥이 수용되는 수용부(610) 외측 격벽(620) 일부에는 성냥마찰시트(680)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620) 상단부는 받침대의 재료 절감을 위해 파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600) 바닥면은 다수의 지지대(630)가 이격된 형태로 일체 형성한다. 다만, 상기 수용부재(600) 바닥면은 경우에 따라 바닥이 모두 막혀 있는 일반적인 판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은 자명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0) 전면 중앙에는 끼움돌기(15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600) 전면에 테더부(670)를 좌우로 연장되게 일체 형성하며, 상기 끼움돌기(154)에 끼워 수용부재(600)가 받침판(1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돌기(154)에 대응하는 테더부(670) 중앙에 끼움홀(64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끼움홀(640)이 형성된 테더부(670) 상단에는 상부를 향하여 수용부재손잡이(65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손잡이(650)의 하단에는 다른 수용부재(600)의 수용부재손잡이(650)가 적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수용부재손잡이홈(660)을 형성한다.
또,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과 테더부(670)의 후면 일측에는 복수의 분리대(510)를 형성하고, 상기 분리대(510) 단부에 나이프(500)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연결 성형하여, 상기 나이프(500)를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대(510)의 양 끝부분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은 수용부재(600)와 테더부(670) 또는 나이프(500)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쐐기 형태로써 얇게 형성하게 되는데, 마땅히 분리대(5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한 후킹수단 중 양초와 성냥을 동시에 수용하여 받침판(100) 전면에 끼울 수 있는 후킹수단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양초와 성냥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의 수용부재(600')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재(600') 상면의 테두리와 중간 부분에 다수의 격벽(620)을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을 구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용부(610)를 조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재(600')의 수용부(610)와 격벽(62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수용부재(600)와 그 구성이 동일한 바, 중복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0) 전면 일측에는 끼움돌기(15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기(154)에 끼워 수용부재(600')가 받침판(1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600') 전면 상단에 끼움홀(64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끼움홀(640)이 형성된 수용부재(600') 전면 상단에는 상부를 향하여 수용부재손잡이(65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600')의 전면 중앙에는 다른 수용부재(600')의 수용부재손잡이(650)가 적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수용부재손잡이홈(660)을 형성한다.
아울러, 도 3과 도 6에 도시한 후킹수단 모두는 도 4, 도 7과 같이 받침판(100) 저면 후방부에 상기 끼움돌기(154)에 끼워진 수용부재(600)(600')의 끝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처짐방지편(170)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처짐방지편(170)의 직상부에 위치한 받침판(100) 상면 부분에는 점검홀(172)을 형성하여 수용부재(600)(600')의 단부가 처짐방지편(170) 위에 올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처짐방지편(170) 상단에 위치한 받침판(100) 후방에는 처짐방지편(170)에 올려진 수용부재(600)(600')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진입되도록 안내홀(174)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10 내지 도 12의 (a)와 도 13의 (a)를 통해 양초를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부(150)에 구비하기 위한 후킹수단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수의 양초 단부가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양초수용홈(310)이 연통된 형태로 양초홀더(300)를 형성하고, 상기 양초홀더(300) 단부 상면에 대략 'ㄱ'형태의 클립(320)을 일체로 형성하여 양초홀더(300)와 클립(320) 사이에 삽입홀(322)을 조성함으로써, 상기 클립(320)의 삽입홀(322)이 끼움부(150)에 형성된 끼움홈(152)에 결합되어 양초를 받침판(100) 전면에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3의 (b)를 통해 양초를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부(150)에 구비하기 위한 후킹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수의 양초 단부가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양초수용홈(310)이 구분된 형태로 양초홀더(300)를 형성하고, 각각의 양초가 수용된 양초홀더(300)를 개별적으로 절개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양초수용홈(310)과 이웃하는 다른 양초수용홈(310) 사이에 절개홈(3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양초홀더(300) 단부 상면에 대략 'ㄱ'형태의 클립(320)을 일체로 형성하여 양초홀더(300)와 클립(320) 사이에 삽입홀(322)을 조성함으로써, 상기 클립(320)의 삽입홀(322)이 끼움부(150)에 형성된 끼움홈(152)에 결합되어 양초를 받침판(100) 전면에 구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과 도 11 및 도 12의 (b)를 통해 성냥을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부(150)에 구비하기 위한 후킹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복수의 성냥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성냥수용홈(410)을 형성한 사각함체 형상의 성냥홀더(4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성냥홀더(400) 단부 상면에 대략 'ㄱ'형태의 클립(420)을 일체로 형성하여 성냥홀더(400)와 클립(420) 사이에 삽입홀(422)을 조성함으로써, 상기 클립(420)의 삽입홀(422)이 끼움부(150)에 형성된 끼움홈(152)에 결합되어 성냥을 받침판(100) 전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냥홀더(400)와 인접한 받침판(100) 외면 일부 또는 성냥홀더(400) 일면에는 성냥을 마찰하여 불을 붙일 수 있는 성냥마찰시트(430)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초홀더(300)와 성냥홀더(400) 모두는 양초와 성냥이 끼워지는 개구부분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넓이가 넓어지게 형성하고, 개구부분을 다소 확개된 형태로 형성하여 양초 및 성냥을 양초홀더(300)와 성냥홀더(400)에 내부에 각각 쉽게 끼울 수 있게 구성한다.
아울러, 도 10과 도 11 및 도 12의 (c)를 통해 나이프(500)를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부(150)에 구비하기 위한 후킹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나이프(500) 단부 상면에 대략 'ㄱ'형태의 클립(520)을 일체로 형성하여 나이프(500) 단부와 클립(520) 사이에 삽입홀(522)을 조성함으로써, 상기 클립(520)의 삽입홀(522)이 끼움부(150)에 형성된 끼움홈(152)에 결합되어 나이프(500)를 받침판(100) 전면에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이프(500)가 받침판(100) 저면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도 9와 같이 상기 받침판(100) 저면 일부에는 나이프(500)의 측면을 가이드하여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돌기(160)와 유사한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62)를 더 형성한다.
또한, 도 9 및 도 11과 같이 상기 받침판(100) 저면 후방부에는 끼움부(150)에 끼워진 나이프(500)의 끝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처짐방지편(170)을 돌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처짐방지편(170)의 직상부에 위치한 받침판(100) 상면 부분에는 점검홀(172)을 형성하여 나이프(500)의 단부가 처짐방지편(170) 위에 올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처럼, 상기한 후킹수단에 구성된 각각의 클립(320)(420)(520)을 받침판(100)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받침판(100) 전방 상면에 다수의 끼움홈(152)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끼움홈(152)의 깊이와 상기 끼움홈(152) 상면에 끼워지는 클립(320)(420)(520)의 두께는 상기 끼움홈(152)의 깊이보다 얇거나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클립(320)(420)(520)을 끼움부(150)에 결합하더라도 클립(320)(420)(520)이 받침판(100)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한 후킹수단을 통해 받침판(100) 저부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500) 등의 장식용품들을 끼움 결합하고, 이를 케이크 상자에 수용하게 되는데, 상기 받침판(100)의 밑판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케이크 상자의 바닥판이 상기 장식용품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수용수단은 상기 받침판(100)에 양초, 성냥과 같은 다수의 행사용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판(100) 양측에 더 설치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수용수단의 제1실시예는 받침판(100)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함(11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도 14 내지 도 17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판(100) 일측에는 바람직하게 긴 양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가 긴 수용함(110)을 함몰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100) 타측 전방과 후방에는 짧은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2개의 수용함(110)을 각각 함몰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수용함(110) 상단 일측에는 상기 수용함(110)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뚜껑(111)을 힌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뚜껑(111)과 받침판(100)이 연결되는 힌지 부분은 뚜껑(111)과 받침판(100)이 서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형태로 형성하거나, 뚜껑(111)과 받침판(100) 사이에 복수의 힌지편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힌지 연결 구조 중 뚜껑(111)과 받침판(100) 사이의 힌지 구조가 길게 연결된 형태인 경우에는 뚜껑(111)이나 받침판(100)의 두께보다 그 사이에서 힌지 회전되는 중심 부분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함으로써, 뚜껑(111)의 힌지 회전작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뚜껑(111)에서 힌지 구조의 반대편에 위치한 일측 중간 부분에는 걸림돌기(11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뚜껑(111)이 힌지 회전하여 수용함(110)을 폐쇄하는 경우 걸림돌기(112)가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함(110) 테두리 상면 일부에 걸림홈(11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113)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113)에 억지끼움결합된 걸림돌기(112)를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쉽게 끼움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해제홈(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함(110)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을 뚜껑(111)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가압하는 경우 인출부(115)를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수용함(110) 외측 방향에 인출수단을 설치한다.
이러한, 인출수단은 다시 인출부(115)와 탄성차단편(116)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 1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용함(110) 바깥면에 해당하는 받침판(100)의 측벽면 하단부를 비어 있게 형성하여 인출부(115)를 개구 조성하고, 상기 인출부(115)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차단편을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차단편(116)은 양초와 성냥의 자체 무게만으로는 휘어지지 않고, 약간의 인위적인 힘을 가하는 경우 휘어질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그 두께와 크기를 설계 및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도 16의 (a)(b)와 같이 상기 탄성차단편(116)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탄성차단편(116) 하단은 인출부(115)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한 이격 간격은 수용함(110)에 수용되는 양초나 성냥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이 탄성차단편(116)에 걸려질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도 17의 (a)(b)와 같이 탄성차단편(116)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탄성차단편(116) 하단은 인출부(115) 바닥면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이 탄성차단편(116)에 걸려지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탄성차단편(116) 하단을 쐐기 형태로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을 인위적으로 가압하는 경우 쐐기 부분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수용수단의 제2실시예는 받침판(100)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함(12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도 18 내지 도 19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판(100) 일측에는 바람직하게 긴 양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가 긴 수용함(120)을 함몰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100) 타측 전방과 후방에는 짧은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2개의 수용함(120)을 각각 함몰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수용함(120) 하단 바깥측에는 상기 수용함(120)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중간 부분이 대략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된 덮개(121)를 힌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121)와 받침판(100)이 연결되는 힌지 부분은 덮개(121)와 받침판(100)이 서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형태로 형성하거나, 덮개(121)와 받침판(100) 사이에 복수의 힌지편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힌지 연결 구조 중 덮개(121)와 받침판(100) 사이의 힌지 구조가 길게 연결된 형태인 경우에는 덮개(121)나 받침판(100)의 두께보다 그 사이에서 힌지 회전되는 중심 부분의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함으로써, 덮개(121)의 힌지 회전작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덮개(121)에서 힌지 구조의 반대편에 위치한 일측 중간 부분에는 걸림돌기(12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덮개(121)가 힌지 회전하여 수용함(120)을 폐쇄하는 경우 걸림돌기(122)가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함(120) 테두리 상면 일부에 걸림홈(12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123)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123)에 억지끼움결합된 걸림돌기(122)를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쉽게 끼움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해제홈(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수단의 제3실시예는 받침판(100)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함(13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도 20 및 도 22와 도 23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판(100) 일측에는 바람직하게 긴 양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가 긴 수용함(130)을 함몰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100) 타측 전방과 후방에는 짧은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2개의 수용함(130)을 각각 함몰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수용함(130) 상단 내측 일면에는 반대편의 타면을 향해 수평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탄성차단편(136)을 돌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차단편(136)은 받침판(100)을 뒤집는 경우에 양초와 성냥의 자체 무게만으로는 휘어지지 않고,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수용함(130) 내에서 들어 올리는 경우 휘어질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그 두께와 크기를 설계 및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차단편(136)의 일단부는 수용함(130)의 내측 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한 이격 간격은 수용함(130)에 수용되는 양초나 성냥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이 탄성차단편(136)에 걸려질 수 있게 구성한다.
아울러, 수용수단의 제4실시예는 받침판(100)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함(140)을 별도 형성하여 받침판(100) 양측에 결합 구성한다.
도 2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판(100) 일측에는 바람직하게 긴 양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가 긴 수용함(140)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00) 타측 전방과 후방에는 짧은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2개의 수용함(140)을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수용함(140) 상단 내측 일면에는 반대편의 타면을 향해 수평으로 복수의 탄성차단편(146)을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차단편(146)은 받침판(100)을 뒤집는 경우에 양초와 성냥의 자체 무게만으로는 휘어지지 않고,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수용함(140) 내에서 들어 올리는 경우 휘어질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그 두께와 크기를 설계 및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차단편(146)의 일단부는 수용함(140)의 내측 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한 이격 간격은 수용함(140)에 수용되는 양초나 성냥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이 탄성차단편(146)에 걸려질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용함(140) 상단 일측 외면에는 단부가 하부로 절곡된 고리편(145)을 복수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고리편(145) 단부를 끼워 각각의 수용함(140)을 받침판(100) 양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리편(145)에 대응하는 받침판(100) 양측 위치에 고리홀(143)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23의 (a)(b)와 같이 상기한 수용수단의 제3실시예는 물론 제4실시예에 기재된 수용함(130)(140)에는 그 바깥측의 벽면 일부를 절개된 형태로 형성하여 인출홈(131)(141)을 개방 형성하고, 상기 수용함(130)(140)의 바닥면 일단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인출돌기(132)(142)를 형성하여 수용함(130)(140)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인출돌기(132)(142)에 의해 수용함(130)(140)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의 일부가 수용함(130)(140)의 바닥면과 떨어져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 인출홈(131)(141)을 통해 상기 공간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양초와 성냥을 쉽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수용수단의 제1,2,3,4실시예에 기재된 수용함(110)(120)(130)(140)은 본 발명에서 3개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추가적인 장식품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용품의 수에 따라 수용함(110)(120)(130)(140)의 수를 조절할 수 있고, 또 상기 각각의 수용함(110)(120)(130)(140)에 수용되는 상기한 용품들의 수용 위치는 바람직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용품들의 수용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한 수용수단의 제2,3,4실시예에 기재된 받침판(100)에서 수용함(120)(130)(140)의 바깥쪽 벽면 하단부를 따라 굴곡진 파형의 형태로 연속되게 형성하여 받침판(100) 제조에 필요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받침판(100) 저면부에는 다수의 받침돌기(160)를 일체 형성하여 받침판(100)의 다리 역할과 함께 받침판(100)의 구조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26과 같이 상기 받침판(100) 저면 중앙 부분에는 다른 받침판(10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구(230)가 끼워져 받침판(100)을 서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사각의 적층함(18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적층함(180)을 이루는 네 측면의 판을 사각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적절하게는 대략 'T' 형태로 형성하여 적층함(180) 제조에 소모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8 또는 도 15와 같이 상기 받침판(100) 일측면에는 복수의 분리대(510)를 형성하고, 상기 분리대(510) 단부에 나이프(500)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연결 성형하거나, 수용부재(600')와 나이프(500)를 함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연결 성형하여, 상기 나이프(500) 및/또는 수용부재(600')를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대(510)의 양 끝부분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은 받침판(100), 수용부재(600') 및/또는 나이프(500)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쐐기 형태로써 얇게 형성하게 되는데, 마땅히 분리대(5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나이프(500)와 수용부재(600')를 함께 사출하거나, 혹은 나이프(500)만을 사출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받침판(100) 측면에 전술한 양초홀더(300)나 성냥홀더(400) 등을 함께 사출 성형할 수 있고, 이 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포크 등의 케이크 용품도 함께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받침판(100) 상면 모서리 중 적어도 2개소 이상에는 폭죽을 삽입 구비할 수 있도록 폭죽삽입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폭죽삽입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도 24와 같이 폭죽을 세워서 끼울 수 있도록 받침판(100) 상면 모서리에 원형의 폭죽삽입홀(240)을 형성하고, 상기 폭죽삽입홀(240) 내주면을 따라 중앙을 향하여 다수의 탄성편(242)을 방사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폭죽삽입홀(240) 저면 둘레를 따라 중앙을 향하여 대략 'L'자 형태로 절곡된 다수의 지지편(244)을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탄성편(242)이 폭죽의 외주면을 탄력 상태로 가압하되 지지편(244)이 폭죽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다양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폭죽을 수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폭죽삽입홀(240)은 통상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나, 경우에 따라 오각 또는 육각과 같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적어도 삽입되는 폭죽의 너비보다 폭죽삽입홀(240)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편(244)을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지지편(546)의 절곡된 하단부분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한 중심 부분을 중공되게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편(244)들의 절곡된 하단부에 원판을 결합 형성하여 폭죽이 원판 위에 올려져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지지편(244)은 본 발명에서 4개로 형성하였으나, 폭죽의 종류나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4개 이상 또는 이하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폭죽삽입부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25와 같이 폭죽을 뉘어서 억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폭죽의 측면 외형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받침판(100) 모서리에 복수의 폭죽삽입홈(25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폭죽삽입홈(250)이 형성된 받침판(100) 모서리 상면을 상부로 돌출 형성한다. 즉, 폭죽의 측면 외형 형상이 대략 깔때기 형상인 경우, 폭죽삽입홈(250) 역시 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받침판(100) 중앙에 조성된 안착면(200) 위에 케이크를 올려 놓는다. 이처럼 안착면(200)에 올려진 케이크는 저면부가 고정구(230)(230')에 삽입됨으로써,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면(200) 테두리에 제1원형밀림방지턱(2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200)과 동심원 상으로 받침판(100) 상면에 제2원형밀림방지턱(220)이 형성됨으로써, 케이크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케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받침판(10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받침대 위에 케이크를 올린 후에는 받침판(100) 전방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500) 등을 끼움 결합하고, 필요시 이를 꺼내어 행사에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케이크가 올려진 받침판(100)을 케이크상자 내부에 집어 넣거나, 혹은 그 이전에 받침판(100) 전면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500)를 함께 끼움 구비할 수 있게 되는데, 나이프(500)와 수용부재(600)(600')는 도 5 및 도 8와 같이 분리대(510)에 의해 받침판(100)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사출 성형됨으로써, 나이프(500)와 수용부재(600)(600')를 분리하여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54) 및 끼움부(150)에 각각 끼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 일례로써, 도 3과 도 4와 같이 수용부재(600) 상부에 조성된 각각의 수용부(610)에 길이별로 양초와 성냥을 각각 수용한 후, 테더부(670)에 형성된 끼움홀(640)을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54)에 끼워 수용부재(600)를 받침판(100) 하부에 구비한다.
다른 일례로써, 도 6과 도 7과 같이 수용부재(600') 상부에 조성된 각각의 수용부(610)에 길이별로 양초와 성냥을 각각 수용한 후, 수용부재(600')에 선단에 형성된 끼움홀(640)을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54)에 끼워 수용부재(600')를 받침판(100) 하부에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100) 후방에 위치하는 수용부재(600)(600') 끝부분이 받침판(100)에 형성된 처짐방지턱 위에 올려지게 되는 것은 물론, 안내홀(174)에 안정적으로 진입됨으로써, 수용부재(600)(600')의 좌우 흔들림과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양초와 성냥을 받침판(100) 전방에 끼움 구비하는 다른 일례로써, 도 11과 도 12과 같이 양초홀더(300)에 다수의 양초를 끼운 상태에서 양초홀더(300)의 클립(320)을 받침판(100) 전면의 끼움부(150)에 끼움 구비하고, 또 성냥홀더(400)에 복수의 성냥을 끼운 상태에서 성냥홀더(400)의 클립(420)을 받침판(100) 전면의 끼움부(150)에 끼움 구비함으로써, 양초와 성냥을 받침판(100)에 선단에 끼움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양초홀더(300) 중 도 13의 (b)와 같이 절개홈(330)이 형성된 양초홀더(300)의 경우에는 절개홈(330)을 따라 양초홀더(300)를 절개하여 각각의 양초 단부에 개별적으로 양초홀더(300)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양초홀더(300)가 끼워진 상태로 케이크 위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 모두에서 나이프(500)를 받침판(100)에 끼워 구비하기 위해서는, 나이프(500)에 형성된 클립(520)을 받침판(100) 전면의 끼움부(150)에 끼워 구비함으로써, 나이프(500)를 받침판(100)에 끼움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100) 후방에 위치하는 나이프(500) 끝부분이 받침판(100)에 형성된 처짐방지턱 위에 올려지게 되는 것은 물론, 안내홀(174)에 안정적으로 진입되고, 또한 받침판(10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62)에 의해 나이프(500)의 좌우 흔들림과 처짐을 방지하면서 끼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받침판(100) 전면에 양초와 성냥을 끼움 구비하지 않고도 받침판(100) 양측에 형성된 수용함(110)(120)(130)(140)에 상기한 장식용품들을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일례로써,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0) 일측의 수용함(110)에 길이가 긴 양초를 수용하고, 받침판(100) 타측의 수용함(110)에 길이가 짧은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한 후, 뚜껑(111)을 덮어 수용함(110) 내에 장식용품을 보관한다.
이때, 나이프(500)는 분리대(510)에 의해 받침판(100)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사출 성형됨으로써, 나이프(500)를 분리하여 받침판(100) 전면에 형성된 끼움부(150)에 끼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용된 양초와 성냥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손가락 등으로 걸림돌기(112)를 받침판(100) 외측을 향하여 들어올리듯이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수용함(110)을 덮고 있는 뚜껑(111)을 힌지 회전시켜 개방한 후, 상기 양초 또는 성냥을 하방으로 소정의 힘을 주어 가압한다.
그렇게 되면, 도 16의 (b)와 같이 상기 수용함(110)에 수용된 양초 또는 성냥은 상기한 가압력에 의해 수용함(110) 외측면에 형성된 탄성차단편(116)을 밀어내려는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탄성차단편(116)은 자연스럽게 외측을 향하여 휘어지게 되면서 양초 또는 성냥이 인출부(115)를 통해 수용함(110) 외부로 인출되어 양초와 성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차단편(116)은 양초와 성냥의 자체적인 무게만으로는 휘어지지 않게 되고, 탄성차단편(116)에 가해지는 인위적인 가압력에 의해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용품들을 수용하는 다른 일례로써,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0) 일측의 수용함(120)에 길이가 긴 양초를 수용하고, 받침판(100) 타측의 수용함(120)에 길이가 짧은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한 후, 덮개(121)를 힌지 결합하여 수용함(120) 내에 장식용품을 보관한다.
그리고, 도 19의 (b)와 같이 수용함(120)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가락 등으로 걸림돌기(122)를 받침판(100) 외측을 향하여 들어올리듯이 힘을 가하여, 수용함(120)을 덮고 있는 덮개(121)를 힌지 회전시켜 개방함으로써, 수용함(120) 내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을 인출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나이프(500)는 받침판(100) 전면에 끼움 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품들을 수용하는 또 다른 일례로써,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0) 일측의 수용함(130)(140)에 길이가 긴 양초를 수용하고, 받침판(100) 타측의 수용함(130)(140)에 길이가 짧은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한다.
그리고, 도 22의 (b) 및 도 23의 (b)와 같이 수용함(130)(140)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출돌기(132)(142)에 의해 수용함(130)(140)의 바닥면과 양초 및 성냥과의 사이에 조성된 공간에 손가락 등을 넣어 양초와 성냥을 들어 올려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수용함(130)(140)에 수용된 양초 또는 성냥은 상기와 같이 들어 올려지는 힘에 의해 수용함(130)(140) 상단에 형성된 탄성차단편(136)(146)을 위로 밀어내려는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탄성차단편(136)(146)의 단부가 자연스럽게 상부를 향하여 휘어지게 되면서 양초 또는 성냥이 수용함(130)(140) 외부로 인출되어 양초와 성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0) 상면에 형성된 폭죽삽입부에 2개의 폭죽을 각각 삽입 구비하고, 케이크가 올려진 받침판(100)을 케이크상자 안에 넣어 포장하게 된다.
한편, 케이크상자 내부에 수용된 케이크를 꺼내기 위해서는 인출손잡이(195)를 손으로 잡아 당겨 받침판(100)을 케이크와 함께 외부로 인출한다. 그리고, 받침판(100)에 수용 및 구비된 양초, 성냥, 나이프(500), 그리고 폭죽을 각각 빼내어 축하 행사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는 케이크와 함께 제공되는 양초, 성냥, 나이프(500)와 같은 행사 용품들을 받침판(100) 내부에 수용하거나 받침판(100)에 끼워 구비함으로써, 이 용품들을 케이크와 함께 케이크상자 내부에 별도로 수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용품들이 케이크의 외면, 특히 크림 등에 묻게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케이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크를 깨끗한 상태로 먹을 수 있어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여러 가지 행사 용품들을 케이크 상자에 수용하기 위해 별도의 포장지 또는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수용함(110)(120)(130)(140) 내부에 이 행사 용품들을 직접 수용하거나 클립(320)(420)(520)을 이용하여 받침판(100)에 끼워 구비하므로, 용품들 포장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용품들이 받침판(100) 양측에 안정적으로 수용됨으로써 판매자 및 소비자가 용품들을 별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여러 이벤트 용품들을 더욱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받침판(100)을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형성하되, 받침판(100) 구조의 간소화 즉, 받침판(100)의 밑판을 형성하지 않거나 받침판(100) 외측면을 파형의 형태로 형성하므로, 받침판(100)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재의 원료를 크게 줄여 제품 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는 케이크와 함께 제공되는 폭죽을 받침판(100)에 견고하게 끼워 케이크상자 내부에 함께 수용할 수 있으므로, 얘기치 못한 폭죽 폭발 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 폭죽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는 받침판(100) 중앙에 고정구(230)(230')를 형성하고, 안착면(200) 테두리와 그 내부에 제1,2원형밀림방지턱(210)(220)을 각각 형성하여 케이크의 미끄럼 방지작용을 3중으로 극대화시켜 케이크를 받침판(10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받침판(100)의 휘어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하여 받침판(100)을 더욱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는 받침판(100)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230)(23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ㄴ' 또는 'ㅁ'과 같이 각이 진 형태로 형성하여 케이크의 밀림을 여러 방향에서 제한함으로써, 케이크의 고정력을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는 받침판(100) 저면에 다른 받침판(100)의 고정구(230)(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층함(180)을 형성하므로, 받침판(100)에 케이크를 올리기 전에 여러 받침판(100)들을 안정적으로 적층 구비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케이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받침대는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로 제조하는 반면, 본 발명의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는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받침대 제조를 자동화 및 기계화하여 받침대 제조작업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증진시킴은 물론 인건비 절감을 통해 제품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수작업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사람의 손이나 타액에서 옮겨오는 세균 감염우려를 차단함으로써, 제품의 청결도 및 위생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받침판 110 : 수용함
111 : 뚜껑 112 : 걸림돌기
113 : 걸림홈 115 : 인출부
116 : 탄성차단편 120 : 수용함
121 : 덮개 122 : 걸림돌기
123 : 걸림홈 130 : 수용함
131 : 인출홈 132 : 인출돌기
136 : 탄성차단편 140 : 수용함
141 : 인출홈 142 : 인출돌기
143 : 고리홀 145 : 고리편
146 : 탄성차단편 150 : 끼움부
152 : 끼움홈 154 : 끼움돌기
160 : 받침돌기 162 : 가이드돌기
170 : 처짐방지편 172 : 점검홀
174 : 안내홀 180 : 적층함
190 : 손잡이 195 : 인출손잡이
200 : 안착면 210 : 제1원형밀림방지턱
220 : 제2원형밀림방지턱 230,230' : 고정구
232,232' : 고정편 240 : 폭죽삽입홀
242 : 탄성편 244 : 지지편
250 : 폭죽삽입홈 300 : 양초홀더
310 : 양초수용홈 320 : 클립
322 : 삽입홀 330 : 절개홈
400 : 성냥홀더 410 : 성냥수용홈
420 : 클립 422 : 삽입홀
500 : 나이프 510 : 분리대
520 : 클립 522 : 삽입홀
600, 600' : 수용부재 610 : 수용부
620 : 격벽 630 : 지지대
640 : 끼움홀 650 : 수용부재손잡이
660 : 수용부재손잡이홈 670 : 테더부
111 : 뚜껑 112 : 걸림돌기
113 : 걸림홈 115 : 인출부
116 : 탄성차단편 120 : 수용함
121 : 덮개 122 : 걸림돌기
123 : 걸림홈 130 : 수용함
131 : 인출홈 132 : 인출돌기
136 : 탄성차단편 140 : 수용함
141 : 인출홈 142 : 인출돌기
143 : 고리홀 145 : 고리편
146 : 탄성차단편 150 : 끼움부
152 : 끼움홈 154 : 끼움돌기
160 : 받침돌기 162 : 가이드돌기
170 : 처짐방지편 172 : 점검홀
174 : 안내홀 180 : 적층함
190 : 손잡이 195 : 인출손잡이
200 : 안착면 210 : 제1원형밀림방지턱
220 : 제2원형밀림방지턱 230,230' : 고정구
232,232' : 고정편 240 : 폭죽삽입홀
242 : 탄성편 244 : 지지편
250 : 폭죽삽입홈 300 : 양초홀더
310 : 양초수용홈 320 : 클립
322 : 삽입홀 330 : 절개홈
400 : 성냥홀더 410 : 성냥수용홈
420 : 클립 422 : 삽입홀
500 : 나이프 510 : 분리대
520 : 클립 522 : 삽입홀
600, 600' : 수용부재 610 : 수용부
620 : 격벽 630 : 지지대
640 : 끼움홀 650 : 수용부재손잡이
660 : 수용부재손잡이홈 670 : 테더부
Claims (37)
- 케이크 상자 내부에 케이크를 안착 구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내부를 중공하여 일체 형성한 합성수지재의 받침판(100)과;
상기 받침판(100)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끼움돌기(154)와 끼움부(150) 중 어느 하나에 양초와, 성냥과, 나이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끼워 구비한 후킹수단; 및
상기 받침판(100) 상면 모서리에 폭죽을 끼울 수 있게 형성한 복수의 폭죽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폭죽삽입부는 폭죽을 세워 삽입할 수 있도록 받침판(100) 모서리에 복수의 폭죽삽입홀(24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폭죽삽입홀(240) 내측면에 중앙을 향하여 다수의 탄성편(242)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폭죽삽입홀(240) 저면 둘레를 따라 중앙을 향하여 다수의 지지편(244)을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수단은,
다수의 양초와 성냥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의 수용부재(600)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600) 전면에 테더부(670)를 형성하며, 받침판(100)에 형성된 끼움돌기(154)에 끼워지도록 테더부(670) 전면에 끼움홀(640)을 형성하고, 적어도 일단이 쐐기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분리대(510)에 의해 상기 수용부재(600)와 테더부(670) 일측에 나이프(500)를 사출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수단은,
다수의 양초와 성냥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의 수용부재(600')를 형성하고, 받침판(100)에 형성된 끼움돌기(154)에 끼워져 받침판(100)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부재(600') 전면에 끼움홀(64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600)(600') 상면의 테두리와 중간 부분에 다수의 격벽(620)을 형성하여 양초와 성냥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610)를 각각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620) 상단부는 파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600)(600') 바닥면은 다수의 지지대(630)를 이격시켜 일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부(670) 상단에는 수용부재손잡이(65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손잡이(650) 하부에는 다른 수용부재(600)의 수용부재손잡이(650)가 적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수용부재손잡이홈(66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600') 전면 상단에는 수용부재손잡이(65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재손잡이(650) 하부에는 다른 수용부재(600')의 수용부재손잡이(650)가 적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수용부재손잡이홈(66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 후방 벽면에는 끼움돌기(154)에 끼워진 수용부재(600)(600')의 단부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도록 처짐방지편(17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편(170) 상부에 위치한 받침판(100) 상면에는 수용부재(600)(600') 단부가 처짐방지편(170)에 올려지는 것을 확인하도록 점검홀(172)을 형성하고, 상기 처짐방지편(170) 상단에 위치한 받침판(100) 후방 벽면에는 수용부재(600)(600')의 단부가 진입되도록 안내홀(17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수단은,
다수의 양초가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양초수용홈(310)을 연통 형성한 양초홀더(300)와;
받침판(100) 전면의 끼움부(15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양초홀더(300) 상면에 삽입홀(322)을 형성한 클립(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수단은,
다수의 양초가 개별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양초수용홈(310)을 구분 형성한 양초홀더(300)와;
양초가 수용된 양초홀더(300)를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양초수용홈(310)과 이웃하는 다른 양초수용홈(310) 사이 외측면에 형성한 절개홈(330)과;
받침판(100) 전면의 끼움부(15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양초홀더(300) 상면에 삽입홀(322)을 형성한 클립(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수단은,
복수의 성냥이 끼워질 수 있도록 성냥수용홈(410)을 형성한 성냥홀더(400)와;
받침판(100) 전면의 끼움부(15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성냥홀더(400) 상면에 삽입홀(422)을 형성한 클립(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수단은 받침판(100) 전면의 끼움부(15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이프(500) 단부 상면에 삽입홀(522)을 갖는 클립(5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 저면 일부에는 끼움부(150)에 끼워지는 나이프(500)의 측면에 가이드되어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62)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 후방 벽면에는 끼움부(150)에 끼워진 나이프(500)의 단부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도록 처짐방지편(17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편(170) 상부의 받침판(100)에는 나이프(500) 단부가 처짐방지편(170)에 올려지는 것을 확인하도록 점검홀(172)을 형성하고, 상기 처짐방지편(170) 상단에 위치한 받침판(100) 후방 벽면에는 나이프(500)의 단부가 진입되도록 안내홀(17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3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 일측에는 적어도 일단이 쐐기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분리대(510)에 의해 수용부재(600')와 나이프(500) 중 적어도 나이프(500)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출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 양측에는 양초와 성냥을 각각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함(110)(120)(130)(140)을 갖는 수용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받침판(100)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한 다수의 수용함(110)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110) 상면 일측에 힌지 결합한 뚜껑(111)과;
상기 뚜껑(111) 일측에 걸림돌기(112)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뚜껑(111)의 힌지 결합시 걸림돌기(112)가 억지끼움되도록 수용함(110) 테두리 상면 일부에 형성한 걸림홈(113)과;
상기 수용함(110)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인출부(115)를 통해 인출하도록 수용함(110) 외측에 형성한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수용함(110) 외측에 인출부(115)를 개구 형성하고, 상기 인출부(115) 상면에 복수의 탄성차단편(116)을 하부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차단편(116) 하단은 수용함(110)에 수용되는 양초와 성냥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으로 인출부(115) 바닥면과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차단편(116) 하단은 인출부(115) 바닥면에 고정 형성하되, 양초와 성냥의 인출시 분리가 가능하도록 탄성차단편(116) 하단을 쐐기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받침판(100)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한 다수의 수용함(120)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120) 하단 일측에 힌지 결합하되, 중간 부분을 절곡 형성하여 수용함(120)을 개방 및 폐쇄하는 덮개(121)과;
상기 덮개(121) 일측에 걸림돌기(122)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덮개(121)의 힌지 결합시 걸림돌기(122)가 억지끼움되도록 수용함(120) 테두리 상면 일부에 형성한 걸림홈(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받침판(100) 양측에 양초와 성냥을 구분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한 다수의 수용함(130)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130) 상단 내측 일면에 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한 복수의 탄성차단편(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양초와 성냥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한 다수의 수용함(140)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140) 상단 내측 일면에 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한 복수의 탄성차단편(146)과;
상기 각각의 수용함(140) 상단 외측면에 형성한 복수의 고리편(145)과;
상기 고리편(145)의 단부를 끼워 각각의 수용함(140)을 받침판(100) 양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리편(145)에 대응되게 받침판(100) 양측에 형성한 고리홀(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차단편(136)(146) 단부는 수용함(130)(140)에 수용되는 양초와 성냥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으로 수용함(130)(140) 내벽면과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130)(140)에 수용된 양초와 성냥의 인출이 간편하도록 수용함(130)(140)의 외측 벽면 일부에 인출홈(131)(141)을 개방 형성하고, 상기 수용함(130)(140)의 바닥면 일단에 인출돌기(132)(142)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 저면 일부에는 다른 받침판(100)의 고정구(230)(230')가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적층함(18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 양측 상단 일부에 손잡이(190)를 각각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3항, 제 10항, 제 11항, 제 12항, 제 13항,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의 전방 상단 일부에는 인출손잡이(195)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의 후방 벽면 하단부와 측방 벽면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파형의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 상면 중 케이크가 올려지는 안착면(200)의 테두리를 따라 제1원형밀림방지턱(210)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안착면(200) 중간에 제1원형밀림방지턱(210)과 동심원 상으로 제2원형밀림방지턱(220)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200) 중앙에 고정구(230)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230)는 복수의 고정편(232) 측단부를 서로 직각으로 연결 형성하여 받침판(100)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200) 중앙에 고정구(230')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230')는 복수의 고정편(232') 측단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여 받침판(100)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고정편(232') 상부 일부를 내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구(230') 상면을 폐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제 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은 상면 중앙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볼록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7141A KR101299303B1 (ko) | 2011-08-02 | 2011-08-02 |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7141A KR101299303B1 (ko) | 2011-08-02 | 2011-08-02 |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5250A KR20130015250A (ko) | 2013-02-13 |
KR101299303B1 true KR101299303B1 (ko) | 2013-08-26 |
Family
ID=4789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7141A KR101299303B1 (ko) | 2011-08-02 | 2011-08-02 |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930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1108U (ko) * | 1997-03-21 | 1998-11-05 | 박영춘 | 케이크 받침대 |
JP2002255269A (ja) | 2001-03-01 | 2002-09-11 | Hokko Sogo Kaihatsu Kk | 菓子詰め合わせ容器 |
KR20100113314A (ko) * | 2009-04-13 | 2010-10-21 | 안헌상 | 케이크용 받침대 |
KR20110118557A (ko) * | 2010-04-23 | 2011-10-31 | 안헌상 |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
2011
- 2011-08-02 KR KR1020110077141A patent/KR1012993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1108U (ko) * | 1997-03-21 | 1998-11-05 | 박영춘 | 케이크 받침대 |
JP2002255269A (ja) | 2001-03-01 | 2002-09-11 | Hokko Sogo Kaihatsu Kk | 菓子詰め合わせ容器 |
KR20100113314A (ko) * | 2009-04-13 | 2010-10-21 | 안헌상 | 케이크용 받침대 |
KR20110118557A (ko) * | 2010-04-23 | 2011-10-31 | 안헌상 |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5250A (ko) | 2013-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03115B1 (en) | Cupcake crate | |
US20090071867A1 (en) | Cosmetic compact with built-in sliding and interactive double base | |
US7159760B2 (en) | Package for delicacies and method for packaging delicacies | |
US20080184674A1 (en) | Packaging System and Method for Flatware and the Like | |
US4266665A (en) | Dispenser for cup-shaped filters | |
KR101117844B1 (ko) |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
KR20100113314A (ko) | 케이크용 받침대 | |
KR101299303B1 (ko) | 케이크용 다용도 받침대 | |
EP1780045A2 (en) | Card file | |
JP4178324B2 (ja) | 茎付き花セット台と茎付き花収容容器 | |
JP3160827U (ja) | 包装箱 | |
KR101200164B1 (ko) | 컵 캐리어 | |
US4311235A (en) | Organizer jewelry box | |
KR20190007396A (ko) |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 |
CN202163682U (zh) | 蜜蜂盒 | |
KR101380304B1 (ko) | 다목적 컵 | |
KR200434331Y1 (ko) | 포도포장용 상자 | |
KR200491155Y1 (ko) | 수납함 | |
CN219383550U (zh) | 自落抽取式包装盒 | |
KR101267511B1 (ko) | 적층식 음식포장용기 | |
KR200320633Y1 (ko) | 다각김밥 성형용기 | |
KR101086623B1 (ko) | 양방향 대향 연동 슬라이드 결합된 연동상품케이스 | |
KR200236863Y1 (ko) | 다용도 박스 | |
JP2004284595A (ja) | 果実等陳列兼用収容パ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桜桃果実の梱包方法 | |
EP0770553B1 (fr) | Caisse pour le transport et la présentation d'art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