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076A -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076A
KR20110108076A KR1020100027370A KR20100027370A KR20110108076A KR 20110108076 A KR20110108076 A KR 20110108076A KR 1020100027370 A KR1020100027370 A KR 1020100027370A KR 20100027370 A KR20100027370 A KR 20100027370A KR 20110108076 A KR20110108076 A KR 20110108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insertion groove
wall
main body
beverag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솔아
Original Assignee
윤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솔아 filed Critical 윤솔아
Priority to KR102010002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076A/ko
Publication of KR2011010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22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blank, and provided with vertical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컵 보관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커피나 쥬스등이 음료를 테이크 아웃으로 즐기고자 할때 다수의 음료컵이 각각 개별적으로 안착 보관되어짐에 있어 음료컵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짐과 함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 통공(11)이 형성된 중앙격벽부(10)와; 상기 중앙격벽부(10) 하부에 양측으로 음료컵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안착공(23)이 대칭형태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중앙격벽부(10)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홈(2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23)의 외측에는 음료컵의 측벽 지지를 위한 지지벽(24)이 구비된 본체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A BEVERAGE CUP CUSTODY BOX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본 발명은 음료컵 보관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나 음료수 등이 담겨진 다수의 일회용 용기를 동시에 보관 및 테이크 아웃을 위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상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나 쥬스 등과 같은 음료를 테이크 아웃으로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로 가벼운 재질인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서 음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음료컵을 한 사람이 다수개 운반 및 이동코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보관용 상자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던 테이크 아웃용 음료컵 보관상자는 이동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이 발생하였을 때 안정적인 보관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 제작된 상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관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음료컵 외에 별도의 비품(빨대, 크림용기 등)의 보관공간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러한 비품은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음료컵 보관상자 이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음료컵의 개별적인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이 즉석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자형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보관 공간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음료컵 외에도 비품이 함께 보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 통공이 형성된 중앙격벽부와; 상기 중앙격벽부 하부에 양측으로 음료컵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공이 대칭형태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중앙격벽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의 외측에는 음료컵의 측벽 지지를 위한 지지벽이 구비된 본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음료컵이 각각 개별적으로 안착 보관되어지며 지지벽에 의해 측벽이 지지되어짐으로서 테이크 아웃 이용시 음료컵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자의 접힘가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보관공간을 최소로 차지하게 된다.
또한, 프림이나 시럽 보관통 및 빨대가 함께 보관가능하게 됨으로 이용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보관상자의 전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보관상자의 1차 접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보관상자의 2차 접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보관상자의 펼치기 전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보관상자의 펼침 완성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보관상자의 펼침 완성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통공이 형성된 보관상자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앙격벽부 하부가 본딩 접합된 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컵 보관용 상자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의 전개도에서와 같이 중앙의 삽입홈(28)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본체부(20)와, 중앙 격벽부(10)가 일체로 연결된 대칭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양측 중앙 격벽부(10)에는 손잡이 통공(11)을 형성하였으며, 중앙 격벽부(10)와 본체부(20)간 경계부위에는 지지부(30)를 절개 형성하였다.
또한, 중앙 격벽부(10)는 조립과정에서 삽입홈(28)에 삽입되어지게 되는데, 삽입홈(28)에 압입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중앙 격벽부(10) 중단에는 하향으로 점차 폭이 증가되도록 일정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12)가 구비되었다.
그리고, 본체부(20)에는 상부벽(21)과 측벽(25) 그리고 바닥면(26)이 각각 접힘선으로 구획되어져 있으며, 상부벽(21) 부위에는 안착공(23)을 관통 형성하였으며, 안착공(24) 일측에는 지지벽(24)이 형성되도록 일부를 절개시켰고, 소형 크기의 보조안착공(22)을 다수의 개소에 관통 형성하였다.
또한, 삽입홈(28) 중단에는 빨대 보관홈(27)을 형성하였다.
도면 중 점선 표시부위는 접혀지는 부위이고, 실선 표시부위는 절개 부위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전개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상자의 조립과정 및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은 전개 형태로 제작된 종이상자의 양측 중앙 격벽부(10)를 바닥면(26)과의 경계부위를 기준으로 하부로 접어줌으로서 도 2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1차 접힘작업이 완료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중앙의 삽입홈(28)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을 대칭형태로 접어주는 2차 접힘가공을 실시한다. 이때, 상호 면접촉 되어지는 양측 중앙 격벽부(10)는 본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일체로 접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이후, 중앙 격벽부(10)가 삽입홈(28)을 통해 상승되어지도록 하부를 밀어줌으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지지부(30)가 펼쳐지게 되고, 중앙 격벽부(10)가 완전히 상승되어지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완전한 상자구조를 이루게 된다.
특히, 중앙 격벽부(1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는 양측의 경사부(12)에 의해 삽입홈(28)과 압입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서 쉽게 중앙 격벽부(10)가 하강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본 발명의 음료컵 보관용 상자는 일정 경사면을 이루게 되는 상부벽(21)이 내부에서 지지부(30)에 의해 받쳐지게 됨으로 안정적인 형상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가운데, 도 7에서와 같이 각 안착공(23)을 통해 음료컵을 안착 보관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 통공(11)을 이용하여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동 과정에서 음료컵은 외측에 기립되어져 있는 지지벽(24)에 의해 지지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이동 과정에서 충격 발생으로 인해 음료컵이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안착공(23)에 소형의 시럽통이나 크림통 등을 개별적으로 안착 보관시킬 수 있으며, 빨대 보관홈(27)을 이용한 빨대 보관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 후에는 상기 조립과정과 역순으로 하여 본 발명의 보관용 상자를 전개형태로 펼쳐진 상태나 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보관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신속한 조립완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상자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바닥면(26)에는 상부벽(21)의 안착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음료컵 하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바닥통공(29)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서, 높이가 높은 음료컵의 삽입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음료컵 보관용 상자 구조 및 형태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4개의 음료컵이 보관되는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상자는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6개 등 안착공(23)의 갯수가 증감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일측 중앙 격벽부(10)를 짧게 제작하여 하단부에서 상호 본딩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중앙 격벽부 11 : 손잡이 통공
12 : 경사부 20 : 본체부
21 : 상부벽 22 : 보조안착공
23 : 안착공 24 : 지지벽
25 : 측벽 26 : 바닥면
27 : 빨대 보관홈 28 : 삽입홈
29 : 바닥통공 30 : 지지부

Claims (8)

  1. 손잡이 통공(11)이 형성된 중앙격벽부(10)와;
    상기 중앙격벽부(10) 하부에 양측으로 음료컵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안착공(23)이 대칭형태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중앙격벽부(10)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부 중앙에 삽입홈(28)이 관통 형성된 본체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보관용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격벽부(10)와 본체부(20)는 하나의 전개된 종이를 접힘 가공하여 구성되는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홈(28)에 중앙격벽부(10)가 삽입 지지되어지며, 중앙격벽부(10) 중단 높이에는 삽입홈(28)과의 압입 지지를 위한 일정 각도의 경사부(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보관용 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에는 안착공(23)이 형성된 상부벽(21)이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벽(2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0)가 직각형태로 접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보관용 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21)에는 프림통 또는 시럽통의 안착보관이 가능하도록 보조 안착공(22)이 형성됨과 함께, 삽입홈(28) 일측에는 빨대의 보관을 위한 빨대 보관홈(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보관용 상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의 바닥면(26)에는 상부벽(21)의 안착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음료컵 하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바닥통공(29)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보관용 상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격벽부(10)는 접착제에 의해 2개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보관용 상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공(23)의 외측에는 음료컵의 측벽 지지를 위한 지지벽(24)이 일정 높이로 구비되되, 상기 지지벽(24)은 본체부(20)의 측벽(25)과 연장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보관용 상자.
  8. 중앙의 삽입홈(28)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본체부(20)와 중앙 격벽부(10)가 접힘선에 의해 구획되는 일체형 대칭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20)는 삽입홈(28) 형성부위로 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벽(21)과 측벽(25) 그리고 바닥면(26)이 각각 접힘선으로 구획되어져 있고, 상부벽(21) 부위에는 음료컵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공(23)을 관통 형성하였으며, 안착공(24) 일측에는 지지벽(24)이 형성되도록 일부를 절개시켰고, 소형 크기의 보조안착공(22)을 다수의 개소에 관통 형성한 음료컵 보관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중앙 격벽부(10)를 본체부(20)와의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어주는 1차 접힘단계와;
    상기 중앙의 삽입홈(28) 형성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을 반으로 접어주어 양측의 중앙 격벽부(10)가 상호 맞붙도록 하는 2차 접힘단계와;
    상기 중앙 격벽부(10)를 삽입홈(28)으로 삽입 통과시키는 펼침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컵 보관용 상자 조립방법.
KR1020100027370A 2010-03-26 2010-03-26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KR20110108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70A KR20110108076A (ko) 2010-03-26 2010-03-26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70A KR20110108076A (ko) 2010-03-26 2010-03-26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76A true KR20110108076A (ko) 2011-10-05

Family

ID=4502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70A KR20110108076A (ko) 2010-03-26 2010-03-26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80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687B1 (ko) * 2012-03-22 2014-02-25 인양희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656733B1 (ko) * 2016-06-21 2016-09-13 (주)현민피앤디 커피 캐리어
CN110116848A (zh) * 2019-06-19 2019-08-13 无锡欣盛包装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式锁扣纸包装
KR20240039444A (ko) 2022-09-19 2024-03-26 박도영 용기 포장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687B1 (ko) * 2012-03-22 2014-02-25 인양희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656733B1 (ko) * 2016-06-21 2016-09-13 (주)현민피앤디 커피 캐리어
CN110116848A (zh) * 2019-06-19 2019-08-13 无锡欣盛包装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式锁扣纸包装
KR20240039444A (ko) 2022-09-19 2024-03-26 박도영 용기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795B1 (ja) コップ
US6439452B1 (en) Container for separately carrying cold drink and hot foods
KR20110108076A (ko)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US7475772B2 (en) Carrier and method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101589460B1 (ko) 컵 캐리어
KR200475933Y1 (ko) 과일 보관용 상자
KR102099383B1 (ko) 컵 트레이 겸용 홀더
US20190144180A1 (en) Stadium tray
KR200491336Y1 (ko) 컵 캐리어 구조체
KR102192339B1 (ko) 손잡이 형성 구조를 갖는 포장용 종이 박스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CN204192251U (zh) 食物饮料托盘、及食物饮料托盘与饮料容器的组合
KR20120138990A (ko)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KR102417658B1 (ko) 케익 포장구
EP3181479B1 (en) Carton and blank for a carton
KR200495381Y1 (ko) 종이재 안경테 포장용기
KR102023277B1 (ko) 포장 박스로 조립 가능한 받침대
KR20120087564A (ko) 음료컵 캐리어 포장체
KR200491122Y1 (ko) 사용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101409041B1 (ko) 거치가능한 음식물 용기
KR200383646Y1 (ko) 식품용기의 구획판
KR200471028Y1 (ko) 음료컵 트레이
JP3127781U (ja) 中仕切付き段ボールトレー
KR20170136302A (ko) 컵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