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733B1 - 커피 캐리어 - Google Patents

커피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733B1
KR101656733B1 KR1020160077171A KR20160077171A KR101656733B1 KR 101656733 B1 KR101656733 B1 KR 101656733B1 KR 1020160077171 A KR1020160077171 A KR 1020160077171A KR 20160077171 A KR20160077171 A KR 20160077171A KR 101656733 B1 KR101656733 B1 KR 10165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air
carrier
side plates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곤
Original Assignee
(주)현민피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민피앤디 filed Critical (주)현민피앤디
Priority to KR1020160077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having no en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07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without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등의 음료를 컵에 담아서 원하는 장소(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필요시 복수 개를 결합하여 많은 음료의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캐리어의 단측면판의 일부를 경사지게 접어서 캐리어에 담긴 컵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운반 시 컵에 담긴 음료가 넘치거나 컵 자체가 부정형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커피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측면에 공간을 형성하여, 운반이 완료되면 캐리어로부터 컵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상자 및 캐리어 분야, 특히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되는 커피 캐리어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캐리어{Coffee carrier}
본 발명은 커피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등의 음료를 컵에 담아서 원하는 장소(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필요시 복수 개를 결합하여 많은 음료의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캐리어의 단측면판의 일부를 경사지게 접어서 캐리어에 담긴 컵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운반 시 컵에 담긴 음료가 넘치거나 컵 자체가 부정형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커피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에서 직접 추출한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일회용 컵에 담아 테이크아웃(Take out)할 경우, 특히 한 사람이 많은 수의 음료를 테이크아웃할 경우에는 다수의 음료를 한번에 담아서 이동할 수 있는 일회용 컵 캐리어를 사용하게 된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0164호 '컵 캐리어'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1758호 '컵 캐리어'를 살펴보면, 선행기술들은 상자형 등의 일반적인 형태의 캐리어가 제작비용이 높고 제조 공정이 복잡하며, 운반하고자 하는 음료의 개수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의 캐리어를 제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들어, 간단히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선행기술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면상태로 제공되는 캐리어의 중앙부를 구부린 후 컵을 담는 형태로, 하부가 컵에 밀착되는 밴드형태로 구성되며, 복수 개의 컵을 운반할 경우, 캐리어의 상부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대부분의 음료용 컵이 하부에 비하여 상부가 큰 형태로 형성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다시 말해, 선행기술들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컵을 운반할 경우, 선행기술들은 해당 문헌의 도면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운반되는 컵들의 상부는 밀착되고 하부는 이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부의 손잡이를 잡아서 들게 되면, 결합된 케리어에 담긴 컵들의 하부가 중심부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컵이 기울어지면서 내부의 음료가 흘러넘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커피 등의 음료를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의 가장 큰 목적은, 해당 음료들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임을 고려하면, 선행기술들은 하나의 컵 캐리어를 여러 개 결합하여 다수의 컵을 운반할 수 있기만 할 뿐이며, 운반시 안정성에는 큰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캐리어의 기본적인 목적을 상실하여 사용상의 문제점이 더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0164호 '컵 캐리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1758호 '컵 캐리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커피 등의 음료를 컵에 담아서 원하는 장소(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필요시 복수 개를 결합하여 많은 음료의 운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커피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캐리어의 단측면판의 일부를 경사지게 접어서 캐리어에 담긴 컵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운반 시 컵에 담긴 음료가 넘치거나 컵 자체가 부정형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커피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사각형의 캐리어는 캐리어의 내부에 컵이 삽입되기 때문에, 목적지까지 운반한 후, 캐리어에서 컵을 꺼내는 과정에서 컵을 잡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캐리어에 담긴 컵의 양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운반이 완료되면 캐리어로부터 컵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커피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캐리어는, 직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판; 및 상기 측면판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판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손잡이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판은, 상기 바닥판의 마주보는 한 쌍의 장변을 따라 연장형성된 한 쌍의 장측면판; 및 상기 바닥판의 마주보는 단변을 따라 연장형성된 한 쌍의 단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판은, 한 쌍의 상기 장측면판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측면판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측면판은, 상기 상기 경사부는, 종단부의 양측은 미성형부로 설정하고, 상기 미성형부 사이인 상기 종단부 중앙부에는 컵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측면판은, 상기 컵끼움홈에 컵지지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지지편의 양측종단부는 상기 컵끼움홈과 연결되고, 상기 컵지지편의 중앙부는 지그재그형태로 절개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장측면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경사접음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경사접음부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한 쌍의 경사접음부 중 다른 하나에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편은, 다른 커피 캐리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편부; 및 상기 결합편부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돌출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다른 커피 캐리어에 형성된 끼움편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판은, 상기 장측면판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끼움편 및 끼움홈이 형성된 장측면판과 나란하도록 엇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판은, 상기 연장부에서 폭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되는 절곡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손잡이부에는, 상기 엇끼움부에 대응하여 손잡이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커피 등의 음료를 컵에 담아서 원하는 장소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필요시 복수 개의 캐리어를 결합하여 많은 음료의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캐리어의 단측면판의 일부를 경사지게 접어서 캐리어에 담긴 컵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운반시 컵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캐리어를 이용하면 운반 시 컵에 담긴 음료가 넘치거나 컵 자체가 부정형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커피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측면에 공간을 형성하여, 운반이 완료되면 캐리어로부터 컵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포장 상자 및 캐리어 분야, 특히 커피전문점 등에서 사용되는 커피 캐리어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개상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로부터 도 1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커피 캐리어 두 개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캐리어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피 캐리어(A)는 바닥판(100), 측면판(100) 및 손잡이판(300)을 포함한다.
바닥판(10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장축방향(도 1에서 좌측하부에서 우측상부 방향)으로 각각 커피 등의 음료가 담긴 컵이 놓여질 수 있다.
측면판(200)은 바닥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직사각형의 바닥판(100) 형상에 대응하여, 한쌍의 장측면판(210) 및 단측면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판(200)은 바닥판(100)의 마주보는 한 쌍의 장변(미부호)을 따라 연장형성된 한 쌍의 장측면판(210)과, 바닥판(100)의 마주보는 단변(미부호)을 따라 연장형성된 한 쌍의 단측면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닥판(100) 및 측면판(200)은 상부방향이 개방된 직육면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판(300)은 사용자가 커피 캐리어(A)를 들기 위한 것으로, 측면판(200)에 연장되어 측면판(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판(300)은 4개의 측면판(200)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판(200)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판(30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측면판(210)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판(3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커피 캐리어(A)는 손잡이판(300)을 기준으로 전후방향(도 1에서 좌측하부에서 우측상부 방향)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담긴 컵이 놓여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단측면판(220) 상부의 일부를 내측(손잡이판 방향)으로 절곡하여 경사부(221)를 형성함으로써, 커피 캐리어(A)에 담긴 컵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측면판(220)은 바닥판(100)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222)와, 수직부(222)에 연장되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221)의 종단부에는 컵끼움홈(223)을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커피 캐리어(A)에 담긴 컵의 양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운반이 완료되면 커피 캐리어(A)로부터 컵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커피 캐리어(A)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컵끼움홈(223)의 양측으로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경사부(221) 종단부의 양측을 미성형부(223a)로 설정하고, 미성형부(223a) 사이인 종단부의 중앙부에 컵끼움홈(223)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성형부(223a)를 통해 컵의 양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난 커피 캐리어(A)를 서로 결합하여 보다 많은 음료를 운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캐리어(A)를 구성하는 한 쌍의 장측면판(210) 중 적어도 하나(도 1에서 우측하부방향에 위치한 장측면판)의 양측(도 1에서 좌측하부 및 우측상부)에, 경사부(221)에 대응하는 경사접음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측면판(220)의 경사부(221)가 접히는 과정에서, 장측면판(210)의 경사접음부(211)가 접힐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경사접음부(211)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편(212)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캐리어(A) 두 개를 맞대어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 간의 끼움편(212)을 끼움홈에(213)에 끼워서 두 개의 커피 캐리어(A)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커피 캐리어(A)의 상부인 손잡이판(300)에도,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손잡이판(30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장측면판(210)의 중앙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두 개의 연장부(310)와, 두 개의 연장부(310)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절곡손잡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연장부(310) 중 적어도 하나(도 1에서 우측하부방향에 위치한 연장부)에는, 끼움편(212) 및 끼움홈(213)이 형성된 장측면판(210)과 나란하도록 엇끼움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곡손잡이부(320)에는 엇끼움부(311)에 대응하여 손잡이파지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커피 캐리어(A)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엇끼움부(311)가 다른 하나에 형성된 손잡이파지홈(321)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두 개의 커피 캐리어(A)의 손잡이판(300)이 상호간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개상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두 개의 장측면판(210)과 단측면판(220)은 서로 번갈아 이어져 형성되며, 각 측면판(200)의 하부에는 바닥판(100)을 구성하는 판들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측면판(210)의 중앙부에는 손잡이판(300)의 연장부(310)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부(310)의 일측방향(도 2에서 좌측방향)으로 절곡손잡이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어져 형성된 측면판(200)들 중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한 측면판(도 2에서는 최좌측에 위치한 장측면판)에는 반대측 측면판(도 2에서는 단측면판)과 접착되는 연결접착편(2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측면판(22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되므로, 연결접착편(214)에는 단측면판(220)의 절곡선(도 2에서 가는 실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홈(214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장측면판(21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접음부(211)의 절곡선에는 각각 끼움편(212) 및 끼움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끼움편(212) 및 끼움홈(213)은 두 개의 커피 캐리어(A)가 서로 맞물려 끼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므로, 동일한 위치(d1)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두 개의 커피 캐리어(A)가 결합된 상태에서 끼움편(212) 및 끼움홈(213)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끼움편(212)에 돌출편부(212b)를 형성할 수 있으며, 끼움홈(213)에는 돌출편부(212b)가 형성된 끼움편(212)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홈부(213b)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끼움편(212)은 다른 커피 캐리어(A)에 형성된 끼움홈(21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편부(212a)와, 결합편부(212a)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d2)되는 돌출편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끼움홈(212)은 다른 커피 캐리어(A)에 형성된 끼움편(212)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부(213a)와, 결합홈부(213a)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d2)되는 연장홈부(2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로부터 도 1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면판(200)의 절곡선을 따라 장측면판(210)과 단측면판(220)을 순차적으로 절곡하면서, 측면판(200)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판들을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어서 부착하여 바닥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판(100) 및 측면판(20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측의 장측면판(210)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판(300)의 절곡손잡이부(320)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측면판(210)의 경사접음부(211)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단측면판(220)의 경사부(221)를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난 커피 캐리어(A)를 제작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커피 캐리어 두 개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의 과정에 의해 제작된 두 개의 커피 캐리어(A) 중 어느 하나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배치한 후,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커피 캐리어(A)에 구성된 끼움편(212) 및 끼움홈(213)이 상호간에 끼움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판(300)의 연장부(310)에 형성된 엇끼움부(311)는 다른 커피 캐리어(A)으 손잡이파지홈(321)을 관통하면서 서로 밀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커피 캐리어(A)를 결합하여 4개의 커피 컵을 담을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부(221)의 종단부 양측으로 설정된 미성형부(223a)에 의해, 도 9의 'a'와 같이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공간부에 엄지 및 검지 등의 손가락을 넣어 컵을 쉽게 잡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측면판(200) 중 단측면판(220)의 경사부(221)에는, 컵끼움홈(223)에 연장되도록 컵지지편(22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컵지지편(224)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캐리어(A)에 컵을 담은 상태에서, 컵끼움홈(223)과 더불어 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지지편(224)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측종단부가 컵끼움홈(223)과 연결되면서 서로 접힐 수 있도록 접음선(도 10에서 가는실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컵지지편(224)의 중앙부는 지그재그형태로 절개될 수 있다.
이에, 컵지지편(224)은 커피 캐리어(A)에 컵이 담기면,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측단이 컵끼움홈(223)과 연결된 상태에서, 컵의 측면부를 지지하여 컵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피 캐리어(A)를 이용하면 운반 시 컵에 담긴 음료가 넘치거나 컵 자체가 부정형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캐리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커피 캐리어 100 : 바닥판
200 : 측면판
210 : 장측면판 211 : 경사접음부
212 : 끼움편 212a : 결합편부
212b : 돌출편부
213 : 끼움홈 213a : 결합홈부
213b : 연장홈부
220 : 단측면판
221 : 경사부 222 : 수직부
223 : 컵끼움홈 224 : 컵지지편
300 : 손잡이판
310 : 연장부 311 : 엇끼움부
320 : 절곡손잡이부 321 : 손잡이파지홈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직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판; 및
    상기 측면판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판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손잡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바닥판의 마주보는 한 쌍의 장변을 따라 연장형성된 한 쌍의 장측면판; 및
    상기 바닥판의 마주보는 단변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단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종단부의 양측은 미성형부로 설정하고,
    상기 미성형부 사이인 상기 종단부 중앙부에는 컵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캐리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측면판은,
    상기 컵끼움홈에 컵지지편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캐리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지지편의 양측종단부는 상기 컵끼움홈과 연결되고,
    상기 컵지지편의 중앙부는 지그재그형태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캐리어.
  7. 직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판; 및
    상기 측면판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판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손잡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바닥판의 마주보는 한 쌍의 장변을 따라 연장형성된 한 쌍의 장측면판; 및
    상기 바닥판의 마주보는 단변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단측면판;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장측면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경사접음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경사접음부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한 쌍의 경사접음부 중 다른 하나에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캐리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편은,
    다른 커피 캐리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편부; 및
    상기 결합편부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돌출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다른 커피 캐리어에 형성된 끼움편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캐리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판은,
    한 쌍의 상기 장측면판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장측면판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끼움편 및 끼움홈이 형성된 장측면판과 나란하도록 엇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캐리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판은,
    상기 연장부에서 폭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되는 절곡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손잡이부에는,
    상기 엇끼움부에 대응하여 손잡이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캐리어.
KR1020160077171A 2016-06-21 2016-06-21 커피 캐리어 KR10165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71A KR101656733B1 (ko) 2016-06-21 2016-06-21 커피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171A KR101656733B1 (ko) 2016-06-21 2016-06-21 커피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733B1 true KR101656733B1 (ko) 2016-09-13

Family

ID=5694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171A KR101656733B1 (ko) 2016-06-21 2016-06-21 커피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73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39B1 (ko) 2016-12-06 2018-04-19 주식회사 아이엠팩 분리형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20190041664A (ko) * 2017-10-13 2019-04-23 윤영 음료 용기 캐리어
KR102098830B1 (ko) 2019-11-11 2020-04-08 김가윤 컵 홀더를 구비한 캐리어
KR102268834B1 (ko) * 2021-04-12 2021-06-24 고한덕 음료컵 포장용 종이 박스
GB2591334A (en) * 2020-01-24 2021-07-28 Rattanapaibooncharoen Jirasak Cup carrier
US20210371178A1 (en) * 2020-05-29 2021-12-0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rier With Container Retention Features
KR20220081463A (ko) 2020-12-09 2022-06-16 보고싶다 주식회사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KR20230167457A (ko) 2022-06-02 2023-12-11 배병철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
KR102667178B1 (ko) * 2020-01-07 2024-05-20 이서정 컵 및 용기 운반용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335A (en) * 1990-07-23 1991-12-0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odular article carrier
KR20110108076A (ko) * 2010-03-26 2011-10-05 윤솔아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KR101200164B1 (ko) 2012-08-16 2012-11-13 이원국 컵 캐리어
KR101221758B1 (ko) 2012-09-26 2013-01-11 이원국 컵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335A (en) * 1990-07-23 1991-12-0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odular article carrier
KR20110108076A (ko) * 2010-03-26 2011-10-05 윤솔아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KR101200164B1 (ko) 2012-08-16 2012-11-13 이원국 컵 캐리어
KR101221758B1 (ko) 2012-09-26 2013-01-11 이원국 컵 캐리어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39B1 (ko) 2016-12-06 2018-04-19 주식회사 아이엠팩 분리형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20190041664A (ko) * 2017-10-13 2019-04-23 윤영 음료 용기 캐리어
KR101992294B1 (ko) * 2017-10-13 2019-06-24 윤영 음료 용기 캐리어
KR102098830B1 (ko) 2019-11-11 2020-04-08 김가윤 컵 홀더를 구비한 캐리어
US11440715B2 (en) 2019-11-29 2022-09-13 Jirasak Rattanapaibooncharoen Cup carrier
USD944655S1 (en) 2019-11-29 2022-03-01 Jirasak Rattanapaibooncharoen Double cup carrier
USD953172S1 (en) 2019-11-29 2022-05-31 Jirasak Rattanapaibooncharoen Cup carrier
USD989621S1 (en) 2019-11-29 2023-06-20 Jirasak Rattanapaibooncharoen Triple cup carrier
KR102667178B1 (ko) * 2020-01-07 2024-05-20 이서정 컵 및 용기 운반용 트레이
GB2591334A (en) * 2020-01-24 2021-07-28 Rattanapaibooncharoen Jirasak Cup carrier
US20210371178A1 (en) * 2020-05-29 2021-12-0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rier With Container Retention Features
US11981489B2 (en) * 2020-05-29 2024-05-14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rier with container retention features
KR20220081463A (ko) 2020-12-09 2022-06-16 보고싶다 주식회사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KR102268834B1 (ko) * 2021-04-12 2021-06-24 고한덕 음료컵 포장용 종이 박스
KR20230167457A (ko) 2022-06-02 2023-12-11 배병철 캐리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733B1 (ko) 커피 캐리어
US6679380B2 (en) Cup carrier
KR101380398B1 (ko) 일회용 컵 캐리어
US20180178961A1 (en) Eco-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s
CA2714950C (en) Food and beverage container carrier
KR101546330B1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US20180055260A1 (en) Support apparatus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beverage glasses, and method of using same
MXPA97000806A (en) Container for food or bebi
KR101221758B1 (ko) 컵 캐리어
EP0907580B1 (en) Bottle pack container
KR20110114967A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102099383B1 (ko) 컵 트레이 겸용 홀더
CA2518289A1 (en) Fordable cup
KR101793097B1 (ko) 컵 캐리어
KR101200164B1 (ko) 컵 캐리어
KR200491336Y1 (ko) 컵 캐리어 구조체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US20110240578A1 (en) Stackable and nestable article holder
US20150060532A1 (en) Food Product Holder
JP7378763B2 (ja) 容器保持具
KR102175815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JP4064146B2 (ja) 包装箱
JP6589120B1 (ja) 容器吊り下げ具
KR200264320Y1 (ko) 돌비빔기 세트용 포장 케이스
JPH0721187Y2 (ja) 飲食・調理用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