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463A -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463A
KR20220081463A KR1020200170939A KR20200170939A KR20220081463A KR 20220081463 A KR20220081463 A KR 20220081463A KR 1020200170939 A KR1020200170939 A KR 1020200170939A KR 20200170939 A KR20200170939 A KR 20200170939A KR 20220081463 A KR20220081463 A KR 20220081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food
isolation
packaging box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보고싶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고싶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고싶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463A/ko
Publication of KR2022008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being formed with an aperture or re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through one or mor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5Ventilating arrangements, e.g. openings, spac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59Paper panels presenting one or more openings or recesses in wich at least a part of the contents are 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46Lids comprising a slidable panel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일측 전면에 상하 슬라이딩 구조로 개폐되는 인입인출부를 형성하고, 내측면에 다단 분리구조로 구획된 격리수납부를 형성하여 별도 외력을 요하지 않는 편리한 취급관계, 예컨대, 포장상자를 변형시키거나 훼손시킴 없이 식음료를 편리하게 수납 포장하고, 아울러 수납 포장된 식음료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취급성 및 소비자의 이용효율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격리수납부와, 직사각 관통구조를 취하며 격리수납부와 연결하는 인입인출부와, 파지운반부가 마련된 상자본체를 형성하되;
상기 격리수납부는, 좌,우 한쌍의 앵글부재와, 한쌍의 앵글부재에 의해 다단 이격구조로 가변 설치되는 식음료거치대를 더 설치 형성하고;
상기 인입인출부는, 수평절개구조를 취하는 승강개폐 안내홈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승강개폐 안내홈으로 삽입 결합되며 인입인출부의 개폐를 단속하는 포장마감판을 더 설치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Takeout packaging box with convenient storage}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된 음식이나 커피, 기타 제과류 등 다양한 종류의 식음료를 안전하고 편라히게 수납 운반하기 위해 마련되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에 있어, 그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개폐구조를 개선하여 각종 식음료의 포장 및 인출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특히, 효율적인 공간구획 구조에 의해 서로 종류가 다른 식음료라 할지라도 동시에 수납가능하게 하며, 더 나아가 그들 수납된 식음료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여 엎질러짐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시장에서 유통 및 거래되는 대다수의 물품들이 그러하지만, 특히, 취급상에 있어 주의를 요하는 물품, 예컨대 테이크아웃 식음료나 식품저장용기, 화장품 용기. 기타 스마트 기기 등과 같이 취급성과 내구성이 취약물품들은, 그 물품의 특성상, 외부의 물리적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항상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품들은 운반, 적재, 보관, 판매 등의 과정에 있어, 취급의 편리성을 부여하고, 외부 접촉 및 충격으로부터 그들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더 나아가, 외형적 심미감 및 상품성을 증폭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일정한 형태의 포장용 상자에 수납된 형태로 취급되어짐이 일반적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종래의 다양한 포장용 상자, 그중에서도 특히 조리된 식음료를 수납 및 운반하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대표적인 일예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식품이나 음료를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 구성으로 물품수납부를 마련한 상자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상자본체 상부면에 접철 또는 힌지 조립형태의 개폐구를 형성하며, 재차 상기 개폐구 또는 상자본체 상부측에 손잡이를 설치 내지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는, 조리된 식음료를 수납하는 물품수납부가 단순한 하나의 공간구성을 취하거나, 혹은 그 공간부를 단층 격막구조로 구획하여 그 구획된 공간에 식음료를 분산 수용시키는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인바, 따라서, 조리된 음식과 밀폐되지 않은 음료(내림 커피 등) 등을 한 공간에 동시 수납할 수 없는 폐단, 예컨대, 포장대상과 포장용량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이러한 폐단은 격막구조에 의해 물품수납부가 구획된 경우라 하더라도 여전히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는 식음료를 안전하게 포장 운반하는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포장상자의 외형적 디자인을 차별화시키고, 차별화된 포장상자 외관에 각종 광고문양이나 광고문구 등을 인쇄하여 포장된 식음료 및 그 식음료 판매점을 자연스럽게 홍보함으로써 높은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또 다른 용도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 수많은 종류의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들은 그 포장상자에 표현된 광고문양이나 광고문구 등을 살펴볼 때 나름대로 독특한 개성과 차별점이 있는 것이기는 하나,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외형적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는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일반 포장상자의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한채, 식상함을 주는 폐단이 있다.
또 다르게, 종래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는 식음료를 수납하고 인출하는 개폐구의 구성이 접철 걸림구조 또는, 별도 테이프 등을 이용한 접착 고정구조를 취하는 것인바, 따라서, 식음료의 수납 및 인출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그로 인해 식음료를 수납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수납 및 인출 충격으로 종종 식음료의 엎질러짐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85764호(2016.01.08.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56733호(2016.09.06. 등록)
본 발명은 종래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 전면에 상하 슬라이딩 구조로 개폐되는 인입인출부를 형성하고, 내측면에 다단 분리구조로 구획된 격리수납부를 형성하여 별도 외력을 요하지 않는 편리한 취급관계, 예컨대, 포장상자를 변형시키거나 훼손시킴 없이 식음료를 편리하게 수납 포장하고, 아울러 수납 포장된 식음료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취급성 및 소비자의 이용효율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면에 다단 분리구조로 구획된 격리수납부를 형성하되, 그 구획된 격리수납부의 구조를 조리된 음식(음식물이 담겨진 용기)을 고정 수납하는 조리음식트레이와 밀폐되지 않은 음료, 예컨대, 내림커피 또는 즉석 과일쥬스 등을 흘러 넘침없이 거치 고정하는 음료트레이로 분할 형성하여, 어느 특정된 하나의 식품이나 음료에 제한됨 없이 다양한 식음료를 동시에 통합 포장가능하게 함으로써, 범용성과 수납효율성, 그리고 사용안정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된 음식이나 커피, 기타 제과류 등 다양한 종류의 식음료를 수납 운반하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를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중국요리용 배달수단, 예컨대 철가방이라 명칭되는 배달용 상자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으로 형상화하여 소비자들의 호기심과 향수를 자극함으로써, 매출증대에 도움을 줄수 있도록 한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격리수납부와, 직사각 관통구조를 취하며 격리수납부와 연결하는 인입인출부와, 파지운반부가 마련된 상자본체를 형성하되;
상기 격리수납부는, 좌,우 한쌍의 앵글부재와, 한쌍의 앵글부재에 의해 다단 이격구조로 가변 설치되는 식음료거치대를 더 설치 형성하고;
상기 인입인출부는, 수평절개구조를 취하는 승강개폐 안내홈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승강개폐 안내홈으로 삽입 결합되며 인입인출부의 개폐를 단속하는 포장마감판을 더 설치 형성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는, 슬라이딩 구조로 개폐되는 인입인출부와 다단 분리구조로 구획된 격리수납부에 의해 포장상자를 변형시키거나 훼손시킴 없이 식음료를 편리하게 수납 포장함은 물론 수납 포장된 식음료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취급성 및 소비자의 이용효율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는, 다단 분리구조로 구획 형성된 격리수납부의 구조를 조리된 음식(음식물이 담겨진 용기)을 고정 수납하는 조리음식트레이와 밀폐되지 않은 음료, 예컨대, 내림커피 또는 즉석 과일쥬스 등을 흘러 넘침없이 거치 고정하는 음료트레이로 분할 형성하여, 어느 특정된 하나의 식품이나 음료에 제한됨 없이 다양한 식음료를 동시에 통합 포장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는, 범용성과 수납효율성, 그리고 사용안정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는, 그 전체적인 외형 디자인을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중국요리용 배달수단, 예컨대 철가방이라 명칭되는 배달용 상자를 모티브로 형상화한 것으로, 이는, 소비자들의 호기심과 향수를 자극하고, 그에 따라 매출증대에 상당한 도움을 주는 등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이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격리수납부(1)와, 인입인출부(2)와, 파지운반부(3)와, 포장마감판(4)으로 이루어진 상자본체(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상자본체(100)에 있어 격리수납부(1)는, 그 상자본체(100)의 내측면에 소정의 공간구성으로 마련되며 테이크아웃 또는 배달되는 식음료를 안정적으로 수용 수납되게 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격리수납부(10)는,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격리수납부(10) 내측 좌,우 양측면에 대향하는 한쌍의 앵글부재(11)를 밀착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앵글부재(11)에 의해 상,하 다단 이격구조로 가변 조립되는 식음료거치대(12)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격리수납부(1)에 있어, 상기 앵글부재(11)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된 판체구조를 취하는 고정패널(111)과, 상기 고정패널(111) 전방면에 상,하 다단 이격구조로 돌출 배열되며 상부면에 거치대 고정홈(H)을 마련한 다수개의 받침대(112)로 형성한다.
또 다르게, 전술한 격리수납부(1)에 있어, 상기 앵글부재(11)에 의해 상하 다단 이격구조로 가변 설치되는 식음료거치대(12)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거치트레이(121)와, 조리음식거치트레이(122)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분할 형성되는 음료 거치트레이(121)는, 상부면에 원형 관통구성의 용기삽입공(121-1)과, 좌,우 양측면에 제1 설치고정편(121-2)이 마련된 구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분할 형성된 조리음식 거치트레이(122)는 상부면에 소정깊이의 요홈 구조를 취하는 이탈방지홈(122-1)과, 좌,우 양측면에 제2 설치고정편(122-2)이 마련된 구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자본체(100)에 있어 인입인출부(2)는, 직사각 관통구조를 취하며 테이크아웃 또는 배달되는 식음료를 외부 간섭없이 전술한 격리수납부(1) 내로 인입 수용시킴과 동시에 수용 운반된 식음료를 외부 간섭없이 인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일종의 수납 출입구 구성인바, 이와 같은 인입인출부(2)는, 전술한 격리수납부(1)와 연결하는 직사각 관통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직사각 관통구조로 형성된 인입인출부(2) 상부면에 도 1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절개구조를 취하는 승강개폐 안내홈(21)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자본체(100)에 있어 파지운반부(3)는, 테이크아웃 또는 배달을 위해 포장된 식음료, 예컨대, 전술한 격리수납부(1)로 수용된 식음료를 안정적으로 휴대 운반하기 위해 마련된 수단인바, 이와 같은 파지운반부(3)는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마감된 상자본체(100)의 상부면 중앙에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수직으로 돌출하는 손잡이(31)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파지운반부(3)는 주지의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로 마련되는 파지운반부와 상이함이 없는 동일 기능의 구성으로, 그에 대한 부가적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끝으로, 상기 상자본체(100)에 있어 포장마감판(4)은, 상,하 슬라이딩 이송작용에 의해 전술한 인입인출부(2)를 개폐 단속하기 위해 마련된 수단인바, 이와 같은 포장마감판(4)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판체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개된 종이소재를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하고, 재단된 종이소재를 접철 조립하여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형상의 상자본체(100), 예컨대, 격리수납부(1)와, 인입인출부(2)와, 파지운반부(3)를 일체화 구조로 마련한 상자본체(100)를 형성하고;
이후, 상기 일체화 구성으로 형성된 상자본체(100)에 있어, 격리수납부(1) 내측면에 앵글부재(11)와, 그 앵글부재(11)에 의해 다단 이격구조로 결합된 음료거치트레이(121) 및 조리음식 거치트레이(122)를 수용 설치하며;
재차, 상자본체(100)에 있어 인입인출부(2)로 형성된 승강개폐안내홈(21)에 상,하 슬라이딩 작동 구조로 포장마감판(3)을 삽입 결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를 구현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는, 포장마감판(4)의 상,하 슬라이딩 이송 작용에 의해 인입인출부(2)를 열림 및 닫힘되게 하여, 외부의 불필요한 간섭없이 격리수납부(1)내로 테이크아웃 또는 배달하고자 하는 식음료를 편리하게 수용 수납한다.
여기서 특히, 상기 격리수납부(1) 내로 수용 수납되는 식음료에 있어, 조리된 음식(조리된 음식을 수용한 용기)은 조리음식 거치트레이(122)에 안착시켜 이탈방지홈(122-1)에 의해 고정력을 부여하고, 또 다르게, 밀폐되지 않은 음료 예컨대, 내림커피 또는 즉석 과일쥬스 등이 담겨진 음료용기는 음료거치트레이(121)로 마련된 용기삽입공(121-1)에 삽입거치시켜 고정력을 부여함으로써, 어느 특정된 하나의 조리음식 또는 음료에 제한됨 없이 다양한 식음료를 동시에 포장함과 동시에 그들 포장된 식음료에 안정된 고정력까지 부여하는 기능으로 그 사용관계를 갖는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이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구성, 예컨대, 내측면에 격리수납부(1)와, 외측 일면에 직사각 관통구조를 취하며 상기 격리수납부(1)와 연결하는 인입인출부(2)와, 외측 상부면에 파지운반부(3)와, 상,하 슬라이딩 이송작용을 행하며 상기 인입인출부(2)의 개폐를 단속하는 포장마감판(3)을 형성한 상자본체(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되;
상기 상자본체(100)에 있어, 격리수납부(1)의 구성을 앵글부재(11)와 식음료거치대(12)가 완전 배제된 구성, 예컨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단순한 단일 공간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앵글부재(11)와 식음료거치대(12)의 구성을 배제시켜 격리수납부(1)의 공간을 확장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거나 양이 많은 음식을 단일 형태로 수납 포장할 수 있는 기능을 행한다.
또 다르게,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의 삼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의 구성, 예컨대, 상자본체(100)의 외측면 둘레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수납부(1)와 관통구성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통기순환공(P)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상자본체(100) 내로 수용 포장된 음식의 수분(수증기)을 외부로 원활하게 순환 배출시켜 포장된 음식의 맛과 질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행한다.
1 : 격리수납부 2 : 인입인출부
3 : 파지운반부 4 : 포장마감판
11 : 앵글부재 12 : 식음료거치대
21 : 승강개폐안내홈 31 : 손잡이
111 : 고정패널 112 : 받침대
121 : 음료거치트레이 122 : 조리음식 거치트레이
121-1 : 용기삽입공 121-2 : 제2 설치고정편
122-1 : 이탈방지홈 122-2 : 제2 설치고정편

Claims (5)

  1. 내측면에 격리수납부(1)와, 외측 일면에 직사각 관통구조를 취하며 상기 격리수납부(1)와 연결하는 인입인출부(2)와, 외측 상부면에 파지운반부(3)가 형성된 상자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상자본체(100)에 있어 격리수납부(1)는, 좌,우 양측면에 대향하는 한쌍의 앵글부재(11)와, 상기 앵글부재(11)에 의해 상하 다단 이격구조로 가변 조립되는 식음료거치대(12)를 더 형성하고;
    상기 상자본체(100)에 있어 인입인출부(2)는, 직사각 관통부위 상부면에 수평절개구조를 취하는 승강개폐 안내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개폐 안내홈(21)으로 삽입 결합되며 상하 슬라이딩 이송작용에 의해 상기 직사각 관통구조를 취하는 인입인출부(2)의 개폐를 단속하는 포장마감판(4)을 더 설치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앵글부재(11)는, 직립된 판체구조를 취하는 고정패널(111)과;
    상기 고정패널(111) 전방면에 상,하 다단 이격구조로 돌출 배열되며 거치대 고정홈(H)을 마련한 다수개의 받침대(11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앵글부재(11)에 의해 상하 다단 이격구조로 가변 설치되는 식음료거치대(12)는, 음료거치트레이(121)와, 조리음식거치트레이(122)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음료 거치트레이(121)는, 상부면에 원형 관통구성의 용기삽입공(121-1)과, 좌,우 양측면에 제1 설치고정편(121-2)을 형성하고;
    상기 조리음식 거치트레이(122)는 상부면에 이탈방지홈(122-1)과, 좌,우 양측면에 제2 설치고정편(122-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자본체(100)는, 내측면에 격리수납부(1)와, 외측 일면에 직사각 관통구조를 취하며 상기 격리수납부(1)와 연결하는 인입인출부(2)와, 외측 상부면에 파지운반부(3)와, 상,하 슬라이딩 이송작용을 행하며 상기 인입인출부(2)의 개폐를 단속하는 포장마감판(3)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격리수납부(1)를 단일 공간구성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5. 제 1항 또는 제 4하에 있어서;
    상자본체(100)는, 외측면 둘레에 격리수납부(1)와 관통 연결하는 다수개의 통기순환공(P)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KR1020200170939A 2020-12-09 2020-12-09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KR20220081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939A KR20220081463A (ko) 2020-12-09 2020-12-09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939A KR20220081463A (ko) 2020-12-09 2020-12-09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463A true KR20220081463A (ko) 2022-06-16

Family

ID=8221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939A KR20220081463A (ko) 2020-12-09 2020-12-09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4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764B1 (ko) 2013-09-24 2016-01-14 곽승연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1656733B1 (ko) 2016-06-21 2016-09-13 (주)현민피앤디 커피 캐리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764B1 (ko) 2013-09-24 2016-01-14 곽승연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1656733B1 (ko) 2016-06-21 2016-09-13 (주)현민피앤디 커피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8160C2 (ru) Ящик с подвижными стенками
US5497894A (en) Clamshell container for food items
US5351880A (en) Multiple tier food package
US2794585A (en) Paperboard tray
US6422454B1 (en) Flip-top package for shipping and display of a multi-component meal kit
US3224822A (en) Reusable display and dispensing container
US7159760B2 (en) Package for delicacies and method for packaging delicacies
US20010001674A1 (en) Microwavable meal kit and food packaging system
US20110180446A1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US6261616B1 (en) Microwavable meal kit and food packaging system
CN103380060A (zh) 可分的托盘
US2618937A (en) Refrigerated package
US3006523A (en) Shipping case
MXPA00012826A (es) Empaque.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US9505523B2 (en) Food package
IE42244B1 (en) A transportation and display case for holding small articles such as pralines
RU2681096C2 (ru) Разъем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клубники
US4489878A (en) Auto-divide carton with unequal cells
US20070095695A1 (en) Card file
KR20220081463A (ko)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US4801045A (en) Produce dispenser
KR20070004502A (ko) 음식물 포장용 박스
JP3160827U (ja) 包装箱
CN209073935U (zh) 一种商超食品储物仓及其陈列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