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87B1 -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 Google Patents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687B1
KR101366687B1 KR1020120029394A KR20120029394A KR101366687B1 KR 101366687 B1 KR101366687 B1 KR 101366687B1 KR 1020120029394 A KR1020120029394 A KR 1020120029394A KR 20120029394 A KR20120029394 A KR 20120029394A KR 101366687 B1 KR101366687 B1 KR 10136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board
cardboard portion
disposable cup
cup carrier
ben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956A (ko
Inventor
인양희
Original Assignee
인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양희 filed Critical 인양희
Priority to KR102012002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6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03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several blanks
    • B65D71/40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several blanks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38Holes
    • B65D2571/0045Holes for h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 부피를 줄이고, 접착없이 조립이 가능한 일회용 컵 캐리어에 관해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홀더 구멍이 마련된 하부판지부; 상기 하부판지부와 연결되는 제1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1 측면판지부와 연결되는 제1 상부판지부와 상기 제1 상부판지부와 연결된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전면판지부; 상기 전면판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판지부와 연결되는 제2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2 측면판지부와 연결되는 제2 상부판지부와 상기 제2 상부판지부와 연결된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후면판지부; 상기 전면판지부와 수직인 상기 하부판지부에서 연결되는 제3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3 측면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의 일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좌면판지부; 상기 전면판지부와 수직인 상기 하부판지부와 제4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4 측면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의 다른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우면판지부를 구비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One-time cup carrier without an adhesion}
본 발명은 일회용 컵을 운반하는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접착없이 조립이 가능한 일회용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컵은 지나치게 사용하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비용으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 때문에 음료 컵, 커피 컵, 컵 라면 및 음식물 용기 컵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현대 생활에서 꼭 필요한 범용 생활용품이 되고 있다. 한편 바쁜 현대인들은 커피 전문점에 앉아서도 커피를 마시지만, 이미 보편화된 테이크 아웃(take-out) 방식에 따라 커피를 가져가서 별도의 다른 장소에서도 마시게 된다. 이때, 일회용 종이컵을 커피용기로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일회용 컵 캐리어는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접착방식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접착제를 사용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는 제조비용이 높아지고 추후 쓰레기로 처리할 때에도 친환경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접착없이 조립이 가능하며, 제공자가 취급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고, 사용자가 추후에 폐기 처리할 때에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일회용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양태에 의한 일회용 컵 캐리어는, ① 하나 이상의 홀더 구멍이 마련된 하부판지부와, ② 상기 하부판지부로부터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1 측면판지부에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상부판지부와 상기 제1 상부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된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전면판지부와, ③ 상기 전면판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판지부에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2 측면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상부판지부와 상기 제2 상부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된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후면판지부와, ④ 상기 전면판지부와 수직인 상기 하부판지부에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3측면판지부와 상기 제2 측면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의 일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슬릿이 있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좌면판지부와, ⑤ 상기 전면판지부와 수직인 상기 하부판지부에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4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4 측면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의 다른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슬릿이 있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우면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는 측단에 상기 제1 및 제2 슬릿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groove)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상부판지부는, 그 표면에 상기 홀더 구멍보다 작은 소형 홀더 구멍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판지부의 홀더 구멍은 홀수개 혹은 짝수개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첫째 전면판지부 및 후면판지부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좌면판지부 및 우면판지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슬릿이 고정하여 하부판지부에 탑재된 일회용 컵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하부판지부에 실린 무게를 전후좌우 방향에 균등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일회용 컵 손잡이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접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일회용 컵 캐리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제공자가 조립되지 않은 종이 상태로 보관하거나 취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 제품일 수 있으며, 일회용 컵 캐리어의 제조공정에서도 접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일회용 컵에 담기 내용물이 제1 및 제2 상부판지부에 의해 덮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회용 컵에 담긴 내용물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않을 수 있으며, 내용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냄새나 외관이 주변사람들에게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 캐리어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개도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들이다.
도 11은 도 2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개도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컵 캐리어의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1000)는, 하부판지부(100), 전면판지부(200), 후면판지부(300),좌면판지부(400) 및 우면판지부(5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컵 캐리어(1000)는 접착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수작업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전면판지부(200)는 하부판지부(100)를 중심으로 제3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후면판지부(300)는 제1 방향, 좌면판지부(400)는 제4방향에, 우면판지부(500)는 제2방향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지부(1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홀더 구멍(11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홀더 구멍(110)은 2개인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었으나, 이는 하나 혹은 3~6개 혹은 그 이상으로도 늘릴 수 있다. 또한 홀더 구멍(110)이 원형이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상기 홀더 구멍(110)에 안착되는 일회용 컵의 모양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혹은 다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지부(200) 및 후면판지부(300)는, 조립시 접히는 절곡선을 통해 상기 하부판지부(100)의 제3방향 및 제1방향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전면판지부(200) 및 후면판지부(300)의 구조는, 절곡선을 통해 상기 하부판지부(100)와 연결되는 제1 치 제2 측면판지부(210, 310)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지부(210, 310)에서 다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상부판지부(220,320)와, 상기 제1 및 제2 상부판지부(220, 320)와 절곡선을 통해 다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부(230, 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230, 330)의 양측단에는 홈(groove)부(250)가 파여져 있고, 내부에는 손잡이 구멍(250, 350)이 각각 파여져 있다. 상기 손잡이 구멍(250, 350)은 사람의 손가락의 삽입되어 일회용 컵 캐리어(10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본 실시예는 이를 사다리꼴로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홈부(240, 340)는 상기 손잡이부(230, 330)를 고정시킬 때, 좌면판지부(400) 및 우면판지부(500)의 제1 및 제2 슬릿(420, 52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좌면판지부(400) 및 우면판지부(500)는, 절곡선을 통해 상기 하부판지부(100)와 연결되는 제3 및 제4 측면판지부(410, 510)와 상기 제3 및 제4 측면판지부(410)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430, 5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430, 53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230, 330)의 홈부(240, 3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슬릿(420, 5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좌면판지부(400) 및 우면판지부(500)는, 상기 전면판지부(200) 및 후면판지부(300)와 수직을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하부판지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판지부(210, 310, 410, 510)는, 일회용 컵에 사용되는 뚜껑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도 2는 도 1의 전개도를 조립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V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VI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도 2의 사시도가 조립되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1에서 전면판지부(200) 및 후면판지부(300)를 절곡선을 따라 수직이 되도록 접어 제1 및 제2 손잡이부(230, 330)가 일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면판지부(400) 및 우면판지부(500)의 절곡선을 수직이 되도록 접어 위쪽으로 세운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230, 330)에 형성된 홈부(240, 340)를 상기 좌면판지부(400) 및 우면판지부(500)의 제1 및 제2 슬릿(420, 520)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컵 캐리어(1000)는 내부에 탑재되는 일회용 컵의 상부가 제1 및 제2 상부판지부(220, 320)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구조이다. 따라서 일회용 컵(600)에 담기는 내용물이 커피와 같은 액체 상태이거나, 볶음밥 혹은 흔히 길거리엣 구할 수 있는 간식 식품이더라도 그 내용물이 상부를 통해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냄새나 외관이 주변사람들에게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조립이 완료된 일회용 컵 캐리어(1000)는 제1 및 제3 방향에서 손잡이부(230, 330)가 일회용 컵(600)의 무게를 위로 들어올리고, 제2 및 제3 방향에로 제1 및 제2 지지부(430, 530)로 그 무게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컵(600)의 무게를 4개의 방향으로 골고루 분산시켜 힘의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컵(600)을 전체적으로 감싸지 않고, 상부만 고정시키는 방식으로도 비교적 무거운 일회용 컵(600)일지라도 손쉽게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접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일회용 컵 캐리어(1000)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공자가 도 1과 같은 전개도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 용이하게 조립하여 소비자에게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컵 캐리어(1000)를 제조할 때, 환경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유리하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유리한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컵 캐리어(1000)는, 앞서 설명했듯이, 제1 및 제3 방향에서 손잡이부(230, 330)가 일회용 컵(600)의 무게를 위로 들어올리고, 제2 및 제3 방향에로 제1 및 제2 지지부(430, 530)로 그 무게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컵(600)의 무게를 4개의 방향으로 골고루 분산시켜 힘의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하부판지부(100)에 마련되는 홀더 구멍을 도 7과 같이 3개의 홀더 구멍(100A)으로 설계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4개의 홀더 구멍(100B)으로 설계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5개의 홀더 구멍(100C)으로 설계할 수도 있고, 도 10과 같이 6개의 홀더 구멍(100D)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이렇게 홀더 구멍(100A, 100B, 100C, 100D)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원인은 손잡이부(230, 330)에서 4개의 방향에서 분산된 일회용 컵(600)의 무게를 균등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 때문이다.
도 11은 도 2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전개도를 조립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XIII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상부판지부(220,320)를 이용하지 않는 구조들이다. 하지만 본 변형예에 의한 일회용 컵 캐리어(1001)는, 다른 구조들은 앞서 설명된 일회용 컵 캐리어(1000)와 동일한 구조지만, 상기 제1 및 제2 상부판지부(220, 320) 위에 소홀더 구멍(700A, 700B, 700C)이 별도로 마련된 경우이다.
상기 소홀더 구멍(700A, 700B, 700C, 700D)은 도면과 같이 사각형 구조 혹은 원형 구조일 수 있으며, 700D와 같이 "I"자 형태로 절단된 모양을 지닐 수도 있다. 상기 소홀더 구멍(700A, 700B, 700C, 700D)에는 소형 일회용 컵(610)이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회용 컵(600)에 볶음밥이나 음식물이 담겼을 경우, 고추장 컵, 간장 컵과 같은 소형 일회용 컵(610)이 700A, 700B, 700C의 소홀더 구멍에 삽입될 수 있으며, 700D에는 스푼 및 젓가락 및 포크와 같은 도구가 담겨질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컵(600)에 커피가 담겨졌을 경우, 700A, 700B, 700C의 소홀더 구멍에는 소형 프림 용기, 설탕 용기와 같은 소형 일회용 컵(610)이 삽입될 수 있고, 700D의 소홀더 구멍에는 빨대와 같은 수단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0: 하부판지부, 110: 홀더 구멍,
200: 전면판지부, 210: 제1 측면판지부,
220: 제1 상부판지부, 230: 제1 손잡이부,
240: 홈(groove)부, 250: 손잡이 구멍.
300: 후면판지부, 310: 제2 측면판지부,
320: 제2 상부판지부, 330: 제2 손잡이부,
340: 홈(groove)부, 350: 손잡이 구멍,
400: 좌면판지부, 410: 제3 측면판지부,
420: 제1 슬릿(slit), 430: 제1 지지부,
500: 우면판지부, 510: 제4 측면판지부,
520: 제2 슬릿(slit), 530: 제2 지지부,
600: 일회용 컵, 610: 소형 일회용 컵,
700: 작은 홀더 구멍, 1000: 일회용 컵 캐리어.

Claims (5)

  1. 하나 이상의 홀더 구멍이 마련된 하부판지부;
    상기 하부판지부로부터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1 측면판지부에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상부판지부와 상기 제1 상부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된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전면판지부;
    상기 전면판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판지부에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2 측면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상부판지부와 상기 제2 상부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된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후면판지부;
    상기 전면판지부와 수직인 상기 하부판지부에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3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3 측면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의 일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슬릿이 있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좌면판지부;
    상기 전면판지부와 수직인 상기 하부판지부에서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4 측면판지부와 상기 제4 측면판지부와 절곡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의 다른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슬릿이 있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우면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는 측단에 상기 제1 및 제2 슬릿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groove)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판지부는,
    그 표면에 상기 홀더 구멍보다 작은 소형 홀더 구멍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지부의 홀더 구멍은 홀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지부의 홀더 구멍은 짝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캐리어.
KR1020120029394A 2012-03-22 2012-03-22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KR10136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94A KR101366687B1 (ko) 2012-03-22 2012-03-22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94A KR101366687B1 (ko) 2012-03-22 2012-03-22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956A KR20120044956A (ko) 2012-05-08
KR101366687B1 true KR101366687B1 (ko) 2014-02-25

Family

ID=4626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394A KR101366687B1 (ko) 2012-03-22 2012-03-22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59U (ko) 2016-05-30 2016-06-29 (주)삼보에이팩 2겹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컵 캐리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113U (ko) * 1989-06-23 1991-02-15
KR20100010124U (ko) * 2009-04-07 2010-10-15 유영수 병 포장 박스
JP2011515294A (ja) * 2008-03-28 2011-05-19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容器のキャリア
KR20110108076A (ko) * 2010-03-26 2011-10-05 윤솔아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113U (ko) * 1989-06-23 1991-02-15
JP2011515294A (ja) * 2008-03-28 2011-05-19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容器のキャリア
KR20100010124U (ko) * 2009-04-07 2010-10-15 유영수 병 포장 박스
KR20110108076A (ko) * 2010-03-26 2011-10-05 윤솔아 음료컵 보관용 상자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59U (ko) 2016-05-30 2016-06-29 (주)삼보에이팩 2겹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컵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956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81451S1 (en) Combined rectangular food container and lid
USD646127S1 (en) Utensiled food container assembly
USD641217S1 (en) Food container with strainer basket
JP3202643U (ja) 飲料用の支持部を備えた食品コンテナ
KR101366687B1 (ko) 접착이 없는 조립식 일회용 컵 캐리어
KR20140028474A (ko) 종이 냄비
USD629258S1 (en) Stacked single serve coffee basket
WO2016014443A1 (en) Food and beverage tray
CN202775864U (zh) 一种双层蛋架
US20170008660A1 (en) Foldable cup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WO2014012478A1 (zh) 一种多功能蛋架
JP3177947U (ja) 本体収容空間に仕切りを設けた箸箱及び仕切り部材
CN201719121U (zh) 锅架
CN209204163U (zh) 一种消毒柜的抽拉式托盘
KR102232729B1 (ko) 유아용 식기 보관함
CN203815166U (zh) 一种可叠加的餐用托盘
CN202941861U (zh) 多隔保温饭桶
CN201675653U (zh) 一种传菜托盘
CN202698638U (zh) 多功能组合餐具
CN210138035U (zh) 新型试吃盒
CN202739073U (zh) 一种便当盒
CN204091552U (zh) 五件套装不锈钢餐具盒
KR20150025166A (ko) 종이가 절감되도록 구성된 커피 트레이
CN202751125U (zh) 一种多功能菜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