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15Y1 -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15Y1
KR200481315Y1 KR2020150008548U KR20150008548U KR200481315Y1 KR 200481315 Y1 KR200481315 Y1 KR 200481315Y1 KR 2020150008548 U KR2020150008548 U KR 2020150008548U KR 20150008548 U KR20150008548 U KR 20150008548U KR 200481315 Y1 KR200481315 Y1 KR 200481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rtition
box
foldabl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에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에코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에코팩
Priority to KR2020150008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16Partitions integra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or lower edges of a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을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와, 상기 상자형성부와는 분리 형성되고 상자형성부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되, 설계유형에 따라 4칸들이 내지 10칸들이 구획공간을 임의대로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골판지를 이용하여 상자형성부와 칸막이를 함께 설계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포장상자 내에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포장공간을 갖도록 하되 4칸 내지 10칸으로 나누어 형성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상자{PACKING BOX}
본 고안은 파우치 제품의 포장을 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판지 사용으로 친환경 포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한약 등의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안정되게 담아 포장 및 다수를 일정 수량씩 담아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며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포장상자는 내충격성과 완충효과를 가지는 골판지로 만들어진 상자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골판지는 파형으로 굴곡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주름골 심지를 완충부재로 하여 상기 주름골 심지의 상하면에 종이를 접착시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골판지 대신에 합성수지 재질의 상자가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농산물이나 가전제품, 음료용기, 각종 선물용품,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 등 다양한 물건의 포장에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포장상자는 포장되는 물건의 종류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때로는 포장박스의 내부에 구획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순 삽입 배치되는 칸막이 등이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종래 포장상자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11466호에서는 일체형으로 접어서 형성할 수 있는 지지부를 갖추어 내구성이 증대되고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추면서도 쉽게 형성 가능한 선물세트용 포장상자를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7581호에서는 일체형으로 재단되고 내부공간이 분할되어 있어서 물품수납이나 포장에 용이한 공간분할 육각형 종이상자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1146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581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골판지 사용으로 친환경 포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한약 등의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안정되게 담아 포장 및 다수를 구획된 공간 내에 일정 수량씩 담아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며 내구성이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골판지를 이용하여 다수의 파우치 제품을 용이하게 포장하는데 적합한 구조를 갖도록 하며,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포장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포장공간을 갖도록 하되 4칸 내지 10칸으로 다양하게 포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는,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100A); 상기 상자형성부(100A)와는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자형성부(1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100B);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형성부(100A)는 제1 측면판(1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1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1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4 파트(1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1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110); 상기 제1 측면판(1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1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121)의 상면에 제1 상판(1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1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123)의 하면에 제1 구획판(12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24a)이 형성되는 제2 파트(120); 상기 제2 측면판(1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1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1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1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1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1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130); 상기 제3 측면판(1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1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1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141)의 상면에 제2 상판(1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1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끼움홀(1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143)의 하면에 제2 구획판(14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44a)이 형성되는 제4 파트(140);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100B)는 상기 제1 측면판(1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150)로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51)이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5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 (110) 내지 제4 파트(140)의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시킨 상자형성부(100A)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여 직립 형성 및 서로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배치되어 상자형성부(100A) 내 공간을 2칸으로 구획하되 끼움홈(124a)(1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124) 및 제2 구획판(144) 측에 끼움홈(151)을 이용하여 칸막이(100B)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에 의해 칸을 2배로 나누어 상자형성부(100A) 내에 4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는, 상자형성부와 칸막이의 구조 변형을 통해 6칸들이, 8칸들이, 9칸들이, 10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골판지 사용으로 친환경 포장을 수행할 수 있고 한약 등의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안정되게 담아 포장 및 일정 수량씩 담아 포장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골판지를 이용하여 상자형성부와 칸막이를 함께 설계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포장상자 내에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포장공간을 갖도록 하되 4칸 내지 10칸으로 나누어 형성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4칸들이 포장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6칸들이 포장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8칸들이 포장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9칸들이 포장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10칸들이 포장상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한약 등의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다수로 나누어진 구획공간 내에 각각 일정 수량씩 담아 포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나의 상자 내에 4칸들이 내지 10칸들이 구획공간을 갖는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구성을 제안한다.
즉, 4칸들이, 6칸들이, 8칸들이, 9칸들이, 10칸들이의 구획공간을 갖는 포장상자를 완성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4칸들이 포장상자(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100A)와, 상기 상자형성부(100A)와는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자형성부(1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10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자형성부(100A)와 칸막이(100B)는 자원 절약을 위해 하나의 골판지에 함께 설계되고, 재단 등에 의한 가공시 분리된다.
상기 상자형성부(100A)는 동일한 높이를 갖게 한 제1 측면판(111) 내지 제4 측면판(141)이 동일 직선상으로 연결되고 이들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제1 파트(110) 내지 제4 파트(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파트(110)와 제3 파트(130)가 대응하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게 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 파트(120)와 제4 파트(140)가 대응하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파트(1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제1 측면판(1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1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1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제1 측면판(111)의 일측면에 제4 파트(1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1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114)는 제1 측면판(111)의 일측면에 덧대어져 돌출 구조로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제2 파트(120)는 상기 제1 측면판(1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1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121)의 상면에 제1 상판(1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1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123)의 하면에 제1 구획판(12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2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홀(122a)(123a)은 슬릿형 구조로 형성하되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원형공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파트(130)는 상기 제2 측면판(1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1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1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1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1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1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4 파트(140)는 상기 제3 측면판(1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1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1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141)의 상면에 제2 상판(1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1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끼움홀(1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143)의 하면에 제2 구획판(14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4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홀(142a)(143a)은 슬릿형 구조로 형성하되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원형공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파트(110)의 제1 구획판(124)과 상기 제4 파트(140)의 제2 구획판(144)은 각각 내측방향으로 접기를 통해 상자형성부(100A) 내에 직립되게 배치하기 위한 구성이고 서로 측면이 맞대어져 이중 격벽을 형성하게 한 구성이며, 상기 칸막이(100B)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에 의해 상자형성부(100A) 내에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담아 포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획공간을 형성하는데 활용되는 칸막이부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칸막이(100B)는 상기 제1 측면판(1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150)로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51)이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52)가 형성되며, 서로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1 구획판(124) 및 제2 구획판(144)에 교차되게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자형성부(100A) 내에 4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칸막이(100B)는 상기 제1 측면판(1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각 끼움돌기(152)가 제1 상판(122)의 끼움홀(122a)과 제2 상판(142)의 끼움홀(142a) 및 제1 밑판(123)의 끼움홀(123a)과 제2 밑판(143)의 끼움홀(143a)에 삽입 끼움되게 구성한 것으로서, 견고한 결합을 통해 내구성 있는 포장상자(100)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측면판(111)과 제3 측면판(131)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손잡이끈을 상자형성부(100A)에 결합하여 포장상자(100)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끈 결합용 결합공(115)(13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4칸들이 포장상자(100)는 제1 측면판(111) 내지 제4 측면판(141)의 연결 부분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네 측면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를 형성한 상태에 제2 측면판(121)에 연결된 제1 밑판(123)을 내측방향으로 접고 다시 제1 구획판(124)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직립되게 배치함으로써 제2 측면판(121)과 서로 마주하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제2 측면판(121)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4 측면판(141)에 연결된 제2 밑판(143)을 내측방향으로 접고 다시 제2 구획판(144)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직립되게 배치함으로써 제4 측면판(141)과 서로 마주하도록 하며, 제1 측면판(111)의 돌출된 연결부(114)를 제4 파트(140)의 내면에 접착시켜 고정하면 된다.
이때, 직립 배치되는 제1 구획판(124)과 제2 구획판(144)은 서로 마주하게 되는 측면이 맞대어지게 되고, 이중 격벽으로 되어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2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누게 된다.
이어, 직립 배치된 상태에 있고 끼움홈(124a)(1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124)과 제2 구획판(144) 측에 끼움홈(151)을 이용하여 칸막이(100B)를 교차시켜 조립하면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4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누게 된다.
이때, 칸막이(100B)와 제1 구획판(124) 및 제2 구획판(144)은 끼움홈(151)(124a)(144a)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맞춤 끼움 조립하므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칸막이(100B)가 갖는 하부 양측부에 돌출시킨 끼움돌기(152)는 제1 밑판(123)의 끼움홀(123a)과 제2 밑판(143)의 끼움홀(143a)에 삽입 끼움되어 고정된다.
이어, 제1 측면판(111)에 연결된 제1 밑판커버판(113)과 제3 측면판(131)에 연결된 제2 밑판커버판(133)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제1 밑판(123)과 제2 밑판(143)을 커버토록 하고, 테이프를 붙여 고정하면 된다.
이때, 포장상자(100)는 상부 개방형 구조로 4칸들이 구획공간 내에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일정한 수량씩 담을 수 있도록 완성된다.
이후, 4칸들이 구획공간 내에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일정한 수량씩 담은 상태에 제2 측면판(121)에 연결된 제1 상판(122)과 제4 측면판(141)에 연결된 제2 상판(142)을 내측방향으로 접되, 칸막이(100B)가 갖는 상부 양측부에 돌출시킨 끼움돌기(152) 측에 제1 상판(122)의 끼움홀(122a)과 제2 상판(142)의 끼움홀(142a)이 삽입 끼움되게 하여 고정한다.
이어, 제1 측면판(111)에 연결된 제1 상판커버판(112)과 제3 측면판(131)에 연결된 제2 상판커버판(132)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제1 상판(122)과 제2 상판(142)을 커버토록 하고, 테이프를 붙여 고정하면 포장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6칸들이 포장상자(200)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200A)와, 상기 상자형성부(200A)와는 분리 형성되고 상자형성부(2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200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6칸들이 포장상자(200) 또한 상술한 4칸들이 포장상자(100)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식 및 개념으로 6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상자형성부(200A)와 칸막이(200B)에 있어 약간의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할 것이다.
상기 상자형성부(200A)는 동일한 높이를 갖게 한 제1 측면판(211) 내지 제4 측면판(241)이 동일 직선상으로 연결되고 이들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제1 파트(210) 내지 제4 파트(2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자형성부(200A)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1 측면판(2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2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2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4 파트(2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210)와; 상기 제1 측면판(2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2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221)의 상면에 제1 상판(2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2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2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2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223)의 하측으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224a)을 갖는 제1 구획판(22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1 밑판(22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 파트(220)와; 상기 제2 측면판(2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2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2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2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2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2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230)와; 상기 제3 측면판(2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2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2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241)의 상면에 제2 상판(2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2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2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2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243)의 하측으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244a)을 갖는 제2 구획판(24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2 밑판(24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4 파트(24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2 파트(220)의 제1 구획판(224)과 상기 제4 파트(240)의 제2 구획판(244)은 각각 내측방향으로 접기를 통해 상자형성부(200A) 내에 직립되게 배치하기 위한 구성이고 서로 간격 배치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 칸막이(200B)는 하단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251)을 갖고 상기 제1 측면판(2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250)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252)가 형성되며, 서로 간격 배치되는 제1 구획판(224) 및 제2 구획판(244) 측에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에 의해 6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측면판(211)과 제3 측면판(231)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손잡이끈을 상자형성부(200A)에 결합하여 포장상자(200)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끈 결합용 결합공(215)(23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6칸들이 포장상자(200)는 제1 측면판(211) 내지 제4 측면판(241)의 연결 부분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네 측면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를 형성한 상태에 제2 측면판(221)에 연결된 제1 밑판(223)을 내측방향으로 접고 다시 제1 구획판(224)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직립되게 배치함으로써 제2 측면판(221)과 서로 마주하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제2 측면판(221)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4 측면판(241)에 연결된 제2 밑판(243)을 내측방향으로 접고 다시 제2 구획판(244)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직립되게 배치함으로써 제4 측면판(241)과 서로 마주하도록 하며, 제1 측면판(211)의 돌출된 연결부(214)를 제4 파트(240)의 내면에 접착시켜 고정하면 된다.
이때, 직립 배치되는 제1 구획판(224)과 제2 구획판(244)은 서로 마주하되 간격 배치되고,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3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누게 된다.
이어, 직립 배치된 상태에 있고 끼움홈(224a)(2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224)과 제2 구획판(244) 측에 끼움홈(251)을 이용하여 칸막이(200B)를 교차시켜 조립하면 사각박스형 몸체 내부의 칸을 나누어 6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누게 된다.
이때, 칸막이(200B)와 제1 구획판(224) 및 제2 구획판(244)은 끼움홈(251)(224a)(244a)에 맞춰 상호 끼움 조립하므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칸막이(200B)가 갖는 하부 양측부에 돌출시킨 끼움돌기(252)는 제1 밑판(223)의 끼움홀(223a)과 제2 밑판(243)의 끼움홀(243a)에 삽입 끼움되어 고정된다.
이어, 제1 측면판(211)에 연결된 제1 밑판커버판(213)과 제3 측면판(231)에 연결된 제2 밑판커버판(233)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제1 밑판(223)과 제2 밑판(243)을 커버토록 하고, 테이프를 붙여 고정하면 된다.
이때, 포장상자(100)는 상부 개방형 구조로 6칸들이 구획공간 내에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일정한 수량씩 담을 수 있도록 완성된다.
이후, 6칸들이 구획공간 내에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일정한 수량씩 담은 상태에 제2 측면판(221)에 연결된 제1 상판(222)과 제4 측면판(241)에 연결된 제2 상판(242)을 내측방향으로 접되, 칸막이(200B)가 갖는 상부 양측부에 돌출시킨 끼움돌기(252) 측에 제1 상판(222)의 끼움홀(222a)과 제2 상판(242)의 끼움홀(242a)이 삽입 끼움되게 하여 고정한다.
이어, 제1 측면판(211)에 연결된 제1 상판커버판(212)과 제3 측면판(231)에 연결된 제2 상판커버판(232)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제1 상판(222)과 제2 상판(242)을 커버토록 하고, 테이프를 붙여 고정하면 포장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8칸들이 포장상자(300)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300A)와, 상기 상자형성부(300A)와는 분리 형성되고 상자형성부(3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300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8칸들이 포장상자(300) 역시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개념으로 8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자형성부(300A)와 칸막이(300B)에 있어 약간의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할 것이다.
상기 상자형성부(300A)는 동일한 높이를 갖게 한 제1 측면판(311) 내지 제4 측면판(341)이 동일 직선상으로 연결되고 이들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제1 파트(310) 내지 제4 파트(3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자형성부(300A)는 제1 측면판(3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3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3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4 파트(3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3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310)와; 상기 제1 측면판(3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3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321)의 상면에 제1 상판(3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3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3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3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323)의 하면에 제1 구획판(32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24a)이 형성되는 제2 파트(320)와; 상기 제2 측면판(3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3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3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3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3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3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330)와; 상기 제3 측면판(3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3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3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341)의 상면에 제2 상판(3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3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3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끼움홀(3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343)의 하면에 제2 구획판(34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44a)이 형성되는 제4 파트(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칸막이(300B)는 3개의 칸막이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측면판(3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51)가 형성되며,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52)이 형성되고 상단부 양측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353)을 갖는 제1 칸막이(350)와; 상기 제1 구획판(3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형부재로서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61)을 갖는 제2 칸막이(360)와; 상기 제1 구획판(3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형부재로서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71)을 갖는 제3 칸막이(3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칸막이(360)와 제3 칸막이(370)는 동일한 구성이다.
이를 통해, 8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판(311)과 제3 측면판(331)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손잡이끈을 상자형성부(300A)에 결합하여 포장상자(300)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끈 결합용 결합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8칸들이 포장상자(300)는 제1 측면판(311) 내지 제4 측면판(341)을 이용하여 네 측면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를 형성한 상태에 제1 구획판(324)과 제2 구획판(344)을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측에 위치 및 직립 배치하되 서로 간격 배치함에 의해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3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누게 된다.
이어, 제1 측면판(311)에 연결된 제1 밑판커버판(313)과 제3 측면판(331)에 연결된 제2 밑판커버판(333)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제1 밑판(323)과 제2 밑판(343)을 커버토록 하고, 테이프를 붙여 고정하면 된다.
이어, 직립 및 측면이 맞대어진 상태에 있는 제1 구획판(324)과 제2 구획판(344)에 제1 칸막이(350)를 교차시켜 조립하면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4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눌 수 있게 되고, 제1 칸막이(350)의 양측부에 다시 제2 칸막이(360)와 제3 칸막이(370)를 각각 교차시켜 조립 및 제1 구획판(324)과 제2 구획판(344)에 평형 배열하면 다시 8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눌 수 있게 된다.
이후, 8칸들이 구획공간 내에 액상내용물이 담긴 파우치 제품을 일정한 수량씩 담은 상태에 제2 측면판(321)에 연결된 제1 상판(322)과 제4 측면판(341)에 연결된 제2 상판(342)을 내측방향으로 접은 상태에 제1 상판커버판(312)과 제2 상판커버판(332)을 내측방향으로 접어 제1 상판(322)과 제2 상판(342)을 커버토록 하고, 테이프를 붙여 고정하면 포장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9칸들이 포장상자(400)는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400A)와, 상기 상자형성부(400A)와는 분리 형성되고 상자형성부(4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400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자형성부(400A)는 제1 측면판(4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4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4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으로 제4 파트(44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410)와; 상기 제1 측면판(4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4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421)의 상면에 제1 상판(4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심 하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홀(4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4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심 상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홀(4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423)의 하측으로 중심 하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홈(424a)을 갖는 제1 구획판(42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1 밑판(42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 파트(420)와; 상기 제2 측면판(4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4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4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4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4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4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430)와; 상기 제3 측면판(431)의 타측면에 제4 측면판(4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441)의 상면에 제2 상판(4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심 하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홀(4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4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심 상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홀(4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443)의 하측으로 중심 하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홈(444a)을 갖는 제2 구획판(44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2 밑판(44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4 파트(4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칸막이(400B)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칸막이부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측면판(4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451)가 형성되며, 하단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452)을 갖는 제1 칸막이(450)와; 상기 제3 측면판(43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461)가 형성되며, 하단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462)을 갖는 제2 칸막이(4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칸막이(450)와 제2 칸막이(460)는 평행 배열된다.
삭제
이를 통해, 9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도, 상기 제1 측면판(411)과 제3 측면판(431)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손잡이끈을 상자형성부(400A)에 결합하여 포장상자(400)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끈 결합용 결합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9칸들이 포장상자(400)는 서로 마주하되 간격 배치 및 직립 형성되는 제1 구획판(424)과 제2 구획판(444)을 이용하여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3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누게 되며, 제1 칸막이(450)와 제2 칸막이(460)를 제1 구획판(424) 및 제2 구획판(444) 측에 교차시켜 조립하되 평행하게 배열함에 의해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다시 9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눌 수 있게 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1 파트(410) 내지 제4 파트(440)의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시킨 상자형성부(400A)의 내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직립 형성 및 간격 배치되어 상자형성부(400A) 내 공간을 3칸으로 구획하되 두 개의 끼움홈(42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424) 및 두 개의 끼움홈(4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구획판(444) 측에 두 개의 끼움홈(452)을 이용하여 제1 칸막이(45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과 더불어 두 개의 끼움홈(462)을 이용하여 제2 칸막이(46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하되 제1 칸막이(450)와 제2 칸막이(460)를 평행하게 간격 배열함에 의해 칸을 3배로 나누어 상자형성부(200A) 내에 9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10칸들이 포장상자(500)는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500A)와, 상기 상자형성부(500A)와는 분리 형성되고 상자형성부(5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500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자형성부(500A)는 제1 측면판(5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5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5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4 파트(5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5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510)와; 상기 제1 측면판(5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5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521)의 상면에 제1 상판(5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5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5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5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523)의 하측으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524a)을 갖는 제1 구획판(52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1 밑판(52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 파트(520)와; 상기 제2 측면판(5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5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5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5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5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5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530)와; 상기 제3 측면판(5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5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5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541)의 상면에 제2 상판(5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5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5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5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543)의 하측으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544a)을 갖는 제2 구획판(54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2 밑판(54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4 파트(5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칸막이(500B)는 3개의 칸막이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500B)는 상기 제1 측면판(5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551)가 형성되며, 하단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를 갖는 두 개의 끼움홈(552)이 형성되고 상단부 양측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553)을 갖는 제1 칸막이(550)와; 상기 제1 구획판(5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형부재로서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561)을 갖는 제2 칸막이(560)와; 상기 제1 구획판(5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형부재로서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571)을 갖는 제3 칸막이(570);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10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도, 상기 제1 측면판(511)과 제3 측면판(531)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손잡이끈을 상자형성부(500A)에 결합하여 포장상자(500)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끈 결합용 결합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10칸들이 포장상자(500)는 서로 마주하되 간격 배치 및 직립 형성되는 제1 구획판(524)과 제2 구획판(544)을 이용하여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3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누게 되고, 제1 칸막이(550)를 제1 구획판(424) 및 제2 구획판(444)에 교차시켜 조립하면 사각박스형 몸체의 내부를 다시 6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누게 되며, 제1 칸막이(550)의 양측부에 다시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칸막이(560)와 제3 칸막이(570)를 교차시켜 조립하되 제1 구획판(324) 및 제2 구획판(344)과 평형하게 배열하면 다시 10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눌 수 있게 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1 파트(510) 내지 제4 파트(540)의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시킨 상자형성부(500A)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여 직립 형성 및 간격 배치되어 상자형성부(500A) 내 공간을 3칸으로 구획하되 끼움홈(524a)(5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524) 및 제2 구획판(544) 측에 두 개의 끼움홈(552)을 이용하여 제1 칸막이(55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으로써 칸을 2배로 나누어 6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며, 제1 칸막이(550)의 어느 하나의 끼움홈(553) 측에 끼움홈(561)을 이용하여 제2 칸막이(56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하고 제1 칸막이(550)의 다른 하나의 끼움홈(553) 측에 끼움홈(571)을 이용하여 제3 칸막이(57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에 의해 상자형성부(500A) 내 양측부에 위치된 칸을 각각 나누어 10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포장상자 100A: 상자 형성부
100B: 칸막이 110: 제1 파트
111: 제1 측면판 112: 제1 상판커버판
113: 제1 밑판커버판 114: 연결부
120: 제2 파트 121: 제2 측면판
122: 제1 상판 122a: 끼움홀
123: 제1 밑판 123a: 끼움홀
124: 제1 구획판 124a: 끼움홈
130: 제3 파트 131: 제3 측면판
132: 제2 상판커버판 133: 제2 밑판커버판
140: 제4 파트 141: 제4 측면판
142: 제2 상판 142a: 끼움홀
143: 제2 밑판 143a: 끼움홀
144: 제2 구획판 144a: 끼움홈
150: 판형부재 151: 끼움홈
152: 끼움돌기

Claims (6)

  1.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100A); 상기 상자형성부(100A)와는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자형성부(1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100B); 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형성부(100A)는,
    제1 측면판(1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1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1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4 파트(1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1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110);
    상기 제1 측면판(1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1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121)의 상면에 제1 상판(1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1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123)의 하면에 제1 구획판(12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24a)이 형성되는 제2 파트(120);
    상기 제2 측면판(1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1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1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1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1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1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130);
    상기 제3 측면판(1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1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1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141)의 상면에 제2 상판(1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1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1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끼움홀(1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143)의 하면에 제2 구획판(14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44a)이 형성되는 제4 파트(140); 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100B)는,
    상기 제1 측면판(1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150)로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151)이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5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 (110) 내지 제4 파트(140)의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시킨 상자형성부(100A)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여 직립 형성 및 서로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배치되어 상자형성부(100A) 내 공간을 2칸으로 구획하되 끼움홈(124a)(1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124) 및 제2 구획판(144) 측에 끼움홈(151)을 이용하여 칸막이(100B)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에 의해 칸을 2배로 나누어 상자형성부(100A) 내에 4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200A); 상기 상자형성부(200A)와는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자형성부(2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200B); 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형성부(200A)는,
    제1 측면판(2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2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2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4 파트(2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2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210);
    상기 제1 측면판(2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2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221)의 상면에 제1 상판(2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2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2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2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223)의 하측으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224a)을 갖는 제1 구획판(22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1 밑판(22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 파트(220);
    상기 제2 측면판(2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2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2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2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2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2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230);
    상기 제3 측면판(2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2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2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241)의 상면에 제2 상판(2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2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2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2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243)의 하측으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244a)을 갖는 제2 구획판(24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2 밑판(24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4 파트(240); 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200B)는,
    하단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251)을 갖고 상기 제1 측면판(2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250)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25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210) 내지 제4 파트(240)의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시킨 상자형성부(200A)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여 직립 형성 및 간격 배치되어 상자형성부(200A) 내 공간을 3칸으로 구획하되 끼움홈(224a)(2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224) 및 제2 구획판(244) 측에 두 개의 끼움홈(251)을 이용하여 칸막이(200B)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에 의해 칸을 2배로 나누어 상자형성부(200A) 내에 6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3.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300A); 상기 상자형성부(300A)와는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자형성부(3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300B); 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형성부(300A)는,
    제1 측면판(3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3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3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4 파트(3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3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310);
    상기 제1 측면판(3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3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321)의 상면에 제1 상판(3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3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3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3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323)의 하면에 제1 구획판(32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24a)이 형성되는 제2 파트(320);
    상기 제2 측면판(3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3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3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3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3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3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330);
    상기 제3 측면판(3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3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3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341)의 상면에 제2 상판(3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3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3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끼움홀(3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343)의 하면에 제2 구획판(344)을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44a)이 형성되는 제4 파트(340); 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300B)는,
    상기 제1 측면판(3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51)가 형성되며,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52)이 형성되고 상단부 양측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353)을 갖는 제1 칸막이(350);
    상기 제1 구획판(3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형부재로서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61)을 갖는 제2 칸막이(360);
    상기 제1 구획판(3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형부재로서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371)을 갖는 제3 칸막이(37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트 (310) 내지 제4 파트(340)의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시킨 상자형성부(300A)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여 직립 형성 및 서로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제1 구획판(324)과 제2 구획판(344)을 배치함에 의해 상자형성부(300A) 내 공간을 2칸으로 구획한 상태에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끼움홈(324a)(344a)을 갖는 제1 구획판(324) 및 제2 구획판(344) 측에 끼움홈(352)을 이용하여 제1 칸막이(35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으로써 칸을 2배로 나누어 4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며, 제1 칸막이(350)의 어느 하나의 끼움홈(353) 측에 끼움홈(361)을 이용하여 제2 칸막이(36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하고 제1 칸막이(350)의 다른 하나의 끼움홈(353) 측에 끼움홈(371)을 이용하여 제3 칸막이(37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에 의해 다시 칸을 2배로 나누어 상자형성부(300A) 내에 8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4.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400A); 상기 상자형성부(400A)와는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자형성부(4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400B); 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형성부(400A)는,
    제1 측면판(4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4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4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으로 제4 파트(44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410);
    상기 제1 측면판(4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4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421)의 상면에 제1 상판(4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심 하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홀(4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4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심 상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홀(4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423)의 하측으로 중심 하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홈(424a)을 갖는 제1 구획판(42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1 밑판(42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 파트(420);
    상기 제2 측면판(4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4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4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4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4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4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430);
    상기 제3 측면판(431)의 타측면에 제4 측면판(4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441)의 상면에 제2 상판(4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심 하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홀(4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4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심 상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홀(4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443)의 하측으로 중심 하단부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의 두 개의 끼움홈(444a)을 갖는 제2 구획판(44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2 밑판(44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4 파트(440); 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400B)는,
    상기 제1 측면판(4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451)가 형성되며, 하단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452)을 갖는 제1 칸막이(450);
    상기 제3 측면판(43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461)가 형성되며, 하단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462)을 갖는 제2 칸막이(46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트(410) 내지 제4 파트(440)의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시킨 상자형성부(400A)의 내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직립 형성 및 간격 배치되어 상자형성부(400A) 내 공간을 3칸으로 구획하되 두 개의 끼움홈(42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424) 및 두 개의 끼움홈(4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구획판(444) 측에 두 개의 끼움홈(452)을 이용하여 제1 칸막이(45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과 더불어 두 개의 끼움홈(462)을 이용하여 제2 칸막이(46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하되 제1 칸막이(450)와 제2 칸막이(460)를 평행하게 간격 배열함에 의해 칸을 3배로 나누어 상자형성부(200A) 내에 9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5. 전개도상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되는 상자형성부(500A); 상기 상자형성부(500A)와는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자형성부(500A) 내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주기 위한 칸막이(500B); 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형성부(500A)는,
    제1 측면판(511)을 갖되 상면에 제1 상판커버판(51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커버판(51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4 파트(540)와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514)가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파트(510);
    상기 제1 측면판(511)의 타측면에 제2 측면판(52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측면판(521)의 상면에 제1 상판(52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52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밑판(52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52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밑판(523)의 하측으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524a)을 갖는 제1 구획판(52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1 밑판(52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2 파트(520);
    상기 제2 측면판(52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측면판(51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3 측면판(53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 측면판(531)의 상면에 제2 상판커버판(532)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커버판(533)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파트(530);
    상기 제3 측면판(5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 측면판(52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4 측면판(541)의 일측면이 접기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4 측면판(541)의 상면에 제2 상판(542)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542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밑판(543)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중앙 상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홀(5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밑판(543)의 하측으로 중앙 하단부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544a)을 갖는 제2 구획판(544)을 접기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하되 제2 밑판(543)과의 경계영역에 있어 일부분(A)이 동일 직선상에서 띄엄띄엄 형성되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B)이 요철(凹凸)형 절곡구조로 절개선 처리되어 상호간에 분리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제4 파트(540); 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500B)는,
    상기 제1 측면판(51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형부재이되 양측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551)가 형성되며, 하단부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를 갖는 두 개의 끼움홈(552)이 형성되고 상단부 양측부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 및 슬릿형 구조로 형성되는 두 개의 끼움홈(553)을 갖는 제1 칸막이(550);
    상기 제1 구획판(5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형부재로서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561)을 갖는 제2 칸막이(560);
    상기 제1 구획판(52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형부재로서 하단부 중앙에 슬릿형 구조의 끼움홈(571)을 갖는 제3 칸막이(57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트(510) 내지 제4 파트(540)의 접기를 통해 네 측면부와 상하 커버부를 갖는 사각박스형 몸체로 완성시킨 상자형성부(500A)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여 직립 형성 및 간격 배치되어 상자형성부(500A) 내 공간을 3칸으로 구획하되 끼움홈(524a)(544a)이 상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구획판(524) 및 제2 구획판(544) 측에 두 개의 끼움홈(552)을 이용하여 제1 칸막이(55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으로써 칸을 2배로 나누어 6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며, 제1 칸막이(550)의 어느 하나의 끼움홈(553) 측에 끼움홈(561)을 이용하여 제2 칸막이(56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하고 제1 칸막이(550)의 다른 하나의 끼움홈(553) 측에 끼움홈(571)을 이용하여 제3 칸막이(570)를 교차시켜 끼움 결합함에 의해 상자형성부(500A) 내 양측부에 위치된 칸을 각각 나누어 10칸들이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판과 제3 측면판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손잡이끈을 상자형성부에 결합하여 포장상자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끈 결합용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KR2020150008548U 2015-12-28 2015-12-28 포장상자 KR200481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48U KR200481315Y1 (ko) 2015-12-28 2015-12-28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48U KR200481315Y1 (ko) 2015-12-28 2015-12-28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15Y1 true KR200481315Y1 (ko) 2016-09-09

Family

ID=5695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548U KR200481315Y1 (ko) 2015-12-28 2015-12-28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7034A (zh) * 2017-12-05 2019-06-11 昆山仟禧多商贸有限公司 一种尺寸可调的包装盒内衬
EP3831592A1 (de) 2019-12-06 2021-06-09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ellstruktur, zellstruktur und verwendu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488U (ko) * 1975-07-12 1977-01-28
JPH0515643U (ja) * 1991-07-30 1993-02-26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オールタネータの充電回路
JPH0584457U (ja) * 1992-04-13 1993-11-16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金型装置
KR200444570Y1 (ko) * 2007-06-20 2009-05-19 김종형 간지 일체형 포장상자
KR200477581Y1 (ko) 2013-06-18 2015-06-26 덕수산업(주) 공간분할 육각형 종이상자
KR20150111466A (ko) 2014-03-25 2015-10-06 (주)국민피앤텍 선물세트용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488U (ko) * 1975-07-12 1977-01-28
JPH0515643U (ja) * 1991-07-30 1993-02-26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オールタネータの充電回路
JPH0584457U (ja) * 1992-04-13 1993-11-16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金型装置
KR200444570Y1 (ko) * 2007-06-20 2009-05-19 김종형 간지 일체형 포장상자
KR200477581Y1 (ko) 2013-06-18 2015-06-26 덕수산업(주) 공간분할 육각형 종이상자
KR20150111466A (ko) 2014-03-25 2015-10-06 (주)국민피앤텍 선물세트용 포장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7034A (zh) * 2017-12-05 2019-06-11 昆山仟禧多商贸有限公司 一种尺寸可调的包装盒内衬
EP3831592A1 (de) 2019-12-06 2021-06-09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ellstruktur, zellstruktur und verwend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315Y1 (ko) 포장상자
KR200390818Y1 (ko) 포장용 상자
KR200382008Y1 (ko) 접이식 휴대용 포장상자
JP2013049473A (ja) 簡易仕切付き紙箱
KR200253232Y1 (ko) 음식물 배달용 조립상자
JP6604285B2 (ja) トレイ
KR200390241Y1 (ko) 포장용 상자
JP7176452B2 (ja) 包装箱
JP3135318U (ja) 収納箱
JP2016116772A (ja) 仕切板
JP2006225011A (ja) 包装箱
JP2009107631A (ja) 容積可変の包装箱及び包装箱形成用の板紙
JPS5831827Y2 (ja) 容器
JP2002179054A (ja) 梱包ケース
JP2015113158A (ja) 中仕切り
KR101520822B1 (ko) 음료용기 포장용 상자
JP3216742U (ja) 仕切部材
KR200404761Y1 (ko) 선물용 병 포장상자
JP7372771B2 (ja) 包装用仕切り板
JP3164316U (ja) 緩衝材、包装物及び包装体
KR20220026553A (ko) 내용물 완충과 고정을 위한 내부 포장재 및 이의 제작모듈
KR20230000014A (ko) 앰플 포장용 상자
JPH0415623Y2 (ko)
KR200235873Y1 (ko) 과일 포장상자
RU2214352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демонстрации, рекламы, хранения и переноски предметов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