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364A -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364A
KR20120136364A KR1020127024184A KR20127024184A KR20120136364A KR 20120136364 A KR20120136364 A KR 20120136364A KR 1020127024184 A KR1020127024184 A KR 1020127024184A KR 20127024184 A KR20127024184 A KR 20127024184A KR 20120136364 A KR20120136364 A KR 2012013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opening
drive
drive membe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하루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 G03B35/04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with movement of beam-selecting members in a system defining two or more view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6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incorporating cover blade or bla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개구를 가진 기판과, 제1 슬롯, 상기 개구보다 작은 제1 및 제2 조임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1 개구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제1 블레이드와, 제2 슬롯을 가지고, 상기 개구에 진퇴 가능한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슬롯에 계합하여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구동 핀을 가진 제1 구동 부재와, 상기 제2 슬롯에 계합하여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구동 핀을 가진 제2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임 개구의 쌍방이 상기 개구와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 핀이 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조임 개구만을 차폐한 위치와 상기 제2 조임 개구만을 차폐한 위치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Description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BLADE DRIVE DEVICE AND OPTICAL EQUIPMENT}
본 발명은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입체 화상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이 카메라에는 우목(右目)용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렌즈 및 촬상 소자와 좌목(左目)용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렌즈 및 촬상 소자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533735호 공보
그렇지만, 입체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입체 화상의 촬영용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개구를 가진 기판과, 제1 슬롯(slot), 상기 개구보다 작은 제1 및 제2 조임 개구(aperture opening)를 가지고, 상기 제1 개구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제1 블레이드와, 제2 슬롯을 가지고, 상기 개구에 진퇴 가능한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슬롯에 계합하여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구동 핀을 가진 제1 구동 부재와, 상기 제2 슬롯에 계합하여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구동 핀을 가진 제2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임 개구의 쌍방이 상기 개구와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 핀이 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조임 개구만을 차폐한 위치와 상기 제2 조임 개구만을 차폐한 위치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의 왕복 이동은 제2 구동 핀이 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실행된다. 이 때문에 제2 블레이드는 왕복 이동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 제2 블레이드는 왕복 이동에 수반하는 작동음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입체 영상의 촬영에 적절한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구비한 광학 기기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화상의 촬영용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제2 블레이드가 제2 조임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 구동 부재를 정지시켜 제1 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경우의 도이다.
도 5a~도 5c는 제1 블레이드의 잠금(lock)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1~도 3은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1)의 설명도이다. 블레이드 구동 장치(1)는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 채용되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이다. 블레이드 구동 장치(1)는 기판(10),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 제1 구동 부재(40), 제2 구동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10)에는 개구(12)가 설치되어 있다. 피사체측의 광은 개구(12)를 통과하여 카메라측에 설치된 CCD나 CMOS 센서 등의 촬상 소자에 입사한다. 이에 의해 촬상 소자에 결상된다. 도 1은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가 개구(12)로부터 퇴피한 퇴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개구(12)가 전개(全開) 상태에 있다. 도 2, 도 3은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가 개구(12)를 폐쇄한 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는 기판(10)의 일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부재(40), 제2 구동 부재(50)는 기판(10)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부재(40), 제2 구동 부재(50)는 각각 미도시의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하여 회전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기판(10)을 나타내는 4각형 모양에 대해 개구(12), 축(11), 제1 구동 부재(40)의 축(41), 제2 구동 부재(50)의 축(51), 스토퍼(14)의 위치가 도마다 어긋나 있지만 이들의 위치 관계는 고정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20)는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의 2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는 동일한 크기이다.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의 각각의 크기는 개구(12)보다 작다. 제1 블레이드(20)는 기판(10)의 축(1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11)은 반드시 개구(12)가 형성된 기판(10)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개구(12)에 대해서 정위치에 설치하면 좋다. 제2 블레이드(30)는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연결 부재(21)에 의하여 제1 블레이드(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판(10)에는 스토퍼(14)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14)는 기판(10)의 제1 구동 부재(40)가 설치된 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토퍼(14)에 의하여 제1 구동 부재(40)의 회전을 규제하여 제1 블레이드(20)를 위치 결정하는 예를 들었지만, 도 2에 나타내듯이, 제1 블레이드(20)에 맞닿는 스토퍼(14′)를 추가하여 제1 블레이드(20)를 위치 결정해도 좋다. 스토퍼(14) 및 스토퍼(14′)는 모두 제1 블레이드(20)가 개구(12)로부터 퇴피한 퇴피 상태로부터 폐쇄한 폐쇄 상태로 이행 시키는 폐쇄 상태측의 회전을 억제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블레이드(20)에 맞닿는 스토퍼(14′)만을 이용하여 제1 블레이드(20)의 폐쇄 상태측의 회전을 억제해도 좋다.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에는 각각 제1 슬롯(25), 제2 슬롯(3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동 부재(40), 제2 구동 부재(50)는 각각 제1 구동 핀(45), 제2 구동 핀(55)을 가지고 있다. 제1 구동 핀(45), 제2 구동 핀(55)은 각각 제1 슬롯(25), 제2 슬롯(35)이 계합하고 있다. 제1 구동 부재(40)는 레버 모양이고, 제2 구동 부재(50)는 원판 모양이지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구동 핀(45), 제2 구동 핀(55)은 모두 기판(10)에 대한 소정의 위치, 즉 각각의 축(41)과 축(5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기판(10)에는 제1 구동 핀(45), 제2 구동 핀(55)의 이동을 놓아주기 위한 미도시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롯(25)은 2개의 직선 모양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2 슬롯(35)은 원호 형상이다.
제1 구동 부재(40), 제2 구동 부재(50)는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액츄에이터는 주방향(周方向)으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된 회전자와, 회전자와의 사이에 자기적 흡인력 및 반발력이 작용하는 고정자와, 고정자를 여자하기 위한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각 회전자는, 예를 들면 각 회전자의 회전축을 통해, 제1 구동 부재(40), 제2 구동 부재(50)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회전자의 회전 이동력이 제1 구동 부재(40), 제2 구동 부재(50)에 전달된다.
도 1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제2 블레이드(30)는 제1 블레이드(20)의 제1 조임 개구(22)를 폐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스토퍼(14)에 맞닿을 때까지 제1 구동 부재(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듯이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가 개구(12)를 폐쇄한다. 이 때에 제2 블레이드(30)는 연결 부재(21)에 의하여 제1 블레이드(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블레이드(30)는 제1 블레이드(20)와 함께 개구(12)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 이 때에 제2 구동 부재(50)는 정지한 상태에 있다. 여기서, 도 1, 도 2에 나타내듯이, 제2 슬롯(35)의 원호 형상의 중심과 제1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인 축(11)의 위치는 대략 일치하고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제2 구동 부재(50)에 연결된 회전자는 무통전으로 정지하고 있다. 즉, 무통전으로 정지하고 있는 회전자의 위치는 제2 슬롯(35)의 원호 형상의 중심과 제1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이 일치한 상태에서의 제2 슬롯(35)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구동 부재(40)를 구동함으로써 제2 블레이드(30)는 제1 블레이드(2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제1 블레이드(20)와 함께 축(11)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전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구동 부재(50)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는 무통전으로 회전자가 정지 가능한 스텝 모터(step motor)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자의 주방향으로 착자된 복수의 다른 극성과 고정자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보유 토크(torque)에 의해 회전자는 무통전 상태로 소정의 위치에 정지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퇴피 상태로부터 제1 구동 부재(40)만이 구동하여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가 이동한 경우라도 제2 구동 부재(50)는 구동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1 블레이드(20)와 함께 제2 블레이드(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구동 핀(55)은 제2 슬롯(35) 내를 상대 이동한다. 또, 도 1, 도 2에 나타내듯이, 제2 블레이드(30)는 제1 블레이드(20)의 제2 조임 개구(24)로부터 퇴피하여 제1 조임 개구(22)를 폐쇄하고 있다. 제2 블레이드(30)는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퇴피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듯이,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개구(12) 내에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의 쌍방이 완전하게 겹치고 있다. 그리고, 개구(12)의 중심(121)을 통과하는 직선 lx상에서 중심(121)에 관해서 좌우 대칭인 위치에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 각각의 중심(221)과 중심(241)이 늘어서 있다. 이 때에 직선 lx와 직교하고 중심(121)을 통과하는 직선 ly상에 축(11)과 연결 부재(21)가 늘어선다. 환언하면, 개구(12),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의 각각의 크기나,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의 위치 관계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 제2 블레이드(30)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제2 구동 부재(50)가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구동 핀(55)은 제2 슬롯(35) 내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블레이드(30)는 연결 부재(21)를 지점으로 하여 소정 범위를 왕복한다. 환언하면, 제2 블레이드(30)는 연결 부재(21)를 지점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를 요동한다. 이에 의해 도 2, 도 3에 나타내듯이, 제2 블레이드(30)는,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를 교대로 차폐하도록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의 사이를 왕복 움직인다. 이에 의해 제1 조임 개구(22)를 통과하여 촬상 소자에 입사하는 광과 제2 조임 개구(24)를 통과하여 촬상 소자에 입사하는 광을 교대로 전환할 수가 있다. 따라서, 교대로 2개의 다른 시점에 기초한 2종류의 상을 결상할 수가 있다. 이 2종류의 화상에 기초하여 입체 화상을 형성할 수가 있다.
제2 구동 부재(50)는 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블레이드(30)는 소정 범위를 왕복 이동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제2 구동 부재(50)의 회전 방향을 교대로 전환함으로써 제2 블레이드(30)를 왕복 이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속으로 제2 블레이드(30)를 왕복 운동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시점이 다른 화상을 교대로 높은 프레임 비율(frame rate)로 촬영할 수가 있다.
또, 제2 블레이드(30)를 왕복 이동시키는 경우는, 제2 블레이드(3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에 맞닿는 작동음이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구동 부재(50)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블레이드(3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설치하는 일 없이 제2 블레이드(30)를 위치 결정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2 블레이드(30)의 작동음을 없애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를 교대로 차폐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시점이 다른 화상을 동작음을 억제하여 교대로 높은 프레임 비율(frame rate)로 촬영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2 블레이드(30)와 제1 블레이드(20)를 연결시키지 않고 제2 블레이드(30)를 구동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블레이드(30)는 개구(12)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와, 제1 블레이드(20)가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 조임 개구(22)를 폐쇄하는 제1 폐쇄 위치와, 제1 블레이드(20)가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 조임 개구(24)를 폐쇄하는 제2 폐쇄 위치의 사이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제2 구동 부재(50)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제2 블레이드(30)를 3개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2 블레이드(30)는 퇴피 위치, 제1 폐쇄 위치, 제2 폐쇄 위치의 순으로 교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블레이드(30)는 일단 퇴피 위치로 이동하여 재차 제1 및 제2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블레이드(30)의 이동 거리가 커져 고속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제2 블레이드(30)는 반드시 퇴피 위치를 통과하게 되어 높은 프레임 비율(frame rate)로 다른 시점의 화상을 취득할 수가 없다. 또, 이 경우에 제2 블레이드(30)가 일단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의 쌍방이 열린 상태로 되기 때문에 촬영 화상에도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상술한 것처럼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가 연결되어 있고, 제2 블레이드(30)는 제1 구동 부재(40)의 구동에 의하여 제1 블레이드(20)와 함께 개구(12)로부터 퇴피한 퇴피 상태로부터 개구(12)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로 이행한다. 이 때문에 제2 블레이드(30)는 제2 구동 부재(50)의 구동에 의하여 제1 조임 개구(22)를 폐쇄하는 위치와 제2 조임 개구(24)를 폐쇄하는 위치를 왕복 운동하므로 2개의 시점이 다른 화상을 교대로 높은 프레임 비율(frame rate)로 촬영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1)는 예를 들면 카메라측에 설치된 단일의 렌즈보다도 피사체측에 배치된다. 제1 조임 개구(22), 제2 조임 개구(24)가 교대로 폐쇄됨으로써 렌즈로의 입사 위치가 다른 광이 교대로 입사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술한 특허 제453373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카메라와 같이 우목용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렌즈 및 촬상 소자와 좌목용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렌즈와 단일의 촬상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에 대해서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채용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일반적인 카메라로도 입체 화상을 촬영할 수가 있다.
또한, 도 3의 상태로부터 퇴피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제2 블레이드(30)가 제1 조임 개구(22)를 폐쇄한 상태(도 2의 상태)에서 제2 구동 부재(50)를 정지시키고 나서, 제1 구동 부재(40)를 구동하여 퇴피 상태로 이행시킬 필요가 있다. 도 4는 제2 블레이드(30)가 제2 조임 개구(24)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 구동 부재(50)를 정지시켜 제1 구동 부재(40)를 구동하는 경우의 도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제2 블레이드(30)가 제2 조임 개구(2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2 슬롯(35)을 따른 가상원 C1의 중심의 위치와 제1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인 축(11)의 위치가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 제1 구동 부재(40)가 구동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듯이, 제2 블레이드(30)가 회전하여 제2 구동 부재(50)가 회전시켜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구동 부재(50)의 구동원으로서 무통전으로 회전자를 정지 가능한 스텝 모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제2 구동 부재(50)의 구동원의 보유력이 제1 구동 부재(40)의 구동의 저항으로 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제2 블레이드(30)의 일부가 개구(12)와 겹쳐져 있다. 이 때문에 개구(12)를 전개(全開)로 한 상태에서의 촬영 화상에도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1)에서는 제2 블레이드(30)가 제1 조임 개구(22)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2 구동 부재(50)를 정지시키고 나서 제1 구동 부재(40)를 구동함으로써 퇴피 상태로 복귀한다.
예를 들면, 제2 구동 부재(50)의 제2 구동 핀(55)이 도 1, 도 2에 나타낸 위치에서 정지한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이 센서로부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측의 제어 회로에 의하여 제2 구동 부재(50)의 구동의 가부를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센서는 예를 들면 제2 구동 부재(50)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의 회전자의 정지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 센서 등이다. 자기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홀(hall) 센서이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듯이, 제2 구동 부재(50)의 소정 위치에 반사판(52)을 설치하고, 반사판(5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반사형 포토 센서(53)를 설치하여 제2 구동 부재(50)의 위치를 검출하는 등을 해도 좋다. 또, 반사판(52)에 대신하여 투공을 설치하고, 상기 반사형 포토 센서에 대신하여 상기 투공을 통해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하도록 설치된 투과형 포토(photo) 센서를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제1 블레이드(20)의 잠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 도 5c는 제1 블레이드(20)의 잠금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5a~ 도 5c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모두 실선으로 그리고 있다. 도 5a는 제1 블레이드(2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제1 구동 핀(45) 주변의 확대도이다. 제1 블레이드(20)가 개구(12)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구동 핀(45)이 맞닿는 제1 슬롯(25)의 가장자리(edge) R2E에 수직인 수선 H는 제1 구동 부재(40)의 회전 중심 C를 통과하고 있다.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제1 블레이드(20)에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 제1 구동 핀(45)은 수선 H의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렇지만, 수선 H는 제1 구동 부재(40)의 회전 중심 C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제1 구동 부재(40)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블레이드(20)는 폐쇄 위치에서 잠긴다. 이에 의해 폐쇄 위치로부터의 제1 블레이드(20)의 의도하지 않은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5b는 제1 구동 부재(40)의 회전 중심 C가 수선 H를 통해 스토퍼(14b)와는 역측에 배치되고, 제1 블레이드(20)가 잠겨 있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이 경우에 수선 H는 제1 구동 부재(40)의 회전 중심 C를 통과하고 있지 않다. 수선 H는 제1 구동 부재(40)에 대해서 시계방향 CD로 회전하려고 하는 방향, 환언하면 제1 블레이드(20)를 퇴피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20)에 시계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제1 구동 부재(40)에 대해서는 수선 H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제1 구동 부재(40)는 시계방향 CD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스토퍼(14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구동 부재(40)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제1 블레이드(20)와 맞닿는 스토퍼(14b′)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제1 구동 부재(40)에 대해서는 수선 H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제1 구동 부재(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제1 블레이드(20)의 폐쇄 상태측의 회전은 억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블레이드(20)는 폐쇄 위치에서 잠기고, 폐쇄 위치로부터의 제1 블레이드(20)의 의도하지 않은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5c는 제1 구동 부재(40)의 회전 중심 C와 스토퍼(14c)가 수선 H에 대해서 동일측에 배치되고, 제1 블레이드(20)가 잠기지 않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이 경우에 제1 블레이드(20)에 시계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 수선 H는 제1 구동 부재(40)에 대해서 반시계방향 CWD로 회전하려고 하는 방향, 환언하면 제1 블레이드(20)를 폐쇄 상태에서부터 퇴피 상태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구동 부재(40)가 스토퍼(14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 있어서는 폐쇄 위치로부터 제1 블레이드(20)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 블레이드(20)는 잠글 수 없다.
또한, 제1 슬롯(25)은 2개의 직선 모양의 영역 R1, R2로 구성된다. 영역 R1, R2는 서로 뻗어 있는 방향이 다르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퇴피 상태에 있어서는 제1 구동 핀(45)은 영역 R1과 영역 R2의 경계 부근에 위치한다. 도 1에 나타낸 퇴피 상태로부터 제1 구동 부재(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구동 핀(45)은 영역 R1과 영역 R2의 경계 부근에서 영역 R1측의 단부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1 구동 부재(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블레이드(20)가 도 2에 나타낸 폐쇄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제1 구동 핀(45)은 영역 R1로부터 영역 R2측을 향해 이동한다. 제1 블레이드(2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제1 구동 핀(45)은 영역 R1를 벗어나 영역 R2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영역 R1은 주로 제1 블레이드(20)를 퇴피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영역 R2는 주로 제1 블레이드(20)를 폐쇄 위치에서 잠그기 위해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슬롯(25)이 2개의 직선 모양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예를 들었지만 원호 형상이나 캠 곡선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이들의 조합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다음에, 연결 부재(21)의 구조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의 단면도이다. 연결 부재(21)는 상단 혹은 하단이 코킹(caulking)된 핀 모양의 부재이다. 이에 의해 제1 블레이드(20), 제2 블레이드(3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20)와 제2 블레이드(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부품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5)

  1. 개구를 가진 기판과,
    제1 슬롯, 상기 개구보다 작은 제1 및 제2 조임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1 개구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제1 블레이드와,
    제2 슬롯을 가지고, 상기 개구에 진퇴 가능한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슬롯에 계합하여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구동 핀을 가진 제1 구동 부재와,
    상기 제2 슬롯에 계합하여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구동 핀을 가진 제2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임 개구의 쌍방이 상기 개구와 겹쳐진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 핀이 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조임 개구만을 차폐한 위치와 상기 제2 조임 개구만을 차폐한 위치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 핀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와 함께 상기 개구에 진퇴 이동하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 부재를 상기 폐쇄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회전 불능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 부재의 회전 중심은 상기 제1 구동 핀에 맞닿아 있는 상기 계합 슬롯의 내연(內緣)의 수선 상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수선은 상기 제1 구동 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를 상기 개구로부터 퇴피한 퇴피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방향으로 되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무통전으로 소정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고 상기 제2 구동 부재에 연결된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롯은,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과 상기 원호의 중심이 일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회전자가 무통전으로 정지하고 있을 때의 상기 제2 구동 핀의 위치는 상기 제2 슬롯 내에 위치하고, 이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를 상기 개구로부터 퇴피시키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5. 제1항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구비한 광학 기기.
KR1020127024184A 2010-12-22 2011-09-14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KR20120136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6668A JP5383639B2 (ja) 2010-12-22 2010-12-22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JP-P-2010-286668 2010-12-22
PCT/JP2011/070999 WO2012086274A1 (ja) 2010-12-22 2011-09-14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364A true KR20120136364A (ko) 2012-12-18

Family

ID=4631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184A KR20120136364A (ko) 2010-12-22 2011-09-14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37030B2 (ko)
JP (1) JP5383639B2 (ko)
KR (1) KR20120136364A (ko)
CN (1) CN102934022B (ko)
TW (1) TW201229654A (ko)
WO (1) WO2012086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5989B2 (ja) * 2011-09-30 2015-07-2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装置用羽根駆動装置
JP6265988B2 (ja) * 2013-07-04 2018-01-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CN111602089B (zh) * 2017-12-13 2022-01-04 艾斯科技公司 具有形状记忆合金元件的可变虹膜装置
CN215420445U (zh) 2021-06-09 2022-01-04 深圳市新增彩创意电子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镜头遮挡结构及摄像头
WO2023077380A1 (zh) * 2021-11-04 2023-05-1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快门机构、曝光单元、镜头及影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134A (ja) * 1987-12-11 1989-06-16 Canon Inc 絞り制御装置
JPH10319310A (ja) * 1997-05-16 1998-12-04 Canon Inc 自動焦点調節装置
JP4533735B2 (ja) 2004-12-07 2010-09-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撮影装置
JP4833129B2 (ja) * 2007-03-28 2011-12-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5046304B2 (ja) * 2008-06-19 2012-10-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調節装置
JP2010164803A (ja) * 2009-01-16 2010-07-29 Olympus Corp 光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3225A (ja) 2012-07-12
CN102934022B (zh) 2015-05-20
US20130003156A1 (en) 2013-01-03
CN102934022A (zh) 2013-02-13
US8837030B2 (en) 2014-09-16
TW201229654A (en) 2012-07-16
JP5383639B2 (ja) 2014-01-08
WO2012086274A1 (ja)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8727B2 (en) Optical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20120136364A (ko)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KR20070100116A (ko) 렌즈 배럴 및 촬상 장치
TW200923564A (en) Blade actuating apparatus for optical instruments
JP2010032975A (ja)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0204200A (ja) カメラ用絞り装置
JP6120509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および撮像装置
JP2008076581A (ja) レンズ鏡胴および撮像装置
JP6004854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9606421B2 (en) Focal-plane shutter and optical device
JP4328151B2 (ja) 光学機器用シャッタ及びこれを含む光学機器
JP2007264356A (ja) 沈胴式カメラのレンズ鏡胴
JP2014059371A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14059348A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20150198862A1 (en) Optical apparatus equipped with barrier mechanism
JP4549125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4740572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WO2023032808A1 (ja) 撮像装置
JP6683516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撮像装置
JP2011039181A (ja) 光学装置
JP2010122518A (ja) 光学機構
JP5278062B2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2006258832A (ja) シャッター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1033818A (ja) バリアユニット、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5448398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