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021A -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021A
KR20120135021A KR1020120024662A KR20120024662A KR20120135021A KR 20120135021 A KR20120135021 A KR 20120135021A KR 1020120024662 A KR1020120024662 A KR 1020120024662A KR 20120024662 A KR20120024662 A KR 20120024662A KR 20120135021 A KR20120135021 A KR 2012013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presenter
sensor
unit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918B1 (ko
Inventor
마사히로 츠치야
데츠히로 이시카와
스미오 와타나베
마사루 기하라
유키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245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25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26263A external-priority patent/JP5806580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with means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ap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5Restoring form
    • B65H2301/51256Removing waviness or curl,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젠터 유닛이 착탈 가능한 프린터 장치 및 기록지의 반송 등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상기 기록지를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과, 상기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를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상기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와, 상기 기록지를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을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베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PRINT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ER APPARATUS}
본 발명은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는 상점 등의 레지스터, 은행 등의 ATM(Automated Teller Machine)이나 CD(Cash dispenser) 등의 용도로 폭넓게 이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는 기록지가 되는 감열지가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고, 기록지를 반송하면서 서멀 헤드 등으로 기록지에 인자(印字) 등을 실시하여, 소정의 길이까지 기록지를 반송한 후 커터로 소정의 길이로 기록지를 절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에서는 인자하고 있는 도중이나 커터로 기록지를 커팅하고 있는 도중에 기록지가 인출되는 일이 없도록 프리젠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프리젠터를 형성함으로써 인자가 종료된 기록지가 프리젠터 내에 들어가 커팅된 후 프리젠터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와 같은 프리젠터에는 프리젠터로서의 기능 외에, 배출된 기록지, 즉 인자된 영수증 등을 뽑는 것을 잊은 경우에 타인이 영수증 등을 가져가는 일이 없도록 하는 리트랙터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도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019845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7-130842호
그런데, 전술한 프리젠터에는 여러 방식의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기록지가 배출되는 배출구에서 기록지의 선단 부분을 정지시킨 상태로 기록지를 반송함으로써 배출구의 바로 앞에서 기록지가 휘어지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기록지가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불안정하므로, 프리젠터 내의 여러 부분과 접촉하여 기록지가 더러워지거나, 휘거나, 손상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인쇄 후의 기록지를 권취 부재 등에 감은 후, 커터로 커팅하고 배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에서는 권취 부재가 기구적으로 복잡해지는 경우나 대형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록지로서 사용되는 롤지는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어 중심 부분과 외측 부분은 기록지에 가해지는 컬(curl)의 정도가 상이하고, 롤지의 중심 부분에서는 강한 컬이 가해져 있으므로 배출된 영수증 등에 컬이 남아버린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프린터 장치에 의해 인자를 행하는 경우에는 프리젠터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용도마다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나아가 프리젠터의 소형화 등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프리젠터가 탈착 가능하고 소형이면서 기록지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롤지에 컬이 남기 어려운 구조의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영수증 등의 기록지의 반송 등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상기 기록지를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과, 상기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를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베젤을 통하여 상기 커터부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베젤과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복수의 반송기어와 상기 반송기어 사이에 장착된 반송벨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송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반송벨트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기록지는 상기 롤형상으로 감겨진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반송벨트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상기 베젤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베젤과 상기 반송벨트의 사이 중, 한쪽에 프리젠터 입구부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프리젠터 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록지는 상기 프리젠터 입구부에서 상기 반송벨트에 감겨져 프리젠터 출구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은 상기 커터부에서 상기 기록지가 진입하는 진입구부와, 상기 기록지가 꺼내지는 배출구부와, 상기 기록지가 꺼내지지 않은 경우에 배출되는 다른 배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터부에서 절단된 기록지는 상기 프리젠터 유닛에 의해 상기 베젤의 상기 배출구에서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된 기록지를 역방향으로 반송하고, 상기 다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리트랙트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입구부와 상기 배출구부는 대략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진입구부와 상기 배출구부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다른 배출구부는 상기 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상기 진입구부와 상기 배출구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이 접속되는 접속부분에는 2개의 개구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상기 회전문의 선단 부분은 예각형상 또는 중첩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상기 개구문의 선단 부분이 다른 한쪽의 상기 회전문의 선단 부분에 대하여 빠르게 닫히는 차동기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상기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와, 상기 기록지를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을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베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에는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서 상기 기록지가 진입하는 진입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입구부에서 상기 베젤 내에 진입한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1 센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상기 베젤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기록지가 상기 프리젠터 유닛으로 들어가는 프리젠터 입구부와, 상기 기록지가 상기 프리젠터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프리젠터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젠터 유닛으로 들어가는 상기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2 센서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상기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상기 베젤에 상기 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은 상기 기록지가 꺼내지는 배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구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4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록지가 꺼내지지 않은 경우에 배출되는 다른 배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배출구부에서 상기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된 상기 기록지를 역방향으로 반송하고, 상기 다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리트랙트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다른 배출구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5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상기 제3 센서, 상기 제4 센서 및 상기 제5 센서 중 1 또는 2 이상은 광학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상기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와, 상기 기록지를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을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베젤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젤에는 상기 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는 1 또는 2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 형성된 제1 모터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에 형성된 제2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상기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와, 상기 기록지를 소정의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을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베젤을 갖는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에서 절단된 상기 기록지는 상기 프리젠터 유닛에 의해 상기 베젤에 형성된 배출구에서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기록지가 상기 프리젠터 유닛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상기 베젤에 형성된 다른 배출구부에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프리젠터가 탈착 가능하고 소형이면서 기록지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롤지에 컬이 남기 어려운 구조의 프린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영수증 등의 기록지의 반송 등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의 사시도(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의 사시도(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된 상태)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의 구조도(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된 상태)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리젠터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리젠터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6은 기록지의 컬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리젠터 유닛에 의한 리컬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리젠터 유닛의 장착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젤에 형성된 개구문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젤에 형성된 개구문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젤에 형성된 다른 개구문의 설명도(1)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젤에 형성된 다른 개구문의 설명도(2)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의 제어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프린터 장치의 구조도(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된 상태)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의 제어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1)이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2)이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3)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4)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5)이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6)이다.
도 2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7)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프린터 장치의 구조)
먼저, 도 1 및 도 2에 근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의 구조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는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10)에 문자 등을 인자하는 인자부(20)와, 인자된 기록지(10)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순히 기록지에 인자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구성으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젠터 기능 및 리트랙트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프리젠터 유닛(40)이 형성되어 있고, 기록지(10)가 배출되는 부분에 형성된 베젤(50)을 통하여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프린터 본체부(100)는 인자부(20) 및 커터부(30)를 구비하는 것으로, 프리젠터 유닛(40)은 프린터 본체부(100)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것이 프린터 본체부(100)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프리젠터 유닛(40)이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프리젠터 기능, 리트랙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10)는, 예를 들어, 완충기구부(71)를 통하여 인자부(20)로 들어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인자부(20), 커터부(30), 프리젠터 유닛(40) 및 베젤(50) 등의 제어는 제어회로가 형성된 제어회로부(72)에 의해 행해진다.
인자부(20)에는 기록지(10)를 반송(종이 이송)하기 위한 제1 모터(21)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모터(21)의 회전이 플라텐롤러(22)로 전달되어 플라텐롤러(22)가 회전함으로써 기록지(10)가 반송된다. 또한, 인자부(20)에는 서멀 헤드(23)가 형성되어 있고, 서멀 헤드(23)에 있어서 인자정보에 대응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반송되는 기록지(10)에 인자가 이루어진다. 인자된 기록지(10)는 플라텐롤러(22)가 회전함으로써, 인자부(20)로부터 커터부(30)를 통과하고, 그 후, 베젤(50)을 통하여 프리젠터 유닛(40)으로 들어간다.
커터부(30)에는 가동날(31)과 고정날(32)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날(31)이 하방향으로 가동함으로써 고정날(32)과 가동날(31)에 의해 기록지(10)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프리젠터 유닛(40)은 복수의 반송기어(41)와, 2개의 반송기어(41)에 장착된 반송벨트(42)를 구비하고 있고, 반송기어(41)가 회전함으로써, 반송벨트(42)가 이동하며 반송벨트(42)에 의해 기록지(10)가 반송된다. 도 3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반송기어(41)가 4개 형성되어 있고 각각 2개의 반송기어(41)에는 반송벨트(42)가 장착되며, 이렇게 반송벨트(42)가 장착된 것이 2조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반송기어(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젠터 유닛(40)에 형성된 회전구동 모듈부(43)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구동 모듈부(43)에는 제2 모터(44)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모터(44)의 회전은 회전부(45)를 통하여 제1 전달기어(46)로 전달되며, 나아가 제1 전달기어(46)와 서로 맞물린 제2 전달기어(47)로 전달된다. 이로써, 제2 전달기어(47)의 회전이 도 3에 나타낸 반송기어(41)로 전달되어 반송벨트(42)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회전부(45)에는 제1 전달기어(46)에 대응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45)의 홈과 제1 전달기어(46)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50)에는, 커터부(30)로부터 기록지(10)가 진입하는 진입구부(51)와, 리트랙트된 기록지(10)가 배출되는 배출구부(52)와, 커팅된 기록지(10)가 통상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구부(53)와, 프리젠터 유닛(40)에 기록지(10)가 진입하는 부분의 프리젠터 입구부(54)와, 프리젠터 유닛(40)으로부터 기록지(10)가 나오는 부분의 프리젠터 출구부(55)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젤(50)에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커터부(30)로부터 진입구부(51)에서 진입한 기록지(10)가 배출구부(53)로 배출되도록, 진입구부(51)와 배출구부(53)는 대략 직선상 또는 직선에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리젠터 입구부(54) 및 프리젠터 출구부(55)는 베젤(50)의 소정의 부분에 프리젠터 유닛(40)을 꽂음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베젤(50)에는 진입구부(51)에 진입한 기록지(10)를 검출하는 제1 센서(S1), 프리젠터 입구부(54)에 진입한 기록지(10)를 검출하는 제2 센서(S2), 프리젠터 출구부(55)에 있어서 기록지(10)를 검출하는 제3 센서(S3), 배출구부(53)에 진입한 기록지(10)를 검출하는 제4 센서(S4), 배출구부(52)에 진입한 기록지(10)를 검출하는 제5 센서(S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제2 센서(S2) 및 제3 센서(S3)에 의해, 베젤(50)에 프리젠터 유닛(40)이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 프리젠터 유닛(40)의 동작]
다음으로, 도 5에 근거하여 프리젠터 유닛(4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프리젠터 유닛(40)은 각각의 반송기어(41)에 장착된 반송벨트(42)가 3조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벨트(42)가 2조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고, 또한 1조나 4조 이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부(20)에서 인자된 기록지(10)는 커터부(30)를 통과한 후, 진입구부(51)로부터 베젤(50)로 들어가고, 나아가, 프리젠터 입구부(54)로부터 프리젠터 유닛(40)으로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는,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은 반송기어(41)가 회전함으로써 기록지(10)는 반송벨트(42)에 의해 반송된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벨트(42)에 의해 기록지(10)는 소정의 길이만큼 반송된 후, 커터부(30)에서 가동날(31)과 고정날(32)에 의해 절단된다.
다음으로,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는 더 반송되어 프리젠터 출구부(55)를 통과하여 배출구부(53)를 향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기록지(10)의 반송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기록지(10)는 절단되어 있으므로, 배출구부(53)에서 사람이 잡아당김으로써.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를 꺼낼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나타낸 상태는 일정시간 유지되지만,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는 기록지(10)를 받아야 할 사람이 기록지(10)를 뽑는 것을 잊어버린 것 등으로 판단되므로, 타인이 인자 등이 된 기록지(10)가 뽑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트랙트 동작을 개시한다. 이 리트랙트 동작은 반송기어(41)를 역회전시켜 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5의 (a)∼(c)의 반송동작과는 역방향으로 반송벨트(42)에 의해 기록지(10)를 반송한다. 이로써, 도 5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는 반송벨트(42)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되고, 프리젠터 입구부(54)를 통하여 배출구부(52)에서 배출된다.
[기록지(10)의 리컬 ]
다음으로, 프리젠터 유닛(40)에 있어서의 기록지(10)의 리컬(re-curl)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프리젠터 유닛(40)의 롤형상 기록지(10)의 컬과 반대방향으로 굽혀 리컬을 하여 기록지(10)의 컬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이를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겨진 기록지(10)의 최초 부분에서는 곡률반경이 크므로 배출된 기록지(10)의 컬은 약하지만,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겨진 기록지(10)의 마지막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곡률반경이 작아져, 배출된 기록지(10)의 컬은 강하고 기록지(10)는 둥글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기록지(10)의 컬은,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에 인자 등을 할 때에 서멀 헤드(23)와 플라텐롤러(22)의 사이를 통과하여도 리컬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의 컬과 반대방향으로 굽힘에 의해 리컬을 행한다. 즉,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리젠터 유닛(40)에 기록지(10)가 들어감으로써, 최초의 반송기어(41a)에서 반송벨트(42)를 통하여, 기록지(10)는 컬되어 있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90도 굽혀진다. 또한, 일점쇄선(7A)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반송기어(41a)에서 기록지(10)의 컬 방향과 역방향의 리컬 방향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 후, 반송기어(41b)에서 반송벨트(42)를 통하여 기록지(10)는 컬되어 있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180도 굽혀진다. 또한, 일점쇄선(7B)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반송기어(41b)에서 기록지(10)의 컬 방향과 역방향의 리컬 방향을 설명하는 것이다. 나아가,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는 반송기어(41a)에 있어서 반송벨트(42)를 통하여, 기록지(10)는 컬되어 있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90도 굽혀져 배출된다. 또한, 일점쇄선(7C)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반송기어(41a)에서 기록지(10)의 컬 방향과 역방향의 리컬 방향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리젠터 유닛(40)에 있어서, 기록지(10)는 컬 방향과 역방향으로 총 360도 리컬되므로 기록지(10)의 컬을 약하게 할 수 있어 둥글게 되지 않고 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형상의 기록지(10)의 컬 방향과 역방향으로 리컬되므로, 다시 말해 기록지(10)의 인자면측이 반송벨트(42)를 따라 리컬되므로, 기록지(10)는 둥글게 되지 않고 배출된다.
[ 프리젠터 유닛(40)의 접속방법]
다음으로, 베젤(50)과 프리젠터 유닛(40)의 접속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베젤(50)에 프리젠터 유닛(40)을 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베젤(50)에 프리젠터 유닛(40)을 접속(장착)함으로써 프리젠터 유닛(40)에 있어서 프리젠터 기능 및 리트랙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50)은 프리젠터 유닛(40)이 접속되는 접속부(60)를 구비하고 있고, 접속부(60)에는 프리젠터 유닛(4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폐쇄되고 프리젠터 유닛(40)을 접속함으로써 개방되는 개구문(61 및 6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젠터 유닛(40)이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록지(10)가 통과하는 부분에 먼지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베젤(50)에 있어서의 개구문(61 및 62)은 닫혀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50)의 접속부(60)에 프리젠터 유닛(40)을 접속한 때에, 개구문(61 및 62)은 프리젠터 유닛(40)의 반송기어(41a)에 의해 반송벨트(42)를 통하여 압압되어 열린다. 이로써, 프리젠터 유닛(40)은 베젤(50)의 소정의 위치에 접속되고, 프리젠터 유닛(40)과 베젤(50)에 의해 프리젠터 입구부(54) 및 프리젠터 출구부(55)가 형성된다. 또한, 베젤(50)에서 프리젠터 유닛(40)을 떼어내면 개구문(61 및 62)은 도시 생략된 스프링 등에 의해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닫힌다.
그런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50)에 설치된 개구문(61 및 62)은 티끌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선단 부분(61a 및 62a)이 비스듬히 절단되거나 또는 중첩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젤(50)에 있어서, 개구문(61)의 선단 부분(61a)은 프리젠터 유닛(40)에 가까운 외측이 예를 들어 예각으로 되어 있고, 개구문(62)의 선단 부분(62a)은 프리젠터 유닛(40)에서 떨어진 내측이 예를 들어 예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문(61)의 길이[개구문(61)의 회전축으로부터 선단 부분(61a)까지의 길이, L1]은 개구문(62)의 길이]개구문(62)의 회전축으로부터 선단 부분(62a)까지의 길이, L2]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개구문(62)이 개구문(61)보다도 빨리 닫혀 버리면 선단 부분(61a)과 선단 부분(62a)이 충돌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닫히지 않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개폐의 시퀀스를 실현함에 있어서는 문위치의 오프셋이나 스프링력의 차이에 의한 차동구동 방식 등을 들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도 9에서는 반송벨트(42)는 생략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50)에 프리젠터 유닛(40)을 장착할 때에는 개구문(61 및 62)은 반송기어(41a)에 의해 압압되어 열린다. 다시 말해, 베젤(50)에 프리젠터 유닛(40)을 접속할 때에는, 반송기어(41a)는 도 10에 있어서 (a), (b), (c)의 순서대로 이동하고, 개구문(61 및 62)을 개방한다. 이때, 개구문(62)의 길이(L2)는 개구문(61)의 길이(L1)보다 길기 때문에 개구문(62)의 선단 부분(62a)은 개구문(61)의 선단 부분(61a)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베젤(50)에서 프리젠터 유닛(40)을 떼낼 때에는, 반송기어(41a)는 도 10에 있어서 (c), (b), (a)의 순서대로 이동하고 개구문(61 및 62)이 닫힌다. 이때, 개구문(62)의 길이(L2)는 개구문(61)의 길이(L1)보다 길기 때문에 개구문(62)의 선단 부분(62a)은 개구문(61)의 선단 부분(61a)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이로써 개구문(62)이 개구문(61)보다도 먼저 닫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반송벨트(42)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개구문(61 및 62)은 반송기어(41a)에 의해 반송벨트(42)를 통하여 기록지(10)를 반송할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입구부(51)로부터 베젤(50)에 진입한 기록지(10)는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개구문(62)에 접촉하고, 개구문(62)의 면을 따라 이동하여 프리젠터 입구부(54)에 들어가 반송벨트(42)에 감겨진다. 이 후, 반송벨트(42)에 감겨진 기록지(10)는 반송벨트(42)를 대략 1주한 후 프리젠터 출구부(55)로부터 가이드가 되는 개구문(61)을 따라 배출구부(53)가 형성되어 있는 측으로 반송된다. 또한, 기록지(10)를 리트랙트하는 경우에는, 반송기어(41a 및 41b)가 역회전함으로써, 기록지(10)는 반송벨트(42)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가이드가 되는 개구문(62)을 따라 이동하고 진입구부(51)와 배출구부(53)의 사이에 형성된 배출구부(52)에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젤(50)에 있어서 진입구부(51)와 배출구부(53)는 대략 동일선상 또는 동일선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베젤(50)에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진입구부(51)로부터 진입한 기록지(10)가 대략 직진하여 배출구부(53)에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부(52)는 진입구부(51)로부터 진입한 기록지(10)가 잘못하여 배출구부(52)로 들어가지 않도록 진입구부(51)와 배출구부(5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배출구부(52)는 진입구부(51)와 직교 또는 배출구부(53)와 직교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60)는 진입구부(51)와 배출구부(53)의 사이로서, 배출구부(52)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고, 나아가 배출구부(52)와 대략 동일선상 또는 동일선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젤(50)의 접속부(60)에 프리젠터 유닛(40)을 접속함으로써 형성되는 프리젠터 입구부(54)는 배출구부(52)와 대략 동일선상 또는 기록지(10)가 프리젠터 입구부(54)로부터 배출구부(52)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리트랙트되는 기록지(10)가 프리젠터 입구부(54)로부터 배출구부(52)로 원활히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린터 장치 제어의 제1 실시예 )
다음으로, 도 13에 근거하여 프린터 장치 제어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는 인자부(20) 및 커터부(30)의 구동 및 제어를 실시하는 제1 구동회로(111)와, 프리젠터 유닛(40) 및 베젤(50)의 구동 및 제어를 실시하는 제2 구동회로(1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구동회로(11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113)에 접속되어 있고, 호스트(113)의 설정 및 지시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제1 구동회로(111)는 모터(21), 서멀 헤드(23), 커터부(30) 등과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구동 및 제어를 실시한다. 제2 구동회로(112)는 모터(44), 제1 센서(S1), 제2 센서(S2), 제3 센서(S3), 제4 센서(S4), 제5 센서(S5)와 접속되어 있고, 모터(44) 등의 구동 및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제2 구동회로(112)는 제1 구동회로(111)에 접속되어 있고, 호스트(113)에 있어서의 설정이나 지시의 정보가 제2 구동회로(112)를 통하여 전달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프린터 장치에서는 프리젠터 유닛(40)을 기록지(10)가 설치된 측과 반대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롤형상의 기록지(10)가 인자면이 안쪽을 향하도록 감겨진 경우에는, 프리젠터 유닛(40)에 있어서 리컬시킬 수 있다.
(프린터 장치 제어의 제2 실시예 )
다음으로, 도 15에 근거하여 프린터 장치 제어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는 인자부(20) 및 커터부(30)의 구동 및 제어를 실시하는 제1 구동회로(111)와, 프리젠터 유닛(40) 및 베젤(50)의 구동 및 제어를 실시하는 제2 구동회로(1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구동회로(111) 및 제2 구동회로(112)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72)와 접속되어 있고, 제어회로부(72)는 호스트(113)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호스트(113)에 있어서의 설정 및 제어회로부(72)에 있어서의 제어에 근거하여 제1 구동회로(111) 및 제2 구동회로(112)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1 구동회로(111)는 제1 모터(21), 서멀 헤드(23), 커터부(30) 등과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구동 및 제어를 실시한다. 제2 구동회로(112)는 제2 모터(44), 제1 센서(S1), 제2 센서(S2), 제3 센서(S3), 제4 센서(S4), 제5 센서(S5)와 접속되어 있고, 제2 모터(44)등의 구동 및 제어 등을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센서(S1), 제2 센서(S2), 제3 센서(S3), 제4 센서(S4) 및 제5 센서(S5)는 광학식 센서이며, 반사광의 유무나 광양 등에 의해 기록지(10)나 프리젠터 유닛(40)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모터(21) 및 제2 모터(44)는 모두 스텝모터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회로부(72)에 의한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먼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50)에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을 온한 후, 단계 102(S1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센서(S2) 및 제3 센서(S3)에 의해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센서(S2) 및 제3 센서(S3)에 있어서 소정의 반사광량의 광이 검출된 경우에는,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단계 104로 이행한다. 또한, 제2 센서(S2) 및 제3 센서(S3)에 있어서 소정의 반사광량의 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단계 106으로 이행한다. 또는, 제2 센서(S2)의 도시 생략된 발광부에서 출사된 광을 제3 센서(S3)의 도시 생략된 수광센서로 수광함으로써 검출하고, 제3 센서(S3)의 도시 생략된 발광부에서 출사된 광을 제2 센서(S2)의 도시 생략된 수광센서로 수광함으로써 검출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단계 104(S104)에서, 제어회로부(72) 또는 호스트(113) 등에 있어서 프리젠터 장착 플래그가 세워진다. 즉, 단계 102에서,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있고, 제어회로부(72) 또는 호스트(113) 등에 있어서 프리젠터 장착 플래그가 세워진다. 이때, 제2 모터(44)는 제1 모터(21)와 연동하고 타이밍을 두고 회전된다.
다음으로, 단계 106(S106)에서, 제어회로부(72) 또는 호스트(113) 등에 있어서 프리젠터 장착 플래그는 세워지지 않는다. 즉, 단계 102에서,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제어회로부(72) 또는 호스트(113) 등에 있어서 프리젠터 장착 플래그가 세워지지 않는다.
이 후, 기록지(10)에 인자동작이 개시되고, 인자동작에 있어서의 기록지(10)의 반송 등에 대하여 도 17∼도 2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7에 있어서의 단계 202(S202)에서, 제1 모터(21)가 소정의 스텝 회전한 후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가 베젤(50)의 내부로 들어가 프리젠터 유닛(40)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08로 이행한다. 또한,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04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04(S204)에서, 제1 모터(21)가 소정의 최대스텝의 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1 센서(S1)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1 모터(21)에 있어서의 스텝수이며, 제1 모터(21)에 있어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모터(21)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06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1 모터(21)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02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1 모터(21)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206(S206)에서, 기록지(10)의 삽입구 잼(막힘)이라고 판단되고, 제1 모터(21) 및 프리젠터 유닛(40)이 탑재된 경우에는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삽입구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는 제1 모터(21)가 소정의 회전수 회전하여 기록지(10)가 반송되어 있을 것이지만, 제1 센서(S1)에서 검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베젤(50)의 침입구부(51)에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1 모터(21) 및 프리젠터 유닛(40)이 탑재된 경우에는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208(S208)에서,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가 프리젠터 유닛(40)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17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8에서의 단계 232로 이행한다. 또한,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10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10(S210)에서,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지(10)가 프리젠터 유닛(40)에 들어가지 않고 배출구부(52)에 침입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다. 따라서,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16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12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12(S212)에서, 제3 센서(S3)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지(10)가 베젤(50)의 침입구부(51)로부터 침입하고는 있지만 제3 센서(S3)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지(10)가 배출구부(52)나 프리젠터 출구부(55)에 잘못하여 들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3 센서(S3)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22로 이행한다. 또한, 제3 센서(S3)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14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14(S214)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고, 제1 모터(21)의 회전을 정지하고,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는 기록지(10)가 제1 센서(S1)에서 검출되고 있는데, 제2 센서(S2), 제3 센서(S3), 제4 센서(S4) 및 제5 센서(S5)에서는 기록지(10)가 검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베젤(5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1 모터(21)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216(S216)에서, 제1 모터(21)에서의 회전이 소정의 최대스텝의 회전보다 많은지 아닌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4 센서(S4)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1 모터(21)에서의 스텝수이며, 제1 모터(21)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는 상태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모터(21)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20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1 모터(21)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를 초과하여 회전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18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18(S218)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고, 제1 모터(21)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는 기록지(10)가 제4 센서(S4)에서 검출되고 있지만 제1 모터(21)가 필요 이상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베젤(5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1 모터(21)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220(S220)에서, 프리젠터 장착 플래그가 서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프리젠터 장착 플래그가 서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22로 이행한다. 또한, 프리젠터 장착 플래그가 서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24로 이행한다. 또한, 이 프리젠터 장착 플래그는 단계 102에서의 제2 센서(S2) 및 제3 센서(S3)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 등에 근거하여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단계 222(S222)에서, 기록지(10)가 소정의 경로를 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제1 모터(21) 및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경로 비정상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만, 기록지(10)가 제2 센서(S2)에 의해 검출되지 않고 제4 센서(S4)에 의해 검출되어 있으므로, 기록지(10)가 소정의 경로와 상이한 경로에 기록지(10)가 침입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1 모터(21) 및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224(S224)에서, 기록지(10)는 정상적으로 배출구부(53)에서 배출된다. 프리젠터 유닛(4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지(10)는 정상적인 경로를 가고 있으므로 배출구부(53)에서 기록지(10)는 정상적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18에 근거하여, 도 17에서 17A로 나타낸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232(S232)에서, 소정의 단계동작 후에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가 프리젠터 유닛(40)에 들어가 제2 모터가 소정의 스텝수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38로 이행한다. 또한,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34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34(S234)에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의 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3 센서(S3)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36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단계 232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236(S236)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고, 제1 모터(21) 및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고 있고,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1 모터(21) 및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238(S238)에서, 기록지(10)가 커팅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커팅)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기록지(10)가 커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42로 이행하고, 기록지(10)가 커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40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40(S240)에서, 기록지 길이 이상으로 판단되고, 제1 모터(21) 및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기록지 길이가 비정상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는 기록지(10)가 커터부(30)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1 모터(21) 및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242(S242)에서,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10)가 프리젠터 유닛(40)에 들어가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18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9에 있어서의 단계 262로 이행한다. 또한,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44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44(S244)에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의 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2 모터(44)에서 제4 센서(S4)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46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42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246(S246)에서, 제2 센서(S2)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지(10)가 베젤(50)내에 침입하고는 있지만 제2 센서(S2)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기록지(10)가 배출구부(52)나 프리젠터 입구부(54)에 잘못하여 들어가 있을 가능성이 있고, 제2 센서(S2)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2 센서(S2)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50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2 센서(S2) 및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48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48(S248)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기록지(10)가 제3 센서(S3)에서 검출되고 있음에도 제2 센서(S2), 제4 센서(S4) 및 제5 센서(S5)에서는 기록지(10)가 검출되고 있지 않으므로, 베젤(5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250(S250)에서, 기록지(10)가 소정의 경로를 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경로가 비정상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지(10)가 커팅된 후, 이 상태에서 제2 센서(S2) 또는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는 것은 기록지(10)가 소정의 경로와 다른 경로에 기록지(10)가 침입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19에 근거하여, 도 18에 있어서 18A로 나타낸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262(S2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커팅된 기록지(10)가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로 들어간 후, 기록지(10)가 제4 센서(S4)에 의해 검출된 상태에서는 제1 센서(S1)에서는 기록지(10)는 검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64로 이행한다. 또한,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66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단계수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나아가 제2 모터(44)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264(S264)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어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고,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모터(44)가 소정의 스텝수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제1 센서(S1)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은 베젤(50) 또는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266(S2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팅된 기록지(10)가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에 들어가 배출된 상태에서는 제2 센서(S2)에서는 기록지(10)는 검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68로 이행한다. 또한,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70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68(S268)에서, 기록지(10)가 커팅된 후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의 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2 센서(S2)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64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66으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270(S2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커팅된 기록지(10)가 배출된 상태에서는 제3 센서(S3)에서는 기록지(10)는 검출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72로 이행한다. 또한,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19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0에 있어서의 단계 282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72(S272)에서, 기록지(10)가 커팅된 후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의 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3 센서(S3)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64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70으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도 20에 근거하여, 도 19에서 19A로 나타낸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282(S282)에서, 절단된 기록지(10)는 홀드된 상태, 즉 반송벨트(42)와 개구문(61)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기록지(10)의 일부가 배출구부(53)로부터 나와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기록지(10)를 사람이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단계 284(S284)에서,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사람에 의해 기록지(10)가 빼내진 경우에는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는 검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88로 이행한다. 또한, 제4 센서(S4)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286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86(S286)에서 기록지(10)가 배출구부(53)로부터 사람에 의해 빼내진 것이라고 인식되어 종료한다.
다음으로, 단계 288(S288)에서, 단계 282의 상태가 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지(10)가 사람이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기록지(10)를 빼지 않은 경우에는, 사람이 기록지(10)를 빼낼 의지가 없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기록지(1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자 등이 된 기록지(10)의 회수 등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290으로 이행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84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90(S290)에서, 기록지(10)의 회수플래그가 서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기록지(10)의 회수플래그는 초기설정 단계에서 호스트(113)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기록지(10)의 회수플래그가 서 있는 경우에는, 12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1에 있어서의 단계 302로 이행한다. 또한, 기록지(10)의 회수플래그가 서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92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292(S292)에서, 기록지(10)의 빼냄 에러라고 판단되고, 빼냄 에러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기록지(10)는 사람이 빼지 않은 상태 그대로이고, 회수도 되지 않으므로 그 취지의 표시 등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21에 근거하여, 도 20에 있어서 20A로 나타낸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302(S3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켜 프리젠터 유닛(40) 내에서 지금까지와는 반대방향으로 기록지(10)를 반송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지(10)를 회수하기 위하여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단계 304(S3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커팅된 기록지(10)가 역방향으로 반송되면, 먼저 제3 센서(S3)에서는 기록지(10)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10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06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306(S306)에서,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킨 후에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의 역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2 모터(44)가 역회전함으로써 제3 센서(S3)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역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08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역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04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308(S308)에서, 기록지(10)의 리트랙트 에러라고 판단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기록지(10)의 리트랙트 에러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즉, 제2 모터(44)가 소정의 스텝수 역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지(10)가 리트랙트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310(S310)에서,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역회전하면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12로 이행한다. 또한,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16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312(S312)에서,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킨 후에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의 역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2 모터(44)가 역회전함으로써 제3 센서(S3)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역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14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10으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314(S314)에서, 용지 잼으로 판단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즉,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베젤(50) 또는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316(S3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커팅된 기록지(10)가 역방향으로 반송되면,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21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2에 있어서의 단계 332로 이행한다. 또한,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18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318(S318)에서,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킨 후에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의 역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모터(44)가 역회전함으로써 제2 센서(S2)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역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32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역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16으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320(S320)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즉,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22에 근거하여, 도 21에 있어서 21A로 나타낸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332(S3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커팅된 기록지(10)가 역방향으로 반송되면,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38로 이행한다. 또한,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34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334(S334)에서,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킨 후에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의 역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모터(44)가 역회전함으로써 제5 센서(S5)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역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36으로 이행한다.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역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32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336(S336)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즉,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338(S338)에서,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40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3 센서(S3)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44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340(S340)에서,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킨 후에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의 역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2 모터(44)가 역회전함으로써 제2 센서(S2)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역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42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역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38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342(S342)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즉,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베젤(50) 또는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344(S344)에서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46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50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346(S346)에서, 제2 모터(44)를 역회전시킨 후에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의 역회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의 소정의 최대스텝이란, 제2 모터(44)가 역회전함으로써 제5 센서(S5)에 의해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기록지(10)가 반송되는 제2 모터(44)에서의 스텝수이며, 제2 모터(44)에서 소정의 최대스텝수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2 센서(S2)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이상 역회전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48로 이행한다. 또한, 제2 모터(44)가 소정의 최대스텝수 역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344로 이행하고, 나아가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단계 348(S348)에서, 용지 잼이라고 판단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하며, 용지 잼이라는 취지의 표시 등이 호스트(113) 또는 제어회로부(72) 등의 도시 생략된 표시부에 표시된다. 즉, 제2 모터(44)가 역방향으로 소정의 최대스텝수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제5 센서(S5)에 의해 기록지(10)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베젤(50) 또는 프리젠터 유닛(40)의 내부 등에서 기록지(10)가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이러한 취지가 표시되고 제2 모터(44)의 회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350(S350)에서, 기록지(10)가 배출구부(52)에서 정상적으로 회수된 것이라고 인식되고 종료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에 관련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내용은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은 2011년 6월 2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제2011-124515호 및 2011년 10월 13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제2011-226263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상기 일본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한다.
10 : 기록지 20 : 인자부
21 : 제1 모터 22 : 플라텐롤러
23 : 서멀 헤드 30 : 커터부
31 : 가동날 32 : 고정날
40 : 프리젠터 유닛 41 : 반송기어
41a, 41b : 반송기어 42 : 반송벨트
43 : 회전구동 모듈부 44 : 제2 모터
45 : 회전부 46 : 제1 전달기어
47 : 제2 전달기어 50 : 베젤
51 : 진입구부 52 : 배출구부
53 : 배출구부 54 : 프리젠터 입구부
55 : 프리젠터 출구부 61 : 개구문
61a : 선단 부분 62 : 개구문
62b : 선단 부분 71 : 완충기구부
72 : 제어회로부 100 : 프린터 본체
111 : 제1 구동회로 112 : 제2 구동회로
113 : 호스트 S1 : 제1 센서
S2 : 제2 센서 S3 : 제3 센서
S4 : 제4 센서 S5 : 제5 센서

Claims (22)

  1.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상기 기록지를 정해진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과,
    상기 정해진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
    를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베젤을 통하여 상기 커터부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베젤과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복수의 반송기어와, 상기 반송기어 사이에 장착된 반송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기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반송벨트가 이동하는 것이며,
    상기 기록지는 상기 롤형상으로 감겨진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반송벨트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상기 베젤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베젤과 상기 반송벨트의 사이 중 한쪽에 프리젠터 입구부가 형성되고, 다른쪽에 프리젠터 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록지는 상기 프리젠터 입구부에서 상기 반송벨트에 감겨져 프리젠터 출구부에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커터부에서 상기 기록지가 진입하는 진입구부와,
    상기 기록지가 꺼내지는 배출구부와,
    상기 기록지가 꺼내지지 않은 경우에 배출되는 다른 배출구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에서 절단된 기록지는 상기 프리젠터 유닛에 의해 상기 베젤의 상기 배출구에서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된 기록지를 역방향으로 반송하고, 상기 다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리트랙트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부와 상기 배출구부는 대략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진입구부와 상기 배출구부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다른 배출구부는 상기 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상기 진입구부와 상기 배출구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이 접속되는 접속부분에는 2개의 개구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회전문의 선단 부분은 예각형상 또는 중첩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상기 개구문의 선단 부분이 다른 한쪽의 상기 회전문의 선단 부분에 대하여 빠르게 닫히는 차동기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프린터 장치.
  12.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정해진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와,
    상기 기록지를 정해진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
    을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베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에는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서 상기 기록지가 진입하는 진입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입구부에서 상기 베젤 내에 진입한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1 센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상기 베젤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기록지가 상기 프리젠터 유닛으로 들어가는 프리젠터 입구부와, 상기 기록지가 상기 프리젠터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프리젠터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리젠터 유닛으로 들어가는 상기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2 센서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상기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상기 베젤에 상기 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기록지가 꺼내지는 배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구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4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가 꺼내지지 않은 경우에 배출되는 다른 배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리젠터 유닛은 상기 배출구부에서 상기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된 상기 기록지를 역방향으로 반송하며, 상기 다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리트랙트 기능을 갖는 것이고,
    상기 다른 배출구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5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상기 제3 센서, 상기 제4 센서 및 상기 제5 센서 중 1 또는 2 이상은 광학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9.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정해진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와,
    상기 기록지를 정해진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
    을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베젤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젤에는 상기 프리젠터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1 또는 2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 형성된 제1 모터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에 형성된 제2 모터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22. 롤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에 인자하는 인자부와, 정해진 길이까지 반송된 상기 인자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부와, 상기 기록지를 정해진 길이까지 반송하는 프리젠터 유닛을 구비하고, 프린터 본체부는 상기 인자부와 상기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리젠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베젤을 갖는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에서 절단된 상기 기록지는 상기 프리젠터 유닛에 의해 상기 베젤에 형성된 배출구에서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꺼낼 수 있는 상태의 위치까지 반송된 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기록지가 상기 프리젠터 유닛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상기 베젤에 형성된 다른 배출구부에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20024662A 2011-06-02 2012-03-09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68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4515 2011-06-02
JP2011124515A JP5792518B2 (ja) 2011-06-02 2011-06-02 プリンタ装置
JPJP-P-2011-226263 2011-10-13
JP2011226263A JP5806580B2 (ja) 2011-10-13 2011-10-13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021A true KR20120135021A (ko) 2012-12-12
KR101368918B1 KR101368918B1 (ko) 2014-03-25

Family

ID=4665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662A KR101368918B1 (ko) 2011-06-02 2012-03-09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27581B2 (ko)
EP (1) EP2529938A3 (ko)
KR (1) KR101368918B1 (ko)
CN (1) CN1028375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301A (ko) * 2018-08-08 2020-02-18 대한민국(국방부 국군인쇄창장) 급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O20130019A1 (it) * 2013-01-28 2014-07-29 Custom Engineering S P A Stampante per chioschi
JP6498977B2 (ja) * 2015-03-20 2019-04-1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BR112018011425B1 (pt) * 2015-12-07 2020-12-08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acessório de corte para uso em combinação com um dispositivo de impressão, e sistema de impressão
US9855775B1 (en) 2016-12-12 2018-01-02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printheads from irregular media in a printer
US9919540B1 (en) * 2016-12-15 2018-03-20 Zih Corp. Movable media guide for media processing devices
WO2018204397A1 (en) 2017-05-01 2018-11-08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Combination printer and cutting apparatus
CA3088108A1 (en) 2018-01-15 2019-07-18 Charles Agnew OSBORNE Jr. Dispenser for rolled sheet materials with belt drive system
CN111137028B (zh) 2018-11-06 2021-11-23 大数据奥尼尔公司 打印机设备和用于操作包括打印头的打印机设备的方法
CN110989943B (zh) * 2019-03-22 2020-12-29 河南工业贸易职业学院 基于云计算的参数解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379A (en) * 1997-03-28 1998-07-14 Interbold Receipt form handling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BR9800333A (pt) * 1997-01-21 1999-06-29 Xerox Corp Módulo removível de desencrespador de folha fendida postal e empilhador de alta capacidade módulo externo removível que está adaptado para assentar numa bandeja receptora de folha de uma máquina de impressão para desencrespar e captar folhas cortadas e máquina de impressão
US6196741B1 (en) * 1997-05-28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inter
US5954438A (en) * 1997-10-30 1999-09-21 Bdt Products, Inc. Sheet present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0229760A (ja) * 1999-02-09 2000-08-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カール補正装置
US6547464B1 (en) * 1999-12-01 2003-04-15 Diebò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printer
JP3748357B2 (ja) * 2000-03-17 2006-02-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用紙排出装置
JP4621335B2 (ja) * 2000-06-28 2011-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端末用プリンタユニット
JP4667663B2 (ja) 2001-07-09 2011-04-1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2003256880A (ja) * 2002-03-05 2003-09-12 Sii P & S Inc 用紙排出装置
US6634296B2 (en) * 2002-03-20 2003-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nter document presenter apparatus and method
US7048457B2 (en) * 2003-02-24 2006-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ument deliver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20040175221A1 (en) * 2003-03-05 2004-09-0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inter
US7275483B2 (en) * 2003-03-20 2007-10-02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Jam resistant printer bezel
CN1286657C (zh) * 2003-04-15 2006-11-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机
US7192208B2 (en) * 2003-09-02 2007-03-20 Futurelogic, Inc. Rewritable card printer
US20060072953A1 (en) * 2004-10-04 2006-04-06 Daniel Vienneau Ticket presenter for use with a ticket printer having a tear bar therein
JP4955257B2 (ja) 2005-11-09 2012-06-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KR100739940B1 (ko) 2006-01-04 2007-07-16 윤영철 영수증 발행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97516B1 (ko) 2006-04-07 2008-01-24 윤영철 발권기를 위한 티켓 프리젠터
KR100738117B1 (ko) * 2006-07-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
JP2008068950A (ja) * 2006-09-12 2008-03-27 Nippon Primex Inc 用紙排出ガイド
JP2009083448A (ja) * 2007-10-03 2009-04-23 Seiko Instruments Inc プリンタおよび発行装置
JP2009091064A (ja) 2007-10-04 2009-04-30 Seiko Instruments Inc プリンタおよび発行装置
JP2009196239A (ja) * 2008-02-22 2009-09-03 Seiko Instruments Inc 給紙装置
JP5394678B2 (ja) 2008-08-25 2014-01-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964978B2 (ja) * 2009-09-08 2012-07-0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媒体検出方法、媒体検出装置、媒体排出装置、及び印刷装置
JP5532836B2 (ja) * 2009-11-11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85009B2 (ja) * 2010-06-23 2015-03-18 日本プリメックス株式会社 Led発光機能付ベゼル
JP6077271B2 (ja) * 2012-10-31 2017-02-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301A (ko) * 2018-08-08 2020-02-18 대한민국(국방부 국군인쇄창장) 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27581B2 (en) 2014-09-09
US20120308288A1 (en) 2012-12-06
EP2529938A3 (en) 2016-08-17
EP2529938A2 (en) 2012-12-05
KR101368918B1 (ko) 2014-03-25
CN102837504B (zh) 2015-04-01
CN102837504A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918B1 (ko)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EP2896505A2 (en) Thermal printer
JP6060656B2 (ja) ロール状被記録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ロール状被記録媒体搬送方法及びロール状被記録媒体搬送プログラム
JP2011143628A (ja) 記録紙の印刷方法および両面印刷装置
US20060137549A1 (en) Device for making a printed ticket available
CN103786447A (zh) 打印机装置
EP2727737B1 (en) Printer apparatus
US8066278B2 (en) Printer
CN104875508B (zh) 打印机装置
KR101668932B1 (ko)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JPH10273260A (ja) 用紙排出装置
JP2015107615A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6580B2 (ja)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
JP5792518B2 (ja) プリンタ装置
JP5885246B2 (ja) レ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レシート詰まり防止方法とレシート排出制御プログラム
JP2021024083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CN106457853B (zh) 打印机装置
KR20140108288A (ko) 프린터 장치 및 프린터 장치의 제어 방법
JP4846009B2 (ja) 用紙排出装置及び用紙排出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9193187B2 (en) Gap control method for a media processing device, and a media processing device
JP4770008B2 (ja) プリンタ、紙詰まり処理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2010173822A (ja) 記録媒体排出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24072383A (ja) 印刷装置
JP4867736B2 (ja) プリンタ装置
CN104169201A (zh) 打印装置及打印装置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