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761A -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761A
KR20120134761A KR1020110053902A KR20110053902A KR20120134761A KR 20120134761 A KR20120134761 A KR 20120134761A KR 1020110053902 A KR1020110053902 A KR 1020110053902A KR 20110053902 A KR20110053902 A KR 20110053902A KR 20120134761 A KR20120134761 A KR 20120134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parts
weight
sweet potato
white kid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588B1 (ko
Inventor
최병렬
이창우
한주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호텔현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호텔현대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58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20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 A21D13/24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coated afte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2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inorganic substances
    • A21D2/06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8Carbohydrates
    • A21D2/181Sugars or 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4Anim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21D2/362Leguminous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21D2/364Nuts, e.g. cocoa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21D2/366Tubers, roo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균형잡인 영양원을 구비하고, 천연성분 자체의 당도에 의해 감미감을 구비하도록 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빵은 외피 8?12 중량부와 충전물 30?35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물은 흰강낭콩과 고구마로 이루어진 앙금 100 중량부, 구운호두 6?11 중량부, 0.2?0.6㎜ 무화과 8?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Nutritive breads and its making method using white kidney bean and sweet potato dregs}
본 발명은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성분의 달콤함을 구비하여 단맛을 줄이고, 고소하면서도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빵은 원래 서양에서 오랜 먹거리의 하나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음식의 하나로서, 국내에서도 널리 보급되어 애용하는 먹거리의 하나이다. 이러한 빵은 수분함량이 적고,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다른 부식재들과 함께 먹을 수 있어 주식 및 간식용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특히, 식생활이 날로 서구화 되어감에 따라 빵의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바쁜 현대인들은 쌀밥 대신 휴대와 식이가 간편한 빵을 식사대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빵을 주식으로 하는 식단은 식이가 간편하다는 이유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니 만큼 다른 부가적인 식품, 다시 말하면 다른 부가적인 영양소의 섭취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며, 밀가루의 과잉 섭취로 인하여 자칫 건강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 제빵 제과 부분의 기능성 부분에 대한 연구개발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소비자의 건강빵 제품 개발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 예로 밀가루에 신선초(최 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9, 28(1), 118~125), 메밀(김 등,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29(2) :241~247), 감잎(배 등,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5) : 882~887), β-Glucan(강 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6, 35(5), 613-621), 청국장(김 등,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7, 17(6),853~859) 등을 첨가한 빵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성을 구비한 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빵은 맛과 영양 면에서는 어느 정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건강 지향적,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면에 대해서는 아직 개발의 여지가 많이 남아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식생활 습관에 의한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식품업계에 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균형잡인 영양원을 구비하고, 천연성분 자체의 당도에 의해 감미감을 구비하도록 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충전물이 적절한 수분함량을 보유하도록 하여, 목넘김이 좋고, 고소하고 담백하며 부드러운 식감을 구비하도록 한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흰강낭콩 앙금과 고구마 앙금의 최적 조합을 통해 부드럽고 소프트한 맛 및 감미감을 구비하도록 하여, 설탕에 의한 단맛을 줄인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두뇌활성에 우수한 건과류가 함유된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작업에 의해 외피를 형성하여, 충전물의 수분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무화과 및 호두, 땅콩의 입자조정을 통해, 충전물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식감을 향상시킨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빵은 외피 8?12 중량부와 충전물 30?35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물은 흰강낭콩과 고구마로 이루어진 앙금 100 중량부, 구운호두 6?11 중량부, 0.2?0.6㎜ 무화과 8?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흰강낭콩과 고구마로 이루어진 앙금 100 중량부에, 구운호두 6?11 중량부, 0.2?0.6㎜ 무화과 8?15중량부, 흰강낭콩 앙금 및 고구마 앙금을 혼합하여 충전물을 형성하는 충전물 형성단계; 상기 충전물을 외피내에 채우고 성형틀내에 의해 형태를 잡아 초기빵을 형성하는 모양단계; 상기 초기빵의 윗면에 계란 노른자를 발라 예열된 오븐에서 285?300℃ 로 5?6 분간 굽는 최종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흰강낭콩과 고구마에 의해 앙금내에 무화과와 구운호두를 최적비율로 혼합한 충전물을 외피내에 채움하여,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당도 46?53Bx 정도의 감미감 및 건강에 유익하여 남녀노소 편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화과의 입도조정에 의해 충전물이 충분한 수분함량을 구비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각사각 씹히는 느낌을 부여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흰강낭콩과 고구마의 배합에 의해 앙금의 당도를 조절하므로, 종래 설탕에 의한 단맛과 차별화되는 감미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앙금과 건과류가 최적 배합을 통해 충전물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외피에 의한 포앙시 충전물의 응집성이 유지하면서 우수한 식감을 구비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양빵 사진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양빵 사진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피 8?12 중량부, 충전물 30?35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물은 흰강낭콩과 고구마로 이루어진 앙금 100 중량부, 구운호두 6?11 중량부, 입도 0.2?0.6㎜의 무화과 8?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전물에는 0.05㎜ 이하의 구운땅콩 6?11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피는 중력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70?75중량부, 계란 30?35중량부, 소다 1.0?1.6중량부, 물 24?26 중량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앙금은 흰강낭콩 앙금 100 중량부에 고구마 앙금 30?60 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흰강낭콩 앙금와 고구마 앙금은 2:1의 중량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흰강낭콩 앙금은 단백질 외에 비타민 B1, E, 니아신, 판토텐산, 엽산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비타민 E 는 체내 노폐물의 산화를 방지하여 노화를 늦추는 효과가 있고,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상기 고구마 앙금은 알칼리성을 구비하고, 각종 무기질과 식이섬유가 내포되어 있어, 다이어트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항암작용과 황화산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의 강화작용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성을 구비한다.
상기 구운호두는 호두의 비린 맛을 제거하고 고소함을 강조한 것으로, 두뇌를 명석하게 하고, 다량의 비타민 E 를 함유하고 있어, 치매예방효과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운호두는 잘게 부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무화과는 건무화과를 물에 넣어 삶은 후, 입도 0.2?0.6㎜로 분쇄하여 첨가한다. 상기 무화과는 인류가 가장 오래전 부터 재배해온 과일 중, 하나로, 건조 무화과의 열량은 100g 당 217㎉, 수분 25%, 단백질 4%, 탄수화물 55.3%, 식이섬유 6.67%, 지방 1.2%, 칼슘 1,380ppm, 철분 42ppm, 마그네슘 915ppm, 인 163ppm, 비타민 B1, B2 등등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다이어트와 변비에 좋을 뿐 아니라,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영양빵은 흰강낭콩과 고구마로 이루어진 앙금에 의해 부드러운 느낌 및 우수한 목넘김을 구비하고, 입도가 조정된 무화과에 의해 사각사각한 씹힙성을 구비하여 우수한 식감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빵은 무화과 및 고구마 앙금에 의해 충전물이 수분함량 15?40중량%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앙금이 들어간 기존 빵들에 비해 뻑뻑함이 없고, 건과류로 인한 껄끄러움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 1 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흰강낭콩과 고구마로 이루어진 앙금 100 중량부에, 구운호두 6?11 중량부, 0.2?0.6㎜ 무화과 8?15중량부를 혼합하여 충전물을 형성하는 충전물 형성단계;
상기 충전물을 외피에 의해 포앙하고 성형틀에 의해 형태를 잡아 초기빵을 형성하는 모양단계;
상기 초기빵의 윗면에 계란 노른자를 발라 예열된 오븐에서 285?300℃ 에서 5?6 분간 굽는 최종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충전물 형성단계는 앙금형성단계, 구운호두 형성단계, 무화과 준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앙금형성단계는 흰강낭콩 앙금 100 중량부에 고구마 앙금 3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앙금을 형성한다. 상기 고구마 앙금과 흰강낭콩 앙금의 배합비율은 앙금의 당도를 조절하여 설탕의 인위적 단맛이 아닌 천연적인 자연스러운 단맛을 구비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구마 앙금을 30 중량부 미만으로 할 경우, 고구마 앙금의 단맛을 이용할 수 없으며,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앙금의 점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건과류와의 혼합에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흰강낭콩 앙금은 삶은 후 껍질을 제거하여 가열조림한다. 즉, 상기 흰강낭콩 앙금은 일예로, 흰강낭콩을 선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기에 의해 세척한 후, 세척된 흰강낭콩을 물에 넣어 삶는다. 이와 같이 흰강낭콩이 삶아지면 삶은 물은 버리고 삶아진 흰강낭콩은 마쇄하여 껍집을 제거하고, 첨가물을 혼합한 후, 가열 조림하며, 그 이외의 방법은 공지의 앙금제조방법에 따른다.
단, 상기 흰강낭콩 앙금과 고구마 앙금은 기존에 앙금에 비해 약 80%의 설탕만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즉, 기존의 앙금에 되는 설탕의 양을 100%로 할 경우, 약 80%의 설탕만을 첨가하여 앙금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첨가물은 앙금제조를 위한 공지 또는 주지의 원료를 의미한다.
상기 구운호두 형성단계는 세척된 호두를 170?200℃ 바람직하게는 약 175?185℃ 범위내에서 약 6?12분 정도 갈색이 되도록 구운 후, 구운 호두를 잘게 부수어 구운호두를 형성한다. 상기 구운호두의 입도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충전물로 사용되어 씹히는 식감을 구비할 수 있는 정도의 입도크기를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무화과 준비단계는 건무화과 100 중량부를 정수물에 4?5회 정도 세척한 후, 끓는 물 250?400 중량부에 10?20분 정도 익히고, 이를 체에 거른 다음, 분쇄기에 의해 0.6㎜ 이하의 입도를 구비하도록 곱게 다진다. 이와 같은 무화과의 입도는 수분함량 조절 및 사각사각한 씹힘성을 구비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0.6㎜ 초과하여 분쇄할 경우, 입안에 꺼끄러운 느낌을 잔류시켜 식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즉, 0.2?0.6㎜ 입도를 구비하도록 분쇄된 무화과는 앙금과 혼합되어 충전물을 형성할 경우, 사각사각한 씹힘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분쇄된 무화과 씨앗의 풍부한 수분함유에 의해 부드러운 목넘김을 부여하게 되어, 기존 건과류의 꺼끄러움을 해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화과는 꼭지를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물 형성단계는 0.05㎜ 이하의 구운땅콩 6?11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충전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운땅콩은 170?200℃ 바람직하게는 약 175?185℃ 범위내에서 약 6?12분 정도 갈색이 되도록 구운 후, 구운땅콩을 0.05㎜ 이하가 되도록 잘게 분쇄하여 첨가한다.
즉, 상기 구운땅콩은 구운 호두와 함께 고소함을 강조하는 기능을 구비하나, 수분을 쉽게 흡수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어, 0.05㎜ 초과하도록 분쇄하여 첨가할 경우, 충전물의 형성시 전체 충전물의 수분함량 조절이 어렵고, 수분 함유에 따른 땅콩의 고소한 맛을 실현시킬 수 없게 되므로, 구운땅콩을 0.05㎜ 이하가 되도록 잘게 분쇄하여 충전물에 첨가한 후, 오븐에 구울 경우, 자체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외피는 수작업에 의해 반죽을 형성한다. 즉, 상기 외피는 설탕, 계란, 베이킹 소다를 넣어 혼합액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액을 주걱으로 저어 기포를 형성하는 기포형성단계;
상기 기포형성단계 후, 혼합액에 정수물 및 중력분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하는 혼합단계;
상기 반죽을 3?15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포형성단계는 설탕 70?75중량부, 계란 30?35중량부, 소다 1.0?1.6중량부를 용기내에 넣고, 주걱을 이용하여 3?5분정도 저어 혼합액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혼합액은 분유빛 색상을 구비하고, 표면에 기포를 구비하게 되며, 상기 혼합액은 비중 0.80?0.8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주걱에 의해 형성된 기포는 기계에 의해 형성된 기포와 비교할 경우, 장시간동안 기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기포가 장기간 유지될 경우, 반죽의 부드러움이 향상된다.
상기 혼합액의 비중은 기포의 함유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비중의 측정은 외피제조과정 중 설탕, 계란, 베이킹소다를 넣고 기포를 올린다음 바로 측정한다. 이때, 비중이 높으면 더 저어서 기포를 더 올려 비중을 낮춘다.
상기와 같은 비중범위는 기포함유량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앙금을 포앙하기 위한 것으로, 반죽이 상기 비중범위를 벗어날 경우, 앙금 포앙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최종생성물의 형상 즉 상품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상기 혼합단계는 혼합액에 정수물 및 중력분을 첨가하여 반죽을 형성하는 단계로, 기포를 구비한 혼합액에 정수물 24?26 중량부를 넣고, 중력분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반죽을 약 3?15분간 숙성시킨 후, 앙금을 포앙한다.
이때, 상기 반죽은 약 15분정도까지 숙성해도 되나, 약 10분을 넘어갈 경우, 글루텐(단백질)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반죽이 질겨지게 되므로, 3?7분간 숙성시킨 후 앙금을 포앙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중력분은 밀가루 중력2등급을 사용하며, 이와 같은 중력분은 밀 껍질함량이 많아 반죽시 퍼지는 현상을 잡아주고, 내부 충전물의 수분함량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력분은 고운 채에 의해 한번 걸러준 후 혼합하고, 정수물은 기포가 유지되도록 조금씩 혼합액에 넣어주면서 주걱으로 저어주며, 상기 정수물은 약 3?5분정도 주걱에 의해 저어주면서 넣는 속도면 충분한다. 또한, 상기 중력분은 혼합 후, 주걱에 의해 잘 저어주어 반죽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충전물 형성
흰강낭콩 앙금 268g, 고구마 앙금 134g, 구운호두 33g, 입도 0.2?0.6㎜의 무화과 46g 을 혼합하여 충전물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무화과는 끓는 물(정제수)내에 건무화과를 넣어 15분간 삶고, 삶아진 무화과를 채에 받쳐 물기를 제거한 다음, 분쇄기에 의해 0.2?0.6㎜ 입경을 구비하도록 분쇄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구운호두는 호두를 세척하고, 세척된 호두를 약 180℃ 범위내에서 약 8분 정도 구워 갈색이 되도록 한 후, 이를 잘게 부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외피 형성
설탕 74g, 계란 33g, 소다 1.4g을 용기내에 넣고, 주걱을 이용하여 약 5분정도 저어 표면에 기포가 형성된 분유빛 색상의 혼합물(비중 0.835)을 형성하고, 주걱을 저어주면서 물 25g 을 약 8분동안 천천히 넣은 다음, 이에 중력분 100g 을 첨가하고 이를 다시 주걱으로 저어 반죽을 형성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에 따른 충전물 30g을 상기 실시예 2 에 따른 외피 10g으로 포앙하여 둥글게 형성하고, 성형틀에 의해 눌러 초기빵을 제조한 다음, 초기빵의 윗면에 계란 노른자를 붓으로 바르고, 예열된 오븐에서 약 290℃에서 5분동안 구워 영양빵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영양빵에 대한 당도를 측정하여 이를 대비군과 대비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1]과 같다. 이때, 상기 대비군은 본 발명과 비슷한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하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2종류의 빵을 선택하였으며, 상기 대비군은 적강낭콩 앙금을 충전물로 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1]
Figure pat00001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 에 따른 본 발명의 영양빵과 대비군1 및 대비군2에 대하여, 전체적인 칼라, 향기, 촉감, 탄력성, 씹힘성, 텁텁함, 구수한 맛, 단맛, 삼킴후의 느낌, 입안의 잔존감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요원은 100 명을 선정하여 관능검사에 관한 사전교육을 시킨 후 검사에 응하도록 하였으며, 관능검사는 오전 10?11시 사이에 평가하고, 샘플은 똑같은 그릇에 담아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관능요원은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각 20명씩, 남녀비율이 동일하도록 선정하였다.
또한, 관능검사는 7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각 항목의 특성이 매우 약하다(매우 나쁘다)를 1점, 매우 강하다(매우 좋다)를 7점으로 하여 각 특성이 강하거나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평균값은 [표2]와 같다.
[표2]
Figure pat00002
상기 [표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대비군1,2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수한 식감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탄력성, 씸힘성, 목넘김성은 대비군1,2에 비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충전물 배합 및 충전물 구성성분의 특정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비군1,2에 비해 단맛이 매우 적게 느껴짐을 알 수 있으며, 연령에 관계없이 남녀노소 웰빙 영양식으로 편하게 즐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외피 8?12 중량부, 충전물 30?35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물은 흰강낭콩과 고구마로 이루어진 앙금 100 중량부, 구운호두 6?11 중량부, 입도 0.2?0.6㎜의 무화과 8?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앙금은 흰강낭콩 앙금 100 중량부에 고구마 앙금 30?60 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중력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4?26 중량부
    설탕 70?75중량부, 계란 30?35중량부, 베이킹 소다 1.0?1.6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은 비중 0.80?0.8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에는 0.05㎜ 이하의 구운땅콩 6?11 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5. 흰강낭콩과 고구마로 이루어진 앙금 100 중량부에, 구운호두 6?11 중량부, 0.2?0.6㎜ 무화과 8?15중량부를 혼합하여 충전물을 형성하는 충전물 형성단계;
    상기 충전물을 외피에 의해 포앙하고 성형틀에 의해 형태를 잡아 초기빵을 형성하는 모양단계;
    상기 초기빵의 윗면에 계란 노른자를 발라 예열된 오븐에서 285?300℃ 에서 4?8 분간 굽는 최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제조방법.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앙금은 흰강낭콩 앙금 100 중량부에 고구마 앙금 30?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앙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제조방법.
  7.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구운호두는 세척된 호두를 170?200℃ 에서 6?12분 정도 갈색이 되도록 구운 후,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제조방법.
  8.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무화과는 건무화과 100 중량부를 정수물에 세척한 후, 끓는 물 250?400 중량부에 10?20분 넣어 익히고, 이를 체에 거른 다음, 분쇄기에 의해 0.6㎜ 이하의 입도를 구비하도록 곱게 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제조방법.
  9.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 형성단계는 0.05㎜ 이하의 구운땅콩 6?11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충전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제조방법.
  10.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설탕, 계란, 베이킹 소다를 넣어 혼합액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액을 주걱으로 저어 기포를 형성하는 기포형성단계;
    상기 기포형성단계 후, 혼합액에 정수물 및 중력분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하는 혼합단계;
    상기 반죽을 3?15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제조방법.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기포형성단계는 설탕 70?75중량부, 계란 30?35중량부, 베이킹 소다 1.0?1.6중량부를 용기내에 넣고, 주걱을 이용하여 3?5분정도 저어 혼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제조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은 비중 0.80?0.8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 제조방법.
KR1020110053902A 2011-06-03 2011-06-03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 KR10126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02A KR101263588B1 (ko) 2011-06-03 2011-06-03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02A KR101263588B1 (ko) 2011-06-03 2011-06-03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61A true KR20120134761A (ko) 2012-12-12
KR101263588B1 KR101263588B1 (ko) 2013-05-13

Family

ID=4790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902A KR101263588B1 (ko) 2011-06-03 2011-06-03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5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64B1 (ko) 2016-12-12 2017-04-13 주식회사 비엔씨제과 고구마 앙금빵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9294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로크 저지방-저열량성과 취식감이 우수한 흰강낭콩 만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661B1 (ko) * 2017-09-04 2019-06-07 장유경 저당앙금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75254B1 (ko) 2018-07-12 2020-03-17 신성호 고구마 케익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8641A (ko) 2019-01-15 2020-07-23 농업회사법인 잠(유) 흑미앙금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64B1 (ko) 2016-12-12 2017-04-13 주식회사 비엔씨제과 고구마 앙금빵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9294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로크 저지방-저열량성과 취식감이 우수한 흰강낭콩 만두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588B1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19045B2 (en) Hollow confection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58816B1 (ko)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호두과자
CN104957225A (zh) 一种高纤维玉米蛋糕及其制备方法
KR101263588B1 (ko) 흰강낭콩앙금과 고구마앙금을 이용한 영양빵과 그 제조방법
RU2548501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учных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с плодоовощной добавкой для питания детей школьного возраста
CN104186617A (zh) 发芽糙米太阳饼及其制备方法
US20190082724A1 (en) Pea fiber product
CN107279225A (zh) 一种含胶原蛋白的高蛋白高膳食纤维饼干及其制备方法
KR101446547B1 (ko) 튀김 소보로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KR101220418B1 (ko) 생콩가루 혼합 쌀가루 및 이를 이용한 쌀과자 제조방법
KR102162688B1 (ko) 쌀눈 및 보리순을 이용한 머랭의 제조방법
Sanni et al. Quality assessment of cookies made from composite flour of wheat, sorrel seed protein isolate and yellow cassava flours
KR100828089B1 (ko) 흑미와 복분자를 첨가한 꽈배기의 제조방법.
KR20170075492A (ko) 유자분말이 첨가된 쉬폰 케이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1921A (ko) 곡물이 함유된 마카롱의 제조방법
CN110338203B (zh) 一种健康型夏威夷果曲奇饼干及其制备方法
KR101771308B1 (ko)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KR101346789B1 (ko) 감귤 호두과자와 그 제조방법
KR20180128772A (ko) 핫도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핫도그의 제조방법
KR20080087544A (ko) 흑미와 복분자를 첨가한 꽈배기의 제조방법.
CN108157454A (zh) 一种薏苡小麻花及其制备方法
KR102543668B1 (ko) 고구마빵 제조방법
RU2787842C1 (ru) Мучное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бисквит шоколадный низкокалорийный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KR20180092622A (ko) 입장 거봉 포도를 함유하는 제과 내지 빵 및 그 제조방법
JP3063268U (ja) 玄米粉を主原料とする焼成菓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