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308B1 -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308B1
KR101771308B1 KR1020150099911A KR20150099911A KR101771308B1 KR 101771308 B1 KR101771308 B1 KR 101771308B1 KR 1020150099911 A KR1020150099911 A KR 1020150099911A KR 20150099911 A KR20150099911 A KR 20150099911A KR 101771308 B1 KR101771308 B1 KR 10177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eight
mixing
syrup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569A (ko
Inventor
이상호
나혜진
백진우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고성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고성군 filed Critical 경상남도 고성군
Priority to KR102015009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3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3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3/36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23V2250/284Oligosaccharides, non digestib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32Gelat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쌀가공식품을 생산하되 설탕 또는 물엿을 대체할 수 있고 영양학적 생리효과가 증가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은 쌀튀밥 제조를 위한 원료미의 최초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원료미의 수분 함량이 13 내지 14 중량%가 되도록 45℃에서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한 원료미를 퍼핑머신을 이용하여 쌀튀밥을 제조하되, 상기 퍼핑머신의 온도는 245 내지 255℃이고 15분 동안 실시하는 제 3단계; 상기 제조된 쌀튀밥에 기능성 건강원료를 혼합하여 쌀튀밥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젤라틴을 4 내지 5℃의 물에 5분 동안 팽윤시키는 제 5단계; 상기 팽윤된 젤라틴을 65℃로 가온하며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용해하는 제 6단계; 상기 용해된 젤라틴을 이소말토올리고당과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쌀튀밥 혼합물과 상기 시럽을 혼합조에 넣고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쌀튀밥강정원물을 제조하는 제 8단계; 상기 쌀튀밥강정원물을 성형틀에 넣고 성형을 진행하되, 상기 성형틀은 미리 유지를 발라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단계; 상기 성형이 완료된 쌀튀밥강정원물을 냉각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동하여 급속냉각을 진행하여 상기 쌀튀밥강정원물 내부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제 10단계; 상기 급속냉각된 쌀튀밥강정을 포장하여 20 내지 25℃에서 저장하는 제 11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popped rice gangjeong of functional health}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쌀가공식품을 생산하되 설탕 또는 물엿을 대체할 수 있고 영양학적 생리효과가 증가 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 국가에서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쌀 생산량의 95% 이상이 밥 형태로 소비되고 있는 주요 식량 자원이다.
한편, 식생활의 변화, 바쁜 라이프 스타일, 싱글족 증가, 아침을 거르는 인구 증가 등으로 밥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쌀 수입 실적은 해마다 증가하는 반면 국내 쌀 생산량은 매년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국내 쌀 재고량은 2010년 기준 적정 재고량인 72만 톤의 2배가 넘은 140여만 톤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출처: 2010년 전체 쌀 재고량은 약 140만톤 수준 전망, 농림수산식품부 2010).
또한, 쌀 재고량 증가에 따라 정부의 보관료도 연간 6,000억 원에 이르고 있고, 쌀값도 해마다 떨어져 농민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려 새로운 시장 창출을 통한 쌀소비량 증가가 필요하며, 대표적인 시장이 쌀가공식품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조되어 시중에 판매되는 과자류는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의 간식으로 이용되는데, 시중에 판매 중인 과자류는 대부분 소맥분과 변성전분, 설탕, 합성첨가물 등을 주로 사용하고 기름에 튀긴 유탕처리 제품이 대다수이다. 이는 영양 밀도가 낮은 일명 정크푸드(junk food)로 신체가 발달하고 성장하는 시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는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쌀가공식품에는 설탕 또는 물엿을 사용하여 당류 섭취를 주의해야 하는 환자 또는 웰빙 가공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에게 기호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47162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쌀가공식품을 생산하되 설탕 또는 물엿을 대체할 수 있고 영양학적 생리효과가 증가된 쌀가공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은 쌀튀밥 제조를 위한 원료미의 최초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원료미의 수분 함량이 13 내지 14 중량%가 되도록 45℃에서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한 원료미를 퍼핑머신을 이용하여 쌀튀밥을 제조하되, 상기 퍼핑머신의 온도는 245 내지 255℃이고 15분 동안 실시하는 제 3단계; 상기 제조된 쌀튀밥에 기능성 건강원료를 혼합하여 쌀튀밥 혼합물을 제조하는 4단계; 젤라틴을 4 내지 5℃의 물에 5분 동안 팽윤시키는 제 5단계; 상기 팽윤된 젤라틴을 65℃로 가온하며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용해하는 제 6단계; 상기 용해된 젤라틴을 이소말토올리고당과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쌀튀밥 혼합물과 상기 시럽을 혼합조에 넣고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쌀튀밥강정을 제조하는 제 8단계; 상기 쌀튀밥강정을 성형틀에 넣고 성형을 진행하되, 상기 성형틀은 미리 유지를 발라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단계; 상기 성형이 완료된 쌀튀밥강정을 냉각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동하여 급속냉각을 진행하여 상기 쌀튀밥강정 내부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제 10단계; 상기 급속냉각된 쌀튀밥강정을 포장하여 20 내지 25℃에서 저장하는 제 11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쌀가공식품을 생산하되 설탕 또는 물엿을 대체할 수 있고 영양학적 생리효과가 증가 된 쌀가공식품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뇌발달, 골격 및 성장,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성장촉진 및 면역증강 효과에 탁월한 쌀튀밥강정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장 적절한 수분함량을 포함하여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을 포함하는 쌀튀밥강정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관능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식물성 DHA와 모싯잎분말을 첨가한 쌀튀밥강정 사진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쌀가공식품을 생산하되 설탕 또는 물엿을 대체할 수 있고 영양학적 생리효과가 증가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1단계(S10)는 쌀튀밥 제조를 위한 원료미의 최초 수분 함량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미는 햅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는 상기 원료미의 총 수분 함량이 13 내지 14 중량%가 되도록 45℃에서 건조한다.
상기 원료미의 총 수분함량이 13 중량% 미만인 경우 하기 제 3단계(S30)에서 제조된 쌀튀밥의 고소한맛과 바삭한 식감이 낮아지고 퍼핑시 쌀의 겉과 내부가 탄화되어 쌀튀밥강정의 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원료미의 총 수분함량이 14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고소한 맛이 떨어지고 푸석푸석한 식감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건조를 45℃ 미만으로 할 경우 건조 시간이 오래 결려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45℃를 초과하여 건조할 경우 상기 원료미의 총 수분 함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 상기 건조한 원료미를 퍼핑머신을 이용하여 쌀튀밥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핑머신의 온도는 245 내지 255℃이고 15분 동안 실시한다.
상기 퍼핑머신은 압력솥 내에 곡물을 넣고 압력뚜껑으로 밀폐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게 되면 곡물 내부의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압력솥 내부의 압력이 급상승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압력뚜껑을 개방하는 경우 곡물이 급팽창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곡물을 가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퍼핑머신의 온도가 245℃ 미만일 경우 상기 쌀튀밥의 식감 및 성상의 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퍼핑머신의 온도가 255℃를 초과할 경우 내상기 쌀튀밥의 수분이 낮아져 고소한 맛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5분 미만으로 제조할 경우 상기 원료미의 압력이 충분히 높지 않아 식감 및 성상의 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15분을 초과하여 제조할 경우 상기 원료미 표면이 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는 상기 제조된 쌀튀밥에 기능성 건강원료를 혼합하여 쌀튀밥 혼합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로 클로렐라추출물 0.35 중량부, 모싯잎분말을 0.8 중량부를 혼합하여 성장촉진 기능성분을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로렐라추출물(Chlorella ellipsoidea)은 민물에서 자란 녹조류(綠藻類)에 속하는 단세포 생물로 광합성 능력이 강한 것이 특색이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로렐라의 엽록체 속에는 클로렐라 에키스(클로렐라의 성장인자; Chlorella Growth Factor)가 들어 있어 질병의 예방과 치료, 건강유지에 유효하며, 그 밖에도 단백질(60%), 엽록소, 무기질, 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동물체 내에서 단백질의 합성을 왕성하게 해주는 등의 작용을 한다.
<클로렐라 영양소 성분>
영양소 함유비율
단백질 53~63 %
지 방 7.5~12 %
당 질 18~27 %
섬유소 2.5~11 %
미네랄(칼슘, 철 등) 5~8 %
1000~2000 mg%



비타민
A 100~300 mg%
B1 0.4~2.4 mg%
B2 2.1~5.8 mg%
B6 0.9~2.3 mg%
B12 0.2~0.4 mg%
C 200~500 mg%
엽록소 3~4 mg%
상기 모싯잎(Boehmeria nivea L.)은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쐐기풀과 (Uritic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ramie 또는 저마라고도 하며,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며, 현재 한국, 중국, 필리핀, 인도 등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습기가 많고 따뜻한 지방에서 서식한다. 모싯잎은 약용과 식용으로 널리 쓰여 식품으로 사용하는 데에 안전성에 문제가 없을 뿐 만 아니라, 최근에는 모싯잎차, 모시떡 등의 가공제품들이 잇따라 출시되어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모싯잎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은 주로 식물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에 비하면 흡수율이 낮지만 그 함량 자체가 35배 가량 높아 어린이의 키성장 및 성인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공통적인 기능성인자로 전연령층에 효과적인 성분이다. 또한, 상기 모싯잎분말에는 약 38%의 식이섬유도 함유되어 있어 체중 증가에 대해 우려를 조금이나마 낮춰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는 클로렐라추출물과 모싯잎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로렐라추출물은 임상실험 결과에 따르면 30mg/day 농도로 1,3,5학년 남녀 어린이 676명에게 100일간 투여한 실험결과 성장촉진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촉진 효능이 입증된 CGF를 제품 100g당 350mg 수준으로 하여,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로 클로렐라추출물 0.3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싯잎분말은 모싯잎분말은 모싯잎을 건조 후 분말화한 것으로 모싯잎 잎자루를 떼어내고 깨끗한 물로 씻어내 떫은맛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친 뒤 건조하여 미세 분말화한 제품이다. 특유의 색과 향을 가지고 있어 이를 고려하여 제품에 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싯잎 분말은 짙은 녹색을 띄며 강한 풀냄새가 나기 때문에 배합비율에 따른 기호도가 달라진다. 모싯잎분말을 0.05%에서부터 1.05%까지 분말상태로 튀밥과 혼합 후 제조한 결과 1.00% 이상부터는 강한 풀냄새와 짙은 색깔로 인해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0.05∼0.06% 배합제품의 경우 모싯잎분말의 함량이 적어 고루 섞였다고는 하나 전체적으로 색감이 옅어 기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배합비율은 0.08∼1.00% 사이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로 모싯잎분말을 0.8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로 클로렐라추출물 0.35 중량부, 식물성 DHA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두뇌활성 기능성분을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DHA(Docosa Hexaenoic Acid)는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이고, 두뇌 세포의 가장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두뇌 활성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사람의 뇌 세포막은 지방 60% , DHA 성분 30%로 되어 있는데 DHA는 육류나 채소류 등에 거의 존재하지 않고 또한 체내에서 자발적으로 생산되지도 않기 때문에 반드시 외부로부터 공급되어져야 하는 특성이 있다.
상기 DHA성분은 학습능력과 기억력을 유지 강화하는 데 매우 유용한 불포화 지방산으로, 뇌세포의 막 구조를 소프트하게 유지시켜 정보의 전달 속도를 높혀 기억력과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산모에게 DHA가 부족할 경우 미숙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아이들의 경우 학습 장애를 유발하고 또한 노인 분들은 치매가 빨리올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DHA는 망막을 이루는 중요 성분으로 부족할 경우 시력이 나빠지고 퇴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눈의 피로를 가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국립보건원에서 제시한 7세 어린이 하루 섭취 권장량을 보면 220mg이상으로 권장하고 있다. 본 개발 제품의 함량은 105mg 정도로 권장량의 약 50% 수준인데 간식으로 섭취한다고 봤을 때 높은 수준의 DHA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DHA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두뇌활성 기능성분을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는 젤라틴 0.8 중량부를 4 내지 5℃의 정제수 4.8중량부에 5분 동안 팽윤시킨다.
상기 젤라틴은 하기의 이소말토올리고당의 부족한 접착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천연첨가물로서 상기 4 내지 5℃의 찬물에 5분 동안 팽윤하면 가장 효과적인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다음으로, 제 6단계(S60)는 상기 팽윤된 젤라틴을 65℃로 가온하며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용해한다.
상기 팽윤된 젤라틴을 65℃ 미만으로 교반할 경우 온도가 낮아 젤라틴의 용해가 충분히 시행되지 않을 수 있고 65℃를 초과하여 교반할 경우 상기 젤라틴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7단계(S70)는 상기 용해된 젤라틴을 이소말토올리고당과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시럽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젤라틴 0.7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말토올리고당 29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설탕을 대체한 시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건강 기능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쌀튀밥강정에 사용할 수 있는 당류로는 최종 제품의 색감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어느 정도의 단맛이 있고 쌀튀밥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는 물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당류 자체의 영양학적 생리효과가 있다면 더욱 좋은 소재라 할 수 있겠다. 하기 [표 2] 에서는 여러 당류 소재 중에 쌀튀밥강정에 어울리는 당류를 조사하였다. 쌀튀밥강정 제품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설탕을 비롯하여 물엿, 저감미물엿, 이소말토올리고당 등을 검토하였다.
구 분 설탕 물엿(맥아엿) 물엿(저감미) 이소말토올리고당
Origin 사탕수수 옥수수전분 옥수수전분 옥수수전분
고형분함량(%) 100 59 20 75~77
감미도(설탕대비) 100 40 25 40
소화흡수여부 ×
기존 시중 쌀튀밥강정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당류는 설탕과 물엿으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미도가 높고 체내에서 모두 소화 흡수되어 열량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저감미물엿은 설탕 대비 25% 정도의 당도를 가지는 당이며 물엿과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감미도에서 차이가 있다.
이소말토올리고당은 감미도가 설탕 대비 40정도로 낮고, 당결합의 구조적 차이로 인해 체내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고, 대장까지 이동되어 장내 유익세균인 Bifidus균의 성장인자(Growth-factor)로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포도당 당량(DE)이 27∼30으로 물엿(DE40)대비 흡습성이 낮고, 열 및 산에 대체로 안정하여 식품 가공 시 당 성분의 분해가 없으며 식품의 색상이 잘 변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당류의 부족한 접착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천연첨가물 젤라틴을 사용하여 상기 젤라틴 0.7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말토올리고당 29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해된 젤라틴 0.7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말토올리고당 29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본 발명의 쌀튀밥강정이 내부에서 서로 잘 붙어있지 못하고 낱알이 쉽게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바삭한 식감이 낮아져 소비자의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8단계(S80)는 상기 쌀튀밥 혼합물과 상기 시럽을 혼합조에 넣고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쌀튀밥강정원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쌀튀밥강정원물은 상기 쌀튀밥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시럽 0.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쌀튀밥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시럽 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단맛이 낮아져 선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시럽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바삭한 식감이 낮아져 선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조건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9단계(S90)는 상기 쌀튀밥강정원물을 성형틀에 넣고 성형을 진행하되, 상기 성형틀은 미리 유지를 바른다. 구체적으로, 상기 쌀튀밥강정원물 9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지 1 중량부를 상기 성형틀에 미리 발라 들러붙지 않도록 하여 성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10단계(S100)는 상기 성형이 완료된 쌀튀밥강정원물을 냉각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동하여 급속냉각을 진행하여 상기 쌀튀밥강정원물 내부의 결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쌀튀밥강정원물은 수분에 매우 민감하므로 상기 냉각컨베이어벨트를에서 수분흡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11단계(S110)는 상기 급속냉각된 쌀튀밥강정원물을 포장하여 20 내지 25℃에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제품은 서늘하고 건조한 창고에서 보관하여 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제조시 사용되는 원료미 수분함량, 이소말토올리고당과 젤라틴의 배합 비율, 완제품 배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의 관능평가 실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ㄱ. 원료미 수분함량에 따른 관능평가
본 실험에서는 원료미의 수분 함량에 따른 상기 쌀튀밥의 특성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퍼핑 온도는 250℃를 기준으로 퍼핑을 실시하였고, 상기 원료미의 수분함량은 햅쌀을 구매하여 농산물건조기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건조 후 사용하였다.
원료미의 수분 함량에 따른 쌀튀밥의 특성을 관능검사에 경험이 많은 전문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2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관능 검사실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1점: 대단히 싫다, 2점: 싫다, 3점: 조금 싫다, 4점: 보통이다, 5점: 조금 좋다, 6점: 좋다, 7점: 대단히 좋다 로 항목을 나누어 테스트하였다.
9∼10
(9.3)*
11∼12
(11.2)
13∼14
(13.4)
15∼16
(15.2)
17∼18
(17.5)
퍼핑 후
수분함량
3.1 6.1 8.9 10.2 13.3
고소한맛 1.2 3.1 4.2 3.8 3.2
바삭한 식감 1.1 3.8 4.1 3.9 2.1
원료미의 수분함량에 따른 퍼핑테스트 결과 수분함량 13∼14% 원료미가 식감과 고소한 맛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고, 비교적 수분함량이 높은 16% 이상의 경우 고소한 맛이 떨어지고 푸석푸석한 식감을 나타냈다. 반면 수분함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퍼핑시 쌀의 겉과 내부가 탄화되어 쌀튀밥강정의 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쌀튀밥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반 햅쌀의 경우 수분함량이 16~17% 정도이므로 전처리 건조가 필요하다.
ㄴ. 배합비율 테스트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당류로 선정한 이소말토올리고당은 가온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설탕용액이나 물엿 대비 끈적임이 적다. 이 점은 손으로 만졌을 때 시중제품보다 끈적거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 쌀튀밥 원료들을 서로 접착하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당류의 부족한 접착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천연첨가물 젤라틴을 사용하여 [표 3]과 같은 배합비율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설탕 35 - - - -
물엿 - 35 - - -
이소말토
올리고당
- - 35 32 29
쌀튀밥 65 65 65 68 71
젤라틴 - - - - -
정제수 - - - - -
합계
100 100 100 100 100
구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설탕 - - - - - -
물엿 - - - - - -
이소말토
올리고당
35 32 29 35 32 29
쌀튀밥 59.4 62.4 65.4 58.7 61.7 64.7
젤라틴 0.8 0.8 0.8 0.9 0.9 0.9
정제수 4.8 4.8 4.8 5.4 5.4 5.4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구분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설탕 - - -
물엿 - - -
이소말토
올리고당
35 32 29
쌀튀밥 58 61 64
젤라틴 1.0 1.0 1.0
정제수 6.0 6.0 6.0
합계 100 100 100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씹힘성(튀밥들이 서로 잘 붙어있지 못하고 낱알이 쉽게 부서질수록 낮은 점수 부여), 바삭한 식감, 단맛, 전체 기호도를 7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점수는 1점: 대단히 싫다, 2점: 싫다, 3점: 조금 싫다, 4점:보통이다, 5점: 조금 좋다, 6점: 좋다, 7점: 대단히 좋다 로 항목을 나누었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씹힘성 2.6 2.5 3.6 3.3 3.2
바삭한식감 2.9 2.8 3.0 3.1 2.9
단맛 3.3 3.5 4.6 4.4 4.5
전체적인
기도호
3.5 3.6 3.8 3.5 3.9
구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씹힘성 5.0 5.3 5.4 4.0 4.1 4.0
바삭한식감 4.9 5.2 5.3 4.5 4.3 4.5
단맛 4.6 4.4 4.5 4.9 4.4 4.5
전체적인
기도호
5.4 5.5 6.5 3.9 3.9 4.2
구분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씹힘성 3.0 3.0 3.3
바삭한식감 3.1 3.3 3.5
단맛 4.5 4.3 4.1
전체적인
기도호
3.3 3.9 3.8
씹힘성으로 본 튀밥과 시럽의 접착성은 젤라틴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당류 함량이 높을수록 좋게 나타났다. 젤라틴을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당류 함량과는 크게 상관이 없었고, 젤라틴 함량에 따른 차이는 현저하게 나타났다. 젤라틴 0.8%에서 씹힘성이 좋게 나타났고, 함량이 높아질수록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바삭한 식감은 당류의 배합량과는 크게 상관없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나 젤라틴 함량에 따라서는 크게 좌우되었다. 젤라틴을 사용하지 않은 실험군의 경우 당류 자체만으로 쌀튀밥을 접착해야 하는데 설탕이나 물엿만큼의 점성을 갖지 못하는 이소말토올리고당으로 쌀튀밥을 단단하게 접착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었고, 쉽게 부스러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기호도까지도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젤라틴을 사용한 실험군은 젤라틴 0.9%까지는 보통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으나 1.0% 사용 실험군에서는 선호도가 크게 떨어졌다. 이는 젤라틴을 당류 함량 대비 적정 함량 이상으로 배합할 경우 물성 자체가 질겨져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단맛은 당류 함량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인 선호도는 젤라틴 0.8%를 사용한 실험군이 타 실험군에 비해 좋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특히 이소말토올리고당 함량이 29%일 때 가장 좋게 나타났다.
ㄷ. 완제품 관능평가
고성 생명환경쌀을 이용한 쌀튀밥강정과 시중에서 구매한 A사 제품의 쌀튀밥강정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색상, 향(이취), 단맛, 씹힘성, 전반적 기호도에 대해 7점 척도법을 실시하였다.
기호도의 경우는 1점: 대단히 싫다, 2점: 싫다, 3점: 조금 싫다, 4점: 보통 이다, 5점: 조금 좋다, 6점; 좋다, 7점; 대단히 좋다 로 항목을 나누었고, 정도의 경우는 1점: 대단히 약하다, 2점: 약하다, 3점: 조금 약하다, 4점: 보통이다, 5점: 조금 강하다, 6점: 강하다, 7점: 대단히 강하다로 항목을 나누었다.
시료는 제조 후 수분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수분흡수제를 투입한 밀봉 제품으로 개별 포장하여 제공하였다. 색상 구별이 용이하도록 흰색 그릇에 시료를 제공하였으며, 각 평가 때 마다 물로 입을 헹군 후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이번 실험에 참여한 패널은 관능검사에 경험이 많은 외부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5명씩 관능검사실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내용은 쌀튀밥강정의 선호도로 전체적인 기호도, 색상, 향(이취), 맛(단맛), 씹힘성을 평가하였다. 선호도의 경우는 선호도가 높을수록 7점에 가깝게, 낮을수록 1점에 가깝게 점수를 주도록 하였고, 정도의 경우도 맛이나 향이 강할수록 7점에 가깝게, 약할수록 1점에 가깝게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검사 중 패널간의 소통을 금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검사시간은 최소 10분으로 하여 충분한 시간 동안 시료를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관능검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시료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PASW Statistics 18 program을 통하여 분산분석으로 3가지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비교예 1]
시중에서 구매한 A사 제품의 쌀튀밥강정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제조하되,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로 클로렐라추출물 0.35 중량부, 모싯잎분말을 0.8 중량부를 혼합하여 성장촉진 기능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제조하되,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로 클로렐라추출물 0.35 중량부, 식물성 DHA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두뇌활성 기능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평가항목 Sample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전체적인 기호도 4.03 5.00 5.10

선호도
색상 3.83 4.30 4.33
향(이취) 3.10 5.07 5.30
단맛 4.37 4.40 4.45
씹힘성 4.10 4.70 4.97

선호도
색상 4.03 4.27 4.33
향(이취) 2.83 4.33 4.53
단맛 4.50 4.60 4.73
씹힘성 4.10 4.70 4.97
상기 [표 6]과 하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기호도는 [실시예 2]와 [실시예 3]이 [비교예 1]에 비해 유의차 있게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색상과 단맛에 대한 선호도는 3가지 샘플에서 유의차가 없었으며, 향(이취)과 씹힘성에서는 [비교예 1]이 유의차 있게 낮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씹힘성의 경우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과 결과 값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시중 판매제품과 개발제품의 바삭한 정도의 선호도는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정도 측정 항목에서는 선호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역시 색상과 단맛은 유의차가 없었으며 향과 씹힘성만 [비교예 1]이 유의차 있게 낮은 평가를 받았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쌀가공식품을 생산하되 설탕 또는 물엿을 대체할 수 있고 영양학적 생리효과가 증가 된 쌀가공식품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뇌발달, 골격 및 성장,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성장촉진 및 면역증강 효과에 탁월한 쌀튀밥강정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장 적절한 수분함량을 포함하여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을 포함하는 쌀튀밥강정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쌀튀밥 제조를 위한 원료미의 최초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최초 수분 함량을 측정한 원료미의 총 수분 함량이 13 내지 14 중량%가 되도록 45℃에서 건조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건조한 원료미를 퍼핑머신을 이용하여 쌀튀밥을 제조하되, 상기 퍼핑머신의 온도는 245 내지 255℃이고 15분 동안 실시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제조된 쌀튀밥에 기능성 건강원료를 혼합하여 쌀튀밥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S50. 젤라틴을 4 내지 5℃의 물에 5분 동안 팽윤시키는 제 5단계
S60. 상기 팽윤된 젤라틴을 65℃로 가온하며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용해하는 제 6단계
S70. 상기 용해된 젤라틴을 이소말토올리고당과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제 7단계
S80. 상기 쌀튀밥 혼합물과 상기 시럽을 혼합조에 넣고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쌀튀밥강정을 제조하는 제 8단계
S90. 상기 쌀튀밥강정을 성형틀에 넣고 성형을 진행하되, 상기 성형틀은 미리 유지를 발라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단계
S100. 상기 성형이 완료된 쌀튀밥강정을 냉각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동하여 급속냉각을 진행하여 상기 쌀튀밥강정 내부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제 10단계
S110. 상기 급속냉각된 쌀튀밥강정을 포장하여 20 내지 25℃에서 저장하는 제 11단계

Claims (5)

  1. 쌀튀밥 제조를 위한 원료미의 최초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원료미의 수분 함량이 13 내지 14 중량%가 되도록 45℃에서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한 원료미를 퍼핑머신을 이용하여 쌀튀밥을 제조하되, 상기 퍼핑머신의 온도는 245 내지 255℃이고 15분 동안 실시하는 제 3단계;
    상기 제조된 쌀튀밥 65.4중량부에 대해 기능성 건강원료를 혼합하여 쌀튀밥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젤라틴 0.8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5℃의 정제수 4.8 중량부에 5분 동안 팽윤시키는 제 5단계;
    상기 팽윤된 젤라틴을 65℃로 가온하며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용해하는 제 6단계;
    상기 용해된 젤라틴을 이소말토올리고당과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쌀튀밥 혼합물과 상기 시럽을 혼합조에 넣고 65℃로 가온하며 혼합하여 쌀튀밥강정원물을 제조하는 제 8단계;
    상기 쌀튀밥강정원물을 성형틀에 넣고 성형을 진행하되, 상기 성형틀은 미리 유지를 발라두고 상기 쌀튀밥강정 9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지 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9단계;
    상기 성형이 완료된 쌀튀밥강정원물을 냉각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동하여 급속냉각을 진행하여 상기 쌀튀밥강정원물 내부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제 10단계;
    상기 급속냉각된 쌀튀밥강정원물을 포장하여 20 내지 25℃에서 저장하는 제 11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7단계에서,
    상기 용해된 젤라틴에 대하여 이소말토올리고당 29 중량부를 혼합하여 설탕을 대체한 시럽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쌀튀밥강정은 상기 쌀튀밥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시럽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로 클로렐라추출물 0.35 중량부 및 모싯잎분말을 0.8 중량부를 혼합하여 성장촉진 기능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튀밥 63.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능성 건강원료로 클로렐라추출물 0.35 중량부, 식물성 DHA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두뇌활성 기능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50099911A 2015-07-14 2015-07-14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KR10177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11A KR101771308B1 (ko) 2015-07-14 2015-07-14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11A KR101771308B1 (ko) 2015-07-14 2015-07-14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69A KR20170008569A (ko) 2017-01-24
KR101771308B1 true KR101771308B1 (ko) 2017-08-24

Family

ID=5799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911A KR101771308B1 (ko) 2015-07-14 2015-07-14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18B1 (ko) 2018-11-16 2020-02-25 조성희 꽃 강정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558B1 (ko) * 2018-04-04 2020-02-20 주식회사 농업법인장원식품 오브라이트를 포함하는 감귤 튀밥 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23B1 (ko) * 2004-12-22 2005-06-03 충청북도 기능성 쌀스낵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20B1 (ko) 2002-10-01 2005-03-10 이인숙 찹쌀강정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23B1 (ko) * 2004-12-22 2005-06-03 충청북도 기능성 쌀스낵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18B1 (ko) 2018-11-16 2020-02-25 조성희 꽃 강정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69A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mtiaz et al. Evaluation of weaning foods formulated from germinated wheat and mungbean from Bangladesh
CN101380071B (zh) 非油炸青稞方便面及其制作方法
KR101107848B1 (ko) 고령자용 기능성 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66847A (zh) 一种适用于糖尿病患者的低gi月饼及其制备方法
KR101428862B1 (ko) 현미유자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Edima-Nyah et al. Development and quality assessment of breakfast cereals from blends of whole yellow maize (Zea mays), soybean (Glycine max) and unripe Banana (Musa sapientum)
Edima-Nyah et al. In-vitro digestibility, glycemic index, nutri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kfast cereals developed from flour blends of yellow maize, soybeans, and unripe banana
KR102051623B1 (ko) 홍삼분말을 포함하는 홍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1308B1 (ko)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CN103300294A (zh) 一种青稞豌豆营养粉及其制备方法
KR101747793B1 (ko) 꾸지뽕의 풍미가 있는 떡의 제조방법
KR102125029B1 (ko)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팽화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82992B1 (ko) 발아귀리를 이용한 과일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과일떡
CN101461400A (zh) 一种咸蛋糕及其制做方法
KR20180128772A (ko) 핫도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핫도그의 제조방법
KR101568059B1 (ko) 천연 색동 비타민 약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4442B1 (ko) 발아 현미 조청을 이용한 저열량 한과의 제조방법
KR101832248B1 (ko) 고구마 조청이 첨가된 유과와 그 제조방법
KR101836040B1 (ko) 기능성 식품을 갖는 곶감강정 제조 방법
KR101894985B1 (ko) 홍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
CN105053839A (zh) 一种紫葡萄味紫薯面条及其制备方法
CN104381904A (zh) 一种麻辣魔芋方便食品及其制备方法
CN104381915A (zh) 一种速溶魔芋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494049A (zh) 一种复合香蕉酱及其制备方法
KR102425902B1 (ko) 반려동물용 라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