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168A -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168A
KR20120131168A KR1020127022036A KR20127022036A KR20120131168A KR 20120131168 A KR20120131168 A KR 20120131168A KR 1020127022036 A KR1020127022036 A KR 1020127022036A KR 20127022036 A KR20127022036 A KR 20127022036A KR 20120131168 A KR20120131168 A KR 20120131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film
hard
coat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아사이
유키오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423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779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819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2125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615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205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9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28157A/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1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8Vinyl-type polym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6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78 ? 90°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하드 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은 손가락 입력 방식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내지문성이 우수하고,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밀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광학 검사를 교란시키는 결함점이 없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고도의 막두께 균일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HARD COAT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하트 코트층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패널이 맨/머신 인터페이스로서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터치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상에, 투명 내지 반투명의 입력 디바이스를 직접 설치함으로써, 화면을 보면서 입력 조작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은 정보의 입력이 용이하기 때문에 누구라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문자나 그림의 입력도 가능한 점에서, 많은 용도에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의 용도는 다방면에 걸쳐져 있고, 예를 들어 ATM 단말, 카내비게이션 시스템, 스마트폰, 휴대형의 음악 재생 단말, 게임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의 동작 원리로서는,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의 각종 방식이 있다. 이 중, 저항막 방식은 중 ? 소형의 터치 패널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사용하는 필름의 매수가 적기 때문에 투명성이 우수하고, 도전막끼리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마모에 의한 열화가 없고, 또한 복수 점에 있어서의 검지가 가능하다는 등의 이유에서, 최근 흔히 사용되게 되었다.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 방법으로서는, 상기 각 용도에 따라, 주로 사람의 손가락으로 입력하는 방법과 플라스틱제의 스타일러스 펜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터치 패널의 구조는 채용하는 방식 및 입력 방법에 따라 상이한데, 적어도 편측의 표면 상에 하드 코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상에, 경도가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하드 코트 필름은 터치 패널 표면 중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실시하는 외표면측, 즉 디스플레이가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만 형성되는 경우와, 터치 패널의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하드 코트 필름에는, 여러 가지 성능이 요구되고 있고, 많은 요청을 동시에 만족시킬 것이 요구된다.
먼저, 터치 패널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 필름은 고도의 막두께 균일성이 요구된다. 터치 패널의 외표면측에 형성되는 필름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된 광이 그 필름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인되기 때문에, 그 막두께는 사용자가 간섭 무늬를 인식하지 않을 정도로 고도로 균일한 것을 필요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측에 형성되는 필름의 경우에는, 터치 패널이 높은 투명성을 감쇄하지 않고, 그리고 터치 패널의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의 광학 검사를 저해시키지 않을 정도로 고도의 막두께 균일성을 필요로 한다.
다음으로, 입력 방법이 사람의 손가락으로 입력하는 「손가락 입력」 방식인 경우에는, 하드 코트 필름 표면에 부착되는 지문이 문제가 된다.
손가락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은, 종래는 예를 들어 카내비게이션 시스템 등과 같이, 고화질이 요구되지 않는 용도로 다용되고 있었다. 여기서는 고화질에 관한 요구는 그다지 높지 않고, 오히려 외광의 반사, 비침 방지의 목적에서, 안티글레어 처리한 하드 코트 필름 (AGHC) 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81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96781호). 이 AGHC 는 원래 희게 보이기 때문에, 지문은 원래 잘 보이지 않고, 그 때문에 지금까지 지문에 관한 문제는 그다지 중요시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손가락 입력 방식 터치 패널의 용도가 ATM 단말, 스마트폰, 휴대형의 음악 재생용 단말, 게임기 등으로 확산되어 감에 따라, 저헤이즈, 클리어감과 같은 고도의 화질 특성이 문제시되게 되어, 내지문성이 중요한 성능으로 되어 왔다. 여기서 내지문성이란, 지문이 부착되기 어려운 것, 및 부착된 지문이 용이하게 닦이는 것의 쌍방을 의미한다.
하드 코트 필름의 내지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드 코트층에 계면 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14355호에 있어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86584호에 있어서는 중합성 계면 활성제를,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0056호에 있어서는 HLB 값이 2 ? 15 의 범위에 있는 특정 구조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각각 하드 코트층에 함유시킴으로써 습윤성을 조정하고, 이로써 내지문성이 향상된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 의하면, 하드 코트층의 친유성이 너무 낮아져 그 결과로서 지문 닦임성이 아직 불충분한 것 외에, 지문 닦임성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아, 지문 닦음을 반복하여 실시하면, 지문이 서서히 닦아내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이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면, 하드 코트층과 기재 필름 내지 용이한 접착층과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내지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기와는 다른 방법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30562호에는 하드 코트 필름 표면을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상기 계면 활성제를 적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문제가 일어나는 것 외에, 제조 공정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비용상의 문제가 있다.
또, 고도의 화질이 요구되는 터치 패널의 용도에 있어서는, 표면 하드 코트층에, 미묘한 두께 불균일에 의한 간섭 얼룩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을 정도의 고도의 도포 외관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고도의 도포 외관을 실현하기 위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용 조성물에 고비점 용매를 이용하고, 이로써 도포막의 레벨링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비점 용매는 고화 후의 하드 코트층 내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고, 이후의 가열 공정, 진공 공정에 있어서 잔존 용매가 기화된 가스가 발생하여, 악취 문제, 증착?스퍼터 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경우에는, 그 구조 및 제조 방법에서 기인하는 특유의 문제점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기재 필름 상에, 패턴상 ITO 층을 갖는 필름 (예를 들어 PET 필름) 을 복수 장 적층하여 얻은 적층체를, 상기 기재 필름측을 디스플레이면 상에 얹음으로써 제조된다. 이 때, 많은 경우에는 PET 필름인 기재 필름이 반송 공정 등에 있어서 손상되기 쉬운 것이 문제가 된다. 공정 중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기재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공지된 하드 코트 재료는 밀착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ITO 층을 갖는 필름 및/또는 디스플레이면과의 첩합 (貼合) 에 지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매우 투명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 특징을 살리기 위해서, 그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에는, 크레이터링상의 결함점 내지 핀홀상의 결함점의 추가적인 억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보호 필름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의 제조시에 복수 회 실시되는 광학 검사는 상기 보호 필름을 장착한 채로 실시되게 된다. 그 때문에, 하드 코트층에 크레이터링상의 결함점 내지 핀홀상의 결함점이 존재하면, 광학 검사의 결과가 교란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보호 필름은 디스플레이측의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최종의 터치 패널 제품에 잔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드 코트 필름은 대개의 경우, 길이가 긴 필름으로 제조되고, 이것을 권회한 권회체로서 보존된다. 그러나, 하드 코트 필름이 갖는 하드 코트층은, 그 표면의 평활성이 일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활성이 열등하여, 롤 형상으로 권회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하드 코트 필름 상에 활성을 갖는 보호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로 한 후에 권회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들은, 공지된 재료를 이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여 권회체로 하면, 장기 보존 중에 하드 코트 필름에 함몰된 결함점 및/또는 돌출된 결함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아냈다. 결함점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을, 특히 터치 패널의 외표면측에 형성하면, 시인성을 크게 손상시키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권회체에 있어서의 상기 보호 필름은 터치 패널의 제조시에는 박리되어 최종의 터치 패널 제품 중에는 잔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예를 들어 손가락 입력 방식 터치 패널 등의, 손가락으로 접촉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내지문성이 우수함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도포 외관이 우수하고, 또 바람직하게는 잔류 용매가 적으며 ;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ITO 층을 갖는 필름 및/또는 디스플레이면과의 밀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터치 패널의 높은 투명성을 감쇄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결함점이 가급적으로 적고, 그리고 광학 검사를 교란시키는 결함점이 없고 ;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고도의 막두께 균일성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을 권회체로 하는 경우에는, 장기간 보존한 후에도 함몰된 결함점 및 돌출된 결함점이 발생하지 않는, 보호막이 부착된 하드 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첫째로,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78 ? 90°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상기 하드 코트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둘째로,
상기의 하드 코트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로서,
상기 보호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편면에 밀착층을 갖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의 비커스 경도가 0.70 이하인, 상기 적층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입력 방식 터치 패널 등의, 손가락으로 접촉되는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내지문성이 우수함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잔류 용매가 적고 ;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ITO 층을 갖는 필름 및/또는 디스플레이면과의 밀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광학 검사를 교란시키는 결함점이 없고 ;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고도의 막두께 균일성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을 권회체로서 보존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장기간 보존한 후에도 함몰된 결함점이 발생하지 않는, 보호막이 부착된 하드 코트 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다.
상기 기재 필름과 하드 코트층 사이에, 추가로 용이한 접착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기재 필름>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혹은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광학 특성 (예를 들어 투명성 등), 기계 특성, 내열성 및 가격의 밸런스가 양호하다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특별하게는 한정되지 않지만, 터치 패널에 적절한 강성이 있고 또한 핸들링성이 양호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 ? 300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220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 195 ㎛ 이다.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을 손가락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의 두께를 상기의 수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을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의 두께는 12 ? 6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두께를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광선 투과율이 높고 또한 헤이즈가 낮은 필름을 얻을 수 있고, 또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면서 제품으로서의 터치 패널의 총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사용할 때에는, 기재 필름의 두께를 20 ? 55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이 후술하는 제 1 바람직한 양태인 경우에 있어서는, 기재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 30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220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 195 ㎛ 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이 후술하는 제 2 바람직한 양태인 경우에 있어서는, 기재 필름의 두께는 12 ? 6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5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은 그 표면에 있어서의 물의 접촉각이 78 ? 90°이며, 또한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이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물 및 n-도데칸의 접촉각을, 각각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내지문성이 우수함과 함께, 내찰상성과 밀착성이 동시에 우수한 것이 된다. 내찰상성 및 밀착성은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을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경우에 특히 중시되는 특성이다.
상기의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이다」 란, 하드 코트층 표면의 접촉각의 측정에 있어서 n-도데칸의 액적이 젖으면서 확산되게 되어, 각도의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접촉각이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규정하는 다른 요건을 만족시킴과 함께, n-도데칸의 접촉각이 이 정도로 낮은 하드 코트층이면, 본 발명이 소기의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제 1 바람직한 양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하드 코트층은 그 표면에 있어서의 물의 접촉각이 80 ? 88°이며, 또한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이다.
하드 코트층 표면의 습윤성을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내지문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즉, 하드 코트층 표면을,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일 정도로 친유성으로 함으로써, 표면에 지문이 부착된 경우에, 지문 중의 유분이 보다 젖으면서 확산되기 쉬워져, 지문 중의 유분이 광을 확산시켜 희게 눈에 띄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지문을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것과 동시에, 하드 코트층 표면의 친수성을, 물의 접촉각이 80 ? 88°가 될 정도로 함으로써, 부착된 지문의 닦임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물의 접촉각을 80°미만으로 하면, 수분 및 유분의 양쪽 모두가 젖으면서 확산되기 쉬워져, 일단 부착된 지문이 닦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하드 코트층 표면을, 물의 접촉각이 88°를 초과할 정도의 소수성으로 하면, 수분이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 유분보다 하측으로 들어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역시 지문의 닦임성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수분에는, 부착된 지문 중의 수분 외에, 닦음에 사용하는 세정수, 호기 중의 수분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제 1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물의 접촉각이 82 ? 87°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물의 접촉각이 83 ? 86°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내지문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액정 표시 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 전자 기기의 케이싱 표면, 손가락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손가락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한 적용에 바람직하다.
[제 2 바람직한 양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하드 코트층은 그 표면에서의 물의 접촉각이 78 ? 86°이며, 또한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이다.
하드 코트층 표면의 습윤성을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하드 코트층 표면을, 액정 표시 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 그 밖의 필름 재료 등과 점착제로 첩합했을 때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한 동시에, 내찰상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하드 코트층 표면에서의 물의 접촉각이 78°미만이면, 내찰상성이 우수한 하드 코트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것과 동시에 친유성이 과도하게 저하되게 되어, 사용하는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점착제 등에 대한 밀착성의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물의 접촉각이 86°보다 큰 경우에는, 극성 용매에 대한 습윤성이 극단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사용자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제조 메이커) 에 있어서의 점착 가공이 하기 어려워, 친수성기를 갖는 점착층과의 밀착성이 부족한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를 초과하는 경우, 하드 코트층 표면의 친유성이 부족하여, 점착제 등과의 밀착성이 현저하게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제 1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물의 접촉각이 80 ? 85°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물의 접촉각이 82 ? 85°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10 ㎛ 이다. 하드 코트층이 두꺼운 것이 물의 접촉각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얇은 것이 물의 접촉각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물의 접촉각을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로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8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6 ㎛ 이다.
이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내지문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목적에 있어서는, 1 ? 7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6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1 ? 3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이 수치 범위에 있으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물의 접촉각의 조정이 용이해지는 것에 더하여, 가열시 등에 있어서 하드 코트 필름이 컬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의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1 ? 2.2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상기 제 1 바람직한 양태의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1 ? 7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6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 2 바람직한 양태의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1 ? 3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2.2 ㎛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의 연필 경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의 연필 경도는 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결함 점수]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 광학 현미경으로 관측되는, 직경이 30 ㎛ 이상인 결함점의 개수가 2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함점」 이란,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정 등에 있어서, 이러한 도포액이 튀어서, 하드 코트층에서 이른바 「도포 빠짐」 이 된 크레이터링상의 결함점 내지 핀홀상의 결함점을 말한다. 이러한 도포 빠짐으로서는, 하드 코트층이 완전하게 결락되지 않더라도, 층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아진 경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결함점은,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주변부와의 콘트라스트가 분명하게 상이한 결함점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결함점의 직경이란, 결함점에 있어서 필름면 내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특정 직경을 갖는 결함점의 개수가 상기 수치 범위에 있으면, 터치 패널로 했을 때에, 결함점이 실질적으로 시인되지 않게 되고, 특히 결함점에 대한 요구 품질이 높은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용으로서 바람직한 품질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결함점의 개수는 15 개/㎡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개/㎡ 이하이다.
상기와 같은 결함점의 양태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에 있어서의 용매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특정한 매제(媒劑)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구성 재료]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은 주로 후술하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로」 란,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의 함유 비율이 하드 코트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8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인 것을 말한다.
주로 이와 같은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은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양태를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용이한 접착층>
상기 기재 필름과 하드 코트층 사이에, 추가로 용이한 접착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용이한 접착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 로 형성된 것이다. 이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은 임의적으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용이한 접착층에 있어서는,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에 함유되어 있던 각 성분이 그대로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각 성분이 반응 (예를 들어 경화 반응) 된 결과물 상태로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이들 양자가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 용이한 접착층에 있어서의 각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이들 각 성분이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에 함유되어 있는 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용이한 접착층에 있어서의 존재 상태와는 반드시 일치한 것은 아닌 것은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각 성분의 함유 비율은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매 이외의 성분에 대해 산출한 각 성분의 함유 비율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올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무수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다이머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자일렌글리콜, 디메틸올프로판 등이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이한 접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2 종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2 종류 이상의 디올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접착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약간량이면, 말레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다염기산 성분, 또는 p-하이드록시벤조산 등과 같은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점 온도 (Tg) 는 바람직하게는 40 ? 100 ℃ 이다. Tg 가 이 범위이면, 우수한 접착성 및 내상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하드 코트층 표면의 접촉각을,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Tg 가 40 ℃ 미만이면 내블로킹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고, 한편, 100 ℃ 를 초과하면 용이한 접착층이 단단하고 무르게 되어, 내상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Tg 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80 ℃ 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 (Ⅳ) 는 0.4 이상 0.7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Ⅳ 가 이 범위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자체로부터의 저분자량물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응집력이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접착성 및 내상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 표면의 접촉각을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Ⅳ 가 0.4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자체로부터의 저분자량물의 발생이 일어나기 쉬워져, 기재의 투명성이 악화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Ⅳ 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0.7 미만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물에 가용성 또는 분산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량의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물에 가용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기에 주입하여, 적당한 촉매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온도를 230 ℃ 로 제어하여, 생성되는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한다. 이어서, 온도를 255 ℃ 까지 서서히 상승시키고, 계 (系) 내를 감압으로 하여 중축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중축합시에 분자량이 상승해 오면 용융 점도가 높아져, 계 내의 교반이 어려워진다. 용이한 접착층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호모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비교하면 분자량이 낮은데 비해 용융 점도가 높아져, 계 내의 교반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교반 설비의 모터의 토크를 높이는 것, 날개의 형상을 연구하는 것, 중합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 등의 방책에 의해, 높은 고유 점도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용이한 접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 비율은 용이한 접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0 ? 95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0 질량% 이다. 이 범위의 비율로 함으로써, 접착성이 보다 우수한 용이한 접착층이 됨과 함께,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의 습윤성을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가교제]
용이한 접착층이 가교제를 함유함으로써, 용이한 접착층의 내블로킹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용이한 접착층의 강도 (응집력) 를 높게 할 수 있어, 접착성이 우수한 용이한 접착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 표면의 접촉각을,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상기 용이한 접착층의 내블로킹성이란, 예를 들어 편면 용이한 접착층의 경우에 있어서의 용이한 접착층과 기재 필름 사이의 블로킹의 어려움, 양면 용이한 접착층의 경우에 있어서의 용이한 접착층끼리의 블로킹의 어려움, 양면 용이한 접착층이고 또한 편면 하드 코트층의 경우에 있어서의 용이한 접착층과 하드 코트층 사이의 블로킹의 어려움 등을 말한다.
용이한 접착층에 있어서의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폭시 화합물, 디에폭시 화합물, 모노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
디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
모노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사졸린계 가교제로서는,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체는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의 단독 중합 또는 그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 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공업적으로도 입수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모노머로서는, 상기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스티렌술폰산 및 그 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 3 급 아민염 등)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등의 불포화 아미드 화합물 ;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에스테르부에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것 등의 비닐에스테르 화합물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화합물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등의 함할로겐 α,β-불포화 모노머 ;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 가교제로서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축합하여 얻어지는 메틸올멜라민 유도체에, 저급 알코올로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을 반응시켜 에테르화한 화합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올멜라민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메틸올멜라민, 디메틸올멜라민, 트리메틸올멜라민, 테트라메틸올멜라민, 펜타메틸올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1,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산트리올의 부가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가물, 폴리올 변성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비톨릴렌-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 옥사졸린계 가교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계 가교제는 취급이 용이하고, 포트 라이프가 긴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용이한 접착층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함유 비율은 용이한 접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35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질량% 이다. 가교제의 함유 비율이 0.1 질량% 보다 적으면 용이한 접착층의 응집력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따라서 접착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값이 35 질량% 보다 많으면 용이한 접착층이 매우 단단해지고, 응력 완화가 적어져 접착성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나, 용이한 접착층을 갖는 필름을 회수 사용한 경우에 가교체에 의한 이물질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 밖의 성분]
용이한 접착층은, 상기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가교제 이외에, 임의적으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립자, 지방족 왁스,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의 수지, 대전 방지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용이한 접착층이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이들 그 밖의 성분은 그대로의 상태로, 혹은 그 반응 생성물 상태로 함유된다.
- 미립자 -
상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규소, 규산소다,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지르코늄,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주석, 삼산화안티몬, 카본블랙,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무기 미립자 ;
아크릴계 가교 중합체, 스티렌계 가교 중합체,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벤조구안아민 수지, 페놀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의 유기 미립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러한 미립자는 그 평균 입자직경이 바람직하게는 22 ? 22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122 ㎚ 이다. 평균 입자직경이 220 ㎚ 보다 크면 용이한 접착층으로부터의 미립자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한편 이 값이 22 ㎚ 보다 작으면 충분한 활성 및 내상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미립자의 함유 비율은 용이한 접착층의 전체 질량 중에 대해 0.1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활성, 내상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10 질량% 를 초과하면 도포막의 응집력이 낮아지고, 접착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는 것 외에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의 접촉각을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지방족 왁스-
상기 지방족 왁스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호호바유, 팜 왁스, 로진 변성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사탕수수 왁스, 에스파르토 왁스, 바크 왁스 등의 식물계 왁스 ;
밀랍, 라놀린, 경랍, 백랍, 셀락 왁스 등의 동물계 왁스 ;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왁스 등의 광물계 왁스 ;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페트로락탐 등의 석유계 왁스 ;
피셔트롭쉬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산화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합성 탄화수소계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하드 코트층 및 기재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 활성이 양호한 점에서, 카르나바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환경 부하의 저감이 가능한 것 및 취급의 용이함에서 수분산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왁스의 함유 비율은, 용이한 접착층의 전체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5 ? 30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질량% 이다. 이 함유 비율이 0.5 질량% 미만에서는 필름 표면의 활성이 충분하게는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이 값이 30 질량% 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 및 하드 코트층에 대한 접착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용이한 접착층의 두께]
용이한 접착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0.3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0.25 ㎛ 이다. 용이한 접착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접착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고, 반대로 너무 두꺼우면, 블로킹을 일으키거나 헤이즈값이 높아지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상기와 같은 각 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적어도 방사선 경화성 수지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 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그 도포막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이 기재 필름과 하드 코트층 사이에, 추가로 용이한 접착층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 기재 필름면 중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야하는 쪽의 면에,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그 도포막을 가열하여 용이한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그 용이한 접착층 상에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그 도포막에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이 임의적인 용이한 접착층을 갖는 것인 경우에 실시되는, 용이한 접착층을 갖는 기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용이한 접착층을 갖는 기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이한 접착층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기재 필름면 중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야하는 쪽의 면에,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그 도포막을 가열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은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가교제 그리고 임의적으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한다. 그 도포액은 이들 성분을 용이한 접착층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함유 비율로 함유하고, 적용한 용매를 추가로 함유하는 용액, 분산액 또는 유화액 등일 수 있다.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에 있어서의 용매로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 (도포액에 있어서의 용매 이외의 성분의 합계 질량이 도포액의 전체 질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 는 2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1 질량% 미만이면, 기재 필름에 대한 도포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고, 한편 22 질량% 를 초과하면 도포액의 안정성이나 용이한 접착층의 외관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을 기재 필름에 도포할 때에는, 도포액의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비 처리로서 기재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표면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 처리를 실시하거나, 혹은 도포액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는 필름면에 대한 도포액이 습윤을 촉진시키는 기능, 도포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 등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금속 비누, 알킬황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의 아니온형 계면 활성제 ; 논이온형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의 사용 비율로서는, 도포액의 전체량에 대해 0.01 ? 2 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이한 접착층 형성용 도포액의 기재 필름면에 대한 도포는 기재 필름 제조 중 및 제조 후의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기재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실시하는, 이른바 인라인 코팅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배향 결정화가 완료되기 전의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정 배향이 완료되기 전의 필름이란, 미연신 필름, 미연신 필름을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연신한 1 축 연신 필름,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2 방향으로 저배율 연신한 것 (최종적으로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재연신하여 배향 결정화를 완료하기 전의 2 축 연신 필름)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중, 미연신 필름 또는 1 축 연신 필름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대로 세로 연신 및/또는 가로 연신과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공지된 도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함침법, 커튼 코트법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포막은 필요에 따라 필름의 편면에만 형성해도 되고, 양면에 형성해도 된다.
용이한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포액의 바람직한 도포 조건으로서는, 용이한 접착층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가 되는 조건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도포 조건은 당업자에 의한 약간의 예비 실험으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포에 의해, 기재 필름면 상에 도포막이 형성된다. 이어서 이 도포막을 가열함으로써, 기재 필름면 상에 용이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 ? 245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240 ℃ 이다. 가열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초 ? 3 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초 ? 2 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초 ? 1 분이다.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그 도포막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은,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이 용이한 접착층을 갖지 않는 것인 경우에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이 용이한 접착층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용이한 접착층 상에 각각 도포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
상기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은 적어도 방사선 경화성 수지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외에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임의적으로 추가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 방사선 경화성 수지 -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습윤성은,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에 함유되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폴리)알킬렌글리콜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을 상기 공중합체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폴리)알킬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하드 코트층 표면의 접촉각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의 물 및 n-도데칸의 접촉각을 동시에 조정하는 것은, 습윤성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계면 활성제와 같은 독립된 첨가제를 하드 코트층에 단순히 첨가하는 것에 의해서는 달성할 수 없는 것을 알아냈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경화 후의 가교 밀도를 높게 할 수 있고, 표면 경도의 향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등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이들 중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가교 반응이 진행되기 쉬워져, 하드 코트층의 표면 경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메트)아크릴로일기 이외의 다른 중합성 관능기를 가져도 된다.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함유하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등 ;
이들 중 적어도 1 종류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2 ? 22 량체 정도의 올리고머 ;
및 이들 중 적어도 1 종류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 종류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모노(알킬렌글리콜) ; 이들 중 적어도 1 종류로 이루어지는 2 ? 10 량체 정도의 올리고(알킬렌글리콜) 올리고머 ; 및 이들 중 적어도 1 종류로 이루어지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폴리머의 주사슬 또는 측사슬에, (폴리)알킬렌글리콜이 공중합된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 함유 (메트)아크릴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화물을 하드 코트층으로서 사용하는 양태를, 본 발명이 규정하는 물의 접촉각 및 n-도데칸의 접촉각을 달성하기 위한 특히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양 말단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관능기로서 갖는 양태 ;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에,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랜덤 공중합 또는 블록 공중합한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의 주사슬 또는 측사슬에, 블록 공중합된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을 갖는 양태이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은, 그 수평균 분자량 Mn 이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측정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46 ? 1,000,00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500,000 이다. 수평균 분자량 Mn 이 상기 수치 범위에 있음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물의 접촉각과 n-도데칸의 접촉각을 본 발명이 규정하는 수치 범위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수평균 분자량 Mn 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물의 접촉각이 너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도포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도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극성이 낮은 용제에 녹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도포액으로서의 취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의 공중합 비율은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 폴리머의 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 5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 질량%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3 질량% 이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의 공중합 비율이 상기 수치 범위에 있으면,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물의 접촉각과 n-도데칸의 접촉각을 본 발명이 규정하는 수치 범위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의 공중합 비율이 작으면 물의 접촉각은 커지고,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의 공중합 비율을 늘리면 물의 접촉각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n-도데칸의 접촉각은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의 공중합 비율에 그다지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때문에, (메트)아크릴폴리머에 공중합된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하면, 통상적인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만으로는 얻어지지 않는 물의 접촉각의 범위와 n-도데칸의 접촉각의 범위의 조합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원하는 접촉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공중합 비율은, 당업자에 의한 약간의 예비 실험에 의해,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GPC 에 의해 측정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0 ? 1,000,00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500,000 이다. 수평균 분자량 Mn 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도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KZ6404 (JSR (주) 제조), 루시프라르 G-004 (일본 페인트 (주) 제조), 빔 세트 1460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 광중합 개시제 -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을 보다 경도가 우수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임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크산톤, 플루오레논, 안트라퀴논, 벤즈알데히드, 플루오렌, 안트라퀴논, 트리페닐아민, 카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메틸-1-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 비율은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 를 기준으로 하여 10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 비율을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표면 경도의 향상 효과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첨가 비율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첨가한 광중합 개시제가 가소제로서 기능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하드 코트층의 강도가 낮아지게 될 우려가 있다.
- 임의적으로 첨가해도 되는 그 밖의 첨가제 -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은,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의 접촉각의 범위가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에 머무는 한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방사선 경화형 수지 및 광중합 개시제 외에, 임의적으로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 광증감제, 레벨링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 -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은, 적당한 용매 중에, 상기의 방사선 경화형 수지, 광중합 개시제 및 임의로 첨가해도 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이들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액체로, 용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성분의 첨가에 있어서는, 각 성분을 분체 등의 고체로서 첨가해도 되고, 적당한 용매에 의해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한 것을 첨가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 ;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n-부탄올, 세컨더리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 ;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분산성이 양호해져, 하드 코트층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그 용도에 따라 하드 코트층의 요구 성능이 조금씩 상이하므로, 이러한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하기 위해서, 최적의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을 터치 패널, 특히 고도의 화질이 요구되는 터치 패널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하드 코트층에, 미묘한 두께 불균일에 의한 간섭 얼룩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의 고도의 도포 외관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고도의 도포 외관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용매로서 고비점 용매를 사용하고, 이로써 도포막의 레벨링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비점 용매는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 내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들은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용매로서 비점이 120 ℃ 이하이며, 또한 점도가 1.5 ? 3.0 mPa?s 인 유기 용제 (이하, 「저비점 유기 용매」 라고 한다) 를, 일정 비율로 함유하는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레벨링성 등의 도포 외관이 우수함과 함께, 잔류 용매의 함유 비율이 적은 하드 코트층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비점 및 점도가 동시에 상기 수치 범위에 있는 저비점 유기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미묘한 두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한 간섭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용매의 비점이 120 ℃ 보다 높은 경우에는, 용매가 충분히 제거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유의량의 유기 용제가 하드 코트층 중에 잔류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한 비점 범위는 10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이다. 이 저비점 유기 용매의 비점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매 및 도포액의 핸들링성 등의 관점에서, 실온보다 충분히 높은 온도, 예를 들어 4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점도가 상기 수치 범위에 있으면, 도포액을 도포 후, 가열까지의 사이에, 도포액이 적당히 유동하여 높은 레벨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비로소 양호한 도포 외관이 실현되는 것이다. 점도가 1.5 mPa?s 보다 낮은 경우에는, 도포액의 유동성이 높아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른바 「유영 얼룩」 이라고 불리는 도포 결함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점도가 3.0 mPa?s 보다 높은 경우에는, 도포액의 유동성이 너무 낮아 소기의 레벨링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어, 양호한 도포 외관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8 ? 2.7 mPa?s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5 mPa?s 이다.
상기와 같은 저비점 유기 용매로서는, 상기의 비점 및 점도의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알코올, t-부탄올 등의 알코올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t-부탄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도포 외관과 잔류 용매의 밸런스를 취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의 저비점 유기 용매를,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전체량에 대해, 25 ? 6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상기의 저비점 유기 용매를 함유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도포 외관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저비점 유기 용매의 함유 비율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바람직한 레벨링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 중에 유기 용제가 잔류 용제로서 잔존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저비점 유기 용매의 함유 비율은,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전체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 ? 60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60 질량% 이다. 저비점 유기 용매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2 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저비점 유기 용매의 합계의 함유 비율이 상기 수치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에는, 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에서, 저비점 유기 용매 외에, 그 밖의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을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보호 필름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드 코트층에 크레이터링상의 결함점 내지 핀홀상의 결함점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용매가 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콜에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가, 결함 점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특히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글리콜에테르의 사용 비율로서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에 있어서의 용매의 전체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이며, 특히 9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에는, 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글리콜에테르 외에, 그 밖의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에 예시한 바와 같은 케톤, 알코올, 에스테르,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든 경우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로서는, 1 ? 7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0 ? 5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농도로 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도포 얼룩 등의 결함점을 보다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 된다.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
상기와 같은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 또는 기재 필름 상의 용이한 접착층 상) 에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도포막에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기재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려면,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립 다이렉트법, 콤마코터법, 슬릿 리버스법, 다이코터법, 그라비아 롤코터법, 블레이드 코터법, 스프레이 코터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딥 코트법, 바 코터법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 그라비아 롤코터법이 바람직하고, 특히 그라비아 직경이 80 ㎜ 이하인 리버스 그라비아 코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리버스 그라비아 코터의 사용에 의해 도포 외관이 보다 양호해져, 간섭 얼룩 억제의 향상 효과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들의 도포 방법에 의해, 기재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도포막을 가열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이 형성된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그 용도에 따라 각각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포액의 바람직한 도포 조건으로서는,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상기의 원하는 수치 범위가 되는 조건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도포 조건은 당업자에 의한 약간의 예비 실험으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가열 조건으로서는, 50 ? 150 ℃ 에서 10 ? 180 초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 122 ℃ 에서 22 ? 150 초간 가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 80 ℃ 에서 30 ? 122 초간 가열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이 상기 서술한 저비점 유기 용매를 도포액의 전체량에 대해 25 ? 60 질량% 함유하는 것인 경우에는, 상기 조건하의 가열에 의해, 두께 불균일이 없어 외관이 우수함과 함께 잔류 용매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하드 코트층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잔류 용매의 함유량을 1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ppm 이하)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은 고화질이 요구되는 터치 패널, 특히 손가락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의 단위 「ppm」 은 중량 기준이다.
한편, 사용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이 상기 용매가 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고,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가 1 ? 70 중량% 인 경우에는, 상기 조건하의 가열에 의해,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에 크레이터링상의 결함점 내지 핀홀상의 결함점이 실질적으로 생기지 않는다. 즉,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직경이 30 ㎛ 이상인 결함점의 개수를 20 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개/㎡ 이하)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가열 후, 도포막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도포막의 경화를 실시한다. 여기서 조사되는 방사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 전자선 조사 등을 들 수 있다. 방사선으로서 자외선 조사를 조사하는 경우, 그 조사량은 바람직하게는 10 ? 2,200 mJ/㎠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500 mJ/㎠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mJ/㎠ 이다.
<하드 코트 필름>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헤이즈가 매우 낮은 것이다.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그 헤이즈가 2.0 % 이하이며, 나아가서는 헤이즈를 1.0 % 이하로 할 수 있다.
헤이즈가 낮은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고화질이 요구되는 터치 패널, 특히 손가락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적층체>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하드 코트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보호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편면에 밀착층을 갖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의 비커스 경도가 0.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적층체는, 이것을 롤상으로 권회하여 장기간 보존한 후에도,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오목상 결함점 또는 볼록상 결함점 (특히 오목상 결함점) 의 수를 가급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은 하드 코트 필름의 어느 면에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 필름]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편면에 밀착층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은 그 밀착층측의 면에서의 피쉬아이의 비커스 경도가 0.7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 베이스 필름 -
상기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베이스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 기계 특성 등의 성능과 비용의 밸런스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피쉬아이가 보다 저감된 재료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가장 바람직하다.
베이스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10 ? 15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75 ㎛ 이다. 이 범위의 두께로 함으로써, 취급성, 보호성, 활성 등의 여러 가지 점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 된다.
- 밀착층 -
상기 밀착층은 하드 코트 필름에 첩부했을 때에 적당한 강도로 고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한 밀착층으로서 예를 들어 점착층, 흡착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우레탄계 등의 점착제가, 광학 특성의 관점과 재박리가 용이한 적당한 점착성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상기 밀착층으로서는 연질의 수지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밀착층은 밀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베이스 필름에 도포하는 방법 등에 의해 도포 형성해도 되고, 베이스 필름의 막 제조와 동시에 용융 압출하는 방법 (이른바 공압출법) 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 적층체 -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는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을, 하드 코트 필름에 첩합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여기서, 하드 코트 필름이 그 양면에 하드 코트층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보호 필름의 밀착층면을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면에 첩합한다. 또, 하드 코트 필름이 그 편면에만 하드 코트층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보호 필름의 밀착층면은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측의 면 및 그 이면 (기재 필름측의 면) 중 어느 쪽에 첩합해도 된다.
- 피쉬아이 -
본 발명에 있어서 피쉬아이란, 열 등에 의해 겔상이 된 수지에서 기인하는 이물질에 의해, 필름 표면에 안구상의 결함점이 되어 발생하는 돌기물을 말한다. 이 피쉬아이는 보호 필름의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의 겔상 수지에서 기인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밀착층에 있어서의 겔상 수지에서 기인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란, 밀착층 자체에 존재하는 것과 베이스 필름에 존재하고 있어 밀착층 표면을 변형시킬 때까지 돌출되어 있는 것의 양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를 제조할 때, 보호 필름의 밀착층면을,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측의 면에 첩합하는 경우에는,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를 상기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의 오목상의 결함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보호 필름의 밀착층면을,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측의 면에 첩합하는 경우에는,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를 상기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기재 필름 표면의 오목상 결함점의 발생, 하드 코트층 표면의 볼록상의 결함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에 단단한 피쉬아이가 존재하고 있으면, 하드 코트 필름에 보호 필름을 첩합할 때의 라미네이트 압력, 첩합 후에 롤상으로 권취하는 것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보관 중의 상태 압력 등에 의해 하드 코트 필름에 보호 필름이 가압되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피쉬아이의 볼록 부분에 의해 기재 필름 표면에 오목상으로 변형되는 결함점이 생긴다. 그리고, 그 변형이 그 반대면, 즉 하드 코트층 표면에까지 도달하면,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 볼록상의 결함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기재 필름의 표면은, 하드 코트층 표면보다 부드럽기 때문에, 보호 필름의 피쉬아이에 의해 오목상의 결함점을 발생하기 쉬워, 이러한 결함점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의 경도를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기재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오목상의 결함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혹은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의 오목상의 결함점의 발생, 볼록상의 결함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는 가능한 한 부드러운 것이 바람직하고, 비커스 경도가 0.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쉬아이의 비커스 경도를 낮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층의 형성을 도포법으로 실시함으로써, 밀착층에 있어서의 피쉬아이의 비커스 경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또, 밀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이나 용융 수지의 필터링을 강화시킴으로써, 단단한 겔상 수지의 비율을 저감시킬 수 있고, 비커스 경도가 높은 피쉬아이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밀착층 및 베이스층의 재료로서 원래 어느 정도 부드러운 수지를 선택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적층체]
상기와 같은 적층체는, 예를 들어 이것을 롤상으로 한 경우 등, 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장기간의 보관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기재 필름 표면 및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의 오목상 또는 볼록상의 결함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광학적인 유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적층체는, 이것을 롤상으로 하여 온도 23 ℃, 상대습도 50 %RH 의 환경하에서 1 개월간 보관한 후에, 기재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오목상의 결함점의 수를, 15 개/㎡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오목상의 결함 점수가 15 개/㎡ 이하이면, 터치 패널용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결함점이 충분히 적고, 특히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오목상의 결함점의 수는 10 개/㎡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개/㎡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 필름은, 상기와 같이,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하드 코트 필름은 그 표면에서의 물의 접촉각이 78 ? 86°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
물의 접촉각이 80 ? 85°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
물의 접촉각이 82 ? 85°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평가는 각각 이하의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단위 「ppm」 은 중량 기준이다.
(1) 유리 전이점 온도 (Tg)
수지 시료의 경우에는 약 10 ㎎, 필름 시료 (기재 필름) 의 경우에는 약 22 ㎎ 의 시료를 측정용의 알루미늄제 팬에 봉입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 (DSC) (DuPont Instrument 910 DSC) 에 세트하고, 25 ℃ 내지 22 ℃/분의 속도로 290 ℃ 까지 승온하고, 290 ℃ 에서 3 분간 유지한 후에 팬을 꺼내어, 즉시 얼음 위로 옮겨 급랭시켰다. 이 팬을 재차 DSC 에 세트하여, 25 ℃ 내지 22 ℃/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유리 전이점 온도 Tg (단위 : ℃) 를 측정했다.
(2)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의 함량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분취 GPC 에 의해 각 함유 성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성분에 대해 열분해 GC-MS 를 실시하고, 구성되는 구조를 동정했다. 그 후 1H-NMR 을 측정하여, 그 피크 적분치로부터 각 성분의 정량을 실시함으로써,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의 함량을 구했다.
[분취 GPC 조건]
칼럼 : JAIGEL-2H × 2 개 600 × 22 ㎜I. D. (닛폰 분석 공업 (주) 제조)
이동상 용매 : 클로로포름, 3.5 ㎖/min
[열분해 GC-MS 조건]
열분해 온도 : 600 ℃ 단순 열분해 및 온라인 메틸화 열분해
메틸화제 :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TMAH)
칼럼 : ZB-1, 길이 30 m × 내경 0.32 ㎜, 막두께 0.5 ㎛
GC 온도 : 40 ℃ (0 min), 15 ℃/min, 322 ℃ (10 min)
[1H-NMR 에 의한 정량]
계산식 : 함량 = 분자량 × (적분비/1H 수), 합계가 100 이 되도록 규격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는, 각각의 GPC 의 면적비가 중량비와 일치한다고 가정하고, 1H-NMR 의 아크릴기의 적분치 (1,000) 를 그 비율로 할당한 값으로 했다.
(3) 하드 코트층의 두께
시료 필름을 예리한 면도칼로 커트하고, 얻어진 단면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측정했다. 측정은 시료 중의 임의의 10 지점에 대해 실시하여, 그들의 평균치를 하드 코트층의 두께 (단위 ; ㎛) 로 했다.
(4) 하드 코트층의 도포 외관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과 반대의 면을 흑색으로 착색하여, 하드 코트층측의 면을 3 파장 형광등으로 비추면서 간섭 얼룩을 관측하고,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 : 간섭 얼룩이 보이지 않는다
× : 간섭 얼룩이 강하게 보인다
(5) 접촉각
[물의 접촉각]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5 ㎜ 의 높이에서 0.2 ㎖ 의 증류수를 시린지로 천천히 적하하여, 30 초간 가만히 정지시킨 후, 그 접촉각 (하드 코트층 표면과 액적의 접선이 이루는 각) 을 CCD 카메라로 관찰하여 측정했다. 동일한 조작을 5 회 반복하여, 그 평균치를 취해 물의 접촉각으로 했다.
[n-도데칸의 접촉각]
측정용 액체로서 n-도데칸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물의 접촉각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했다. 또한, 접촉각이 22°이하의 영역에 있어서는, 접촉각의 수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접촉각이 22°이하라는 결과로써, 측정치로 했다.
(6) 연필 경도
연필 경도는 JIS K 5600 에 준거하여 실시했다.
평가는,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 표면에 있어서 실시했다.
(7) 밀착성
[초기 밀착성]
하드 코트층 표면에, 폭 25 ㎜ 의 폴리에스테르 점착 테이프 (닛토 전공 (주) 제, No.31B) 를 500 g 가중의 롤러에 의해 밀착시키고, 박리 시험기를 이용하여 180°박리를 실시하고, 그 박리력 (단위 : g/25 ㎜) 을 측정함으로써, 점착제와 하드 코트층의 초기 밀착성을 평가했다.
또한, 초기 밀착성 평가에 있어서는, 박리력이 1,000 g/25 ㎜ 이상인 경우를 초기 밀착성 평가 합격으로 했다. 박리력이 상기 수치 범위에 있으면,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용의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충분한 초기 밀착성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 경과적 밀착성]
초기 밀착성의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하드 코트층 표면에 첩합한 시료를 작성했다. 이 시료를 온도 60 ℃ × 습도 90 % 의 조건하에 240 시간 유지한 후에, 초기 밀착성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력의 측정을 실시하고, 점착제와 하드 코트층의 시간 경과적 밀착성을 평가했다.
또한, 시간 경과적 밀착성 평가에 있어서는, 박리력이 1,000 g/25 ㎜ 이상인 경우를 시간 경과적 밀착성 평가 합격으로 했다. 박리력이 상기 수치 범위에 있으면,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용으로서 충분한 시간 경과적 밀착성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8) 헤이즈
하드 코트 필름의 헤이즈는 JIS K 7105 에 준거하여, 스가 시험기 (주) 제조의 헤이즈미터 HCM-2B 로 측정을 실시했다. 측정광은 하드 코트층측으로부터 입사했다. 측정은 필름 시료의 임의의 5 지점에 대해 실시하여, 그들의 평균치를 취하여 헤이즈 (단위 : %) 로 했다.
(9) 내지문성
[지문의 보임새]
하드 코트층을 상측으로 한 하드 코트 필름을, 이면을 검게 칠한 유리판 상에 놓고, 손가락을 하드 코트 필름의 끝면에 가압하여, 지문의 절반을 하드 코트층 상에, 절반을 유리면 상에 동시에 부착했다. 그 지문의 정면에서의 보임새를,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했다
○ : 하드 코트층 상의 지문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 : 하드 코트층 상의 지문과 유리 상의 지문이 동일한 정도로 눈에 띈다
× : 하드 코트층 상의 지문이 유리 상의 지문보다 눈에 띈다
[지문의 닦임성]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 표면에 손가락을 가압하여 지문을 부착한 후, 화장지를 사용하여 5 왕복의 닦기를 실시한 후의 지문의 보임새에 대해, 하기의 기준으로 판단했다.
○ : 닦아낸 후, 지문이 보이지 않는다
△ : 지문의 닦은 흔적이 남아 보인다
× : 지문 성분이 퍼지는 것뿐으로 거의 닦이지 않는다
(10) 결함점의 평가 1 (직경이 30 ㎛ 이상인 결함점의 개수)
[결함점의 검출]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 에지부로부터 5 ㎝ 의 영역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면적 1 ㎡ 의 시료를 채취했다. 얻어진 시료를, 하드 코트층이 상향이 되도록 흑색의 검사대 상에 놓고, 상방 50 ㎝ 의 거리로부터 3 파장 형광등 (파나소닉 전공 (주) 제조, 32 W) 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면서 육안으로 결함점을 검출했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 검출 (시인) 할 수 있는 결함점의 최소의 사이즈 (직경) 는 30 ㎛ 정도이다.
[결함점의 사이즈]
상기에서 검출한 결함점에 대해,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50 ? 200 배 정도의 배율로 관찰하고, 스케일을 이용하여 결함점의 최대 길이 (직경) 를 측정하고, 최대 길이가 30 ㎛ 이상인 것에 대해 그 수를 카운트했다. 최대 길이가 30 ㎛ 미만인 것에 대해서는 결함 점수로서 카운트하지 않았다.
이 때 관찰하는 결함점은, 광학 현미경의 시야에 있어서, 분명하게 주변부와 콘트라스트가 상이한 지점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11) 결함점의 평가 2 (오목상의 결함점 개수)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를, 속도 10 m/분, 권취 장력 60 N/m, 터치 롤은 사용하지 않고 접압을 가하지 않는 조건에서, 길이 200 m 의 롤상으로 권취했다. 이 롤을 온도 23 ℃, 상대습도 50 %RH 의 환경에서 1 개월간 보관했다. 그 후, 롤의 최표층으로부터 길이 100 m 의 위치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하드 코트층을 아래로 하여 검은 검사대 상에 놓고, 3 파장 형광등을 상방으로부터 50 ㎝ 의 거리에서 조사 (1,200 룩스 이상) 하면서, 1 ㎡ 의 면적 내에 있는 오목상의 결함점 (직경 0.5 ㎜ 이상 또한 맨눈으로 시인할 수 있는 것) 의 개수를 카운트했다.
상기에서 카운트한 오목상의 결함 점수가 15 개/㎡ 이하인 경우에는, 그 하드 코트 필름을 터치 패널에 가공했을 때의 수율로서 실질적으로 충분한 레벨을 예상할 수 있다.
(12) 용제의 점도 및 비점
[점도]
용제의 점도는, CBC (주) 제조의 미소 진동식 점도계 VM-10A 를 이용하여, 28 ℃ 에서 측정했다.
[비점]
용제의 비점으로서는, 「제 4 판 화학 편람?기초편」 (일본 화학회 편, 마루젠 간행) 에 기재된 값, 또는 사용한 용제의 MSDS 에 기재된 값을 채용했다.
(13) 잔류 용제량
하드 코트 필름의 약 0.5 g 을 바이알병에 취하여 밀전 후, 150 ℃ × 60 분의 가열 조건으로, 헤드 스페이스 GC-MS 법에 의한 측정을 실시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의 잔류 용제는 1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ppm 이하이다. 잔류 용제량이 이 범위에 있는 경우, 가열 공정이나 진공 공정과 같은 후공정에 있어서의 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발생 가스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4) 피쉬아이의 경도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에 대해, JIS Z 2244 에 준거하여, 미소 경도계 ((주) 에리오닉스 제조, ENT-1100a) 를 이용하여 비커스 경도를 측정했다. 압입 깊이는 5 ㎛ 로 했다. 피쉬아이의 크기는 수십 ㎛ 이상으로, 측정 단자 직경보다 충분히 크지만, 검사시에는 가능한 한 피쉬아이의 중앙부를 압입하도록 유의했다. 측정은, 면적 1 ㎡ 의 시료로부터 랜덤하게 추출한, 긴 직경이 20 ㎛ 이상, 높이가 3 ㎛ 이상인 피쉬아이 30 점 (해당하는 피쉬아이 수가 30 점에 미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피쉬아이 전부) 에 대해 실시하고, 그들의 평균치를 취하여 피쉬아이의 비커스 경도로 했다. 또한, 피쉬아이의 긴 직경 및 높이는 광학 현미경 및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확인했다.
<손가락 입력 방식 터치 패널용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및 평가>
실시예 1-1
[기재 필름]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두께 188 ㎛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양면에 용이한 접착층을 코팅한 것을 사용했다. 여기서, 용이한 접착층의 코팅은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했다.
먼저 이하의 구성 성분을 고형분의 질량비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교제/미립자/지방족 왁스/계면 활성제 = 65/20/5/5/5 가 되도록 혼합하여, 이온 교환수에 의해 고형분 농도 5 질량% 가 되도록 희석하여 용이한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65 몰%/이소프탈산 30 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5 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 몰%/디에틸렌글리콜 10 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 = 80 ℃, 수평균 분자량 Mn = 13,000.
가교제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몰%/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30 몰%/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반복 단위수 n = 10) 메타크릴레이트 10 몰%/아크릴아미드 30 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 = 50 ℃.
미립자 : 실리카 필러 (평균 입자 직경 100 ㎚) (닛산 화학 (주) 제조, 상품명 : 스노우텍스 ZL)
지방족 왁스 : 카르나우바 왁스 (나카교 유지 (주) 제조, 상품명 : 셀로졸 524)
계면 활성제 : 폴리옥시에틸렌 (반복 단위수 n = 7) 라우릴에테르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상품명 : 나로액티 N-70)
상기에서 얻어진 도포액을, 기재 필름의 제조 공정 (통상적인 방법의 2 축 연신 PET 필름의 제조 공정) 에 있어서, 세로 1 축 연신 후, 가로 연신 공정 전에 있어서 양면에 인라인 코팅함으로써, 두께 0.15 ㎛ 인 용이한 접착층을 양면에 갖는 기재 필름을 얻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
방사선 경화형 수지 빔 세트 1460 (상품명,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제조.주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질량비 : 83/17) 로 이루어지는 아크릴폴리머에,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으로서 상기 아크릴폴리머의 질량에 대해 2.9 질량% 의 반복 에틸렌글리콜 단위 (분자량 2,000 ? 6,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 가 공중합된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고형분 농도 90 질량%) 를 메틸에틸케톤 (MEK) 으로 희석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40 질량%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얻었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에 대해서는, 1H-NMR, IR, GC-MS 등의 분석으로부터 공중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
롤코터를 이용하여, 기재 필름의 편방의 표면 (용이한 접착층의 표면) 에, 건조?경화 후의 막두께가 1.5 ㎛ 가 되도록, 상기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70 ℃ 에서 2 분간의 조건으로 건조시켰다. 이어서, 자외선 조사 장치 (Fusion UV Systems Japan (주) 제조 : 상품명 「퓨전 H 밸브」) 를 이용하여, 광량 220 mJ/㎠ 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1-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반복 에틸렌글리콜 단위의 공중합 비율을, 아크릴폴리머의 질량에 대해 2.2 질량% 로 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1-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반복 에틸렌글리콜 단위의 공중합 비율을, 아크릴폴리머의 질량에 대해 3.8 질량% 로 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1-1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6.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1-1 에 있어서, 기재 필름으로서 두께 50 ㎛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양면에 용이한 접착층을 코팅한 것을 이용하고, 또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오렉스 JU116 (츄우고쿠 도료 (주)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을 MEK 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40 질량% 로 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재 필름에 있어서의 용이한 접착층의 코팅은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1-5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오렉스 JU114 (츄우고쿠 도료 (주)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를 MEK 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40 질량% 로 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 와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1-7
상기 실시예 1-5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Z880 (아이카 공업 (주) 제조, 고형분 농도 30 질량%) 을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 와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실시예 1-8
상기 실시예 1-1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기재 필름으로서 두께 50 ㎛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양면에 용이한 접착층을 코팅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재 필름에 있어서의 용이한 접착층의 코팅은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비교예 1-1
상기 실시예 1-1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 (상품명 : 빔 세트 575CB,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농도 70 질량%) 에, 하드 코트층 표면의 습윤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계면 활성제 (상품명 : KP-341,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고형분 농도 80 질량%) 를,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고형분 100 질량% 에 대해 0.25 질량% 첨가하고, 또한 MEK 로 희석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40 질량%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얻었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1-1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주성분으로 하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 (상품명 : Z7501, JSR (주)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를 MEK 로 희석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40 질량%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얻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1
[기재 필름]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용이한 접착층을 양면에 갖는 PET 필름 「O3LF8W-188」 (테이진 듀퐁 필름 (주) 제조, 두께 188 ㎛, 용이한 접착층은 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다) 을 사용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
방사선 경화형 수지 빔 세트 1460 (상품명,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제조.주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질량비 : 83/17) 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폴리머에,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으로서 상기 아크릴폴리머의 질량에 대해 2.9 질량% 의 반복 에틸렌글리콜 단위 (분자량 2,000 ? 6,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 가 공중합된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메틸에틸케톤 (MEK, 점도 0.4 mPa?s, 비점 80 ℃)/자일렌 (점도 0.59 mPa?s, 비점 138 ? 144 ℃) = 9/1 (질량비) 혼합 용액, 고형분 농도 80 질량%) 100 질량부를, t-부탄올 (점도 2.0 mPa?s, 비점 82 ℃) 135 질량부로 희석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4 질량% 의 도포액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액 중의 t-부탄올의 함유 비율은 57.4 질량% 였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에 대해서는, 1H-NMR, IR, GC-MS 등의 분석으로부터 공중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
소 직경 리버스 그라비아 롤코터 (직경 65 ㎜) 를 이용하여, 기재 필름의 편방의 표면 (용이한 접착층의 표면) 에, 건조?경화 후의 막두께가 6.0 ㎛ 가 되도록, 상기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70 ℃ 에서 2 분간의 조건으로 건조시켰다. 이어서, 자외선 조사 장치 (Fusion UV Systems Japan (주) 제조 : 상품명 「퓨전 H 밸브」) 를 이용하여, 광량 200 mJ/㎠ 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2-2
상기 실시예 2-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t-부탄올 대신에, 이소프로판올 (점도 2.4 mPa?s, 비점 82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2-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t-부탄올의 첨가량을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00 질량부로 하고, 추가로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35 질량부의 MEK (점도 0.4 mPa?s, 비점 80 ℃) 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2-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t-부탄올의 첨가량을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70 질량부로 하고, 추가로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65 질량부의 MEK (점도 0.4 mPa?s, 비점 80 ℃) 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2-5
상기 실시예 2-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t-부탄올 대신에, MEK (점도 0.4 mPa?s, 비점 80℃)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2-6
상기 실시예 2-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t-부탄올 대신에, sec-부탄올 (점도 4.2 mPa?s, 비점 99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2-7
상기 실시예 2-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t-부탄올 대신에, 시클로헥사논 (점도 2.2 mPa?s, 비점 155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용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및 평가>
실시예 3-1
[기재 필름]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두께 38 ㎛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 (입자 함유 비율 10 ppm 이하)) 의 양면에 용이한 접착층을 코팅한 것을 사용했다. 여기서, 용이한 접착층의 형성은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조제한 도포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
방사선 경화형 수지 빔 세트 1460 (상품명,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제조.주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질량비 : 83/17) 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폴리머에,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으로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질량에 대해 2.9 질량% 의 반복 에틸렌글리콜 단위 (분자량 2,000 ? 6,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 가 공중합된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메틸에틸케톤 (MEK, 점도 0.4 mPa?s, 비점 80 ℃)/자일렌 (점도 0.59 mPa?s, 비점 138 ? 144 ℃) = 9/1 (질량비) 혼합 용액, 고형분 농도 90 질량%) 100 질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EA) 로 희석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40 질량% 의 도포액을 얻었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성분에 대해서는, 1H-NMR, IR, GC-MS 등의 분석으로부터 공중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
상기 실시예 1-1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상기에서 조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3-2
상기 실시예 3-1 에 있어서, 기재 필름에 있어서의 PET 필름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 의 두께를 50 ㎛ 로 하고, 하드 코트층의 두께를 3.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3-3
상기 실시예 3-1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오렉스 JU116 (츄우고쿠 도료 (주)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용제 : MEK/메틸이소부틸케톤 (MIBK)) 을 PGMEA 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30 질량% 로 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3-4
상기 실시예 3-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에 있어서, 희석 용제로서의 PGMEA 대신에 MEK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3-5
상기 실시예 3-3 에 있어서, 희석 용제로서의 PGMEA 대신에 MEK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3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냈다.
비교예 3-1
상기 실시예 3-1 의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상기 비교예 1-1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조제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도포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및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3 에 나타냈다.
상기 실시예 3-1 ? 3-3 에 있어서는, 밀착성이 우수한 하드 코트 필름이 얻어졌다. 이들 하드 코트 필름을 캐리어 필름으로서 이용하여,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각각 제조하고, 고정밀 LCD 의 화면 상에 가만히 정지시켜 시인성을 확인한 결과, 화면 상에 결함점이 거의 확인되지 않고, 시인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4 및 3-5 에 있어서는, 밀착성이 우수한 하드 코트 필름이 얻어졌는데,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했을 때에 화면 상에 관찰되는 결함점이 약간 많아,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달성해야 할 시인성 향상의 효과는 그다지 현저하지 않았다.
이들에 대해, 비교예 3-1 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은 밀착성이 열등한 것이었다.
Figure pct00003
<보호 필름을 첩합한 적층체의 제조 및 평가>
실시예 4-1
[기재 필름]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두께 38 ㎛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양면에 용이한 접착층을 코팅한 것을 사용했다. 여기서, 용이한 접착층의 형성은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조제한 도포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하드 코트층의 도포 형성]
상기 실시예 1-1 에서와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제하고, 건조?경화 후의 막두께가 1.7 ㎛ 가 되도록 상기 도포액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보호 필름의 첩합]
상기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면측에, 보호 필름으로서 PAC3-60T ((주) 산에이 화연 제조) 를, 그 보호 필름의 밀착층이 기재 필름측이 되도록 하여, 압력 롤러를 이용하여 첩합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냈다.
실시예 4-2
상기 실시예 4-1 에 있어서, 보호 필름으로서 JA-16F ((주) 산에이 화연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냈다.
실시예 4-3
상기 실시예 4-1 에 있어서, 보호 필름으로서 JA-13K ((주) 산에이 화연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냈다.
비교예 4-1
상기 실시예 4-1 에 있어서, 보호 필름으로서 PAC3-60 ((주) 산에이 화연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냈다.
비교예 4-2
상기 실시예 4-1 에 있어서, 보호 필름으로서 FM-4150B (다이오 가공지 공업 (주)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하드 코트 필름의 특성을 표 4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4

Claims (18)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78 ? 90°이며, n-도데칸의 접촉각이 2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하드 코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과 하드 코트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용이한 접착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헤이즈가 2.0 % 이하인 하드 코트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직경이 30 ㎛ 이상인 결함점의 개수가 20 개/㎡ 이하인 하드 코트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이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폴리)알킬렌글리콜의 공중합체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80 ? 88°인 하드 코트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손가락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하드 코트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78 ? 86°이며, 그리고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하드 코트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헤이즈가 1.0 % 이하인 하드 코트 필름.
  10. 제 1 항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방사선 경화성 수지 및 용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그 도포막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120 ℃ 이하의 비점 및 1.5 ? 3.0 mPa?s 의 점도를 갖는 저비점 유기 용매를 함유하고,
    상기 저비점 유기 용매의 비율이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25 ? 60 중량% 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80 ? 88°인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이 손가락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고,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가 1 ? 70 중량% 이며, 그리고
    상기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조성물의 도포 후, 방사선의 조사 전에 50 ? 180 ℃ 에서 10 ? 180 초간의 가열을 실시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에 있어서의 직경이 30 ㎛ 이상인 결함점의 개수가 20 개/㎡ 이하인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78 ? 86°이며, 그리고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하드 코트 필름.
  17. 제 1 항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로서,
    상기 보호 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편면에 밀착층을 갖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보호 필름의 밀착층측의 면에 있어서의 피쉬아이의 비커스 경도가 0.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적층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물의 접촉각이 78 ? 86°이며, 그리고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적층체.
KR1020127022036A 2010-02-26 2011-02-22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31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2305 2010-02-26
JP2010042305A JP2011177938A (ja) 2010-02-26 2010-02-26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0081935A JP2011212554A (ja) 2010-03-31 2010-03-31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10-081935 2010-03-31
JP2010161573A JP2012020538A (ja) 2010-07-16 2010-07-16 積層体
JPJP-P-2010-161573 2010-07-16
JPJP-P-2010-279113 2010-12-15
JP2010279113A JP2012128157A (ja) 2010-12-15 2010-12-15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1/054423 WO2011105594A1 (ja) 2010-02-26 2011-02-22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168A true KR20120131168A (ko) 2012-12-04

Family

ID=4450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36A KR20120131168A (ko) 2010-02-26 2011-02-22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321882A1 (ko)
EP (1) EP2540495A4 (ko)
KR (1) KR20120131168A (ko)
CN (1) CN102762371A (ko)
TW (1) TW201141703A (ko)
WO (1) WO2011105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5094B2 (ja) * 2014-03-26 2018-09-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18506851A (ja) * 2015-01-19 2018-03-0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防指紋表面を有する筐体
WO2016159252A1 (ja) * 2015-03-31 2016-10-06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眼鏡
KR102031659B1 (ko) * 2016-05-19 2019-10-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JP6772564B2 (ja) * 2016-06-06 2020-10-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水接触角制御方法、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積層体
CN110501263B (zh) * 2018-05-16 2022-06-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镀锡板表面润湿性评价方法
US11833792B2 (en) * 2018-08-08 2023-12-0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Laminate for molding
EP4083142A4 (en) 2019-12-25 2023-02-08 FUJIFILM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CURED PRODUCT, UV ABSORBER, UV CUT FILTER, LENS, PROTECTIVE MATERIAL, COMPOUND AND METHOD OF SYNTHETICING A COMPOUND
JP7428810B2 (ja) 2020-08-21 2024-02-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重合体、紫外線遮蔽材料、積層体、化合物、紫外線吸収剤及び化合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1061B (ko) * 1991-12-31 1994-02-11 Minnesota Mining & Mfg
JPH09226079A (ja) * 1995-12-22 1997-09-02 Toray Ind Inc 表面硬化フィルム
JPH11217451A (ja) * 1998-02-02 1999-08-10 Nof Corp フッ素含有重合体被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7005176B2 (en) * 2001-12-10 2006-02-28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Optical adhesive polyester film
JP4052021B2 (ja) * 2002-06-04 2008-02-2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
JP4342775B2 (ja) * 2002-07-31 2009-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4216031B2 (ja) 2002-09-24 2009-01-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又はディスプレー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266623B2 (ja) * 2002-11-29 2009-05-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723135A (zh) * 2002-12-10 2006-01-18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US7264866B2 (en) * 2003-01-21 2007-09-04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Laminate film
JP4351450B2 (ja) 2003-01-28 2009-10-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060093786A1 (en) * 2003-02-21 2006-05-04 Toshihiko Ohashi Silica-containing laminated structure, and coating composition for use in forming a porous silica layer
JP4517590B2 (ja) * 2003-06-05 2010-08-04 三菱化学株式会社 耐汚染性付与剤及びそれを用いた耐汚染性物品
KR101133482B1 (ko) * 2003-09-30 2012-04-10 닛뽄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하드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4508635B2 (ja) 2003-12-26 2010-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EP1584646B1 (en) * 2004-04-09 2007-06-0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hard-coated optical materials
US7659006B2 (en) * 2004-05-28 2010-02-09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WO2006016592A1 (en) * 2004-08-12 2006-02-16 Fujifilm Corporation Anti-reflection film
JP4703180B2 (ja) * 2004-12-28 2011-06-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光記録媒体
JP2007058162A (ja) 2005-07-28 2007-03-08 Nof Corp 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及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
JP4844097B2 (ja) * 2005-11-18 2011-12-21 Dic株式会社 ポリイミド系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JP2007320112A (ja) * 2006-05-31 2007-12-13 Shin Etsu Polymer Co Ltd 加飾シート
JP2008056789A (ja) * 2006-08-31 2008-03-13 Nippon Paint Co Ltd 防汚性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
JP2008096781A (ja) 2006-10-13 2008-04-24 Nof Corp 高精細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並びにそれを備えた高精細ディスプレイ及び高精細タッチパネル
US7688497B2 (en) * 2007-01-22 2010-03-30 E Ink Corporation Multi-layer sheet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JP2009025734A (ja) * 2007-07-23 2009-02-05 Nof Corp 防眩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
US8628855B2 (en) * 2007-12-12 2014-0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ardcoats comprising perfluoropolyether polymers with poly(alkylene oxide) repeat units
KR100926504B1 (ko) * 2007-12-31 2009-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시트 및 하드코팅 조성물
US9238703B2 (en) * 2008-01-15 2016-01-19 Kimoto Co., Ltd. Curable composition, cured product and laminate
JP5433956B2 (ja) * 2008-02-15 2014-03-0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導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
US20090239043A1 (en) * 2008-03-24 2009-09-24 Ppg Industries Ohio, Inc. Oleophilic compositions, coatings employing the same, and devices formed therefrom
JP2009286981A (ja) * 2008-06-02 2009-12-10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塗液、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5286960B2 (ja) * 2008-06-17 2013-09-11 日油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るタッチパネル
JP5207211B2 (ja) * 2008-07-16 2013-06-12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耐指紋性向上剤、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剤
JP4464449B2 (ja) * 2008-08-18 2010-05-19 尾池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5020913B2 (ja) 2008-09-19 2012-09-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又はディスプレイ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0495A1 (en) 2013-01-02
WO2011105594A1 (ja) 2011-09-01
TW201141703A (en) 2011-12-01
EP2540495A4 (en) 2014-04-30
CN102762371A (zh) 2012-10-31
US20120321882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1168A (ko)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E60126353T2 (de) Biaxial orientierte schichtförmige polyesterfolie und folie mit harter überzugsschicht
TWI377130B (ko)
JP3632044B1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70222B1 (ja)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KR102087006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기재용 적층체
JP2004054161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169277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0306911A (en) Laminated film for optical use
JPWO2016117706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3170013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10323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838972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2172161A (ja) 積層体
JP2005089622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128157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7938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716605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9146622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0538A (ja) 積層体
JP2011183644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7166057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053604A (ja) 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089623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3006312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