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340A -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340A
KR20120130340A KR1020127026940A KR20127026940A KR20120130340A KR 20120130340 A KR20120130340 A KR 20120130340A KR 1020127026940 A KR1020127026940 A KR 1020127026940A KR 20127026940 A KR20127026940 A KR 20127026940A KR 20120130340 A KR20120130340 A KR 20120130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upport
side support
hull
in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989B1 (ko
Inventor
다카시 오카후지
히로토모 오츠카
사토시 미야자키
가즈히로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025/087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omprising self-contained tanks installed in the ship structure as separat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독립 탱크의 바닥면 (51) 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 (91) 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선체측 지지대 (3) 와,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측 지지대 (3)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중 적어도 일방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열성 지지재 (4) 를 갖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1) 에 있어서, 독립 탱크의 바닥면 (51) 은, 바닥판 (91)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온도차에 의해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고,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에는, 탱크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 (P1) 과 선체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 (P2) 이 바닥면 (51) 의 신축에 의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 (8) 을 포함하는 부위에 보강 부재 (22, 32) 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SUPPORT STRUCTURE FOR INDEPENDENT TANK}
본 발명은, 선체와 구조적으로 분리된 독립 탱크를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 내에 지지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기 (外氣) 온도에 대하여 온도차가 있는 적재 화물 (積荷) 이 저장됨으로써 열신축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탑재되는 탱크에는, 선체와 구조적으로 분리된 독립 탱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6 에, 일례로서 LPG (액화 석유 가스) 용 탱커의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6 은 선체 내부에 독립 탱크를 탑재한 독립형 탱커의 개략도로서, (A) 는 선체 횡방향의 단면도이고, (B) 는 선체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독립 탱크 (5) 는 선체 (9) 의 탱크 수용 공간 (6) 내에 설치된다. 그 때, 독립 탱크 (5) 는 지지 구조 (1) 에 의해 연직 방향의 하중이 수용된다. 탱크 수용 공간 (6) 의 측벽 또는 천정과 독립 탱크 (5) 사이에는 홀드 스페이스 (7) 가 형성되고, 앵커 (도시하지 않음) 가 장착되어 있다. 앵커는, 항해 중 선체가 횡방향으로 흔들려 롤링을 일으킨 경우, 그 움직임을 멈추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1) 는, 탱크 바닥면 (51) 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 (91) 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선체측 지지대 (3) 와,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측 지지대 (3) 사이에 개재시킨 단열성 지지재 (4) 를 가진다. 단열성 지지재 (4) 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하중을 전달하는데 수평 방향에 대해서는 구속되지 않고,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중 적어도 일방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배치된다. 그리고, 탱크측 지지대 (2) 와 단열성 지지재 (4) 의 맞닿음면, 또는 선체측 지지대 (3) 와 단열성 지지재 (4) 의 맞닿음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독립 탱크 (5) 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구조를 채용하는 이유의 하나로서, 독립 탱크의 열신축 대책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LPG 용 탱커나 LNG (액화 천연 가스) 용 탱커에 있어서는, 탱크 내에 저장되는 적재 화물은 약 -160 ℃ 정도의 저온, 또는 약 -45 ℃ 정도의 저온의 액화 가스이다. 이들 저온의 적재 화물이 독립 탱크 내에 저장되면 독립 탱크는 수축되고, 빈 상태가 되면 팽창된다. 한편, 고온의 적재 화물이 독립 탱크 내에 저장되면 독립 탱크는 팽창되고, 빈 상태가 되면 수축된다. 이와 같은 적재 화물의 하역시의 온도 변화에 수반되는 독립 탱크의 신축에 대응 가능하도록, 독립 탱크의 바닥면을 선체에 고정시키지 않고,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측 지지대가 단열성 지지재를 개재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관련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81287호) 에 독립 탱크의 지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지지 방법은, 선체 상판 (床板) 상에 고정된 지지대 상에 단열재를 개재하여 독립 탱크를 지지할 때에, 탱크 바닥판과 단열재 사이에 강판을 삽입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판을 삽입함으로써 탱크 하중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90891호) 에는 선재 (船載) 탱크의 지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 의 지지 구조는,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측 지지대 사이에 단열성 지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복수 개재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탱크 단부 (端部) 의 단열성 지지재를 그 이외의 단열성 지지재보다 저영률로 하여, 탱크에 대한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8128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90891호
도 8 은 종래의 독립 탱크의 편심 응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 는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고, (B) 는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측 지지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허문헌 1 이나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는 종래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는, 적재 화물의 하역시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독립 탱크가 열신축함으로써,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측 지지대 (2) 의 하중 중심 (P1) 과 선체측 지지대 (3) 의 하중 중심 (P2) 이 어긋나, 지지대 (2, 3) 나 지지재 (4) 에 편심 응력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탱크측 지지대 (2) 나 선체측 지지대 (3) 는, 편심 하중에 의한 응력 집중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지지대 (2, 3) 에 변형이 생기면, 독립 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
한편, 탱크측 지지대 (2) 나 선체측 지지대 (3) 를 편심 응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판 두께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들 지지대 (2, 3) 는 다수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대 (2, 3) 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면 중량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도 8(B) 중의 화살표는, 열신축에 의한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측 지지대 (3) 의 어긋남을 나타낸다. 독립 탱크와 선체의 온도차가 커지면 커질수록 어긋남은 커지고,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측 지지대 (3) 의 편심량 및 편심 하중이 커져, 편심 하중에 의한 지지대의 강도 부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독립 탱크의 온도 변화에 수반되는 열신축에 의해 탱크측 지지부 및 선체측 지지부의 하중 중심이 서로 편심된 경우에 있어서도, 이들 지지부에 대한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독립 탱크를 지지 가능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는, 외기 온도에 대하여 온도차가 있는 적재 화물이 저장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독립 탱크의 바닥면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선체측 지지대와, 상기 탱크측 지지대와 상기 선체측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탱크측 지지대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 중 적어도 일방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열성 지지재를 갖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독립 탱크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온도차에 의해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탱크측 지지대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에는 각각, 상기 탱크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과 상기 선체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이 상기 바닥면의 신축에 의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탱크 하중에 대하여 상기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 1 발명에서는, 탱크측 지지대 및 선체측 지지대에 보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보강 부재는, 독립 탱크의 열신축에 의해 탱크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과 선체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에 의해, 편심 하중에 의한 탱크측 지지대 및 선체측 지지대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측 지지대 및 선체측 지지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독립 탱크를 지지 가능한 지지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보강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편심 하중 대책으로서 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지지 구조의 중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보강 부재가 각각 형성된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측 지지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독립 탱크는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독립 탱크의 바닥면은, 선체의 바닥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측 지지대 및 선체측 지지대의 편심 영역을 용이하게 특정 가능하여, 보강 부재를 필요 부위에 확실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외기 온도란 탱크 주위의 온도를 말하고, 탱크 주위는 실외여도 되고, 실내여도 된다.
제 2 발명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는, 외기 온도에 대하여 온도차가 있는 적재 화물이 저장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로서,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선체측 지지대와, 상기 독립 탱크의 바닥부 내 구재 (構材) 가 위치하는 바닥면 부위와 상기 선체측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닥면 부위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 중 적어도 일방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열성 지지재를 갖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독립 탱크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온도차에 의해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 내 구재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에는 각각, 상기 바닥부 내 구재에 의한 바닥면 지지점과 상기 선체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이 상기 바닥면의 신축에 의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탱크 하중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 내 구재 또는 상기 선체측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 2 발명에서는, 바닥부 내 구재 및 선체측 지지대에 보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보강 부재는, 독립 탱크의 열신축에 의해, 바닥부 내 구재에 의한 바닥면 지지점과 선체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에 의해, 편심 하중에 의한 바닥면 및 선체측 지지대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 바닥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선체측 지지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독립 탱크를 지지 가능한 지지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보강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편심 하중 대책으로서 탱크 바닥면이나 선체측 지지대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탱크나 지지 구조의 중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 내 구재란, 독립 탱크 자체의 보강을 목적으로 하여 탱크 바닥면보다 내측에 형성된 구재 (골재를 포함한다) 이다. 상기 바닥부 내 구재에 의한 바닥면 지지점이란, 바닥부 내 구재가 접속되어 있는 바닥면 위치 중 적어도 한 점이고, 특히 복수의 바닥부 내 구재가 교차되어 바닥면 중 가장 변형 강도가 높은 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독립 탱크측에는 지지대를 형성하지 않고 바닥부 내 구재에 보강 부재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나 공수 (工數) 삭감에 의한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독립 탱크의 바닥면은, 선체의 바닥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 영역을 용이하게 특정 가능하여, 보강 부재를 필요 부위에 확실히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있어서,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하중 중심의 주위 중 상기 편심 영역을 포함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편심 하중에 의한 응력 집중에 대응한 필요 최저한의 보강을 실시함과 함께,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하중 중심의 주위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탱크 바닥면의 신축 방향에 대한 보강 부재의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지지대에 보강 부재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지대를 독립 탱크에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바닥부 내 구재에 보강 부재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강 부재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탱크측 지지대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는, 상기 단열성 지지재에 면접촉하는 천판 (天板) 부와, 일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천판부에 접속됨과 함께 그 천판부에 직교하는 하중 중심축을 지나가도록 배치된 복수의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레그부와, 일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천판부에 접속됨과 함께 이웃하는 상기 평판 부재끼리의 사이에 가설 (架設) 된 상기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레그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평판 부재는, 하중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이웃하는 평판 부재끼리의 사이에 보강 부재를 가설함으로써, 편심 하중을 하중 중심축에 축력으로서 전달시킬 수 있어, 하중 중심의 편심에 의한 응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천판부로부터 상기 레그부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보강 부재의 상하 단부 (端部) 가, 천판부와 탱크 바닥면 또는 선체의 바닥판에 각각 맞닿아 천판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하중 중심축 외에 보강 부재에 있어서도 연직 방향으로 탱크 하중을 전달할 수 있어, 보다 큰 편심 하중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천판부로부터 상기 레그부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보다 짧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보강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어,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는, 이웃하는 상기 판상 부재 간의 중앙부 쪽이 그 판상 부재에 접속되는 단부측보다 연직 방향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에 있어서 천판에서 받은 하중은, 보강 부재로부터 판상 부재에 전달된다. 따라서, 하중의 전달에 기여하지 않는 판상 부재 간 중앙부의 보강 부재를 단부측보다 짧게 함으로써, 보강 부재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어,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이상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측 지지대 및 선체측 지지대, 또는 탱크의 바닥부 내 구재 및 선체측 지지대에 보강 부재를 형성하고, 그 보강 부재를 하중 중심의 편심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형성함으로써, 편심 하중에 의한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측 지지대 및 선체측 지지대, 또는 탱크 바닥면 및 선체측 지지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독립 탱크를 지지 가능한 지지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보강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편심 하중 대책으로서 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지지 구조의 중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독립 탱크의 바닥면은, 선체의 바닥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 영역을 용이하게 특정 가능하여, 보강 부재를 필요 부위에 확실히 설치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 는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고, (B) 는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측 지지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독립 탱크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 ? (G) 의 각각에 있어서 상부 도면은 지지대의 평면도이고, 하부 도면은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바닥부 내 구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선체 내부에 독립 탱크를 탑재한 독립형 탱커의 개략도로, (A) 는 선체 횡방향의 단면도이고, (B) 는 선체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독립 탱크의 편심 하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 는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고, (B) 는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측 지지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이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는, 외기 온도에 대하여 온도차가 있는 적재 화물이 저장되는 독립 탱크를,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 내에 지지할 때에 사용된다. 여기서, 외기 온도란 탱크 주위의 온도를 말하고, 탱크 주위는 실외여도 되고, 실내여도 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 는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고, (B) 는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측 지지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B) 는 지지 구조 (1) 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고,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에 있어서 각각 천판 (21, 31) 은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1) 는, 독립 탱크의 바닥면 (51) 에 고정 형성된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 (91) 에 고정 형성된 선체측 지지대 (3) 와,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측 지지대 (3) 사이에 개재시킨 단열성 지지재 (4) 를 가진다.
탱크측 지지대 (2) 는, 독립 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고, 독립 탱크의 바닥면 (51) 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고정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지지대 (2) 로서는 강성이 높은 재료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강재가 사용된다.
또한 탱크측 지지대 (2) 는, 탱크 하중에 대하여 탱크측 지지대 (2) 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 (23) 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탱크측 지지대 (2) 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탱크측 지지대 (2) 는, 단열성 지지재 (4) 에 면접촉하는 천판부 (21) 와, 일측 가장자리부가 천판부 (21) 에 접속됨과 함께 그 천판부 (21) 에 직교하는 하중 중심축 (P1) 을 지나가도록 배치된 복수의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레그부 (22) 를 포함한다. 또한, 일측 가장자리부가 천판부 (21) 에 접속됨과 함께, 레그부 (22) 의 이웃하는 평판 부재끼리의 사이에 가설된 보강 부재 (23) 를 포함한다. 이 보강 부재 (23) 는 플레이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체측 지지대 (3) 는, 탱크측 지지대 (2) 및 단열성 지지재 (4) 를 개재하여 독립 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고,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 (91) 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고정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체측 지지대 (3) 는, 탱크 하중에 대하여 선체측 지지대 (3) 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 (33) 의 구성에 대해서는, 탱크측 지지대 (2) 의 보강 부재 (23) 와 함께 후술한다.
선체측 지지대 (3) 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한 탱크측 지지대 (2) 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선체측 지지대 (3) 는, 천판부 (31) 와, 레그부 (32) 와 보강 부재 (33) 를 포함한다.
단열성 지지재 (4) 는, 독립 탱크의 하중을 지지함과 함께, 독립 탱크의 바닥면 (51) 과,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 (91) 사이의 단열재로서 기능한다. 이 단열성 지지재 (4) 로서는, 수지를 함침시켜 강도를 증가시킨 목재, 수지, 혹은 천 등으로 보강된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 박판 (薄板) 상 재료를 적층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단열성 지지재 (4) 는 예를 들어 페놀 수지의 적층재로서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천을 페놀 수지로 굳히면서 적층한 것, 또는 목재에 수지를 함침시켜 굳힌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단열성 지지재 (4) 는,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측 지지대 (3) 사이에 개재되어,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중 적어도 일방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즉, 단열성 지지재 (4) 와 탱크측 지지대 (2), 또는 단열성 지지재 (4) 와 선체측 지지대 (3) 를 고정시켜, 단열성 지지재 (4) 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측의 지지대가 단열성 지지재 (4) 와 슬라이딩하도록 해도 되고, 단열성 지지재 (4) 와 양 지지대가 슬라이딩하도록 해도 된다. 이 때, 단열성 지지재 (4) 의 표면은, 선체의 요동에 대해서는 독립 탱크를 유지하고, 또한 독립 탱크의 열신축에 대해서는 탱크측 지지대 (2) 또는 선체측 지지대 (3) 와 슬라이딩하는 마찰 계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독립 탱크와 선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선박은, 예를 들어 LPG (액화 석유 가스) 용 탱커나 LNG (액화 천연 가스) 용 탱커 등과 같이, 외기 온도에 대하여 온도차가 있는 적재 화물이 저장되는 독립 탱크를 탑재한 선박이다.
도 6 은 선체 내부에 독립 탱크를 탑재한 독립형 탱커의 개략도로, (A) 는 선체 횡방향의 단면도이고, (B) 는 선체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독립형의 탱커에 있어서는, 독립 탱크 (5) 를 선체 (9) 의 탱크 수용 공간 (6) 내에 탑재한다. 탱크 수용 공간 (6) 의 측벽 또는 천정과 독립 탱크 (5) 사이에는 홀드 스페이스 (7) 가 형성되고, 여기에 앵커 (도시 생략) 가 장착되어 있다. 앵커는, 항해 중 선체가 횡방향으로 흔들려 롤링을 일으킨 경우, 그 움직임을 멈추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수용 공간 (6) 과 독립 탱크 (5) 사이의 홀드 스페이스 (7) 에는, 독립 탱크 (5) 의 연직 방향의 하중을 받아들이는 지지 구조 (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는 독립 탱크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독립 탱크 (5) 의 바닥면 (51) 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탱크측 지지대 (2) 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탱크측 지지대 (2) 의 위치에 지지 구조 (1) 가 배치되게 된다.
독립 탱크 (5) 는, 외기 온도로부터 저온 또는 고온의 적재 화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적재 화물의 하역시에 열신축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 (5) 는, 독립 탱크 (5) 의 바닥면 (51) 이 탱크 수용 공간 (6) 의 바닥판 (91) (도 6 참조)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 (50) 을 중심으로 하여 온도차에 의해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바닥면 (51) 에 고정 수단을 형성하여, 고정 수단에 의해 기점 (50) 은 고정되고, 또한 다른 바닥면 부위는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바닥면 (51) 중 기점 (50) 만이 변위되지 않도록 독립 탱크 (5) 를 탱크 수용 공간 (6) 상부로부터 매달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2 는 일례로서, 독립 탱크 (5) 가 빈 상태에서 상온 (외기 온도와 동일) 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면 중의 화살표는, 외기 온도보다 저온의 적재 화물을 탱크 내에 적재했을 때에 독립 탱크 (5) 의 바닥면 (51) 이 수축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독립 탱크 (5) 의 바닥면 (51) 은, 기점 (50) 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로 돌아와, 탱크측 지지대 (2) 의 보강 부재 (23) 및 선체측 지지대 (3) 의 보강 부재 (33) 는, 탱크측 지지대 (2) 의 하중 중심 (P1) 과 선체측 지지대 (3) 의 하중 중심 (P2) 이 바닥면 (51) 의 신축에 의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 (8) 을 포함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독립 탱크 (5) 가 상온일 때는, 탱크측 지지대 (2) 의 하중 중심 (P1) 과 선체측 지지대 (3) 의 하중 중심 (P2) 은 동일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독립 탱크 (5) 내에 적재 화물이 적재되면 독립 탱크 (5) 가 열신축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바닥면 (51) 에 고정 형성되는 탱크측 지지대 (2) 는, 예를 들어 도 1(B) 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탱크측 지지대 (2) 의 하중 중심 (P1) 과, 선체측 지지대 (3) 의 하중 중심 (P2) 이 어긋나 편심 배치된다. 이로써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에는 편심 응력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대 (2, 3) 에 보강 부재 (23, 33)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편심 하중에 의한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독립 탱크 (5) 를 지지 가능한 지지 구조 (1) 로 할 수 있다. 또, 보강 부재 (23, 33) 를 형성함으로써, 편심 하중 대책으로서 지지대 (2, 3) 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지지 구조 (1) 의 중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강 부재 (23, 33) 가 각각 형성된 탱크측 지지대 (2) 와 선체측 지지대 (3) 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독립 탱크 (5) 는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독립 탱크 (5) 의 바닥면 (51) 은, 선체 (9) 의 바닥판 (91)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의 편심 영역 (8) 을 용이하게 특정 가능하여, 보강 부재 (23, 33) 를 필요 부위에 확실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측 지지대 (2) 및 선체측 지지대 (3) 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천판부 (21, 31) 와 복수의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레그부 (22, 32) 와, 보강 부재 (23, 33)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 레그부 (22, 32) 를 형성하는 복수의 평판 부재는, 하중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이웃하는 평판 부재끼리의 사이에 보강 부재 (23, 33) 를 가설함으로써, 편심 하중을 하중 중심축에 축력으로서 전달시킬 수 있어, 하중 중심의 편심에 의한 응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 지지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3(A) ? (G) 의 각각에 있어서 상부 도면은 지지대의 평면도이고, 하부 도면은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선체측 지지대 (3) 에 대해 설명하지만, 탱크측 지지대 (2) 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3(A) ? (G) 에 있어서, 선체측 지지대 (3) 는, 천판부 (31) 와, 복수의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레그부 (32) 와, 보강 부재 (33) 를 포함한다. 레그부 (32) 는, 평판 부재가 십자로 교차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레그부 (32) 는, 하중 중심 (P2) 을 중심으로 하여 90 도 간격으로 4 장의 평판 부재가 배치된 구성이 되어 있다.
도 3(A) 의 지지 구조는, 선체측 지지대 (3a) 의 보강 부재 (33a) 가, 하중 중심 (P2a) 의 주위 중 편심 영역 (8) (도 1 참조) 을 포함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호상의 보강 부재 (33a) 가, 이웃하는 판상 부재 사이에 가설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로써, 편심 하중에 의한 응력 집중에 대응한 필요 최저한의 보강을 실시함과 함께,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이 보강 부재 (33a) 는, 천판부 (31a) 로부터 레그부 (32a) 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보다 짧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 (91) 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보강 부재 (33a) 를 소형화할 수 있어,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보강 부재 (33a) 는, 이웃하는 판상 부재 간의 중앙부 쪽이 그 판상 부재에 접속되는 단부측보다 연직 방향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판상 부재 간의 중앙부에 있어서 보강 부재 (33a) 가 일부 노치된 형상이 되어 있다. 이것은, 선체측 지지대 (3a) 에 있어서 천판 (31a) 에서 받은 하중은, 보강 부재 (33a) 로부터 레그부 (32a) 의 판상 부재로 전달된다. 따라서, 하중의 전달에 기여하지 않는 판상 부재 간 중앙부의 보강 부재 (33a) 를 단부측부다 짧게 함으로써, 보강 부재 (33a) 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어, 지지 구조의 추가적인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도 3(B) 의 지지 구조는, 선체측 지지대 (3b) 의 보강 부재 (33b) 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하중 중심 (P2b) 의 주위 중 편심 영역 (8) (도 1 참조) 을 포함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 구조 (1b) 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이 보강 부재 (33b) 는, 천판부 (31b) 로부터 레그부 (32b) 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보강 부재 (33b) 의 상하 단부가, 천판부 (31b) 와 바닥판 (91) 에 각각 맞닿아 천판부 (31b) 를 지지하기 때문에, 하중 중심축 외에 보강 부재 (33b) 에 있어서도 연직 방향으로 탱크 하중을 전달할 수 있어, 보다 큰 편심 하중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도 3(C) 의 지지 구조는, 선체측 지지대 (3c) 의 보강 부재 (33c) 가 하중 중심 (P2c) 의 주위 전체 둘레에 걸쳐 원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탱크 바닥면 (51) 의 신축 방향에 대한 보강 부재 (33c) 의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선체측 지지대 (3c) 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이 보강 부재 (33c) 는, 천판부 (31c) 로부터 레그부 (32c) 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보다 짧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 (91) 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보강 부재 (33c) 를 소형화할 수 있어,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도 3(D) 의 지지 구조는 선체측 지지대 (3d) 의 보강 부재 (33d) 가 하중 중심 (P2d) 의 주위 전체 둘레에 걸쳐 원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탱크 바닥면 (51) 의 신축 방향에 대한 보강 부재 (33d) 의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선체측 지지대 (3d) 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이 보강 부재 (33d) 는, 천판부 (31d) 로부터 레그부 (32d) 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큰 편심 하중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도 3(E) 의 지지 구조는, 선체측 지지대 (3e) 의 보강 부재 (33e) 가 하중 중심 (P2e) 의 주위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선체측 지지대 (3c) 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보강 부재 (33e) 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레그부 (32) 의 판상 부재에 대하여 45 도의 각도로 장착되어, 전체적으로 방형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보강 부재 (33e) 는, 천판부 (31e) 로부터 레그부 (32e) 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보다 짧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 (91) 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보강 부재 (33e) 를 소형화할 수 있어,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도 3(F) 의 지지 구조는, 선체측 지지대 (3f) 의 보강 부재 (33f) 가, 하중 중심 (P2f) 의 주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판상의 보강 부재 (33f) 가, 하중 중심 (P2f) 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선체측 지지대 (3f) 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이 보강 부재 (33f) 는, 천판부 (31f) 로부터 레그부 (32f) 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보다 짧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 (91) 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보강 부재 (33f) 를 소형화할 수 있어,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도 3(G) 의 지지 구조는, 선체측 지지대 (3g) 의 보강 부재 (33g) 가 하중 중심 (P2g) 의 주위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선체측 지지대 (3g) 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보강 부재 (33g) 는 90 도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전체적으로 방형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보강 부재 (33f) 는, 천판부 (31f) 로부터 레그부 (32f) 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보다 짧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 (91) 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보강 부재 (33f) 를 소형화할 수 있어, 지지 구조의 중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E) ? 도 3(G) 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는, 보강 부재를 하중 중심의 주위에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추가로 천판부로부터 레그부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1') 는,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 (91) 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선체측 지지대 (3') 와, 탱크 바닥면 (51) 과 선체측 지지대 (3') 사이에 개재된 단열성 지지재 (4') 를 가진다.
선체측 지지대 (3') 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천판 (31') 과, 레그부 (32') 와, 보강 부재 (33') 를 갖고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독립 탱크 (5) 의 바닥면 (51) 은, 바닥판 (91)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온도차에 의해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낸 탱크측 지지대 (2) 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열성 지지재 (4') 는, 독립 탱크 (5) 의 바닥부 내 구재 (52) 가 위치하는 바닥면 부위 (51a) 와, 선체측 지지대 (3')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바닥부 내 구재 (52) 에는, 그 바닥부 내 구재 (52) 에 의한 바닥면 지지점 (P3) 과, 선체측 지지대 (3') 의 하중 중심이 바닥면 (51) 의 신축에 의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탱크 하중에 대하여 바닥부 내 구재 (52) 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 (25) 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 내 구재 (52) 에 의한 바닥면 지지점 (P3) 이란, 바닥부 내 구재 (52) 가 접속되어 있는 바닥면 위치 중 적어도 한 점이고, 특히 복수의 바닥부 내 구재 (52) 가 교차되어 바닥면 (51) 중 가장 변형 강도가 높은 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 에 바닥부 내 구재 (52) 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바닥부 내 구재 (52) 란, 독립 탱크 자체의 보강을 목적으로 하여 탱크 바닥면 (51) 보다 내측에 형성된 구재 (골재를 포함한다) 이다. 바닥부 내 구재 (52) 는, 일반적으로 횡방향 골재와 종방향 골재가 교차된 구성을 가진다. 이 바닥부 내 구재 (52) 가 교차된 위치를 바닥면 부위 (51a) 로 하고, 교차된 점을 바닥면 지지점 (P3)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바닥부 내 구재 (52) 가 교차된 위치가 가장 변형 강도가 높은 점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 내 구재 (52) 및 선체측 지지대 (3') 에 보강 부재 (25, 33') 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 (25, 33') 에 의해, 편심 하중에 의한 바닥면 (51) 및 선체측 지지대 (3') 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 바닥면 (51)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선체측 지지대 (3')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독립 탱크 (5) 를 지지 가능한 지지 구조 (1') 로 할 수 있다. 또, 보강 부재 (25, 33') 를 형성함으로써, 편심 하중 대책으로서 탱크 바닥면 (51) 이나 선체측 지지대 (3') 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탱크 (5) 나 지지 구조 (1') 의 중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독립 탱크측에는 지지대를 형성하지 않고 바닥부 내 구재 (52) 에 보강 부재 (25) 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구조 (1') 의 중량 저감이나 공수 삭감에 의한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독립 탱크 (5) 의 바닥면 (51) 은, 선체 (9) 의 바닥판 (91)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 영역을 용이하게 특정 가능하여, 보강 부재 (25, 33') 를 필요 부위에 확실히 설치할 수 있다.

Claims (8)

  1. 외기 (外氣) 온도에 대하여 온도차가 있는 적재 화물 (積荷) 이 저장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독립 탱크의 바닥면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탱크측 지지대와,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선체측 지지대와, 상기 탱크측 지지대와 상기 선체측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탱크측 지지대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 중 적어도 일방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열성 지지재를 갖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독립 탱크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온도차에 의해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탱크측 지지대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에는 각각, 상기 탱크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과 상기 선체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이 상기 바닥면의 신축에 의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탱크 하중에 대하여 상기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2. 외기 온도에 대하여 온도차가 있는 적재 화물이 저장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로서,
    선체의 탱크 수용 공간의 바닥판에 고정 형성된 복수의 선체측 지지대와, 상기 독립 탱크의 바닥부 내 구재 (構材) 가 위치하는 바닥면 부위와 상기 선체측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닥면 부위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 중 적어도 일방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열성 지지재를 갖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독립 탱크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되지 않는 기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온도차에 의해 방사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 내 구재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에는 각각, 상기 바닥부 내 구재에 의한 바닥면 지지점과 상기 선체측 지지대의 하중 중심이 상기 바닥면의 신축에 의해 서로 편심되는 편심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탱크 하중에 대하여 상기 바닥부 내 구재 또는 상기 선체측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하중 중심 주위 중 상기 편심 영역을 포함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하중 중심의 주위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측 지지대 및 상기 선체측 지지대는, 상기 단열성 지지재에 면접촉하는 천판부와, 일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천판부에 접속됨과 함께 그 천판부에 직교하는 하중 중심축을 지나가도록 배치된 복수의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레그부와, 일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천판부에 접속됨과 함께 이웃하는 상기 평판 부재끼리의 사이에 가설된 상기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천판부로부터 상기 레그부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천판부로부터 상기 레그부의 연직 방향 전체 길이보다 짧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이웃하는 상기 판상 부재 간의 중앙부 쪽이 그 판상 부재에 접속되는 단부 (端部) 측보다 연직 방향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KR1020127026940A 2010-12-13 2011-11-22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KR101503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7282A JP5737920B2 (ja) 2010-12-13 2010-12-13 独立タンクの支持構造
JPJP-P-2010-277282 2010-12-13
PCT/JP2011/076846 WO2012081365A1 (ja) 2010-12-13 2011-11-22 独立タンクの支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40A true KR20120130340A (ko) 2012-11-30
KR101503989B1 KR101503989B1 (ko) 2015-03-18

Family

ID=4624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940A KR101503989B1 (ko) 2010-12-13 2011-11-22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37920B2 (ko)
KR (1) KR101503989B1 (ko)
CN (1) CN102958798B (ko)
WO (1) WO20120813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436U (ko) 2013-10-04 2015-04-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형 탱크의 지지 구조물
KR20160024408A (ko) * 2014-08-25 2016-03-07 주식회사 엔케이 단열블록 고정턱이 형성된 서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2중벽 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7920B2 (ja) * 2010-12-13 2015-06-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独立タンクの支持構造
BR112015025794A2 (pt) * 2013-04-23 2017-07-25 Kawasaki Heavy Ind Ltd estrutura de sustentação de tanque de navio e carreador de gás liquefeito
FR3008163B1 (fr) * 2013-07-02 2015-11-13 Gaztransp Et Technigaz Element calorifuge convenant pour la realisation d'une barriere isolante dans une cuve etanche et isolante
KR101422624B1 (ko) * 2013-10-29 2014-07-23 (주)건양선박설계 잭을 포함하는 독립 탱크용 지지 장치 및 이를 갖는 운반선
DE102014203351B4 (de) * 2014-02-25 2017-10-1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flager zur Lagerung und zur thermischen Isolation von Fluidtanks
CN105711737B (zh) * 2014-12-03 2017-10-27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A型独立液货舱底面中间防横摇支座绝缘的安装方法
CN105416514A (zh) * 2015-12-21 2016-03-23 大连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Lng运输船液货罐底座安装方法及液货罐底座结构
KR101969534B1 (ko) * 2017-05-30 2019-04-16 주식회사 엔케이 단열블록을 구비하는 lng 저장탱크용 지지장치
CN112654567A (zh) * 2018-09-26 2021-04-13 株式会社海泰 带秤的储罐
US20220097807A1 (en) * 2020-09-28 2022-03-31 Arcosa Marine Products, Inc. Container hopper barge with pedestal support system
DE102021102749A1 (de) * 2021-02-05 2022-08-11 Deutsche Holzveredelung Schmeing GmbH & Co. KG Lagerbloc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1287A (ja) * 1984-09-28 1986-04-24 Hitachi Zosen Corp 独立タンクの支持方法
JPH05139372A (ja) * 1991-11-22 1993-06-08 Mitsubishi Heavy Ind Ltd Lpg船のカーゴタンク支持構造
JP3196421B2 (ja) 1993-05-27 2001-08-0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液体運搬船用自立角型タンクの支持装置
JP2000177681A (ja) * 1998-12-15 2000-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独立タンク支持システム
JP3600464B2 (ja) * 1998-12-28 2004-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載タンクの支持構造
JP3108067B1 (ja) * 1999-10-22 2000-11-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のタンク支持構造
US6971537B2 (en) * 2001-10-05 2005-12-06 Electric Boat Corporation Support arrangement for semi-membrane tank walls
JP4071205B2 (ja) * 2004-03-02 2008-04-02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独立タンク据付架台
DE102005057451A1 (de) * 2005-12-01 2007-06-14 Tge Gas Engineering Gmbh Vorrichtung zur Lagerung eines Tankes in einem Schiff
JP5737920B2 (ja) * 2010-12-13 2015-06-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独立タンクの支持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436U (ko) 2013-10-04 2015-04-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형 탱크의 지지 구조물
KR20160024408A (ko) * 2014-08-25 2016-03-07 주식회사 엔케이 단열블록 고정턱이 형성된 서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2중벽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8798A (zh) 2013-03-06
CN102958798B (zh) 2015-07-15
JP5737920B2 (ja) 2015-06-17
WO2012081365A1 (ja) 2012-06-21
KR101503989B1 (ko) 2015-03-18
JP2012126173A (ja)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0340A (ko) 독립 탱크의 지지 구조
EP3067613B1 (en) Liquefied-fuel tank and aquatic structure provided with same
KR101584574B1 (ko) 초저온 유체 저장탱크용 코너 패널 및 이를 가지는 초저온 유체 단열 시스템
JP2007292282A (ja) 改善された断熱構造を有する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104769A1 (en) Support system
JP6381804B2 (ja)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のコーナー構造体
KR20170050586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WO2016006382A1 (ja) 運搬船
KR20170050588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101751851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101867035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타입 단열박스 및 그의 고정장치
JP3708055B2 (ja) 液化ガスタンクの支持構造
KR102203735B1 (ko) 극저온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및 그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구비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
KR101903089B1 (ko) 슬로싱 저감판 및 이를 갖는 해양 구조물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232762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0482843Y1 (ko) 독립형 탱크의 지지 구조물
CN112424525B (zh) 流体存储设施
KR102003407B1 (ko)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및 액화가스 연료용기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JP7466705B2 (ja) 液化ガス貯蔵タンク及びそれを含む船舶
KR20190080352A (ko)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및 그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2327629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WO2022080348A1 (ja) 液化ガス用断熱二重配管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化ガス貯留船
RU2805353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KR20190002915A (ko) 해양 구조물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US20230228379A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ship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