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986A -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986A
KR20120129986A KR1020127024383A KR20127024383A KR20120129986A KR 20120129986 A KR20120129986 A KR 20120129986A KR 1020127024383 A KR1020127024383 A KR 1020127024383A KR 20127024383 A KR20127024383 A KR 20127024383A KR 20120129986 A KR20120129986 A KR 2012012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ce
door open
passeng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305B1 (ko
Inventor
마사오 요리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66B2201/4646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한 호출 등록 장치에 있어서, 승객이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행하기 전에 도어가 닫혀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호출 등록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음성 입력용의 마이크로폰과,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승객을 검출하기 위한 사람 검출 장치와,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중에 사람 검출 장치가 승객의 존재를 검출한 경우에,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의 등록을 행하는 호출 등록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호출 등록 수단에 의해 호출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때에,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을 적절히 조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내에 있어서, 승객이 음성에 의해 호출의 등록을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휠체어 사용자나 고령자, 많은 짐으로 양손이 바쁜 사람 등, 여러 승객에 의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승객에 따라서는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버튼 조작이 곤란하거나 불편하다고 느끼는 일이 있었다.
하기 특허 문헌 1 내지 4에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을 음성에 의해 행할 수 있는 호출 등록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마이크로폰 앞에 사람이 서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을 때만,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가능하게 하여, 승강장에 있는 대기 승객의 회화나 주위의 소음 등에 의해 호출의 오등록(誤登錄)(음성의 오인식)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호출의 오등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허 문헌 2에 음성 입력용의 마이크로폰을 복수 설치하는 것이, 특허 문헌 3에 복수의 처리 방법에 의해 음성 인식을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내지 3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호출 등록 장치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내에 설치되는 호출 등록 장치에는 승강장의 호출 등록 장치에는 적용되지 않는 특유의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것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려 있을 때만,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가능하게 하여, 엘리베이터칸이 주행하고 있을 때 승객의 회화나 주위의 소음에 의해 호출의 오등록이 이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2557939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 3-28458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제3082618호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 2002-128404호 공보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것에서는,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행할 수 있는 기간이 승객이 엘리베이터칸에 승차한 후의 얼마 안되는 기간에 한정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 내가 혼잡한 경우 등에는, 승객이 마이크로폰 앞으로 이동하기까지 도어가 닫혀 버려,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일이 있었다. 이와 같은 사상은 특히, 휠체어 사용자나 고령자, 많은 짐으로 양손이 바쁜 사람 등, 엘리베이터칸 내로의 이동에 시간이 걸리거나 엘리베이터칸 내에서의 민첩한 움직임이 곤란한 승객이 승차할 때에 일어나기 쉽다.
또한,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행하기 전에 도어가 닫혀 버린 경우, 예를 들어 양손에 짐을 가지고 있는 승객이면, 엘리베이터칸 내에서 짐을 일단 내리고 나서 행선 버튼 등의 조작을 행해야 되어서,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 기능을 구비한 효과가 반감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한 호출 등록 장치에 있어서, 승객이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행하기 전에 도어가 닫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음성 입력용의 마이크로폰과,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승객을 검출하기 위한 사람 검출 장치와,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중에 사람 검출 장치가 승객의 존재를 검출한 경우에,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의 등록을 행하는 호출 등록 수단과, 호출 등록 수단에 의해 호출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때에,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을 조정하는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한 호출 등록 장치에 있어서, 승객이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행하기 전에 도어가 닫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호출 등록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호출 등록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2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 제어 등, 엘리베이터 전체의 운행 제어를 맡는 제어반이다. 엘리베이터칸(1)에는 인감(人感) 센서(사람 검출 장치; 3), 알람기(4), 음성 등록 장치(5)가 마련되어 있다.
인감 센서(3)는 소정의 검출 범위에 있는 승객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감 센서(3)는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자가 될 수 있는 승객을 검출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고, 예를 들어 그 검출 범위는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를 횡단하도록 설정된다(도 2 참조).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세로 기둥에 복수의 인감 센서(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각 검출 범위를 상하에 배치하여, 검출 누락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승객은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를 통과할 때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감 센서(3)에 의해 확실하게 그 존재가 검출된다.
알람기(4)는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에 대해서 소정의 정보를 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알람기(4)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에 대해서 음성 안내를 행하는 스피커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음성 등록 장치(5)는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이 음성에 의해 호출을 등록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칸(1)에 설치된 것이다. 음성 등록 장치(5)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음성 입력 장치; 6), 표시 장치(7), 음성 인식 장치(8)에 의해, 그 주요부가 구성된다.
마이크로폰(6)은 음성 입력용으로서 엘리베이터칸(1)에 설치된 것이다. 즉, 음성에 의해 호출을 등록하고 싶은 승객은 자신의 행선층 등의 음성 정보를 이 마이크로폰(6)으로부터 입력한다. 표시 장치(7)는 음성 등록 장치(5)가 사용 가능하다는 것, 즉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것을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에 대해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표시 장치(7)는 예를 들어 LED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폰(6) 및 표시 장치(7)를 엘리베이터칸(1) 내의 조작반(9)에 배치하고 있다. 조작반(9)에는 상기 알람기(4) 외ㅇ에도어 열림 버튼(10), 도어 닫힘 버튼(11), 각 행선 버튼(12)도 마련되어 있다.
음성 인식 장치(8)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마이크로폰(6)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의 등록을 행하는 기능과, 엘리베이터칸(1)에 승차한 승객이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행하기 전에, 엘리베이터가 도어가 닫혀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 장치(8)는 사람 검출 수단(13),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 음성 인식 수단(15), 호출 등록 수단(16),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에 의해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사람 검출 수단(13)은 인감 센서(3)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자가 될 수 있는 승객의 유무를 검출한다.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은 음성에 의해 호출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어 있을 때에 승객이 마이크로폰(6)으로부터 음성을 입력해도, 호출의 등록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는 사람 검출 수단(13)으로부터 승객 유무의 검출 결과가, 제어반(2)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반(2)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상황이나,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라고 하는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은 그러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중에 인감 센서(3)가 승객의 존재를 검출한 경우에, 도어가 닫힐 때까지,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음성 인식 수단(15)은 음성 등록 장치(5)의 음성 인식 기능을 맡는다. 또한, 음성 인식 수단(15)에 의한 음성 인식 기능은 승객이 마이크로폰(6)에 대해서 발한 음성이 호출 등록을 요구한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으면, 어떤 방식에 의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수단(15)은 마이크로폰(6)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 중에, 기등록된 음성 신호와 소정의 조건에서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고,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면, 그 등록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행선층을 승객의 행선층으로서 특정한다. 이와 같은 기술은 예를 들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등에 있어서도 적용되고 있다.
호출 등록 수단(16)은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의 판정 결과와 음성 인식 수단(15)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호출 등록 수단(16)은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취지가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판정되고 있는 동안에, 음성 인식 수단(15)이 마이크로폰(6)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승객의 행선층을 특정하면, 그 특정 결과에 따른 지령을 제어반(2)에 출력하고, 승객의 호출을 등록한다.
또한, 호출 등록 수단(16)의 상기 기능은 예를 들어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등록 가능하다고 판정되어 있을 때만, 마이크로폰(6)의 스위치를 온으로 하거나, 음성 인식 수단(15)의 음성 인식 기능을 유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 호출 등록이 가능한 때인지 여부의 판단을, 호출 등록 수단(16)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폰(6)으로부터의 음성 입력과 음성 인식 수단(15)의 음성 인식 기능을 상시 유효하게 설정해 두어도 좋다.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승객이 음성 등록 장치(5)로부터 음성에 의해 호출을 등록할 수 있을 때, 즉 상기 호출 등록 수단(16)에 의한 호출 등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때에,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을 적절히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취지가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판정되면,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기초하여 승객에 의한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따른 도어 열림 (연장)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출력한다.
하기 표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어 열림 시간의 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승차 부하(승차 중량/승차 가능 중량×100)
0 ~ 10% 11 ~ 30% 31 ~ 50% 51% 이상
도어 열림
조정 시간
+0초 +10초 +20초 +30초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예를 들어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을 통하여, 제어반(2)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를 취득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는 예를 들어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자 수, 즉 음성에 의해 호출의 등록을 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승객수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표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정의 저울 장치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칸(1)의 승차 중량(그 전체 또는 증가분)으로부터, 상기 예상 승객수를 산출하고 있다. 즉, 저울 장치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칸(1)의 승차 중량을 엘리베이터칸(1)의 승차 가능 중량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를 구하고 있다.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취득한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가 커짐에 따라서 도어 열림 시간이 길어지도록(연장되도록), 도어 열림 시간의 조정을 행한다. 표 1은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가 커짐에 따라서, 도어 열림 시간이 단계적으로 길어지는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음성 인식 장치(8)에 구비된 13 내지 17에 나타내는 각 수단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 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에, 도 3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상기 음성 등록 장치(5)의 구체적인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음성 등록 장치(5)에서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이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반(2)으로부터 취득한다(S101). 이 때 취득하는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의 도어 개폐 상황, 호출의 등록 상황,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라고 하는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또, 음성 등록 장치(5)에서는 사람 검출 수단(13)이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자 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인감 센서(3)로부터 취득한다(S102).
S101 및 S102에 있어서 각종 정보를 취득하면, 음성 등록 장치(5)는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음성에 의해 호출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S103).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이 도어 열림 중인 것, 엘리베이터칸(1) 내에서 호출의 등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운행 상황인 것, 인감 센서(3)가 승객의 존재를 검출한 것의 각 조건이 모두 성립한 경우에, 음성 등록 장치(5)가 사용 가능한 상황인 것, 즉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취지를 판정한다(S103의 예).
S103에 있어서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음성 등록 장치(5)는 표시 장치(7) 및 마이크로폰(6)의 각 스위치를 온으로 한다(S104).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7)의 LED가 점등되어 「사용 가능」등의 표시가 이루어지고,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에 대해서,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취지가 알려진다. 또, 마이크로폰(6)으로부터 음성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S104에 있어서 마이크로폰(6)으로부터의 음성 입력이 가능하게 되면, 음성 인식 수단(15)은 음성 인식 처리를 개시한다(S105). 그리고 음성 인식 수단(15)이 승객의 행선층으로서 소정의 층상을 인식하면(S106의 예), 호출 등록 수단(16)은 음성 인식 수단(15)의 인식 결과에 따른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출력하고, 호출의 등록을 행한다(S107).
또, S103에 있어서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음성 등록 장치(5)는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에 의해, 도어 열림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의 산출을 행한다(S108). 예를 들어, 음성 등록 장치(5)에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테이블이 미리 준비되어 있는 경우,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가 11%로 되면, 도어 열림 시간을 10초 연장시키기 위한 도어 열림 (연장)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송신한다(S109). 또, 그 후에도 엘리베이터칸(1)로의 승차가 계속되어, 승차 부하가 31%에 도달하면,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도어 열림 시간을 20초 연장시키기 위한(도어 열림 시간을 추가로 10초 연장시키기 위한) 도어 열림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송신한다.
또한, 상기 표 1은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준비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은 엘리베이터의 설치 상황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S109에 있어서 도어 열림 지령의 송신을 행하면, 음성 등록 장치(5)는 S101의 처리로 돌아와, S103에 있어서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될 때까지, 상기 각 처리를 반복하여 실시한다.
또, 엘리베이터가 소정의 승강장에 있어서 도어를 연 후,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에 의한 도어 열림 조정 시간도 가미(加味)한 시간이 경과하면, 엘리베이터는 그 승강장에 있어서 도어 닫힘 동작을 개시한다.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면, 음성 등록 장치(5)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이 성립하지 않게 되어,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S103의 판정에 있어서 아니오의 판단이 이루어진다.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음성 등록 장치(5)는 표시 장치(7) 및 마이크로폰(6)의 각 스위치를 오프로 한다(S110). 이에 의해, 표시 장치(7)의 LED 표시가 소등되고,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에 대해서,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 시간이 종료됐다는 취지가 알려진다. 또, 마이크로폰(6)으로부터의 음성 입력이 정지되면, 음성 인식 수단(15)은 음성 인식 처리를 종료한다(S111). 이에 의해, 도어 닫힘 후(엘리베이터칸(1)이 주행을 개시한 후를 포함) 승객의 회화나 주위의 소음 등에 의해 호출이 오등록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S111에 있어서 음성 인식 처리를 종료한 후, 음성 등록 장치(5)는 S101로 돌아와, S101 내지 S103의 각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음성 등록 장치(5)는 S103에 있어서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판정이 다시 이루어지면, 표시 장치(7) 및 마이크로폰(6)의 각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S105 이하의 각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장에 정지하여 도어가 열리면, 그 승강장에 있어서의 도어 열림 시간이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된다. 이 때문에, 음성 등록 장치(5)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도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따라서 적절히 연장되고, 승객은 도어 닫힘 동작이 개시되기 전에,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자 수(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를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차 중량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사용자 수의 산출을 다른 방법에 의해 행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으로부터 승객의 인원수(전체의 인원수 또는 신규로 승차한 인원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자 수(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를 산출해도 좋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음성 등록 장치(5)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면,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따라서 도어 열림 시간을 적절히 연장시키고, 승객이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행하기 전에 도어가 닫혀 버리는 것을 방지했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 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호출 등록이 원활하게 행해진 경우, 즉 호출 등록이 순차 행해져서 도어 열림 시간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진 경우에,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에 의한 상기 조정 기능에 의해, 도어 열림 시간이 쓸데 없게 연장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성 등록 장치(5)는 음성 인식 장치(8) 내에, 상술한 13 내지 17에 나타내는 각 수단에 더하여,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도 다른 각 수단(13) 내지 17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 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승객이 음성 등록 장치(5)로부터 음성에 의해 호출을 등록할 수 있을 때에, 음성 등록 장치(5)의 사용 실적에 따라서 도어 열림 시간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취지가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판정되면, 호출 등록 수단(16)에 의한 호출의 등록 실적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의 출력을 보정하고, 그 보정 결과에 따른 도어 열림 (연장)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출력한다.
하기 표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어 열림 시간의 보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음성 등록 호출 계수
도어 조정 시간 ?5초/호출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예를 들어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을 통해, 호출 등록 수단(16)으로부터 호출의 등록 실적(호출 등록 수단(16)에 의해 등록된 호출의 개수)을 취득한다.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취득한 호출의 등록 실적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호출 등록 수단(16)에 의해 등록된 호출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도어 열림 시간이 짧아지도록, 도어 열림 시간의 보정을 행한다. 표 2는 호출 등록 수단(16)에 의해 1개의 호출이 등록될 때마다, 도어 열림 시간이 5초만큼 단축되는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음성 등록 장치(5)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고,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도 5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성 등록 장치(5)의 구체적인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도 3의 S108의 동작에 상당한다. 즉, 다른 동작(도 5에 나타내는 동작의 전후)은 도 3의 S101 내지 S107, S109 내지 S111과 동일하다.
음성 등록 장치(5)는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취지가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판정되면(도 3의 S103의 예에 상당),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에 의해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의 산출을 행한다(S201).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17)은 산출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을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에 대해서 출력한다.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에서는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으로부터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을 수신하면, 먼저 이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을 보정하기 위한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의 산출을 행한다(S202). 구체적으로, 음성 등록 장치(5)에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테이블이 미리 준비되어 있는 경우,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호출 등록 수단(16)에 의해 등록된 호출의 수에 상기 음성 등록 호출 계수를 곱하는 것에 의해,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을 얻는다. 예를 들어, 이 도어 열림 기간 중에 호출 등록 수단(16)에 의해 2개의 호출이 등록된 경우,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으로서 ?10초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표 2는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준비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은 엘리베이터의 설치 상황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에,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산출한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을 사용하여,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으로부터 수신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의 보정을 행한다(S203). 구체적으로,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으로부터 수신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으로부터 S202에 있어서 산출한 상기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을 빼는 것에 의해, 상기 보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으로서 ?10초가 산출된 경우,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으로부터 수신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이 20초이면, 20초부터 10초를 뺀 값(10초)을, 보정 후의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으로서 산출한다.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의 보정을 행하면,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보정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이 0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4).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보정 후의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이 0 미만이면, 그 값을 0으로 재차 보정하고(S205),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보정 후의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이 0 이상인 경우(S204의 아니오),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은 S203의 처리에서 얻어진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에 의해 도어 열림 시간의 연장을 행하기 위해, 그 값에 기초한 도어 열림 (연장)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송신한다(도 3에 있어서의 S109에 상당).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후에 변화하는 호출의 등록 상황에 따라서, 도어 열림 시간을 실시간으로 적절히 보정할 수 있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에 의한 조정 기능에 의해, 도어 열림 시간이 쓸데 없게 연장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장치(8)에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18)을 구비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도 3의 S103의 아니오에 상당), 호출 등록 수단(16)에 의한 호출의 등록 실적을 리셋(0으로)하면 좋다.
실시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우선자 검출 장치; 19)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2)에 새로 접속되고, 음성 인식 장치(8) 내에,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이 새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도 다른 각 수단(13) 내지 17(18)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 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카메라(19)는 엘리베이터칸(1) 내를 촬영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칸(1)에 설치된 것이다. 카메라(19)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는 제어반(2)을 통하여 음성 등록 장치(5)에 입력된다.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은 카메라(19)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우선 승객을 판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선 승객이라함은 엘리베이터칸(1) 내에서의 이동이나 엘리베이터칸(1) 내에서의 움직임에 제한을 받기 쉽고, 호출의 등록 동작에 통상보다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승객이다. 예를 들어, 휠체어 사용자나 고령자, 짐으로 양손이 바쁜 사람 등이 우선 승객에 포함된다.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에 의해 우선 승객의 인원수가 판정되면,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의 산출을 행하고, 산출 결과에 따른 도어 열림 (연장)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출력한다. 또한, 우선 승객을 판정하는 기능은 카메라(19)측의 장치(우선자 검출 장치)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하기 표 3 및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어 열림 시간의 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 시간 최대 도어 열림 시간
도어 열림 조정 시간 10초 60초
수하물 사람 시간 휠체어 시간 고령자 시간
도어 조정 시간 3초/사람 7초/사람 5초/사람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은 예를 들어 휠체어 사용자, 고령자, 짐으로 양손이 바쁜 사람(수화물 사람) 등, 우선 승객을 소정의 종별마다 판별한다.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에 의해 판별된 우선 승객의 종별마다의 인원수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의 산출을 행하고, 도어 열림 시간의 조정을 행한다. 표 4는 우선 승객의 종별마다 다른 연장 시간을 적용한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음성 등록 장치(5)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고,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 또는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 7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음성 등록 장치(5)의 구체적인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3의 S108의 동작에 상당한다. 즉, 다른 동작(도 7에 나타내는 동작의 전후)은 도 3의 S101 내지 S107, S109 내지 S111과 동일하다.
음성 등록 장치(5)는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이 가능하다는 취지가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14)에 의해 판정되면(도 3의 S103의 예에 상당), 카메라(19)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승객을 판정하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의 산출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등록 장치(5)에 상기 표 3 및 4에 나타내는 각 테이블이 미리 준비되어 있는 경우,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은 카메라(19)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휠체어 사용자, 고령자, 수화물 사람의 각 사람수를 검출한다. 또한,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에 의한 상기 판별 기능은 예를 들어 움직임이 있는 물체의 크기나 형상으로부터 수화물 사람이나 휠체어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얼굴 인식에 의한 연령 판정 등의 일반적인 화상 처리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의 검출 결과를 수신하면, 먼저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에 의해 검출된 수화물 사람 수에 소정의 수화물 사람 시간을 곱하는 것에 의해, 수화물 승객 시간을 산출한다(S301). 마찬가지로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에 의해 검출된 휠체어 사람 수에 소정의 휠체어 시간을 곱하는 것에 의해 휠체어 승객 시간을(S302),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에 의해 검출된 고령자 수에 소정의 고령자 시간을 곱하는 것에 의해, 고령 승객 시간을 산출한다(S303).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S301 내지 S303에 있어서 산출한 각 시간을 합산하여, 우선 승객 시간을 산출한다(S304).
예를 들어, 우선 승객 판정 수단(20)에 의해 수화물 사람이 1명, 휠체어 사용자가 2명, 고령자가 3명으로 검출되면,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수화물 승객 시간을 1×3〓3초, 휠체어 승객 시간을 2×7〓14초, 고령 승객 시간을 3×5〓15초로 각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이들 시간을 합산하여, 우선 승객 시간을 3+14+15〓32초로 산출한다.
S304에 있어서 우선 승객 시간을 산출하면,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정상인용으로서 미리 설정된 기본 시간을, 상기 산출한 우선 승객 시간에 더하는 것에 의해,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을 얻는다(S305). 예를 들어, S304에 있어서 우선 승객 시간이 32초로 산출된 경우,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을 10+32〓42초로 산출한다.
S305에 있어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의 산출을 행하면,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그 산출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이 최대 도어 열림 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6). 그리고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S305에 있어서 산출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이 최대 도어 열림 시간 이상이면, 그 값을 최대 도어 열림 시간에 일치시켜(S307),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305에 있어서 산출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이 최대 도어 열림 시간 미만인 경우(S306의 아니오),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S305의 처리에서 얻어진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에 의해 도어 열림 시간의 조정을 행하기 위해, 그 값에 기초한 도어 열림 (연장)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송신한다(도 3에 있어서의 S109에 상당). 예를 들어, S305에 있어서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이 42초로 산출된 경우, 이 값은 최대 도어 열림 시간(60초)보다 작기 때문에,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17)은 도어 열림 시간 조정값을 42초로 하는 도어 열림 지령을 제어반(2)에 대해서 송신한다.
또한, 상기 표 3 및 4는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준비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어 열림 시간 보정값은 엘리베이터의 설치 상황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객이 특정한 종별의 승객에 치우친 경우에도, 승강장에 있어서의 도어 열림 시간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음성 등록 장치(5)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도 승객의 종별에로 따라서 적절히 연장되고, 승객은 도어 닫힘 동작이 개시되기 전에, 음성에 의한 호출 등록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외는 실시 형태 1 또는 2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산업상의 사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내에 있어서, 승객이 음성에 의해 호출의 등록을 행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칸
2 제어반
3 인감 센서
4 알람기
5 음성 등록 장치
6 마이크로폰
7 표시 장치
8 음성 인식 장치
9 조작반
10 도어 열림 버튼
11 도어 닫힘 버튼
12 행선 버튼
13 사람 검출 수단
14 호출 등록 가능 판정 수단
15 음성 인식 수단
16 호출 등록 수단
17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
18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
19 카메라
20 우선 승객 판정 수단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음성 입력용의 마이크로폰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승객을 검출하기 위한 사람 검출 장치와,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중에 상기 사람 검출 장치가 승객의 존재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의 등록을 행하는 호출 등록 수단과,
    상기 호출 등록 수단에 의해 호출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때에,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을 조정하는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은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가 커짐에 따라서 도어 열림 시간이 길어지도록, 도어 열림 시간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차 부하는 음성에 의해 호출의 등록을 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승객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음성에 의해 호출의 등록을 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승객수는 소정의 저울 장치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승차 중량 또는 소정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엘리베이터칸 내 화상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등록 수단에 의해 호출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때에, 상기 호출 등록 수단에 의한 호출의 등록 실적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을 보정하는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시간 보정 수단은 상기 호출 등록 수단에 의해 등록된 호출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도어 열림 시간이 짧아지도록, 도어 열림 시간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의 등록 동작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소정의 우선 승객을 판정하는 우선 승객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은 상기 우선 승객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우선 승객의 인원수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우선 승객 판정 수단은 우선 승객을 소정의 종별마다 판별하고,
    상기 도어 열림 시간 조정 수단은 상기 우선 승객 판정 수단에 의해 판별된 우선 승객의 종별마다의 인원수에 기초하여, 도어 열림 시간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KR1020127024383A 2010-04-20 2010-04-20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KR101387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6998 WO2011132261A1 (ja) 2010-04-20 2010-04-20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986A true KR20120129986A (ko) 2012-11-28
KR101387305B1 KR101387305B1 (ko) 2014-04-18

Family

ID=4483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383A KR101387305B1 (ko) 2010-04-20 2010-04-20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62116A4 (ko)
JP (1) JP5447659B2 (ko)
KR (1) KR101387305B1 (ko)
CN (1) CN102858670B (ko)
WO (1) WO2011132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4051B2 (ja) * 2013-01-07 2015-09-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0000362B2 (en) 2013-08-21 201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5048174A (ja) * 2013-08-30 2015-03-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781132B2 (ja) * 2013-09-06 2015-09-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WO2015144472A1 (en) * 2014-03-28 2015-10-01 Inventio Ag Elevator system
EP3227828B1 (en) 2014-12-03 2023-10-04 Inventio Ag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ly interacting with elevators
JP2017114586A (ja) *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
CN105883558B (zh) * 2016-06-27 2018-09-11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电梯开关门时间自学习系统及方法
CN107176510A (zh) * 2017-07-03 2017-09-19 章博 电梯群控系统及群控方法
KR101867604B1 (ko) * 2017-11-13 2018-07-18 (주)아이티공간 엘리베이터 운전 분석을 통한 고효율 운행방법
KR101867605B1 (ko) 2017-11-13 2018-07-18 (주)아이티공간 엘리베이터 분석을 통한 예지 보전 및 고효율 운행방법
US11667498B2 (en) 2018-06-29 2023-06-06 Otis Elevator Company Auto adjust elevator door system
US20220177269A1 (en) * 2020-12-04 2022-06-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space allocation based on detecting voices of potential passenger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2947A (en) * 1978-04-04 1979-10-16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closing door of elevator
JPS57145780A (en) * 1981-03-06 1982-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Power saving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JPS612685A (ja) * 1984-06-15 1986-01-0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ドア開時間設定装置
JPS6236284A (ja) * 1985-08-08 1987-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2557939B2 (ja) * 1988-03-28 1996-11-2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H01313292A (ja) * 1988-06-09 1989-12-18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荷重分布検出装置
JPH0331175A (ja) * 1989-06-29 1991-02-0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情報入力装置
JPH03284589A (ja) 1990-03-30 1991-12-1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音声登録装置
JP3082618B2 (ja) 1995-03-28 2000-08-2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音声入力装置
JP2002128404A (ja) * 2000-10-27 2002-05-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KR200271438Y1 (ko) 2002-01-05 2002-04-09 김옥수 엘리베이터의 음성인식 운행제어장치
JP2003335460A (ja) * 2002-05-20 2003-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160447A (ja) * 2004-12-07 2006-06-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06347686A (ja) * 2005-06-15 2006-12-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8156028A (ja) * 2006-12-21 2008-07-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10058859A (ja) * 2008-09-01 2010-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2116A1 (en) 2013-02-27
CN102858670B (zh) 2014-08-13
CN102858670A (zh) 2013-01-02
EP2562116A4 (en) 2017-10-18
JPWO2011132261A1 (ja) 2013-07-18
JP5447659B2 (ja) 2014-03-19
KR101387305B1 (ko) 2014-04-18
WO2011132261A1 (ja)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5B1 (ko)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 장치
JP6215286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US8678142B2 (en)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device of elevator, having voice input
JP2013056720A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エレベータ運転制御システム
CN108975110B (zh) 电梯系统以及电梯控制方法
KR101791805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534831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217654B (zh) 轮椅兼用电梯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RU2008117137A (ru)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ользователей лифта по территории здания
JP2013043711A (ja) エレベータの乗降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の乗降検出方法
JP201113682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4008658A1 (en) Elevator car space allocation based on detecting voices of potential passengers
JP2003276964A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JP6591634B1 (ja) エレベータ防犯システム
JP6545851B1 (ja) 2方向エレベータおよび2方向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CN104326336B (zh) 残疾人用电梯及其电梯控制方法
JP494823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2076900A (ja) 戸開延長機能を備えたエレベータ
CN204173713U (zh) 残疾人用电梯
CN109132740B (zh) 电梯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5206275A (ja) エレべ−ターの防犯装置
JP6089909B2 (ja) 車椅子専用エレベータ
JP611985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147835A (ja) 身体障害者対応エレベータの乗場呼び登録装置
CN113213287B (zh) 升降机组管理装置及升降机组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