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693A - 입체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693A
KR20120128693A KR1020127024301A KR20127024301A KR20120128693A KR 20120128693 A KR20120128693 A KR 20120128693A KR 1020127024301 A KR1020127024301 A KR 1020127024301A KR 20127024301 A KR20127024301 A KR 20127024301A KR 20120128693 A KR20120128693 A KR 2012012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mphasis
image data
eye image
lef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아이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Publication of KR2012012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해결 수단)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로서 출력하는 지연부(10)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을 출력하는 데이터 강조부(20a)와,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출력하는 데이터 강조부(20b)와,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과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입력하여 프레임 메모리(31)에 보유하고, 소정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30)를 갖는다.

Description

입체 화상 표시 장치{3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좌안용 및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로 출력하여 입체 표시를 행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등의 표시 소자의 응답 지연에 의한 고스트(크로스토크)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최신 필드의 입력 화상 데이터와 직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필드의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비교하여, 최신 필드의 화상 표시용의 계조 전압으로서, 직전의 필드로부터 다음에 표시해야 할 최신 필드로의 계조 변화를 강조한 계조 전압을 작성하여 액정 표시 패널에 부여한다. 그리고, 계조 변화에 대한 액정의 응답 속도를 가속하여, 응답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계조값의 변환 테이블을 소정의 메모리 내에 미리 준비해 두고, 프레임 메모리의 후단(後段)에 설치한 연산기에 의해, 현재의 액정의 표시 상태로부터 다음에 표시해야 할 계조로 변화시키기 위해 최적인 계조 전압을 작성하도록 한 선행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배경 기술은 아니지만,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응답 속도의 지연에 기초하는 잔상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를 시간축 방향으로 강조하는 필터(시간축 강조 회로)를 이용한 선행 기술도 공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15777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33744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관찰자의 좌안으로 시인시키기 위한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관찰자의 우안으로 시인시키기 위한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의 후단에 설치한 연산기에 의해,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최적인 계조 전압을 작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계조 전압을 작성할 때,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연산하게 되어, 메모리 용량이나 메모리의 입출력 단자수가 많아진다. 이에 따라, 메모리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스루풋이 증가하여, 메모리수나 배선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화/대형화되어,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가 높아져 있기 때문에, 고(高)스루풋이 될 뿐만 아니라, 연산기의 동작 속도가 빨라져, 장치 부하가 커진다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그리고 데이터 처리의 장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1 특징은,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1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1 강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2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를 기억하여,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를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를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2 특징은,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1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1 강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2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여,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의 순서로,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에 의해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를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3 특징은,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1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1 강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상기 지연 데이터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2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강조 계수보다 강조 게인이 작은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3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3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강조 계수보다 강조 게인이 작은 제4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4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4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3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4 강조 데이터를 기억하여,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3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4 강조 데이터의 순서로,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를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4 특징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가 제1 소정값 이하의 경우에, 제2 소정값 이상의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하여 상기 지연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강조부에 출력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부를, 추가로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제5 특징은,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1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1 강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다른 한쪽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입력 데이터를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2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 중 동일 프레임에 기초하여 시계열 순서로 먼저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제5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5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5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5 강조 데이터를 기억하여,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 중 시계열 순서로 먼저 표시되는 한쪽의 강조 데이터, 다른 한쪽의 강조 데이터, 상기 제5 강조 데이터, 상기 다른 한쪽의 강조 데이터의 순서로, 시분할하여 출력함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이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를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그리고 데이터 처리의 장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강조부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에 의한 응답 특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에 의한 응답 특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70)에 있어서의 시분할 처리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한 시분할 출력부에서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풀다운 처리하면서 시분할로 독출하는 경우의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예 1∼5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60(프레임/초)으로 입력되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시계열 출력 순서가 좌안용 화상, 우안용 화상의 순서로 시분할 처리를 하여 120(프레임/초)의 입체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좌안용 화상 데이터는 관찰자의 좌안으로 시인시키기 위한 화상 데이터이며, 우안용 화상 데이터는 관찰자의 우안으로 시인시키기 위한 화상 데이터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1)는, 지연부(10)와, 데이터 강조부(20a)와, 데이터 강조부(20b)와, 시분할 출력부(30)를 갖는다.
지연부(10)는, 주목 프레임 n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로서 출력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주목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n(n은 자연수)으로 하고, 주목 프레임으로부터 1프레임 기간 지연된 프레임 번호를 (n-1)로 나타낸다.
데이터 강조부(20a)는, 주목 프레임 n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주목 프레임 n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강조하여,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으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강조부(20b)는, 지연부(10)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과, 주목 프레임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강조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으로서 출력한다.
시분할 출력부(30)는, 데이터 강조부(20a)로부터 강조되어 출력된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과, 데이터 강조부(20b)로부터 강조되어 출력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입력하여 보유하고, 소정의 주파수, 즉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의 입력 주파수 60(프레임/초)의 2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120(프레임/초)에 기초하여, 시계열 순서로 시분할하여 출력한다.
여기에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2개이며, 이들 데이터는 동기(synchronization) 관계에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입체(3D) 표시 대응의 BD(Blu-ray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로부터 독출되거나, 디지털 방송에 의해 수신되어, 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병렬로 입력된다. 또한, n은 자연수이며,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의 화상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이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전환에 동기하기 때문에, 관찰자는, 120(프레임/초)으로 동작하는 액정 셔터가 부착된 3D 안경이나, 편광 필터가 부착된 3D 안경을 장착하여 좌우의 영상을 봄으로써, 입체 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n번째의 입체 표시용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2개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은 그대로 데이터 강조부(20a)에 입력된다.
한편,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만이 지연부(10)에 입력되어, 지연부(10)에 의해 1프레임 기간만큼 지연된다. 그 때문에, 이 타이밍에서는, 지연부(10)로부터는 1프레임 전, 즉 (n-1)번째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이 출력된다. 그 결과, 데이터 강조부(20b)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1프레임 기간만큼 지연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이 입력된다.
데이터 강조부(2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강조하여,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으로서, 시분할 출력부(30)에 출력한다.
데이터 강조부(20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지연부(10)에 의해 1프레임 기간만큼 지연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강조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으로서, 시분할 출력부(30)에 출력한다.
도 2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구비된 데이터 강조부(20b)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데이터 강조부(20a, 20b)의 구성은, 후술하는 강조 계수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대표로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이 입력되는 데이터 강조부(20b)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데이터 강조부(20b)는, 감산기(21b)와, 강조 계수 승산기(22b)와, 가산기(23b)를 갖고,
LE(n)=LI(n)+K2(LI(n)-RI(n-1))…(1)을 이용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강조부(20b)는, 현재 프레임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지연부(10)로부터의 1프레임만큼 지연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이 입력되면, 우선 감산기(21b)가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으로부터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을 감산하고, 그 감산 결과 (LI(n)-RI(n-1))을, 강조 계수 승산기(22b)로 출력한다.
강조 계수 승산기(22b)는, 감산기(21b)로부터의 감산 결과 (LI(n)-RI(n-1))에 강조 계수 K2를 곱하고, 그 승산 결과 K2(LI(n)-RI(n-1))을 가산기(23b)에 출력한다.
가산기(23b)는, 입력되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승산 결과 K2(LI(n)-RI(n-1))을 가산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얻는다.
그리고,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이, 데이터 강조부(20b)로부터 출력되어, 시분할 출력부(30)에 입력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데이터 강조부(20a)도, 도 2와 동일하게,
RE(n)=RI(n)+K1(RI(n)-LI(n))…(2)를 이용하여,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강조부(20a)에, 우측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이 입력되면,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강조 계수 K1에 의해 우측 화상 데이터 RI(n)이 강조되어,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이, 데이터 강조부(20b)로부터 출력되고, 시분할 출력부(30)에 출력된다.
또한, 데이터 강조부(20a, 20b)는 액정 응답의 보상 등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각의 강조 계수 K1, K2는, 사용되는 액정의 응답 특성에 의해, 계산 또는 실험에 기초하여 최적인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액정의 응답 특성은, 데이터 레벨이나 주위 온도 등에 의존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 강조 계수 K1, K2를 이들 데이터 레벨이나 주위 온도 등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도 유효하다. 여기에서는, 데이터 강조부(20a, 20b)의 구체적인 강조 계수 K1, K2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값이라도, 상이한 값이라도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시분할 출력부(30)는, 데이터 강조부(20a, 20b)로부터 출력되는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RE(n+1), RE(n+2), … 및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LE(n+1), LE(n+2), … 가 입력되어 프레임 메모리(31)에 일시 기억하고, 각각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주파수인 60(프레임/초)의 2배의 프레임 레이트(2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120(프레임/초)에 의해, LE(n), RE(n), LE(n+1), RE(n+1), LE(n+2), RE(n+2), …의 시계열 순서로,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를 교대로 독출함으로써, 입체 표시를 행한다.
다음으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비교를 위해,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있어서의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예에서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한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지만,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의하면, 미리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의 각각에 대해서 시간축 강조 처리를 시행하고 나서 시분할 처리를 행한다.
또한, 계산시에 있어서, 화상 포맷은, HDTV 표준의 수평 1920화소×1080화소, 프레임 레이트는 입력측이 60(프레임/초), 시분할 처리 후에는 120(프레임/초), 데이터 비트 길이는 8(bit), RGB의 3(ch)로 하여 계산한다. 또한, 이 화상 포맷의 조건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도 3(종래예)과 도 4(실시예 1)에서 프레임 레이트끼리를 비교하면 분명해지지만, 종래예의 경우, 시분할 처리의 후단에 지연부 및 데이터 강조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지연부로의 기입 및 지연부로부터의 독출의 프레임 레이트가 각각 120(프레임/초)이 되고, 스루풋이 각각 5972(Mbit/초)가 된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의 구성의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분할 처리의 전단(前段)에 지연부(10) 및 데이터 강조부(20a, 20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연부(10)로의 기입 및 지연부(10)로부터의 독출의 프레임 레이트가 각각 60(프레임/초), 스루풋이 각각 2986(Mbit/초)이며, 종래예에 비교하여 반이 된다.
그 결과, 도 3(종래예)과 도 4(실시예 1)에서 스루풋의 합계값으로 비교하면, 종래예의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3888(Mbit/초)이 되는 것에 대하여, 실시예 1의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902(Mbit/초)가 되어, 개선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의하면,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로서 출력하는 지연부(10)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강조하여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으로서 출력하는 데이터 강조부(20a)와,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지연부(10)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강조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으로서 출력하는 데이터 강조부(20b)와,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과,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프레임 메모리(31)에 보유하고, 소정의 주파수인 120(프레임/초)에 기초하여 시계열 순서로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30)를 갖기 때문에, 액정의 응답 특성의 지연 등을 보상하기 위한 시간축 강조 처리를 시분할 처리 전에 행하게 되며,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연부나 프레임 메모리의 입출력 단자수가 적어도 되고, 지연부나 프레임 메모리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스루풋도 낮게 억제되어, 배선 면적도 적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그리고 데이터 처리의 장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제조 비용을 억제하고, 게다가 데이터 처리의 장치 부담도 작게 억제한 후에,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응답 속도가 늦은 표시 장치를 이용했을 때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주목 프레임 n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강조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과, 주목 프레임 n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강조한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을 프레임 메모리에 기입하고, 이들을 교대로 순서대로 독출함으로써, 최종적인 시계열 출력 순서를 좌안용 화상, 우안용 화상의 순서로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변형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주목 프레임 n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강조한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과, 주목 프레임 n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강조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프레임 메모리에 기입하고, 이들을 교대로 순서대로 독출함으로써, 시계열 출력 순서를 우안용 화상, 좌안용 화상의 순서로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점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 2∼5에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60(프레임/초)으로 입력되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시계열 출력 순서가 좌안용 화상, 우안용 화상의 순서로 시분할 처리하여 240(프레임/초)의 입체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2)는, 지연부(10)와, 데이터 강조부(20a)와, 데이터 강조부(20b)와, 시분할 출력부(40)를 갖는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시분할 출력부(40)는, 데이터 강조부(20a)로부터 강조되어 출력된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과, 데이터 강조부(20b)로부터 강조되어 출력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과, 데이터 강조부(20a)에 의해 강조되기 전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데이터 강조부(20b)에 의해 강조되기 전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이 입력되어, 그들 화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소정의 주파수인 240(프레임/초)에 기초하여, 시분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시간축 강조 처리 후의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를 2배속 레이트인 120(프레임/초)에 의해 교대로 전환하여 시계열 순서로 출력한 것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각각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전후의 데이터를 4배속 레이트인 240(프레임/초)으로 시분할, 즉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순서로 시분할하여 표시한다.
여기에서, 실시예 2에 있어서, 240(프레임/초)의 4배속 레이트로 시분할 처리하는 이유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 둔다.
예를 들면, TFT 액정 등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홀드형 표시 장치의 경우, 화상 데이터의 TFT 액정으로의 기입 주사(走査)는, 라인 순서로 행해지고, TFT 액정에 기입된 화상 데이터는, 다음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질 때까지 계속 표시한다. 즉, 셔터 안경을 단순하게 좌안과 우안으로 교대로 개구한 것으로는, 우안용과 좌안용의 화상이 혼재하는 영역(크로스토크)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TFT 액정으로의 기입 주사를 가능한 한 단시간으로 하고, 다음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까지의 홀드 기간(수직 블랭킹 기간과 동일함)을 취하여, 이 홀드 기간의 타이밍에 맞춰 셔터 안경을 개구한다.
그러나,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있어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액정 응답의 보상을 행하는 경우, 강조된 화상도 1프레임 기간 보유하게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래의 목표로 하는 화상 표시가 안정되어 있는 기간의 확보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게 된다.
그래서,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2)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40)에서는, 시분할 처리를, (1)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2) 시간축 강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3)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4) 시간축 강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순서로 시분할하여 재배열하고 출력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액정 응답의 보상을 위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및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을,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의 전환시에만 출력하는 한편, 그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출력함으로써, 안정 기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각각 시간축 강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크로스토크의 더 한층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2)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40)에 의한 액정의 응답 특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의 출력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출력함으로써,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의 출력 기간 중이 안정 기간이 됨과 함께,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의 출력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출력함으로써,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출력 기간 중이 안정 기간이 되어, 크로스토크의 더 한층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와 동일하게,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에 대해서,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240(프레임/초) 표시에서의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내고, 도 8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에 의한 240(프레임/초) 표시에서의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종래예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의 계산에 있어서는, 프레임 메모리로의 기입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2종류, 즉 좌우 각각 1화면으로 하고, 프레임 메모리로부터의 독출은 4배속 레이트로 좌안용 화상 데이터를 2회,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2회 연속으로 독출하는 동작으로서 산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루풋 합계값으로 비교하면,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240(프레임/초) 표시의 경우,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프레임 메모리로의 기입이 60(프레임/초)의 경우, 스루풋이 2986(Mbit/초)이 되고, 프레임 메모리로부터의 독출이 4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240(프레임/초)으로 11944(Mbit/초)이고, 지연부로의 기입 및 지연부로부터의 독출도 240(프레임/초)으로 11944(Mbit/초)가 되기 때문에, 합계 41804(Mbit/초)가 된다.
이에 대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에 의하면, 프레임 메모리(41)로의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 각각의 기입이 60(프레임/초)의 경우, 각각 스루풋이 2986(Mbit/초)이 되고, 프레임 메모리(41)로부터의 독출이 4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240(프레임/초)으로 5972(Mbit/초)가 되며, 지연부(10)로의 기입 및 지연부(10)로부터의 독출도 60(프레임/초)으로 2986(Mbit/초)이 되기 때문에, 합계 29860(Mbit/초)이 된다.
이와 같이,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240(프레임/초) 표시의 경우, 메모리의 스루풋 합계값이 41804(Mbit/초)가 되는 것에 대하여,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의 경우, 메모리의 스루풋 합계값이 29860(Mbit/초)이 되어, 개선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에 의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와 동일하게, 액정의 응답 특성의 지연 등을 보상하기 위한 시간축 강조 처리를 시분할 처리 전에 행하게 되며,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연부나 프레임 메모리의 입출력 단자수가 적어도 되고, 지연부나 프레임 메모리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스루풋도 낮게 억제되어, 배선 면적도 적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그리고 데이터 처리의 장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에 있어서는, 시분할 처리를,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순서로 시분할로 재배열하고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액정 응답의 보상을 위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및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을, 좌우의 화상 데이터의 전환시에만 출력하는 한편, 그 후에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출력함으로써, 안정 기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와 비교해도 각각 시간축 강조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크로스토크의 더 한층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다음으로,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2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와의 상이점은, 2종류의 상이한 강조 계수를 구비한 데이터 강조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즉, 실시예 2에서는, 4배속 레이트 표시에 의해 시간축 강조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시간축 강조되어 있지 않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시간축 강조된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시간축 강조되어 있지 않은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의 순서로 화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의 전환시에만,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및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을 출력하고, 그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지 않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출력하는 안정 기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액정의 응답 특성에 따라서는,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의 화상 데이터의 전환시의 프레임만으로 시간축 강조 처리에 의한 액정 응답의 보상을 하는 구성으로는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실시예 3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에서는,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지 않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출력하는 안정 기간을 형성하는 대신에, 약한 강조 계수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체 화상 표시 장치(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연부(10)와, 데이터 강조부(20a)와, 데이터 강조부(20b)와, 데이터 강조부(20c)와, 데이터 강조부(20d)와, 시분할 출력부(50)를 갖는다. 여기에서, 지연부(10)와, 데이터 강조부(20a)와, 데이터 강조부(20b)는, 실시예 1, 2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1, 2)가 갖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강조부(20c)는,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강조 계수 K1보다 강조 게인이 작은 강조 계수 K3에 의해 강조하여,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W(n)으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강조부(20d)는, 지연부(10)에 의해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지연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1)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강조 계수 K2보다 강조 게인이 작은 강조 계수 K4에 의해 강조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W(n)으로서 출력한다.
시분할 출력부(50)는, 데이터 강조부(20a)로부터의 강조 계수 K1에 의해 강조된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과, 데이터 강조부(20b)로부터의 강조 계수 K2에 의해 강조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과, 데이터 강조부(20c)로부터의 강조 계수 K3에 의해 강조된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W(n)과, 데이터 강조부(20d)로부터의 강조 계수 K4에 의해 강조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W(n)이 입력되며, 그들을 보유한다. 그리고, 소정의 주파수, 즉 240(프레임/초)에 기초하여, 시분할하여 출력하고,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전환시에만,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및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을 출력하고, 그 후에 약한 강조 계수 K3, K4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를 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W(n) 및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W(n)을 출력한다.
즉,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에서는, 시분할 출력부(50)는, (1) 강조 계수 K1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2)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의 강조 계수 K1보다 약한 강조 계수 K3에 의해 시간축 강조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W(n), (3) 강조 계수 K2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4)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의 강조 계수 K2보다 약한 강조 계수 K4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W(n), …의 순서로 시분할로 출력하여 표시한다.
이 때문에,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에서는, 강한 강조 계수 K1, K2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화상 강조 데이터 LE(n), RE(n)에 의한 액정 응답의 보상을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전환시에만 행하고, 그 후, 좌우의 데이터가 전환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약한 강조 계수 K3, K4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화상 강조 데이터 LW(n), RW(n)을 표시함으로써, 화상 강조 데이터 LW(n), RW(n)의 표시에 의한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안정 기간에 가까운 상태인 준안정 기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3)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50)에 의한 응답 특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한 강조 계수 K1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의 출력 후에, 약한 강조 계수 K3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W(n)을 출력함으로써,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W(n)의 출력 기간 중이 준안정 기간이 됨과 함께, 강한 강조 계수 K2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의 출력 후에, 약한 강조 계수 K4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W(n)을 출력함으로써,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W(n)의 출력 기간 중이 준안정 기간이 되어, 크로스토크의 더 한층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에 의한 메모리의 스루풋과 동등하다. 구체적으로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240(프레임/초) 표시의 경우와 비교하면, 메모리의 스루풋 합계값이 41804(Mbit/초)가 되는 것에 대하여,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의 경우,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와 동일하게, 메모리의 스루풋 합계값이 29860(Mbit/초)이 되어, 개선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에 의하면, 실시예 1, 2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1, 2)와 동일하게, 시분할 처리 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지연부나 프레임 메모리의 입출력 단자수가 적어도 되고, 지연부나 프레임 메모리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스루풋도 낮게 억제되어, 배선 면적도 적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그리고 데이터 처리의 장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에 있어서는, 강한 강조 계수 K1, K2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화상 강조 데이터 LE(n), RE(n)에 의해 액정의 응답 특성의 보상을 전환시에만 행하고, 그 후,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가 전환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약한 강조 계수 K3, K4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화상 강조 데이터 LW(n), RW(n)을 표시하는 준안정 기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전환시만으로는 데이터 강조부(20a, 20b)에 의한 액정의 응답 특성의 보상으로는 불충분한 경우라도, 약한 강조 계수 K3, K4의 데이터 강조부(20c, 20d)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3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1∼3)에서는, 시분할 방식에 의한 입체 화상 표시에 있어서, 셔터 안경에 의해 간헐(intermittence) 표시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셔터 안경의 간헐 주기가 극단적으로 낮아지면, 플리커(flicker) 방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플리커 방해의 발생에는, 밝기 등의 환경이나 개인차가 있어, 일의적으로 정해지지 않는다. 통상의 영상 기술자는, 예를 들면, 48∼50(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간헐 주기)로 플리커 방해를 느끼기는 하지만, 허용 레벨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또한, 60(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가 되면, 거의 느끼지 않는 문제가 없는 레벨이거나, 근소하게 느끼는 레벨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그리고, 75(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가 되면, 전혀 느끼지 않는 레벨, 즉 검지한계(detective limitation)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단, 플리커 방해의 발생에는, 개인차도 있어, 밝기 등의 환경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프레임 레이트가 60(프레임/초) 이상에서는, 관찰자는 플리커를 거의 느끼지 않게 된다. 한편, 60(프레임/초) 이하에서는 프레임 레이트가 낮아짐에 따라, 플리커 방해의 정도가 커진다. 특히, 필름 영상의 대부분은, 24(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제작되고 있지만, 이 주기로 간헐 표시시키면, 관찰자는 매우 큰 플리커를 지각한다.
그래서, 실시예 4에서는, 입력 프레임 레이트가 충분히 낮은 경우, 즉 제1 소정값(여기에서는, 일 예로서 24(프레임/초)로 함) 이하의 경우에, 플리커 방해가 발생하지 않는, 또는 실용상 문제없는 프레임 레이트인 제2 소정값(여기에서는, 일 예로서 48(프레임/초)로 함)로 끌어올린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하고, 시분할하여 입체 표시 처리를 행함으로써, 96(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입체 화상을 출력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프레임 레이트로 끌어올리기 위한 프레임 레이트 변환의 구체적 방법은, 본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고, 또한 실시예 1∼3의 어느 방법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실시예 4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4)는, 실시예 1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의 전단에, 24(프레임/초)로 입력하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 각각의 프레임 레이트를 48(프레임/초)로 변환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부(60a, 60b)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에서,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부(60a, 60b)에 있어서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의 수단으로서는, 단순히 반복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풀다운 처리, 또는 화상 데이터의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여 움직임 보상한 프레임을 삽입하는 움직임 보상형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 등의 2종류가 대표적이지만, 이들 처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입체 화상 표시 장치(4)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와 동일하게,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부(60a, 60b)에 의해 24(프레임/초)로부터 48(프레임/초)로 변환된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지연부(10)가 지연을 하고,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 및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데이터 강조부(20a), 데이터 강조부(20b)에 의해 강조하여, 48(프레임/초)의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및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으로서, 시분할 출력부(30)로 출력한다.
시분할 출력부(30)에서는, 데이터 강조부(20a), 데이터 강조부(20b)로부터 48(프레임/초)로 출력되는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및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이 입력되어 프레임 메모리(31)에 일시 보존되고, 입체 화상 표시 장치(1)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30)와 동일하게,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의 순서로 시분할하여 출력한다.
단, 입체 화상 표시 장치(4)에서는, 시분할 출력부(30)에 입력되는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및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이, 48(프레임/초)이기 때문에, 출력할 때에는, 그 2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96(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가 된다.
따라서, 실시예 4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4)에 의하면, 실시예 1∼3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3)와 동일하게, 시계열 변환 처리 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지연부(10)나 프레임 메모리(31)의 입출력 단자수가 적어도 되고, 지연부(10)나 프레임 메모리(31)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스루풋도 낮게 억제되어, 배선 면적도 적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그리고 데이터 처리의 장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입체 화상 표시 장치(4)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4(프레임/초)로 입력하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 각각의 프레임 레이트를, 48(프레임/초)로 변환을 행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부(60a, 60b)를, 데이터 강조부(20a, 20b)나 지연부(10)의 전단에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시분할 출력부(30)로부터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및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출력할 때에는, 그 2배속 레이트인 96(프레임/초)이 되기 때문에, 간헐 주기가 60(프레임/초) 이상이 되어, 관찰자는 플리커를 거의 지각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는, 입력 프레임 레이트가 제1 소정값(예를 들면, 24(프레임/초)) 이하의 경우에, 프레임 레이트의 변환 처리에 의해, 플리커 방해가 발생하지 않는, 또는 실용상 문제없는 프레임 레이트인 제2 소정값(예를 들면 48(프레임/초))으로 끌어올린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하고, 시계열 변환 처리를 행함으로써, 96(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입체 화상을 출력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실시예 5에서는, 프레임 메모리로의 기입을 낮은 입력 프레임 레이트(24(프레임/초))인 채로 행하고, 프레임 레이트의 변환 처리를, 데이터 강조부(20a, 20b)의 후단인 프레임 메모리로부터의 독출시에, 풀다운 처리 등을 하면서 독출함으로써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여, 96(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입체 화상을 출력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최종적으로 시분할 출력부(30)로부터 시분할로 출력되는 화상 강조 데이터는,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다음의 프레임의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1),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1), 추가로 다음의 프레임의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2), …의 순서가 된다. 따라서, 시분할 출력할 때의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의 전의 프레임은, 1프레임 전의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1)이기 때문에, 미리 행하는 시간축 강조 처리로서는, 1프레임 전의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1)과의 사이에서 행하면 좋았다.
그러나,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서는, 시분할 출력부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풀다운 처리하면서 시분할로 독출하는, 즉 동일 화상 프레임을 반복하여 독출함으로써 프레임 레이트를 향상시킨다.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서는,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동일하게, 미리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에 대해서도, 동일 프레임 n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강조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 강조부(20e)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입체 화상 표시 장치(5)는, 지연부(10)와, 데이터 강조부(20a)와, 데이터 강조부(20b)와, 데이터 강조부(20e)와, 시분할 출력부(70)를 갖는다.
또한, 이들 구성 중, 지연부(10)와, 데이터 강조부(20a)와, 데이터 강조부(20b)는, 실시예 1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가 구비하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강조부(20e)에는, 데이터 강조부(20a)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이 입력된다. 그리고, 그들의 차이(LI(n)-RI(n))에 대하여 강조 계수 K5를 승산하고, 승산 결과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에 가산함으로써,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강조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으로서 시분할 출력부(70)로 출력한다. 또한, 이 강조 계수 K5는, 강조 계수 K2나, 강조 계수 K4보다, 작은 값, 혹은 큰 값, 나아가서는 동일한 값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시분할 출력부(70)는, 24(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입력 프레임 레이트가 낮은 것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플리커 등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 메모리(71)에 보유되어 있는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순서대로 시분할로 출력한다.
도 13은 입체 화상 표시 장치(5)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70)에 있어서의 시분할 처리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시분할 출력부(70)로의 입력 프레임 레이트를 24(프레임/초),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전환 주기를 48(프레임/초), 프레임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독출 주기를 96(프레임/초)으로 한다.
입체 화상 표시 장치(5)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70)는, 풀다운 처리하면서의 시분할 처리에 의해, 동일 프레임 n이 입력되는 타이밍에 대응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이어서, 다음의 프레임이 (n+1) 입력되는 타이밍에 대응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1),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1),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1),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1), …의 순서로, 각 화상 데이터를 풀다운 처리, 즉 반복하여(여기에서는, 편의상 2회로 함) 동일한 프레임을 독출함으로써, 4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96(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시분할하여 출력한다.
즉, 입체 화상 표시 장치(5)가 구비하는 시분할 출력부(70)에서는,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은 반복하여 동일한 데이터가 2번 출력되는 것에 대하여,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은, 프레임의 전환시의 1회째의 출력시에는 그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이 출력되는 것에 대하여, 2회째의 반복 데이터가 출력되는 타이밍에서는,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이 아닌,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이 출력된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각각 24(프레임/초)로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1), RE(2), …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1), LE(2), …가 입력된 경우, 시분할 출력부(70)로부터는, 4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96(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시분할하여, LE(1), RE(1), LE"(1), RE(1), LE(2), RE(2), LE"(2), RE(2), …의 순서로 시계열 순서로 화상 강조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의하면, 프레임 메모리(71)에 보유되어 있는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4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96(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하고 시분할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24(프레임/초)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입력 프레임 레이트가 낮은 것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플리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의하면, 시분할 출력부(70)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71)로부터 풀다운 처리하면서 시분할하여 독출하는, 즉 동일 화상 프레임을 반복하여 독출할 때, 2회째에 독출하는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의 전의 화상 데이터가, 동일 프레임 n의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과 동일한 화상 데이터 R(n), L(n)에 기초하기는 하지만, 상이한 강조 계수 K5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이 되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메모리의 스루풋이 어떻게 개선될지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를 행하는 종래예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에 의한 24(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 표시에서의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실시예 5인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의한 시분할 출력부(70)에서 프레임 메모리(71)로부터 풀다운 처리하면서 시분할하여 독출하는 경우의 메모리의 스루풋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루풋 합계값으로 비교하면,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과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의 경우,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메모리로의 기입이 24(프레임/초)로, 스루풋이 1194(Mbit/초)가 된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로부터의 독출과, 지연부로의 기입 및 지연부로부터의 독출이 모두, 96(프레임/초)으로, 스루풋이 4778(Mbit/초)이 되기 때문에, 합계 스루풋이 16722(Mbit/초)가 된다.
이에 대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의 경우, 프레임 메모리(71)로의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각각의 기입이 24(프레임/초)의 경우, 각각 스루풋이 1194(Mbit/초)가 된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71)로부터의 독출이 96(프레임/초)의 4778(Mbit/초)이 되고, 지연부(10)로의 기입 및 지연부(10)로부터의 독출이 24(프레임/초)로 1194(Mbit/초)가 되기 때문에, 합계 10748(Mbit/초)이 된다.
이와 같이,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시분할 처리 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는 종래예의 경우, 메모리의 스루풋 합계값이 16722(Mbit/초)가 되는 것에 대하여,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의하면, 메모리의 스루풋 합계값이 10748(Mbit/초)이 되어, 개선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5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의하면, 실시예 1∼4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4)와 동일하게, 시분할 처리 전에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지연부(10)나 프레임 메모리(71)의 입출력 단자수가 적어도 되고, 지연부(10)나 프레임 메모리(71)와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스루풋도 낮게 억제되어, 배선 면적도 적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그리고 데이터 처리의 장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통상,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의 경우, 풀다운 처리 또는 움직임 보상 처리 중 어느 것으로 해도 대용량의 프레임 메모리가 필요해지지만,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의하면,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의 입력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프레임 메모리(71)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있어서는, 시분할 출력부(70)는 프레임 메모리(71)에 보유되어 있는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 우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RE(n),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입력 프레임 레이트의 24(프레임/초)에 대하여, 4배속 레이트에 해당하는 96(프레임/초)의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하여 시분할로 출력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입력 프레임 레이트의 24(프레임/초)가 낮은 것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플리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 의하면, 시분할 출력부(70)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71)로부터 풀다운 처리하면서 시분할하여 독출하고, 즉 동일 화상 프레임을 반복하여 독출하도록 한 경우, 2회째에 독출하는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의 전의 화상 데이터가, 동일 프레임 n의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과 동일한 화상 데이터 RI(n), LI(n)에 기초하기는 하지만, 상이한 강조 계수 K5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가 이루어진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이 되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5)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1)에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예 2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2)에 적응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프레임 메모리(41)로 동일 프레임 n의 데이터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를 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실시예 3에 따른 입체 화상 표시 장치(3)에 적응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프레임 메모리(51)에 동일 프레임 n의 데이터에 의해 시간축 강조 처리를 한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과 함께, 그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E"(n)보다도 강조 정도가 작은 좌안용 화상 강조 데이터 LW'(n)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5의 설명에 있어서는, 좌안 및 우안의 화상 강조 데이터의 시분할 출력의 순서를, 좌안, 우안, 좌안, …으로 했지만, 셔터 안경과의 조합 및 동기가 취해져 있으면,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우안, 좌안, 우안, …과 같은 반대의 순서로 시분할 출력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
또한, 실시예 1∼5의 설명에서는, 입력되는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이 병렬로 부여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했지만, 그 외에도 입체 화상 표시용의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전송하기 위한 각종 포맷이 있는 것은 주지한 대로이며, 이들 포맷으로부터의 디코드 수단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또한,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이 병렬로 부여되지 않으며, 입력된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바탕으로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작성하거나, 혹은 그 반대로 입력된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을 바탕으로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을 작성하는 구성이라도, 나아가서는 통상의 2차원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안용 화상 데이터 RI(n)과 좌안용 화상 데이터 LI(n)의 쌍방을 작성하고, 그 후 실시예 1∼5와 같이 시간축 강조 처리를 행하여 시분할 처리를 하여 출력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라도 물론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5의 설명에서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 1∼5의 각 입체 화상 표시 장치의 기능을 프로그래밍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등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물론 좋다.
또한, 실시예 1∼5의 설명에서는, 액정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를 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유기 EL이나, 플라즈마, 브라운관, SED 등의 그 외의 입체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1∼5 : 입체 화상 표시 장치
10 : 지연부
20a : 데이터 강조부
20b : 데이터 강조부
20c : 데이터 강조부
20d : 데이터 강조부
20e : 데이터 강조부
21b : 감산기
22b : 강조 계수 승산기
23b : 가산기
30, 40, 50, 70 : 시분할 출력부
31, 41, 51, 71 : 프레임 메모리
60a, 60b :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부

Claims (5)

  1.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1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1 강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2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를 기억하여,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를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2.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1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1 강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2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여,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의 순서로,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에 의해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3.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1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1 강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2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강조 계수보다 강조 게인이 작은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3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3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강조 계수보다 강조 게인이 작은 제4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4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4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3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4 강조 데이터를 기억하여,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3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4 강조 데이터의 순서로,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가 제1 소정값 이하의 경우에, 제2 소정값 이상의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하여 상기 지연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강조부에 출력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부를 추가로 갖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5.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1프레임 기간 지연시켜 지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와,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를 제1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1 강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우안용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좌안용 화상 데이터 중 다른 한쪽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지연부에 의해 1프레임 기간 지연된 상기 지연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한쪽의 입력 데이터를 제2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2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 데이터 중 동일 프레임에 기초하여 시계열 순서로 먼저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제5 강조 계수에 의해 강조하여 제5 강조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제5 데이터 강조부와,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5 강조 데이터를 기억하여, 상기 제1 강조 데이터와 상기 제2 강조 데이터 중 시계열 순서로 먼저 표시되는 한쪽의 강조 데이터, 다른 한쪽의 강조 데이터, 상기 제5 강조 데이터, 상기 다른 한쪽의 강조 데이터의 순서로, 시분할하여 출력함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이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시분할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화상 표시 장치.
KR1020127024301A 2010-03-24 2011-03-18 입체 화상 표시 장치 KR201201286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7832A JP4840519B2 (ja) 2010-03-24 2010-03-24 立体画像表示装置
JPJP-P-2010-067832 2010-03-24
PCT/JP2011/056536 WO2011118518A1 (ja) 2010-03-24 2011-03-18 立体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693A true KR20120128693A (ko) 2012-11-27

Family

ID=4467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301A KR20120128693A (ko) 2010-03-24 2011-03-18 입체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02834A1 (ko)
EP (1) EP2555529A4 (ko)
JP (1) JP4840519B2 (ko)
KR (1) KR20120128693A (ko)
CN (1) CN102804794A (ko)
WO (1) WO2011118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3673A1 (fr) * 2011-12-02 2013-06-07 Binocle Procede de correction pour la projection alternative d'images stereoscopiques
JP2014042133A (ja) * 2012-08-22 2014-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フレームレート制御方法
KR101660196B1 (ko) * 2012-08-24 2016-09-2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761187B2 (en) 2012-10-02 2017-09-1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102104333B1 (ko) 2013-05-28 2020-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582841B1 (ko) * 2016-07-07 2023-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90773B (zh) * 2021-10-12 2023-01-21 宏碁股份有限公司 三維影像顯示系統及其操作方法
CN116110326A (zh) * 2021-11-09 2023-05-12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复用的led显示驱动方法及其芯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008B1 (en) * 2000-03-13 2003-03-11 Recherches Point Lab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steroscopic cross images
JP3808788B2 (ja) * 2002-03-12 2006-08-16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方法
JP2004159191A (ja) * 2002-11-07 2004-06-03 Seiko Epson Corp 画像データに応じたフレームレートの変換
JP4262139B2 (ja) * 2004-06-01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4376764B2 (ja) * 2004-12-01 2009-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JP4569388B2 (ja) 2005-05-31 2010-10-2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A2636858C (en) * 2006-01-27 2015-11-24 Ima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ly re-mastering of 2d and 3d motion pictures for exhibition with enhanced visual quality
JP5309488B2 (ja) * 2007-07-18 2013-10-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364287B1 (ja) * 2008-06-27 2009-11-11 株式会社東芝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5529A1 (en) 2013-02-06
US20130002834A1 (en) 2013-01-03
WO2011118518A1 (ja) 2011-09-29
JP4840519B2 (ja) 2011-12-21
CN102804794A (zh) 2012-11-28
EP2555529A4 (en) 2013-08-21
JP2011205186A (ja)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8693A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
JP4569388B2 (ja) 画像表示装置
JP6261685B2 (ja) 表示装置
JP5051983B2 (ja) フレームレート制御によるlcdぼけ低減
JP5472122B2 (ja) 画像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伝送方法
EP2326096A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4964197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8687123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JP2009109694A (ja) 表示装置
US9214119B2 (en) Display, image processing unit, and display method involving frame rate conversion and blur reduction
JPWO2011155258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20110131897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JP3816673B2 (ja) 立体画像の階調表示制御方法および装置
Nam et al. 61.4: Novel Impulsive Driving Schemes Using Frame Rate Doubling for 120Hz LCD Panels
Kurita 51.3: Motion‐Adaptive Edge Compensation to Decrease Motion Blur of Hold‐Type Display
JP2014164073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305895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862591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9162955A (ja) 画像表示装置
JP2009258269A (ja) 画像表示装置
US8294818B2 (en) De-interlacing method and controller thereof
WO2014013804A1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302687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577346A (zh) 影像信号处理装置
US2011015716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On-Screen Display Func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