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484A -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484A
KR20120125484A KR1020127020241A KR20127020241A KR20120125484A KR 20120125484 A KR20120125484 A KR 20120125484A KR 1020127020241 A KR1020127020241 A KR 1020127020241A KR 20127020241 A KR20127020241 A KR 20127020241A KR 20120125484 A KR20120125484 A KR 2012012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creen
main body
ring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769B1 (ko
Inventor
카즈미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벤
Publication of KR2012012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5/00Pipe units with cleaning aperture and closure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스트레이너 (S)는, 유입구 (2) 및 유출구 (3)를 가진 유로를 가진 본체 (1)와, 본체 (1)의 유로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개구를 가진 컵형상 스크린 (50)을 갖추고, 본체 (1)의 측벽에 스크린 (50)이 출입 가능한 출입용 구멍 (10)이 형성되어, 본체 (1)의 유입구 (2) 측의 측벽 내주에 삽입시에 스크린 (50)의 개구 끝면 (74c)이 압압 되어 밀착하는 수면 (21)을 가진 수부 (20)가 형성되고 스크린 (50)의 개구 가장자리부 (50a)에 플랜지 (73)가 형성되어 출입용 구멍 (10)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플랜지 (73)가 삽입되는 홈 (41)을 형성하는 돌기부 (40)가 돌출설치 되어, 홈 (41)에 삽입된 플랜지 (73)를 출입용 구멍 (10)측으로부터 출입용 구멍 (10)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압압 하여, 개구 끝면 (74c)을 수면 (21)에 압압 시키는 압압 수단 (90)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트레이너{STRAINER}
본 발명은, 물, 기름 등의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있어서, 이 유체 내에 포함되는 불순물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크린을 갖춘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불순물 등의 이물질이 스크린의 개구의 외측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일 없이 확실히 포획 할 수 있도록 한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스트레이너로서는,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특허 제 4272907호 공보에 게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스트레이너 (Sa)는, 유입구 (201) 및 유출구 (202)를 가진 유로를 가진 본체 (200)와 본체 (200)의 유로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 (211)를 가진 컵형상의 스크린 (210)을 갖추고 있다. 본체 (200)는, 그 유로를 직선 모양으로 한 관체로 형성되어 있고 측벽에는 스크린 (210)의 출납을 하기 위한 출입용 구멍 (2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 (201) 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측벽 내주에는, 수면(受面) (204)을 가진 수부(受部) (205)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 (210)의 장착시에, 스크린 (210)의 개구 끝면 (212)은, 수면 (204)에 압압(押壓) 되어 수면 (204)과 밀착한다. 또한,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에는, 본체 (200)의 축선과 삽입시의 스크린 (210)의 축선이 같은 축이 되도록 스크린 (210)을 지지해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 (2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기 (206)의 스크린 (210)과 접촉하는 접촉면은, 스크린 (2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주면(만곡한 면)이다. 또한, 출입용 구멍 (203)은 뚜껑 (207)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이 스트레이너 (Sa)는, 스크린 (210)의 개구 끝면 (212)을 본체 (200)의 수면 (204)에 압압 하는 압압 수단 (220)을 갖추고 있다. 이 압압 수단 (220)은, 암 나사부 (221), 볼트 (224), 원추베이스부 (225) 및 압압 부재 (226)를 갖추고 있다. 암 나사부 (221)는, 본체 (200)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으로 스크린 (210)의 저부 (213)보다 유출구 (202) 측에 형성된다. 볼트 (224)는, 한쪽 (224a)에 암 나사부 (221)에 나사맞춤되는 수 나사부 (222)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측 (224b)에 의해서 회전 되는 볼트머리 (223)를 가지고 있다. 원추베이스부 (225)는, 볼트 (224)와 같은 축에 형성되어 볼트 (224)의 타단측 (224b)을 향해서 부채꼴을 하고 있다. 압압 부재 (226)는, 원추베이스부 (225)의 원추면 (225a)에 접촉하는 테이퍼면 (226a)을 가지고, 볼트 (224)의 암 나사부 (221)에 대한 스크린 (210)의 개구 끝면 (212)을 본체 (200)의 수면 (204)에 압압 한다. 또한, 압압 부재 (226)는, 링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크린 (210)의 저부 (213)에 고착되어 있다.
 
스크린 (210)을 본체 (200)에 장착할 때는, 우선, 뚜껑 (207)을 떼어내고 출입용 구멍 (203)을 개방으로 한다. 다음에, 스크린 (210)을 출입용 구멍 (203)으로부터 본체 (200)내에 넣어서 가이드 돌기 (206)에 올려놓고, 스크린 (210)의 개구 끝부 (212)를 본체 (200)의 수면 (204)에 대치시킨다. 그리고, 압압 수단 (220)에 의해서 스크린 (210)의 개구 끝면 (212)을 본체 (200)의 수면 (204)에 압압 한다. 자세하게는, 볼트 (224)의 수 나사부 (222)를 본체 (200)의 암 나사부 (221)에 나사맞춤해서, 볼트 (224)의 볼트머리 (223)를 조임도구로 회전시켜서, 볼트 (224)를 본체 (200)에 삽입한다. 이 때, 원추베이스부 (225)의 원추면 (225a)은, 압압 부재 (226)에 형성된 테이퍼면 (226a)을 서서히 밀어 내려서 압압 부재 (226)는, 스크린 (210)의 저부 (213)에 고착되어 있고 또한, 스크린 (210)은, 가이드 돌기 (206)에 얹혀 있다. 따라서, 스크린 (210)은, 볼트 (224)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가이드 돌기 (206)의 접촉면을 따라서 유입구 (201) 측으로 진행하고, 스크린 (210)의 개구 끝면 (212)은, 본체 (200)의 수부 (205)의 수면 (204)에 밀착한다. 그 후, 뚜껑 (207)을 출입용 구멍 (203)에 씌워서, 출입용 구멍 (203)을 닫는다.
이와 같이 스크린 (210)이 장착된 스트레이너 (Sa)에 유입구 (201)로부터 유체가 유입하면, 이 유체에 혼재하는 이물질은, 스크린 (210)에서 여과되어 이물질이 혼재하지 않은 유체가, 유출구 (202)로부터 유출한다. 이 경우, 스크린 (210)의 개구 끝면 (212)이 본체 (200)의 수부 (205)의 수면 (204)에 밀착하고 있으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은, 개구 끝면 (212)과 수면 (204)과의 사이를 빠져 나갈 수 없다. 따라서, 스트레이너 (Sa)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스크린 (210)에서 포획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이런 종류의 타입의 스트레이너로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스트레이너를 개량한 스트레이너도 있다. 이 개량한 스트레이너는, 본원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특허 문헌 2(일본특허 공개공보 2006-76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427290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6-761호 공보
그러나, 이 종래의 스트레이너 (Sa)에 있어서는, 본체 (200) 내에 볼트 (224)를 끼워넣어서, 스크린 (210)의 저부 (213) 보다 유출구 (202) 측에 형성된 암 나사부 (221)에 볼트 (224)를 끼워서, 이 볼트 (224)로 스크린 (210)의 저부 (213)를 밀어서 스크린 (210)을 본체 (200)에 장착하고 있다. 즉, 압압 수단 (220)이 비교적 복잡하고 대형 구조가 되므로, 그 만큼, 스트레이너 (Sa)전체도 대형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압압 수단 (220)이 비교적 복잡하고 대형 구조가 되므로, 이 압압 수단 (220)을 소형 스트레이너에 적용할 수 없어서, 그 만큼 범용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압압 수단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해서 스트레이너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압압 수단을 소형 스트레이너에 적용 가능하게 하여 범용성의 향상을 도모한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있는 유로를 가진 본체와, 해당 본체의 유로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를 가진 컵형상의 스크린과, 해당 본체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의 출입을 하기 위한 출입용 구멍과, 해당 출입용 구멍을 개폐하는 뚜껑을 갖추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측벽 내주에, 상기 스크린 장착시에 해당 스크린의 개구 끝면이 압압 되어 밀착하는 수면을 가진 수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개구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출입용 구멍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상기 본체의 수부의 수면에 대치하도록 돌기부를 형성해서 해당 돌기부와 해당 수면이 공동으로 상기 스크린의 플랜지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해서, 해당 돌기부의 상기 수면측의 내벽면은, 상기 플랜지가 해당 홈에 삽입되었을 때 해당 플랜지의 뒤편 바깥 둘레와 접촉하도록, 또한, 상기 수면과 해당 내벽면과의 간격이 상기 플랜지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가 해당 홈에 삽입된 상태로, 해당 플랜지를 상기 본체의 출입용 구멍측으로부터 해당 출입용 구멍에 대향하는 측벽 측으로 압압하고, 또한, 해당 플랜지의 뒤편 바깥 둘레를 상기 돌기부의 내벽면에 슬라이드접촉시킴으로써, 해당 플랜지의 개구 끝면을 상기 수면에 압압 시키는 압압 수단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크린을 장착할 때는, 스크린을 출입용 구멍으로부터 유로내에 넣고, 스크린의 플랜지를 홈에 삽입하여, 그 후, 압압 수단에 의해서 플랜지는, 본체의 출입용 구멍측으로부터 출입용 구멍에 대향하는 측벽 측으로 밀린다.
이로써, 플랜지의 뒤편 바깥 둘레가 돌기부의 내벽면에 슬라이드 접촉상태로, 플랜지는, 홈에 들어가, 유입구측으로의 외력을 받는다. 즉, 이 내벽면으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플랜지의 개구 끝면은, 수면에 닿아서 수면과 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의 내벽면을 이용하므로써, 플랜지의 출입용 구멍측의 부분을 압압 하므로서, 스크린을 장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압압 수단(도 7의 압압 수단 (220))이, 스크린의 저부를 미는 것 같은 복잡하고 대형 구조였던 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압압 수단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이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압압 수단을, 소형 스트레이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플랜지의 외측면의 일부에, 해당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유입구측 또한 외측으로 향해서 경사지는 설편(舌片)(피압압부라고도 불린다.)을 돌출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출입용 구멍측의 수부이며 상기 수면의 외측에, 상기 설편이 압압 되어 지지되는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압압 수단을, 상기 설편을 압압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스크린을 장착할 때는, 스크린의 설편이 있는 쪽을 본체의 출입용 구멍 측에 위치시키고, 스크린의 설편이 있는 쪽과는 반대측의 플랜지 부분을 홈에 삽입한다. 계속 해서, 이 설편을 지지면에 지지하고, 그 후, 압압 수단에 의해 설편을, 유입구측 또한 안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압압 한다.
이 설편의 압압력은, 설편이 플랜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본체의 유입구측 또한 외측으로 향해서 경사지고 있으므로, 플랜지의 개구 끝면의 출입용 구멍측의 부분을 수면에 압압 하는 축방향의 분력(分力)과 플랜지를 본체의 출입용 구멍측으로부터 출입용 구멍에 대향하는 측벽 측으로 압압 하는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을 가지고 있다. 이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은, 플랜지의 뒤편 바깥 둘레 가장자리를 돌기부의 내벽면에 슬라이드 접촉시켜서, 이 내벽면으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플랜지의 개구 끝면의 출입용 구멍측과는 반대측 부분을 수면에 압압 한다. 즉, 축방향의 분력 및 내벽면으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플랜지를 그 원주의 양측에서 수면에 압압 할 수 있으므로, 압압력이 균등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플랜지의 개구 끝면은, 수면과 적합하게 밀착할 수 있어서 플랜지의 누름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돌기부를,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소정의 대칭 위치에 복수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플랜지를 설편이 있는 부위를 포함한 그 원주의 3개소 이상의 부위로부터 수면에 압압 하고, 또한, 돌기부는 지지면에 대해서 소정의 대칭 위치에 위치하므로 보다 한층, 압압력이 균등하게 작용하게 되어, 플랜지의 누름이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소정의 대칭 위치로서 예를 들면, 설편이 있는 부위를 0°로 했을 때, 제일의 돌기부를 120(=180-α(=60))°의 위치에 형성하고 제2의 돌기부를 240(=180+α(=60))°의 위치에 형성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α는, 6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설편에, 수 나사부 및 볼트머리를 가진 볼트의 해당 수 나사부가 끼워지는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에, 볼트의 수 나사부가 삽입되는 암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압 수단이, 수 나사부 및 볼트머리를 가지고 상기 수 나사부를 상기 볼트구멍에 끼워서 상기 암 나사부에 삽입하여 상기 볼트머리에 의해서 상기 설편을 지지면에 압압 하는 볼트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서, 볼트라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요소를 사용해서 압압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압압 수단(도 7의 압압 수단 (220))이, 스크린의 저부를 미는 것 같은 복잡하고 대형 구조였던 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압압 수단의 구조를 간단하게 또한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이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압압 수단을, 소형 스트레이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압압 수단이, 상기 뚜껑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용 구멍의 폐쇄시에 상기 설편을 지지면에 대해서 압압 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탄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나 판 스프링 등의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이로써, 뚜껑에 형성한 탄성 부재는 간단하고 쉬운 요소를 사용해서 압압 수단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볼트를 사용한 경우와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스크린이, 통체 및 이 통체의 한편의 개구를 막는 저판을 가진 망상 부재와 상기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망상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프레임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망상 부재와 프레임을 별체로 형성하고, 프레임에 플랜지를 형성하였으므로, 플랜지를 예를 들면 금속의 주물제로 할 수 있다. 즉, 플랜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므로, 스크린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망상 부재의 통체와 저판을 분리 가능하게 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저판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판용 지지면을 가진 링형상의 지지 링과, 상기 플랜지를 구성하고, 상기 통체의 개구 끝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개방구를 가진 링형상의 플랜지 링과, 상기 지지 링 및 플랜지링을 연결해서, 상기 통체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망상 부재를 통체와 저판을 분리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망상 부재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을 지지 링, 플랜지 링 및 복수의 리브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망상 부재가 프레임으로부터 노출되는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스크린에서 여과된 유체를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통체의 외경을 a, 저판의 외경을 b, 플랜지링의 개방구의 내경을 c로 했을 때, a<c<b로 설정하고, 상기 저판을 상기 리브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 링의 저판용 지지면에 장착 가능하게 상기 리브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망상 부재를 프레임에 삽입할 때는, 저판을 리브와 리브의 사이로부터 프레임 내에 삽입해서 지지 링의 저판용 지지면에 장착시키고, 그 후, 통체를 플랜지링의 개방구로부터 프레임내에 삽입해서 저판에 닿을 때까지 밀어넣는다.
이와 같이 저판의 외경이 통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체로 저판을 누를 수 있다. 즉, 저판을 통체와 지지 링으로 협지(挾持)할 수 있으므로, 저판을 확실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체의 외경은, 그 개구 끝부가 플랜지링의 개방구에 감합하는 크기로 하고 있으므로, 플랜지링에 의해서 통체는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에 의하면, 압압 수단의 구조를 간단하게 또한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이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압압 수단을, 소형 스트레이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스크린을 본체에 넣을 때의 공정과 함께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스크린을 본체에 넣은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뚜껑을 씌운 조립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뚜껑을 씌운 조립 상태로 도시하는 일부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스트레이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 (S)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스트레이너 (S)는, 유입구 (2) 및 유출구 (3)를 가진 유로를 가진 본체 (1)와, 본체 (1)의 유로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를 가진 컵형상의 스크린 (50)을 갖추고 있다. 이 스크린 (50)은, 다음에 상술하지만, 그 개구 돌기부 (50a)에, 외측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플랜지 (7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플랜지 (73)는, 외측면의 일부에, 이 외측면으로부터 본체 (1)의 유입구측과 외측으로 향해서 경사지는 설편 (80)이 돌출설치 되어 있다. 이 설편 (80)은, 통상,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평판이다.
본체 (1)는, 그 유로를 직선 모양으로 한 관체이며, 금속 주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 (1)의 유입구 (2) 및 유출구 (3)에는, 각각, 유체가 흐르는 다른 관체(도시하지 않음)에 본체 (1)를 장착하기 위한 암 나사 (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1)의 측벽에는, 스크린 (50)의 출납을 하기 위한 출입용 구멍 (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출입용 구멍 (1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출입용 구멍 (10)의 주위가장자리에는, 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출입용 구멍 가장자리부 (11)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 (S)는,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을 개폐하는 뚜껑 (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뚜껑 (5)은, 본체 (1)와 같은 금속 주물로 형성되어 있고 출입용 구멍 가장자리 (11)의 접촉면 (7)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출입용 구멍 가장자리 (11)에는, 뚜껑 (5)을 고정하기 위한 암 나사 (11a)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소에 형성되고 뚜껑 (5)에는 암 나사 (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 (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5a)에 볼트머리 (6a)가 있는 볼트 (6)을 끼워넣어, 암 나사 (11a)에 볼트 (6)를 조이므로서, 뚜껑 (5)은 고정된다. 또한, 뚜껑 (5)과 본체 (1)와의 사이에는 링형상의 패킹 (8)이 끼어 장착되어 있다. 이 패킹 (8)은, 출입용 구멍 (10)의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텝부 (10a)에 끼워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1)의 유입구 (2) 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측벽 내주에는, 스크린 (50) 장착시에 스크린 (50)의 개구 끝면 (74c)이 압압 되어 밀착하는 수면 (21)을 가진 수부 (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측의 수부 (20)이며 수면 (21)의 외측에는, 스크린 (50)의 설편 (80)이 압압 되어 지지되는 지지면 (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면 (30)은, 경사진 설편 (80)과 대향하도록(즉, 유입구 (2) 측에서 보아, 본체 (1)의 유출구 (3) 측 또한 안쪽으로 향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면 (30)의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압압 수단 (90)으로서의 볼트 (91)의 수 나사부 (91a)가 삽입되는 암 나사부 (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본체 (1)의 수부 (20)의 수면 (21)에 대치하도록 돌기부 (40)를 형성하고 있다. 돌기부 (40)와 수면 (21)은, 공동으로 스크린 (50)의 플랜지 (73)가 삽입되는 홈 (41)을 형성한다. 이 돌기부 (40)는, 그 수면 (21) 측의 내벽면 (40a)이, 스크린 (50)의 플랜지 (73)가 홈 (41)에 삽입되었을 때 플랜지 (73)의 뒤편 바깥 둘레 가장자리(73a)와 접촉하도록, 또한, 수면 (21)과 내벽면 (40a)과의 간격이 플랜지 (73)의 삽입 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돌기부 (40)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면 (30)에 대해서 소정의 대칭 위치에(즉, 지지면 (30)을 지나는 가상 수직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스크린 (50)에 대해서 상술한다. 이 스크린 (50)은, 본체 (1)의 유로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구 (61b)를 가진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 (50)은, 통체 (61) 및 통체 (61)의 한편의 개구 (61a)를 막는 저판 (62)을 가지는 망상 부재 (60)와 플랜지 (73)를 가지며, 망상 부재 (60)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프레임 (70)을 갖추고 구성되어 있다.
망상 부재 (6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원통형의 통체 (61)와 원판형상의 저판 (62)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체 (61) 및 저판 (6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작은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유로를 흐르는 유체는 이 작은 구멍을 통과한다. 또한, 망상 부재 (60)의 안쪽에는,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해서 분리하는 네트(도시하지 않음)가 갖춰져 있다. 이 네트(도시하지 않음)는, 예를 들면, 100 메쉬(1 인치 사방에, 1×104개의 눈을 가진 것) 이상이며, 또한, 눈의 간격이 0.15 mm이하의 것이 사용된다. 망상 부재 (60)를 통체 (61)와 저판 (62)을 분리 가능하게 했으므로, 망상 부재 (60)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프레임 (70)은, 저판 (62)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판용 지지면 (71)을 가진 링형상의 지지 링 (72)과 플랜지 (73)를 구성하고, 통체 (61)의 다른쪽 통로 (61b)의 개구 끝부 (61c)가 맞물리는 개방구 (74a)를 가진 링형상의 플랜지링 (74)과, 지지 링 (72) 및 플랜지링 (74)을 연결하고, 통체 (61)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 (75)(실시형태에서는 4개)를 갖추고 있다. 이 지지 링 (72), 플랜지링 (74) 및 복수의 리브 (75)는, 스테인레스제의 주물이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망상 부재 (60)와 프레임 (70)을 별체로 형성해서, 프레임 (70)에 플랜지 (73)를 형성하고, 플랜지 (73)는 금속의 주물제로 되어 있다. 이로써, 플랜지 (73)의 형성이 용이해지고 따라서, 스크린 (50)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플랜지링 (74)은, 그 외 측면 (74b)의 일부에, 외측면 (74b)으로부터 본체 (1)의 유입구 (2) 측과 외측으로 향해서 경사지는 설편 (80)이 돌출설치 되어 있다. 이 설편 (80)에는, 지지면 (30)에 삽입되는 후술하는 압압 수단 (90)으로서의 볼트 (91)의 수 나사부 (91a)가 삽통(揷通)되는 볼트구멍 (8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크린 (50)은, 통체 (61)의 외경을 a, 저판 (62)의 외경을 b, 플랜지링 (74)의 개방구의 내경을 c로 했을 때, a<c<b로 설정되어 있어서 저판 (62)을 리브 (75) 사이에서 삽입해서 지지 링 (72)의 저판용 지지면 (71)에 장착 가능하게 되도록 리브 (7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 (S)는, 스크린 (50)의 플랜지 (73)를 압압 하는(또는, 스크린 (50)의 플랜지 (73)를, 소정의 방향(유출구 (3) 측에서 보아, 본체 (1)의 유입구 (2) 측 또한 안쪽으로 향해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미는 상태로 유지한다, 라고 할 수도 있다.) 압압 수단 (90)을 갖추고 있다. 이 압압 수단 (90)은, 스크린 (50)의 플랜지 (73)가 홈 (41)에 삽입된 상태로, 플랜지 (73)를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측으로부터 출입용 구멍 (10)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압압 하고, 또한, 플랜지 (73)의 뒤편 바깥 둘레 가장자리 (73a)를 돌기부 (40)의 내벽면 (40a)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므로써, 플랜지 (73)의 개구 끝면 (74c)을 수면 (21)에 압압 시키는 것이다.
이 압압 수단 (90)은, 소정의 방향(유출구 (3) 측에서 보아, 본체 (1)의 유입구 (2) 측 또한 안쪽으로 향해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설편 (80)을 압압 하는 볼트 (9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볼트 (91)는, 수 나사부 (91a) 및 볼트머리 (91b)를 가지고 있고 수 나사부 (91a)를 설편 (80)의 볼트구멍 (81)에 삽통시켜서 지지면 (30)의 암 나사부 (31)에 삽입하며 볼트머리 (91b)에 의해 설편 (80)을 지지면 (30)에 압압 하는 것이다.
또한, 설편 (80)의 지지면 (30)과 접촉하는 접촉면 (82) 측에는, 볼트구멍 (81)에 삽통된 볼트 (91)가 볼트구멍(8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하기 위한 U자 모양의 빠짐방지 부재 (9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빠짐방지 부재 (92)에 의해서 볼트 (91)는 설편 (80)에 부대(付帶)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 부재 (92)(빠짐방지 부재 (92)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는, 설편 (80)의 접촉면 (82))는, 지지면 (30)과 접촉하지 않아도 되고, 볼트 (91)는, 스크린 (50)의 플랜지 (73)를, 소정의 방향(유출구 (3) 측에서 보아 본체 (1)의 유입구 (2) 측 또한 안쪽으로 향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누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 (S)에 있어서, 스크린 (50)을 본체 (1)에 장착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먼저, 망상 부재 (60)를 프레임 (70)에 장착하고 스크린 (50)을 조립한다. 자세하게는, 저판 (62)을 리브 (75)와 리브 (75)의 사이에서 프레임 (70)내에 삽입해서 지지 링 (72)의 저판용 지지면 (71)에 장착하고, 그 후, 통체 (61)를 플랜지링 (74)의 개방구 (74a)로부터 프레임 (70)내에 삽입해서 저판 (62)에 닿을 때까지 밀어넣는다. 이로써, 저판 (62)의 외경이 통체 (6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체 (61)로 저판 (62)을 누를 수 있다. 즉, 저판 (62)을 통체 (61)와 지지 링 (72)으로 협지할 수 있으므로, 저판 (62)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체 (61)의 외경은, 그 개구 끝부 (61c)가 플랜지링 (74)의 개방구 (74a)에 맞물리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랜지링 (74)에 의해서 통체 (61)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뚜껑 (5)을 분리해서 출입용 구멍 (10)을 열고, 조립한 스크린 (50)을 출입용 구멍 (10)으로부터 유로내에 넣는다. 이 때, 스크린 (50)의 설편 (80)이 있는 측을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 측에 위치시키고, 스크린 (50)의 설편 (80)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플랜지 (73)를 홈 (41)에 삽입하면서, 설편 (80)을 지지면 (30)에 접근시킨다.
이어서, 압압 수단 (90)에 의해 설편 (80)을 압압 해서 플랜지 (73)를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측으로부터 출입용 구멍 (10)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압압 한다. 자세한 것은, 볼트 (91)의 볼트머리 (91b)를 클램프로 회전시켜서, 수 나사부 (91a)를 지지면 (30)의 암 나사부 (31)에 삽입하여, 볼트머리 (91b)에 의해서 설편 (80)을 지지면 (30)에 압압 한다.
여기서, 설편 (80)은, 플랜지링 (74)의 외측면 (74b)으로부터 본체 (1)의 유입구 (2) 측 또는 외측으로 향해서 경사져 있으므로, 이 설편 (80)의 압압력 (W)(도 3 참조)에 의해서, 플랜지링 (74)의 개구 끝면 (74c)의 출입용 구멍 (10)측의 부분을 수면 (21)에 압압 하는 축방향의 분력 (Wa)과, 플랜지링 (74)을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 측으로부터 출입용 구멍 (10)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압압 하는 축방향과 직교 하는 방향의 분력 (Wb)이 생긴다.
이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 (Wb)은, 플랜지 (73)의 뒤편 바깥 둘레 가장자리 (73a)를 돌기부 (40)의 내벽면 (40a)에 슬라이드 접촉시켜서, 이 내벽면 (40a)으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플랜지링 (74)의 개구 끝면 (74c)의 출입용 구멍 (10)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을 수면 (21)에 압압 할 수 있다. 이로써, 플랜지 (73)의 뒤편 바깥 둘레 가장자리 (73a)가 돌기부 (40)의 내벽면 (40a)에 슬라이드 접촉한 상태로, 플랜지 (73)는, 홈 (41)에 들어가, 유입구 (2) 측에의 외력을 받는다. 즉, 2개소에 형성된 내벽면 (40a)으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플랜지 (74)의 개구 끝면 (74c)은, 수면 (21)에 닿아서 수면 (21)과 밀착할 수 있다. 즉, 플랜지 (73)를 그 둘레의 양측에서 수면 (21)에 압압 할 수 있으므로, 압압력이 균등하게 작용하고, 그 때문에, 플랜지 (73)의 누름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축방향의 분력 (Wa)에 의해, 플랜지링 (74)의 개구 끝면 (74 c)의 출입용 구멍 (10) 측 부분은, 수면 (21)에 대어져서 수면 (21)과 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 (S)는, 플랜지 (73)를 설편 (80)이 있는 부위를 포함한 그 둘레의 3개소로부터 수면 (21)에 압압 한다. 더욱이, 돌기부 (40)는 지지면 (30)에 대해서 소정의 대칭 위치에 위치하므로, 보다 한층, 압압력이 균등하게 작용하게 되어, 플랜지 (73)의 누름(밀착성을 유지한 상태의 누름)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이 경우, 돌기부 (40)의 내벽면 (40a)을 이용하여, 플랜지 (73)의 출입용 구멍 (10) 측을 압압 해서, 스크린 (50)을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압압 수단 (90)으로서 볼트 (91)라는 간이한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압압 수단(도 7의 압압 수단 (220))이, 스크린 (210)의 저부를 누르는 복잡하고 대형 구조였던 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압압 수단 (90)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이너 (S)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50)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압압 수단 (90)을, 소형 스트레이너 (S)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뚜껑 (5)을 출입용 구멍 (10)에 씌워서 출입용 구멍 (10)을 폐쇄 한다.
이와 같이 스크린 (50)이 장착된 스트레이너 (S)에, 유입구 (2)로부터 유체가 유입하면, 이 유체에 혼재하는 이물질이 스크린 (50)에서 여과되어 유출구 (3)로부터 유출하게 된다. 이 경우, 프레임 (70)을, 지지 링 (72), 플랜지링 (74) 및 복수의 리브 (75)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망상(網狀) 부재 (60)가 프레임 (70)으로부터 노출되는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스크린 (50)으로 여과한 유체를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50)의 개구 끝면 (74c)이 본체 (1)의 수부 (20)의 수면 (21)에 밀착하고 있으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은, 개구 끝면 (74c)과 수면 (21)과의 사이를 빠져 나갈 수 없다. 따라서, 스트레이너 (S)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스크린 (50)으로 포획 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 (S)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스트레이너 (S)는,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같이 구성되지만, 상기 실시형태와는 압압 수단 (90) 등의 구성이 다르다.
이 압압 수단 (90)은, 뚜껑 (5)의 안쪽에 설치되어 출입용 구멍 (10)의 폐쇄시에 설편 (80)을 지지면 (30)에 대해서 압압 하는 탄성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 스프링 (93))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판 스프링 (93)은, 그 일단이, 볼트 (94)로 뚜껑 (5)의 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크린 (50)의 설편 (80)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 (93)은, 스크린 (50)의 설편 (80) 표면에, 탄성력을 소정의 방향(상술한 압압력 (W)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작용시킨 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탄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나 코일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스트레이너 (S)에 있어서, 스크린 (50)을 본체 (1)에 장착할 때는, 뚜껑 (5)을 분리해서 출입용 구멍 (10)을 개방하고, 스크린 (50)을 출입용 구멍 (10)으로부터 유로 내에 넣는다. 이 때, 스크린 (50)의 설편 (80)이 있는 측을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 측에 위치시켜서, 스크린 (50)의 설편 (80)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플랜지 (73)를 홈 (41)에 삽입하면서, 이 설편 (80)을 지지면 (30)에 접근시킨다. 그 후, 뚜껑 (5)을 출입용 구멍 (10)에 씌워서 출입용 구멍 (10)을 폐쇄 한다. 이 때, 뚜껑 (5)의 안쪽에 형성된 탄성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 (93)에 의해서, 설편 (80)이 지지면 (30)에 압압 된다. 이 설편 (80)의 압압에 의해서(상술한 압압력 (W)과 거의 같은 탄성력이 작용하므로써), 플랜지 (73)가 본체 (1)의 출입용 구멍 (10)측으로부터 출입용 구멍 (10)에 대향하는 측벽 측으로 압압 된다.
이 경우, 압압 수단 (90)으로서 뚜껑 (5)에 설치한 판 스프링 (93)이라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압압 수단(도 7의 압압 수단 (220))이, 스크린 (210)의 저부를 누르는 복잡하고 대형 구조였던 것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압압 수단 (90)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이너 (S)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50)의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압압 수단 (90)을, 소형 스트레이너 (S)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작용, 효과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를 100 메쉬 이상이고 눈 간격이 0.15 mm이하의 것을 사용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해서 분리할 수 있으면 되고, 적당히 변경해도 무방하다.
또한, 돌기부 (40)의 둘레방향 길이, 크기나 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당히 변경해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몇 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새로운 교시 및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는 일 없이, 이들 예시인 실시형태에 많은 변경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 명세서에 기재된 문헌의 내용을 모두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8)

  1.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진 유로를 가진 본체와, 이 본체의 유로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로를 가진 컵형상의 스크린과, 이 본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의 출입을 하기 위한 출입용 구멍과, 이 출입용 구멍을 개폐하는 뚜껑을 갖추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측벽 내주에, 상기 스크린의 장착시에 이 스크린의 개구 끝면이 압압 되어 밀착하는 수면을 가진 수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출입용 구멍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상기 본체의 수부의 수면에 대치하도록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와 수면이 공동으로 상기 스크린의 플랜지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고, 이 돌기부의 상기 수면측의 내벽면은, 상기 플랜지가 해당 홈에 삽입되었을 때 이 플랜지의 뒤편 바깥 둘레 가장자리와 접촉하도록, 또한, 상기 수면과 내벽면과의 간격이 상기 플랜지의 삽입 방향에 따라서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가 해당 홈에 삽입된 상태이며, 플랜지를 상기 본체의 출입용 구멍 측으로부터 출입용 구멍에 대향하는 측벽 측에 압압 하고, 또한, 플랜지의 뒤편 바깥 둘레가장자리를 상기 돌기부의 내벽면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므로써, 플랜지의 개구 끝면을 상기 수면에 압압 시키는 압압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외측면의 일부에,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유입구측 또한 외측으로 향해서 경사지는 설편을 돌출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출입용 구멍측의 수부이며 상기 수면의 외측에, 상기 설편이 압압 되어 지지되는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압압 수단을, 상기 설편을 압압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 하는 스트레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소정의 대칭 위치에 여러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에, 수 나사부 및 볼트머리를 가진 볼트의 해당 수 나사부가 삽통되는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에, 볼트의 수 나사부가 삽입되는 암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압 수단이, 수 나사부 및 볼트머리를 가지며 상기 수 나사부를 상기 볼트구멍에 삽통시켜서 상기 암 나사부에 삽입하여 상기 볼트머리에 의해 상기 설편을 지지면에 압압 하는 볼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수단이, 상기 뚜껑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출입용 구멍의 폐쇄시에 상기 설편을 지지면에 대해서 압압 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통체 및 이 통체의 한편의 개구를 막는 저판을 가지는 망상 부재와 상기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망상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 부재의 통체와 저판을 분리 가능하게 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저판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판용 지지면을 가진 링형상의 지지 링과 상기 플랜지를 구성하고, 상기 통체의 개구 끝부가 맞물리는 개방구를 가진 링형상의 플랜지링과 상기 지지 링 및 플랜지링을 연결하고, 상기 통체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외경을 a, 저판의 외경을 b, 플랜지링의 개방구의 내경을 c로 했을 때, a<c<b로 설정하고, 상기 저판을 상기 리브사이에서 삽입하여 상기 지지 링의 저판용 지지면에 장착 가능하게 상기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KR1020127020241A 2010-02-09 2010-02-09 스트레이너 KR101622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0786 WO2011099050A1 (ja) 2010-02-09 2010-02-09 ストレー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484A true KR20120125484A (ko) 2012-11-15
KR101622769B1 KR101622769B1 (ko) 2016-05-19

Family

ID=4436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241A KR101622769B1 (ko) 2010-02-09 2010-02-09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87113B2 (ko)
KR (1) KR101622769B1 (ko)
CN (1) CN102740945B (ko)
WO (1) WO20110990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354A (ko) * 2020-07-03 2022-01-11 신우밸브 주식회사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8822B2 (ja) * 2011-10-28 2017-01-25 株式会社キッツ ストレーナ
CN105257529A (zh) * 2015-11-11 2016-01-20 无锡万象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可视多层滤网油滤管
KR102062021B1 (ko) * 2015-12-07 2020-01-03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수형 커플링 부재
JP6514178B2 (ja) * 2016-11-14 2019-05-15 テラル株式会社 ストレーナ装置
JP6684430B1 (ja) * 2019-05-15 2020-04-22 スリーエム工業株式会社 インライン型ストレーナ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726Y2 (ko) * 1981-01-20 1987-11-27
JPS602893B2 (ja) * 1981-04-24 1985-01-24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トレ−ナ
US4582605A (en) * 1984-05-07 1986-04-15 R-P & C Valve Inc. In-line pipeline strainer
JP3872888B2 (ja) * 1998-03-03 2007-01-24 原田 洋一 ストレーナ
JP2000342908A (ja) * 1999-06-03 2000-12-12 Kokensha:Kk ストレーナ・エレメント
JP4420333B2 (ja) * 2004-06-11 2010-02-24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トレーナ装置
JP4405322B2 (ja) * 2004-06-17 2010-01-27 株式会社ベン ストレーナ
JP4259413B2 (ja) * 2004-07-26 2009-04-3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ストレーナ装置
JP3145305U (ja) * 2008-07-24 2008-10-02 ワシノ機器株式会社 ストレー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354A (ko) * 2020-07-03 2022-01-11 신우밸브 주식회사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87113B2 (ja) 2014-05-07
JPWO2011099050A1 (ja) 2013-06-13
KR101622769B1 (ko) 2016-05-19
CN102740945B (zh) 2014-12-31
WO2011099050A1 (ja) 2011-08-18
CN102740945A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5484A (ko) 스트레이너
US11759735B2 (en) Filter element with air-bleed conduit
US7871023B2 (en) Two-part flow regulator, jet regulator or backflow preventer having a snap-in joint between the parts
CN106930879B (zh) 具有排气管道的过滤元件
US20180078884A1 (en) Module for connecting flow tubes, and water purifier having same
US20150238887A1 (en) Upper end cap for filter
CN110869101B (zh) 包括滤板和附件的装置
JP5774346B2 (ja) ストレーナ
KR20100050335A (ko) 정수필터 조립체
JP2016053329A (ja) 燃料フィルタ装置
US6007718A (en) Filter cartridge holder and filter assembly equipped with same
KR102454237B1 (ko) 절곡 필터가 구비된 샤워기 헤드
KR19990067272A (ko) 완전유동/바이패스 필터조립체
US10788137B2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TW201841670A (zh) 過濾器系統
JP2004523700A (ja) ろ過部材のガスケット及びそのガスケットに嵌合されているろ過部材が一体化されているモジュール
JP5774345B2 (ja) ストレーナ用スクリーン及びストレーナ
JP4932794B2 (ja) フィルタユニット
KR20200005216A (ko) 수처리 장치용 호스 연결 모듈
CN215842023U (zh) 一种用于净水器的滤芯安装结构
CN210713079U (zh) 一种卫浴管路排水装置
JP3150265U (ja) カートリッジ調整アタッチメント及びフィルタ装置
CN214485977U (zh) 净水机、过滤机构及滤瓶组件
KR20200001215U (ko) 필터 교체가 용이한 정수 장치
JP2005111447A (ja) ドレン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