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929A -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929A
KR20120124929A KR1020110042876A KR20110042876A KR20120124929A KR 20120124929 A KR20120124929 A KR 20120124929A KR 1020110042876 A KR1020110042876 A KR 1020110042876A KR 20110042876 A KR20110042876 A KR 20110042876A KR 20120124929 A KR20120124929 A KR 2012012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king
mugwort
glutinous rice
mo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희
Original Assignee
김옥희
(주)김옥희전통떡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희, (주)김옥희전통떡연구소 filed Critical 김옥희
Priority to KR102011004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4929A/ko
Publication of KR2012012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저어준 후,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 성형 및 급냉시킨 대왕 떡 소와, 주재료인 현미찹쌀에 소금을 첨가하여 곱게 내려 증숙한 후 쑥을 첨가하여 3 내지 4분간 더 가열한 후 잘 혼합되도록 치댄 대왕 떡 피와, 상기 대왕 떡 피를 일정량의 크기로 떼어 상기 대왕 떡 소를 넣고 단자류와 같이 성형한 뒤 삶은 팥에 굴려 제형화한 대왕 떡의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large sized rice cak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에 유익한 쑥과 현미찹쌀을 이용하여 떡의 피를 구성하고, 적두와 대추 및 통팥 앙금을 이용하여 떡의 소를 구성하여 제조함으로써, 풍미와 식감이 우수하고, 현대인들의 기호에 따라 식사대용의 건강식이나 간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즐겨 만들어 먹던 전통음식의 하나인 떡은 간단한 식사 대용으로 빵 소비의 일부를 대체할 정도로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우리의 전통음식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섭취하는 음식이나 음료 등의 선택에 있어서도 건강을 먼저 생각하게 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으며, 식사대용 및 건강식으로서의 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관심에 힘입어 맛과 영양 뿐만 아니라 건강지향적,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떡의 주원료인 쌀의 부족한 영양소와 특유의 약리작용들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이 보강된 다양한 떡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4265호는 노화 방지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찹쌀 또는 일부 맵쌀을 포함한 혼합찹쌀을 주성분으로 하는 떡 내부 구조에 공기를 과대하게 첨가하여 노화가 지연되는 떡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5187호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뇨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도토리의 분말을 찹쌀현미와 함께 증숙하여 먹기 좋게 떡으로 제형화한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07549호는 발효콩을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암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발효콩, 즉 콩을 발효시킨 후 이를 분말화한 발효콩의 분말을 찹쌀현미와 함께 증숙하여 먹기 좋게 떡으로 제형화한 발효콩을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6062호는 웰빙용 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옥수수 분말과 그 이외의 조성물을 물로 반죽하여 떡을 만든 후 그 떡에 크림을 주입하고 초코렛을 도포하여 제조하는 웰빙용 떡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인들의 높은 관심과 기호에 맞는 다양한 떡들의 제조가 시도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재료들을 활용한 떡의 개발 및 제조가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대인들의 높은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떡의 한 종류로서, 풍미와 식감이 우수하고 식사대용의 건강식이나 간식으로 적합한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한성(虛寒性)의 출혈병증(부녀자의붕루), 월경통, 월경부조, 태동불안, 복통 등에 효과가 있는 성질이 따뜻한 쑥을 첨가함으로써, 봄철에 나타나는 피부건조, 호흡기 질환, 각종 알러지성 증상, 위장병 등의 예방 치료에 효좌적이며, 비타민 A, C 성분이 들어있는 건강식으로 대용이 가능한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삶아서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저어준 후,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 성형 및 급냉시킨 대왕 떡 소와, 주재료인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금을 첨가하여 증숙한 후 쑥을 첨가하여 수분간 더 가열한 후 혼합하여 제조한 대왕 떡 피와, 상기 대왕 떡 피에 상기 대왕 떡 소를 넣고 단자류와 같이 성형한 뒤 삶은 팥에 굴려 제형화한 대왕 떡의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삶아서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저어준 후,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 성형 및 급냉을 통해 대왕 떡 소를 제조하는 단계; 주재료인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금을 첨가하고 증숙, 쑥 첨가하여 대왕 떡 피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왕 떡 피를 일정량의 크기로 떼어 대왕 떡 소를 넣고 단자류와 같이 성형한 뒤 삶은 팥에 굴려 고물이 묻도록 제형화하여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왕 떡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왕 떡 소를 제조하는 단계는 적두를 푹 퍼질때까지 삶은 후 걸쭉해질 때까지 저어주며 약한 불에 삶아주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서서히 저어주면서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타지 않게 계속 저어주는 혼합 과정; 상기 혼합 과정을 거친 후, 수분이 증발하고 삶아진 앙금을 작업대에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주는 식히는 과정; 및 상기 식히기 과정을 거친 대왕 소 혼합물을 용기에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 급냉 보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왕 떡 피를 제조하는 단계는 주재료인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금을 첨가하여 롤러에 넣고 빻아 내리는 과정; 상기 과정을 거친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루를 시루에 담아 스팀 가열을 통해 증숙하는 과정; 상기 증숙 과정 중,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익을 무렵 일정량의 쑥을 첨가한 후 3 내지 4분간 가열하는 쑥 첨가 과정; 및 상기 과정을 거쳐 익은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와 쑥을 펀칭기에 넣고 치대기를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남녀노소 누구나가 좋아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 떡의 한 종류로서, 풍미와 식감이 우수하고, 식사 대용의 건강식이나 간식으로의 제공이 가능하며, 먹기에 알맞은 제형화된 크기로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한성(虛寒性)의 출혈병증(부녀자의붕루), 월경통, 월경부조, 태동불안, 복통 등에 효과가 있는 성질이 따뜻한 쑥을 첨가함으로써, 봄철에 나타나는 피부건조, 호흡기 질환, 각종 알러지성 증상, 위장병 등의 예방 치료에 효과적이며, 비타민 A, C 성분이 들어있는 건강식으로 대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왕 떡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왕 떡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왕 떡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왕 떡의 소를 제조하는 단계(S10), 대왕 떡의 피를 제조하는 단계(S20), 및 대왕 떡을 제형화하여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대왕 떡의 소를 제조하는 단계(S10)는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저어준 후,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 성형 및 급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대왕 떡의 소를 제조하는 단계(S1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두를 푹 퍼질때까지 삶은 후 걸쭉해질 때까지 저어주며 약한 불에 삶아주는 과정(S11)을 진행하고, 이어 상기 과정(S11)에서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서서히 저어주면서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타지 않게 계속 저어주는 혼합 과정(S12)을 진행한다.
다음, 상기 혼합 과정(S12)을 거친 후, 수분이 증발하고 삶아진 앙금을 작업대에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주는 식히는 과정(S13)을 진행하고, 이어 상기 식히기 과정(S13)을 거친 대왕 소 혼합물을 용기에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 급냉 및 보관하는 과정(S14)을 거쳐 대왕 소의 준비를 완료한다.
상기 대왕 떡의 피를 제조하는 단계(S20)는 주재료인 현미찹쌀에 소금을 첨가하여 롤러에 넣고 곱게 빻아 내리는 과정(S21)을 진행하고, 상기 과정(S21)을 거친 찹쌀가루를 시루에 담아 스팀 가열을 통해 증숙하는 과정(S22)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현미찹쌀 대신 찹쌀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현미찹쌀과 찹쌀을 모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어, 상기 증숙 과정(S22) 중, 현미찹쌀이 익을 무렵 일정량의 쑥을 첨가한 후 수분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분간 더 가열하는 쑥 첨가 과정(S23)을 진행하고, 다음 상기 과정(S23)을 거쳐 익은 현미찹쌀과 쑥을 펀칭기에 넣고 치대기를 하는 과정(S24)을 진행하여 대왕 떡 피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대왕 떡의 소를 제조하는 단계(S10), 및 대왕 떡의 피를 제조하는 단계(S20)가 완료되면, 상기 준비된 대왕 떡의 피를 일정량의 크기로 떼어 대왕 떡의 소를 넣고 단자류와 같이 성형한 뒤 삶은 팥에 굴려 고물이 묻도록 제형화하여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S30)를 거쳐 대왕 떡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 공정으로 완성되는 본 발명의 대왕 떡은, 허한성의 출혈병증, 월경통, 월경부조, 태동불안, 복통 등에 효과가 있는 성질이 따뜻한 쑥이 첨가된 기능 식품으로, 봄철에 나타나는 피부건조, 호흡기 질환, 각종 알러지성 증상, 위장병 등의 예방 치료에 효과적이며, 비타민 A, C 등의 성분이 풍부한 기능식으로, 식사대용의 건강식이나 어린아이들의 간식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먹기에 알맞은 제형화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변형실시될 수 있다.

Claims (4)

  1. 삶아서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저어준 후,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 성형 및 급냉시킨 대왕 떡 소와, 주재료인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금을 첨가하고 증숙한 후, 쑥을 첨가하여 수분간 더 가열한 후 잘 혼합하여 제조한 대왕 떡 피와, 상기 대왕 떡 피에 상기 대왕 떡 소를 넣고 단자류와 같이 성형한 뒤 삶은 팥에 굴려 제형화한 대왕 떡의 조성물.
  2. 삶아서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저어준 후,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 성형 및 급냉을 통해 대왕 떡 소를 제조하는 단계;
    주재료인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금을 첨가하고 증숙한 후, 쑥을 첨가하여 대왕 떡 피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왕 떡 피를 일정량의 크기로 떼어 대왕 떡 소를 넣고 단자류와 같이 성형한 뒤 삶은 팥에 굴려 고물이 묻도록 제형화하여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왕 떡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왕 떡 소를 제조하는 단계는,
    적두를 푹 퍼질때까지 삶은 후 걸쭉해질 때까지 저어주며 약한 불에 삶아주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걸쭉해진 적두에 수분이 증발하고 앙금이 생성되면 소금간을 하고 서서히 저어주면서 대추와 통팥 앙금을 넣고 타지 않게 계속 저어주는 혼합 과정;
    상기 혼합 과정을 거친 후, 수분이 증발하고 삶아진 앙금을 작업대에 식히면서 호두를 섞어주는 식히는 과정; 및
    상기 식히기 과정을 거친 대왕 소 혼합물을 용기에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 급냉 보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왕 떡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왕 떡 피를 제조하는 단계는,
    주재료인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금을 첨가하여 롤러에 넣고 빻아 내리는 과정;
    상기 과정을 거친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루를 시루에 담아 스팀 가열을 통해 증숙하는 과정;
    상기 증숙 과정 중,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익을 무렵 일정량의 쑥을 첨가한 후 3 내지 4분간 가열하는 쑥 첨가 과정; 및
    상기 과정을 거쳐 익은 찹쌀 또는 현미찹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와 쑥을 펀칭기에 넣고 치대기를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왕 떡의 제조방법.
KR1020110042876A 2011-05-06 2011-05-06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4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76A KR20120124929A (ko) 2011-05-06 2011-05-06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76A KR20120124929A (ko) 2011-05-06 2011-05-06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929A true KR20120124929A (ko) 2012-11-14

Family

ID=4751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876A KR20120124929A (ko) 2011-05-06 2011-05-06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4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719A (ko) * 2014-04-02 2015-10-13 방세윤 효소 떡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719A (ko) * 2014-04-02 2015-10-13 방세윤 효소 떡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9243B (zh) 一种花豆绿茶饼干的制作方法
CN103504325B (zh) 一种香辣青豆猪肉干及其制备方法
CN108887606A (zh) 一种保鲜卤牛肉的加工方法
KR101999551B1 (ko) 기능성 구기자 한과 제조방법 및 구기자 한과
CN103519203A (zh) 一种醇香豌豆猪肉干及其制备方法
CN105982101A (zh) 一种五香核桃仁及其加工工艺
CN103947941A (zh) 一种山竹杂粮面条及其加工方法
KR101759147B1 (ko)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6418185A (zh) 一种南瓜糯米饼及其制作方法
KR101295682B1 (ko) 잡곡을 이용한 삼계죽의 제조방법
JP6557844B2 (ja) 醗酵原料として醗酵茶を含む茶味噌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75317A (ko) 매실 한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실 한과
KR101922338B1 (ko) 마늘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6489B1 (ko) 호두과자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호두과자의 제조방법
KR101254722B1 (ko) 로스팅한 찰옥수수 초미세분말을 이용한 찰옥수수 라떼
KR20160143296A (ko) 밤 추출액이 함유된 시리얼 바 제조방법
KR20120124929A (ko) 대왕 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25557B1 (ko) 찰옥수수를 주성분으로 한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1565A (ko) 감귤약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감귤약과
KR101323615B1 (ko) 청국장 과자 제조방법
CN108835191A (zh) 一种无花果月饼及其制作方法
KR102668547B1 (ko) 명란을 이용한 페스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명란 페스토
KR20120020939A (ko) 오가피 냉면 및 그 제조방법
RU271429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ясного суфле
KR20090121564A (ko) 감귤유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감귤유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