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086A -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 Google Patents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086A
KR20120118086A KR1020127026256A KR20127026256A KR20120118086A KR 20120118086 A KR20120118086 A KR 20120118086A KR 1020127026256 A KR1020127026256 A KR 1020127026256A KR 20127026256 A KR20127026256 A KR 20127026256A KR 20120118086 A KR20120118086 A KR 2012011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methyl
solution
added
t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버거
러화 창
스콧 디. 에드먼슨
스티븐 디. 고블
숙희 니콜 하
남 펑 카
아이호 이. 코프카
빙 리
그레고리 제이. 모리엘로
크리스 알. 모예스
둥-밍 선
리핑 왕
청 주
Original Assignee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1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08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8Th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6Anti-spasmod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2Antidiuretics, e.g. drugs for diabetes insipidu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a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β3-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a

Description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Hydroxymethyl pyrrolidines as beta 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하부 요로의 기능은 소변을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각종 구심성 및 원심성 신경 경로를 포함하는 저장 반사와 배뇨 반사의 통합을 필요로 하며, 이는 중추 신경효과기 기전과 말초 신경효과기 기전의 조절 및 이에 따른 자율 신경계의 교감신경 성분 및 부교감신경 성분 뿐만 아니라 체성 운동 경로(somatic motor pathway)의 동조적 조절을 야기한다. 이들은 방광(배뇨근) 및 요도 평활근의 수축 상태, 및 요도 괄약근 횡문근을 근위적으로 조절한다.
β 아드레날린성 수용체(βAR)는 사람, 랫트, 기니피그, 토끼, 흰족제비, 개, 고양이, 돼지 및 비사람 영장류를 포함한 다양한 종의 배뇨근 평활근에 존재한다. 그러나, 약리학적 연구에서는 분리된 배뇨근의 이완을 매개하는 수용체 아형에 있어서 현저한 종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β1AR은 고양이 및 기니피그에서 우세하고, β2AR은 토끼에서 우세하며, β3AR은 개, 랫트, 흰족제비, 돼지, 시노몰거스(cynomolgus) 및 사람 배뇨근에서 기여하거나 우세하다. 사람 및 랫트 배뇨근에서의 βAR 아형의 발현은 각종 기법으로 실험되었으며, β3AR의 존재는 정위치 교잡법(in situ hybridization) 및/또는 역전사-폴리머라제 연쇄 반응(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근치 방광 절제술을 받은 환자로부터의 방광 조직에서 β1AR, β2AR 및 β3AR mRNA의 실시간 정량적 PCR 분석 결과 β3AR mRNA(97%, 참고: β1AR mRNA의 경우 1.5% 및 β2AR mRNA의 경우 1.4%)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냈다. 더욱이, β3AR mRNA 발현은 대조군 및 폐쇄 사람 방광에서 동등하였다. 이러한 데이타는 방광 출구 폐색이 β3AR의 하향조절(downregulation) 또는 β3AR-매개된 배뇨근 이완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정상적인 방광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 환자와 배뇨근 반사저하 또는 반사항진을 갖는 환자로부터 방광절제술 또는 장방광성형술 동안 수득된 방광 스트립에서 β3AR 반응성을 또한 비교하였다. β3AR 효능제 매개된 이완의 정도 또는 효능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β3AR 활성화가 정상 상태 및 발병 상태에서 배뇨근을 이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개념과 일치하였다.
소변 저장에 있어서 β3AR의 중요한 역할을 지지하는 기능적 증거가 생체내 연구로부터 나왔다. 랫트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 설치류 선택적 β3AR 효능제CL316243은 방광압을 감소시키고, 방광내압측정 연구(cystomeric study)에서 방광 용적을 증가시켜 잔류 소변 용적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배뇨 간격을 연장시킨다.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은 통상적으로 빈뇨 및 야뇨증과 관련된 절박 요실금(urgency urinary incontinence)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요절박(urinary urgency)의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미국 및 유럽에서 OAB의 유병률은 18세 이상의 남녀 둘 다에서 16 내지 17%로 추정된다. 과민성 방광은 특발성으로서 가장 빈번히 분류되지만, 또한 신경계 질환, 방광 출구 폐색 및 기타의 원인에 부차적일 수 있다. 병태생리학적 관점에서, 과민성 방광 증후군은, 특히 절박 요실금과 관련되는 경우, 배뇨근 과민성을 암시한다. 실금을 갖거나 갖지 않는 절박증이 사회적 및 의학적 행복 둘 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간 직접 및 간접 건강관리 비용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을 나타낸다. 중요하게도, 많은 환자들이 최신 치료법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입증하지 못하고/못하거나 최신 치료법을 견디지 못함에 따라(예를 들면, 항콜린 요법과 관련된 구강 건조증), 절박증(실금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에 대한 최신 의료 요법은 차선적이다. 따라서, 단일요법으로서 또는 이용 가능한 치료법과 조합하여 빈뇨, 요절박 및 요실금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널리 허용되는 신규한 치료법이 요구된다. 방광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제제, 예를 들면, β3AR 효능제가 이러한 뇨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기대된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신규한 β3AR 효능제,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신규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β3AR를 통해 매개되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기재한다:
화학식 Ia
Figure pat00001
위의 화학식 Ia에서,
n은 0, 1, 2, 3, 4 또는 5이고;
Y는
(1) C1-C5 알칸디일, C2-C5 알켄디일 및 C2-C5 알킨디일[여기서, 각각의 알칸디일, 알켄디일 및 알킨디일은 할로겐, -ORa 및 -S(O)p-C1-C3 알킬(여기서, p는 0, 1 또는 2이다)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2) -(CRaRa)j-Q-(CRaRa)k(여기서, j 및 k는 0, 1 및 2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정수이다),
(3) 결합 및
(4) R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렌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1) 페닐,
(2)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3) C5-C10 카보사이클릭 환에 융합된 벤젠 환,
(4)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에 융합된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및
(5) C5-C10 카보사이클릭 환에 융합된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1
(1)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5 알킬,
(2) C3-C6 사이클로알킬,
(3) 할로겐,
(4) 니트로,
(5) 시아노,
(6) -C(O)Ra,
(7) -C(O)2Ra,
(8) -C(0)NRaRb
(9) -QRb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
(1) 할로겐, -ORa, -CO2Ra 및 -CONRaR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2) -(CH2)t-페닐 또는 -(CH2)t-O-페닐(여기서, t는 O, 1, 2, 3, 4 또는 5이고, 상기 페닐 각각은 할로겐,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5 알킬 및 -0R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3) 옥소,
(4) 티옥소,
(5) 할로겐,
(6) -CN,
(7) C3-C6 사이클로알킬,
(8) -(CH2)t-헤테로사이클릭 환 또는 -(CH2)t-O-헤테로사이클릭 환(여기서, t는 0, 1, 2, 3, 4 또는 5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 각각은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환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벤젠 환에 임의로 오르토(ortho)-융합되고,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할로겐,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5 알킬 및 -OR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9) -ORa,
(10) -C(O)ORa,
(11) -C(O)Ra,
(12) -C(O)NRaRb,
(12) -NRaRb,
(13) -NRaC(O)Rb,
(14) -NRaC(O)ORb
(15) -NRaC(O)NRaRb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b
(1) 수소,
(2) C1-C6 알킬로서,
(a) 하이드록시,
(b) 할로겐,
(c) -CO2Ra,
(d) -S(0)p-C1-C3 알킬(여기서, p는 O, 1 또는 2이다);
(e) C3-C8 사이클로알킬,
(f) 1 내지 5개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콕시 및
(g) 할로겐, 니트로, -NRaRa,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C1-C5 알킬 및 -0R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3) C3-C8 사이클로알킬 및
(4) 페닐로서,
(a) 할로겐,
(b) 니트로,
(c) -NRaRa,
(d) -OH,
(e) 1 내지 5개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콕시,
(f) -S(0)p-C1-C6 알킬(여기서, p는 O, 1 또는 2이다) 및
(g) 하이드록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CO2Ra, C3-C8 사이클로알킬 및 -QRc로부터 선택된 5개 이하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c
(1)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C1-C5 알킬 및 C1-C5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5개 이하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Z 및
(2) C1-C6 알킬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Q는
(1) -N(Ra)-,
(2) -O- 및
(3) -S(O)p-(여기서, p는 0, 1 또는 2이다)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a의 하나의 양태는 n이 0, 1, 2 또는 3인 화합물이다. 이러한 양태의 하나의 하위세트에서, n은 0이다. 또 다른 하위세트에서, n은 1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n은 2이다.
화학식 Ia의 하나의 양태는 Y가 메틸렌, -CH(CH3)- 또는 결합인 화합물이다. 이의 하나의 하위세트에서, Y는 메틸렌 또는 -CH(CH3)-이다. 이의 또 다른 하위세트에서, Y는 결합이다.
화학식 Ia의 또 다른 양태는 Z가
(1) 하나의 질소원자, 및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3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2) 1개, 2개 또는 3개의 질소원자를 갖거나, 하나의 질소원자와 하나의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갖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3)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에 융합된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및
(4) C5-C10 카보사이클릭 환에 융합된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화학식 Ia의 또 다른 양태는 Z가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리딜, 디하이드로피리딜, 트리아졸릴(1,2,4-트리아졸릴 및 1,2,3-트리아졸릴 포함), 테트라졸릴, 피리미디닐, 디하이드로피리미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디하이드로피라지닐, 피리다지닐, 디하이드로피리다지닐, 피롤리디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및 옥사디아졸릴(1,2,4-옥사디아졸릴 및 1,2,5-옥사디아졸릴 포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다. 이러한 양태의 하나의 하위세트에서, Z는 티아졸릴, 피리딜, 디하이드로피리딜, 1,2,4-트리아졸릴, 피리미디닐, 디하이드로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디하이드로피리다지닐 및 피라졸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a의 또 다른 양태는 Z가
Figure pat00002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며, 여기서, r은 1 또는 2이다. 이러한 및 기타의 적합한 융합된 환은 환 상의 탄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화학식 Ia의 또 다른 양태는 R3
(1) 할로겐 또는 -0Ra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2) 옥소,
(3) 할로겐,
(4) -0Ra,
(5) -C(O)NRaRa
(6) -NRaRa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며, 여기서, Ra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러한 양태의 하나의 하위세트에서, R3은 메틸 또는 에틸이다. 또 다른 하위세트에서, R3은 옥소이다. 또 다른 하위세트에서, R3은 -NH2이다.
화학식 Ia의 또 다른 양태는 지시된 키랄 중심에서 특정 입체배열을 갖는 화합물이다:
Figure pat00003
화학식 Ia의 또 다른 양태는 *(asterisk)로 표시된 지시된 키랄 중심에서의 특정 입체배열이 R 또는 S인 화합물이다:
Figure pat00004
하나의 하위세트에서, *로 표시된 키랄 중심에서의 특정 입체배열은 S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알킬"은 명시된 수의 탄소원자를 갖는 측쇄 및 직쇄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 예를 들면, 메틸(Me), 에틸(Et), n-프로필(Pr), n-부틸(Bu), n-펜틸, n-헥실 및 이들의 이성체,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i-Pr), 이소부틸(i-Bu), 2급-부틸(s-Bu), 3급-부틸(t-Bu), 이소펜틸, 이소헥실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사이클로알킬"은 명시된 수의 탄소원자, 예를 들면,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모노사이클릭 포화 카보사이클릭 환을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을 포함한다.
용어 "알칸디일"은 명시된 수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낸다. "알켄디일" 및 "알킨디일"은 직쇄 또는 측쇄의 불포화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낸다. "알켄디일"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특징으로 하고, "알킨디일"은 탄소-탄소 삼중결합을 특징으로 한다. "알칸디일"의 예는 메틸렌(-CH2-), 에틸렌(-CH2CH2-), 1,1-에탄디일(-CH(CH3)-), 1,2-프로판디일(-CH(CH3)CH2-), 2-메틸-1,1-프로판디일(-CH[C(CH3)2]-)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알켄디일"의 예는 1,1-에텐디일(-C(=CH2)-), 1,2-에텐디일(-CH=CH-) 및 2-프로펜-1,1-디일(-CH(CH=CH2)-)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알킨디일"의 예는 1,2-에틴디일(-C≡C-) 및 3-부틴-1,1-디일(-CH(CH2C≡CH)-)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할로겐 치환된 알칸디일의 예는 -C(CH3)(F)-이다.
용어 "임의로 치환된"은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본원에 기재된 일반적인 화학식은 명시된 임의의 치환체를 함유하는 화합물 뿐만 아니라 임의의 치환체를 함유하지 않는 화합물을 포괄한다. 각각의 변수는 일반적인 화학식 정의내에서 이들이 발생할 때마다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플루오로 및 클로로가 바람직하다.
용어 "카보사이클" 또는 "카보사이클릭"은 환 탄소원자만을 갖는 포화, 부분 불포화 및 방향족 환을 나타낸다. 예는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헥사디에닐 및 페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아릴"은 방향족 카보사이클을 나타낸다. Z에 대한 정의내에서, 용어 "C5-C10 카보사이클릭 환에 융합된 벤젠 환"은 나프틸, 디하이드로나프틸,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인다닐, 인데닐, 벤조사이클로헵텐, 테트라하이드로벤조사이클로헵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벤젠은 C5-C6 카보사이클릭 환에 융합된다. 이러한 융합된 환은 환 상의 탄소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은 적어도 하나의 환 헤테로원자 및 적어도 하나의 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부분 불포화 및 방향족 환을 나타내며; 헤테로사이클은 환 탄소원자 또는 환 질소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방향족"은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나타낸다. Z에 대한 정의내에서, 용어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피롤릴, 티에닐, 푸라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피리디닐, 디하이드로피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디닐, 피리미디닐, 디하이드로피리미디닐,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디하이드로피라지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닐, 피리다지닐, 디하이드로피리다지닐, 테트라하이드로피리다지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피라닐, 디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R3)n 뿐만 아니라 기타의 유사한 표기의 경우, n이 0인 경우, R3은 수소이고; n이 1 이상인 경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모든 적합한 또는 제시된 R3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광학이성체 - 부분입체이성체 - 기하이성체 - 토토머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비대칭 중심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난티오머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이 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갖는 경우, 이들은 추가로 부분입체이성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키랄 탄소에 대한 결합이 본 발명의 화학식에서 직선으로 나타내어지는 경우, 키랄 탄소의 (R) 및 (S) 배열 둘 다와 이에 따라 에난티오머와 이의 혼합물 둘 다가 화학식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가능한 입체이성체를 실질적으로 순수한 분할된 에난티오머, 이의 라세미 혼합물 뿐만 아니라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서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Ia는 특정 위치에서 명확한 입체화학없이 나타내어져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a의 모든 입체이성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에난티오머의 부분입체이성체 쌍은, 예를 들면, 적합한 용매로부터의 분별 결정화에 의해 분리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수득된 에난티오머의 쌍은 통상의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분할제(resolving agent)로서 광학 활성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키랄성 HPLC 컬럼 상에서 개별 입체이성체로 분리할 수 있다. 추가로, 화학식 Ia의 화합물의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는 공지된 배열의 광학적으로 순수한 출발 물질 또는 시약을 사용한 입체특이적 합성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이 올레핀성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경우,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러한 이중결합은 E 및 Z 기하이성체 둘 다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일부는 수소의 상이한 부착점을 갖도록 존재할 수 있으며, 토토머라고 한다. 예를 들면, 카보닐 -CH2C(O)- 그룹(케토 형태)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토토머화를 거쳐 하이드록실 -CH=C(OH)- 그룹(에놀 형태)을 형성할 수 있다. 케토 및 에놀 형태 둘 다는, 개별적으로 뿐만 아니라 이의 혼합물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된 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산성인 경우, 이의 상응하는 염은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를 포함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염기로부터 통상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알루미늄, 암모늄, 칼슘, 구리(제2구리 및 제1구리), 제2철, 제1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제2망간 및 제1망간), 칼륨, 나트륨, 아연 등의 염을 포함한다.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및 나트륨 염이 바람직하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비독성 염기로부터 제조되는 염은 천연 및 합성 공급원 둘 다로부터 유도된 1급, 2급 및 3급 아민의 염을 포함한다.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 비독성 염기는, 예를 들면, 아르기닌, 베타인, 카페인, 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에틸모르폴린, N-에틸피페리딘, 글루카민, 글루코사민, 히스티딘, 하이드라바민, 이소프로필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리신, 메틸글루카민, 모르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프로카인, 퓨린, 테오브로마인,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로메타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성인 경우, 이의 상응하는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무기 및 유기 산으로부터 통상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산은, 예를 들면, 아세트산, 벤젠설폰산, 벤조산, 캄포르설폰산, 시트르산, 에탄설폰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브롬화수소산, 염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점액산, 질산, 파모산, 판토텐산, 인산, 석신산, 황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설폰산 등을 포함한다. 시트르산, 브롬화수소산, 염산, 말레산, 인산, 황산 및 타르타르산이 바람직하다.
용매화물
본 발명은 이의 범위내에 화학식 Ia의 화합물의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용매화물"은 용질(즉,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용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방해하지 않는 용매에 의해 형성된 가변성 화학양론의 착물을 나타낸다. 용매의 예는 물, 에탄올 및 아세트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매가 물인 경우, 용매화물은 수화물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수화물은 헤미-, 모노, 세스퀴(sesqui)-, 디- 및 트리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드럭
본 발명은 이의 범위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프로드럭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드럭은 요구되는 화합물로 생체내에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기능적 유도체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용어 "투여하는"은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또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아니지만 환자에게 투여한 후 생체내에서 화학식 Ia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기재된 각종 상태들을 치료함을 포함해야 한다. 적합한 프로드럭 유도체의 선택 및 제조에 대한 통상적인 과정은, 예를 들면, 문헌[참조; "Design of Prodrugs," ed. H. Bundgaard, Elsevier, 1985]에 기재되어 있다.
유용성
본 발명의 화합물은 β3-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강력한 효능제이며, 그 자체로 β3-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포유동물에서 이러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조절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포유동물"은 사람 및 비-사람 동물, 예를 들면, 개 및 고양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1) 과민성 방광, (2) 요실금, (3) 절박 요실금, (4) 요절박, (5) 당뇨병, (6) 고혈당증, (7) 비만, (8) 고지질혈증, (9) 고중성지방혈증, (10) 고콜레스테롤혈증, (11) 관상, 뇌혈관 및 말초 동맥의 죽상동맥경화증, (12) 소화 궤양, 식도염, 위염 및 십이지장염(H. 파일로리(H. pylori)에 의해 유도되는 것 포함), 장 궤양(염증성 장 질환,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및 직장염 포함) 및 위장관 궤양을 포함한 위장 장애, (13) 기침, 천식을 포함한 기도의 신경성 염증, (14) 우울증, (15) 양성 전립선 비대와 같은 전립선 질환, (16)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감소된 장 운동을 필요로 하는 기타의 장애, (17) 당뇨성 망막병증, (18) 조기 분만 및 (19) 증가된 안내압 및 녹내장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포유동물, 특히 사람에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어떠한 적합한 투여경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직장, 국소, 비경구, 안구, 폐, 비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여 형태는 정제, 트로키제, 분산제, 현탁제, 용제, 캡슐제, 크림제, 연고제, 에어로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경구 투여된다.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유효량은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 투여 모드, 치료되는 상태 및 치료되는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다른 항-OAB제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과민성 방광(OAB)을 치료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동물 체중 kg당 0.01mg 내지 약 100mg의 1일 투여량으로, 바람직하게는 단일 용량으로 또는 1일 2회 내지 6회의 분할된 용량으로 또는 서방출 형태로 투여할 때에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가 수득된다. 70kg 성인의 경우, 총 1일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0.7mg 내지 약 3500mg, 보다 구체적으로 약 0.7mg 내지 약 2000mg일 것이다. 이러한 투여량 섭생은 최적의 치료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당뇨병 및/또는 고혈당증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비만을 치료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동물 체중 kg당 0.01mg 내지 약 100mg의 1일 투여량으로, 바람직하게는 단일 용량으로 또는 1일 2회 내지 6회의 분할된 용량으로 또는 서방출 형태로 투여할 때에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가 수득된다. 70kg 성인의 경우, 총 1일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0.7mg 내지 약 3500mg일 것이다. 이러한 투여량 섭생은 최적의 치료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당뇨병 및/또는 고혈당증 뿐만 아니라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유용한 기타의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동물 체중 kg당 약 0.001mg 내지 약 100mg의 1일 투여량으로, 바람직하게는 단일 용량으로 또는 1일 2회 내지 6회의 분할된 용량으로 또는 서방출 형태로 투여할 때에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가 수득된다. 70kg 성인의 경우, 총 1일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0.07mg 내지 약 350mg일 것이다. 이러한 투여량 섭생은 최적의 치료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β3-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화학식 Ia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며,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기타의 치료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기 염기 또는 산 및 유기 염기 또는 산을 포함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된 염을 나타낸다.
조성물은 경구, 방광내, 직장, 국소, 비경구(피하, 근육내 및 정맥내 포함), 안구(안과), 폐(코 또는 볼 흡입) 또는 비강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을 포함하지만, 주어진 경우에서 가장 적합한 경로는 치료되는 상태의 성질 및 중증도 및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단위 용량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약제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들로 제조할 수 있다.
실제 사용시,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통상의 약제학적 배합 기술에 따라 약제학적 담체와의 긴밀한 혼합물로 활성 성분으로서 배합될 수 있다. 담체는 투여에 바람직한 제제의 형태,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정맥내 포함)에 따라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구 투여 형태용 조성물의 제조시, 예를 들면, 현탁액, 엘릭시르제 및 용액과 같은 경구용 액체 제제의 경우에, 예를 들면, 물, 글리콜, 오일, 알콜, 방향제, 방부제, 착색제 등; 또는 예를 들면, 산제, 경질 및 연질 캡슐제 및 정제와 같은 경구용 고형 제제의 경우에 전분, 당,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희석제, 과립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 같은 담체와 같은 통상의 약제학적 매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구용 고형 제제가 액체 제제보다 바람직하다.
투여 용이성 때문에, 정제와 캡슐제가 고체 약제학적 담체가 명백히 사용되는 경우에 가장 유리한 경구 투여 단위 형태를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 정제는 표준 수성 또는 비수성 기술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 및 제제는 적어도 0.1%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해야 한다. 이러한 조성물 중의 활성 화합물의 %는 물론 변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단위 중량의 약 2%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이러한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조성물 중의 활성 화합물의 양은 유효 투여량이 수득되도록 하는 양이다. 활성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면, 액체 점적제 또는 분무제로서 비내 투여될 수 있다.
정제, 환제, 캡슐제 등은 또한 결합제, 예를 들면, 트라가칸트 검, 아카시아 검,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 부형제, 예를 들면, 인산이칼슘; 붕해제, 예를 들면,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긴산; 윤활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감미제, 예를 들면, 수크로즈, 락토즈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 있다. 투여 단위 형태가 캡슐제인 경우, 이것은 상기 타입의 물질 이외에 유지(fatty oil)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기타의 다양한 물질들이 피막으로서 존재하거나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개질시키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는 쉘락, 당 또는 둘 다로 피복될 수 있다. 시럽제 또는 엘릭시르제는 활성 성분 이외에, 감미제로서의 수크로즈, 방부제로서의 메틸 및 프로필파라벤, 염료 및 방향제, 예를 들면, 체리향 또는 오렌지향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또한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와 같은 계면활성제와 적절하게 혼합된 물에서 제조할 수 있다. 분산액은 또한 오일 중의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제조할 수 있다. 통상의 저장 및 사용 조건하에서, 이러한 제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방부제를 함유한다.
주사 용도에 적합한 약제학적 형태는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주사 용액 또는 분산액의 임시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모든 경우에, 상기 형태는 멸균되어야 하며, 용이한 시린지능(syringability)이 존재하는 정도로 유동성이어야 한다. 이것은 제조 및 저장 조건 하에서 안정해야 하고, 박테리아 및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담체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및 식물유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유용한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예방/억제 또는 경감에 사용되는 다른 약물과 병용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약물은 이를 위해 통상적인 경로 및 양으로 화학식 Ia의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투여할 수 있다. 화학식 Ia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다른 약물과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화학식 Ia의 화합물 이외에 이러한 다른 약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단위 투여 형태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Ia의 화합물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을 또한 함유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화학식 Ia의 화합물과 병용할 수 있는, 별도로 투여되거나 동일한 약제학적 조성물에서의 다른 활성 성분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i)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예를 들면, 톨테로딘, S-옥시부티닌을 포함한 옥시부티닌, 히오스시아민, 프로판텔린, 프로피베린, 트로스피움 클로라이드를 포함한 트로스피움, 솔리페나신, 다리페나신, 이미다페나신, 페소테로딘, 테미베린, SVT-40776, 202405(제조원; GlaxoSmithKline), TD6301, RBX9841, DDP200, PLD179 및 다른 항콜린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382,600호; 미국 특허 제3,176,019호; 미국 특허 제3,480,626호; 미국 특허 제4,564,621호; 미국 특허 제5,096,890호; 미국 특허 제6,017,927호; 미국 특허 제6,174,896호; 미국 특허 제5,036,098호; 미국 특허 제5,932,607호; 미국 특허 제6,713,464호; 미국 특허 제6,858,650호; 및 제DD 106643호 참조. 또한, 미국 특허 제6,103,747호; 미국 특허 제6,630,162호; 미국 특허 제6,770,295호; 미국 특허 제6,911,217호; 미국 특허 제5,164,190호; 미국 특허 제5,601,839호; 미국 특허 제5,834,010호; 미국 특허 제6,743,441호; 국제 공개공보 제WO2002000652호; 국제 공개공보 제WO200400414853호 참조. 당업자들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약물은 표준 또는 연장 방출 형태로, 예를 들면, 연장 방출 톨테로딘, 연장 방출 옥시부티닌 및 경피 옥시부티닌으로 경구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ii) NK-1 또는 NK-2 길항제(예를 들면, 아프레피탄트, 시졸리르틴, 국제 공개공보 제WO2005/073191호, 국제 공개공보 제WO2005/032464호에 기재된 화합물 및 기타의 보고된 NK-1 길항제), (iii) 알파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길항제(예를 들면, 알푸조신, 독사조신, 프라조신, 탐술로신, 테라조신 등), (iv) 칼륨 채널 개방제(opener)(예를 들면, 크로마칼림, 피나시딜 등), (v) 바닐로이드 및 기타의 구심성-신경 조절제 - 효능제 및 길항제(예를 들면, 캡사이신, 레시니페라톡신 등), (vi) 도파민 D1 수용체 효능제(예를 들면, 페르골린드), (vii) 세로토닌성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예를 들면, 둘록세틴), (viii) 아세틸콜린 방출의 신경근 접합 억제(예를 들면, 보툴리눔 톡신), (ix) 칼슘 채널 차단제(예를 들면, 딜티아젬, 니페디핀, 베라파밀 등), (x)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의 억제제(예를 들면, 플루르비프로펜), (xi)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수용체 길항제(예를 들면, 바클로펜), (xii) 질 에스트로겐 제제, (xiii)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xiv) 5-HT2C 효능제, (xv)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 차단제, (xvi) P2X 퓨린성 수용체 길항제(예를 들면, P2X1 또는 P2X3 길항제), (xvii) PAR2 억제제, (xviii)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예를 들면, PDE1, PDE4 및 PDE5 억제제); 및 (xix) ATP 민감성 칼륨 채널 개방제를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약제;
(b) (i) PPARγ 효능제, 예를 들면, 글리타존(예를 들면, 트로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엔글리타존, MCC-555, BRL49653 등) 및 국제 공개공보 제WO97/27857호, 제97/28115호, 제97/28137호 및 제97/27847호에 기재된 화합물; (ii) 비구아니드, 예를 들면, 메트포르민 및 펜포르민을 포함하는 인슐린 감작제;
(c) 인슐린 또는 인슐린 모방체;
(d) 설포닐우레아, 예를 들면, 톨부타미드 및 글리피지드;
(e)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예를 들면, 아카보스),
(f) 콜레스테롤 저하제, 예를 들면, (i) HMG-CoA 리덕타제 억제제(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및 프라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및 기타의 스타틴), (ii) 금속이온 봉쇄제(콜레스티라민, 콜레스티폴 및 가교결합된 덱스트란의 디알킬아미노알킬 유도체), (ii) 니코티닐 알콜 니코틴산 또는 이의 염, (iii) 증식제-활성제(proliferator-activater) 수용체 α 효능제, 예를 들면, 페노피브르산 유도체(겜피브로질, 클로피브라트, 페노피브레이트 및 벤자피브레이트), (iv)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예를 들면, 베타-시토스테롤 및 에제티미브, 및 (아실 CoA: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제) 억제제, 예를 들면, 멜리나미드, (v) 프로부콜, (vi) 비타민 E 및 (vii) 갑상선호르몬 모방체(thyromimetics);
(g) PPARδ 효능제, 예를 들면, 국제 공개공보 제WO97/28149호에 기재된 것들;
(h) 항비만 화합물, 예를 들면,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펜테르민, 시부트라민, 오를리스타트 및 기타의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
(i) 식습관 개질제, 예를 들면, 뉴로펩타이드 Y 길항제(예를 들면, 뉴로펩타이드 Y5), 예를 들면, 국제 공개공보 제WO 97/19682호, 국제 공개공보 제WO 97/20820호, 국제 공개공보 제WO 97/20821호, 국제 공개공보 제WO 97/20822호 및 국제 공개공보 제WO 97/20823호에 기재된 것들;
(j) 글락소(Glaxo)에 의한 국제 공개공보 제WO 97/3657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PPARα 효능제;
(k) 국제 공개공보 제WO97/1081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PPARγ 길항제; 및
(1)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예를 들면, 플루옥세틴 및 및 세르트랄린.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상기한 바와 같은 제2 활성제는 β3-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적합한 물질을 사용하여 다음의 반응식 및 실시예의 과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다음의 특정 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더욱이, 본원에 기재된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당업자는 본원에 청구된 추가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열거된 화합물은 본 발명으로서 간주되는 유일한 종류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추가로 예시한다. 당업자들은 다음의 제조 과정의 조건 및 상태의 공지된 변화를 사용하여 이들 화합물들을 제조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앞서 본원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로 분리된다. 분리된 염에 상응하는 유리 아민 염기는 적당한 염기, 예를 들면, 수성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유리된 아민 비함유 염기를 유기 용매로 추출한 다음 증발시킴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리된 아민 비함유 염기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적합한 산을 가하고, 이어서, 증발, 침전 또는 결정화시킴으로써 또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추가로 전환시킬 수 있다. 모든 온도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다. 질량 스펙트럼(MS)은 전자-분무 이온-질량 분석법(electron-spray ion-mass spectroscopy)으로 측정하였다.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이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순상, 역상 및 키랄상 HPLC를 포함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PLC),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제조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prep TLC); 실리카 겔 또는 역상 실리카 겔을 사용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방사상 크로마토그래피. 모든 온도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이다.
어구 "표준 펩타이드 커플링 반응 조건"은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속에서 촉매, 예를 들면, HOBT 및 HOAT의 존재하에 산 활성화제, 예를 들면, EDC, DCC 및 BOP를 사용하여 카복실산을 아민과 커플링시킴을 의미한다. 목적하는 반응을 촉진시키고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아민 및 카복실산 관능기에 대한 보호 그룹을 사용하는 것은 널리 입증되어 있다. 보호 그룹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조건은 표준 교재, 예를 들면, 문헌[참조; Greene, T, and Wuts, P. G. M.,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1991]에서 찾아볼 수 있다. MOZ 및 BOC가 유기 합성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호 그룹이며, 이들의 제거 조건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MOZ는 양성자성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 속에서 귀금속 또는 이의 산화물, 예를 들면, 활성탄 상의 팔라듐의 존재하에 촉매적 수소화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촉매적 수소화가 다른 잠재적으로 반응성인 관능기의 존재로 인해 금지되는 경우, MOZ 그룹의 제거는 또한 디클로로메탄, 메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용매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산 또는 염화수소 가스의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BOC 보호 그룹의 제거는 디클로로메탄, 메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용매 속에서 강산,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산 또는 염화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본원 전반에 걸쳐,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다음의 용어는 제시된 의미를 갖는다:
용어 의미
Ac 아실(CH3C(O)-)
Aq. 수성
Bn 벤질
BOC(Boc) t-부틸옥시카보닐
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 섭씨
Calc. 또는 calc'd 계산된
Celite CeliteTM 규조토
DCC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DCM 디클로로메탄
DI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ED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Eq. 또는 equiv. 당량(들)
ES-MS 및 ESI-MS 전자 분무 이온-질량 분석법
Et 에틸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g 그램(들)
h 또는 hr 시(들)
HATU O-(7-아조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OAc 아세트산
HOAT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MS 또는 LC-MAS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스펙트럼
L 리터(들)
M 몰(들)
Me 메틸
MeOH 메탄올
MF 분자식
min 분(들)
mg 밀리그램(들)
mL 밀리리터(들)
mmol 밀리몰(들)
MOZ(Moz) p-메톡시벤질옥시카보닐
MP 융점
MS 질량 스펙트럼
nM 나노몰
OTf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
Ph 페닐
Prep. 제조용
Ref. 기준
r.t. 또는 rt 실온
Sat. 포화된
SCF CO2 S 초임계 유체 이산화탄소
TBAF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BAI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TBDPS 3급-부틸 디페닐실릴
TBS, TBDMS 3급-부틸 디메틸실릴
TEA 또는 Et3N 트리에틸아민
Tf 트리플레이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MS 트리메틸실릴
아래 반응식은 본 발명의 화학식 Ia의 화합물의 합성에 사용되는 방법을 예시한다. 모든 치환체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주제인 신규한 화학식 Ia의 화합물의 합성은 몇가지 유사한 경로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반응식 I에서, 시판중인 화합물 I-1을 0℃의 온도에서 무수 THF 또는 에테르 중의 비닐 그리냐드의 1 내지 2M 용액으로 처리하고, 1 내지 4시간의 기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시킨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THF와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속에서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서 수행한다. 생성물은 화학식 I-2의 알릴성 알콜이다. 화합물 I-2에서 화합물 I-3으로의 전환은 목적하는 실릴 보호제, 예를 들면, 3급-부틸 디메틸 클로라이드 및 유기 약염기, 예를 들면, 이미다졸을 선택하고, 실온에서 4 내지 16시간 동안 혼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청색이 지속될 때까지의 시간에 걸친 오존 가스의 버블링을 통한 이중결합의 산화에 이어 과량의 메틸 설파이드의 첨가에 의한 오존화물의 환원은 알데히드 I-4를 제공한다. 이어서, 알데히드 I-4를 건조제로서도 작용하는 루이스산, 예를 들면, 황산구리 또는 사염화티탄의 존재하에 R-(+)- 또는 S-(-)-2-메틸-2-프로판설핀아미드로 처리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속에서 실온 내지 40℃에서 6-36시간 동안 수행하며, 생성물은 화학식 I-5의 설핀아미드이다. 화합물 I-1에서와 같이, 화합물 I-5를 유사한 조건 및 시간하에 비닐 그리냐드로 처리하여 알릴 설핀아미드 I-6을 수득한다. 설핀아미드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화합물 I-6을 15분 미만 동안 디옥산 중의 4M HCl의 무수 용액으로 처리한다. 이어서, 반응물을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켜 화합물 I-7을 수득한다. 최종적으로,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 에틸 아민과 같은 무수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DCM과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속에서 0℃에서 1 내지 3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여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와의 처리를 통해 화합물 I-7을 화합물 I-8로 전환시킨다.
반응식 I
Figure pat00005
대안적으로, 알데히드 I-4는 반응식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I-3을 N-메틸 모르폴린 N-옥사이드의 존재하에 사산화오스뮴으로 처리하여 디올 I-9를 수득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물과 아세톤의 혼합물 속에서 수행하며, 용액을 농축시키기 전에 주의해서 후처리하여 독성 사산화오스뮴을 제거한다. 이어서, 잔류물인 화합물 I-9를 아세톤/물(8:1)에 용해시키고, 반응식 I에서와 같이, 실온에서 8 내지 24시간의 기간 동안 나트륨 페리오데이트로 처리하여 알데히드 I-4를 수득한다. 이어서, 이를 반응식 I에 기재된 동일한 과정을 사용하여 최종 목적하는 중간체 I-8로 되게 한다.
반응식 II
Figure pat00006
반응식 III은 반응식 I 및 II에 기재된 CBz-보호된 알릴 아미드 I-8을 사용한 피롤리딘 핵의 합성을 기재한다. 비닐 화합물 I-8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올레핀 복분해에 유용한 적합한 촉매를 사용하여 올레핀 교차 복분해(cross metathesis)에서 비닐 케톤 중간체 I-10과 반응할 수 있다. 화학식 I-11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촉매는 Grubbs-II 및 Zhan I 또는 II로서 공지된 유형의 "Grubbs" 및 "Zhan" 촉매 둘 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탄올과 같은 용매 속에서 2 내지 16시간에 걸쳐 수소 대기하에서 10% Pd/C 촉매로의 처리에 의한 이러한 중간체의 수소화는 유리 아민과 케톤 사이의 분자내 이민 형성 및 이민의 환원을 통한 폐환 이외에 Cbz-보호 그룹들의 제거와 함께 올레핀의 수소화를 달성하여 화학식 I-12의 피롤리딘 환을 형성한다. 용매의 선택에 따라, 아릴 상의 할로겐 치환체는 최종 중간체의 선호에 따라 이때에 남아있거나 제거될 수 있다. 피롤리딘의 선택적 Boc 보호는 1당량의 3급-부틸 디카보네이트(Boc2O)를 트리에틸아민(TEA)과 같은 무수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화합물 I-12에 첨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반응을 통상적으로 THF와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속에서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서 수행하여 화학식 I-13의 생성물을 수득한다. 아미드, 설폰아미드 또는 우레아의 선택에 따라, 화합물 I-13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으로 전환되어 목적하는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설폰아미드의 경우, 화합물 I-13을 피리딘과 같은 적합한 염기의 존재하에 R6을 함유하는 목적하는 설포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R6
(1) 수소,
(2) 할로겐, -ORa, -CO2Ra 및 -CONRaR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1O 알킬,
(3) 할로겐,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5 알킬 및 -0R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및
(4)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여기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임의로 벤젠 환에 오르토-융합되고, 할로겐,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5 알킬 및 -OR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으로부터 선택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DMF와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속에서 실온 내지 8O℃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하며, 생성물은 화학식 I-14의 설폰아미드이다. 아미드의 경우, 화합물 I-13을 TEA 또는 DIEA와 같은 적합한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서 R6을 함유하는 목적하는 아세틸 클로라이드로 처리할 수 있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DMF와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속에서 실온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하며, 생성물은 화학식 I-15의 아미드이다. 마지막으로, 우레아는 화합물 I-13을 실온에서 1 내지 24시간에 걸쳐 R6을 함유하는 아민의 존재하에 CDI 또는 포스겐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I-16의 우레아를 수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실온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수성 메탄올 중의 6M HCl로의 처리를 통해 동시에 화합물 I-14, I-15 및 I-16의 Boc 및 실릴 보호 그룹을 제거하여, 화학식 I-17, I-18 및 I-19에 도시된 R6을 함유하는 각종 아미드, 설폰아미드 및 우레아의 최종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화학작용이 손쉬운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R6 잔기 상의 유용한 보호 그룹들이 있다면 추가의 탈보호 단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그룹들은 트리틸 그룹, 3급-부틸카바메이트 그룹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또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아민, 하이드록실, 카복실산과 같은 R6 그룹에 부착된 관능성 그룹의 보호에 적합한 기타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식 III
Figure pat00007
반응식 IV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경로는 최종 화합물이 제조되기 전에 분리되는 시스- 및 트랜스-피롤리딘 둘 다를 제공하는 합성을 요약한다.
출발 2-아미노-아릴프로판-1,3-디올(I-20)을 먼저 p-톨루엔 설폰산과 같은 산의 존재하에서 톨루엔과 같은 적합한 용매 속에서 아세톤을 사용하여 헤미-아세탈로서 보호한 다음 아민을 3급-부틸 디카보네이트로 처리함으로써 보호하여 중간체 I-21을 수득한다. 표준 스원(Swern) 산화 조건을 사용하여, 유리 1급 하이드록실을 알데히드 I-22로 전환시킨다. 이어서, (트리페닐포스포르아닐리덴) 아세트알데히드와의 위티그 반응(Wittig reaction)은 알데히드를 2개 탄소까지 연장시키고, 생성된 이중결합을 Pd/C를 사용한 수소화를 통해 환원시켜 화합물 I-23을 수득한다. 이어서, 이러한 중간체를 (4-니트로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와 2차 위티그 반응시켜 중간체 I-24를 수득하며, 이것은 보호 그룹 제거 후 이중결합을 가로지르는 마이클 부가(Michael addition)를 통해 화합물을 폐환시킬 수 있다. 3급-부틸 디카보네이트를 사용한 아미노 그룹의 보호는 기질의 정제 및 분리를 도와, 시스 및 트랜스 이성체, 각각 화합물 I-25a 및 화합물 I-25b 둘 다를 제공한다. 니트로 그룹에서 유리 아민으로의 수소화는 목적하는 중간체 I-26a 및 I-26b를 생성한다. 중간체 I-26a 및 I-26b는 EDC를 사용하는 경우 표준 아미드 커플링에 사용될 수 있지만, 아실 또는 설포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하거나, 우레아로 전환시키는 경우 포스겐으로 처리하기 전에 하이드록실 그룹을 선택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
반응식 IV
Figure pat00008
반응식 V는 반응식 I, III 및 IV 경로와 상호연결되어 시스 2S, 5R 피롤리딘에 대한 부분입체선택성(diastereoselectivity)을 갖는 피롤리딘 핵을 제공하는 피롤리딘 핵의 합성을 요약한다.
위티그 반응을 사용하여, 메틸 트리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로의 처리를 통해 반응식 IV로부터의 알데히드 I-22를 비닐 동족체 I-27로 전환시킨다. 보호 그룹 조작 후, 중간체 I-2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식은 중간체 I-8을 거쳐 반응식 III으로 수렴된다. 반응식 III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중간체 I-11을 이어서 수득할 수 있다. 염산 및 0.15 내지 0.30M 농도의 희석 배율(dilution factor)을 도입함으로써 수소화를 최적화시켜 주로 시스 2S, 5R 피롤리딘 핵 I-13a를 수득한다.
반응식 V
Figure pat00009
반응식 VI은 하이드록실 그룹 및 피롤리딘의 좌측 부분 둘 다의 키랄성을 설정하기 위한 알돌 화학을 통한 아세틸렌 중간체의 합성방법을 요약한다. 이로부터, 이러한 아세틸렌 중간체를 사용하여 시스 및 트랜스 피롤리딘 둘 다를 합성할 수 있다.
시판중인 화합물 I-29를 먼저 -25℃에서 2시간 동안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 약염기의 존재하에서 트리메틸아세틸 클로라이드로 처리한다. 무수 염화리튬 및 (S)-(-)-4-벤질 또는 (S)-(-)-4-페닐-2-옥사졸리디논을 혼합물에 순차적으로 가한 다음 12 내지 24시간의 기간에 걸쳐 실온으로 점진적으로 가온시켜 이미드 I-30을 수득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THF와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속에서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 수행한다. 알콜 I-32는 공개된 과정(문헌 참조; Evans et al., J. Am. Chem. Soc. 2002, 124, 392-394)에 따라 제조한다. 예를 들면, 화합물 I-30을 실온에서 72시간에 걸쳐 무수 염화마그네슘, 트리에틸아민, 적합한 알데히드 I-31, 예를 들면, 3-클로로-벤즈알데히드 또는 벤즈알데히드 및 클로로트리메틸실란으로 처리하여 알돌 생성물 I-32의 트리메틸실릴 에테르를 수득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 용매 속에서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 수행한다. 트리메틸실릴 에테르 중간체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메탄올 혼합물로 처리하여 목적하는 알콜 I-32를 수득한다. 이미드 I-32의 가수분해는 0℃에서 15-18시간 동안 리튬 퍼옥사이드로 처리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어서, 퍼옥시산을 아황산나트륨의 수용액으로 환원시켜 카복실산 I-33을 수득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THF와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속에서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 수행한다. 화합물 I-33에서 화합물 I-34로의 전환은 목적하는 실릴 보호제, 예를 들면, 3급-부틸 디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를 선택하고, 이를 0℃에서 12 내지 16시간 동안 DBU와 같은 유기 약염기의 존재하에서 환원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I-34를 실온에서 6시간 동안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 약염기의 존재하에서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로 처리할 수 있다. 12 내지 16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면서 4-메톡시벤질 알콜과 같은 적합한 알콜을 가하여 상응하는 카바메이트 I-35를 수득한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톨루엔과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 속에서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 수행한다. 이러한 물질은 피롤리딘 핵을 합성할 수 있는 기본을 형성한다.
반응식 VI
Figure pat00010
반응식 VII은 피롤리딘 핵의 전환을 위한 화합물 I-35의 사용을 요약한다. 피롤리딘은, 분자내 환원적 아민화를 통해 폐환시켜 시스 피롤리딘과 트랜스 피롤리딘 둘 다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시스 피롤리딘과 트랜스 피롤리딘을 분리한 다음 니트로 그룹을 아민으로 환원시켜 동족체 합성에 사용되는 최종 목적하는 피롤린 아닐린을 수득한다. 알킨 I-35를 소나가시라 타입(Sonagashira type) 가교결합 반응에서 상응하는 시판 아릴 할라이드 I-36과 반응시켜,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적합한 반응 조건을 사용하여 화합물 I-37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 조건은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서 요오드화구리(I)를 갖거나 갖지 않는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 아세토니트릴 또는 DMF와 같은 유기 용매 속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 염기를 갖는 팔라듐(II) 아세테이트와 같은 촉매의 사용을 포함한다. 케톤 I-38은 알킨 I-37을 DMF와 같은 용매 속에서 80℃의 온도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피롤리딘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실온에서 15 내지 60분 동안 10%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케톤 I-38을 수득한다. 화합물 I-38의 카바메이트 보호 그룹을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적합한 반응 조건을 사용하여 제거하여 상응하는 아민을 수득하고, 이어서, 이를 케톤으로 분자내 폐환시켜 이민 I-39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 조건은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유기 용매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에테르와 같은 유기 용매 중의 염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민 I-39의 환원은 메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 속에서 0℃의 온도에서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 18 내지 24시간 동안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으로 처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시스-피롤리딘(I-40a) 및 트랜스-피롤리딘(I-40b) 중간체를 제공하며, 이들은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화합물 I-40a는 반응에서 생성되는 주요 부분입체이성체이며, 컬럼으로부터 용출되는 첫번째 부분입체이성체이다. 화합물 I-40a 또는 I-40b의 피롤리딘 질소를 Boc 그룹으로 보호하는 것은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 약염기의 존재하에 3급-부틸 디카보네이트로 처리함으로써 달성된다. 반응을 통상적으로 질소와 같은 불활성 대기하에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유기 용매 속에서 수행하여 화학식 I-41a 또는 I-41b의 생성물을 수득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탄올과 같은 용매 속에서 8-12시간에 걸쳐 15 내지 50psi의 수소 대기하에 염화수소의 존재하에 10% Pd/C로의 처리에 의한 중간체 I-41a 또는 I-41b의 수소화는 화합물 I-42a 또는 I-42b를 제공한다. 조건의 선택에 따라, 할로겐 치환체 X가 최종 중간체의 선호에 따라 이때에 남아있거나 제거될 수 있다.
반응식 VII
Figure pat00011
몇몇 경우에, 반응을 촉진시키거나 원치않는 반응 생성물을 피하기 위해 상기 반응식을 수행하는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이 더욱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중간체 1
벤질 [3-(2- 옥소부트 -3-엔-1-일) 페닐 ] 카바메이트 (i-1):
Figure pat00012
단계 A: 에틸 (3-{[( 벤질옥시 ) 카보닐 ]아미노} 페닐 ) 아세테이트
Figure pat00013
무수 DCM 250mL 중의 메틸 (3-아미노페닐) 아세테이트(25g, 140mmol)의 용액에 DIEA(28.5mL, 155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질소 대기하에 정치시켰다. 이어서, 이러한 냉각 용액에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21.1mL, 148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여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1M HCl, 물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추가로 정제할 필요는 없으며, 물질(44g, 99%)을 후속 단계 반응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LC-MS: m/z (ES) 314 (MH)+, 336 (MNa)+.
단계 B: (3-{[( 벤질옥시 ) 카보닐 ]아미노} 페닐 ) 아세트산
Figure pat00014
THF, 에탄올 및 물(1:1:1, 1500mL) 중의 에틸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페닐)아세테이트)(단계 A로부터) 44.0g(140mmol)의 용액에 고체 LiOH(16.8g, 700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3시간 동안 오일 욕을 통해 6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온도를 25℃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용액이 약 pH 2 내지 3으로 될 때까지 진한 HCl 40mL를 서서히 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3 x 750mL)로 추출한 다음 합하고 유기물을 물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표제 화합물(24.7g, 87%)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서 후속 단계 반응에 사용하였다. LC-MS: m/z (ES) 286 (MH)+, 308 (MNa)+.
단계 C: 벤질 (3-{2-[메톡시( 메틸 )아미노]-2- 옥소에틸 } 페닐 ) 카바메이트
Figure pat00015
디클로로메탄 200mL 중의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페닐) 아세트산(단계 B로부터의) 24.7g(87mmol)의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30.2mL, 173mmol)을 가하며, 이것은 약간의 발열(+5℃)을 야기하며 현탁액이 용액으로 된다. 10분간 냉각시킨 후, HOBt(13.2g, 87mmol), N,O-디메틸하이드록실아민 HCl(8.5g, 87mmol)을 용액에 가한 다음 EDC(16.6g, 87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용액을 분리 깔때기로 옮기고, 에멀젼을 야기하는 1M HCl로 세척하였다. 메탄올을 가하여 에멀젼을 분해하고, 수성 상을 분배하였다. 유기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70% 헥산 1000mL로부터 재결정화(환류되도록 가열한 다음 밤새 실온으로 냉각시킴)하여 표제 화합물(21g, 7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329 (MH)+.
단계 D: 벤질 [3-(2- 옥소부트 -3-엔-1-일) 페닐 ] 카바메이트 (i-1)
질소 대기하에 빙/수 욕을 통해 O℃로 냉각시킨 무수 THF 1000mL 중의 벤질 (3-{2-[메톡시(메틸)아미노]-2-옥소에틸}페닐)카바메이트(단계 C로부터) 15g(45.7mmol)의 용액에 비닐 마그네슘 브로마이드의 1.0M 용액(THF 중의 100mL, 100mmol)을 캐뉼라를 통해 적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온도를 5℃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1M HCl 500mL를 서서히 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물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Biotage 75M 플래쉬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g, 78%)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16

중간체 2
((1R)-1-[(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3- 클로로페닐 ) 메틸 ] 프로프 -2-엔-1-일} 카바메이트 (i-2)
Figure pat00017
단계 A: 1-(3- 클로로페닐 ) 프로프 -2-엔-1-올
Figure pat00018
불활성 질소 대기하에 무수 THF 100mL 중의 3-클로로벤즈알데히드(22.5g, 160mmol)의 냉각 용액에 THF 중의 비닐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의 1.6M 용액(100mL, 160mmol)을 시린지를 통해 서서히 가하고, 용액을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유기 층을 분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200mL)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헥산 중의 0 내지 4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 용출제를 사용하여 40M+ 실리카 겔 컬럼을 갖는 Horizon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4g, 4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19

단계 B: 3급-부틸 {[1-(3- 클로로페닐 ) 프로프 -2-엔-1-일] 옥시 } 디메틸실란
Figure pat00020
무수 DMF 90mL 중의 1-(3-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올 22.4g(133mmol)의 용액(단계 A로부터)에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20.0g, 133mmol) 및 이미다졸(18.1g, 266mmol)을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질소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15%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 용출제로 용출시키면서 플래쉬 실리카 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6g, 46%)을 수득하였다. m/z (ES) 282, 284 (M, M+2)+; 151, 153 (M-OTBS, M-OTBS+2)+.
단계 C: {[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3- 클로로페닐 )아세트알데히드
Figure pat00021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욕을 통해 -78℃로 냉각시킨 디클로로메탄 중의 3급-부틸 {[1-(3-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일]옥시}디메틸실란 4.Og(14.2mmol)의 용액(단계 B로부터)에, 용액이 담청색을 유지할 때까지 오존을 버블링시켰다. 이어서, 질소 가스를 이것이 투명해질 때까지 용액에 버블링시켰다. 메틸 설파이드를 용액에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질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 용출제로 용출시키면서 40M+ 실리카 겔 컬럼을 갖는 Horizon MPLC를 통해 정제하여 생성물(3.57g, 89%)을 수득하였다.
단계 D: N-[(1E)-2-{[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2-(3- 클로로페닐 ) 에틸리덴 ]-2- 메틸프로판 -2- 설핀아미드
Figure pat00022
무수 디클로로메탄 50mL 중의 {[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3-클로로페닐)아세트알데히드(단계 C로부터) 3.0g(10.6mmol) 및 (R 또는 S)-2-메틸-2-프로판설핀아미드 1.3g(10.6mmol)의 용액에 황산구리(II)(3.4g, 21.2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25%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 용출제 시스템으로 용출시키면서 40M+ 실리카 겔 컬럼을 갖는 Horizon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26g, 80%)을 수득하였다. m/z (ES) 387, 390 (M, M+2)+.
단계 E: N-{1-[{[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3- 클로로페닐 ) 메틸 ]- 프로프 -2-엔-1-일}2- 메틸프로판 -2- 설핀아미드
Figure pat00023
질소 대기하에 0℃로 냉각시킨 무수 THF 20mL 중의 N-[(1E)-2-{[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2-(3-클로로페닐)에틸리덴]-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단계 D로부터) 2.4g(6.20mmol)의 용액에 THF 중의 비닐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의 1.6M 용액(3.90mL, 6.2mmol)을 시린지를 통해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추가의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35%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 용출제 시스템으로 용출시키면서 40M+ 실리카 겔 컬럼을 갖는 Horizon MPLC로 정제하여 모두 4개의 부분입체이성체를 단일 이성체로서 수득하였다.
NMR에 의해, 수득된 4개의 생성물은 서로의 부분입체이성체이었다. 이성체가 실리카 겔 컬럼으로부터 용출됨에 따라 이들을 표지하였다. 용출되는 제1 이성체는 이성체 1이라고 하고, 그 다음을 이성체 2, 3이라고 하며, 마지막을 이성체 4라고 하였다.
Figure pat00024

단계 F: ((1R)-1-[(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3- 클로로페닐 ) 메틸 ] 프로프 -2-엔-1-일} 카바메이트 (i-2)
N-{l-[{[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3-클로로페닐)메틸]-프로프-2-엔-1-일}2-메틸프로판-2-설핀아미드(단계 E로부터의)의 이성체 1(510mg, 2.22mmol)에 디옥산 중의 무수 4M HCl 5mL를 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톨루엔(2 x 5mL)으로 공비화하여 과량의 HCl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질소 대기하에 빙/수 욕으로 0℃로 냉각시킨 다음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0.32mL, 2.22mmol)를 시린지를 통해 서서히 가한 다음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1.19mL, 6.66mmol)을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공하에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제조용 플레이트(4 x 1000μM)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03mg, 7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25

다양한 입체화학의 상기한 것과 관련된 중간체들은 상기한 과정을 사용하여 적당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26

중간체 3
3급-부틸(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메틸]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3)
Figure pat00027
단계 A: 벤질{[4-(3E,5R,6R)-5-{[( 벤질옥시 ) 카보닐 ]아미노-6-{[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6-(3- 클로로페닐 )-2- 옥소헥스 -3-엔-1-일] 페닐 } 카바메이트
Figure pat00028
무수 디클로로메탄 7mL 중의 벤질 [3-(2-옥소부트-3-엔-1-일)페닐] 카바메이트(i-1)(820mg, 2.80mmol) 및 ((1R)-1-[(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3-클로로페닐)메틸]프로프-2-엔-1-일}카바메이트(i-2)(500mg, 1.12mmol)의 용액에 Zhan I 촉매(740mg, 1.12mmol)를 가하고, 생성된 미반응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밤새 4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제조용 플레이트(4 x 1000μM)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48mg, 50%)을 수득하였다. m/z (ES) 713, 715 (M, M+2)+, 735, 737 (MNa, MNa+2)+.
단계 B: 4-({(5R)-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아닐린
Figure pat00029
에탄올 25mL 중의 벤질{[4-(3E,5R,6R)-5-{[(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6-{[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6-(3-클로로페닐)-2-옥소헥스-3-엔-1-일]페닐}카바메이트(단계 A로부터) 328mg(0.46mmol)의 용액에 10% Pd/C를 가하고, 현탁액을 수소 가스의 벌룬을 통해 수소 대기하에 정치시켰다. 반응물을 수소하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결과,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촉매를 Gilmen 0.45μM PTFE 시린지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 제거하고, 에탄올(4 x 5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로 용출시키면서 제조용 플레이트(3 x 1000μ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1mg, 66%)을 수득하였다. m/z (ES) 397 (MH)+.
단계 C: 3급-부틸(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3)
무수 THF 5mL 중의 4-({(5R)-5-[(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피롤리딘-2-일}메틸)아닐린(단계 B로부터) 121mg(0.315mmol)의 용액에 3급-부틸 카보네이트(69mg, 0.315mmol)를 가한 다음 TEA(44㎕, 0.315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제조용 플레이트(1500μM) 위에 직접 두고,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켜 표제 화합물(100mg, 6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30

중간체 4a 및 중간체 4b의 분리
3급-부틸 (2S,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4a);
3급-부틸 (2R,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4b)
Figure pat00031
단계 A: 3급-부틸 (2S,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4a) 및 3급-부틸 (2R,5R)-2-(4- 미노벤질)-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4b)
중간체 i-3(3급-부틸 (5R)-2-(4-아미노벤질)-5-[(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시스 및 트랜스의 4:1 혼합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30% 메탄올:60% 이산화탄소의 용출제를 사용하여 Berger Multigram SFC(초임계)를 통해 정제하여 두 개의 부분입체이성체를 분리하였다. 컬럼의 첫번째 이성체는 부(minor) 이성체 1로 표기하고, 두번째 이성체는 주(major) 이성체 2로서 표기하였다.
Figure pat00032

중간체 4a 및 중간체 4b의 합성
3급-부틸 (2S,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4a);
3급-부틸 (2R,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4b)
Figure pat00033
단계 A: (4S)-3- 헥스 -5- 이노일 -4- 페닐 -1,3- 옥사졸리딘 -2-온
Figure pat00034
질소 대기하에 -25℃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L 중의 5-헥시노산 69.0g(615mmol) 및 트리에틸아민 214mL(1540mmol)의 용액에 20분에 걸쳐 트리메틸아세틸 클로라이드 83.0mL(677mmol)를 가하였다. 첨가시,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며, 생성된 현탁액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후, 무수 염화리튬 28.7g(677mmol) 및 (4S)-4-페닐-1,3-옥사졸리딘-2-온 100.0g(615.0mmol)을 연속해서 가하고, 혼합물을 12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서서히 가온되도록 하였다.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1L)로 희석시키며, 에틸 아세테이트(3 x 3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250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5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135g, 85.4%)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35

단계 B: (4S)-3-{(2R)-2-[(S)-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헥스 -5- 이노일 }-4- 페닐 -1,3-옥 사졸 리딘-2-온
Figure pat00036
주위 온도에서 질소 대기하에 무수 에틸 아세테이트 265mL 중의 상기 단계 A로부터의 (4S)-3-헥스-5-이노일-4-페닐-1,3-옥사졸리딘-2-온 56.8g(221mmol)의 교반 용액에 무수 염화마그네슘 6.31g(66.2mmol), 트리에틸아민 61.5mL(442mmol), 벤즈알데히드 26.9mL(265mmol) 및 클로로트리메틸실란 42.3mL(331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균질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I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의 300mL 플러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 265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에 현탁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질소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며, 이 시간 동안 반응물이 균질해진다. 이어서,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5 내지 15%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65.0g, 81.2%)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37

단계 C: (2R)-2-[(S)-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헥스 -5- 이노산
Figure pat00038
0℃에서 질소 대기하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대 물의 20 대 1 혼합물 1050mL 중의 상기 단계 B로부터의 (4S)-3-{(2R)-2-[(S)-하이드록시(페닐)메틸]헥스-5-이노일}-4-페닐-1,3-옥사졸리딘-2-온 65.0g(179mmol)의 교반 용액에 35% 과산화수소 수용액 77.0mL(894mmol)를 내부 온도를 3℃ 이하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느린 속도로 가하였다. 이어서, 1.0M 수산화리튬 수용액 395mL(395mmol)를 반응의 내부 온도를 5℃ 이하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느린 속도로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혼합물의 내부 온도를 5℃ 이하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느린 속도로 1.3M 아황산나트륨 수용액 755mL(984mmol)로 켄칭시켰다.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남은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200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수성 상을 0℃로 냉각시키고, pH 3에 도달할 때까지 6M 염화수소 수용액으로 산성화시켰다. 이어서,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300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염수(100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 내지 10% 에틸 아세테이트 및 3% 아세트산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검(32.0g, 82.0%)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39

단계 D: (2R)-2-[(S)-{[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헥스 -5- 이노산
Figure pat00040
주위 온도에서 질소 대기하에 무수 아세토니트릴 500mL 중의 상기 단계 C로부터의 (2R)-2-[(S)-하이드록시(페닐)메틸]헥스-5-이노산 32.0g(147mmol)의 교반 용액에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덱-7-엔 77.0mL(513mmol)를 가한 다음 3급-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66.3g(440mmol)을 10분에 걸쳐 3회로 나누어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300mL 및 물 100mL로 희석시켰다. 1.0M 염화수소 수용액을 수성 층에서 pH 3에 도달할 때까지 혼합물에 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2 x 10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50mL), 염수(50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메탄올 350mL에 용해시키고, 0.8M 탄산칼륨 수용액 350mL(280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300mL로 희석시키고, 수성 상을 pH 3에 도달할 때까지 5.0M 염화수소 수용액으로 산성화시켰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2 x 10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50mL), 염수(50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3 내지 15%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42.3g, 86.6%)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1

단계 E: 4-메톡시벤질{(1R)-1-[(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펜트 -4-인-1-일} 카바메이트
Figure pat00042
주위 온도에서 질소 대기하에 무수 톨루엔 400mL 중의 상기 단계 D로부터의 (2R)-2-[(S)-{[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헥스-5-이노산 40.0g(120mmol) 및 트리에틸아민 33.5mL(241mmol)의 용액에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37.5mL(132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4-메톡시벤질 알콜 37.5mL(301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105℃로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포화 비카보네이트 수용액 250mL로 희석시켰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1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100mL), 염수(100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3 내지 1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50.9g, 90.5%)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3

단계 F: 4-메톡시벤질 [(1R)-1-[(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5-(4- 니트로페닐 ) 펜트 -4-인-1-일] 카바메이트
Figure pat00044
무수 DMF(500mL) 중의 아세틸렌(단계 E로부터, 4Og, 80mmol) 및 4-요오도니트로벤젠(21.8g, 88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11mL, 797mmol)을 가하였다. Pd(dppf)Cl2(1.95g, 2.39mmol) 및 요오드화구리(I)(910mg, 4.78mmol)를 가하고, 혼합물을 질소(15분간 버블링)로 탈기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1200m)에 붓고, EtOAc(3 x 300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합한 유기물을 물(2 x 500mL), 포화 NaCl(200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MPLC(Horizon Biotage 2x 플래쉬 65i)로 정제하여 41g(84%)을 암적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5

단계 G: 4-메톡시벤질 [(1R)-1-[(R)-{[3급-부틸( ' 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5-(4- 니트로페닐 )-4- 옥소펜틸 ] 카바메이트
Figure pat00046
DMF(40mL) 중의 니트로페닐 아세틸렌(단계 F로부터, 41g, 65.5mmol)의 용액에 피롤리딘(14mL, 196.5mmo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8O℃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중의 아세트산의 10% 용액(110mL)을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또 다른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300ml)에 붓고, EtOAc(3 x 250mL)로 추출하고; 합한 EtOAc 층을 물(2 x 250ml), 포화 NaCl(10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50% EtOAc로 증가하는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Horizon 플래쉬 75로 정제하여 34g(81%)을 암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7

단계 H: (2R,5S)-2-[(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5-(4- 트로벤질) 피롤리딘 (2R,5R)-2-[(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5-(4-니트로벤질) 피롤리딘
Figure pat00048
DCM(350ml) 중의 MOZ 보호된 케톤 아민(단계 G로부터, 34g, 56mmol)의 용액에 TFA(256m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및 포화 NaHCO3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eOH(750mL)에 용해시키고, 빙/수 욕을 통해 0℃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21.2g, 337mmo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여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유기물을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이어서, 수성 층을 EtOAc(x2)로 추출하고, 합한 EtOAc 층을 포화 NaC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용출제: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35% EtOAc로 증가하는 구배)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제1 이성체 (2R,5S)-2-[(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5-(4-니트로벤질)피롤리딘 16.4g(63.4%) 및 제2 이성체 (2R,5R)-2-[(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5-(4-니트로벤질)피롤리딘 3.1g(12%)을 수득하였다.
이성체 1: LC-MS: m/z (ES) 427.3 (MH)+
이성체 2: LC-MS: m/z (ES) 427.3 (MH)+
단계 I: 3급-부틸(2R,5S)-2-[(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5-(4-니 트로 벤질)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49
무수 THF 중의 3급-부틸(2R,5S)-2-[(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5-(4-니트로벤질)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12g, 42.5mmol)의 용액에 Boc 무수물(9.3g, 42.5mmol)을 가한 다음 TEA(17.76mL, 127.4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100mL)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2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내지 75%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Horizon Biotage MPLC(65i 실리카 겔 컬럼)를 통해 정제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527.3 (MH)+, 549.2 (MNa)+.
단계 J: 3급-부틸(2R,5R)-2-[(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5-(4-니 트로 벤질)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50
단계 I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시스 피롤리딘 이성체를 트랜스 이성체, (2R,5R)-2-[(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5-(니트로벤질)피롤리딘으로 대체하였다. LC-MS: m/z (ES) 527.3 (MH)+, 549.2 (MNa)+.
단계 K: 3급-부틸(2S,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4a);
Figure pat00051
500mL 파르 진탕기 플라스크를 10% Pd/c(4.75g)로 충전하고, 이에 메탄올 100mL를 가하여 촉매를 덮었다. 이어서, 메탄올(80mL) 중의 단계 I로부터의 니트로 중간체(8.5g, 18.5mmol)의 용액을 현탁액에 가한 다음, 메탄올 용액 중의 1.0M 염화수소 15.4mL를 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50 PSI 수소 가스하에 정치시키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분취량을 취하여 LC-MS를 통해 분석한 결과 완전한 반응을 나타냈다.
촉매를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여과제거하고, 메탄올(2 x 100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생성물을 헥산 중의 0%로부터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증가하는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Horizon MPLC(65i 실리카 컬럼)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2g, 72%)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52

단계 L: 3급-부틸(2R,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4b)
Figure pat00053
단계 K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시스 피롤리딘 이성체를 트랜스 이성체, 3급-부틸(2R,5R)-2-[(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5-(4-니트로벤질)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로 대체하였다.
Figure pat00054
다음의 중간체들은 중간체 i-4a에 대해 상기한 과정을 사용하여 적합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55
다음의 중간체들은 중간체 i-4b에 대해 상기한 과정을 사용하여 적합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56
중간체 5
3급-부틸(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3- 클로로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5)
Figure pat00057
단계 A: 4-({(5R)-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3- 클로로페닐 ) 메틸 ]피롤리딘-2-일} 메틸 )아닐린
Figure pat00058
에틸 아세테이트 8mL 중의 벤질{4-[(3E,5R,6R)-5-{[(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6-{[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6-(3-클로로페닐)-2-옥소헥스-3-엔-1-일]페닐}카바메이트(단계 A로부터, i-3) 100mg(0.15mmol)의 용액에 10% Pd/C를 가하고, 현탁액을 수소 가스의 벌룬을 통해 수소 대기하에 정치하였다. 반응물을 수소 하에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Gilmen 0.45uM PTFE 시린지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4 x 2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5% 메탄올로 용출시키면서 제조용 플레이트(1000μ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3mg, 51%)을 수득하였다. m/z (ES) 430, 432 (M, M+2)+.
단계 B: 3급-부틸(5R)-2-(4- 아미노벤질 )-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3- 클로로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5)
무수 THF 1mL 중의 4-({(5R)-5-[(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3-클로로페닐)메틸]피롤리딘-2-일}메틸)아닐린(단계 A로부터) 33mg(0.07mmol)의 용액에 3급-부틸 카보네이트(15.3mg, 0.07mmol)를 가한 다음 TEA(13uL, 0.07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제조용 플레이트(500uM) 위에 직접 두고,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켜 표제 화합물(25mg, 78%)을 수득하였다. m/z (ES) 530, 532 (M, M+2)+, 430, 432 (M-Boc, M-Boc+2)+.
중간체 6
4-{4-[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3-티아졸-2-일}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i-6)
Figure pat00059
중간체 6은 공개된 과정[문헌 참조; 예를 들면, Ikemoto et al., Tetrahedron 2003, 59, 1317-1325]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중간체 7
2- 메틸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 카복실산 (i-7)
Figure pat00060
단계 A: 에틸 2- 메틸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61
0℃에서 냉각된 클로로포름(500mL) 중의 에틸 2-옥소사이클로펜탄-2-카복실레이트(56g, 359mmol)의 용액에 브롬(18.5mL, 359mmol)을 ~20분에 걸쳐 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질소 가스를 혼합물을 통해 90분 동안 버블링시켜 HBr의 대부분을 제거하였다. 물(500mL), 포화 NaHCO3(250mL), 포화 NaCl(20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H(500mL)에 용해시키고, 티오아세트아미드(26.9g, 359mmol)를 가하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환류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증발시키며, 잔류물을 DCM 및 포화 NaHCO3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 층을 포화 NaC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PLC(Biotage Horizon: 2 x 플래쉬 65i, 용출제: 100% 헥산(450mL),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25% EtOAc(1400mL)에 이어 헥산 중의 25% EtOAc로 증가하는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2g, 42%)을 짙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2

단계 B: 2- 메틸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 카복실산 (i-7)
THF(450mL) 및 메탄올(100mL) 중의 에틸 2-메틸-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4-카복실레이트 31.5g(149mmol)(단계 A로부터)의 용액에 수산화리튬의 용액(1M 용액 149mL, 149mmo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물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수성 잔류물을 Et2O(2 x 250mL)로 추출하며, 1M HCl(~170mL)의 첨가에 의해 pH 3으로 되도록 산성화시키고, 고체 NaCl로 포화시켰다. DCM(3 x 250mL)으로 추출하고, DCM 층을 합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DCM(3 x 250mL)으로 추출하고, DCM 층을 합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로 연마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7.1g, 26%)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3

중간체 8
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 카복실산 (i-8)
Figure pat00064
단계 A: 에틸 2-아미노-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65
중간체(i-7)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단계 A에서 티오아세트아미드를 티오우레아로 대체하였다.
Figure pat00066

단계 B: 에틸 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67
디클로로메탄(5mL) 중의 에틸 2-아미노-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4-카복실레이트(단계 A로부터) 230mg(1.08mmol)의 용액에 디-3급-부틸디카보네이트(236mg, 1.08mmol), 트리에틸아민(0.15mL, 1.08mmol) 및 DMAP(13mg, 0.11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N HCl(10mL), 포화 NaCl(5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PLC(Biotage Horizon: 플래쉬 25+S, 용출제: 100% 헥산(100mL), 헥산 중의 0-15% EtOAc(900mL)에 이어 헥산 중의 15% EtOAc(500mL)의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0mg, 47%)을 백색 포움(foam)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68

단계 C: 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 카복실산 (i-8)
중간체(i-7) 단계 B에서 밝혀진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에틸 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4-카복실레이트(단계 B로부터)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69

중간체 9
2-(4- 플루오로페닐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 카복실산 (i-9)
Figure pat00070
단계 A에서 티오아세트아미드를 4-플루오로티오벤즈아미드로 대체하여 중간체 7(i-7)에 밝혀진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1

중간체 10
2- 메틸 -4,5,6,7- 테트라하이드로 -1,3- 벤조티아졸 -4- 카복실산 (i-10)
Figure pat00072
단계 A: 에틸 2- 메틸 -4,5,6,7- 테트라하이드로 -1,3- 벤조티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3
0℃에서 냉각된 무수 디에틸 에테르(40mL) 중의 에틸 2-옥소사이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15g, 88mmol)의 용액에 브롬(4.5mL, 88mmol)을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90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EtOAc(100mL)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포화 NaC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10OmL)에 용해시키고, 티오아세트아미드(6.6g, 88mmo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환류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포화 NaHCO3 및 DCM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PLC(Biotage Horizon: 플래쉬 65i, 용출제: 100% 헥산(500mL), 헥산 중의 0 내지 25% EtOAc(1200mL)에 이어 헥산 중의 25% EtOAc(1200mL)의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14g, 31%)을 연한 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74

단계 B: 2- 메틸 -4,5,6,7- 테트라하이드로 -1,3- 벤조티아졸 -4- 카복실산 (i-10)
중간체(i-7) 단계 B에 요약된 과정에 따라 에틸 2-메틸-4,5,6,7-테트라하이드로-1,3-벤조티아졸-4-카복실레이트(단계 A로부터)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5

중간체 11
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4,5,6,7- 테트라하이드로 -1,3- 벤조티아졸 -4- 카복실산 (i-11)
Figure pat00076
단계 A: 에틸 2-아미노-4,5,6,7- 테트라하이드로 -1,3- 벤조티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77
티오아세트아미드를 티오우레아로 대체하여 중간체 10(i-10) 단계 A에 요약된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8

단계 B: 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4,5,6,7- 테트라하이드로 -1,3- 벤조티아졸 -4- 카복실산 (i-11)
중간체 8(i-8) 단계 B 및 C에 요약된 과정에 따라 에틸 2-아미노-4,5,6,7-테트라하이드로-1,3-벤조티아졸-4-카복실레이트(단계 A로부터)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9

중간체 12
인단-1- 카복실산 (i-12)
Figure pat00080
문헌 과정[참조;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000), 65(4), 1132-1138]에 따라 제조하였다.
중간체 13a 및 중간체 13b
3급-부틸(2S,5R)-2-(4- 아미노벤질 )-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카 복실레이 트(i-13a);
3급-부틸(2R,5R)-2-(4- 아미노벤질 )-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카 복실레이 트(i-13b)
Figure pat00081
단계 A: 3급-부틸(4R,5R)-2,2-디메틸-4-[(1E)-3- 옥소프로프 -1-엔-1-일]-5- 페닐 -1,3- 옥사졸리딘 -3-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82
CH2Cl2(150mL) 중의 3급-부틸(4S,5R)-4-포밀-2,2-디메틸-5-페닐-1,3-옥사졸리딘-3-카복실레이트(20.9, 89.1mmol)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포라닐리덴)아세트알데히드(27.1g, 89.1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의 1/3을 제거한 후, 헥산을 충분히 가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 제거하였다. Biotage Horizon® 시스템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헥산 중의 0 내지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하여 표제 화합물 16.3g(72%)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354.3 (M+23).
단계 B: 3급-부틸(4R,5R)-2,2-디메틸-4-(3- 옥소프로필 )-5- 페닐 -1,3- 옥사졸리딘 -3-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83
아세톤(150mL) 중의 3급-부틸(4R,5R)-2,2-디메틸-4-[(1E)-3-옥소프로프-1-엔-1-일]-5-페닐-1,3-옥사졸리딘-3-카복실레이트(19.6g, 59.1mmol)(단계 A로부터)의 용액에 10% Pd/C 1.9g을 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수소 벌룬하에 주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제거하고, 여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Biotage Horizon® 시스템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헥산 중의 0 내지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5g(58%)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356.3 (M+23).
단계 C: 3급-부틸(4R,5R)-2,2-디메틸-4-[(3E)-4-(4- 니트로페닐 ) 부트 -3-엔-1-일]-5- 페닐 -1,3- 옥사졸리딘 -3- 카복실레이트 및 3급-부틸(4R,5R)-2,2-디메틸-4-[(3Z)-4-(4-니트로페닐) 부트 -3-엔-1-일]-5- 페닐 -1,3- 옥사졸리딘 -3-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84
CH2Cl2(200mL) 중의 단계 B로부터의 3급-부틸(4R,5R)-2,2-디메틸-4-(3-옥소프로필)-5-페닐-1,3-옥사졸리딘-3-카복실레이트(10.0g, 30.0mmol)의 용액에 (4-니트로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21.5g, 45.0mmol)를 가한 다음 Et3N(8.36mL, 60.0mmol)을 가하였다. 적색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헥산(200mL)을 반응 혼합물에 붓고, 고체를 여과제거하였다. Biotage Horizon® 시스템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헥산 중의 0 내지 1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 헥산 중의 1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하여 표제 화합물(시스 및 트랜스 혼합물) 10.7g(79%)을 담황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475.4 (M+23).
단계 D: 3급-부틸(2R,5S)-2-[(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5-(4- 니트로벤질 ) 롤리딘-1- 카복실레이트 및 3급-부틸(2R,5R)-2-[(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5-(4- 니트로벤질)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85
에틸 아세테이트(100mL) 중의 단계 C로부터의 상기 시스/트랜스 혼합물(7.86g, 17.4mmol)의 용액에 2N HCl 용액 50m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3시간 동안 45℃로 가열하였다. 휘발물질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100mL)에 용해시키고, iPr2Net 15.1mL(86.7mmo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3급-부틸 디카보네이트(4.55g, 20.8mmol)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0mL)을 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200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Biotage Horizon® 시스템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헥산 중의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급-부틸 (2R,5S)-2-[(R)-하이드록시(페닐)메틸]-5-(4-니트로벤질)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시스) 1.61g(22%) 및 3급-부틸(2R,5R)-2-[(R)-하이드록시(페닐)메틸]-5-(4-니트로벤질)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트랜스) 3.9g(54%)을 수득하였다. LC/MS 435.4 (M+23).
단계 E: 3급-부틸(2S,5R)-2-(4- 아미노벤질 )-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13a)
에탄올(20mL) 중의 단계 D로부터의 상기 (시스) 3급-부틸(2R,5S)-2-[(R)-하이드록시(페닐)메틸]-5-(4-니트로벤질)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1.51g, 3.66mmol)의 용액에 10% Pd/C 0.15g을 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주위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수소 벌룬하에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1.40g(100%)을 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LC/MS 405.3 (M+23).
단계 F: 3급-부틸(2R,5R)-2-(4- 아미노벤질 )-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13b)
에탄올(40mL) 중의 단계 D로부터의 (트랜스) 3급-부틸(2R,5R)-2-[(R)-하이드록시(페닐)메틸]-5-(4-니트로벤질)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3.90g, 9.46mmol)의 용액에 10% Pd/C 0.4g을 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주위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수소 벌룬하에 교반하였다. 고체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제거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Biotage Horizon® 시스템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헥산 중의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하여 표제 화합물 2.30g(64%)을 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405.3 (M+23).
중간체 14
(2S)-1-(1,3- 벤조티아졸 -2-일) 피롤리딘 -2- 카복실산 (i-14):
Figure pat00086
주위 온도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3mL) 중의 L-프롤린 28mg(0.24mmol)의 용액에 2-브로모벤조티아졸 51mg(0.24mmol), 탄산칼륨 100mg(0.72mmol) 및 요오드화구리 6mg(0.03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를 여과하고, 역상 HPLC(TMC Pro-Pac C18; 0-6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밤새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5mg 60%를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87

중간체 15 내지 22
다음의 N-치환된 L-프롤린 중간체는 상기한 과정 및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과정을 사용하여 적합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88
중간체 23
(6- 옥소피리다진 -1(6H)-일)아세트산(i-23)
Figure pat00089
메탄올 40mL 중의 3-클로로-6-옥소피리다진-1(6H)-일)아세트산(1g, 5.30mmol, 제조원; ChemBridge)의 용액에 10% Pd/C 100mg을 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수소 대기하에 정치시키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촉매를 Gilmen 0.45μM PFTE 시린지 필터를 통해 여과제거하고, 여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90

중간체 24
2- 브로모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d][1,3]티아졸 -4- 카복실산(i-24) 의 제조
Figure pat00091
단계 A: 에틸 2- 브로모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d][1,3]티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92
아세토니트릴(100mL) 중의 3급-부틸 니트라이트(4.2mL, 35.3mmol) 및 브롬화구리(II)(6.3g, 28.3mmol)의 용액에 에틸 2-아미노-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4-카복실레이트(5g, 23.6mmol)를 소량씩 나누어 가하였다. 일단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M HCl(600mL)에 붓고, EtOAc(3 x 200mL)로 추출하고, EtOAc 층을 합하고, 1M HCl(500mL), 물(250mL), 포화 NaHCO3(200mL), 포화 NaCl(150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PLC(Biotage Horizon: 플래쉬 40 M, 용출제: 100% 헥산(100mL),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25% EtOAc(750mL)에 이어 헥산 중의 25% EtOAc(700mL)로 증가하는 구배)로 정제하여 1.87g(29%)을 연한 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3

단계 B: 2- 브로모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d][1,3]티아졸 -4- 카복실산
Figure pat00094
단계 A로부터의 생성물(4.92g, 17.82mmol)의 용액을 메탄올(20mL)에 용해시키고, 5N NaOH(4.25mL, 21.25mmol), 물(16mL) 및 메탄올(30m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남은 수성 상의 pH를 진한 HCl에 의해 ~2.5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고체 NaCl로 포화시키고, EtOAc(x3)로 추출하고; EtOAc 층을 합하고, 포화 NaC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활성탄으로 밤새 처리하였다. 여과된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Ac로 연마하고, 고체를 여과하여 목적하는 생성물 1.94g을 수득하였다. 모액을 증발시키고,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100% EtOAc로 증가하는 구배를 사용하여 MPLC로 정제하여 추가의 0.82g의 표제 생성물(총 2.76g, 62%)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5

중간체 25
2-{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1,3-티아졸-4-일}-4- 플루오로부탄산(i-25) 의 제조
Figure pat00096
단계 A: 3급-부틸 (2E)-2-[(3급- 부톡시카보닐 ) 이미노 ]-4-(2- 에톡시 -2- 옥소에틸 )-1,3-티아졸-3(2H)-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097
DCM(75mL) 중의 에틸 2-아미노 티아졸-4-아세테이트(8g, 43mmol)의 용액에 디-3급-부틸디카보네이트(20.63g, 95mmol), 휘니그 염기(16.51mL, 95mmol) 및 DMAP(1.57g, 12.89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포화 NaC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50% EtOAc로 증가하는 구배를 사용하여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2.5g(7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98

단계 B: 에틸 2-(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1,3-티아졸-4-일)-4- 플루오로부타노에이트
Figure pat00099
-78℃에서 냉각시킨 무수 THF(100mL) 중의 단계 A로부터의 생성물(7.5g, 19.4mmol)의 용액에 부틸 리튬(2.5M 용액 8.54mL, 21.35mmol)을 가한 다음 1-요오도-2-플루오로에탄(6.75g, 38.8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시트르산의 10% w/w 용액(21m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켜 THF를 제거하고, 물(100mL)로 희석시키고, EtOAc(x3)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층을 물, 포화 NaC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PLC(용출제: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25% EtOAc로 증가하는 구배)로 정제하였다. 100% 물로부터 물 중의 95% 아세토니트릴+0.05% TFA로 증가하는 구배를 사용하여 C18 컬럼 상에서 PREP-HPLC로 추가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00mg(7%)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00

단계 C: 2-{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1,3-티아졸-4-일}-4- 플루오로부탄산
Figure pat00101
THF(1mL)와 메탄올(0.3mL)의 혼합물 중의 단계 B로부터의 생성물(100mg, 0.3mmo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의 용액(1M 용액 0.3mL, 0.3mmo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1N HCl(0.3mL, 0.3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생성된 조 생성물을 정제하지 않고 즉시 사용하였다.
중간체 26
2- 플루오로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 [d][1,3]-티아졸-4- 카복실산(i- 26)의 제조
Figure pat00102
단계 A: 에틸 2- 플루오로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d]티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03
에틸 2-아미노-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4-카복실레이트[단계 A로부터, 중간체 8](2g, 9.4mmol)를 플루오로붕산(5.17g, 28.3mmol)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이것이 동결되기 직전의 시점까지 냉각시켰다(~5℃). 니트로소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1g, 9.4mmol)를 소량씩 나누어 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60mL)를 가하고, 혼합물을 -5O℃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고체를 톨루엔(70mL)에 용해시키고, 30분 동안 9O℃로 가온시켰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증발시키며, 조 잔류물을 MPLC(용출제: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40% EtOAc로 증가하는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90mg(19%)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04

단계 B: 2-플루오르-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 [d][1,3]-티아졸-4- 카복실산
Figure pat00105
THF(1.5mL)와 메탄올(0.5mL)의 혼합물 중의 단계 A로부터의 생성물(100mg, 0.456mmo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의 용액(1M 용액 0.558mL, 0.588mmo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1N HCl(0.558mL, 0.558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생성된 조 생성물을 정제하지 않고 즉시 사용하였다.
중간체 27
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1,2-d]테트라졸 -5- 카복실산(i-27)의 제조
Figure pat00106
단계 A: 메틸 5- 메톡시 -3,4- 디하이드로 -2H-피롤-2-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07
메틸 5-메톡시-3,4-디하이드로-2H-피롤-2-카복실레이트를 문헌[참조; Wick, A., Bartlett, P. and Dolphin, D; Helvetica Chimica Vol. 54 Fasc. 2 (197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B: 메틸 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1,2-d]테트라졸 -5-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08
아세트산 4mL 중의 출발 메틸 5-메톡시-3,4-디하이드로-2H-피롤-2-카복실레이트(900mg, 6.04mmol)의 용액에 나트륨 아지드(975mg, 12.08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60℃로 가열하고, 48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에테르 35mL로 희석시켰다. 고체 탄산칼륨을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소결 깔때기를 통해 여과제거하고, 냉각 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고체를 농축 동안 침전시키고, 1/5 용적으로 되도록 농축시킨 후 여과 제거하였다. 고체를 냉각 에테르(3mL)로 한번 세척하고, 고진공하에 밤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308mg, 31%)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 169 (MH)+.
단계 C: 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1,2-d]테트라졸 -5- 카복실산
Figure pat00109
THF/물/MeOH 중의 메틸 6,7-디하이드로-5H-피롤로[1,2-d]테트라졸-5-카복실레이트(300mg, 1.78mmol)의 용액에 LiOH(214mg, 8.92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오일 욕을 통해 16시간 동안 6O℃로 가열하였다. (환저 플라스크에 응축기를 장착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수성 층을 2N HCl을 사용하여 pH ~5로 되도록 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톨루엔(2 x 20mL)으로 공비화시켜 모든 물이 완전히 제거되게 하였다. 부산물로서 염화리튬을 갖는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서 사용하였다. LC-MS: m/z (ES) = 155 (MH)+.
중간체 28
3- 메틸 -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2,1-c][1,2,4]트리아졸 -7- 카복실산(i-28) 의 제조
Figure pat00110
단계 A: 에틸 3- 메틸 -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2,1-c][1,2,4]트리아졸 -7-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11
문헌[참조; Lawson, Edward C, etc., Tet. Lett. 41 (2000) p. 4533-4536]
50mL 환저 플라스크 속에서 디클로로메탄 30mL에 시판 에틸 2-옥소피롤리딘-3-카복실레이트(2.50g, 15.91mmol)를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트리메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59g, 17.5mmol)를 고체로서 가하고, 디클로로메탄 20mL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며, LC/MS 결과 중간체 메틸 5-메톡시-3,4-디하이드로-2H-피롤-4-카복실레이트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점에서, 아세토하이드라지드(1.18g, 15.91mmol)를 고체로서 혼합물에 도입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모든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다음 잔류물을 n-부탄올 100mL에 용해시키고, 이를 120℃로 설정된 오일 욕에서 밤새 환류되도록 가열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90:10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용매 시스템으로 용출시키면서 16개 1500㎛ 실리카 겔 제조용 플레이트를 통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85:15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로부터 추출하여 표제 화합물(454mg, 1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12

단계 B: 3- 메틸 -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2,1-c][1,2,4]트리아졸 -7- 카복실산
Figure pat00113
THF/물/MeOH 중의 에틸 6,7-디하이드로-5H-피롤로[2,1-c][1,2,4]-트리아졸-7-카복실산(400mg, 2.05mmol)의 용액에 LiOH(250mg, 10.25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오일 욕을 통해 16시간 동안 6O℃로 가열하였다. (환저 플라스크에 응축기를 장착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수성 층을 2N HCl를 사용하여 pH ~5로 되도록 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톨루엔(2 x 20mL)으로 공비화하여 모든 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하였다. 부산물로서 염화리튬을 갖는 물질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서 사용하였다. LC-MS: m/z (ES) = 168 (MH)+.
중간체 29
3- 메틸 -5,6,7,8- 테트라하이드로 -[1,2,4] 트리아졸로 [4,3-α]피리딘-8- 카복실 산(i-29)의 제조
Figure pat00114
에틸 2-옥소피롤리딘-3-카복실레이트를 에틸 2-옥소피페리딘-3-카복실레이트로 대체하여 상기 중간체 28(i-28)에 밝혀진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LC-MS: m/z (ES) = 182 (MH)+.
중간체 30
3- 메틸 -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2,1-c][1,2,4]트리아졸 -5- 카복실산(i-30) 의 제조
Figure pat00115
에틸 2-옥소피롤리딘-3-카복실레이트를 메틸 5-옥소피롤리딘-2-카복실레이트로 대체하여 상기 중간체 28(i-28)에 밝혀진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LC-MS: m/z (ES) = 168 (MH)+.
중간체 31
[6- 옥소피리다진 -1(6H)-일]아세트산(i-31)의 제조
Figure pat00116
메탄올(40mL) 중의 3-클로로-6-옥소피리다진-1(6H)-일]아세트산(1.00g, 5.30mmol)에 10% Pd/C 100mg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H2 벌룬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셀라이트를 통해 Pd를 여과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17

중간체 32
[2- 옥소피리미딘 -1(2H)-일]아세트산(i-32)의 제조
Figure pat00118
2-하이드록시피리미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0g, 7.54mmol) 및 클로로아세트산(0.713g, 7.54mmol)에 5N 수산화나트륨 용액(4.5m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2M 염산(3.8mL)을 사용하여 중화시킨 후, 표제 화합물을 결정화 및 여과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 수집하였다.
Figure pat00119

중간체 33
2-[2- 옥소피리미딘 -1(2H)-일]프로판산(i-33)의 제조
Figure pat00120
2-하이드록시피리미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7g, 9.54mmol)에 5N 수산화나트륨 용액(5.7mL)을 가한 다음 (2S)-2-브로모프로판산(0.95mL, 11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이를 2N 염산(4.8mL)을 사용하여 중화시킨 다음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5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직접 정제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169.1 (M+l).
중간체 34
[6- 옥소피리미딘 -1(6H)-일]아세트산(i-34)의 제조
Figure pat00121
피리미딘-4(3H)-온(0.608g, 6.33mmol)에 5N 수산화나트륨 용액(2.5mL)을 가한 다음 클로로아세트산(0.598g, 6.33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이를 2N 염산(3.2mL)을 사용하여 중화시킨 다음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직접 정제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22

중간체 35
2-[6- 옥소피리미딘 -1(6H)-일]프로판산(i-35)의 제조
Figure pat00123
피리미딘-4(3H)-온(0.908g, 9.45mmol)에 5N 수산화나트륨 용액(3.8mL)을 가한 다음 (2R)-2-브로모프로판산(0.95mL, 11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이를 2M 염산(5.2mL)으로 중화시킨 다음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직접 정제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24

중간체 36
[5-옥소-1,6- 나프티리딘 -6(5H)-일]아세트산(i-36)의 제조
Figure pat00125
1,6-나프티리딘-5(6H)-온(0.625g, 4.28mmol)에 5M 수산화나트륨 용액(1.7mL)을 가한 다음 클로로아세트산(0.404g, 4.28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2N 염산(2.1mL)을 사용하여 중화시킨 후, 표제 화합물을 여과에 의해 황색 고체로서 수집하였다.
Figure pat00126

중간체 37
[4- 메틸 -6- 옥소피리다진 -1(6H)-일]아세트산(i-37)의 제조
Figure pat00127
단계 A: 에틸 [4- 메틸 -6- 옥소피리다진 -1(6H)-일]아세테이트
Figure pat00128
95% 에탄올(20mL) 중의 5-하이드록시-4-메틸푸란-2(5H)-온(1.19g, 10.4mmol) 및 에틸 하이드라지노아세테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61g, 10.4mmol)를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Biotage Horizon® 시스템(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혼합물)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에틸 [4-메틸-6-옥소피리다진-1(6H)-일]아세테이트를 황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219.2 (M+23).
단계 B: [4- 메틸 -6- 옥소피리다진 -1(6H)-일]아세트산
Figure pat00129
테트라하이드로푸란(3mL), 메탄올(2mL) 및 물(2mL) 중의 에틸 [4-메틸-6-옥소피리다진-1(6H)-일]아세테이트(0.575g, 2.93mmol)에 1N 수산화리튬 용액(2.9m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중화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5%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직접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밤새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169.2 (M+ 1).
중간체 38
2-[4- 메틸 -6- 옥소피리다진 -1(6H)-일]프로판산(i-38)의 제조
Figure pat00130
-78℃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4mL) 중의 에틸 [4-메틸-6-옥소피리다진-1(6H)-일]아세테이트(0.132g, 0.673mmol)에 1M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잔 용액(0.74m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요오다이드(0.046mL, 0.74mmol)를 가하였다.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0.5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Biotage Horizon® 시스템(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혼합물)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에틸 2-[4-메틸-6-옥소피리다진-1(6H)-일]프로파노에이트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0.3mL), 물(0.2mL) 및 메탄올(0.2mL) 중의 상기 오일 88mg(0.42mmol)에 5N 수산화나트륨 용액(0.2mL)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N 염산을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였다.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183.2 (M+l).
중간체 39 및 40
2-[6- 옥소피리다진 -1(6H)-일]프로판산 및 2-( 피리다진 -3- 일옥시 )프로판산(i-39 및 i-40)의 제조
Figure pat00131
3(2H)-피리다지논(1.19g, 12.3mmol)에 5N 수산화나트륨 용액(4.9mL)을 가한 다음 (2S)-2-브로모프로판산(1.11mL, 12.3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2M 염산(6.2m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직접 정제하였다. O-알킬화 생성물 2-(피리다진-3-일옥시)프로판산이 빨리 용출되었다. 순수한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두 개의 표제 화합물 둘 다를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32

중간체 41
[2- 옥소피라진 -1(2H)-일]아세트산(i-41)의 제조
Figure pat00133
피라진-2(lH)-온(0.333g, 3.47mmol)에 5N 수산화나트륨 용액(2.1mL)을 가한 다음 클로로아세트산(0.524g, 5.54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2N 염산(3.5m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직접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밤새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155.2 (M+l).
중간체 42 및 43
2-[3- 메틸 -6- 옥소피리다진 -1(6H)-일]프로판산 및 2-[(6- 메틸피리다진 -3-일)옥시]프로판산(i-42 및 i-43)의 제조
Figure pat00134
6-메틸피리다진-3(2H)-온(0.510g, 4.63mmol)에 5N 수산화나트륨 용액(1.85mL)을 가한 다음 2-브로모프로판산(0.709g, 4.63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2M 염산(5.0m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역상 HPLC(TMC Pro-Pac C18; 8 내지 2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직접 정제하였다. O-알킬화 생성물이 빨리 용출되었다. 순수한 분획을 수집하고 밤새 동결건조시켜 두 개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183.2 (M+1).
Figure pat00135

중간체 44
[(6S)-4-옥소-4,6,7,8-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피리미딘 -6- 카복실산(i- 44)의 제조
Figure pat00136
단계 A: 메틸 [(6S)-4-옥소-4,6,7,8-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피리미딘 -6-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37
메틸 (2S)-5-메톡시-3,4-디하이드로-2H-피롤-2-카복실레이트(4.19g, 26.6mmol) 및 3-아자트리사이클로[4.2.1.0.2,5]논-7-엔-4-온(2.4g, 17.8mmol)을 11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Biotage Horizon® 시스템(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혼합물)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메틸 [6(S)-4-옥소-4,6,7,8-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l,2-']피리미딘-6-카복실레이트 및 중간체 메틸 (7S)-9-옥소-3,8-디아자테트라사이클로[9.2.1.02,10.04,8]테트라데카-3,12-디엔-7-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중간체를 150℃에서 45분 동안 가열하여 표제 화합물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서 수득하였다. LC/MS 195.2 (M+1).
단계 B: [(6S)-4-옥소-4,6,7,8-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피리미딘 -6- 카복실산
Figure pat00138
테트라하이드로푸란(60mL), 메탄올(40mL) 및 물(40mL) 중의 수산화리튬의 용액(3.32g, 77mmol) 중의 메틸 [6(S)-4-옥소-4,6,7,8-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피리미딘-6-카복실레이트(9.95g, 51.2mmol)를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N 염산(38.5mL)을 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중화시킨 다음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직접 정제하였다. O-알킬화 생성물이 빨리 용출되었다. 순수한 분획을 수집하고 밤새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39

중간체 45
5,6- 디하이드로 -4H- 피롤로[1,2-b]피라졸 -6- 카복실산 (i-45)
Figure pat00140
단계 A: 7-( 트리메틸실릴 )-5- 옥소헵트 -6- 이노산
Figure pat00141
당해 중간체는 문헌[참조; Nayyar, N. K.; Hutchison, D. R.; Martinelli, M. J. J. Org. Chem. 1997, 62, 982]에 밝혀진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B: (5Z)-5-[(3급- 부톡시카보닐 ) 하이드라조노 ]-7-( 트리메틸실릴 ) 헵트 -6-이노산
Figure pat00142
질소 대기하에 IPA 750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7-(트리메틸실릴)-5-옥소헵트-6-이노산 54.0g(254mmol)의 교반 용액에 3급-부틸 카바제이트 33.6g(254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로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77g, 93%). LC-MS: m/z (ES) 327 (MH)+.
단계 C: 4-[1-(3급- 부톡시카보닐 )-1H- 피라졸 -3-일]부탄산
Figure pat00143
THF 500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5Z)-5-[(3급-부톡시카보닐)하이드라조노]-7-(트리메틸실릴)헵트-6-이노산 77.0g(236mmol)의 교반 용액에 THF 중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1.0M 용액 350mL(350mmol)를 30분에 걸쳐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5% 아세트산 수용액 IL로 희석시키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3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2 x 100mL) 및 염수(150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3% 아세트산과 35% 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60g, 정량적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255 (MH)+.
단계 D: 3급-부틸 3-[4-( 벤질옥시 )-4- 옥소부틸 ]-1H- 피라졸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44
DMF 400mL 중의 위의 단계 C로부터의 4-[1-(3급-부톡시카보닐)-1H-피라졸-3-일]부탄산 60.0g(236mmol)의 교반 용액에 탄산칼륨 48.9g(354mmol)을 가한 다음 벤질 브로마이드 40.0mL(300mmol)를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3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55.6g. 68.4%)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345 (MH)+.
단계 E: 3급-부틸 3-[4-( 벤질옥시 )-3- 브로모 -4- 옥소부틸 ]-1H- 피라졸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45
-78℃에서 질소 대기하에 무수 THF 250mL 중의 위의 단계 D로부터의 3급-부틸 3-[4-(벤질옥시)-4-옥소부틸]-1H-피라졸-1-카복실레이트 27.5g(80.0mmol)의 교반 용액에 무수 THF 중의 나트륨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의 1.0M 용액 88mL(88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진황색 용액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클로로트리메틸실란 12mL(96mmol)를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5분 동안 교반하며, 이 시간 동안 반응물이 담황색으로 되었다. 이어서, 고체 N-브로모석신이미드 16g(88mmol)을 한번에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78℃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시간에 걸쳐 0℃로 서서히 가온시켰다. 반응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2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NMR에 의해 조 생성물은 출발 물질과 목적하는 생성물의 1:1 혼합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서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LC-MS: m/z (ES) 424 (MH)+.
단계 F: 벤질 5,6- 디하이드로 -4H- 피롤로[1,2-b]피라졸 -6-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46
디클로로메탄 50mL 중의 위의 단계 E로부터의 3급-부틸 3-[4-(벤질옥시)-3-브로모-4-옥소부틸]-1H-피라졸-1-카복실레이트 16.9g(40.0mmol)의 교반 용액에 TFA 50m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톨루엔 50mL로 희석시키고, 진공에서 다시 증발시켜 모든 잔류성 TFA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조 물질을 무수 아세톤 125mL에 용해시키고, 고체 탄산칼륨 14.0g(100mmol)을 15분에 걸쳐 서서히 가한 다음 요오드화나트륨 1.2g(8.0mmol)을 가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을 환류하에 16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100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x 1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10 내지 8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2g(64% 수율)을 투명한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243 (MH)+.
단계 G: 5,6- 디하이드로 -4H- 피롤로[1,2-b]피라졸 -6- 카복실산
Figure pat00147
질소 대기하에 100mL 환저 플라스크에 10중량% Pd/활성 C 0.600mg(0.560mmol)을 충전하고, 에탄올 10mL로 습윤시켰다. 이어서, 에탄올 40mL 중의 위의 단계 F로부터의 벤질 5,6-디하이드로-4H-피롤로[1,2-b]피라졸-6-카복실레이트 6.0g(0.025mol)의 용액을 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1atm 하에 두었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패드를 에탄올 20mL로 세척하고,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3.7g, 정량적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48

중간체 46
(3S)-5-옥소-1,2,3,5-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 -3- 카복실산 (i-46)
Figure pat00149
단계 A: (3S,9S)-5-옥소-1,2,3,5,6,8a- 헥사하이드로인돌리진 -3- 카복실산 틸 에스테르
Figure pat00150
당해 중간체는 문헌[참조; Hanessian, S.; Sailes, H.; Munro, A.; Therrien, E. J. Org. Chem. 2003, 68, 7219 and Vaswani, R. G.; Chamberlin, R. J. Org. Chem. 2008, 73, 1661]에 밝혀진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B: 메틸 (3S)-5-옥소-1,2,3,5-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 -3-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51
디클로로메탄 50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3S,9S)-5-옥소-1,2,3,5,6,8a-헥사하이드로인돌리진-3-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0.850g(4.06mmol)의 교반 용액에 산화망간(IV) 6.30g(72.5mmo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0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1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검(0.47g, 55% 수율)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94 (MH)+.
단계 C: (3S)-5-옥소-1,2,3,5-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 -3- 카복실산
Figure pat00152
THF 3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메틸 (3S)-5-옥소-1,2,3,5-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3-카복실레이트 0.200mg(1.00mmol)의 교반 용액에 1.0M LiOH 수용액 1.5mL(1.5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염화수소의 1.0M 수용액 2.0mL(2.0mmol)로 켄칭시켰다.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수성 상을 클로로포름 혼합물 중의 30% IPA(3 x 5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0.17g, 92%)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53

중간체 47
2-(2-( 벤질아미노 )-2- 옥소에틸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d]티아졸 -4-카 복실 산(i-47)
Figure pat00154
표제 화합물은 티오아세트아미드 대신에 3-아미노-N-벤질-3-티옥소판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i-7에 대해 사용된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LC-MS: m/z (E/S) 317 (MH)+.
중간체 48
4- 클로로 -5- 피리미디닐 아세트산(i-48)
Figure pat00155
단계 A: 에틸 (4- 클로로 -5- 피리미디닐 )아세테이트
Figure pat00156
당해 물질은 문헌[참조; Zymalkowski and Reimann et al. Archiv. Der. Pharmazie 1966, 299, 362]의 과정에 따라 합성하였다.
단계 B: 4- 클로로 -5- 피리미디닐 아세트산
Figure pat00157
물 0.5mL 및 에탄올 1.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에틸 (4-클로로-5-피리미디닐) 아세테이트 0.6g(3mmo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수화물 215mg(5.11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2.0M 수성 염화수소 7mL로 희석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0.43g, 83%)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58

중간체 49
4- 메톡시 -5- 피리미디닐 아세트산(i-49)
Figure pat00159
단계 A: 메틸 (4- 메톡시 -5- 피리미디닐 ) 아세테이트
무수 메탄올 10mL 중의 에틸 (4-클로로-5-피리미디닐) 아세테이트(i-48, 단계 A 참조) 0.250g(1.25mmol)의 용액에 나트륨 금속 0.060g(2.50mmol)을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마이크로파 조건하에서 12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3 x 1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검(0.21g, 93%)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61

단계 B: 4- 메톡시 -5- 피리미디닐 아세트산
Figure pat00162
물 0.5mL 및 에탄올 1.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메틸 (4-메톡시-5-피리미디닐) 아세테이트 0.21g(1.14mmol)의 교반 용액에 수산화리튬 수화물 81mg(1.9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진공에서 농축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2.0M 수성 염화수소 3mL로 희석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191mg, 90%)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63

중간체 50
2-(4- 메톡시피리미딘 -5-일)프로판산(i-50)
Figure pat00164
단계 A: 에틸 2-(4- 클로로피리미딘 -5-일) 프로파노에이트
Figure pat00165
질소 대기하에 무수 THF 75mL 중의 에틸 (4-클로로-5-피리미디닐) 아세테이트(i-48, 단계 A 참조) 5.8g(29mmol)의 교반 냉각(-78℃) 용액에 무수 THF 중의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2.0M 용액 15.2mL(30.4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요오도메탄 2.26mL(36.1mmol)를 5분에 걸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45분에 걸쳐 -20℃로 가온되도록 한 다음 15분 동안 0℃로 가온시켰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추출하고, 디클로로메탄 5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g, 3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66

단계 B: 메틸 2-(4- 메톡시피리미딘 -5-일) 프로파노에이트
Figure pat00167
무수 메탄올 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에틸 2-(4-클로로피리미딘-5-일)프로파노에이트 0.250g(1.17mmol)의 용액에 나트륨 금속 0.054g(2.34mmol)을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마이크로파 조건하에서 12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3 x 1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검(0.21g, 93%)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68

단계 C: 2-(4- 메톡시피리미딘 -5-일)프로판산
Figure pat00169
물 0.5mL 및 에탄올 1.5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메틸 2-(4-메톡시피리미딘-5-일)프로파노에이트 0.21g(1.06mmol)의 교반 용액에 수산화리튬 수화물 81mg(1.9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2.0N 수성 염화수소 3mL로 희석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70mg, 36%)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70

중간체 51
2-(2- 옥소피리딘 -1(2H)-일)프로판산(i-51)
Figure pat00171
단계 A: 3급-부틸 2-(2- 옥소피리딘 -1(2H)-일) 프로파노에이트
Figure pat00172
DMF 250mL 중의 2-하이드록시피리딘 9.5g(0.10mol)의 교반 용액에 탄산칼륨 16.6g(0.120mol)을 가한 다음 2-브로모프로피온산 3급-부틸 에스테르 25.0g(0.120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IL로 희석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200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물(2 x 100mL), 염수(100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25%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g(72%)을 투명한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224 (MH)+
단계 B: 2-(2- 옥소피리딘 -1(2H)-일)프로판산
Figure pat00173
질소 대기하에 무수 1,4-디옥산 10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3급-부틸 2-(2-옥소피리딘-1(2H)-일)프로파노에이트 16.6g(74.4mmol)의 교반 현탁액에 1,4-디옥산 중의 4.0M 염화수소 용액 150mL를 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12.4g, 정량적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68 (MH)+
중간체 52
2-(2-옥소-1,3- 옥사졸리딘 -3-일)프로판산(i-52)
Figure pat00174
단계 A: 벤질 (2-옥소-1,3- 옥사졸리딘 -3-일)아세테이트
Figure pat00175
무수 DMF 10mL 중의 (2-옥소-1,3-옥사졸리딘-3-일)아세트산 1.0g(6.9mmol)의 교반 용액에 탄산칼륨 1.0g(7.6mmol)을 가한 다음 벤질 브로마이드 1.0mL(8.3mmo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로 켄칭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25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물(2 x 10mL), 염수(10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50g(3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236 (MH)+.
단계 B: 벤질 2-(2-옥소-1,3- 옥사졸리딘 -3-일) 프로파노에이트
Figure pat00176
-78℃에서 질소 대기하에 무수 THF 1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벤질 (2-옥소-1,3-옥사졸리딘-3-일)아세테이트 0.50g(2.1mmol)의 교반 용액에 무수 THF 중의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2.0M 용액 1.2mL(2.4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황색 용액을 -78℃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요오도메탄 0.0360g(2.55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서서히 가온시키면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켄칭시켰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20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37g(70%)을 투명한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250 (MH)+.
단계 C: 2-(2-옥소-1,3- 옥사졸리딘 -3-일)프로판산
Figure pat00177
질소 대기하에 25mL 환저 플라스크에 10중량% Pd/활성 C 0.030g(0.028mmol)을 충전하고, 에탄올 2mL로 습윤시켰다. 이어서, 에탄올 10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벤질 2-(2-옥소-1,3-옥사졸리딘-3-일)프로파노에이트 0.37g(1.5mmol)의 용액을 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1atm 하에 두었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패드를 에탄올 20mL로 세척하고,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0.24g, 정량적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78

중간체 53
2-(2H-1,2,3- 트리아졸 -2-일)프로판산(i-53)
Figure pat00179
중간체 53은 i-51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2H-1,2,3-트리아졸-2-일아세트산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z (ES) 142.2 (MH)+.
중간체 54
6,7- 디하이드로 -5H- 사이클로펜타[b]피리딘 -7- 카복실산 , 트리플루오로아세트 산 염(i-54)
Figure pat00180
헥산 중의 1.6M n-부틸 리튬 용액 16mL(25mmol)의 냉각(0℃) 용액에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3.9mL(25mmol)를 가한 다음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mL 중의 2,3-사이클로펜테노피리딘 3.0mL(25mmol)의 용액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한 다음 무수 이산화탄소를 반응 혼합물을 통해 1시간 동안 버블링시켰다. 이어서, 고체 침전물을 여과하고, 조 고체를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40% 아세토니트릴 중의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2.0g, 50%)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64.1 (MH)+.
중간체 55
2-옥소-2,5,6,7- 테트라하이드로 -1H- 사이클로펜타[b]피리딘 -7- 카복실산 (i-55)
Figure pat00181
단계 A: 메틸 6,7- 디하이드로 -5H- 사이클로펜타[b]피리딘 -7-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2
0℃에서 질소 대기하에 메탄올 10mL와 디에틸 에테르 10mL의 혼합물 중의 중간체 54 1.0g(6.1mmol)의 용액에 디에틸 에테르 중의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 2.0M 용액 9.0mL(18mmol)를 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빙초산 2mL로 켄칭시켰다.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검(1.0g, 92%)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77.1 (MH)+.
단계 B: 메틸 6,7- 디하이드로 -5H- 사이클로펜타[b]피리딘 -7- 카복실레이트 1-옥사이드
Figure pat00183
디클로로메탄 30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메틸 6,7-디하이드로-5H-사이클로펜타[b]피리딘-7-카복실레이트 1.53g(8.47mmol)의 냉각(0℃) 용액에 m-CPBA 1.61g(9.31mmol)을 가하였다.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50mL로 켄칭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3 x 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LC-MS: m/z (E/S) 194.2 (MH)+.
단계 C: 메틸 2- 클로로 -6,7- 디하이드로 -5H- 사이클로펜타[b]피리딘 -7-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184
무수 DMF 0.2mL 중의 옥시염화인 0.21mL(2.28mmol)의 냉각(0℃) 용액에 클로로포름 15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메틸 6,7-디하이드로-5H-사이클로펜타[b]피리딘-7-카복실레이트 1-옥사이드 1.1g(5.69mmol)의 용액을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한 다음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냉수 30mL에 부었다. 수용액을 디에틸 에테르(3 x 30mL)로 추출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30mL로 단일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생성된 갈색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갈색 고체(0.30g, 25%)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212.0 (MH)+.
단계 D: 2-옥소-2,5,6,7- 테트라하이드로 -1H- 사이클로펜타[b]피리딘 -7- 카복실산
Figure pat00185
3:1:1 비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탄올 및 1.0N LiOH 수용액의 혼합물 15mL에 위의 단계 C로부터의 메틸 2-클로로-6,7-디하이드로-5H-사이클로펜타[b]피리딘-7-카복실레이트 0.242g(1.14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생성된 담갈색 잔류물을 역상 HPLC(YMC Pack Pro C18, 100 x 20mm I.D. 컬럼, 0 내지 60% 아세토니트릴 중의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184mg, 90%)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80.0 (MH)+.
중간체 56
2-(3- 메틸 -1H-1,2,4-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i-56)
Figure pat00186
단계 A: 3급-부틸 2-(3- 메틸 -1H-1,2,4- 트리아졸 -1-일) 프로파노에이트
Figure pat00187
DMF(75mL) 중의 3-메틸-1H-1,2,4-트리아졸(7.3g, 88mmol)의 용액에 K2CO3(60.7g, 439mmol) 및 2-브로모프로피온산 3급-부틸 에스테르(14.6mL, 88mmol)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500mL)로 희석시키고, 물(x 3)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이소헥산(20 내지 100%)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조 생성물 13g을 위치이성체의 3:1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4% 내지 30% IPA/헵탄의 구배로 키랄셀 OD로 정제하였다. 이어서, 처음 두 개의 피크를 4% IPA/헵탄으로 등용매적으로 용출시키면서 키랄셀 OD 컬럼으로 분리하였다. 제2 피크를 목적하는 단일 입체이성체 (R 또는 S)(2-(3-메틸-1H-1,2,4-트리아졸-1-일)프로판산 3급-부틸 에스테르)(3.5g, 19%)로서 수집하였다.
Figure pat00188
C10H17N3O2에 대한 계산된 ESI-MS: 정확한 질량: 211.13; 실측치 156.05(-tBu).
단계 B: 2-(3- 메틸 -1H-1,2,4-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
Figure pat00189
3급-부틸 2-(3-메틸-1H-1,2,4-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1.0g, 4.7mmol)를 디옥산 중의 4M HCl(100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고진공하에 건조시켜 (R 또는 S) 3급-부틸 2-(3-메틸-1H-1,2,4-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를 HCl 염(850mg)으로서 수득하였다.
C6H9N3O2에 대해 계산된 ESI-MS: 정확한 질량: 155.07; 실측치 156.05.
중간체 57
2-(1- 메틸 -1H- 피라졸 -3-일)프로판산(i-57)
Figure pat00190
단계 A: 벤질 프로피오네이트
무수 DMF 600mL 중의 프로피온산 17.0g(233mmol)의 용액에 벤질 브로마이드 39.9g(233mmol)을 가한 다음 Cs2CO3 76.0g(233mmol)을 소량씩 나누어 가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에 이어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헥산으로 세척하면서 실리카 겔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2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13.8g, 35%)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91

단계 B: 벤질 2-( 트리부틸스타닐 ) 아크릴레이트
무수 THF 2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벤질 프로피오네이트 6.42g(40.1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93g(0.80mmol)을 가한 다음 무수 THF 25mL 중의 트리부틸주석 하이드라이드 12.6g(42.1mmol)의 용액을 15분에 걸쳐 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시킨 다음 이를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15%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13g, 73%)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92

단계 C: 벤질 2-(1- 메틸 -1H- 피라졸 -3-일) 아크릴레이트
무수 THF 3mL 중의 3-요오도-1-메틸-1H-피라졸 0.30g(1.4mmol)의 용액에 무수 THF 1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벤질 2-(트리부틸스타닐)아크릴레이트 0.82g(1.8mmol)의 용액,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18g(0.15mmol) 및 염화구리(I) 0.14g(1.4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55℃로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감압하에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과 EtOAc의 1:1 혼합물 10mL에 용해시킨 다음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패드를 헥산과 EtOAc의 1:1 혼합물 15mL로 세척하고, 합한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80% EtOAc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0.23g, 66%)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265 (M+Na)+.
단계 D: 2-(1- 메틸 -1H- 피라졸 -3-일)프로판산
10% Pd/C 0.10mg(0.093mmol)에 메탄올 6mL 중의 위의 단계 C에서 제조한 벤질 2-(1-메틸-1H-피라졸-3-일)아크릴레이트(0.23g, 0.93mmol)의 용액을 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수소의 대기하에(1atm) 밤새 교반하였다. 잔류물을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패드를 냉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검(0.11g, 76%)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55 (MH)+.
중간체 58
2-(1,3-티아졸-2-일)프로판산(i-58)
Figure pat00193
단계 A: 에틸 2-(1,3-티아졸-2-일) 프로파노에이트
에틸 2-(1,3-티아졸-2-일)프로파노에이트은 문헌[참조; Dondoni, A.; Dall'Occo, T.; Giancarlo, F.; Fogagnolo, M.; Medici, A. Tetrahedron Letters, 1984, 25, 3633-3636]에 요약된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B: 2-(1,3-티아졸-2-일)프로판산
메탄올 1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에틸 2-(1,3-티아졸-2-일)프로파노에이트 0.26g(1.5mmol)의 용액에 5.0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0mL(15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메탄올을 제거하고, 수성 상을 pH 4에 도달할 때까지 2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산성화시켰다. 수용액을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25%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밤새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0.17g, 71%)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58 (MH)+.
중간체 59
2-(3- 메틸 -1H- 피라졸 -5-일)프로판산(i-59)
Figure pat00194
단계 A: 에틸 2- 메틸 -3,5- 디옥소헥사노에이트
에틸 2-메틸-3,5-디옥소헥사노에이트는 문헌[참조; Solladie, G.; Gehrold, N.; Maignan, J. Eur. J. Org. Chem., 1999, 2309-2314]에 요약된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B: 에틸 2-(3- 메틸 -1H- 피라졸 -5-일) 프로파노에이트
THF 200mL 및 물 50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에틸 2-메틸-3,5-디옥소헥사노에이트 18.6g(100mmol)의 용액에 무수 하이드라진 3.45mL(110mmol)를 가하였다. 2상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황색 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50g 실리카 겔 플러그를 통해 수세하였다. 이어서, 여액을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1.89g, 10%)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95

단계 C: 2-(3- 메틸 -1H- 피라졸 -5-일)프로판
메탄올 20mL 및 물 5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에틸 2-(3-메틸-1H-피라졸-5-일)프로파노에이트 1.24g(6.8mmol)의 용액에 5.0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5mL(7.5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75mL)로 추출한 다음 pH 4에 도달할 때까지 2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산성화시켰다.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5 x 50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검(0.80g, 76%)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96

중간체 60
2-(1H- 피라졸 -5-일)프로판산(i-60)
Figure pat00197
중간체 60은 중간체 59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시판 에틸 포르메이트 및 에틸 2-메틸-3-옥소부타노에이트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8

중간체 61
(2-옥소-1,3- 옥사지난 -3-일)아세트산(i-61)
Figure pat00199
단계 A: 1,3- 옥사지난 -2-온
무수 디클로로메탄 260mL 중의 1,1'-카보닐디이미다졸 4.75g(29.3mmol)의 용액에 DIEA 4.6mL(27mmol)를 가한 다음 3-아미노프로판-1-올 2.00g(27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켄칭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디클로로메탄(2 x 3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내지 15% 메탄올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검(0.20g, 7.6%)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00

단계 B: 메틸 (2-옥소-1,3- 옥사지난 -3-일)아세테이트
무수 DMF 2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1,3-옥사지난-2-온 0.20g(2.0mmol)의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광유 중의 60% 수소화나트륨 현탁액 0.13g(3.2mmol)을 함유하는 10mL 환저 플라스크에 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0.37g(2.4mmol)을 한번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5mL로 켄칭시킨 다음 물 20mL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물(2 x 3mL), 염수(1 x 3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메탄올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 오일(0.068g, 20%)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01

단계 C: (2-옥소-1,3- 옥사지난 -3-일)아세트산
THF 6mL, 물 2mL 및 메탄올 2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메틸 (2-옥소-1,3-옥사지난-3-일)아세테이트 0.068g(0.39mmol)의 용액에 2.0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60mL(1.2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메탄올과 THF를 제거하였다. 수성 상을 pH 2에 도달할 때까지 2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클로로포름 중의 30% 이소프로필 알콜 혼합물(3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0.06g, 99%)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02

중간체 62
(3- 메틸 -2- 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 -1(2H)-일)아세트산(i-62)
Figure pat00203
단계 A: 1-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 -2(1H)-온
무수 디클로로메탄 113mL 중의 1,1'-카보닐디이미다졸 10.1g(62.4mmol)의 용액에 DIEA 10.0mL(56.7mmol)를 가한 다음 N-메틸프로판-1,3-디아민 5.00g(56.7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켄칭시켰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디클로로메탄(2 x 50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5 내지 15% 메탄올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검(0.700g, 10.0%)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04

단계 B: 3급-부틸(3- 메틸 -2- 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 -1(2H)-일)아세테이트
무수 DMF 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1-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 0.30g(2.6mmol)의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광유 중의 60% 수소화나트륨 현탁액 0.16g(4.2mmol)을 함유하는 10mL 환저 플라스크에 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3급-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 0.62g(3.2mmol)을 한번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5mL로 켄칭시킨 다음 물 20mL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물(2 x 3mL), 염수(1 x 3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0 내지 5% 메탄올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 오일(0.090g, 15%)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05

단계 C: (3- 메틸 -2- 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 -1(2H)-일)아세트산
무수 디클로로메탄 4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3급-부틸 (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아세테이트 0.090g(0.39mmol)의 용액에 TFA 1m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검(0.68g, 99%)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73 (MH)+.
중간체 63
(3- 메틸 -2- 옥소이미다졸리딘 -1-일)아세트산(i-63)
Figure pat00206
(3-메틸-2-옥소이미다졸리딘-1-일)아세트산은 중간체 62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시판 N-메틸에탄-1,2-디아민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7

중간체 64
2-(3- 메틸[1,2,4]트리아졸로 [4,3-α]피리딘-8-일)프로판산(i-64)
Figure pat00208
단계 A: N' -(3- 브로모피리딘 -2-일) 아세토하이드라지드
무수 1,4-디옥산 10mL 중의 2,3-디브로모피리딘 0.800g(3.38mmol)의 용액에 무수 하이드라진 0.325g(10.1mmo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8시간 동안 85℃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질소 대기하에 드라이 아이스 아세톤 욕에서 -78℃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0mL(6.8mmol)를 가한 다음 아세틸 클로라이드 0.210g(2.72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한 다음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 20mL에 현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0.18g, 23%)을 수득하였다. LC- MS: m/z (ES) 230, 232 (MH)+ 및 188, 190 (MH-COCH3)+.
단계 B: 8- 브로모 -3- 메틸[1,2,4]트리아졸로 [4,3-α]피리딘
무수 톨루엔 40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N'-(3-브로모피리딘-2-일)아세토하이드라지드 0.17g(0.74mmol)의 용액에 빙초산 3m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딘-스탁 트랩(Dean-Stark trap)을 사용하여 20시간 동안 환류되도록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0.13g, 84%)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212, 214 (MH)+.
단계 C: 벤질 2-(3- 메틸[1,2,4]트리아졸로 [4,3-α]피리딘-8-일) 아크릴레이트
무수 THF 4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8-브로모-3-메틸[1,2,4]트리아졸로[4,3-α]피리딘 0.13g(0.61mmol)의 용액에 무수 THF 1mL 중의 벤질 2-(트리부틸스타닐)아크릴레이트(중간체 62, 단계 B 참조) 0.36g(0.80mmol)의 용액,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11g(0.09mmol) 및 염화구리(I) 0.067g(0.67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60℃로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패드를 디클로로메탄 15mL로 세척하고, 합한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0-6% 메탄올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13g, 73%)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294 (MH)+.
단계 D: 2-(3- 메틸[1,2,4]트리아졸로 [4,3-α]피리딘-8-일)프로판산
10% Pd/C 0.040g(0.038mmol)에 메탄올 4mL 중의 위의 단계 C에서 제조한 벤질 2-(3-메틸[1,2,4]트리아졸로[4,3-α]피리딘-8-일)아크릴레이트(0.080g, 0.27mmol)의 용액을 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수소 대기하에서(1atm)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잔류물을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패드를 냉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0.043g, 77%)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206 (MH)+.
중간체 65
4- 메톡시 -2-(1H- 피라졸 -1-일)부탄산(i-65)
Figure pat00209
단계 A: 메틸 4- 메톡시 -2-(1H- 피라졸 -1-일) 부타노에이트
질소 대기하에 무수 THF 15mL 중의 메틸 4-메톡시부타노에이트 1.32g(10.0mmol)의 교반 냉각(-78℃)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의 LiHMDS 1.0M 용액 10.5mL(10.5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클로로트리메틸실란 1.09g(10mmol)을 가하였다. 20분 동안 교반한 후, 고체 N-브로모석신이미드 1.78g(10.0m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40분에 걸쳐 주위 온도로 서서히 가온시켰다. 반응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켄칭시킨 다음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2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DMF 15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 5.5g(40mmol)을 가한 다음 1H-피라졸 3.4g(50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0분 동안 80℃로 가열한 다음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반응물을 물 75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75%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6g, 13%)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199 (MH)+.
단계 B: 4- 메톡시 -2-(1H- 피라졸 -1-일)부탄산
메탄올 2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메틸 4-메톡시-2-(1H-피라졸-1-일)부타노에이트 0.045g(0.23mmol)의 교반 용액에 물 0.5mL 중의 수산화칼륨 0.032g(0.57mmol)의 용액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pH 4에 도달할 때까지 2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증발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0.040g, 95%)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185 (MH)+.
중간체 66
(5S)-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1,2-b][1,2,4]트리아졸 -5- 카복실산 (i-66)
Figure pat00210
단계 A: (5S)-1-아미노-5-[( 트리틸옥시 ) 메틸 ] 피롤리딘 -2-온
Figure pat00211
질소 대기하에 1,2-디메톡시에탄 10mL 중의 (S)-트리틸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디논 0.550g(1.54mmol)의 냉각(0℃) 용액에 광유 중의 60% 수소화나트륨 현탁액 0.123g(3.08mmol)을 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디에틸 에테르 5mL 중의 2-[(아미노옥시)설포닐]-1,3,5-트리메틸벤젠 0.828g(3.85mmol)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소량씩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주위 온도로 가한 다음 여과하였다. 잔류물(filtrand)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여액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연속해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 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고체는 수소화나트륨으로부터의 광유로 오염되어 있으며 0.6g(정량적 수율)으로 칭량되었다. LC-MS: m/z (ES) 395 (M+Na)+.
단계 B: (5S)-5-[( 트리틸옥시 ) 메틸 ]-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1,2-b][1,2,4]트리아졸
Figure pat00212
무수 DMF 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5S)-1-아미노-5-[(트리틸옥시)메틸]피롤리딘-2-온 0.540g(1.45mmol)의 교반 용액에 포름아미드 0.327g(7.25mmol)을 가한 다음 염화아연(II) 0.050g(0.36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160℃로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5mL로 희석시켰다. 용액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물에 이어 염수로 연속해서 세척하고, 유기 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헥산 중의 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7g, 49%)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382 (MH)+.
단계 C: (5S)-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1,2-b][1,2,4]트리아졸 -5- 일메탄올
Figure pat00213
위의 단계 B로부터의 생성물, (5S)-5-[(트리틸옥시)메틸]-6,7-디하이드로-5H-피롤로[1,2-b][1,2,4]트리아졸 0.27g(0.71mmol)을 무수 1,4-디옥산 중의 염화수소의 4.0M 용액 35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메탄올 20mL로 켄칭시킨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TMC Pro-Pac C 18; 0 내지 9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50g, 50%)을 수득하였다. LC-MS: m/z (ES) 140 (MH)+.
단계 D: ((5S)-6,7- 디하이드로 -5H- 피롤로[1,2-b][1,2,4]트리아졸 -5- 카복실산
Figure pat00214
pH 6.7 수성 포스페이트 완충액 1mL 및 아세토니트릴 1mL 중의 위의 단계 C로부터의 (5S)-6,7-디하이드로-5H-피롤로[1,2-b][1,2,4]트리아졸-5-일메탄올 0.025g(0.18mmol)의 교반 용액에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옥실 0.0020g(0.013mmol), 아염소산나트륨 0.033g(0.36mmol)(33mg, 0.36mmol)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0.0044mL(0.0036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5℃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무수 1,4-디옥산 중의 염화수소의 4.0M 용액 1mL(4mmol)에 용해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70%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이어서, 생성물을 무수 1,4-디옥산 중의 염화수소의 4.0M 용액 1mL(4mmol)에 용해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염화수소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154 (MH)+.
중간체 67
2-(1,3-티아졸-4-일)프로판산(i-67)
Figure pat00215
단계 A: 에틸 2-(1,3-티아졸-4-일) 프로파노에이트
클로로포름 270mL 중의 에틸 2-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43.3g(300mmol)의 냉각(0℃) 용액에 클로로포름 30mL 중의 브롬 15.5mL(300mmol)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공기를 70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시킨 다음 용액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연한 오렌지색 오일 66.0g(99.0%)을 수득하였다. 무수 1,4-디옥산 400mL 중의 이러한 중간체 40.0g(180mmol)과 포름아미드 10.7mL(269mmol)의 냉각(0℃) 혼합물에 오황화인 15.0g(67.2mmo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시간 동안 93℃로 가열하였다. 밤새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염기성화시켰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3 x 300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물, 염수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MPLC(Biotage Horizon 2x 플래쉬 65i, 용출제: 100% 헥산(450ml)에 이어 100% 헥산으로부터 헥산 중의 25% EtOAc(2400ml)로 증가하는 구배에 이어 헥산 중의 25% EtOAc(1200ml))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렌지색 오일(20.0g, 60.0%)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16

단계 B: 2-(1,3-티아졸-4-일)프로판산
메탄올 25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에틸 2-(1,3-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 5.0g(27mmol)의 용액을 5N NaOH 수용액 6.6mL(33mmol), 물(16mL) 및 메탄올(30mL)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남은 수성 상의 pH를 진한 염화수소 용액을 사용하여 ~2.5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고체 염화나트륨으로 포화시키고, EtOAc(3 x 1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밤새 활성탄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 4.0g(95%)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17

중간체 68 및 69
(4R)-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d][1,3]티아졸 -4- 카복실산 (i-68) 및 (4S)-5,6-디하이드로-4H- 사이클로펜타[d][1,3]티아졸 -4- 카복실산 (i-69)
Figure pat00218
중간체 68 및 69는 중간체 47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에틸 2-옥소사이클로펜탄 카복실레이트로부터 제조하였다. 두 개의 에난티오머를 AD-H 컬럼 10% MeOH/90% CO2, 2.1ml/min 100bar 40℃를 사용하여 SFC CO2 S에 의해 분리하였다. 첫번째로 용출되는 에난티오머, (4S)-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d][1,3]티아졸-4-카복실산을 중간체 68(i-68)이라고 하고, 두번째로 용출되는 에난티오머, (4R)-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d][1,3]티아졸-4-카복실산을 중간체 69(i-69)라고 하였다.
Figure pat00219

중간체 70
2-(1,3-티아졸-4-일)부탄산(i-70)
Figure pat00220
2-(1,3-티아졸-4-일)부탄산은 중간체 26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시판 1,3-티아졸-4-일아세트산 및 에틸 요오다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21

중간체 71
4- 메틸 -1H-1,2,3- 트리아졸 -1-일 아세트산(i-71)
Figure pat00222
단계 A: 에틸 [4- 메틸 -5-( 트리메틸실릴 )-1H-1,2,3- 트리아졸 -1-일] 아세테이
톨루엔(2OmL) 중의 1-(트리메틸실릴)-1-프로인 2.0g(18mmol)의 용액에 에틸 아지도-아세테이트 2.3g(18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120℃로 가열한 다음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모든 휘발물질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5 내지 25% 아세톤 헥산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0.77g, 18%)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23

단계 B: 에틸 [4- 메틸 -1H-1,2,3- 트리아졸 -1-일]아세테이트
THF 2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에틸 [4-메틸-5-(트리메틸실릴)-1H-1,2,3-트리아졸-1-일]아세테이트 0.77g(3.2mmol)의 용액에 물 중의 50% 불화수소산의 용액 1.3mL(32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이어서, 메탄올 용액 중의 2.0N 암모니아 5m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다시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검(0.51g. 93%)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24

단계 C: [4- 메틸 -1H-1,2,3- 트리아졸 -1-일]아세트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mL), 메탄올(6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에틸 [4-메틸-1H-1,2,3-트리아졸-1-일] 아세테이트 0.51g(3.0mmol)의 용액에 1.0M 수산화리튬 수용액 6mL(6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N 염산 용액 8mL를 사용하여 중화시킨 다음 증발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0.40g, 95%)로서 수득하였다. LC/MS 142 (M+1).
중간체 72: 2-[4-( 메톡시카보닐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i-72) 및
중간체 73: 2-[5-( 메톡시카보닐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i-73)
Figure pat00225
단계 A: 메틸 1-(2-3급- 부톡시 -1- 메틸 -2- 옥소에틸 )-1H-1,2,3- 트리아졸 -4- 복실레이트 및 메틸 1-(2-3급- 부톡시 -1- 메틸 -2- 옥소에틸 )-1H-1,2,3- 트리아졸 -5- 카복실레이트 .
톨루엔 40mL 중의 메틸 프로프-2-이노에이트 1.87g(22.3mmol)의 용액에 3급-부톡시 2-아지도프로파네이트 1.9g(11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모든 휘발물질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5 내지 25% 아세톤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메틸 1-(2-3급-부톡시-1-메틸-2-옥소에틸)-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보다 낮은 Rf)(1.4g, 50%).
Figure pat00226
메틸 1-(2-3급-부톡시-l-메틸-2-옥소에틸)-1H-1,2,3-트리아졸-5-카복실레이트(보다 높은 Rf)(0.45g, 16%).
Figure pat00227

단계 B(i-72): 2-[4-( 메톡시카보닐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
무수 1,4-디옥산 3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메틸 1-(2-3급-부톡시-1-메틸-2-옥소에틸)-1H-1,2,3-트리아졸-P4-카복실레이트 0.55g(2.2mmol)의 교반 용액에 1,4-디옥산 중의 4.0M 염화수소 용액 2.7mL(11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0.40g, 93%)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28

단계 B(i-73): 2-[5-( 메톡시카보닐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
무수 1,4-디옥산 3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메틸 1-(2-3급-부톡시-1-메틸-2-옥소에틸)-1H-1,2,3-트리아졸-5-카복실레이트 0.40g(1.6mmol)의 교반 용액에 1,4-디옥산 중의 4.0M 염화수소 용액 2.7mL(11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0.27g, 87%)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200 (MH)+.
중간체 74
2-[4-( 아미노카보닐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i-74)
Figure pat00229
2-[4-(아미노카보닐)-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산은 중간체 52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시판 프로피오일아미드 및 3급-부틸 2-아지도프로파네이트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30

중간체 75 및 76
2-(4- 메틸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i-75) 및 2-(5- 메틸 -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산(i-76)
Figure pat00231
단계 A: 메틸 2-[4- 메틸 -5-( 트리메틸실릴 )-1H-1,2,3- 트리아졸 -1-일] 프로파노 에이트 및 메틸 2-[5- 메틸 -4-( 트리메틸실릴 )-1H-1,2,3- 트리아졸 -1-일] 프로파노에이트
톨루엔 20mL 중의 트리메틸(프로프-1-인-1-일)실란 1.9g(17mmol)의 용액에 메틸 2-아지도프로파노에이트 2.3g(18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 내지 25% 아세톤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메틸 2-[4-메틸-5-(트리메틸실릴)-1H-1,2,3-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 대 메틸 2-[5-메틸-4-(트리메틸실릴)-1H-1,2,3-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의 ~6:1 혼합물로서 수득하였으며, 무색 오일(3.0g, 80%)이다. LC-MS: m/z (ES) 242 (MH)+.
단계 B: 메틸 2-(4- 메틸 -1H-1,2,3- 트리아졸 -1-일) 프로파노에이트 메틸 2-(5-메틸-1H-1,2,3- 트리아졸 -1-일) 로파노에이트
THF 2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메틸 2-[4-메틸-5-(트리메틸실릴)-1H-1,2,3-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 및 메틸 2-[5-메틸-4-(트리메틸실릴)-1H-1,2,3-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 1.3g(5.4mmol)의 용액에 물 중의 50% 불화수소산의 용액 2.2mL(54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이어서, 메탄올 용액 중의 2.0N 암모니아 8mL를 가한 다음 혼합물을 다시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다음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메틸 2-(4-메틸-1H-1,2,3-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 대 메틸 2-(5-메틸-1H-1,2,3-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의 ~8:1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혼합물은 투명한 검(0.67g. 73%)이다. LC- MS: m/z (ES) 170 (MH)+.
단계 C: 2-(4- 메틸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산 및 2-(5- 메틸 -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산
에탄올 12mL 중의 위의 단계 B로부터의 메틸 2-(4-메틸-1H-1,2,3-트리아졸-l-일)프로파노에이트 및 메틸 2-(5-메틸-1H-1,2,3-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 0.76g(4.5mmol)의 용액에 1.0M 수산화리튬 수용액 13.5mL(13.5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pH 4에 도달할 때까지 2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증발시켜 모든 휘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2-(4-메틸-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산 및 2-(5-메틸-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산의 ~8:1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혼합물은 회백색 고체(0.50g, 58%)이었다. LC-MS: m/z (ES) 156 (MH)+.
중간체 77
3급-부틸 (2S,5R)-2-(4-{[(2S)-2- 아미노프로파노일 ]아미노}벤질)-5-[(R) 하이드록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77)
Figure pat00232
단계 A: 3급-부틸 (2S,5R)-2-{4-[((2S)-2-{[(9H- 플루오렌 -9- 일옥시 ) 카보닐 ]아미노} 프로파노일 )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20mL 중의 중간체 i-13a 1.85g(4.82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mL(7.24mmol)를 가한 다음 시판 9H-플루오렌-9-일 [(1S)-2-클로로-1-메틸-2-옥소에틸]카바메이트 1.67g(5.07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로 희석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3.2g). LC-MS: m/z (ES) 676 (MH)+.
단계 B: 3급-부틸 (2S,5R)-2-(4-{[(2S)-2- 아미노프로파노일 ]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무수 THF 3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3급-부틸 (2S,5R)-2-{4-[((2S)-2-{[(9H-플루오렌-9-일옥시)카보닐]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3.15g(4.65mmol)의 교반 용액에 피페리딘 0.396g(4.65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2시간 동안 35℃로 가열한 다음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여 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LC-MS: m/z (ES) 454 (MH)+.
중간체 78
3급-부틸 (2R,5S)-2-[(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5-(4-{[(2S)-2-( 메틸아미노 ) 프로파노일 ]아미노}벤질)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78)
Figure pat00233
단계 A: 3급-부틸 (2S,5R)-2-[4-({(2S)-2-[[(9H- 플루오렌 -9- 일옥시 ) 카보 닐]( 메틸 )아미노] 프로파노일 }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카 복실레이
질소 대기하에 디클로로메탄 4mL 중의 중간체 17 0.192g(0.5mmol)의 교반 용액에 시판 (2S)-2-[[(9H-플루오렌-9-일옥시)카보닐](메틸)아미노]프로판산 0.203g(0.625mmol)을 가한 다음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0.014g(0.10mmol)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44g(0.750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주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25mL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LC-MS: m/z (ES) 690 (MH)+.
단계 B: 3급-부틸 (2R,5S)-2-[(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5-(4-{[(2S)-2-( 메틸아미노 ) 프로파노일 ]아미노}벤질)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무수 THF 3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3급-부틸 (2S,5R)-2-[4-({(2S)-2-[[(9H-플루오렌-9-일옥시)카보닐](메틸)아미노]프로파노일}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0.410g(0.593mmol)의 용액에 피페리딘 0.152g(1.78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5mL로 희석시켰다. 혼합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LC-MS: m/z (ES) 468 (MH)+.
중간체 79
3급-부틸 (2R,5S)-2-[(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5-(4-{[(2R)-2-( 메틸아미노 ) 프로파노일 ]아미노}벤질)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79)
Figure pat00234
중간체 79는 중간체 78의 합성에 대해 요약된 과정에 따라 중간체 i-13a 및 시판 (2R)-2-[[(9H-플루오렌-9-일옥시)카보닐](메틸)아미노]프로판산으로부터 제조하였다. LC-MS: m/z (ES) 468 (MH)+.
중간체 80a 및 80b
3급-부틸 (2S,5R)-2-(4-아미노-3- 브로모벤질 )-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피롤리딘-1- 카복실레이트 (i-80a);
3급-부틸 (2R,5R)-2-(4-아미노-3- 브로모벤질 )-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피롤리딘-1- 카복실레이트 (i-80b)
Figure pat00235
단계 A: 3급-부틸 (2S,5R)-2-(4-아미노-3- 브로모벤질 )-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80a)
Figure pat00236
빙/수 욕을 통해 0℃로 냉각시킨 DMF(2mL) 중의 3급-부틸 (2S,5R)-2-(4-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i-13a, 214mg, 0.559mmol)의 용액에 NBS(100mg, 0.559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면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4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를 사용하여 Biotage Horizon MPLC를 통해 정제하여 생성물(232mg, 90%)을 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483 (MNa)+ 및 485 (MNa+2)+.
단계 B: 3급-부틸 (2R,5R)-2-(4-아미노-3- 브로모벤질 )-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i-80b)
Figure pat00237
빙/수 욕을 통해 0℃로 냉각시킨 DMF(1.5mL) 중의 3급-부틸 (2R,5R)-2-(4-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중간체 i-13b, 108mg, 0.282mmol)의 용액에 NBS(55.3mg, 0.311mmol)를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면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40%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를 사용하여 Biotage Horizon MPLC를 통해 정제하여 생성물(83.9mg, 64%)을 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483 (MNa)+ 및 485 (MNa+2)+.
생물학적 분석: 다음의 시험관내 분석이 선택적 β3 효능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선별하는데 적합하다:
기능적 분석: 리간드에 반응하는 cAMP 생산은 다음과 같이 변형시킨 문헌[참조; Barton, et al. (1991, Agonist-induced desensitization of D2 dopamine receptors in human Y-79 retinoblastoma cells. Mol. Pharmacol. v3229:650-658)]에 따라 측정한다. cAMP 생산은 균일 시분해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면역분석법(homogenous time-resolve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immunoassay)(LANCETM, 제조원; Perkin Elmer)을 사용하여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측정한다. 3일간의 계대배양(subculturing) 후, 클로닝된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β1, β2 또는 β3)로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inese hamster ovary, CHO) 세포를 수거한다. 세포의 수거는 효소-비함유 해리 매질(Enzyme-free Dissociation Media)(Specialty Media)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어서, 세포를 계수하고,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IBMX, 0.6mM)를 함유하는 분석 완충액[5mM HEPES, 0.1% BSA가 보충된 행크스 균형 염 용액(Hank's Balanced salt solution)]에 현탁시킨다. 6㎕ 중의 6,000개 세포를 6㎕의 알렉사 형광(Alexa Fluor) 표지된 cAMP 항체(LANCETM 키트)와 혼합한 다음 12㎕의 화합물(2X 최종 농도로 되도록 분석 완충액에서 희석시킴)을 함유하는 분석 웰에 가함으로써 반응을 개시한다. 반응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진행시키고, 24㎕의 검출 완충액(LANCETM 키트)을 첨가하여 종료시킨다. 이어서, 분석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퍼킨 엘머 엔비젼 판독기(Perkin Elmer Envision reader) 또는 등가물에서 시분해 형광을 측정한다. 형광 수준을 cAMP 표준 곡선과 비교함으로써 미지의 cAMP 수준을 결정한다.
비선택적 완전 효능제 β-아드레날린성 리간드 이소프로테레놀을 세개의 모든 수용체에서 사용하여 최대 자극을 측정한다. 사람 β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AR) 선택적 리간드 (S)-N-[4-[2-[[2-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녹시)프로필]아미노]에틸]-페닐]-4-요오도벤젠설폰아미드를 모든 분석에서 대조군으로서 사용한다. 이소프로테레놀을 10-10M 내지 10-5M의 분석에서의 최종 농도로 적정하고 선택적 리간드 (S)-N-[4-[2-[[2-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녹시)프로필]아미노]에틸]페닐]-4-요오도벤젠설폰아미드를 10-10M 내지 10-5M의 농도로 β3 수용체에서 적정한다. 미지의 리간드를 10-10M 내지 10-5M의 분석에서의 최종 농도로 모든 세개의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서브타입에서 적정하여 EC50을 결정한다. EC50은 자체의 최대치의 50% 활성화를 제공하는 화합물의 농도로서 정의된다. 데이타를 마이크로소프트 엑셀(Microsoft Excel) 및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또는 내부적으로 개발된 데이타 분석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결합 분석: 화합물을 또한 β1 및 β2 수용체에서 분석하여 선택도를 측정한다. 모든 결합 분석은 β1 또는 β2 수용체를 재조합적으로 발현하는 CHO 세포로부터 제조된 막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분할 후 세포를 3-4일간 성장시킨다; 부착된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빙상에서 1mM 트리스, pH 7.2로 10분 동안 용리시킨다. 플라스크를 긁어내어 세포를 제거한 다음 세포를 테플론/유리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균질화시킨다. 38,000 xg에서 15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하여 막을 수집한다. 펠렛화된 막을 TME 완충액(50mM 트리스, pH 7.4, 5mM MgCl2, 2mM EDTA)에서 1mg 단백질/mL의 농도로 재현탁시킨다. 막의 대형 배치를 제조하고, 분취량을 취하여 -70℃에서 효능을 상실하지 않고서 1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결합 분석은, 막(2-5㎍의 단백질), 방사표지된 트레이서 125I-시아노핀돌롤(125I-CYP, 45pM), 200㎍의 WGA-PVT SPA 비드(제조원; GE Healthcare) 및 0.1% BSA를 함유하는 TME 완충액 200㎕의 최종 용적에서 10-10M 내지 10-5M에 이르는 최종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함께 배양함으로써 수행한다. 분석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진탕시키면서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퍼킨머 Trilux 신틸레이션 계수기에 배치한다. 계수하기 전에 플레이트를 암흑에서 대략 10시간 동안 Trilux 계수기에 정치시킨다. 데이타는 그래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 또는 내부적으로 개발된 데이타 분석 패키지를 사용하여 표준 4-파라미터 비선형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IC50은 방사표지된 트레이서(125I-CYP)의 결합을 50%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의 농도로서 정의된다. β3 수용체에 대한 화합물의 선택도는 비 (IC50 βl AR, β2 AR)/(EC50 β3 AR)을 계산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2-(2-아미노-1,3-티아졸-4-일)-N-[4-({(5R)-[(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디닐 } 메틸 ) 페닐 ] 아세트아미드
Figure pat00238
단계 A: 3급-부틸 (5R)-2-(4-{[(2-아미노-1,3-티아졸-4-일)아세틸]아미노}벤질)-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239
무수 DMF 0.5mL 중의 3급-부틸(5R)-2-(4-아미노벤질)-5-[(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i-3) 10mg(5:1 혼합물 시스/트랜스, 0.02mmol) 및 (2-아미노-1,3-티아졸-4-일)아세트산(3.18mg, 0.02mmol)의 용액에 DMF 중의 HOAt의 0.5M 용액(0.04mL, 0.02mmol)을 가한 다음 EDC(5.8mg, 0.03mmol) 및 DIEA(3.5㎕, 0.02mmol)를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디클로로메탄(2 x 2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5% MeOH로 용출시키면서 제조용 TLC 플레이트(500uM)로 정제하여 생성물(10.3mg, 81%)을 수득하였다. m/z (ES) 637 (MH)+, 659 (MNa)+.
단계 B: 2-(2-아미노-1,3-티아졸-4-일)-N-[4-({(5R)-[(R) 하이드록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디닐 } 메틸 ) 페닐 ] 아세트아미드
Figure pat00240
메탄올 0.20mL 중의 3급-부틸 (5R)-2-(4-{[(2-아미노-1,3-티아졸-4-일)아세틸]아미노}벤질)-5-[(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단계 A로부터) 7mg(0.01mmol)의 용액에 진한 HCl 0.20mL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톨루엔(2x)으로 공비화시켜 물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MeOH(9:1:1)에 용해시키고, 아세토니트릴/0.05% TFA 완충액을 갖는 물의 0 내지 50%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Gilson HPLC 상에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동결시키고, 동결건조시켜 백색 포움(3.3mg, 71%)을 수득하였다.

상기한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사람 β3 기능적 활성을 측정한 결과 1 내지 10nM이었다.
실시예 2
2-(2-아미노-1,3-티아졸-4-일)-N-[4-({(2S,5R)-[(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피롤리디닐} 메틸 ) 페닐 ] 아세트아미드
Figure pat00242
단계 A: 3급-부틸 (2S,5R)-2-(4-{[(2-아미노-1,3-티아졸-4-일)아세틸]아미노}벤질)-5-[(R)-{3급-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243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 단계 A의 과정에 따라 3급-부틸 (2S,5R)-2-(4-아미노벤질)-5-[(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i-4a) 및 (2-아미노-1,3-티아졸-4-일)아세트산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5% MeOH로 용출시키면서 제조용 TLC 플레이트로 정제하여 생성물(4.1mg, 21%)을 수득하였다. m/z (ES) 637 (MH)+, 659 (MNa)+.
단계 B: 2-(2-아미노-1,3-티아졸-4-일)-N-[4-({(2S,5R)-[(R) 하이드록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디닐 } 메틸 ) 페닐 ] 아세트아미드
Figure pat00244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1, 단계 B의 과정에 따라 3급-부틸 (2S,5R)-2-(4-{[(2-아미노-1,3-티아졸-4-일)아세틸]아미노}벤질)-5-[(R)-{[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단계 A로부터) 4mg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조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0.05% TFA 완충액을 갖는 물의 0 내지 50%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Gilson HPLC 상에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동결시키고, 동결건조시켜 백색 포움(3.3mg, 71%)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45
상기한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실시예 2의 사람 β3 기능적 활성을 측정한 결과 1 내지 10nM이었다.
실시예 3
2-아미노-N-[4-{((2S,5R)-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페닐]-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246
단계 A: 3급-부틸-(2S,5R)-2-(4[({2-[(3급- 부톡시카보닐 )아미노]-5,6- 디하이 드로-4H- 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 -4-일} 카보닐 )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247
무수 DMF(5mL) 중의 3급-부틸 (2S,5R)-2-(4-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i-13a) 220mg(0.58mmol) 및 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4-카복실산(i-8) 164mg(0.58mmol)의 용액에 EDC(165mg, 0.86 mmL), HOBt(132mg, 0.86mmol) 및 휘니그 염기(0.3mL, 1.7mmol)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mL)에 붓고, EtOAc(3 x 30mL)로 추출하고, 합한 EtOAc 층을 물(2 x 50mL), 포화 NaCl(25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PLC(Biotage Horizon: 플래쉬 25+M, 용출제: 100% 헥산(100mL), 구배 헥산 중의 0 내지 35% EtOAc(750mL)에 이어 헥산 중의 35% EtOAc(600mL))로 정제하였다. AD 컬럼(용출제: 헵탄 중의 25% IPA) 상에서 키랄성 HPLC에 의해 부분입체이성체를 분리하여 첫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134mg, 36%) 및 두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126mg, 34%)를 둘 다 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B: 2-아미노-N-[4-{((2S,5R)-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 페닐 ]-5,6- 디하이드로 -4H- 사이클로펜타 [α][1,3] 티아졸-4-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248
DCM(3mL) 중의 3급-부틸-(2S,5R)-2-(4[({2-[(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5,6-디하이드로-4H-사이클로펜타[α][1,3]티아졸-4-일}카보닐)아미노]벤질}-5-[(R)-하이드록시(페닐)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단계 A로부터, 두번째 용출되는 이성체) 126mg(0.19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0mL, 38mmol)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메탄올 중의 2M NH3로 용출시키면서 SCX 카트리지를 통해 통과시켜 염기를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PREP-TLC 2x[20 x 20cm x lOOOmicron] 용출제: DCM 중의 15% MeOH + 1% NH4OH로 정제하고 생성물을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65mg, 75%)을 백색 플러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49

단계 A로부터의 생성물[첫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134mg, 0.207mmol)을 유사한 방식으로 탈보호하여 표제 화합물(44mg, 48%)을 백색 플러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z (ES) 449 (MH)+.
상기한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실시예 3의 사람 β3 기능적 활성을 측정한 결과 1nM 미만이었다.
실시예 4 내지 10
상기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실시예 4 내지 10을 적당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하였다.
상기한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의 사람 β3 기능적 활성을 측정하고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250
실시예 11
N-(4-(((2S,5R)-5-((R)- 하이드록시 (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 페닐 )-2-(3-메틸-1H-1,2,4- 트리아졸 -1-일) 프로판아미드
Figure pat00251
DMF(20mL) 중의 i-13a(2.00g, 5.23mmol), 2-(3-메틸-1H-1,2,4-트리아졸-1-일)프로판산 i-56(1.00g, 5.23mmol), HOAt(1.307mL, 0.784mmol) 및 EDC(2.005g, 10.46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조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0 내지 3% MeOH (10% NH4OH)로 정제하였다. 증발 후, 생성물을 키랄성 HPLC(AD 컬럼, 30% IPA/헵탄)로 추가로 정제하여 순수한 boc 보호된 중간체를 수득하고, 이를 소량의 디옥산에 용해시키고, 디옥산 중의 4M HCl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의 HCl 염을 수득하였다. 기본 역상 HPLC(H2O, MeCN 중의 0.1% NH4OH)에 의해 표제 화합물의 목적하는 유리 염기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52
C24H29N5O2에 대해 계산된 ESI-MS: 정확한 질량: 419.23; 실측치 420.35.
상기한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실시예 11의 사람 β3 기능적 활성을 측정한 결과 1 내지 10nM이었다.
실시예 12 및 13
(3S)-N-[4-({(2S,5R)-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 페닐 ]-5-옥소-1,2,3,5-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 -3- 카복스아미드 ( 실시예 12) 및 (3R)-N-[4-({(2S,5R)-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 페닐 ]-5-옥소-1,2,3,5-테 트라하이드로 인돌리진-3- 카복스아미드 ( 실시예 13)
Figure pat00253
단계 A: 3급-부틸 (2R,5S)-2-[(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5-[4-({(3S)-5-옥소-1,2,3,5-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 -3-일] 카보닐 }아미노)벤질]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이성체 1) 및 3급-부틸 (2R,5S)-2-[(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5-[4-({((3R)-5-옥소-1,2,3,5-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 -3-일] 카보닐 }아미노)벤질] 피롤리딘 -1- 카복 실레이트(이성체 2)
Figure pat00254
질소 대기하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3.2mL 중의 중간체 i-13a 0.610g(1.60mmol) 및 중간체 i-46 0.300g(1.67mmol)의 용액에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0.033g(0.24mmol)을 가한 다음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336g(1.75mmol)을 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주위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1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잔류물을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의 50-100% 구배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97:3 비의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두 개의 부분입체이성체를 Daicel CHIRALPAK® AD® 컬럼(용출제: 헵탄 중의 40% IPA)을 사용한 키랄성 HPLC로 분리하였다. 첫번째로 용출되는 부분입체이성체를 이성체 2라고 하며, 무색 고체(0.020g, 2.3%)이다. LC-MS: m/z (ES) 544.2 (MH)+. 두번째로 용출되는 부분입체이성체를 이성체 1이라고 하며, 무색 고체(0.650g, 75%)이다. LC-MS: m/z (ES) 544.2 (MH)+.
단계 B( 실시예 12): (3S)-N-[4-({(2S,5R)-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 페닐 ]-5-옥소-1,2,3,5-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 -3-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255
질소 대기하에 이소프로판올 2mL 중의 위의 단계 A로부터의 이성체 1 0.500g(0.920mmol)의 용액을 1,4-디옥산 중의 무수 염화수소의 4.0M 용액 4.0m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조 반응 혼합물을 역상 HPLC(TMC Pro-Pac C18; 0 내지 75% 아세토니트릴 중의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물 중의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밤새 동결건조한 다음 클로로포름 10mL와 포화 수성 중탄산염 용액 4mL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2상 혼합물을 1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클로로포름(3 x 10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실시예 12)을 백색 고체(0.39g, 95%)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56

단계 B( 실시예 13): (3R)-N-[4-({(2S,5R)-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 페닐 ]-5-옥소-1,2,3,5- 테트라하이드로인돌리진 -3-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257
위의 단계 A로부터의 이성체 2의 탈보호를 위해 동일한 과정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실시예 13)을 단일 부분입체이성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ES) 444.0 (MH)+.
상기한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실시예 12 및 13의 사람 β3 기능적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1 내지 10nM 및 1nM 미만이었다.
실시예 14
(6S)-N-[4-({(2S,5R)-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 메틸 ) 페닐 ]-4-옥소-4,6,7,8-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α]피리미딘 -6-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258
단계 A: 3급-부틸(2R,5S)-2-[(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5-[4-({[(6S)-4-옥소-4,6,7,8-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α]피리미딘 -6-일] 카보닐 }아미노)벤질] 피롤리딘 -1- 카복실레이트
Figure pat00259
0℃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100mL) 중의 i-13a(21.4g, 55.9mmol)의 용액에 [(6S)-4-옥소-4,6,7,8-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α]피리미딘-6-카복실산(i-44, 11.1g, 61.5mmol)을 가한 다음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7.55g, 55.9mmol),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6.1g, 84.0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9.2mL, 168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주위 온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600mL)을 가하고, 이를 디클로로메탄(600mL x 2)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04로 건조시켰다. 휘발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Biotage Horizon® 시스템(10% 암모니아/디클로로메탄 혼합물을 갖는 0 내지 5%에 이어 5% 메탄올)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8%의 미량 부분입체이성체를 함유하는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키랄성 AS 컬럼, 40% 메탄올)로 추가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22.0g, 72%)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60

단계 B: (6S)-N-[4-({(2S,5R)-5-[(R)-하이드록시( 페닐 ) 메틸 ] 피롤리딘 -2-일}메틸) 페닐 ]-4-옥소-4,6,7,8-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α]피리미딘 -6- 카복스아미드
Figure pat00261
디클로로메탄(40mL) 중의 단계 A로부터의 중간체(2.50g, 4.59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5m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질을 제거한 후, 포화 NaHCO3를 가하여 pH 값을 8-9로 되게 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시켰다. 농축시킨 후, 메탄올/아세토니트릴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1.23g, 60%)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262

상기한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실시예 14의 사람 β3 기능적 활성을 측정한 결과 11 내지 100nM이었다.
실시예 15 내지 41
상기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사용하여, 다음의 실시예들을 적합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하였다. 부분입체이성체를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키랄성 HPLC로 분리하였다.
방법 A: 부분입체이성체를 헵탄 또는 헥산 중의 IPA, 아세토니트릴 또는 에탄올의 용매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ChiralPAK AD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분리하였으며, 첫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1이라고 표기하고, 두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2라고 표기하였다.
방법 B: 부분입체이성체를 헵탄 또는 헥산 중의 IPA, 아세토니트릴 또는 에탄올의 용매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ChiralCEL OD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분리하였으며, 첫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1이라고 표기하고, 두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2라고 표기하였다.
방법 C: 부분입체이성체를 헵탄 또는 헥산 중의 IPA, 아세토니트릴 또는 에탄올의 용매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Pirkle (R,R)-WHELK-0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분리하였으며, 첫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1이라고 표기하고, 두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2라고 표기하였다.
방법 D: 부분입체이성체를 헵탄 또는 헥산 중의 IPA 또는 에탄올의 용매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Daicel CHIRALCEL® OJ®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분리하였으며, 첫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1이라고 표기하고, 두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2라고 표기하였다.
방법 E: 부분입체이성체를 헵탄 또는 헥산 중의 IPA 또는 에탄올의 용매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Daicel CHIRALPAK® AS®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분리하였으며, 첫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1이라고 표기하고, 두번째로 용출되는 이성체를 이성체 2라고 표기하였다.
상기한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의 사람 β3 기능적 활성을 측정하고, 다음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263
Figure pat00264
Figure pat00265
본 발명이 이의 특정 양태를 참고로 하여 기재하고 예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개질 및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면,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활성제에 대한 특정 징후에 대해 치료되는 포유동물의 반응에서의 변화의 결과로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특정 투여량 이외의 유효량이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되는 특정 활성 화합물에 따라 또는 약리학적 담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제형의 유형에 따라 관찰되는 특정 약리학적 반응이 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및 실행에 따라 결과에 있어서의 이러한 예상되는 변화 또는 차이가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며, 이러한 청구항은 광범위하게 정당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4)

  1.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a
    Figure pat00266

    위의 화학식 Ia에서,
    n은 0, 1, 2, 3, 4 또는 5이고;
    Y는
    (1) C1-C5 알칸디일, C2-C5 알켄디일 및 C2-C5 알킨디일[여기서, 각각의 알칸디일, 알켄디일 및 알킨디일은 할로겐, -ORa 및 -S(O)p-C1-C3 알킬(여기서, p는 0, 1 또는 2이다)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2) -(CRaRa)j-Q-(CRaRa)k(여기서, j 및 k는 0, 1 및 2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정수이다),
    (3) 결합, 및
    (4) R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렌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1)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에 융합된,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및
    (2) C5-C10 카보사이클릭 환에 융합된,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1
    (1)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5 알킬,
    (2) C3-C6 사이클로알킬,
    (3) 할로겐,
    (4) 니트로,
    (5) 시아노,
    (6) -C(O)Ra,
    (7) -C(O)2Ra,
    (8) -C(0)NRaRb
    (9) -QRb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
    (1) 할로겐, -ORa, -CO2Ra 및 -CONRaR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2) -(CH2)t-페닐 또는 -(CH2)t-O-페닐(여기서, t는 O, 1, 2, 3, 4 또는 5이고, 상기 페닐 각각은 할로겐,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5 알킬 및 -0R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3) 옥소,
    (4) 티옥소,
    (5) 할로겐,
    (6) -CN,
    (7) C3-C6 사이클로알킬,
    (8) -(CH2)t-헤테로사이클릭 환 또는 -(CH2)t-O-헤테로사이클릭 환(여기서, t는 0, 1, 2, 3, 4 또는 5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 각각은 산소, 황 및 질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또는 6원 환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벤젠 환에 임의로 오르토-융합되고,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환은 할로겐,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5 알킬 및 -ORa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9) -ORa,
    (10) -C(O)ORa,
    (11) -C(O)Ra,
    (12) -C(O)NRaRb,
    (13) -NRaRb,
    (14) -NRaC(O)Rb,
    (15) -NRaC(O)ORb, 및
    (16) -NRaC(O)NRaRb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1 내지 5개의 할로겐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b
    (1) 수소,
    (2) C1-C6 알킬로서,
    (a) 하이드록시,
    (b) 할로겐,
    (c) -CO2Ra,
    (d) -S(0)p-C1-C3 알킬(여기서, p는 O, 1 또는 2이다),
    (e) C3-C8 사이클로알킬,
    (f) 1 내지 5개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콕시 및
    (g) 할로겐, 니트로, -NRaRa,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C1-C5 알킬 및 -0R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3) C3-C8 사이클로알킬, 및
    (4) 페닐로서,
    (a) 할로겐,
    (b) 니트로,
    (c) -NRaRa,
    (d) -OH,
    (e) 1 내지 5개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콕시,
    (f) -S(0)p-C1-C6 알킬(여기서, p는 O, 1 또는 2이다) 및
    (g) 하이드록시,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CO2Ra, C3-C8 사이클로알킬 및 -QRc로부터 선택된 5개 이하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c
    (1)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C1-C5 알킬 및 C1-C5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5개 이하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된 Z 및
    (2) C1-C6 알킬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Q는
    (1) -N(Ra)-,
    (2) -O- 및
    (3) -S(O)p-(여기서, p는 0, 1 또는 2이다)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Y가 메틸렌, -CH(CH3)- 또는 결합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Z가
    Figure pat00267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3
    (1) 할로겐으로 또는 -ORa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
    (2) 옥소,
    (3) 할로겐,
    (4) -ORa,
    (5) -C(O)NRaRa
    (6) -NRaRa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a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
KR1020127026256A 2008-04-04 2009-04-02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KR201201180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06308P 2008-04-04 2008-04-04
US61/123,063 2008-04-04
US20604309P 2009-01-27 2009-01-27
US61/206,043 2009-01-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750A Division KR101331771B1 (ko) 2008-04-04 2009-04-02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086A true KR20120118086A (ko) 2012-10-25

Family

ID=406710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256A KR20120118086A (ko) 2008-04-04 2009-04-02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KR1020127015876A KR101288798B1 (ko) 2008-04-04 2009-04-02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KR1020107024750A KR101331771B1 (ko) 2008-04-04 2009-04-02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876A KR101288798B1 (ko) 2008-04-04 2009-04-02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KR1020107024750A KR101331771B1 (ko) 2008-04-04 2009-04-02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Country Status (38)

Country Link
US (3) US8247415B2 (ko)
EP (1) EP2276756B9 (ko)
JP (3) JP4783867B2 (ko)
KR (3) KR20120118086A (ko)
CN (2) CN102056917B (ko)
AR (1) AR072043A1 (ko)
AT (1) ATE535521T1 (ko)
AU (1) AU2009231714B2 (ko)
BR (1) BRPI0909768B1 (ko)
CA (1) CA2719876C (ko)
CL (1) CL2009000815A1 (ko)
CO (1) CO6331440A2 (ko)
CR (2) CR11751A (ko)
CY (1) CY1112552T1 (ko)
DO (2) DOP2010000294A (ko)
EA (1) EA020135B1 (ko)
EC (1) ECSP10010518A (ko)
ES (1) ES2376278T3 (ko)
GE (1) GEP20125666B (ko)
HK (1) HK1147099A1 (ko)
HN (1) HN2010002030A (ko)
HR (1) HRP20120129T2 (ko)
IL (1) IL208215A (ko)
MA (1) MA32257B1 (ko)
ME (1) ME01988B (ko)
MX (1) MX2010010929A (ko)
NI (1) NI201000164A (ko)
NZ (1) NZ588266A (ko)
PE (1) PE20091825A1 (ko)
PL (1) PL2276756T3 (ko)
PT (1) PT2276756E (ko)
RS (1) RS52175B (ko)
SG (1) SG188883A1 (ko)
SI (1) SI2276756T1 (ko)
SV (1) SV2010003687A (ko)
TW (1) TWI378098B (ko)
WO (2) WO2009124167A1 (ko)
ZA (1) ZA201006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E20091825A1 (es) * 2008-04-04 2009-12-04 Merck & Co Inc Hidroximetil pirrolidinas como agonistas del receptor adrenergico beta 3
CA2770475C (en) * 2009-08-27 2017-06-27 Merck Sharp & Dohme Corp. Novel pyrrolidine derived beta 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EP2485595A4 (en) * 2009-10-07 2014-03-12 Merck Sharp & Dohme POLYTHERAPY USING BETA-3 ADRENERGIC RECEPTOR AGONIST AND ANTIMUSCARINIC AGENT
US8748433B2 (en) * 2010-04-30 2014-06-10 Merck Sharp & Dohme Corp. β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WO2012012314A1 (en) * 2010-07-23 2012-01-26 Merck Sharp & Dohme Corp. Novel pyrrolidine derived beta 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BR112013002511A2 (pt) * 2010-08-03 2017-06-27 Altherx Inc combinações de agonistas de receptores adrenérgicos beta - 3 e antagonistas receptores muscarínicos para tratamento da bexica hiperativa
US9907767B2 (en) 2010-08-03 2018-03-06 Velicept Therapeutic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US9522129B2 (en) 2010-08-03 2016-12-20 Velicept Therapeutics, Inc. Pharmaceutical Combination
GB2484713A (en) 2010-10-21 2012-04-25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AU2012293611B2 (en) * 2011-08-11 2017-02-09 Bayer Cropscience Ag 1,2,4-triazolyl-substituted keto-enols
EP2771006B1 (en) 2011-10-27 2016-05-25 Merck Sharp & Dohme Corp. Process for making beta 3 angonists and intermediates
EP2770996B1 (en) * 2011-10-27 2016-09-28 Merck Sharp & Dohme Corp. Process for making beta 3 agonists and intermediates
IN2014CN04470A (ko) 2011-11-18 2015-09-04 Codexis Inc
AU2013216864A1 (en) 2012-02-09 2014-09-11 Altherx, Inc. Combination of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and beta- 3 adrenoceptor agonists f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
JP2015178458A (ja) * 2012-07-25 2015-10-08 杏林製薬株式会社 ベンゼン環縮合含窒素5員複素環式化合物、またはその薬理学的に許容される塩
WO2014108449A1 (en) 2013-01-08 2014-07-17 Atrogi Ab A screening method, a kit, a method of treatment and a compound for use in a method of treatment
US9783529B2 (en) * 2013-03-13 2017-10-10 Flatley Discovery Lab, Llc Pyridazinone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ystic fibrosis
EP2968269B1 (en) 2013-03-15 2019-07-10 Merck Sharp & Dohme Corp. Process for preparing beta 3 agonists and intermediates
CN103232352B (zh) * 2013-05-11 2015-12-23 苏州永健生物医药有限公司 (r)-4-(2-(2-羟基-2-苯乙胺基)乙基)苯胺基甲酸叔丁基酯
CN103760286A (zh) * 2014-01-14 2014-04-30 北京万全德众医药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高效液相色谱法测定琥珀酸索非那新中间体光学纯度的方法
RU2686740C2 (ru) 2014-06-11 2019-04-30 Венаторкс Фармасьютикалс, Инк. Ингибиторы бета-лактамазы
KR20170086659A (ko) 2014-12-03 2017-07-26 벨리셉트 테라퓨틱스, 인크. 하부 요로 증상을 위한 변형 방출형 솔라베그론을 이용한 조성물 및 방법
CN107106548A (zh) * 2015-01-20 2017-08-29 默沙东公司 因子XIa抑制剂
CN108290824B (zh) 2015-10-23 2022-03-11 B3Ar治疗股份有限公司 索拉贝隆两性离子及其应用
US20170348263A1 (en) * 2016-06-03 2017-12-07 Velicept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modified release solabegron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GB201705365D0 (en) 2017-04-03 2017-05-17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GB201705364D0 (en) 2017-04-03 2017-05-17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EP3630783A4 (en) 2017-05-26 2021-03-03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PENICILLIN BINDING PROTEIN INHIBITORS
AU2018282104A1 (en) 2017-06-06 2019-12-12 Urovant Sciences Gmbh Use of vibegron to treat overactive bladder
WO2018224990A1 (en) 2017-06-06 2018-12-13 Urovant Sciences Gmbh Dosing of vibegron for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GB201714740D0 (en) 2017-09-13 2017-10-25 Atrogi Ab New compounds and uses
GB201714745D0 (en) 2017-09-13 2017-10-25 Atrogi Ab New compounds and uses
GB201714734D0 (en) 2017-09-13 2017-10-25 Atrogi Ab New compounds and uses
GB201714736D0 (en) 2017-09-13 2017-10-25 Atrogi Ab New compounds and uses
US11376253B2 (en) 2017-12-21 2022-07-05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Agent for treating nocturnal pollakiuria
GB201800574D0 (en) 2018-01-14 2018-02-28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GB201803767D0 (en) 2018-03-09 2018-04-25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GB201807747D0 (en) 2018-05-13 2018-06-27 Optovate Ltd Colour micro-LED display apparatus
AU2019273837A1 (en) 2018-05-23 2020-11-19 Urovant Sciences Gmbh Use of vibegron to treat pain associated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TW202038963A (zh) 2018-12-05 2020-11-01 瑞士商優洛凡特科學公司 維貝隆(vibegron)於治療患有良性前列腺增生之男性中膀胱過動症症狀之用途
CN109503500A (zh) * 2018-12-17 2019-03-22 天津药明康德新药开发有限公司 一种2-(2-氧代吡嗪-1(2h)-基)乙酸的合成方法
CN109734712B (zh) * 2019-01-30 2020-10-20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芳基或杂芳基取代的吡咯烷酰胺衍生物及其用途
SG11202108810YA (en) 2019-03-18 2021-10-28 Urovant Sciences Gmbh Use of vibegron to treat overactive bladder
TW202102883A (zh) 2019-07-02 2021-01-16 美商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定向顯示設備
US11294233B2 (en) 2019-08-23 2022-04-05 ReaID Spark, LLC Directional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ivacy display
WO2021050918A1 (en) 2019-09-11 2021-03-18 Reald Spark, Llc Switchable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ivacy display
US11016341B2 (en) 2019-09-11 2021-05-25 Reald Spark, Llc Directional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ivacy display
WO2021067612A1 (en) 2019-10-03 2021-04-08 Reald Spark, Llc Illumination apparatus comprising passive optical nanostructures
KR20220077913A (ko) 2019-10-03 2022-06-09 리얼디 스파크, 엘엘씨 수동형 광학 나노구조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11287562B2 (en) 2020-02-20 2022-03-29 Reald Spark, Llc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mask with plurality of apertures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AR124479A1 (es) 2020-12-22 2023-03-29 Urovant Sciences Gmbh Métodos de monitoreo de la digoxina con el uso de vibegrón para el tratamiento de la vejiga hiperactiva
US20240148735A1 (en) 2021-02-16 2024-05-09 Urovant Sciences Gmbh Methods of treating heart failure with vibegron
GB202113588D0 (en) 2021-09-23 2021-11-10 Atrogi Ab New compounds and methods
GB202205895D0 (en) 2022-04-22 2022-06-08 Atrogi Ab New medical uses
WO2024086240A1 (en) * 2022-10-18 2024-04-25 Bonafide Health, Llc Beta-adrenergic agonist and muscarinic antagonis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CN115850286B (zh) * 2022-12-05 2023-08-22 奥锐特药业(天津)有限公司 一种维贝格龙中间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5202B2 (en) * 2000-07-17 2003-02-25 Wyeth Cyclic amine phenyl beta-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DOP2003000587A (es) * 2002-02-27 2003-08-30 Pfizer Prod Inc AGONISTAS DEL RECEPTOR ß3-ADRENERGICO
MXPA05004925A (es) * 2002-11-07 2005-08-18 Yamanouchi Pharma Co Ltd Remedio para vejiga hiperactiva que incluye derivado de anilida de acido acetico como el ingrediente activo.
FR2874011B1 (fr) * 2004-08-03 2007-06-15 Sanofi Synthelabo Derives de sulfonamide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PE20091825A1 (es) 2008-04-04 2009-12-04 Merck & Co Inc Hidroximetil pirrolidinas como agonistas del receptor adrenergico beta 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006720B (en) 2011-05-25
AU2009231714B2 (en) 2011-11-03
CO6331440A2 (es) 2011-10-20
US8247415B2 (en) 2012-08-21
JP2011201897A (ja) 2011-10-13
US20090253705A1 (en) 2009-10-08
KR101331771B1 (ko) 2013-11-22
JP5432846B2 (ja) 2014-03-05
CL2009000815A1 (es) 2009-08-21
JP2011510023A (ja) 2011-03-31
PT2276756E (pt) 2012-02-03
GEP20125666B (en) 2012-10-10
CA2719876C (en) 2013-10-01
PL2276756T3 (pl) 2012-04-30
US20120258963A1 (en) 2012-10-11
IL208215A0 (en) 2010-12-30
EP2276756B8 (en) 2012-04-11
PE20091825A1 (es) 2009-12-04
EP2276756B1 (en) 2011-11-30
NZ588266A (en) 2011-11-25
EA201071169A1 (ru) 2011-04-29
DOP2013000267A (es) 2014-01-31
JP2012020961A (ja) 2012-02-02
JP4783870B1 (ja) 2011-09-28
CR20120282A (es) 2012-07-03
ES2376278T3 (es) 2012-03-12
CN102391255A (zh) 2012-03-28
WO2009124167A1 (en) 2009-10-08
TWI378098B (en) 2012-12-01
TW200944521A (en) 2009-11-01
CR11751A (es) 2010-11-22
HRP20120129T2 (hr) 2012-09-30
SG188883A1 (en) 2013-04-30
HRP20120129T1 (en) 2012-03-31
HN2010002030A (es) 2012-08-13
BRPI0909768B1 (pt) 2019-01-15
MA32257B1 (fr) 2011-04-01
CA2719876A1 (en) 2009-10-08
ME01988B (me) 2012-08-31
NI201000164A (es) 2011-06-21
IL208215A (en) 2014-04-30
US8653260B2 (en) 2014-02-18
EP2276756A1 (en) 2011-01-26
EA020135B1 (ru) 2014-08-29
US20110028481A1 (en) 2011-02-03
AU2009231714A1 (en) 2009-10-08
AR072043A1 (es) 2010-08-04
ATE535521T1 (de) 2011-12-15
HK1147099A1 (en) 2011-07-29
CY1112552T1 (el) 2016-02-10
SI2276756T1 (sl) 2012-04-30
CN102056917A (zh) 2011-05-11
US8399480B2 (en) 2013-03-19
RS52175B (en) 2012-08-31
EP2276756B9 (en) 2012-08-15
ECSP10010518A (es) 2010-11-30
CN102391255B (zh) 2014-07-09
KR101288798B1 (ko) 2013-07-23
DOP2010000294A (es) 2010-12-31
CN102056917B (zh) 2014-11-05
HRP20120129T8 (en) 2012-04-30
MX2010010929A (es) 2010-11-12
JP4783867B2 (ja) 2011-09-28
BRPI0909768A2 (pt) 2015-10-06
KR20100126860A (ko) 2010-12-02
KR20120104257A (ko) 2012-09-20
SV2010003687A (es) 2011-03-23
WO2009124166A1 (en)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798B1 (ko) 베타 3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효능제로서의 하이드록시메틸 피롤리딘
DK3126330T3 (en) BICYCLE-FUSED HETEROARYL OR ARYL COMPOUNDS AND USE THEREOF AS IRAC4 INHIBITORS
EP2274296B1 (en) Hydroxymethyl pyrrolidines as beta 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JP5795799B2 (ja) 新規なピロリジン由来ベータ3アドレナリン作動性受容体アゴニスト
CN113754635A (zh) 稠环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AU2011236111B2 (en) Hydroxymethyl pyrrolidines as beta 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AU2011236110B2 (en) Hydroxymethyl pyrrolidines as beta 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