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730A - 파쇄 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파쇄 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730A
KR20120117730A KR20127010078A KR20127010078A KR20120117730A KR 20120117730 A KR20120117730 A KR 20120117730A KR 20127010078 A KR20127010078 A KR 20127010078A KR 20127010078 A KR20127010078 A KR 20127010078A KR 20120117730 A KR20120117730 A KR 2012011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d glass
flow
glass particles
drum
delivery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트로조스키
옌스 헤세
Original Assignee
알가이에르 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5895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1773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가이에르 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알가이에르 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1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6Drum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2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3/042Cleaning travelling work the loose articles or bulk material travelling gradually through a drum or other container, e.g. by helix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이 부착된 파쇄 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폐쇄된 드럼 또는 개방된 쉘과 같이 파쇄 유리 입자들을 위한 배송 지점과 배출 지점을 갖는 언더레이가 제공된다. 상기 배송 지점의 영역 내에서,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은 상기 언더레이의 운동에 의해 서로 이동하도록 세팅됨으로써, 상기 입자들의 상호 마찰이 일어난다. 스티커 잔류물들이 제거된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은 상기 배출 지점으로 진행된다. 가스 흐름은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에 반대로 배향되어, 분리된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을 그와 함께 이송하며, 동시에 세척된 유리 입자들을 건조시킨다.

Description

파쇄 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BROKEN GLASS}
본 발명은 폐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분야에 관한 것이다.
폐유리는 독일에서는 특히 배럴 상태로 공식적으로 수집된다. 예비 수집은 특정한 색상의 폐유리를 각 경우마다 특정한 배럴 내로 투입만을 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공식적인 방법은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양을 수집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유리의 색상에 따른 엄격한 분리는 달성할 수 없다.
폐유리는 특히 병들로 이루어지지만, 캔 형상의 유리 입자들로 구성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폐유리는 심하게 오염되는 피해를 입는다. 이는 컨테이너 내용물들, 병뚜껑과 같은 금속 조각들 및 플라스틱 조각들의 잔류물들을 포함한다. 라벨들과 같은 스티커들은 특히 불편하다.
이러한 모든 오염들은 폐유리를 처리(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에 관련된 것이다.
임의의 형태의 폐유리 또는 파쇄 유리를 처리하는 공정은 수많은 방법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그 중에서도 상기 배럴들 내로 조각들 또는 입자들의 형태로 투입된 유리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은, 예를 들면, 손바닥 정도의 사이즈가 될 수 있다.
보다 결정적인 방법의 단계는 유리 입자들을 다양한 색상 부분들로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유리 입자들과 이들의 색상은 광학적 센서들에 의해 트랩들 내에서 감지되며, 측정 결과는 하방으로 연결되는 블로잉 노즐(blowing nozzle)들을 조절되어 차례로 개별적인 색상에 선택적으로 반응하고 부정확한 색상들은 거부된다.
유리 조각들에 부착된 라벨들과 같은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은 이 경우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티커들을 제거하기 위한 대응되는 방법 단계가 전술한 색상에 따른 분리로부터 거슬러 연결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법 단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들은 알려져 있다. 트로프(trough)는 폐유리의 입자들로 채워진다. 상기 트로프는 상기 입자들을 대량으로 회전시키는 교반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개별 입자들의 상호간의 마찰이 야기되고, 상기 스티커들의 잔류물들도 상기 입자들로부터 보다 많이 또는 적게 잘 분리되기 때문에 이들은 다음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조각들이 가능한한 축축할 경우에 상기 스티커들의 제거가 보다 잘 수행되는 점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려진 방법은 다양한 측면들 하에서 불충분하다. 상기 교반기들의 마모 정도가 심해진다. 상기 유리 입자들로부터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의 분리도 불완전하다.
본 발명은 유리 조각들을 동일한 장치에서 세척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유리 입자들에 부착되는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을 제거하기 위한 유리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기반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은 독립항들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또는 유익한 사상은 다음과 같다.
- 파쇄 유리의 입자들은 언더레이(underlay) 상으로, 예를 들면 회전하는 드럼의 내부 챔버 내로 투입된다. 상기 유리 입자들의 상호간의 마찰이 상기 드럼의 회전 운동에 따라 발생된다.
- 상기 조각들의 보다 나은 재정렬과 마찰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는 드럼이 고정기(fixture)들을 장비할 수 있다.
- 상기 유리 입자들은 물로 적셔지거나 상기 드럼 내에서 처음으로 물로 적셔진다.
-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리 입자들의 상호간의 마찰이 일어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티커 잔류물들 상기 유리 입자들로부터 떨어진다.
- 상기 드럼이 배치 단부에서 계속적으로 유리 입자들로 채워지기 때문에, 상기 스티커들이 떨어져 나간 유리 입자들이 상기 드럼 내에서 반대측 드럼 단부로 더욱 진행하게 된다.
- 뜨거운 에어 소스가 상기 반대측 드럼 단부에 위치한다. 한편으로는, 뜨거운 공기가 상기 유리 입자들을 건조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유리 입자들이 도입되는 유리 드럼의 단부에서 뜨거운 공기가 상기 스티커 잔류물들을 끌고 가서 이들을 제거한다.
-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물을 사용하여 상기 유리 입자들을 적시도록 제공된다.
- 상기 언더레이는 물의 배출을 위하여 적어도 배치 단부에서 구멍이 뚫린다.
다음의 세 가지 부분적인 문제점들이 본 발명에 의한 간단한 수단들을 사용하여 해결된다.
- 상기 스티커들이 상기 유리 입자들로부터 분리되며, 교반기들과 같은 부속품들이 마모에 민감하지 않게 된다.
- 상기 유리 입자들이 동일한 장치 내에서 연속적으로 건조된다.
- 상기 건조시키는 공기에 분리된 스티커 잔류물들이 동시에 끌려가고, 외부로 제거된다.
그 상부로 유리 입자들이 공급되는 상기 장치는 상이한 방식들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모든 드럼들이 고려된다. 또한, 상기 언더레이로서 트로프도 가능하다. 상기 트로프는 연장되고, 그 일측 전방에 유리 입자들을 위한 유입구(inlet)를 구비하며, 타측 전방에 유출구(outlet)를 구비한다. 물론, 상기 언더레이로서 트로프가 선택될 경우에는, 상기 트로프의 세로축 주위의 회전이 가능하지 않다. 여기서 다른 판단은 상기 유리 입자들이 상호간의 마찰을 일으키는 운동으로 설정되도록 고려되어야만 한다. 상기 트로프의 흔들림 운동은, 예를 들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려된다. 상기 트로프는 또한 상기 유리 입자들 상호간의 마찰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오히려 추가적인 이송 운동도 야기하는 진동 컨베이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분리 공정을 강화하기 위하여, 처리 부분의 시작 단계에서, 즉 상기 언더레이 상으로 배송된 후에 즉시 상기 유리 입자들의 흐름의 진행 운동을 감속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럼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그 배치 단부의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드럼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드럼을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므로, 상기 유리 입자들이 이들이 배송 지점으로부터 배출 지점까지 진행하는 바와 같이 발생되는 경로를 커버한다.
이하,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스티커 잔류물들을 분리하기 위한 처리 트로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 드럼의 개략적인 윤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따른 2개의 드럼들 대신에 상단이 개방된 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는 배치 모드(batch mode)로서 구동한다. 상기 장치는 컨테이너(1)와 그 내부에 배열되는 교반기들(stirrers)(2, 3)을 포함한다. 특정 량의 파쇄 유리(4)가 상기 컨테이너 내로 부어진다. 상기 파쇄 유리는 이전의 세척 공정으로부터 물로 적셔진다.
상기 교반기들(2, 3)은 유리 입자들로부터의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의 분리가 원하는 효과로 달성될 때까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회전한다. 이후에 상기 컨테이너는 비워진다. 상기 파쇄 유리는 더욱 처리된다.
알려진 장치는 상기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의 제거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단지 불충분하게 동작한다. 상기 교반기들(2, 3)은 높은 정도의 마모를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서 연장된 드럼(drum)을 구비한다. 이는 회전 가능하게(롤러들(6, 7) 참조) 장착된다. 상기 드럼(5)의 회전축은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는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드럼은 배송 지점(8)의 영역 내에 벌지(bulge)(10)를 포함한다. 상기 벌지(10)는 보다 많은 양의 파쇄 유리(4)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파쇄 유리는 여전히 이전의 세척 공정에서 물로 적셔진 상태이다. 이는 또한 스프레이 노즐들(11)로부터 제공되는 물에 의해 보다 적셔질 수 있다.
상기 드럼(5)이 회전함에 따라, 서로에 대한 수많은 파쇄 유리 입자들의 운동이 일어나며, 이에 따라 서로 마찰된다. 이러한 마찰은 개별적인 입자들로부터 상기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을 분리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저장 영역의 단부에서 상기 입자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스티커 잔류물들이 없어진다.
상기 배송 지점(8)으로 파쇄 유리들이 계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파쇄 유리의 양이 넘칠 수 있다. 상기 유리 입자들의 흐름이 형성되어, 배출 지점(9)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으로부터 스티커 잔류물들이 제거된다.
상기 배출 지점(9)이 위치하는 상기 드럼(5)의 전방측에 뜨거운 에어 소스(12)가 제공된다. 이로부터의 일점쇄선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의 공기 흐름이 생성된다. 상기 공기 흐름은 유리 흐름의 반대 방향을 따라 전술한 유리 흐름의 상부를 지나거나 이를 통과한다. 상기 뜨거운 공기 흐름은 그 통로 내에서 냉각되며, 상기 유리 입자 흐름의 입자들을 건조시킨다. 상기 저장 공간 내에 제공되는 상기 파쇄 유리 양(4)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저장 공간 내의 스티커 잔류물들은 상기 고온의 공기 흐름에 동반되고, 도면의 우측에 나태난 상기 드럼(5)의 전방측 상에서 상기 드럼(5)의 외부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은 다음과 같은 각각의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다.
- 상기 드럼은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유리 입자들로부터 스티커 잔류물들을 분리한다.
- 상기 드럼은 세정된 파쇄 유리 흐름을 건조시킨다.
- 상기 드럼은 그에 의해 분리된 스티커 잔류물들을 안내하고, 이들을 상기 드럼(5)의 외부로 이송한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럼(5)은 상기 파쇄 유리 흐름이 상기 배출 지점(9)을 향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다. 상기 드럼(5)은 다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드럼(5)은 상기 배출 지점의 영역 내에 원뿔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다 많은 양의 파쇄 유리(4)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다시 제공된다. 그 이외에도, 공정이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확하게 진행된다. 상기 스티커 잔류물들은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상기 유리 입자들로부터 분리되며, 세정된 파쇄 유리 입자의 흐름이 파쇄 유리 입자들이 상기 드럼(5)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출 지점(9)으로 진행된다.
도 4에는 쉘(shell)(15)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드럼들(5)과 기능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쉘(15)은 또한 배송 지점(8)과 배출 지점(9)을 구비한다. 이는 저장 공간과 함께 제공되지만, 이와 같은 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은 상기 2개의 드럼들(2, 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배송 지점과 배출 지점 사이의 처리 부분의 적절한 길이에 따라, 수많은 파쇄 유리 입자들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티커 잔류물들이 벗겨질 수 있다.
상기 쉘(15)은 또한 상기 파쇄 유리(이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이동하는 방식으로 어떤 경로로 이동하여야 함으로써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의 상호 마찰이 일어난다.
상기 쉘(15)의 운동은 이중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되거나, 이중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되게 진행될 수 있다. 가능할 경우, 상기 유리 입자들의 소용돌이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이는 진동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운동은 간헐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언더레이(드럼 또는 쉘 중에서 하나)에는 적어도 배치 영역(18)에서 구멍이 뚫릴 수 있으므로,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 상부에 배송된 물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1:컨테이너
2:교반기
3:교반기
4:파쇄 유리
5:드럼
6:롤러
7:롤러
8:배송 지점
9:배출 지점
10:벌지
11:물 노즐들
12:뜨거운 에어 노즐

Claims (16)

  1.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이 부착된 파쇄 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쇄 유리(4)를 배송 지점(8)에서 드럼(5, 15)의 일측 단 상으로 계속 배송하는 단계;
    상기 파쇄 유리(4)를 상기 드럼(5, 15) 상의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으로서 상기 파쇄 유리가 제거되는 배출 지점(9)까지 전송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5, 15)이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4)이 소용돌이치고 서로 마찰되는 운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에 가스 흐름을 적용시키고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상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입자들의 흐름과 상기 가스 흐름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가 상기 가스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뜨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유리 흐름의 전송 운동은 상기 배송 지점 후에 즉시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유리(4)는 액상 매체(liquid medium)를 그와 함께 상부 위치로 안내하거나, 상기 매체가 상기 배송 지점 또는 그 후에 즉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스티커들의 잔류물들이 부착된 파쇄 유리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파쇄 유리(4)를 수용하는 드럼(5, 15)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5, 15)은 상기 파쇄 유리(4)가 계속 배송되는 배송 지점(8)과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이 도달하고, 이들이 배출되는 배출 지점(9)을 포함하며;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의 상대적인 운동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서로 마찰되게 상기 드럼(5, 15)을 운동시키도록 세팅하기 위한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에 가스 흐름을 적용하고 그 상부로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가스 소스(1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소스(12)는 상기 가스 흐름이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소스는 에어 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소스는 뜨거운 가스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의 흐름을 감속시키는 수단들이 상기 배송 지점(8)의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지점(8)에서 또는 전에 상기 파쇄 유리(4)에 물과 같은 자유 유동(free-flowing) 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배송 지점의 영역에 구현되어 여분의 물이 상기 분리된 오염 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7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지점(8)의 영역에 상기 파쇄 유리 입자들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7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레이(5, 15)는 적어도 상기 배송 지점의 영역에서 구멍이 뚫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27010078A 2009-10-27 2010-09-23 파쇄 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117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0819.8 2009-10-27
DE102009050819A DE102009050819A1 (de) 2009-10-27 2009-10-2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Glasbr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730A true KR20120117730A (ko) 2012-10-24

Family

ID=4358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10078A KR20120117730A (ko) 2009-10-27 2010-09-23 파쇄 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44805B2 (ko)
EP (1) EP2456560B1 (ko)
JP (1) JP5806223B2 (ko)
KR (1) KR20120117730A (ko)
AU (1) AU2010314503B2 (ko)
CA (1) CA2774823C (ko)
DE (1) DE102009050819A1 (ko)
PL (1) PL2456560T3 (ko)
WO (1) WO2011054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6474A2 (en) 2012-12-21 2015-10-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cycling processes and labels and adhesives for use therein
US10369575B2 (en) * 2015-08-21 2019-08-06 Urban Mining Northeast, Llc Process for cleaning dirty post-consumer waste glass
CN112536285B (zh) * 2020-11-17 2022-06-14 中山大学 一种自动化的废玻璃清洗与分拣系统
CN112354092B (zh) * 2020-11-17 2021-09-24 苏州骊赫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公交车用高效破窗锤
CN115889270B (zh) * 2023-02-17 2023-05-16 河北汉唐宏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scr脱硝催化剂除尘清灰装置及除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01449U1 (de) * 1980-04-24 Erkelenzer Maschinenfabrik Ferd. Clasen Kg, 5140 Erkelenz Vorrichtung zur Trennung von Glasbruch in Glasscherben und Fremdteile
US1958309A (en) * 1932-03-24 1934-05-08 A M Lockett & Company Ltd Gravel washer and separator
US2983378A (en) * 1958-12-12 1961-05-09 Worthington Corp Aggregate separating unit
US3991779A (en) * 1974-04-19 1976-11-16 Del Tek, Inc. Medical equipment cleaning system
US4116822A (en) * 1974-06-04 1978-09-26 Carpco, Inc. Method of selectively separating glass from waste material
US4018675A (en) * 1975-05-19 1977-04-19 Petrucci Ben G Waste sorting machine
JPS5282914A (en) * 1975-12-29 1977-07-11 Yamamura Glass Co Ltd Method of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waste glass of water current typ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t
EP0188674B1 (de) * 1984-12-28 1991-07-03 Friedrich Wilh. Schwing GmbH Fahrmischer, vorzugsweise mit Gegenlaufentleerung für Baustoffe, insbesondere Beton
US5289703A (en) * 1989-06-16 1994-03-01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Drum type washing machine
US5277758A (en) * 1990-03-27 1994-01-11 Advanced Environmental Recycling Technologies, Inc. Method for recycling plastic coated paper product waste and polymeric film
DE59106830D1 (de) * 1991-07-25 1995-12-07 Zueblin Ag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beschichtetem Glas.
FI94569C (fi) 1992-11-20 1995-09-25 Ekoteho Oy Menetelmä ja laitteisto haitallisia aineita sisältävien lasisten esineiden käsittelemiseksi
JPH10100061A (ja) * 1996-09-28 1998-04-21 Okinawa Karetsuto Center:Kk ガラスカレットの洗浄面取り方法、ガラスカレット入り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カレットの洗浄面取り装置
JP3985917B2 (ja) * 1998-05-07 2007-10-03 大平洋機工株式会社 ガラスカレ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3634646B2 (ja) * 1998-12-04 2005-03-30 株式会社タクマ 乾燥機構付選別機
JP4245866B2 (ja) * 2002-07-15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ラス材料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US7918343B2 (en) * 2003-11-17 2011-04-05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lass recycling at a beneficiator
AT503036B1 (de) * 2005-05-25 2007-07-15 Binder Co Ag Etikettenentferner
DE102006032942B3 (de) * 2006-07-17 2008-04-03 Bernhard Jehle Reinigung von Scherben
JP4755564B2 (ja) * 2006-10-06 2011-08-24 株式会社 ガラステクノシナジー 破砕された合わせガラスからガラス片と中間膜とを分離する装置
DE102007027400A1 (de) * 2007-06-11 2008-12-18 Re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gebrochenem Altglas mit anhaftenden Verunreinigungen
KR20090034626A (ko) * 2007-10-04 2009-04-08 이상웅 패트병 분쇄물 라벨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6560A1 (de) 2012-05-30
EP2456560B1 (de) 2013-07-17
CA2774823A1 (en) 2011-05-12
US20120211032A1 (en) 2012-08-23
PL2456560T3 (pl) 2013-10-31
JP5806223B2 (ja) 2015-11-10
AU2010314503B2 (en) 2015-01-22
JP2013508149A (ja) 2013-03-07
DE102009050819A1 (de) 2011-04-28
WO2011054418A1 (de) 2011-05-12
CA2774823C (en) 2017-08-15
US9144805B2 (en) 2015-09-29
AU2010314503A1 (en)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730A (ko) 파쇄 유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ITMI20100583A1 (it)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la rimozione di etichette da contenitori
BRPI1003464B1 (pt) método de limpeza de recipientes e máquina de limpeza para recipientes
JP3665758B2 (ja) 廃棄物の粉砕洗浄処理方法及びその粉砕洗浄処理装置
JP5365968B2 (ja) ベルト式光学選別機
CN101896290A (zh) 连续清洗塑料容器以及从其表面去除杂质和标签的机器及方法
KR101580396B1 (ko) Pcb기판 제조공정 중 세척 후 건조공정에서의 이물질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2000015636A (ja) 切断したペットボトル細片の多段洗浄脱水乾燥方法とその多段洗浄脱水装置
JP2022134153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印刷面洗浄除去装置及びその洗浄除去方法
KR20110047057A (ko) 이송벨트 세척장치
JP2005111736A (ja) 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分別洗浄装置
EP3208349A1 (en) Machine for colouring miscellaneous articles of leather and imitation leather
JPH1128433A (ja) 洗浄装置
JP5443529B2 (ja) シート搬送処理装置
JP2004277136A (ja) キャップの表裏揃え装置およびキャップ処理装置
KR20170043954A (ko) 바이알의 세척 및 건조장치
KR19980034459A (ko) 폐주물사의 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1787715B1 (ko) 향 캡슐 처리장치와 방법
WO2017173984A1 (zh) 碎片洗涤机
KR101099685B1 (ko) 이송벨트 세척장치
JP4375547B2 (ja) 廃棄物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102536197B1 (ko) 연마재 재활용 장치
KR0180891B1 (ko) Pet병의 라벨 스트리퍼 및 라벨 스트리퍼를 사용한 라벨 제거방법
KR101452851B1 (ko) 스크린 인쇄의 전처리 공정으로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플라즈마 처리공정 중 필름 원단의 이물질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66070A (ko) 컨베이어형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