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015A - 롤러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롤러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015A
KR20120116015A KR1020127023532A KR20127023532A KR20120116015A KR 20120116015 A KR20120116015 A KR 20120116015A KR 1020127023532 A KR1020127023532 A KR 1020127023532A KR 20127023532 A KR20127023532 A KR 20127023532A KR 20120116015 A KR20120116015 A KR 20120116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inline frame
inline
chassis
chassis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퍼 마스
Original Assignee
마스블레이드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블레이드 에이비 filed Critical 마스블레이드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2011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5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movements during use of the foot plate or shoe relative to the chassis, e.g. inline clap sk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93Mechanisms transforming leaning into steering through an inclined geometrical axis, e.g. tru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6Roller skates; Skate-boards for use on specially shaped or arranged runway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상에서의 아이스 하키 스케이트 날의 특성을 모방하도록 디자인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인라인 프레임(1)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 프레임(1)은, 부츠(2)에 연결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부분(8) 및 본질적으로 인라인 프레임(1)의 종방향으로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바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라인 프레임에 대해 독특한 점은, 연결 부재(7)를 통해 인라인 프레임(1)의 종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부 섀시부(5) 및 하부 섀시부(6)를 포함하며, 상부 섀시부(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면(11)을 포함하고 하부 섀시부(6)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면(19)을 포함하며, 이 때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선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에 있다.

Description

롤러 스케이트{ROLLER SKATE}
본 발명은 롤러 스케이트 또는 이와 비슷한 유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훌륭한 아이스 하키 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스케이트 타는 법 및 하키를 하는 법에 대한 수 천 시간에 이르는 훈련이 필요하다. 많은 아이스 하키 선수들은 하계 동안 빙상에서 하키 훈련/연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매년 필수적인 연습/훈련을 할 몇 달간을 손해 보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책으로 하계 동안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방법이 있다.
전통적인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퀴 프레임과 아이스 하키 선수들이 빙상에서 타는 스케이트 날의 특성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다르다.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은 하부 표면을 가진 길고 편평한 접촉 평면을 구비하는 한편, 아이스 하키 선수가 빙상에서 타는 스케이트 날은 완전히 편평하지는 않고 그 길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아치형을 이룬다. 이는 빙상에서 스케이트를 탈 때 균형 요소가 실질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긴 접촉 표면은 또한 방향 전환을 더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을 이용한 훈련을 빙상에서의 하키 날에 전환할 가능성을 드물게 만들고, 하계 동안 시즌 전 훈련에서 인라인 스케이트를 이용하는 아이스 하키 선수들이 거의 없는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다.
아이스 하키 선수들이 인라인 스케이트로 시즌 전 훈련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다수의 상이한 해결책들이 오랫동안 있어왔다. 이와 같이 이러한 기존의 디자인들은 만족스럽게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성공하지 못했다.
이전의 모든 해결책들의 주된 문제점은, 빙상에서 스케이트를 탈 때 찾을 수 있는 균형 요소를 이러한 디자인들이 달성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아이스 하키 스케이트 날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아치형이기 때문에, 얼음과의 접촉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균형 요소가 더욱 어렵다. 빙상 스케이트의 균형 요소는 "보통의" 인라인 스케이트보다 빙상에서의 스케이팅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하키 스케이트 날의 더 작은 접촉 면적이 한편으로는 스케이팅을 더 어렵게 만들더라도, 가속, 전방/후방 회전 및 방향 전환(veering)에 관해서는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에 비해 유리하다. 이는 스케이터가 아이스 스케이트 날로 무게중심을 더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스 스케이트 날이 스케이팅 면에 대해 가지는 짧은 접촉 면적은, 스케이터가 발목과 무릎을 구부릴 필요 없이 발에 대한 압력과 무게중심을 앞뒤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보통의" 인라인 스케이트로 스케이팅할 때 스케이터가 느끼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걸리는 듯하지(stuck)" 않은 느낌을 부여한다. 이는, 스케이터가 날 상에서 앞으로 "롤링"할 수 있으므로 가속 주행(stride) 중 아이스 스케이트 날이 오랫동안 제어된 방식으로 날과 얼음 사이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에서 이는 오히려 "양자택일(all or nothing)" 원칙에 해당된다. 만약 스케이터가 발목을 구부리지 않는다면, 뒤쪽 세 개의 후방 바퀴를 하부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야 하고 오직 전방 바퀴 접촉만이 남게 되는데, 이는 단독으로 밀고 나가기가 어렵다. 따라서 보통의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은 접촉 면적이 더 크므로 더 많은 제어를 제공하지만, 이는 빠른 회전이 훨씬 더 어려운 문제를 가져오고, 또한 빙상 스케이트에 비해 가속이 훨씬 더 어렵다.
몇몇 디자인은 바퀴들을 상이한 방식으로 매달아서 스케이터가 전방으로 몸을 숙이거나 밀고 나갈 때 하나 또는 두 개의 바퀴만이 스케이팅 면에서 들어올려지게 함으로써 스케이터의 "걸리는 듯한" 느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는 스케이터가 (빙상에서 필요한 것에 비해) 부자연스러울 정도로 발목을 구부리지 않고 강하게 밀고 나갈 수 있기 때문에 "걸리는 듯한" 느낌을 어느 정도 감소시킨다. 이러한 디자인들의 문제점은 스케이터들이 빙상에서 가지는 균형 요소를 여전히 가지지 못한다는 점이다.
생리학적으로 보면, 상기 언급한 차이점들의 결과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때와 비교하여 빙상에서 스케이트를 탈 때 스케이터들이 완전히 다른 근육 활성화를 겪는다. 체력 단련과 스피드 훈련의 효과는 대부분 훈련 대상이 되는 근육에 주어지기 때문에, 이는 곧 인라인 스케이팅의 훈련 효과가 빙상 스케이팅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아이스 스케이팅에 기초한 스포츠에서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운동하는 선수에게는 매우 해롭다. 훈련이란 신체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계속 육체를 단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균형은 예컨대 아이스 하키 선수의 주요 신체적 특성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시즌 전 훈련은 또한 균형을 발달시키고 그에 따라 향상으로 이어지는 훈련을 포함해야 한다. 향상된 균형은 더욱 효율적인 스케이팅으로 이어지고, 이는 빙상 스케이터가 동일한 신체 단련 레벨로 더 오래 스케이팅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훌륭한 균형은 기술적인 면에서 아이스 하키 선수들이 직면하는 경기의 모든 다른 양상, 예컨대 골문으로의 슈팅, 패스, 태클 등을 구현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빙상에서의 아이스 하키 선수가 가지는 것보다 훨씬 더 간단한 균형 요소로 시즌 전 훈련에서 "표준적인"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효과는 원하는 것의 반대가 되고, 이는 주요한 결점이 된다. 신체는 더 간단한 균형 요소에 적응하게 되고, 선수가 후에 빙상에서의 스케이트로 돌아갈 경우 모든 양상은 어렵고 힘들게 여겨진다. 이는 대체로 신체가 더 단순한 균형 요소에 적응하므로 스케이팅 효율 및 균형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디자인되었다. 본 발명의 디자인을 이용하면 아이스 하키 선수들은 예를 들어 빙상에서와 동일한 균형 요소를 가진 인라인 스케이트로 스케이팅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하키 선수가 빙상에서 가지는 것보다 더 어려운 균형 요소로 스케이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신체의 균형 감각을 단련할 수 없는 기존의 디자인의 문제점을 해결함에 따라 신체가 그 움직임들을 개선하게끔 한다. 기존의 디자인들은 예를 들어 아이스 하키 선수가 직면하는 경기의 모든 양상들을 기술적으로 훌륭히 수행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 충분한 균형 및 스케이팅 효율을 향상시키지 못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균형 요소는 예를 들어 아이스 하키 선수가 빙상에서 겪는 것과 유사한 근육 활성화를 제공한다. 이는 신체 단련 및 스피드 훈련의 효과를 빙상 스케이팅으로 전환할 수 없는 기존의 디자인들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자인의 바퀴 배치는 주어진 위치에서 지면과의 접촉면이 전통적인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보다 실질적으로 작을 수 있게 하며, 이는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돕고, 나아가서는 빙상에서의 아이스 스케이트 날의 특성을 모방한다.
특허 문헌 WO 0009223호에 따른 디자인에서는, 서스펜션에 두 개의 중간 바퀴를 매다는 것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은 스케이터가 바퀴들로, 즉 세 개의 전방 바퀴로, 두 개의 중간 바퀴로 또는 세 개의 후방 바퀴로 세 가지 상이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스케이터는 어느 정도 "걸리는 듯한" 느낌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밀고 나가는 도중에 지면과 접촉하는 바퀴는 여전히 세 개뿐이며, 이는 여전히 표면과 매우 오래 접촉하게 하고 따라서 부적절하다. 앞뒤로 조금 흔들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디자인으로 어느 정도 작은 균형 요소를 달성할 수 있지만, 여전히 세 개의 자세에서만 해당된다. 그러므로 균형 요소는 거칠고 불안정하게 되고, 이는 빙상에서 사용 시 아이스 스케이트 날이 가지는 느낌의 많은 부분을 없애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디자인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하며, 이러한 점이 이러한 디자인과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구별 짓는다.
출원인 Ski Rossignol의 특허 문헌 EP 0786275호에 따른 디자인은 제2의 전방 바퀴 상부에 회전 중심을 가지는 "클랩 스케이트"와 같이 구성된다. 피벗점(회전 중심)은 "걸리는 듯한" 느낌을 줄여준다. 이러한 디자인은 본 발명과 상당히 다르며 완전히 다른 목적을 해결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자인은 매우 제한된 균형 요소를 제공하며, 이는 아이스 하키 스케이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어떠한 연관성도 없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아이스 스케이팅에서의 균형 요소를 적어도 모방하고 또한 보통의 아이스 스케이팅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어려운 균형 요소를 근육 활성화에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디자인으로 달성되는 신체 단련 및 스피드 훈련의 효과가 아이스 스케이팅에도 전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스케이팅 시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한 기존 디자인들의 문제점,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걸리는 듯한" 느낌의 문제점에서 상당한 개선을 달성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훈련 연습 시 인라인 스케이트를 사용하는 스케이터들이 가속으로부터의 전이를 더 부드럽게 하도록 만들고 그로 인해 스케이팅 시 덜 투박하게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예시적인 목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바퀴 프레임을 가진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여준다.
도 2는 제1 구현예에 따른 인라인 프레임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인라인 프레임에 포함된 상부 섀시부의 단면도를 더 상세히 보여준다.
도 4는 인라인 프레임에 포함된 하부 섀시부의 단면도를 더 상세히 보여준다.
도 5a 내지 도 5c는 조인트 기능을 더 상세히 보여준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인라인 프레임의 기능을 보여준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9a는 인라인 프레임을 보여주며, 도 9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개별 섀시 부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인라인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개별 섀시 부재의 구현예들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 바퀴 프레임(1)을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가 도시된다. 인라인 프레임(1)은 부츠(2) 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부츠(2)는 발가락 부분(3) 및 뒤꿈치 부분(4)을 가진다. 부츠(2)는 목적에 적합한 이미 알려진 몇몇 다양한 부츠로 이루어진다. 부츠(2)의 유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므로, 본 특허 출원에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인라인 프레임(1)은, 적어도 하나의 상부 섀시부(5)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섀시부(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섀시를 포함한다. 하부 섀시부(6)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바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바퀴를 포함한다. 상부 섀시부(5) 및 하부 섀시부(6)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coupling) 및 스프링 백 부재(7)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부재(7)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인라인 프레임의 방향을 따라 상부 섀시부(5) 및 하부 섀시부(6)가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되도록 한다.
도 3은 상부 섀시부(5)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구현예는 상부 섀시부(5)의 가능한 일 구현예를 구성할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상부 섀시부(5)는 바람직하게는, 부츠(2)에 대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 연결 부분(8) 및 후방 연결 부분(9)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전방 연결 부분(8) 및 후방 연결 부분(9)은 하나의 연결 부분으로 통합될 수 있다. 전방 연결 부분(8)은 부츠(2)의 발가락 부분(3)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후방 연결 부분(9)은 부츠(2)의 뒤꿈치 부분(4)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부 섀시부는, 하부 섀시부(6)의 어느 한 외측을 따라 이어진, 적어도 두 개의 필수적으로 수직인 부분(10)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수직 부분(10)은 목적상 또 다른 적절한 방향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직 부분들(10) 사이의 거리는 최소한 하부 섀시부(6)의 폭을 초과한다. 수직 부분들(10)의 기술적 효과는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키고 하부 섀시부(6)와 상부 섀시부(5)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두 수직 부분(10) 사이에서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상부 섀시부(5)의 저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면(11)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접촉면(11)은 반경 형상과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접촉면(11)은 또 다른 목적상 적절한 아치형의 표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섀시부(5)에는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이 제공된다. 프레임을 더 경량으로 만들기 위해서, 수직 부분(10)에 공동, 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이한 양상들에서, 상부 섀시부(5)는 수직 부분(1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하부 섀시부(6)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준다. 하부 섀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바퀴(14)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바퀴(15)가 장착된 몸체(13)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하부 섀시부(6)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바퀴(16)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바퀴(16)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바퀴는 하부 섀시부(6)에 대해 베어링에 장착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바퀴는 베어링에서 볼 베어링, 미끄럼 베어링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해 바퀴 차축(18)에 장착된다. 제1 구현예에 있어서, 하부 섀시부(6)의 몸체(13)의 상부는, 도 4의 구현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면(19)으로 구성된다. 하부 섀시부(6)에는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0)이 형성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부 섀시부(5) 및 하부 섀시부(6)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보강 부재(21)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보강 부재(21)는 나사산을 갖는 로드와 두 개의 나사로 예시된다. 나사산을 갖는 로드는 상부 섀시부(5)에 나사로 체결되며, 하부 섀시부(6)의 홈(22)을 통과하여 이어진다. 보강 부재(21)의 기술적 효과는 인라인 프레임(1)의 비틀림 강성이 증가된다는 점이다. 상부 섀시부(5)와 하부 섀시부(6) 사이의 비틀림 중, 보강 부재(21)는 홈(22)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인라인 프레임(1)은 하부 섀시부(6)의 홈(22) 및 보강 부재(21) 없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예시적인 연결 부재(7)와 그 기능을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7)는, 하부 섀시부(6)의 관통홀(20) 및 상부 섀시부(5)의 관통홀(12)을 통과하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축(23)으로 구성된다. 기술적인 기능은, 연결 부재(7)가 상부 섀시부(5)와 하부 섀시부(6)를 함께 고정하는 것이다. 차축(23)은 나사, 볼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부싱(24)이 차축(23) 둘레에 연결된다. 부싱은 그 상부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너트(25) 또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부싱(24)은 예를 들어 고무, 고무와 유사한 재료 또는 목적상 적합한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부분들은 인라인 프레임의 독특한 단차 없는 균형 요소를 가능하게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부분들이 함께 작용할 때 인라인 프레임의 실질적인 기능을 보여주며, 이는 다음 단락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상부 섀시부(5)의 곡선으로 형성된 제1 접촉면(11)이 하부 섀시부(6)의 편평하게 형성된 제2 접촉면(19)에 안착된다. 연결 부재(7)는 상부 섀시부(5) 및 하부 섀시부(6)를 함께 고정한다. 연결 부재(7)는 가요성이 있고 스프링 백(spring back) 가능한 부싱(24)을 포함하므로, 상부 섀시부(5)와 하부 섀시부(6) 사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다. 스케이터가 부츠(2)의 발가락 부분(3) 또는 뒤꿈치 부분(4)에 압력을 가하면, 상부 섀시부(5)의 곡선형 제1 접촉면(11) 및 하부 섀시부(6)의 편평한 제2 접촉면(19)은 서로에 대해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곡선형 제1 접촉면(11)이 편평한 제2 접촉면(19)에 대해 롤링한다(roll). 따라서 부싱(24)은 에너지 증가 시 스케이터가 압력을 가하는 측 상에서 함께 가압된다. 압력이 해제되면, 부싱은 에너지를 발하는 스프링 효과로 인해 원래 형태로 돌아간다. 차축(23) 또는 너트(25)가 얼마나 꽉 조여져 있는지, 그리고 부싱(24)이 얼마나 많이 가압되는지에 따라, 주어진 힘에서 하부 섀시부(6)와 상부 섀시부(5) 사이의 이동 레벨을 상이하게 만든다. 차축(23) 및 너트(25)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부싱이 가압되어 주어진 힘에서 하부 섀시부(6)와 상부 섀시부(5) 사이의 이동 범위가 더 작아진다. 대신에 차축(23) 및 너트(25)가 느슨하면, 부싱(24)이 덜 가압되어 주어진 힘에서 하부 섀시부(6)와 상부 섀시부(5) 사이의 이동량이 더 커진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바퀴(14) 및 제4 바퀴(17)는 수직 방향으로 제2 바퀴(15) 및 제3 바퀴(16)보다 더 높이 배치된다. 이는 바퀴들(14, 15, 16, 17) 중 하나 이상이 절대 지면에 닿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 스케이터는 토크 중 지면에 대한 마찰이 네 개의 바퀴 전부가 지면에 닿는 경우보다 더 낮을 때 진행 방향을 더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더욱이, 이는 인라인 프레임(1)의 특성이 빙상에서의 아이스 하키 날의 특성을 더욱 모방하게 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바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경이 다른 바퀴들보다 더 작다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그 결과 스케이터는 토크 중 지면에 대한 마찰이 네 개의 바퀴가 전부 지면에 닿는 경우보다 더 낮을 때 진행 방향을 더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바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바퀴들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된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프레임의 제1 대안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구현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7)는 필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차축(23)을 포함한다. 차축(23)은 하부 섀시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싱(24)에 장착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프레임의 제2 대안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구현예에 있어서, 하부 섀시부(6)는 바람직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면(19)을 포함하고, 상부 섀시부(5)는 편평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면(11)을 포함한다. 다른 대안예에 있어서, 제1 접촉면(11) 및 제2 접촉면(19) 둘 다 반경 형상을 갖거나 또 다른 목적상 적절하게 형상화된 아치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제1 접촉면(11) 및/또는 제2 접촉면(19)이 부분적으로만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며,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인라인 프레임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 인라인 프레임(10)이 도시된다. 인라인 프레임(10)은 연결 및 스프링 백 부재(17)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부 섀시부(15) 및 하부 섀시부(16)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부 섀시부(16)는 바퀴들을 포함하도록 배치되며, 이는 단순성을 위해 여기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하부 섀시부(16)의 몸체(13)의 상부면은 여기에서는 편평하지만 대안적으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제2 접촉면(19)을 포함한다. 인라인 프레임(10)은 세장형의 개별 섀시 부재(18)를 더 포함하며, 이의 하부면은 제1 접촉면(11)을 포함한다. 개별 섀시 부재의 하부면에 배치된 제1 접촉면(11)은 여기에서 곡선으로 형성된다. 도 9b에 확대 도시된 개별 섀시 부재(18)는 상부 섀시부(15)와 하부 섀시부(16) 사이에 끼워맞춤 되도록 배치되며, 그 상부면(31)은 상부 섀시부의 하부 접촉면(3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접촉면을 포함하는 교체 가능한 섀시 부재를 형성한다. 섀시 부재(18)는 연결 부재(17)를 통해 상부 섀시부(15)와 하부 섀시부(16) 사이의 적소에 개별 섀시 부재(18)를 유지하기 위한 관통홀(30)을 더 포함한다. 연결 부재(17)는 인라인 프레임(10)의 방향을 따라 상부 섀시부(15), 개별 섀시 부재(18) 및 하부 섀시부(16)가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개별 섀시 부재(18)가 인라인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함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된다(즉, 제1 접촉면의 다양한 곡률을 가지고 제1 접촉면을 포함한 상이한 섀시 부재들을 인라인 프레임에 채용할 수 있다).
인라인 프레임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접촉면을 포함하는 개별 섀시 부재를 제공하는 대신에, 개별 섀시 부재는 그 하부면이 하부 섀시부의 상부 접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개별 섀시 부재의 상부면이 제2 접촉면을 포함하도록 배치된다(미도시).
인라인 프레임의 구현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섀시 부재(18)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제1 및 제2 접촉면을 둘 다 포함하여 배치된다. 개별 섀시 부재(18)를 살펴보면, 이는 상부면 및 제2 표면이 둘 다 만곡된 세장형 몸체로 되어 있다. 제1 관점에서는, 개별 섀시 부재(18)의 상부면(31)은 상부 섀시부(15)의 하부 접촉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탱하고 상부 섀시부(15)의 일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하부 접촉면은 하부 섀시부(16)의 상부 접촉면(19)에 대해 작용하는 제1 접촉면(11)을 구성함으로써, 상응하는 제2 접촉면을 제공한다. 동시에, 상부 섀시부(15)의 하부 접촉면(상응하는 제1 접촉면(11')을 구성함)에 대해 작용하는 제2 접촉면으로서 개별 섀시 부재의 상부면(19')을 살펴보면, 개별 섀시 부재(18)의 하부 접촉면(31')은 하부 섀시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부 섀시부(16)의 상부 접촉면(3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탱한다. 즉, 상부 및 하부 섀시부에 대한 제1 및 제2 접촉면의 2중 세트가 제공된다.
인라인 프레임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부 섀시부 또는 하부 섀시부는 개별 섀시 부재의 정확한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돌출된 안내부, 예컨대 도 9a에서 상부 섀시부(15) 상의 안내부(26)를 포함하고, 개별 섀시 부재(18)는 상응하는 수용부, 예컨대 도 9b의 수용부(32)를 포함한다(또는 그 반대도 가능함).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접촉면(11) 및 제2 접촉면(19) 중 적어도 하나를 교체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하부 섀시부(16)와 상부 섀시부(15) 사이의 이동량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인라인 프레임(10)의 제1 접촉면(11) 및 제2 접촉면(1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큰 반경 또는 또 다른 목적상 적절하게 형상화된 아치형태를 가진 접촉면으로 교체함으로써, 하부 섀시부(16)와 상부 섀시부(15) 사이의 최대 이동 진폭이 감소된다. 반면, 인라인 프레임(10)의 제1 접촉면(11) 및 제2 접촉면(1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작은 반경 또는 또 다른 목적상 적절하게 형상화된 아치형태를 가진 접촉면으로 교체함으로써, 하부 섀시부(16)와 상부 섀시부(15) 사이의 최대 이동 진폭이 증가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별 섀시 부재는 상응하는 섀시부에 고정되지 않고, 따라서 어떤 체결 수단도 없이 자유롭게 배치되지만, 연결 부재(17)에 의해 상부 섀시부(15)와 하부 섀시부(16) 상에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바른 위치에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별 섀시 부재는, 예컨대 나사 체결, 접착을 통해 또는 클립과 같은 신속한 체결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상응하는 상부 또는 하부 섀시부에 고정된다.
인라인 프레임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별 섀시 부재는 두 개의 개별 부분들로 나누어진다. 바람직하게 개별 섀시 부재는, 제1 및/또는 제2 접촉면이 인라인 프레임의 측방향으로 분할되도록 나누어진다. 예컨대 도 11a를 참조하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개별 섀시 부재(18)와 유사한 개별 섀시 부재(28)가 도시되며, 개별 섀시 부재(28)는 제1 접촉면(11)을 포함하고, 또한 개별 전방부(28a) 및 개별 후방부(28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1b는 전방부(28a) 및 후방부(28b)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개별 섀시 부재(28)는 관통홀(30)이 나누어지도록 그 중심에서 나누어진다. 이는 연결 부재(17)가 완전히 탈착되어 관통홀(30)로 삽입될 필요가 없으므로 인라인 프레임(10) 상에 개별 섀시 부재(28)를 탈착 및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전방부(28a) 및 후방부(28b)는, 반대 방향으로(각각 인라인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상부 섀시부(15)와 하부 섀시부(16) 사이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전방부(28a) 및 후방부(28b)는 임의의 적합한 고정 수단, 예컨대, 클립, 나사, 전방부 및 후방부의 교차면(28c, 28d)에 배치된 돌출부 및 그에 상응하는 수용부(미도시)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제1 접촉면 또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개별 섀시 부재를 두 부분, 즉 전방부 및 후방부로 나눔으로써, 제1 및/또는 제2 접촉면을 따른 곡률 형상 및/또는 반경(R) 은, 상이한 반경 및/또는 상이한 목적상 적절하게 형상화된 아치형태를 가진 전방부 및 후방부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c는 제1 반경(X)을 가진 제1 접촉면(11a)을 포함하는 전방 부(28a) 및 제2 반경(Y)을 가진 제2 접촉면(11b)을 포함하는 후방부(28b)를 구비한 상부 섀시 부재(28)를 도시한다.
인라인 프레임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별 섀시 부재는 인라인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상부 또는 하부 섀시부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다(미도시). 따라서, 제1 접촉면의 위치는 상부 섀시부의 위치에 대해 조정 가능하고/하거나, 제2 접촉면의 위치는 하부 섀시부의 위치에 대해 조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제1 접촉면 및/또는 제2 접촉면은 인라인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발 아래 바람직한 위치로 곡률 반경을 위치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개인적인 스케이팅 스타일에 맞는 조정이 유리하게 달성된다.
인라인 프레임의 구현예에 따르면, 하부 섀시부는 상부 섀시부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하부 섀시부는 인라인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인라인 프레임의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는 상부 섀시부 또는 하부 섀시부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는 인라인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차축(23)이 하부 섀시부(6) 또는 상부 섀시부(5)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너트(25)가 하부 섀시부(6) 또는 상부 섀시부(5)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인라인 프레임의 구현예에 따르면, 부싱(24)은 상부 섀시부 또는 하부 섀시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부싱(24)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또는 목적상 적합한 스프링(탄성) 효과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라인 프레임의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는 부싱(24) 없이 배치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부 섀시부(5)는 부츠(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특정한 바람직한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의 변경 및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수 있으며, 이는 모두 이하의 청구항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바퀴들의 개수 및 바퀴들 사이의 거리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인라인 프레임(1, 10)은 또한 세 개의 바퀴, 심지어는 다섯 개 이상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인라인 프레임(1)은 적어도 두 개의 연결 부재(7)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인라인 프레임(1)에 세 개의 바퀴가 장착되는 경우, 제1 연결 부재(7)는 예를 들어 제1 바퀴(14)와 제2 바퀴(1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 후 제2 연결 부재(7)는 제2 바퀴(15)와 제3 바퀴(16) 사이에 배치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인라인 프레임(1)이 네 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연결 부재는 제1 바퀴(14)와 제2 바퀴(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제2 연결 부재(7)는 제3 바퀴(16)와 제4 바퀴(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인라인 프레임(1)이 다섯 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연결 부재는 제1 바퀴(14)과 제2 바퀴(15) 사이 또는 제2 바퀴(15)와 제3 바퀴(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7)는 제4 바퀴(17)와 제5 바퀴 사이 또는 제3 바퀴(16)와 제4 바퀴(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모든 바퀴들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모든 바퀴들이 동시에 지면에 접촉된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디자인의 상세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명백한 디자인의 상세사항은 본 발명의 적절하고 충분한 수행이 달성되는 데 필요한 정도만큼 포함된다. 예를 들어, 와셔, 나사, 바퀴 차축, 베어링, 나사산을 갖는 로드 또는 리벳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적절한 기능을 얻는 데 필요한 정도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만곡된 날을 이용하여 빙상에서의 스케이팅을 모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디자인과 비교하여 훈련 효율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자인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아이스 하키 선수가 인라인 스케이트로 빙상에서의 스케이팅과 동일한 균형 요소를 달성할 수 있다. 균형 요소는 예를 들어 아이스 하키 선수가 빙상에서 경험하는 것과 유사한 근육 활성화를 제공한다. 이는 중요한 이점을 가져오는데, 그 이유는 이제 본 발명으로 신체 단련과 스피드 훈련의 효과를 빙상에서의 스케이팅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하키 선수가 빙상에서보다 훨씬 더 힘든 균형 요소로 스케이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스케이터가 신체의 균형 감각을 계속 단련시킴으로써 운동 패턴을 개선하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이는 더욱 효율적인 운동과 또한 향상된 균형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둘 다 아이스 하키 선수가 직면하는 경기의 모든 양상을 기술적으로 우수하게 실행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또 다른 이점은 균형 요소가 바퀴들의 상호 배치와 함께 어떻게 방향 전환 중 인라인 프레임을 더 쉽게 다루도록 만드는지에 있다. 이는 아이스 하키 날 및 빙상에서의 그 특성들과의 유사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비전문 스케이터가 주행간의 전이를 더 부드럽게 하고 방향 전환을 더 잘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그로 인해 스케이팅이 더 편안하고 덜 다루기 힘든 것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이점은 예를 들어 허리의 문제를 방지하고 해결하는 것을 돕는 신체의 안정화 근육에 균형 요소가 끼치는 훈련 효과에 있다.

Claims (14)

  1. 빙상에서의 아이스 하키 스케이트 날의 특성을 모방하고자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인라인 프레임(1)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바퀴(14)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바퀴(15)가 베어링에 장착되고 인라인 프레임(1)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섀시를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프레임의 섀시는 연결 부재(7)를 통해서 인라인 프레임(1)의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섀시부(5) 및 하부 섀시부(6)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인라인 프레임(1)에 있어서,
    상부 섀시부(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면(11)을 포함하고 하부 섀시부(6)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면(19)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11)은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촉면(19)은 편평한 것인 인라인 프레임(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11)은 편평하고 상기 제2 접촉면(19)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인 인라인 프레임(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11)은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촉면(19)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인 인라인 프레임(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는 적어도 하나의 차축(23) 및 적어도 하나의 부싱(24)을 포함하는 것인 인라인 프레임(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싱(24)은 고무 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 것인 인라인 프레임(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싱(24)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인 인라인 프레임(1).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접촉면(11) 및 제2 접촉면(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별 섀시 부재(18)를 더 포함하는 인라인 프레임(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가능한 섀시 부재(28)는 개별 전방부(28a) 및 개별 후방부(28b)를 포함하는 것인 인라인 프레임(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부재는 인라인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상부 또는 하부 섀시부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배치된 것인 인라인 프레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는 인라인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차축(23)으로 구성된 것인 인라인 프레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는 적어도 두 개의 부싱(24)을 포함하는 것인 인라인 프레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라인 프레임(1)은 부츠(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인라인 프레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라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20127023532A 2010-02-09 2011-02-02 롤러 스케이트 KR20120116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000121A SE534628C2 (sv) 2010-02-09 2010-02-09 Inlinesskena
SE1000121-2 2010-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15A true KR20120116015A (ko) 2012-10-19

Family

ID=4390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532A KR20120116015A (ko) 2010-02-09 2011-02-02 롤러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9101816B2 (ko)
EP (1) EP2533867B1 (ko)
JP (1) JP5862966B2 (ko)
KR (1) KR20120116015A (ko)
CN (1) CN102740935B (ko)
AU (1) AU2011214918B2 (ko)
BR (1) BR112012019265B1 (ko)
CA (1) CA2789327C (ko)
ES (1) ES2765661T3 (ko)
MX (1) MX336840B (ko)
NZ (1) NZ601263A (ko)
RU (1) RU2555644C2 (ko)
SE (1) SE534628C2 (ko)
WO (1) WO2011099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3053A1 (en) * 2012-08-31 2014-03-05 Marsblade AB Coupling means
WO2015160885A1 (en) * 2014-04-16 2015-10-22 Aussprung Brent E Hybrid skate
WO2016072882A1 (ru) * 2014-11-07 2016-05-12 Паве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АХОЛДИН Роликовые коньки
US10617934B2 (en) * 2019-04-16 2020-04-14 Dongguan Hongmei Sports Equipment Co., Ltd. Bottom structure of roller skate
EP3978087A1 (en) * 2020-10-02 2022-04-06 Flow Motion Technology AB An ice skate with exchangeable blade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014A (en) * 1884-08-26 lincoln
DE78733C (de) K. HANNES, Raitenhaslach, Post Burghausen, Oberbayern Schlittschuh mit in vertikaler Ebene drehbarer Fufsplatte
US2093915A (en) 1937-01-27 1937-09-21 Klevstad Edward Skate
US2725238A (en) * 1952-01-29 1955-11-29 Samuel S Day Training-type roller skate
US3822491A (en) 1973-11-15 1974-07-09 R Rathmell Ski boot hinged on sole
FR2510416B1 (fr) * 1981-07-28 1985-08-16 Tom I Avtomatizirovann Patins a roulettes
FR2557466B2 (fr) * 1983-01-14 1986-05-30 Vincent Yvon Patin a roulettes
US4706974A (en) * 1983-01-14 1987-11-17 Vincent Yvon M Roller skate
FR2585582B1 (fr) * 1985-08-05 1987-11-13 Vincent Yvon Patins a roulettes propulseurs
DE3602364A1 (de) 1986-01-27 1987-07-30 Meyer Hans Dipl Ing Fh Federbrett fuer einen ski
NL8702068A (nl) 1987-09-02 1989-04-03 Gerrit Cornelis Van Ooijen Noorse schaats.
FR2635013B1 (fr) 1988-08-03 1990-10-26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chaussure sur un ski de fond
US5123664A (en) 1991-02-04 1992-06-23 Demars Daniel G Snap lock, step in, replacement skate runner
US5135244A (en) * 1991-04-22 1992-08-04 Wdrm Patent Co. Suspension and braking system for a tandem wheeled skate
CN2093669U (zh) 1991-07-27 1992-01-22 董兴树 滚轮直线式可调旱冰鞋
US5232231A (en) * 1992-08-12 1993-08-03 Bruce Carlsmith Brake for roller skates
US5342071A (en) * 1993-05-06 1994-08-30 Mike Soo In-line roller skate brake assembly
CN1094982A (zh) 1993-05-11 1994-11-16 彼里·福尔丁 带有可调滑行装置的溜冰鞋
IT1266082B1 (it) * 1993-11-09 1996-12-20 Nordica Spa Struttura di pattino con ruote in linea
ATE265878T1 (de) 1995-05-24 2004-05-15 Salomon Sa Sportvorrichtung
EP0763373A1 (fr) * 1995-09-05 1997-03-19 Skis Rossignol S.A. Patin à roulette en ligne
FR2744033B1 (fr) 1996-01-29 1998-04-17 Rossignol Sa Patin a roulettes en ligne
FR2745724B1 (fr) * 1996-03-11 1998-05-07 Rossignol Sa Patin a roulettes en ligne equipe d'un frein
FR2750878B1 (fr) * 1996-07-15 1998-10-16 Rossignol Sa Patin a roulettes en ligne
DE29614090U1 (de) 1996-08-14 1997-01-09 Mohr Werner Zwei-Rollen-Rollschuh mit Blattfeder zur Aufnahme der hinteren Rolle
IT1288002B1 (it) * 1996-12-03 1998-09-10 Marco Maggiolo Pattini con ruote in linea a manovrabilita' e controllabilita' migliorate
FR2758093A1 (fr) 1997-01-09 1998-07-10 Furter Michel Ernest Patins a chaussures normales
EP0903168B1 (de) 1997-08-30 2003-05-21 Heinz Köhmstedt Rollschuh, insbesondere Inline-Skater mit einer Bremsvorrichtung
DE29814854U1 (de) 1997-08-30 1999-01-28 Koehmstedt Heinz Rollschuh, insbesondere Inline-Skater mit einer Bremsvorrichtung
US6007075A (en) * 1997-09-16 1999-12-28 Nike, Inc. Clap skate with spring and cable biasing system
US7419187B2 (en) * 1997-10-24 2008-09-02 K-2 Corporation Double klap flex base boot with heel linkage
IT1297292B1 (it) 1997-11-06 1999-09-01 Stylus Spa Ora Toifin Spa Struttura di telaio per pattini da ghiaccio particolarmente per la velocita'
WO2000009223A1 (en) 1998-08-10 2000-02-24 Gard Mayer In-line roller skate
AT410902B (de) 1998-11-12 2003-08-25 Atomic Austria Gmbh Schwenkbare verbindungseinrichtung zur anordnung zwischen einem sportgerät und einem fuss eines benutzers sowie schuh und sportgerät hierfür
US6523835B1 (en) 1999-01-28 2003-02-25 Robert M. Lyden Blade for an ice skate
US6971652B2 (en) * 1999-05-06 2005-12-06 Viking Schaatsenfabriek B.V. Connecting mechanism for pivotally connecting a shoe to a sporting device
CA2314631A1 (en) 1999-07-27 2001-01-27 Todd D. Gray Wheel suspension system for in-line roller skate
GB2363078A (en) * 2000-06-07 2001-12-12 Chou Tien Chiu An in line roller skate
US6736412B1 (en) 2000-10-04 2004-05-18 K2 Corporation Klop skate having pushing and pulling capabilities
FR2816516A1 (fr) 2000-11-14 2002-05-17 Fabrice Gropaiz Patin a roues en ligne et a platine amortissante
US7178814B2 (en) * 2001-12-04 2007-02-20 Mash Paul T Sport board
US6834881B2 (en) 2001-12-04 2004-12-28 Paul Thomas Mash Sport board
FR2833179B1 (fr) 2001-12-11 2004-01-30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sans soulevement d'une chaussure a un article de sport
KR20040104861A (ko) 2003-06-04 2004-12-13 김태훈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DE102005026508A1 (de) * 2005-06-09 2006-12-14 Basil Miguehe Inliner mit gedämpfter Rad Gestell und Schuhe Chassis
US7455305B2 (en) 2005-12-12 2008-11-25 Alex Bellehumeur, Trustee of the Alex Bellehumeur Family Trust dated August 24, 1988 Vertically reciprocating skate brake
ATE530232T1 (de) 2006-05-30 2011-11-15 Timo Azadi Rollschuh mit bogenförmigem dämpfungselement
EP2424630A4 (en) 2009-04-30 2014-10-29 Jf Pelchat Inc BINDING SYSTEM FOR A LEISURE BOARD
SE535465C2 (sv) * 2011-03-18 2012-08-21 Marsblade Ab Bindning samt en skida, skridsko eller sko med en sådan bindning
US8827768B2 (en) 2012-06-22 2014-09-09 Robert H. Allen Skate sharpening holder, skate blade,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3104A1 (en) 2012-05-31
WO2011099914A1 (en) 2011-08-18
US20150306489A1 (en) 2015-10-29
EP2533867B1 (en) 2019-10-23
US9101816B2 (en) 2015-08-11
CA2789327C (en) 2013-12-10
JP2013518662A (ja) 2013-05-23
SE534628C2 (sv) 2011-11-01
US9782665B2 (en) 2017-10-10
JP5862966B2 (ja) 2016-02-16
ES2765661T3 (es) 2020-06-10
BR112012019265A2 (pt) 2020-06-02
MX336840B (es) 2016-02-03
CA2789327A1 (en) 2011-08-18
CN102740935A (zh) 2012-10-17
SE1000121A1 (sv) 2011-08-10
RU2555644C2 (ru) 2015-07-10
CN102740935B (zh) 2015-08-19
RU2012136138A (ru) 2014-03-20
AU2011214918A1 (en) 2012-08-02
NZ601263A (en) 2014-06-27
EP2533867A1 (en) 2012-12-19
AU2011214918B2 (en) 2014-07-17
MX2012009128A (es) 2012-09-07
BR112012019265B1 (pt)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4402B2 (en) Balance training system
US9050517B2 (en) Ski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7341261B2 (en) Skate
US9782665B2 (en) Roller skate
JP6009474B2 (ja) 結合器具
US4595195A (en) Apparatus for practicing skiing
AU2010304914B2 (en) Ski training device
KR101833742B1 (ko) 스케이트로 사용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US7641203B1 (en) Triple-blade ice skating footwear and associated method
JP6141752B2 (ja) スキー練習装置
KR101837432B1 (ko)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KR101837426B1 (ko) 투 인 원 롤러보드
JP2017038679A (ja) チェア付スノ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