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861A -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861A
KR20040104861A KR1020030036122A KR20030036122A KR20040104861A KR 20040104861 A KR20040104861 A KR 20040104861A KR 1020030036122 A KR1020030036122 A KR 1020030036122A KR 20030036122 A KR20030036122 A KR 20030036122A KR 20040104861 A KR20040104861 A KR 2004010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racket
shaft
roller
bracke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03003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4861A/ko
Publication of KR2004010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8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일명; 롤러블레이드)를 겸용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신발의 외부 바닥면에 사용여부에 따라 수납과 노출이 반복되도록 여러개의 롤러를 가지는 회전브라켓을 구성하므로서, 롤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롤러를 롤러수납홈으로 완전 수납시켜 신발을 이용한 걷기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롤러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수납된 롤러를 외부로 노출시켜 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발 겸용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Inline skates for combined use the footwear}
본 발명은 인라인스케이트(일명 롤러블레이드)를 겸용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의 외부 밑창에 롤러 수납홈을 만든 후 이에 여러개의 롤러가 결합된 회전브라켓을 결합하여 롤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롤러를 롤러수납홈으로 완전 수납시켜 신발을 이용한 걷기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롤러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수납된 롤러를 외부로 노출시켜 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인라인스케이트는 롤러부와 신발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였으며, 이에따라 종래에는 인라인스케이트를 이용한 걷기의 보행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롤러 수납이 가능한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종래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는 신발의 외부 바닥면 전후에 각각 롤러수납홈을 분리하여 만든 후 이에 롤러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구조인 바, 이는 제작상의 어려움이 따를수밖에 없었으며, 아울러 롤러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구조로 인해 그 전후의 롤러 수평상태가 불량할 경우 롤러를 이용한 롤링이 어려워지는 폐단이 따랐다.
더불어, 종래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는 그 롤러의 수납과 노출을 개별적으로 진행시키는 구조적인 단점으로 인해 그 사용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를수밖에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외부 바닥면에 사용여부에 따라 수납과 노출이 반복되도록 여러개의 롤러를 가지는 회전브라켓을 구성하므로서, 롤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롤러를 롤러수납홈으로 완전 수납시켜 신발을 이용한 걷기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롤러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수납된 롤러를 외부로 노출시켜 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신발 겸용 인라인스케이트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신발 겸용 인라인스케이트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라인스케이트의 전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라인스케이트의 수납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롤러수납홈 11; 브레이크부
20; 고정브라켓 21,22; 제 1,2 플랜지부
30; 회전브라켓 31,32,33,34; 제 1,2,3,4 축구멍
40; 원형 축핀 50; 토출스프링
60; 버튼부 61; 축로드
62; 복귀스프링 70; 록킹축
80; 충격완화부 100; 신발
200; 롤러 201; 롤러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신발 겸용 인라인스케이트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신발 겸용 인라인스케이트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라인스케이트의 전개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라인스케이트의 수납 상태를 보인 배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신발(100)에 있어서,
상기 신발(100)의 외부 바닥면에는 장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롤러수납홈(10)을 형성하고, 그 롤러수납홈(10)의 전방면에는 브레이크부(11)를 형성하며,
상기 롤러수납홈(10)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 1 및 제 2 플랜지부(21)(22)를 양측부에 형성한 고정브라켓(20)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0)에는 여러개(예; 4개)의 롤러(200)를 결합시키면서 전후면이 제 1 및 제 2 플랜지부(21)(22)와 밀착되는 회전브라켓(30)을 결합하며,
상기 제 1 플랜지부(21)와 회전브라켓(30)의 전면에는 원형의 제 1 및 제 2 축구멍(31)(32)을 형성하되, 상기 제 2 플랜지부(22)와 회전브라켓(30)의 후면에는 각진모양(예; 삼각)의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축구멍(31)(32)에는 원형축핀(40)이 체결되도록 하되 그 원형축핀(40)에는 롤러(200)의 롤링이 가능하도록 후술하는 버튼부(60)의 누름동작이 이루어질 때 회전브라켓(30)을 강제 회전시키는 토출스프링(50)을 결합하며,
상기 신발(100)의 후방면에는 롤러(200)가 결합된 회전브라켓(30)의 수납 및 토출 회전을 제어하도록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는 버튼부(60)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60)에는 회전브라켓(30)의 회전을 안내하는 원형의 축로드(61)를 연장시키되, 그 축로드(61)에는 버튼부(60)의 누름상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62)을 결합하며,
상기 축로드(61)의 일단에는 버튼부(60)의 누름동작 해제시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으로 체결되어 회전브라켓(30)의 회전을 제한하고, 버튼부(60)의 누름동작시에는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으로 부터 이탈되어 회전브라켓(30)이 축로드(61)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각진모양의 록킹축(70)을 연장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회전브라켓(30)의 일면에는, 회전브라켓(30)의 수납으로 부터 신발(100)의 걷기 보행이 이루어질 때 지면과 밀착되어 충격 완화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수지재질의 충격완화부(8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201은 롤러(200)의 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축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발(100)의 외부 바닥면에 장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롤러수납홈(10)을 형성하는 한편, 그 롤러수납홈(10)의 전방면에는 브레이크부(11)를 형성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롤러수납홈(10)에는 양측부에 제 1 및 제 2 플랜지부(21)(22)가 수직으로 세워진 고정브라켓(20)을 체결수단(예; 리벳)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하여 둔다.
이후, 상기 고정브라켓(20)에는 여러개(예; 4개)의 롤러(200)가 롤러축(201)에 의해 결합되면서 그 일면으로는 충격완화부(80)가 도포된 회전브라켓(30)을 결합하여 둔다.
즉, 상기 회전브라켓(30)의 전후면을 고정브라켓(20)의 제 1 및 제 2 플랜지부(21)(22)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플랜지부(21)와 회전브라켓(30)의 전면에는 원형의 제 1 및 제 2 축구멍(31)(3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축구멍(31)(32)으로 원형축핀(40)을 체결한 후 그 원형축핀(40)에는 토출스프링(50)을 결합하여 둔다.
한편, 상기 제 2 플랜지부(22)와 회전브라켓(30)의 후면에는 각진모양(예; 삼각)의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에는 버튼부(60)로 부터 연장된 각진모양의 록킹축(70)을 체결시켜 둔다.
즉, 신발(100)의 후방면에는 롤러(200)가 결합된 회전브라켓(30)의 수납 및 토출 회전을 제어하도록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는 버튼부(60)를 형성하여 둔다.
이때, 상기 버튼부(60)에는 축로드(61)와 록킹축(70)이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
상기 축로드(61)에는 버튼부(60)의 누름상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62)을 결합하고, 상기 록킹축(70)은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으로 체결시켜 둔다.
그러면, 상기 회전브라켓(30)은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과 록킹축(70)의 체결상태에 따라 그 수납과 외부 노출의 회전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브라켓(30)이 롤러수납홈(10)으로 수납되어 있다고 가정한 후, 이용자가 신발(200)의 후방면에 위치하는 버튼부(60)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버튼부(60)의 누름동작으로 부터 그 버튼부(60)에 연장된 축로드(61)는 물론 록킹축(70)은 회전브라켓(30)의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축(70)은 각진모양을 이루는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으로 부터 이탈되는 바,
상기 회전브라켓(30)은 토출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롤링이 가능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브라켓(30)은 록킹축(70)이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으로 부터 이탈될 때, 버튼부(60)로 부터 연장된 축로드(61)는 물론, 상기 제 1 및 제 2 축구멍(31)(32)에 체결된 원형축핀(40)에 의해 지지되면서 토출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그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후, 이용자가 버튼부(60)의 누름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버튼부(60)는 축로드(61)에 결합된 복귀스프링(62)의 반발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리턴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60)의 리턴으로 부터 상기 각진모양의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으로는 각진모양의 록킹축(70)이 다시 체결되므로서, 상기 회전브라켓(30)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상기 회전브라켓(30)에 결합된 롤러(200)를 롤링시킬수 있고, 더불어 상기 롤러수납홈(10)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브레이크부(11)를 통해 그 정지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 노출된 롤러(200)를 다시 신발(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롤러수납홈(10)으로 수납하여 신발(100)을 이용한 걷기의 보행만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이용자가 버튼부(60)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버튼부(60)의 누름동작으로 부터 그 버튼부(60)에 연장된 축로드(61)는 물론 록킹축(70)은 다수개의 롤러(200)가 장착된 회전브라켓(30)의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축(70)은 그 직선운동으로 부터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에서 이탈되는 바,
상기 회전브라켓(30)은 버튼부(60)로 부터 연장된 축로드(61)는 물론, 상기 제 1 및 제 2 축구멍(31)(32)에 체결된 원형축핀(40)을 통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이용자가 회전브라켓(30)이나 그 회전브라켓(30)에 결합된 롤러(200)를 누르는 경우, 상기 회전브라켓(30)은 롤러수납홈(10)으로 그 수납이 이루어진다.
이후, 이용자가 버튼부(60)의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버튼부(60)는 축로드(61)에 결합된 복귀스프링(62)의 반발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고, 상기 버튼부(60)의 리턴으로 부터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으로는 록킹축(7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3 및 제 4 축구멍(33)(34)과 록킹축(70)의 체결로 부터 상기 회전브라켓(30)은 견고한 수납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회전이 제한되는 바, 이용자는 신발을 통한 걷기의 보행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브라켓(30)의 일면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충격완화부(80)가 도포되어 있는 바,
상기 충격완화부(80)는 신발(100)의 걷기 보행이 이루어질 때 지면과 맞닿으면서 걷기 보행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킴은 물론,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신발의 외부 바닥면에 사용여부에 따라 수납과 노출이 반복되도록 여러개의 롤러를 가지는 회전브라켓을 구성하므로서, 롤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롤러를 롤러수납홈으로 완전 수납시켜 신발을 이용한 걷기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롤러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수납된 롤러를 외부로 노출시켜 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외부 바닥면에는 장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롤러수납홈을 형성하고, 그 롤러수납홈의 전방면에는 브레이크부를 형성하며,
    상기 롤러수납홈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 1 및 제 2 플랜지부를 양측부에 형성한 고정브라켓을 견고하게 고정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여러개의 롤러를 결합시키면서 전후면이 제 1 및 제 2 플랜지부와 밀착되는 회전브라켓을 결합하고,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회전브라켓의 전면에는 원형의 제 1 및 제 2 축구멍을 형성하되, 상기 제 2 플랜지부와 회전브라켓의 후면에는 각진모양의 제 3 및 제 4 축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축구멍에는 원형 축핀을 체결하되 그 원형축핀에는 롤러의 롤링이 가능하도록 후술하는 버튼부의 누름동작이 이루어질 때 회전브라켓을 강제 회전시키는 토출스프링을 결합하고,
    상기 신발의 후방면에는 롤러가 결합된 회전브라켓의 수납 및 토출 회전을 제어하도록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는 버튼부를 형성하며,
    상기 버튼부에는 회전브라켓의 회전을 안내하는 원형의 축로드를 연장하되 그 축로드에는 버튼부의 누름상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결합하고,
    상기 축로드의 일단에는 버튼부의 누름동작 해제시 제 3 및 제 4 축구멍으로체결되어 회전브라켓의 회전을 제한하고, 버튼부의 누름동작시에는 제 3 및 제 4 축구멍으로 부터 이탈되어 회전브라켓이 축로드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각진모양의 록킹축을 연장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의 일면에는,
    회전브라켓의 수납으로 부터 신발의 걷기 보행이 이루어질 때 지면과 밀착되어 충격 완화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수지재질의 충격완화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KR1020030036122A 2003-06-04 2003-06-04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KR20040104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122A KR20040104861A (ko) 2003-06-04 2003-06-04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122A KR20040104861A (ko) 2003-06-04 2003-06-04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602U Division KR200326898Y1 (ko) 2003-06-04 2003-06-04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861A true KR20040104861A (ko) 2004-12-13

Family

ID=3738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122A KR20040104861A (ko) 2003-06-04 2003-06-04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48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5644C2 (ru) * 2010-02-09 2015-07-10 Марсблейд Аб Роликовый конек
CN110420449A (zh) * 2019-09-10 2019-11-08 刘绍春 轮滑鞋
CN110420449B (zh) * 2019-09-10 2024-05-17 刘绍春 轮滑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5644C2 (ru) * 2010-02-09 2015-07-10 Марсблейд Аб Роликовый конек
US9101816B2 (en) 2010-02-09 2015-08-11 Marsblade Ab Roller skate
US9782665B2 (en) 2010-02-09 2017-10-10 Flow Motion Technology Ab Roller skate
CN110420449A (zh) * 2019-09-10 2019-11-08 刘绍春 轮滑鞋
CN110420449B (zh) * 2019-09-10 2024-05-17 刘绍春 轮滑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6623A (en) Roller skates for shoes
EP1113846B1 (en) Roller skates having improved appearance and function as walking shoes
US6859981B2 (en) Fine adjustable sliding buckle
US20020121750A1 (en) Shoe for skating and walking
KR200326898Y1 (ko)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KR20040104861A (ko)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US6394468B1 (en) Dual-purpose shoe
KR101772843B1 (ko) 승하강식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슈즈
JPH01299501A (ja) スキー靴
KR20110024226A (ko) 전환가능한 보행/인라인 스케이팅 신발
JP2011512984A (ja) 車輪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車輪装着型靴
EP1254686A1 (en) Dual-Purpose Shoe
KR200324901Y1 (ko) 로울러가 구비된 신발
KR200325461Y1 (ko) 힐링 신발의 휠 수납 구조
KR200261490Y1 (ko) 롤러 슈즈식 스케이트의 구조
KR200171958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0039603A (ko)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0175921Y1 (ko) 롤러를 구비한 신발
KR200364894Y1 (ko) 신발 겸용 변신 인라인 스케이트
KR101958598B1 (ko) 대상체 결속 장치 및 이의 결속 방법
KR200292498Y1 (ko) 착탈식 롤러신발
KR100919379B1 (ko) 접철식 휠장치가 구비된 신발
KR101320349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40673Y1 (ko) 롤러 슈즈
KR200378784Y1 (ko) 입체회전기능의 바퀴달린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