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432B1 -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 Google Patents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432B1
KR101837432B1 KR1020170139077A KR20170139077A KR101837432B1 KR 101837432 B1 KR101837432 B1 KR 101837432B1 KR 1020170139077 A KR1020170139077 A KR 1020170139077A KR 20170139077 A KR20170139077 A KR 20170139077A KR 101837432 B1 KR101837432 B1 KR 10183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board
board
skate
sporting goo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문
Original Assignee
이강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문 filed Critical 이강문
Priority to KR102017013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7Production or moun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2017/005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oot plate quick release or shoe b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06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conversion into another devic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이트를 결합하여 보드로 사용 가능한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Roller skates and skateboard switching Sporting goods}
본 발명은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이트를 결합하여 보드로 사용 가능한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보드는 길이가 긴 판형상의 보드(플레이트)와, 이 보드의 저면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전,후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케이트보드는 사용자가 한 발을 보드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발로 지면을 차면서 스케이트보드를 밀어 주행을 하게 되며, 주행 중 방향 전환 시에는 사용자가 발로 보드를 진행방향으로 기울이면서 몸의 무게중심도 진행방향으로 이동시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스케이트는 예를 들어 인라인 스케이트와 롤러스케이트가 있는데 이는 신발에 바퀴와 브레이크 패드를 부착하여 빙판 위가 아닌 편평한 바닥에서 탈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또한 기존의 스케이트와 스케이트보드의 경우는 그 구조가 전혀 판이하고, 착용법 및 타는 방법도 상이하여 이들이 서로 변환될 수는 없는 것이 기정사실화되어있어 지금까지 아무도 스케이트와 스케이트보드의 결합을 시도하지 않았다.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선행기술조사)에 의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5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특허문헌에서도 스케이트와 스케이트보드를 겸할 수 있는 아이디어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스케이트와 스케이트보드는 공통적으로 하체 근육발달과 다이어트 효과, 순발력 강화 및 균형감각을 높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주위환경이나 기호에 따라 타기에 적합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이 있어서 노면의 상황에 따라서 변환 사용이 가능한 탈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에는 롤러스케이트도 사줘야하고, 스케이트보드도 사줘야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하나의 놀이용 탈 것을 두개의 용도로 변환 사용할 수 있는 놀이용 탈 것의 출현이 아쉬운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2-0065456]에서는 롤러보드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10-1267962]에서는 스케이트보드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01197]에서는 롤러스케이트보드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10-0818786]에서는 스케이트보드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10-2006-0082830]에서는 스케이트보드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10-0000-0000000]에서는 함수율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65456호(2002.08.13.) 한국등록특허 제10-1267962호(2013.05.21.) 한국등록실용 제20-0301197호(2003.01.03.) 한국등록특허 제10-0818786호(2008.03.26.)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82830호(2006.07.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이트보드와 스케이트를 겸할 수 있는 하나의 제품으로 즉, 스케이트보드에서 스케이트로 변환하거나, 다시 스케이트에서 스케이트보드로 변환이 가능한 놀이용 탈 것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스케이트로 사용 시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트랩을 탈부착시키고, 브레이크(고무)를 탈부착 할 수 있으며, 스케이트보드로 변환 시에는 스트랩과 브레이크(고무)를 제거하여 스케이트보드로 변환시키고, 중간 부분과 뒤쪽과 연결된 크기 조절 부를 통하여 일반 스케이트보드 보다 묘기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보다 향상된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은, 발을 올려놓는 분할형보드(21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50, 51)가 구비된 스케이트(S); 두 개의 상기 스케이트(S) 후방이 마주보도록 하여, 양측에 각각의 상기 스케이트(S)가 각각 연결되는 보드커넥터(100);를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스케이트(S)가 상기 보드커넥터(100)에 연결되면 스케이트보드로(SB)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후방에 위치한 제1몸체(240), 상기 제1몸체(240)의 전방에 위치한 제2몸체(230), 상기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상기 제2몸체(230)의 전방에 위치하며, 힌지연결부(22A)에 의해 각도 조절이 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3몸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구비되며, 측면으로 돌출된 길이 조절이 되는 너비조절부(30, 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케이트(S)는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전방 상부에 탈부착되며, 부착 시 발 또는 신발의 발등 부분을 지지하는 전방스트랩(800); 및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전방 상부에 탈부착되며, 부착 시 발 또는 신발의 발목 또는 뒤발 부분을 지지하는 후방스트랩(8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에 의하면, 스케이트와 스케이트보드로의 변환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부에 의해 분할형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발의 크기와 상관없이 누구나 착용할 수 있음으로써, 발에 맞는 크기로 제품을 구매하고 발이 크게 되면 더 큰 제품을 구매하여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힌지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원하는 만큼의 점프력과 공중에 떠있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너비조절부로 분할형보드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어 스케이트보드로 사용 시 발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케이트보드의 정밀한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브레이크연결부 및 브레이크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케이트보드로 사용 시 브레이크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브레이크패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브레이크패드의 교체 시 교체 비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인라인스케이트나 롤러스케이트에서는 해당 신발을 신어야지만 탈 수 있는 부분을, 스트랩을 통해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도 스케이트를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길이조절부가 탄성부재로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반자동 방식으로 착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드커넥터와 분할형보드가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요홈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스케이트보드로 사용 시 발에 걸리는 부분이 없음과 동시에 튼튼하게 혈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를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치함으로써, 인라인스케이트와 유사한 형태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하나의 분할형보드에 두 개의 바퀴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스케이트 보다 바퀴를 줄임으로써,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스케이트보드 보다 주행성과 속도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요홈결합과 힌지결합을 같이 사용함으로써, 결합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보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보드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보드 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 형태를 보여주는 상측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 형태를 보여주는 하측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보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보드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보드 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 형태를 보여주는 상측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 형태를 보여주는 하측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은 하나의 제품으로 스케이트보드와 스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드커넥터를 중심에 두고 양 측에 스케이트를 결합함으로써,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할 수 있고, 분리 시에는 스케이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 스케이트로 사용 시에는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도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스트랩을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신발 사이즈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도 있다.
또한, 스케이트로 사용 시 바닥의 형태와 스케이트보드로 사용 시 바닥의 형태가 다르고, 스케이트로 사용 시 발을 올려놓는 방향과 스케이트보드로 사용 시 발을 올려놓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스케이트보드로 사용 시에는 보드의 형태를 따라 변형이 가능하고, 스케이트로 사용 시에는 스케이트의 형태를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은 스케이트(S) 및 보드커넥터(100)를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스케이트(S)가 상기 보드커넥터(100)에 연결되면 스케이트보드로(SB)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할 수 있고,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스케이트로도 사용할 수 있다.
스케이트(S)는 발을 올려놓는 분할형보드(21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50, 51)가 구비된다.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발을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 발 볼 보다 약간 긴 길이의 폭과 발 길이보다 약간 긴 길이의 크기가 적당하다.
상기 스케이트(S)는 롤러스케이트 또는 인라인스케이트처럼 바퀴(롤러)를 이용하여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바퀴를 연결하는 바퀴연결부(5B)에 바퀴(50, 5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바퀴연결나사(5A)로 바퀴연결부(5B) 및 바퀴(50,51)를 측면에서 관통하여 바퀴연결부(5B)에 바퀴(50, 5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퀴(50, 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의 양 측이 곡면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할 경우 직선주행 시에는 마찰력을 적게 하고 곡선주행 시에는 바퀴의 곡면이 지상에 접촉 하여 곡선 주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스케이트보드의 트럭부분(몸의 기울기에 따라 좌우 10~15ㅀ정도 틸팅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없이도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스케이트보드의 발판(일체형보드(200))에 해당되는 부분에 발을 올려 주행하면서 몸을 기울이면 사용자의 무게중심에 따라 스케이트보드의 방향전환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일렬로 구비된 바퀴의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롤러스케이트와 같이 2열로 구비되는 등, 주행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형태로 바퀴를 구비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드커넥터(100)는 두 개의 상기 스케이트(S) 후방이 마주보도록 하여, 양측에 각각의 상기 스케이트(S)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보드커넥터(100)는 두 개의 스케이트(S)를 연결하여 스케이트보드의 형태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드커넥터(100)의 양 측에 스케이트(S)를 각각결합시켜 스케이트보드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형보드(210) 또는 보드커넥터(100)는 휨강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 보강을 위해 내부에 금속재질의 보강심재를 넣어서 성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케이트보드(SB)는 일반 스케이트보드와 동일한 요령으로 탈 수 있으며, 전후의 구분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분할형보드(210)는 제1몸체(240), 제2몸체(230) 및 길이조절부(900)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900)에 의해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몸체(240)는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몸체(240)는 스케이트로 사용 시 발꿈치 측이 지지하게 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후방은 발꿈치 측 방향을 말한다.
제2몸체(230)는 상기 제1몸체(240)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2몸체(230)는 스케이트로 사용 시 발볼 측이 지지하게 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전방은 발가락 측 방향을 말한다.
길이조절부(900)는 상기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를 연결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900)에 의해 상기 제1몸체(240) 및 제2몸체(230)가 수평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 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는, 스케이트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발 길이에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분할형보드(2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30)와 제1몸체(240)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900)가 제2몸체(230)과 제1몸체(240) 간의 거리를 벌리거나 좁히면서 제2몸체(230)과 제1몸체(240)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분할형보드(210)는 상기 제2몸체(230)의 전방에 구비되며, 힌지연결부(22A)에 의해 각도 조절이 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3몸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몸체(220)는 스케이트보드의 앞쪽 끝 부분인 코(nose)와 뒤쪽 끝 부분인 꼬리(tail)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코(nose)와 꼬리(tail)가 주행 중 일반적으로 발을 올려놓는 바닥(평행한 부분)보다 상측으로 휘어지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힌지연결부(22A)를 이용하여 제3몸체(220)의 기울기(경사)를 조절하여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연결부(22A)는 나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분할형보드(210)는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구비되며, 측면으로 돌출된 길이 조절이 되는 너비조절부(30, 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너비조절부(30, 31)는 상기 일체형보드(200)의 너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스케이트로 사용 시 발을 올려놓는 방향(스케이트(S)의 길이방향)과 스케이트보드로 사용 시 발을 올려놓는 방향(스케이트(S)의 폭(너비)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분리형보드(210)의 폭이 발 볼 보다 약간 긴 길이로 형성되었다면,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할 경우 발이 일체형보드(200)를 벗어나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몸을 앞으로 기울이거나 뒤로 기울이면서 일체형보드(200)를 컨트롤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발바닥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일체형보드(20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너비조절부(30, 3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너비조절부(30, 31)는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몸체(240) 및 제2몸체(230)에 각각 너비조절부(30, 31)가 형성된 예를 보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발바닥을 충분히 커버하여 일체형보드(200)의 컨트롤이 가능하다면 하나 또는 다수 형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보드커넥터(100)에도 너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S)는 브레이크연결부(70) 및 브레이크패드(7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연결부(70)는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전방 하부 또는 후방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브레이크연결부(70)는 스케이트로 사용시에는 부착하고, 스케이트보드로 사용 시에는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브레이크패드(71)는 상기 브레이크연결부(70)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브레이크패드(71)는 제동을 위해 사용을 많이 할수록 닳게 되며, 이로 인해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연결부(70)는 브레이크패드(71)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은 브레이크패드(71)이다.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롤러(50, 51)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주행을 하게 된다. 때문에, 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패드(71)가 지면과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브레이크패드(71)를 두껍게 형성하여 직접 상기 분할형보드(210)에 결합시키게 되면, 브레이크 패드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형상의 변형 및 파손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브레이크연결부(70)를 상기 분할형보드(210)와 브레이크패드(71) 사이에 구비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71)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상기 브레이크패드(71)가 지면과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전방 하부 또는 후방 하부에 브레이크연결부(70)를 결합시키고, 브레이크연결부(70)에 브레이크패드(71)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연결부(70)는 휨강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 보강을 위해 내부에 금속재질의 보강심재를 넣어서 성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브레이크연결부(70) 및 브레이크패드(71)는 롤러스케이트의 브레이크와 유사한 형태로 분할형보드(21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인라인스케이트의 브레이크와 유사한 형태로 분할형보드(21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브레이크연결부(70) 및 브레이크패드(71)는 속도를 내서 달리다 제동할 경우에 마찰력으로 인해 어느 한 쪽(앞 또는 뒤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연결부(70) 및 브레이크패드(71)가 경사진 형태로 상기 분할형보드(21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S)는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스트랩(800)은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전방 상부에 탈부착되며, 부착 시 발 또는 신발의 발등 부분을 지지한다.
후방스트랩(810)은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전방 상부에 탈부착되며, 부착 시 발 또는 신발의 발목 또는 뒤발 부분을 지지한다.
상기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이 분할형보드(210)에 결합된 형상은 일반적인 스트랩 샌들 또는 스노우보드 바인딩과 유사한 형태가 되도록 상기 전방스트랩(800)(아치형 등) 및 후방스트랩(810)(고리형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을 스케이트로 사용할 경우, 분할형보드(210) 위에 발을 올린 후,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을 이용하여 발 또는 신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을 스케이트로 사용할 경우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할 경우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을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의 경우 사용자의 발크기에 맞추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의 구체적인 구조는 기존의 샌들, 스노우보드, 인라인스케이트 등에서 사용되는 스트랩과 유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분할형보드(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레이크연결부(70) 또는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렌치와 같은 장비 없이도 손으로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상면또는 하면에 각각 브레이크연결부(70) 또는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을 부착하기 위한 위치에 볼트 구멍과 같은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스트랩(800) 및 후방스트랩(810)을 나사(23A, 24A)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분할형보드(210)는 상기 길이조절부(900)가 상기 제1몸체(240) 또는 제2몸체(23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제1몸체(240) 또는 제2몸체(230)와 상기 길이조절부(900)가 탄성부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900)의 일 측이 탄성부재로 제1몸체(240) 또는 제2몸체(230)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간의 거리를 벌린 상태에서 발을 올리면, 발의 크기에 따라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간의 거리가 자동으로 좁아지도록 하여 착용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탄성부재는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2몸체(230)와 제1몸체(240)의 내부에 각 단계별로 홈부(파인 형상) 또는 요부(돌출된 형상)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형태의 요부 또는 홈부를 길이조절부(900)에 형성하여 요부가 홈부에 걸리도록 하거나, 끝부분만 걸리게 하여 꺼내는 방식 등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보드커넥터(100)는 양 측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후방에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한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형보드(210)와 보드커넥터(100)가 요홈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재(나사 등)로 상기 요부와 홈부를 동시에 측면에서 관통하여 결합되는(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드커넥터(100)는 분할형보드(210)가 삽입 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상기 홈부와 긴밀한 슬리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드커넥터(100)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분할형보드(210)와 보드커넥터(100)의 측면에 삽입되는 고정나사(10A)가 출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렌치와 같은 도구 없이도 사용자가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볼트의 머리부분을 올록볼록한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일체형보드(200)로 결합 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요부와 홈부가 억지끼움 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보드커넥터(100)의 양 측에 분할형보드(210)가 결합된 일체형보드(200)가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의 데크와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바, 보드커넥터(100)와 분할형보드(210) 간의 슬리브 결합구조는 결합요소 간의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기술적으로 완성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이트보드(SB)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드커넥터(100)와 고정나사(10A)를 이용하여 일체형보드(200)로 조립할 수 있고, 스케이트보드(SB)에서 스케이트(S)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드커넥터(100)에서 고정나사(10A)를 빼내는 것에 의해 일체형보드(200)을 두 개의 분할형보드(210)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스케이트(S)는 롤러(50, 51)가 분할형보드(210)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한 쌍의 롤러(50, 51)가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롤러스케이트(양쪽 각 4개)와 인라인스케이트(양쪽 각 4개)보다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속도감을 향상시키고, 스케이트보드 사용되는 형태에서는 상기 분할형보드(210)에 각 2개씩 총 4개를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스케이트보드(바퀴 총 4개)보다 주행성과 속도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제3몸체(220)는 상기 힌지연결부(22A) 측에 오목한 홈부 또는 볼록한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형보드(210)의 상기 제3몸체(220)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몸체(220)와 분할형보드(210)가 요홈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재(나사 등)로 상기 요부와 홈부를 동시에 측면에서 관통하여 결합되는(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울기로 제3몸체(2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원하는 만큼의 점프력과 공중에 떠있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기술을 선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연결부(22A)로 나사를 이용할 경우, 힌지연결부(22A)(나사)를 풀러 스케이트보드의 코(nose)와 꼬리(tail) 역할을 하는 상기 제3몸체(220)의 기울기(경사)를 원하는 만큼 기울인(단계별 조작도 가능) 후, 힌지연결부(22A)(나사)로 상기 제3몸체(220)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통해, 일체형보드(200) 양 끝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일반 스케이트보드에서 선보일 수 있는 기술을 선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스케이트보드처럼 알리(점프를 하여 장애물을 넘거나, 공중에서 스케이트보드를 회전시키는 등의 기술)와 같은 기술을 선보일 수 있도록, 상기 제3몸체(2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힌지연결부(22A)(나사)를 풀고 상기 제3몸체(220)를 다시 평평한 상태로 유지시킨 후, 힌지연결부(22A)(나사)를 조여 상기 제3몸체(220)를 고정시키면 스케이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에 의하면, 하나의 탈 것으로 스케이트로 또는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물품을 구입하여 사용자의 욕구나 사용환경에 따라서 변환 사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종목의 운동을 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전신운동, 체력증진, 스트레스 해소, 거기다 변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즐거움이나 성취감까지 부여 할 수 있으며, 어린이에게 신체적 정신적인 발달을 도모하는 데 일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스케이트보드(SB)로 사용할 경우, 보드커넥터(100)에 분할형보드(210)를 연결하여 일체형보드(200)를 조립하고, 제3몸체(220)의 경사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울기로 조절하여 고정시킨 후, 너비조절부(30, 31)를 꺼내어 기존의 스케이트보드와 비슷한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보드(200)는 그 길이는 대략 60~80cm 정도이고, 상기 일체형보드(200)의 폭은 8~10cm에서 너비조절부(30, 31)에 의해 일 측이 4~6cm 정도 늘어나 최대 16~34cm까지 폭을 늘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너비조절부(30, 31)는 길이조절부(900)와 겹쳐지지 않도록 분할형보드(2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힌지 결합된 제3몸체(2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너비조절부(30, 31)를 이용하여 분할형보드(21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S: 스케이트 SB: 스케이트보드
5A: 바퀴연결나사 5B: 바퀴연결부
10A: 연결나사
22A: 힌지연결부
23A, 24A: 나사
30, 31: 너비조절부
50, 51: 롤러
70: 브레이크연결부 71: 브레이크패드
100: 보드커넥터
200: 일체형보드 210: 분할형보드
220: 제3몸체
230: 제2몸체 240: 제1몸체
800: 전방스트랩
810: 후방스트랩
900: 길이조절부

Claims (4)

  1. 발을 올려놓는 분할형보드(21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50, 51)가 구비된 스케이트(S);
    두 개의 상기 스케이트(S) 후방이 마주보도록 하여, 양측에 각각의 상기 스케이트(S)가 각각 연결되는 보드커넥터(100);
    를 포함하며,
    두 개의 상기 스케이트(S)가 상기 보드커넥터(100)에 연결되면 스케이트보드로(SB)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후방에 위치한 제1몸체(240), 상기 제1몸체(240)의 전방에 위치한 제2몸체(230), 상기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몸체(240)와 제2몸체(230)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부(900)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형보드(210)는
    상기 제2몸체(230)의 전방에 위치하며, 힌지연결부(22A)에 의해 각도 조절이 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3몸체(220)를 포함하는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39077A 2017-10-25 2017-10-25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KR10183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77A KR101837432B1 (ko) 2017-10-25 2017-10-25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77A KR101837432B1 (ko) 2017-10-25 2017-10-25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432B1 true KR101837432B1 (ko) 2018-03-12

Family

ID=6172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77A KR101837432B1 (ko) 2017-10-25 2017-10-25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432B1 (ko)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865Y1 (ko) * 2002-09-16 2003-01-06 임정진 길이조절이 가능한 롤러브레이드
KR200301197Y1 (ko) * 2002-10-18 2003-01-17 박진원 롤러 스케이트 보드
KR20030085360A (ko) * 2002-04-30 2003-11-05 천명준 휴대용 롤러 블레이드
KR200332996Y1 (ko) * 2003-08-09 2003-11-12 윤영우 조립식 다용도 인라인 스케이트
KR20040075379A (ko) * 2003-02-20 2004-08-30 정진화 제동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보드
KR20050018445A (ko) * 2003-08-13 2005-02-23 이관수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90119Y1 (ko) * 2005-02-22 2005-07-19 서용진 스케이트 보드 기능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0573366B1 (ko) * 2005-06-01 2006-04-26 김홍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200430105Y1 (ko) * 2006-06-12 2006-11-13 주식회사 넥터스 에스보드
KR20080013671A (ko) * 2006-08-08 2008-02-13 김덕기 신발 장착용 롤러장치
KR100813306B1 (ko) * 2007-06-13 2008-03-13 이병훈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KR20110100897A (ko) * 2010-03-05 2011-09-15 김현 인라인 스케이트
KR101182489B1 (ko) * 2010-10-19 2012-09-12 이동근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
CN103228324A (zh) * 2010-08-27 2013-07-31 加的夫运动技术有限责任公司 旱冰鞋
KR20140122120A (ko) * 2013-04-09 2014-10-17 한병찬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CN204275463U (zh) * 2014-12-15 2015-04-22 中国石油大学(华东) 可折叠便携式双排轮滑鞋
KR101572635B1 (ko) * 2014-07-18 2015-11-27 이지은 주행모드 변환 가능한 보드
KR101777056B1 (ko) * 2016-06-23 2017-09-19 이강문 롤러스케이트로 변환가능한 스케이트보드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60A (ko) * 2002-04-30 2003-11-05 천명준 휴대용 롤러 블레이드
KR200299865Y1 (ko) * 2002-09-16 2003-01-06 임정진 길이조절이 가능한 롤러브레이드
KR200301197Y1 (ko) * 2002-10-18 2003-01-17 박진원 롤러 스케이트 보드
KR20040075379A (ko) * 2003-02-20 2004-08-30 정진화 제동장치가 구비된 스케이트보드
KR200332996Y1 (ko) * 2003-08-09 2003-11-12 윤영우 조립식 다용도 인라인 스케이트
KR20050018445A (ko) * 2003-08-13 2005-02-23 이관수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90119Y1 (ko) * 2005-02-22 2005-07-19 서용진 스케이트 보드 기능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0573366B1 (ko) * 2005-06-01 2006-04-26 김홍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200430105Y1 (ko) * 2006-06-12 2006-11-13 주식회사 넥터스 에스보드
KR20080013671A (ko) * 2006-08-08 2008-02-13 김덕기 신발 장착용 롤러장치
KR100813306B1 (ko) * 2007-06-13 2008-03-13 이병훈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보드
KR20110100897A (ko) * 2010-03-05 2011-09-15 김현 인라인 스케이트
CN103228324A (zh) * 2010-08-27 2013-07-31 加的夫运动技术有限责任公司 旱冰鞋
KR101182489B1 (ko) * 2010-10-19 2012-09-12 이동근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140122120A (ko) * 2013-04-09 2014-10-17 한병찬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KR101572635B1 (ko) * 2014-07-18 2015-11-27 이지은 주행모드 변환 가능한 보드
CN204275463U (zh) * 2014-12-15 2015-04-22 中国石油大学(华东) 可折叠便携式双排轮滑鞋
KR101777056B1 (ko) * 2016-06-23 2017-09-19 이강문 롤러스케이트로 변환가능한 스케이트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6451A (en) Footwear apparatus with grinding p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175187B2 (en) Wheeled skate with step-in binding and brakes
JP5819842B2 (ja) ローラースケートおよびローラースケート用ホイールトラック
US7341261B2 (en) Skate
US8573614B2 (en) Single foot skate
US6195920B1 (en) Grinding footwear apparatus with storage compartment
EP2696949B1 (en) A binding
US9782665B2 (en) Roller skate
KR101833742B1 (ko) 스케이트로 사용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US6712395B1 (en) Footwear capable of being used interchangeably as a jumpshoe or roller skate
KR200392500Y1 (ko) 발판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
KR101837432B1 (ko) 롤러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전환 스포츠 용품
KR101837429B1 (ko) 트랜스포머블 스케이팅 레저스포츠 용품
KR101837426B1 (ko) 투 인 원 롤러보드
KR101777056B1 (ko) 롤러스케이트로 변환가능한 스케이트보드
US9782664B1 (en) Ankle and toe straps for splitboard and snowboard bindings
US20040232633A1 (en) Low profile roller skate
CA2181212C (en) In-line skate with slotted midsole
US20080296854A1 (en) Pair of wheeled skate-skis usable on most terrains
KR20080038610A (ko) 피-스포츠용품 고정용 부츠
KR200337494Y1 (ko) 착탈식 롤러 보드
KR200364893Y1 (ko) 변신 인라인스케이트
KR20050041317A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36022Y1 (ko) 롤러 스케이트
KR20050017408A (ko) 인라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